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부수술환자의 체온변화와 불편감에 대한 가온요법 효과 비교

        김미경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해 수술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온담요와 가온수액을 각각 복부 수술환자에게 사용하여 수술 중과 수술 후 환자의 체온변화 및 체온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온요법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비동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1개 대학병원에서 복부수술을 받기로 예정되어 있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2005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에 걸쳐 실험군에는 가온수액을, 그리고 대조군에는 가온담요를 적용하여 체온변화와 체온 불편감을 실험효과로 측정하였다. 체온변화는 고막체온계를 사용하였고, 체온 불편감 중 객관적 체온 불편감은 collins(1996)의 척도를,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박영우(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t 검정으로, 가설은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및 paired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가온요법을 실시하기 전 체온관련 특성에서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은 동질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온요법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중 시간경과에 따른 체온변화에서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유의하게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나(F=5.757, p=.023)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1은 지지되었으나 수술 후 체온변화에서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2.222, p=.14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후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따라서 가설 1(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2.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 후 객관적 체온 불편감 비교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3.135, p=.089),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객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적을 것이다'.는 가설 2-1 기각되었으나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아(F=6.379, p=.01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주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가설 2-1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가설2(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온수액요법과 가온담요 적용이 복부수술 환자의 수술 후 체온변화와 객관적 체온 불편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가온수액요법은 수술 중 체온유지와 수술 후 주관적 체온 불편감을 유의하게 더 감소시켰다. 따라서 간편하고 경제적인 가온수액이 가온담요보다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온요법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ming fluid and warming blanket on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arming fluid group 16, warming blanket group 16) who underwent abdominal operation in one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 to August 31, 2005. Body temperature change was measured by tympanic thermomet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Collins (1996) and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Park Young Woo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1-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5.757, p=.023). Hypothesis 1-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thermal discomfort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2-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6.379, p=.017).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warming fluida more efficient than warming blanket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 복부수술 후 중환자실 간호의 질 평가 도구 개발

