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의 복지욕구에 대한 비교연구

        임미숙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노인은 다양한 욕구를 가지며 생활속에서 역동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복잡한 노인의 욕구는 노인자신과 노인의 욕구충족을 지원하는 가족, 지역사회, 직장, 사회복지제도 등을 통해 해결되어진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또한 이러한 노인의 욕구 충족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의 복지욕구에 대한 비교연구를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복지욕구에 대한 연구는 일반노인과 수급노인의 복합적인 조사가 많이 선행되었기에 본 논문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을 구분하여 복지욕구를 조사하고 대상별 복지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 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 노인의 경제적 욕구, 건강상의 욕구, 심리사회적 욕구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셋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 노인의 복지욕구와 욕구 우선 순위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넷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 노인의 복지욕구는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오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 113명과 비수급노인 149명 그리고 수급자 구분 무응답 26명으로 총 288명의 응답자를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고 설문지에 의한 면접조사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7문항과 경제적 욕구 8문항, 건강상의 욕구 9문항, 심리사회적 욕구 9문항으로 총 33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실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차이를 통계적 유의검증을 하기 위하여 T검증과 교차분석 그리고 X^(2) 검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급자 · 비수급자의 비교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전 직업, 주거형태, 가족구성형태는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경제적 어려움의 정도에서 수급자가 비수급자보다 경제적으로 더 어려움을 나타냈고, 가족으로부터의 경제적 도움은 비수급자가 가족으로부터 경제적 도움에서는 비수급자가 가족으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며, 생계대책에서는 수급자는 현재상태로 지내며, 비수급자는 자녀들한테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제적 활동의 욕구에서는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취업을 하지 않겠다가 많은 비율을 나타냈고 원하는 경제서비스욕구에서는 수급자 비수급자 모두 후원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건강상의 욕구에서는 건강상태는 수급자가 비수급자 보다 건강상태가 더 나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의료기관 이용에서는 수급자는 교통이 불편하다와 비수급자의 경우 병원비가 비싸다가 가장 많은 응답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병에 관한 대책에서는 수급자는 간병할 사람이 없음과 비수급자는 있음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서비스욕구에서는 수급자의 경우 방문진료를 가장 원하였으며, 비수급자는 물리치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심리사회적 욕구에서 가족간의 관계욕구를 조사한 결과 비수급자의 가족관계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 활동욕구에서는 노후의 가장 원하는 심리사회서비스는 수급자 비수급자 모두 말벗친구를 원하였다. 노인복지프로그램 참여 여부에는 수급자가 비수급자보다 프로그램 참여의지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원하는 노인복지프로그램을 묻는 질문에는 특별한 것이 없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것과 같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의 복지욕구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대상별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복지 욕구가 충족되도록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grasp the wellbeing need between nonrecipients and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We carried out this survey by asking senior people who're received an award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who aren't received it about the wellbeing need about an economical need, physical need and psychological social need.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113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149 senonrecipients more than 65 years old in Osan City, and then analyzed the data by using SPSS Win 10.0.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grasp general characterlstic. This study used cross analysis (x^(2)-test) to compare and analyze wellbeing needs by general characterlstic of the subject from two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wo group's comparison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re is a difference sex, age, educational standard, previously job, the state of house status, family member. Second, in case of the an economical nee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wo group. Recipients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have more difficulty nonrecipients. Third, in case of a physical nee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wo group. Recipients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ill nonrecipients. Fourth, according to psychological social nee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wo group. Recipients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re satisfied nonrecipients. Thus, there is a difference from two group about wellbeing need. Their wellbeing need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senior people's showed a strategical aid for them is requir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making recipients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nonrecipients toward the welfare services more content are also included.

