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년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의롬 동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the prob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1989, many new institution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Despite changes in policies due to social demands, recidivism deterrence has always an important policy target. Today, after 25 years since probation was established, assessment of the probation system in the aspect of recidivism duration suggests the policy to be a failure than a success. The reason is that recidivism rate of probationers is consistently above a certain level and also on the increase. With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sitivistic analysis of factors that impact recidivism of probationers can be a very meaningful study. By verifying recidivism impact factors, it can be possible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robationer and apply an effective program that specifically caters to the individual. To this point, study on recidivism on probationers so far has focused on recidivism of probationers. The commonly used study designs were to compare recidivists and non-recidivists and look for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ifference. Another way of looking at recidivism is examine the difference of duration of time it takes for the first recidivist crime. In other words, if the recidivists, despite receiving the same treatment of probation takes different time to commit the first recidivist crime after probation, whatever factors that leads to this difference is an interesting topic. Also, considering that crime is a phenomenon is the consequence of human behavior, impact factors are not limited to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social structural environment factors and detergence ability of criminal justice system factors, Taking all these factors, individual, community and organization, into consideration is a novel way of conducting analysis. This study distinguishes factors by unit of analysis, which are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organization, and used a hierarchy model to analyze duration before first recidivism of juvenile probation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parental attachment, whether a student,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earliest age of crime, criminal record, type of crime that lead to probation and treatment variables were all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t the individual unit of analysis. Local and organizational level of analysis tha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pulation mobility, rate of foreign residents, divorce rate, rate of people under social welfare protection, and workload of probation officers. Dependent variable was the duration before the first recidivist crime. As for analysis, due to there being two levels of analys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analysi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used. For specifically, unconditional model is conducted to decide whether the data is appropriate for multi-level model. In the individual level model, each variables were set in to examine their impact, and finally all variables from all levels were set in for analysis. Therefore, results of the integrated model, analyzes the impact of each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individual, loc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re controll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unconditional model show duration before recidivism varying between different localities, demonstrating systematic impact of local characteristics on the duration before individual recidivism. In other words, local variables must be considered in analysing impact of recidivism duration, meaning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analysis is the hierarchy model. Second,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model, social control variable, developmental variable and social reintegration variable were set in to analysis recidivism duration. Results show educational level,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probation treatment variabl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idivism duration, and whether the subject is a student, age and property crime variables had negative impact on recidivism duration. Therefore, higher educational level lead to longer duration before recidivism, and subjects who accepted rather than denied reasonability for their probation also had longer duration before recidivism. Also, more probational treatments lead to longer duration before recidivism. As opposed to this, higher age and being students lead to shorter duration before recidivism. Also, property crime had shorter duration before recidivism compared to violent crimes or others. In the final integrated model, most local variable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One exception was the workload variable of probation officers, which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cidivism duration. In other words, more probationers that a probation officer has to handle shortens duration before recidiv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t has been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recidivism duration is probation treatment, suggesting social reintegration treatment of the probation office can be very effective in deterring recidivism duration. Therefore, for juvenile probationers, it’s important to set focus on reintegration to a decent lifestyle. That means it’s important not just to supervise and deter, but also to provide treatments for juveniles to get back on their track. These kinds of probation treatments are based on dynamic factors, and may vary between different probation offices. Probation officer should first determine what probationers need and spend maximum effort to provide for those needs. Also, it is important to procure enough budget to support these treatmen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orkload of a probational officer was verified 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recidivism duration.