        김문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현대사회는 의약분업과 의료기관 평가의 법적-제도적 강화,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의 요구 증가 등으로 인하여 질적 간호를 요구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적합성, 효과성, 효율성, 과학 기술적 질의 요소를 갖춘 간호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간호계는 질적 간호에 대한 과정 지표와 이를 반영한 간호 결과지표로 구성된 간호 질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전문가 그룹으로서 간호의 명시적기준을 갖추고, 도구의 활용을 통하여 질 향상을 위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해 가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대상자의 범위가 광범위하지 않은 상복부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간호의 질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간호의 과정-결과 범주에서 간호과정을 적용한 개념적 틀에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적용 대상자는 계획된 상복부수술을 받고 중환자실 간호를 받는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하였다.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용타당도, 내적 일관성 신뢰도, 구성타당도를 선택하였다. 도구의 개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예비목록을 작성하였다. 둘째, 외과계 중환자간호에 임상경험이 풍부한 6명의 전문가 소집단이 이병숙(1995)의 복부수술 환자간호의 질 평가 도구를 참고하여 표준과 기준에 대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구의 점수화 방법은 '완전수행 2점', '불완전 수행 1점', '수행하지않음 0점', '해당사항 없음'은 점수에서 제외시켰고 질 평가 점수는 도구의 총점으로 하였다. 간호 질 평가 시기는 중환자실 퇴실이 예고된 날로 하였다. 셋째, 서울의 일개 3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전문가 4인, 외과계 전임의 2인을 전문평가단으로 하여 4점 척도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평가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 차례의 자문을 통한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쳤다. 넷째, 서울의 일개 3차 의료기관에서 상복부 수술을 받고 중환자실 간호를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를 적용하여 문항분석을 통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이 0.30이하인 지표는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 과정영역 지표 15개, 결과영역 지표 3개를 제거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도구의 과정영역에는 표준 4개, 기준 18개, 지표 46개가 포함되었고, 결과 영역에 표준 4개, 기준 10개, 지표 19개가 포함되었다. 둘째, 질 평가 평균 점수는 과정영역 1.82±0.12, 결과영역 1.85±0.10이었다. 셋째, 내용 타당도 지수는 과정영역 0.997, 결과영역 0.993이었다. 넷째,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값은 과정영역 0.922, 결과영역 0.846이었다. 다섯째,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의 범위는 과정영역 0.049~0.799, 결과영역 0.017~0.811이었다. 이 중에서 그 값이 0.30이하인 것은 과정영역 10개, 결과영역 5개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지표를 제거하였을 때 Cronbach's α값이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간호과정과 결과 측정에서 꼭 필요한 항목으로 인정되어 도구에 포함시킨 지표는 과정영역 5개, 결과영역 1개였다. 여섯째, 간호중재에 대한 간호 결과의 연계성을 보기 위하여 과정-결과 질 평가 점수의 상관성을 조사하였으며 신뢰계수는 0.846(p < .001)이었다. 일곱째, 간호 질 점수와 재원일과의 상관계수에서 총 재원일과는 r=-.651(p<0.01), 중환자실 재원일과는 r=-.173, 수술 후 재원일과는 r=-.657 (p<0.01)이었다. 이상의 연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에 있어 대상이 일개 의료기관에 국한되어 있어 도구를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발된 도구는 내용타당도,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높은 수준이고 구성타당도에 있어서도 몇 개의 지표를 제외하고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다. 간호의 과정평가 점수와 결과평가 점수의 상관성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설명력이 있어서 간호중재에 예민한 간호 결과 지표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도구는 상복부수술 후 중환자간호의 질적 간호에 대한 명시적 기준을 제시하고 질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일련의 과정 속에서 축적된 자료나 도구 자체는 근거기반간호(Evidence-based nursing)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수술 후 중환자실 간호의 비용-효과적인 성과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간호중재와 간호 결과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정-결과 영역의 다양한 간호 질평가 도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간호의 효과와 효율을 입증하기 위한 가장 타당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 간호 결과 지표를 이용한 반복 연구를 진행시킬 것을 제언한다. The recent implementations of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and DRG (Diagnosis Related Group) payment system, legal and institutional strengthening of evalu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growing demands for better medical services have induced the nursing industry to focus on quality nursing. In other words, the modern society demands nursing with appropriatenes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cientific attributes. Accordingly, the nursing industry must establish clear standards for nursing and clinical backgrounds for better quality through the developments of nursing quality evaluation tools consisting of process and outcome indicators for quality nursing. In this view, we intended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nursing qual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for the patients undergoing upper abdominal operations. This study made progress by considering the nursing process in the process-outcome category of Dr. Donabedian as conceptual framework. The developed tool was targeted at the adults aged over 18 those who were car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having upper abdominal operation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we selected cont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First, we first prepared a preliminary list with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clinical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Second, a small group of 6 experts with abundant clinical experiences of nursing surgical patients on the danger list drew indicators for standards and criteria from the references to the tool of evaluating nursing for patients undergoing epigastric operations developed by Lee Byoung Suk (1995). With respect to scoring, we regarded 'perfect performance' as 2-point, 'half performance' as 1-point, and 'non-performance' as zero point. However, 'non-applicable' was removed from the scoring system. Consequently, the final score for nursing quality was the sum for the tool. In addition, we regarded the time for the evaluation as when the date of leaving the hospital was notified in advance to the patients. Third, we evaluated content validity by 4-point scale for 4 experienced nurses and 2 surgeon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downtown and the evaluation was several time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professional consultations. Fourth, we verifi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by applying the tool developed for 30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having upper abdominal operations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downtown. In result, we removed the indicators remaining at less than 0.30 of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that is, 15 process domain indicators and 3 result domain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going through the above stages are as follow; First, the process domain of the developed tool included 4 standards, 18 criteria, and 46 indicators, while the result domain contained 4 standards, 10 criteria, and 19 indicators. Second, with respect to average score of quality evaluation, process domain was 1.82±0.12, while result domain 1.85±0.10. Third, with respect to content validity, process domain was 0.997, while outcome domain was 0.993. Fourth, with respect to value of Cronbach's α for verify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process domain was 0.922, while outcome domain 0.846. Fifth, with respect to range of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for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process domain was 0.049~0.799, while outcome domain 0.017~0.811. Less than 0.20 were five at process domain and just one at outcome domain. Sixth, as the result of inspe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cess and outcome scores in order to figure out any linkage between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result, the coefficient of confidence was 0.846(p < .001). Seventh, as for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nursing quality scores and days of hospital stay, it showed r=-.651(p<0.01) with respect to the total number of days of hospital stay, r=-.173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days of the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r=-.657(p<0.01) concerning the number of days of hospital stay after the operation. However, the study has the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ool nationwide because it was simply based on a hospital, and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effectiveness of quality nursing only with the number of days of the intensive care unit stay. Fortunately, the developed tool has higher levels of cont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xcept for several indicators, construct validity of the tool was also acceptable.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cess scores and result scores was dee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explanatory, it can be described that the tool offered indicators of nursing result sensitive to nursing intervention. Therefore, we think the developed tool can be used to present explicit standards for quality nursing of the patients stay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upper abdominal operations, and that collected data and the tool itself can be used as backgrounds for evidence-based nursing. Wi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intend to make the recommendations as follow. First, it is recommended to look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result showing well cost-effective performances at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operations and develop various nursing quality evaluation tools. Second, it is also recommended to make repeated studies using nursing result indicators in order to secure clinical backgrounds suitable for the proof of nursing effects and efficiencies.