      • 靑少年의 福祉欲求와 佛敎의 福祉 서비스 方案에 관한 硏究

        신강수 東國大學校 佛敎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Youth will play the leading part in the country's future. Therefore, the family, the school,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in the youth preferentially. However, recently our society leave youths alone the spread of western material culture through mass media, drug abuse, unsound social environment. The reasons are the education focused on SAT, parents excessive care and pressure on the youth. In addition, because of that social environment, the youth are stressed extremely. So, youths want to reduce their stress. When the state that the youth can't satisfy their needs is continued, it is likely that more and more youth will go in wrong away. Social welfare must prevent this phenomenon and social welfare service must try to satisfy their needs many programs. Not only the family, school and government but also the religion should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youths. It is social function and responsibility of Buddhist that cope with mental and material problems of the youth. This study aims to research Buddhism's welfare service to reduce youth's stress. This study used the theoretic analysis of social welfare need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youth. The frame of theory is conceptualized through analytic arrangement of general social welfare ideology and theories of the youth. And social welfare need of Buddhism and the viewpoint about the youth analyzed as the frame object Buddhism text.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registered at Chogye body temple. It took 30 days from Aug. 1 to Aug. 31, 1998.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and 370 papers were colle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by SPSS PC^(+).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f the welfare need of Buddhist youths, they suffer from the school records, the friend relationships, the lack of recreation and the family problems as well as general youths. And they mainly reduce the stress through culture programs. So they hope that their Buddhist temples could provide the welfare institution such as PC rooms, study rooms, outdoor camping places, recreation places, weekend farms. And they also need the welfare programs which are mostly culture welfare programs, such as pilgrimage to the Holy Land, concert for youths, the Literature Festival, the performance, 'Zen' exercises, Yoga class, Chinese language class, flower arrangement and writing class. There are many culture programs which can be executed by a little investment on, for example, PC rooms, study rooms, recreation places, weekend farms that can satisfy the needs for the welfare institution of Buddhist youths. There are also concert for youths, pilgrimage to the Holy Land, the Literature Festival, the performance, 'Zen' exercises, Yoga class, Chinese class and writing class that can satisfy the need for the welfare programs. The monks themselves can teach the various programs-'Zen' exercises, Yoga class, chinese language class and writing class-if they have a strong Buddhist's will. The Buddhist temples are required to try more active will of practice for running the welfare institutions and the welfare programs. By doing the best, each temple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welfare of youths, and building the Buddhist Utopia. In this poin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try the strong Buddhist's will and the idea of the monks who would give their arms in order to help the suffering people.

      • 베트남 아동의 빈곤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지역간 비교연구

        부티투흥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베트남 아동의 빈곤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지역간 비교연구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부티투흥 지도교수 심우찬 본 연구는 베트남 아동의 빈곤실태와 복지욕구를 알아보고자 한 목적으로 베트남의 세 지역인 하노이 시내, 하노이 근교, 그리고 썬라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 빈곤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세 지역 빈곤초등학생들의 생활실태가 어떠한가?”와 “그들의 복지욕구는 어떠한가?”, 두 가지이다. 연구 대상자로는 하노이 시내, 하노이 근교, 썬라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 빈곤초등학생 269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혼합연구방법 중 내재적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실태의 총 9가지의 영역인 교육, 의료, 주택, 식수와 위생, 조기노동, 여가활동, 사회인정과 사회보조, 영양섭취 및 기타 사항에 관련하여 하노이 시내와 하노이 근교 학생들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 학생들에 비하면 썬라 학생들의 생활실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수와 위생, 조기노동, 여가생활과 영양섭취의 영역에서는 심각한 격차가 보였다. 둘째, 복지욕구에 관련하여 세 지역 학생들의 공통점은 의식주와 의료에 관한 욕구가 높았다는 점이다. 이 외에 썬라 학생에 비하면 하노이 시내와 하노이 근교 학생들이 여가생활에 관한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에 관련하여 학용품 지원에 관한 욕구를 제외하고는 다른 욕구들은 비교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특히 세 지역 학생의 과외 및 학원에 관한 욕구가 공통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질적 자료와 양적자료가 모두 일관적으로 썬라 학생들의 극도로 열악한 생활실태를 보여 주었다는 점을 토대로 베트남 정부와 국제사회복지의 자원 전달에 있어서의 불균형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의 복지향상을 위한 국제사회복지 실천 차원에 있어서 지역 간 격차를 염두해 두고, 정부의 자원이 전달되기 수월한 도시 혹은 도시근교에서 벗어나, 보다 더 극빈지역에 자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세 지역의 학생들 모두 기본욕구에 포함이 되는 의식주와 의료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았다는 점은 베트남 아동복지의 현주소를 드러내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기본적인 욕구에 포함되는 위생과 영양섭취 부분이 개선될 수 있도록 산간지역의 극빈층 아동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교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의 교육열은 대한민국의 교육열 못지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과 후 프로그램, 과외 및 학원에 대한 욕구가 낮게 나타난 것은 아동의 기본욕구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아서일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에 국제사회복지의 가장 중요한 목표인‘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베트남 아동의 기본 욕구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에서 반드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에 대한 욕구를 자극하고, 더 질 좋은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우수한 교사와 방과 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까지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베트남 아동, 빈곤실태, 복지욕구, 지역간 비교. An Inter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nditions of Poverty and Welfare Needs of Vietnamese Children Vu Thi Thu H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Daejoe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Woochan Shim Ph.