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allotting workforce on different local probation offices. Current policy seems to be allotting probation officers based on caseload, where overall average caseload is about 100 cases. Howev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jurisdictions of probation officers, making caseload-based allotment a problem. Considering that probation officers are required to contact probationers, additional consideration of size of jurisdiction should be given when allotting probation workforce. If size of jurisdiction is too large, it can be decreased, but if this is not feasible, increasing size of workforce is recommendable. Last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robation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to apply a tailored treatment for the individual. A more scientific categoriz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emphasis should be given to individualized and scientific treatments based on this system. This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prevent further transgressions of the law in the future by juvenile probationers, preventing them from becoming a career criminal. 1989년 보호관찰제도가 도입된 이래 많은 새로운 제도와 정책들이 시행되었으며 사회적 요구에 따라 그 정책 기조가 변화를 거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재범 억제는 가장 중요한 정책목표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시행 2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호관찰제도에 대한 평가를 재범 억제라는 측면에서만 들여다보면 그리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 이유는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률이 일정 수준 이상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또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볼 때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재범 영향 요인을 검증함으로서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처분 시 보다 적실성 있는 처우와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동안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대상자의 재범 여부에 중점을 두고 검증이 이루어져 왔다. 재범자와 비재범자의 차이를 비교하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재범을 바라보는 또 다른 측면은 재범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재범에 이르게 되는 기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호관찰이라는 동일한 처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저마다 재범에 이르는 기간에 차이가 난다면 어떠한 요인들이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도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범죄라는 현상이 인간 행동의 결과라는 점에서 개인의 심리적ㆍ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그 개인이 처한 사회의 구조적 환경이나 형사사법 기관의 억제 능력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개인과 지역 및 조직 요인을 동시에 검증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년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적 수준 요인과 그들이 처해 있는 지역 및 조직적 수준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위계적인 모형에 따라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별, 연령, 학력, 부모애착, 학생여부, 책임 수용성, 처벌의 엄격성, 최초 범죄연령, 총 범죄경력, 보호관찰사건 범죄유형 및 원호조치 변수를 개인수준의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지역 및 조직수준의 독립변수로는 인구이동률, 외국인비율, 이혼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보호관찰관 workload로 설정하여 종속변수인 재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른 분석방법으로는 독립변수가 두 개의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층적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의 분석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인 위계적 일반화선형모형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무조건모형 분석에 따라 연구자료가 다층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 적절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개인수준모형에 1수준 해당 변인을 차례대로 투입하여 영향력을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결합모형에 따라 1수준의 개인변수와 2수준 지역 및 조직변수를 모두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최종모형인 결합모형의 분석결과는 개인과 지역 및 조직 수준의 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각각의 설명변인이 재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방법에 따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모형에 따른 분석결과 이 연구의 종속변수인 재범기간이 각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특성이 개인의 재범기간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대상자의 재범기간에 대한 영향 요인을 검증하는데 있어 반드시 지역 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지역수준 설명변인을 고려해야 하며 위계적인 모형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수준모형에 따라 사회통제 변인과 발전 변인 및 사회재통합 변인을 투입하여 재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해 본 결과 학력과 책임 수용성, 원호조치 변수는 재범기간에 정(+)적인 영향을 연령, 학생 여부, 재산범죄 변수는 종속변수인 재범기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의 단위가 높아질수록 재범에 이르는 기간이 증가하였으며 보호관찰을 받게 된 과거의 범죄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집단에 비해 수용하는 집단일수록 재범을 더 천천히 저지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호관찰상 원호조치를 더 많이 제공받은 집단일수록 재범기간이 증가하여 재범을 천천히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연령은 증가할수록 재범기간은 감소하고 있으며 재범을 저지른 당시 신분이 학생인 집단일 경우에 무직 또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집단보다 재범을 더 빨리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관찰처분 당시 해당 사건의 범죄유형이 폭력 또는 기타범죄인 집단에 비해 재산범죄로 인하여 보호관찰을 받게 된 집단일 경우 재범에 이르는 기간이 