      • 발마사지가 복부 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문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수술을 받는 환자라면 모두 수술 후 통증과 불안을 경험하게 되므로 통증과 불안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복부 수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이 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수술환자 간호중재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로 연구기간은 2008년 6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E대학병원 일반외과에 입원하여 복부 수술을 받는 환자 6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이었다. 실험의 확산과 오염을 막기 위해 대조군을 먼저 자료수집 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군에게는 수술 후 80분과 수술 후 1일에 각각 1회씩 발마사지를 양발에 10분씩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통상적인 간호만을 제공하여 수술 후 환자의 통증과 불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 관련 특성, 발마사지 시행 전 통증과 불안을 측정하여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발마사지 후 통증과 불안의 차이를 가설검증 하였다. 연구 도구는 수술 후 통증과 불안은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해 측정하였고, 수술 후 1일째 불안(기분상태)은 McNair, Lorr & Droppleman(1971)이 개발한 기분 상태도구(POMS)의 6개(불안, 우울, 분노, 활력, 피곤, 혼란) 항목 중 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불안척도는 9개(긴장, 불안정, 흥분, 당황, 편안함, 불쾌, 안절부절, 초조, 걱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불안 측정도구를 간호학자 2인, 외과병동 수간호사 1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번안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은 X²-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불안(기분상태)도구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서술하였으며, 수술 후 발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않은 대조군의 수술 후 통증과 불안에 대한 가설검증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수술 후 발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수술 후 80분(t=-3.343, P= .001), 수술 후 1일(t=-2.627, P= .011), 수술 후 1일 마사지후(t=-11.280, P< .001)의 통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제1 가설 “ 발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수술 후 통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2. 수술 후 발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수술 후 80분 불안(t=-4.848, P< .001), 수술 후 1일 불안(t=-3.311, P= .002), 수술 후 1일 마사지후 불안(t=-12.195, P< .001), 수술 후 1일 마사지후 기분(t=-6.649, P<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제2 가설 “ 발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수술후 불안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불안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술 후 발마사지 제공은 복부 수술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임상 간호 실무에서 발마사지가 독자적 간호중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patients suffering from pain and anxiety after surgery. This study was done on the use of foot massage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pain and anxiety after abdominal surgery.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30 patients in control group and 30 in experimental group from June 1, 2008 to September 19, 2008. The total 60 patients, who underwent abdominal surgery, were selected from E hospital in D cit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prevent any complication from the experiment, the results were first collected from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20-minute foot massage (10 minutes each foot) was given in 80 minutes after the surgery and also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 For the control group, we offered only regular nursing intervention. Then the patients' post-operative pain and anxiety was measured. Before the foot massage, we measured the pain and anxiety.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ain and anxiety level before and after the foot massage. The pain and anxiety after the surgery was measured by VAS (Visual Analogue Scale). The anxiety (feeling) on the day of the surgery was measured using modified anxiety scale of POMS (Profile of Mood States) which was developed by McNair, Lorr, and Droppleman(1971). The anxiety scale is consisted of 9 criteria-tension, instability, excitement, confusion, comfort, displeasure, agitation, anxiousness and concern. It was modified by two researchers and head nurse in the surgery department. For the data analysis, we used the WIN SPSS 14.0.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verified by X²-test and t-test. The Cronbach's ⍺ was used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anxiety (feeling) sca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represented in numerical numbers and percentage. Finally, the hypothesis on the pain and anxiety after the surgery was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ain level among 80 minute after surgery(t=-3.343, P= .001),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t=-2.627, P= .011) and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 with the foot massage(t=-11.280, P< .001). This result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The pain level after surgery is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foot massage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assage". 2. There are als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anxiety level of 80 minute after the surgery(t=-4.848, P< .001), the anxiety level on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t=-3.311, P= .002), the anxiety level on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 with the foot massage(t=-12.195, P< .001) and the feeling of the following day of the surgery with the foot massage(t=-6.649, P< .001). This result supports the second hypothesis "The anxiety level after surgery is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foot massage and the control group of without". In conclusion, the pain and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that was offered the foot massage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foot massage is efficient to relieve the pain and decrease the anxiety. The foot massage can be applied to the medical clinic as a nursing intervention.