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poverty and welfare needs of Vietnamese impoverished children who attend elementary schools in three regions, namely downtown Hanoi, Hanoi suburbs, and Son La Provinc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 firstly, what are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of these impoverished students? Secondly, what are the welfare needs of thos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69 impoverished students who attend elementary schools in downtown Hanoi, Hanoi suburbs, and Son La.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using an embedded design among four designs of the mixed method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in all nine aspects of actual living conditions, which are education, health care, shelter, water and sanitation, child labor, leisure, social inclusion and protection, nutrition, and miscellaneous matter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from downtown Hanoi and Hanoi suburbs. However, compared to abovementioned areas, the students from Son La Province show significant inadequacy in living conditions, especially in the areas of clean water and sanitation, child labor, leisure, and nutrition. Secondly, in term of welfare needs, what the students from all three region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show high needs for food, clothing, shelter, and health care. Beside these things the students from downtown Hanoi and Hanoi suburbs show higher need for leisure compared to the students from Son La Province. Moreover, except for school supplies, the students from the two regions show comparatively low needs in other aspects. The students from all three regions show low needs for private lesson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can be drawn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of all,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nsistently show the extremely impoverished living condition of the students from Son La Province. Based on this finding, there is a need to consider an issue of uneven resource transfer by the Government of Vietnam and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At practical level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for improving the welfare condition in Vietnam, interregional inequalities need to be kept in mind, and the government should go beyond cities or suburbs where resources can be distributed easily and make efforts transfer resources to extremely poor regions. Secondly, that the students from all three regions show the highest needs for food, clothing, shelter, and health care which include the entire fundamental needs signifi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 welfare in Vietnam. This means there is a necessity for the measure about destitute children who live in mountainous areas to be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tion and nutri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basic needs. Finally, Vietnamese education fever which is influenced by Confucianism is considered equal to Korean education fever. However, the fact that the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 private lesson,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re low can be assumed to be a result of an inadequacy of fundamental necessities for children.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there is a necessity to step further than merely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fundamental needs of Vietnamese children and but to also stimulate educational need and improve after-school program and support high-performing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 of better quality. Key Words: Vietnamese Children, Conditions of Poverty, Welfare Needs, Interregional Comparative Study.

      • 학교사회복지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대전지역 인문계·실업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고동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교육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 있어서 학교교육의 영향은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교육은 학교청소년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성장과 전인교육을 목표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지식교육과 대량교육의 우리 나라 교육환경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과 다양한 학생문제를 유발하는 근원지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자신의 가치를 존중받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데 실제로 많은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끼며 혼란과 좌절을 겪고 있다. 