더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의 최종모형인 결합모형에 따라 지역 및 조직수준의 변인들이 재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관련 변인들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보호관찰관 workload 변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workload는 재범기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보호관찰관 한 명이 담당하고 있는 보호관찰대상자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개인의 재범기간은 짧아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 명의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할 관할구역의 면적이 크거나 한 명의 담당자가 지도ㆍ감독해야 할 대상자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 지역의 대상자 재범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과정과 분석결과를 통해 이 연구가 제시하는 함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수준에서 재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강력한 요인으로 원호조치의 수준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보다 많은 원호조치를 제공받은 집단일수록 재범에 이르는 기간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관찰의 사회재통합적 처우가 개인의 재범기간 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년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보호관찰관의 업무는 그들에 대한 제재적 성격의 지도ㆍ감독뿐만 아니라 건전한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재통합 업무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즉 소년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보호관찰관의 업무 지향점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점은 그들이 다시금 재범을 저지르지 못하도록 직접적으로 통제를 가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일반 청소년으로서의 삶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원조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호조치는 동적 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호관찰 기관의 제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즉 보호관찰관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원호 사항이 무엇인지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조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호관찰 업무를 관장하는 범죄예방정책국에서는 이러한 원호조치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수준에서 재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된 보호관찰관 workload를 감안하여 볼 때 지역별 보호관찰소 인력 배치 시 이를 고려한 배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국 보호관찰소에 배치되어 있는 보호관찰관의 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caseload에 따른 배치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관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 기관의 보호관찰관의 수에 따른 사건 수를 확인해 보면 보호관찰관 한 명이 담당하는 사건이 약 100건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각 기관에 보호관찰관을 배치하고 있는 기준이 보호관찰관 한 명이 담당해야 하는 caseload에 따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관찰소의 관할구역이 각 기관별로 매우 큰 편차를 보이고 있어 단순히 case의 수로만 판단하여 배치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보호관찰관의 업무특성이 대상자와의 접촉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각 지역의 크기를 고려한 보호관찰관 인력 배치가 필요해 보이며 보호관찰기관을 늘려 관할구역을 줄이는 것이 어렵다면 인력을 증원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년보호관찰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개인적 특성을 세밀히 분석하여 개별 대상자에게 적절한 차별적 처우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에 대한 보다 철저한 과학적인 분류방법을 개발하고 그에 상응하는 개별적이고 과학적인 처우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소년보호관찰대상자들의 미래에 반복될 수 있는 범죄행위를 미연에 차단시켜 경력범죄자로의 전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 보호관찰소와 사회복지기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 전국의 보호관찰소를 중심으로

        천지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와 사회복지기관 간 협력의 현황과 협력체계구축의 필요성과 장애요인,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보호관찰소와 사회복지기관 간 협력을 확대하고 사회복지적 시각에서 보호관찰 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보호관찰소 직원을 대상으로 협력현황, 협력체계구축에 대한 인식,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소와 사회복지기관간의 협력현황을 보면, 우선 보호관찰소가 먼저 협력을 의뢰하고 협조공문을 통해서 절차를 시행하고 있으며 대상자 관리는 담당자들 간에 정보교환으로 이루어진다. 보고체계는 기관장과 중간관리자까지 보고함으로 보고체계의 책임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봉사명령과 수강명령 집행협력의 효과성을 묻는 질문에서 90% 이상이 효과성이 매우 높거나 높은 편이라고 응답했다. 사회봉사명령의 목적은 범죄인에 대한 처벌적 요소로서 무임금 봉사라고 보는 경향이 높았다. 봉사활동의 우선적 기관으로 사회복지시설과 병원분야 그리고 재해사업분야 등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는 기관을 선호하였다. 셋째, 협력체계구축의 필요성을 묻는 인식에서 대부분의 직원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협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법적 책임과 통제권한의 부재 그리고 서비스의 성격이 다르거나 보호관찰제도에 대한 이해부족 등이 협력을 저해하는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가장 활발하고 친밀한 협력체계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기관들을 보면 법률기관이나 사법경찰 등 법조계의 기관들과 사회복지시설이나 상담 기관 등 복지영역의 기관들로 응답하여 법적 기관과 복지기관과 협력이 잘 이루어지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력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은 4가지로 범주화 될 수 있다. 정기적인 모임과 회의, 상대전문직에 대한 교육과 인식의 변화, 대상자들을 위한 정보시스템 공유, 집행명령에 대한 법적 의무와 정부지원이다. 여섯째, 대상자요인, 공급자요인, 기관요인과 협력수준에 대하여 직무교육의 차이가 있었고 상관관계에서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과 직무교육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에서도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과 직무교육이 협력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호관찰소 직원과 사회복지기관 간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협력의 필수조건은 기관 책임자의 협력에 대한 의지에서 출발하며 이는 실무자들 간의 효율적인 협력활동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보호관찰소장을 비롯한 사회복지기관장 그리고 실무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직무교육을 통해 협력과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여야 한다. 둘째, 원활한 협력을 위해서는 대상자에 대한 각종 정보와 시스템의 공유가 필요하다. 보호관찰소와 사회복지기관, 대상자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고 수정 ? 보완되고 교환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양 기관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조사 및 기록 양식이 표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공유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관찰집행에 관한 협력기관들의 협력에 대한 법적의무와 구체적인 법적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이는 책임감 있는 집행수행을 위해서나 협력기관과의 효과적인 집행명령수행을 위해서 필요하다. 