      • 발마사지가 복부수술환자의 수술전 불안과 수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금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수술을 하기 위해 입원한 환자들은 수술전 심리적 불안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심리적 불안은 수면장애를 동반하며 수술후 회복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발마사지가 복부수술환자의 수술전 불안과 수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수술전 불안감소와 수면촉진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2년 5월 10일부터 9월 9일(약 4개월)까지 이었고, 연구대상자는 G시 K병원 외과병동에 복부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으로 총 40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pielberger(1975)가 개발하고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불안 측정도구와 활력징후, Snyder-Halpern과 Verran(1987)이 개발하고 강지연(1992)이 수정한 VSH수면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발마사지는 실험군에서 수술 2일전과 수술 1일전 저녁 9시에서 10시 사이에 20분씩 총 2회에 걸쳐 시행하였고, 사전검사는 수술 3일전 저녁에 불안과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수술 2일전 아침에 수면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사후검사는 수술 1일전 저녁과 수술 당일 아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프로그램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은 x²-test와 t-test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로 산출하였고 발마사지의 효과는 t-test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발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발마사지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낮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5.02, p=.000). 2. 제2가설 "발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발마사지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활력징후의 측정치가 감소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맥박: t=.44, p=.000). 3. 제3가설 "발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발마사지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72, p=.010). 이상의 결과로 발마사지는 복부수술환자의 수술전 불안감소와 수면만족에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고 환자의 사생활을 방해하지 않으며 특별한 도구가 요구되지 않아 어디서나 시행할 수 있는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발마사지를 적용하여 연구대상자를 확대하고, 발마사지와 다른 간호중재를 이용하여 수술환자 불안감소와 수면만족의 효과를 비교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o test the effect of foot massage on preoperative anxiety and sleep satisfaction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The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atients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selected from one K hospital in G city from May 10 to September 9, 2002.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ot massage once a day for two days before their operation. In order to evulate the effect of foot massage, the state of anxiety according to STAI(Spielberger, 1975) modified by Kim and Shin(1978), sleep satisfaction followed by VSH sleep scale(Snyder-Halpern & Verran, 1987) modified by Kang(1992), and vital sign such as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monitor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version 10.0 program and analyzed by the chi-square and t-test to test the effect of foot massage. The results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e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receiving foot massage would have more decreased in the score state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5.02, p=.000). 2. Hypothese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receiving foot massage would have more lower vital sig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partially(pulse: t=.44, p=.000). 3. Hypotheses 3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receiving foot massage will have higher score of sleep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72, p=.010). In conclusion, the foot massage is effective for abdominal surgical patients before their operation to reduce anxiety and have more satisfied sleep. This may be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which can be performed anywhere, require no special requirement, is non invasiv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patient's privacy.