또한 학교생활의 불만은 곧 학교 부적응 등 학생문제로 다양해지고 심각해지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과 문제점들은 현행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며, 종래의 교도주임제나 상담교사제 등으로도 문제해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업문제뿐만 아니라, 가정, 사회, 학교환경 및 또래 친구들의 문제를 피교육자 중심으로 직접적으로 도와주고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결을 해줄 수 있는 실질적인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실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가정과 학교환경이 각기 다른 고등학생의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욕구와, 어떤 욕구들이 학생들의 생활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각 환경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욕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기 다른 환경의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운영의 효과성을 높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해서는 욕구조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생태 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욕구는 주변환경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정 및 학교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인문·실업계고등학교 각 2개교씩 4개교로부터 총575명을 2002년 9월 16일부터 9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일반적인 사항 4문항, 학교환경에 관한 사항 8문항, 가정환경에 관한 사항 9문항과 학교사회복지욕구에 관한 사항은 Maslow의 욕구단계 이론(이인정·최혜경, 1996: pp. 249-252에서 재인용)으로·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소속과 애정의 욕구’, ‘자존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분류한 29문항으로 총 5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과 학교사회복지욕구와의 관계는 부모-자녀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수록, 경제적 생활수준이 취약할수록 안전의 욕구가 높았으며, 아버지의 경제적·사회적 요인들은 조사대상자의 생리·안정욕구와 관련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리적 욕구에서만이 잘 사는 집단이 높은 욕구를 보였을 뿐 나머지 안전욕구, 소속·애정욕구, 자존욕구, 자아실현욕구 등에서는 못 사는 집단이 욕구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경제적 생활수준이 학교사회복지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둘째, 학교환경과 학교사회복지욕구관계에서는 학교성적 정도에 따라 학교사회복지 욕구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생리적 욕구를 제외한 나머지의 욕구에서는 학교성적이 상위권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처벌 경험이 없는 집단이 학교사회복지욕구의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문제행동의 경험이 적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교별로 인문계와 실업계로 구분하여 학교사회복지욕구를 조사한 결과 생리적 욕구와 안전욕구에서는 실업계가, 소속·애정욕구에서는 인문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문계와 실업계의 학생간에 학교사회복지욕구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교사회복지서비스도 각 학교유형별로 다르게 접근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넷째, 전체대상자들의 학교사회복지욕구는 3.83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로 하는 욕구는 '진학 및 취업에 대한 정보와 상담', '취미 및 여가활동의 시설 및 프로그램', '능력과 적성에 관한 상담' 순으로 나타나 ‘자아실현의 욕구’와 ‘자존의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료급식의 확대'나 '가정경제의 도움이 필요'라는 '생리적 욕구'도 높게 나타났다.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학교의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욕구가 높다는 것은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에 따르지 못하는 학교환경의 한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인 '수요자 중심'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학교가 시급하게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부응하고 학생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체계에 맞는 학교사회복지제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전문성을 지닌 학교사회복지사가 요구된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제도가 제도의 하나로써 자리를 잡음으로써 가정-학교-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구축하여 연계적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교환경을 기본적으로 학생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학생중심의 환경으로 바뀔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농촌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 및 실태분석

        이영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촌지역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어 노인복지 서비스의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정부의 재정능력 취약으로 노인복지 서비스의 제공 수준은 도시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지역노인의 복지욕구에 부응하는 복지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농촌노인들의 복지욕구와 실태를 분석하여 그 지역의 실정에 맞는 복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65세 이상의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각 조사대상 집단의 지역, 연령, 성별을 고려한 총화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자는 조사대상자에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응답자에게 질문을 읽어주고 조사자가 직접 응답내용을 기입하는 면접법을 활용하였다. 총 160명으로부터 무응답 항목이 있는 경우와 응답 오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15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실태중 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자기가 사는 곳의 만족도 차이를 보면 성별, 연령 그리고 본인의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전체적으로는 자기가 사는 곳이 좋다라고 응답한 노인들은 66.7%로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기가 사는 곳에 대해서는 만족하였다. 노인들의 특성에 따른 경제 활동 유무의 차이를 보면 배우자 유무,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그리고 용돈마련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그룹은 48%이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노인은 52%였다. 주된 관심사(현재 본인의 가장 어려운 점)는 건강문제(43.5%)와 경제적 어려움(33.1%)이었다. 2. 노인복지서비스 욕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한 필요성이 77.3%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여가이용 장소는 집안(31.2%)과 경로당(29.2%)순이었다. 경로당기능에 대한 요구는 노인끼리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랑방 역할이 33.132%로 가장 많다. 원하는 노인복지프로그램은 건강기구의 설치가 71.4%로 가장 많은 요구도가 있었고 노래교실이 그 다음인 12.3%였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가 15.6%인데 비해 불만은 35.7%로 만족도가 아주 낮았다. 가정간호사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가 60.39%로 가장 많았다. 3. 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에서는, 무료공동주택에 대해 필요하다 40.3%, 필요없다 55.9% 그리고 모르겠다 3.9%이었다. 아파트형 원룸 실비노인복지주택을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없다(68.8%), 있다(26.6%), 모르겠다(4.5%)순이었다. 4. 보건의료복지욕구에 대해서는 보건소진료 만족여부에서 만족한다가 82.5%로 아주 높았고, 불만족은 17.5%였다. Agricultural communities are entering into the age of the aged people. Thus, there is significant demand for the senior citizens’ welfare services. Despite this, however, the level of senior citizens’ welfare services provided at the regions is low compared to the services offered at the urban areas due to the regional government’s lack of financial means. To develop the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demands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regions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ealitiesfaced by the senior citizens in their every day life and their demand for welfare services. To this, this research factor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ies to analyze the desire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ies when it comes to the welfare services and the