나아가 협력관계를 의무화 하는 것이 협력체계를 강화한다는 인식에 당위성을 부과할 수 있다. 넷째, 정기적인 모임이나 간담회로 통해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실무자간 긴밀한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모임은 서비스와 대상자의 문제에 보다 신속하고 적절하게 접근할 수 있다. 다섯째, 홍보를 통해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이 가지고 있는 민간자원봉사인력을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보호관찰소에서 자체적으로 모집 ? 활용하고 있는 범죄예방위원활동의 봉사자들을 전문적인 기관에서 연결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봉사명령과 수강명령집행의 협력에 그치고 있는 현 협력체계를 범죄예방위원활동까지로 더 확대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nlarge cooperation between probation office and social welfare center and provide the basic knowledge to develop probation program with point of view of social welfare system. This research will also look at the factors how it can affect the cooperation and how it can be better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the cooperation systems between probation office and social welfare system. For this, I have done survey of probation officers from the whole country to know the present condition of cooperation, recognition of cooperation system, factors that infect the cooperation. These data were processed by the SPSS 15.0 program and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First, when we look at the cooperation statues for the probation office and social welfare system, mainly probation office requests to cooperate first and through the assistant document, they are continuing and they are also taking care of keeping the candidates by exchanging information to each other. Report system looked strict and well organized because it was said to be reported to high chairman and director so it seemed like they were taking care of this system as important procedure. Second, while we were asking the question of the community-service order and attendance center order's effectiveness, it was shown that the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think that is very effective. The objective of the social welfare's command was seemed that it was more likely a resource for a criminal's social punishment and a not-paid volunteer. Volunteer activity's preferable system looked like social welfare system, and hospitals and an accident response business program, which all involved with helping people with troubles and disabilities. Third, during the process of asking the need of the cooperation system's construction,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answered that they needed it. The main factors that obstruct the cooperation are the absence of legal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control, lack of understanding of probation system and different service. Fourth, The most important agencies and institutes for developing the cooperation system are legal agencies, the judicial police, social welfare agencies and counseling offices. Fifth, in order to improve even more cooperation's systems, it can be shortened to four main things. A frequent meeting and consulting, a change in educations for opposite's jobs, a share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client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aw and nation's support for court's order. Sixth, among the factors for client, probation officer, agency, education of agency factor has difference with level of cooperation. Recognition of counter party's jobs of provider factor and education of agency factor have meaningful correlation. Also, recognition of counter party's jobs of provider factor and education of agency factor infect the level of co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social-welfare practice are as below: First, it i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probation office employee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negotiation comes form the willingness of the responsible person for cooperation and it works well cooperating activities for the sfaffs in charge. Therefore, people like probation officers, and social welfare officer and the honorable sfaffs should receive even better educations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other's jobs and cooperation. Second, in order to make good cooperation, we need very good joint relationships for sharing all the information systems. Probation offices , social welfare center, clients and the informations should be able to become exchangeable, and compatible. In order to do all this, both systems need to have something that they can both use to share their information all the time, and the research and knowledge should be common to them. Third, we can claim responsibilities of the law and specific legal right from the cooperation institutes for probation system and cooperation systems. These are especially needed in order to do responsible execution and for an effective execution order with the cooperation. Making cooperation relationships common makes the cooperation even stronger. Fourth, we can make the cooperation stronger by having frequent meetings. Some formal meetings or informal meetings can probably be a good factor for staffs to approach the clients' problem and service for clients. Fifth, through the marketing process, we can use the volunteering public service power that probation offices and the society have. Currently, the probation office can connect the important staff that works at their own professional areas to make community service order better than just current situation. We can even make the cooperation system bigger by making it anti-crime volunteering activities.