      • 복부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개발

        신승민 울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복부 수술 환자의 수술 후 폐 합병증을 예방하고 근거기반의 표준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1년 병원간호사회에서 제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 표준화를 사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6월까지로 연구자를 포함하여 총 7명으로 개발그룹을 구성하여 역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가 학위논문임을 감안하여 개발그룹 실무위원회 구성과 기획업무 수행단계를 제외하고 22단계로 시행하였다. 1) 개발그룹은 7인으로 연구자를 포함하여 호흡기내과 교수 1인, 간호사 5인으로 구성하였다. 2) 간호 실무지침의 주제를 선정하고 3) 실무지침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출판된 실무지침을 검토하여 4) 여러 실무지침을 비교하여 지침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5) 연구에서 다루게 될 내용의 범위와 핵심질문을 결정하였고 4개 영역으로 6문항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6) 수용개작 계획을 확정하고 일정표를 작성하였다. 7) 실무지침을 검색하기 위하여 PubMed, CINAHL, The Cochran Library, Google Scholar와 실무지침을 제공하는 외국의 기관, 실무지침 수용개작 연구를 시행하고 있는 병원간호사회 온라인사이트를 검색하여 6편의 실무지침을 선정하였다. 8) 선정된 실무지침은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American Association of Respiratory Care (AARC), National Guidelines Clearinghouse (NGC), Korean Hospital Nurse Association (KHNA)에서 개발된 실무지침이다. 9) 선정된 실무지침은 2인의 간호사가 K-AGREE Ⅱ 도구를 이용하여 질평가를 시행하였고 NGC, KHNA의 실무지침은 개발의 엄격성 영역에서 50% 이상의 평가를, ACP, AARC 실무지침은 50% 이하로 평가되었으나 핵심질문의 근거를 다루고 있어 수정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0) 실무지침의 최신성 평가를 시행하고 11) 각 실무지침의 내용을 비교 및 평가, 12) 실무지침이 포괄적인 근거 검색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근거평가, 13) 실무지침이 국내에서 수용하여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평가하였다. 14) 평가내용을 검토 후 실무지침 6편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5) 핵심질문을 다룬 지침을 선택하고 합의 도출방법을 통해 16) 수용개작 실무지침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17) 일반간호사에게 실무지침 초안의 이해도를 쉬움, 보통, 어려움으로 답하게 하였고 전문가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 평가는 RAM 의사결정 방법으로 평가하여 수정 또는 제거, 18) 최종 권고안을 확정한 후 19) 외부의 검토를 받았다. 20) 관련 문서와 참고문헌을 정리, 21) 실무지침의 갱신 계획을 3년마다로 정하고 22) 최종 실무지침을 작성하였다. 69개의 권고안 초안을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IDSA)에서 사용한 등급체계를 이용하여 각 지침의 근거수준과 권고등급의 다른 체계를 통일하였고 10명의 일반간호사에게 이해도를 평가하고 11명의 전문가를 통해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일반간호사의 이해도는 어렵다고 답한 평가자가 30% 이상인 항목과 30% 미만이어도 평가자의 의견을 고려하여 논의 후 수정하였다. 전문가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은 불일치로 평가된 항목이 8항목으로 평가자의 의견을 고려하여 논의를 거쳐 수정하거나 삭제하였다. 그 결과 간호 실무지침은 수술 전 환자사정, 수술 전 간호, 회복실 간호, 수술 후 간호의 4개 영역, 66항목의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권고안은 수술 전 환자사정에서 10항목(15.2%), 수술 전 간호로 7항목(10.6%), 회복실 간호로 10항목(15.2%), 수술 후 간호로 39항목(59%)이다. 권고안의 권고등급은 A등급이 24항목(36.4%), B등급이 14항목(12.2%), C등급이 28항목(42.4%)이다. 본 간호 실무지침은 복부 수술을 받는 환자의 폐 합병증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간호사에게 복부 수술 전 환자를 사정하고 수술 후의 변화를 감지하여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결정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외과병동 간호사의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김보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한 외과병동 간호사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써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자료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 외과병동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8일부터 3월 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ver. 25.0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27±5.92세였으며, 총 병원 근무경력은 6.04±5.60년으로 5년 미만이 96명(59.3%)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간호경험은 156명(96.3%)이었으며, 88명(54.3%)이 조기운동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하였다. 3) 대상자의 폐합병증 예방운동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중요도(t=-3.082, p=.002)와 수행도(t=-4.493, p<.001)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조기이상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중요도(t=-2.559, p=.01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수행도(t=-1.136, p=.258)에는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폐합병증 예방운동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4.16±0.34점이었으며, 수행도는 평균 3.92±0.4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282, p<.001). 대상자의 조기이상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3.90±0.44점이었으며 수행도는 평균 3.35±0.5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5.112, p<.001). 5)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인식을 비교한 결과, 폐합병증 예방운동에서 제 3사분면에는 ‘구강간호 수행’, ‘호흡음 청진’, ‘진동 또는 타진’, ‘필요시 흡인’ 문항이 포함되어 폐합병증 예방운동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문항들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제 2사분면에는 ‘흡인위험성 확인’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제 4사분면에는 ‘앉은자세 유지’, ‘운동 전 활력징후, 산소포화도 확인’, ‘양손 또는 베개를 이용한 수술부위 지지’ 문항이 포함되었다. 조기운동에서는 침상 내에서 시행하는 발목운동, 무릎운동, 복부강화 운동, 허리강화 운동, 팔 또는 다리 강화운동의 문항이 제 3사분면에 포함되었으며 ‘침상 끝에 걸터앉기’는 제 4사분면에 포함되어 각 문항의 중요도 또는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외과병동 간호사가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 수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조기운동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수행도는 높으나 상대적으로 중요도는 낮은 문항에 대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중요도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관리 되어야 하겠다.