realities to present the basicdata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program that suits the situation of respective regions. Thu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study of the residents of agricultural community over the age of 65. As for the data collection, sampling from the total was used factoring in the region, age and gender of each group subject to research. The researcherread the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read the questions to the research targets, and the interviewing method that entails entering in the answers directly the researcher was used. Total of 154 was targetedfor analysis from the total of 160 excluding the cases that did not answer the questions or that include err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When the difference in the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level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during the every day realitie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i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ge and one’s own occupationand the senior citizens who answered that they like where they live is 66.7%. Likewise, most of the senior citizens are satisfied with where they live. When the difference 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economic activities following senior citizens’ characteristics is examined,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 spous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providing allowance. As for the group who is engaged in the economic activity, it is 48% whereas 52% of the senior citizens are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As for the main interest areas, (the most difficult situation faced by one) they are health issue (43.5%) and economic difficulty (33.1%). 2. As for the senior citizens' demand for welfare services, 77.3% said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senior citizens. As for the location to use for leisure, there are the homes (31.2%) and pavilion for the senior citizens (29.2%). Demand for the latter was that of the hall where the senior citizens can get together to spend time together with 33.132%. The desired senior citizens’ welfare program was the installation of health equipments with 71.4%, followed by signing class with 12.3%.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welfare services, 15.6% were satisfied, while dissatisfaction level was 35.7%, which is very low. As for the need for home nurse, 60.39% was the highest with an affirmative answer. 3. As for the demand for the housing welfare services, 40.3% said that free joint housing is needed, while 55.9% said no and 3.9% said that they do not know. As for the will to use apartment type of one room housing for senior citizens, 68.8% said, no, 26.6% said yes, and 4.5%said I do not know. 4. As for the demand for the public sanitation and welfare, the answer that they are satisfy with the service was very high with 82.5% while dissatisfaction was 17.5%.

      • 노인복지욕구 충족을 위한 교회 역할에 관한 연구 : 수도권 12곳을 중심으로

        장혜란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노인복지욕구 충족을 위한 교회 역할에 관한 연구 장 혜 란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지도교수 송 태 수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 노인복지의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또한 교회에 출석하는 노인 성도들의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지역사회를 섬기는 교회의 바른 모습을 만들어가기 위해 교회 지도자들에게 노인복지사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회 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수도권 12교회를 선정하여 교회에 출석하는 60세 이상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신형(1999)이 제작한 분석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시대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장애와 관련된 질문 2문항과 노인복지욕구에 관련된 질문 3문항 등 5문항을 추가하였다. 이 설문지는 직접 응답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이 있어 연구자가 직접 설문을 읽고 대답을 들은 다음에 작성하는 방법도 사용하였다. 노인복지욕구에 대한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alpha =.75의 신뢰도를 보였다. 수집된 자료 285부의 통계분석은 SPSS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을 이용해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회 안의 노인 비율은 조사 대상 285명 중에 남녀의 비율은 30:70로 나타났고, 연령은 65~74세가 192명으로 전체의 67.4%로 나타났고, 학력도 선생연구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배우자 생존 비율이 높아졌는데, 그것은 우리나라 평균수명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생활수준에 대하여 24.6%가 생활에 여유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노인들에게 교회가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는 것은 신앙적인 도움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복지욕구에 대하여서도 거의 대부분 부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비 지원(66.0%), 집안 청소나 빨래(70.9%), 자녀나 친척에게 전화를 걸어 주는 것(69.8%), 은행이나 기관의 일을 도와주는 것(69.5%), 목욕 도와주기(65.6%), 여행 도와주기(69.8%), 점심식사 제공(68.8%), 건강향상 프로그램 제공(69.5%) 등에 대하여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른 욕구보다 높게 나타난 욕구는 연극이나 영화 등의 문화생활에 관련된 것과 앓아 눕게 되었을 때에 병간호해 주는 문제와 노인 자신의 사후에 장례를 교회에서 꼭 해주기를 바라는 문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자는 교회에 출석하는 노인들의 복지욕구와 관련된 몇 가지의 유용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첫째, 교회는 노인복지사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목회의 한 방편으로써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회는 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전 성도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홍보해야 한다. 셋째, 교회는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진행할 자원봉사자를 교육하고 훈련할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회는 노인복지사업에서 특히 노인들이 가장 많이 원하는 욕구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 교회의 노인복지욕구에 대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항들은 그 구체적인 실천부문에서 부족한 면이 많은 것을 인정하며,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들을 보완한, 노인복지욕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프로그램 및 활성화 방안이 앞으로 더욱 활발히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다문화청소년의 복지에 대한 욕구분석 : 외국인근로자 자녀 중심으로

        임한나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의 복지욕구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된다.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삶 전반에 걸친 복지욕구를 조사함으로서 그들이 원하는 복지체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제도 개선을 모색하여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외국인근로자 자녀에 대한 실질적 연구가 미비한 현실에서 이들의 복지욕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은 그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복지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들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해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를 C. Alderfer의 욕구이론을 기초로 하여 생존욕구(existence needs), 관계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욕구(growth needs)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부산, 인천에서 비확률표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설문을 수거하거나 기관 담당자 및 자원봉사자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25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 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113개의 설문지 중에 106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Chisq-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T-test, 데이터마이닝(Decision tree 기법)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근로자 자녀는 모든 영역(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에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도와 복지욕구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더니 한국어 구사능력에 뛰어난 외국인근로자 자녀일수록 현재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외국인근로자 자녀들은 지금보다 20년 뒤에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 행복도와 생존욕구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생존욕구가 충족될수록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커진다는 결과와 더불어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행복함을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찾아볼 수 있었다. 지원욕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장학금 지원, 학습지도 지원, 생활비 지원, 집수리 지원, 의료혜택 지원, 문화 활동 지원 간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기본적인 생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함께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근로자 자녀가 한국 사회에서 올바른 관계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성장을 돕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실행해 나가야 한다. 넷째, 외국인근로자 자녀를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시각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에서 비확률표집을 사용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그들의 민족성이나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민족성 및 문화적 배경 등의 변수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 향후 질적 연구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복지욕구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면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has started with the investigator's concern to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in general, and then work out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system for them, in order for foreign workers' children to realize their dream in Korea. Because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foreign workers' children, an analysis of their welfare needs is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a minium welfare service for them and change social viewpoints of them positively.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existence needs, relatedness needs, and growth needs, based on the C. Alderfer's need the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Seoul, Gyeonggi, Busan, and Incheon with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directly or with the help of agents or volunteers.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y subjects was carried out with a 25 day self-entry technique. Out of 113 collected responses, 106 were used in analysis,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frequency, percen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decision tree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eign workers' children do not satisfy their needs in all the categories (existence needs, relatedness needs, and growth needs), thus needing support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welfare needs, children who can command Korean language excellently feel happiness at the moment. And they think they will be happier 20 years later. When their existence needs are satisfied, their extent of happiness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ir peer relatedness is good, their happiness increases too. Third, The relatedness between their happiness and support needs is considerably influenced by scholarship support, learning support, living expense support, home improvement support, medical care support, and cultural activity suppor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trategies of systematic support and activation of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local autonomies, and private entities must grope after and implement appropriate policies to satisfy the basic existenc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Second,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supported to shape a correct relatedness in Korean society. Third, a program to help the growth of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introduced and implemented. Fourth, Korean society's viewpoint of foreign workers' children must be changed. Because this study has used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it has a limit to generali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ir ethnicity and cultural background were not considered too. So it is unknown what influence such factors have on their welfare need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 future studies must center on qualitative researches to examine the welfare needs of foreign workers' children.