      • Comparison of outcomes of extremely-low-birth-weight neonates with abdominal surgery according to differential diagnosis

        변제익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0

        Background: Improvements in peri-natal intensive care made extremely low birth weight (ELBW, <1000g) neonates to survive and the chance of acute abdominal problem has increased. Differential diagnosis resulting in abdominal surgery can be categorized into following four entities;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spontaneous intestinal perforation (SIP), meconium related ileus (MRI), and meconium non-related ileus (MNRI). Purpose: To review our experience in abdominal surgery for ELBW neonates and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according to differential diagnosis. Methods: Medical records of ELBW neonates trea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tween 2003 and 201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f 805 ELBW neonates, 65 (8.1%) received abdominal surgery. The number of cases within four disease categories was 29 NEC, 18 SIP, 13 MRI, and 5 MNRI. Ostoma formation of any fashion was performed in 61 (93.8%), and primary anastomosis without ostoma was performed in 4 (6.2%). All patients without ostoma formation encountered re-perforation of the anastomosis site and underwent additional surgery for diversions. There were 14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Clavien‑Dindo classification over grade III before hospital discharge. 30 days post-operative mortalities were in 7 cases, and 6 were NEC diagnosed. Long-term survival outcome of surgical and non-surgical group among ELBW neonat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Diagnosis of NEC wa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outcome (p=0.033). Conclusion: Abdominal surgery for ELBW neonates is a feasible procedure, and ostoma formation can lead to reduced complication compared to primary anastomosis.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was noticed in NEC diagnosed patients. 신생아 집충치료의 발달로 인해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1000g) 의 생존율이 상승하면서 복부 합병증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복부 합병증 중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다음 4가지 진단이 있을 수 있다; 신생아괴사성장염 (NEC), 자발적 장천공 (SIP), 태변관련장마비 (MRI), 그리고 태변과 무관한 장마비 (MNRI). 이 논문은 본 병원에서 진료받은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복부 수술을 받은 환아들에 있어 진단에 따른 특성과 임상경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805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복부수술을 받은 6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NEC는 29명, SIP는 18명, MRI 13명, 그리고 MNRI 5명 이었다. 장루 형성술은 61명 (93.8%) 에서 시행되었고, 4명 (6.2%) 에 있어서 일차문합술이 시행 되었으나 수술 후 문합부 천공으로 4명 모두 2차 수술이 필요하였다. 퇴원 전 Clavien‑Dindo classification III 이상의 합병증은 14례가 있었으며 30일 사망은 7례, 그 중 6례는 NEC 로 진단받은 경우였다. 수술 받은 환아의 5년 생존율은 83%로 수술받지 않은 환아의 5년 생존율인 84%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NEC 로 진단받은 경우였다. (p=0.033) 결론적으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급성 복증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는 좋은 결과를 보였고 수술 방법으로는 장루형성술이 추천된다. NEC 는 다른 진단과 비교하여 부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였다.

      • 복부수술 환자의 통증, 오심과 구토, 체온 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 효과

        홍성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EBPGs) on the nurses? knowledge regarding specific clinical practice and acceptance of evidence based practice (EBP) as well as post 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temperature managements of the abdominal surgery patients. To examine the effects of EBPGs, single group pre-post test for nurses and interrupted times series design for the abdominal surgery patients were adapted respectively. Before data collection, EBPGs on post 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and body temperatur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validated by various clinical experts using likert scale. Most of the recommendations of EBPGs were accepted without revision and then developed by web-based program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by nurses. Five sessions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the EBP were provided to the nurses who accepted research participation voluntarily. Data were collected before, 2weeks, and 4 weeks later of the installation of EBPGs. Total of 27 nurses and 124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real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χ²-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alysis of variance by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EBPGs on the web, both of the level of nurses? knowledge on each of pain, nausea, vomiting, and temperatur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nurses? progress evaluation for EB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 to the pre-test. ․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BPGs to the patients, the pain score of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BPGs to the patients, the nausea level of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re-te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BPGs on the patients. ․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BPGs to the patients, the body temperature levels of patient in the recovery room as well as un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web-based EBPG is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degree of knowledge of nurses on pain, nausea, vomiting, temperature management as well as the acceptances for the EBP. Also EBPG was eff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pain, nausea and vomiting, and body temperature for the patients undergone the abdominal surgery. Therefore, Evidence-Based nursing guidelines should be recommended as peri-opera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every patient undergoing surge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outcomes of patients. In addition, more evidence based guidelines should be adapted in the various clinical practices and more research on EBP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