      • 한국 노인의 복지욕구에 따른 한국 노인복책의 방향

        곽은석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현대 한국사회의 노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노인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 노인 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1980년대 이후의 노인 및 노인복지와 관련한 선행연구와 보건복지부, 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인문제연구소, 한국갤럽조사연구소등에서 조사한 각종 통계자료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의 방향 모색을 위해 먼저 현대 한국사회의 노인들의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현행 한국 노인복지정책이 노인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선진복지국가의 노인복지정책을 고찰하여 한국 노인복지정책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노인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 노인들은 경제적 빈곤문제, 건강보호 문제, 역할상실 문제, 소외 및 고립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복지욕구가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노인복지정책은 노인들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택보장, 사회적 서비스 정책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선진복지국가인 미국, 영국, 일본은 노인들의 특성과 다양한 복지욕구를 반영하고 각 나라마다 차별화 된 복지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안락한 노후생활의 보장과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노인복지정책이 노인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소득보장정책에 있어서 첫째, 노인들의 실질적인 소득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로연금제도의 수혜대상 및 급여수준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빈곤·저소득층 노인의 최저생활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활보호사업의 수혜대상과 급여수준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특성과 적성에 맞는 고용 중진 및 취업알선제도를 실시해야 한다. 의료보장정책에 있어서 첫째, 노인의 건강보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인만을 위한 의료보장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노인의 건강보호에 대한 의료비 경감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의료부조 및 노인건강진단사업의 수혜대상과 급여수준을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서비스와 의료서비스를 연계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들의 질환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요양시설 및 노인전문병원 등의 전문의료시설과 전문의료인력을 마련해야 한다. 주택보장정책에 있어서, 첫째, 노인의 건강상태와 경제적 상태를 고려한 노인전용주택 및 3세대 동거주택, 노인가구를 위한 주택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을 위한 주택 내 물리적 설비는 노인이 독립적이고 쾌적한 주생활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저소득층 노인의 주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주택관리비용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노인이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주택서비스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서비스와 연계되어 제공되어져야 한다. 사회적 서비스 정책에 있어서, 첫째, 사회적 서비스는 일반노인에게 확대적용 되어야 하며, 이용료 부담은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의 특성과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현행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전문적인 인력확보와 서비스 내용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노인들의 사회참여와 여가활용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여가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Korean welfare policies benefiting the elderly, and to discover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ies to accurately meet the wants and needs of this segment of the society.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state of the elderly and the welfare policies after 1980's were evaluated using the previous researched data and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In the evaluating procedure, first the desires of the elderly for welfare in Korea were understood. Secondly, if current Korean welfare policies please the desires was examined. Thirdly, the types of welfare policies to satisfy the desir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at Britain, and Japan were examined. Lastly, the welfare policies in these nations and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procedure, the elderly in Korea are concerning problems such as, poverty, health, loss of a role, and isolation from the society. Current Korean welfare policies cannot satisfy the concerns effectively. The currently operating policies for example, income security, medical security, housing security, and social service are very inferior. By contrast with Korean welfare policies, the welfare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at Britain, and Jap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desires of the elderly. Each nation operates distinctive welfare policies. The welfare in these nations focus on guarantee of comport life of all the elderly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n income security policy,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increased pension to all the elderly. Public assistance should expand to support the elderly to maintain the minimum living condition. Government should offer the elderly the expanded opportunities to get a job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n medical security policy, government should provide suitable medical service and facilities to meet the characteristic diseases of the elderly. Government should reduce medical cost. Government should expend the object of medical security for not only the elderly in low-income class, but also the elderly in suburban area. In housing security policy, government should provide appropriate housing for the elderly considering the health and the financial situatio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hould be planed for the elderly to have the benefit of delightful living environment. Government should give the lowest living expenses to the elderly in low-income class. In social service policy, soci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all the elderly.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programs to satisfy the desires of the elderly. Government should provide systematic programs help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social activities and leisure.

      • 청각장애 노인의 직업재활과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신승봉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plans to provide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old with auditory handicap through surveying difference of demands between the employed old and the unemployed old and difference of demands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with the subjects of the old with auditory handicap in Daegu. For the purpose, this thesis conducted a document research and a interviewing survey of 898 old with auditory handicap between 55 and 100 in Daegu, visiting them in person. Except for 426 old who rejected to answer and 27 with language handicap, total 44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vocational condition of old with auditory handicap, only few of them had vocation, contrary to their desire for job. And it was shown that their reasons for having job were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y not for their leisure or self development. Second, in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economic condition along their vocation, it was found that the house revenue of the group with voc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without vocation, in that whether they have job or not affects their house revenue. As for the main source of the house revenue, the group with vocation was found to be depending on their own revenue while the other group without vocation was dependent on the revenue of their children. As for the degree of economic difficult they feel, both group were feeling the economic difficulty. It can be explained that even the group with vocation was facing economic difficulty. Third, in the differe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he group with vocation using medical facilities of individual hospital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vocation. But, as for demands for medical service such as medical testing, the group with vocation showed higher demands than the group without voca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group with vocation have more demands for services for their health than the group without vocation though the they have limitation because of their voca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group without vocation spend time with nothing to do particularly while more than half of the group with vocation spend time working. It was studied that most of the old without vocation spend time tediously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ppropriate leisure programs or hobby programs for them. Third, as for their demands for welfar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it was surveyed that more of them were facing economic difficulty as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was earlier. In that, it means that many of the handicapped who had been excluded from education and employment since young have faced continuous economic difficulty.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cognition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handicap concerning matters related to the law and the system, the degree of satisfaction appeared the lowest, although cognition concerning welfare service was higher as handicap time is earlier. This explain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although they knows better about governmental policies as their occurrence time of handicap is earlier.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degree of hope for welfare service, they showed higher degree of hope as their occurrence time of handicap is earlier. This mena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welfare service but they are dependent on the supports of the law and the system. 본 연구는 대구지역 청각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노인과 미취업 노인의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 차이와 청각장애 발생시기에 다른 욕구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청각장애노인의 효율적인 직업재활 및 재활복지 서비스 제공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조사와 이를 토대로 조사표를 구성하여 대구지역 55세이상 100세이하의 청각장애 노인 898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을 통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설문응답을 거부한 426명과 언어장애인 27명을 제외한 총 444명의 설문응답지를 분석에 활용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노인의 취업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직업에 대한 욕구에 비해 매우 소수만이 직업을 갖고 있었으며, 취업의 이유도 자기개발 및 여가를 위해가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유무에 따른 경제적 상황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취업자 집단의 가구소득이 미취업자 집단의 가구소득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청각장애 노인의 취업유무가 가구소득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구 주수입원에서도 취업자 집단에서는 자기수입으로 주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취업자 집단에서는 자녀의 수입에 주로 의존하는 것에 조사되었다. 한편, 본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 정도에서는 취업자 집단과 미취업자 집단 모두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취업자의 경우도 취업을 통해 다소간의 소득보전이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 어려움에 계속 놓여져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직업유무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취업자 집단이 개인병원급 의료기관이용 비율이 미취업자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건강검진 등과 같은 의료서비스 욕구에 있어서는 오히려 취업집단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자 집단의 경우 직장근무로 인해 병원진료에 제약을 받고 있으나 건강에 대해서는 미취업집단보다 욕구가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일상생활 시간에 대한 조사에서 취업자 집단은 일을 하면서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과반수 이상인 반면, 미취업자 집단은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즉, 미취업자의 경우 하루를 무료하게 소비적으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을 위한 적절한 여가 프로그램 개발이나 취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각장애의 발생시기에 따른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에서는 청각장애 발생 시기가 어릴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청각장애 발생시기가 어릴수록 교육·직업 등에서 소외받아 온 청각장애인들이 노후에도 계속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각장애 발생시기에 따른 법·제도 관련사항에서는 노인복지 및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인지도 및 만족도 차이에서는 장애시기가 어릴수록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만족도에서는 오히려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청각장애 발생시기가 어릴수록 정부시책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그 서비스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반면 복지서비스의 이용희망 정도에서는 장애발생시기가 어릴수록 높은 희망정도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복지서비스가 만족스럽지는 않으나 법·제도적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나타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노인의 직업재활 및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 노인은 장애로 인한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그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서비스 일부 건청인 노인에 대한 서비스에 국한되거나 혹은 청각장애 노인에 대한 배려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청각장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청각장애노인 공동작업장 신규설치, 노인인력은행에서의 청각장애 노인서비스 확대, 노인의 건강 및 신체 상태를 고려한 임금체계 개선과 근로시간의 탄력적 운용 등의 제도개선이 필요하겠다. 둘째, 중도 청각장애 노인은 선천성 청각장애 노인에 비해 장애인복지서비스 및 노인복지서비스 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청각장애 노인 중 상당수가 중도 청각장애 노인임을 고려할 때 정부차원에서 노인성 청각장애 혹은 중도 청각장애 노인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복지서비스 홍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령과 청각장애라는 특정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청각장애 노인의 사회적 환경이 매우 열악함에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연구의 내용과 깊이에 있어서 제한성이 많았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청각장애노인들의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와 관련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욕구를 구성하고 있는 변인들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또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와 향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성과요인들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재활복지 시책은 지방정부가 아닌 중앙정부와 관련되어 있는 만큼 조사대상을 전국의 청각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