      •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수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보호관찰관 중 관리자를 제외한 실무자를 표본 집단으로 설정하고,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경상 등 전국 보호관찰소에서 근무 중인 6급 이하 보호관찰관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208명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연구가설과 관련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핵심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에는 부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폭력피해의 하위요인 중 언어적 폭력피해경험과 간접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을 감소시켰다. 둘째,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 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하위요인별로 문제중심적, 정서중심적, 회피적 대처양식을 모두 검증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문제중심적, 정서중심적 대처를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주효과만이 유의하였다. 셋째, 통제변수 중 연령은 직무만족도와 부(-)적인 영향을 미쳐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졌고, 최종 분석에 포함된 다른 통제변수들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를 예방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스트레스 조절형태의 주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개인적, 조직적 차원에서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양식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ation officer's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to further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s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view, two research questions were form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08 field probation officers (under level 6).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core hypothesi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decreased as the probation officer's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increased.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violence damage, verbal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indirect violence damage experience reduced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stress response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second hypothesis of this study. Specifically, problem-centered, emotion-centered, and avoidance coping styles were all verified for each sub-factor of the stress coping type, but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only the main effect of increasing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the more problem-centered and emotion-centered coping was performed. Third,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Other control variable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is study concluded with a few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emphasizing the need to prevent the incid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 보호관찰 집행방법에 따른 대상자의 재범률에 관한 연구

        이무웅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대한민국 최초의 보호관찰관(The First Probation Officer of Korea, Moo Woong. Lee)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으로 10여 년간의 보호관찰 실무경험과 보호관찰 집행에 필수적으로 접목되어야 할 사회복지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모든 형사절차와 관련되어 시행되는 사법복지적(Cnminal Justice Welfare) 보호관찰제도가 활성화 되어 효을적이고 효과적인 제도로 운영 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촉진제가 되기 위한 것이다. 형사제도상 범죄자에 대한 처분은 크게 형사처분과 보호처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오늘날의 범죄자에 대한 처분은 범죄에 상응한 처별과 함께 재범예방을 통한 재활과 사회재통합을 도모하는 사법복지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범죄자의 사회내처우인 보호관찰제도는 범죄자처우에 있어서 처벌적인 면과 복지적인 면이 함께 작용하는 제도이다. 범죄자를 대상으로 사회 내에서 보호관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은 미국에서 한 민간 자원봉사자가 반사회성 있는 자를 복지적 방법으로 지도한 데서 비롯된다. 이와 같이 형사제도상 복지적 집행방법을 활용하는 보호관찰계도는 많은 국가가 채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범죄자에 대한 사회내처우로의 전환이라는 국제적인 형사정책사조와 범죄발생건수의 지속적인 증가라는 현실적인 문제로 1988년 보호관찰법을 제정하고 그 다음해 7월 1일 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 법은 목적 조항에 재범예방과 함께 개인과 공공의 복지를 증진한다고 명시규정을 두어 복지적인 성격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복지법적 목적을 가진 보호관찰제도는 수사, 재판, 교정, 보호 등 우리나라의 모든 형사사법절차와 연계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행 15년을 경과한 이 시점에서 뒤돌아보면 범죄발생 건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재범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보호관찰의 처분 건수는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보호관찰의 집행방법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 보호관찰 집행방법에 따른 재범률을 분석시도 하여 보호관찰의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 집행이 종료된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을을 분석했다. 채범률 분석대상자는 2000년도 이전에 보호관찰을 종료한 1,669명을 선정했다. 법원의 독립적인 보호관찰처분은 강제적 요소가 강한 집행방법이 동원되는 처분으로서 통제적 집행방법이 적용되는 처분으로 보았다. 그리고 독립적인 사회봉사명령과 수강명령처분은 사회봉사와 교육을 통한 처우방법이 동원되는 처우로서 복지적 집행방법이 적용되는 처분으로 보았다. 보호관찰은 권위적인 측면에서 집행방법에 있어서의 강제성과 비 권위적인 측면에서 집행방법에 복지성이 짙은 집행방법은 상호 조화가 잘 이루어질 때 보호관찰 집행의 효과는 높아진다고 보았다. 법원에서 보호관찰처분을 할때 통제적인 면과 복지적인 면의 양 측면이 적정하게 결부된 처분을 할 때 보다 높은 보호관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집행기관인 보호관찰소에서도 처분의 유형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시행 가능한 선에서 강제성을 띠는 통제적 집행방법과 복지성을 가진 집행방법을 함께 활웅할 수 있을 때 보호관찰의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재범률 분석을 함에 있어 보호관찰 집행방법 통제적 집행방법, 복지적 집행방법, 양자의 혼합적 집행방법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했다. 집행방법의 유형별로는 분석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범죄특성, 보호관찰특성, 그리고 각 유형 전체의 재범률로 측정을 시도했다. 재범률은 보호관찰대상자가 보호관찰을 종료한 후 2년 이내에 재범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각 집행유형의 재범률을 산출한 비교분석을 시도했다. 재범률 분석결과는 통제적 보호관찰집행방법의 적용대상가 59.9%의 재범률을 보였고, 복지적 보호관찰집행방법 적용대상자가 69.5%의 재범률을 보인 반면, 통제와 사법복지 지향적 보호관찰처분 대상자가 58.3%의 재범률을 보여 통제적 집행방법과 복지적 집행방법을 병행한 보호관찰 집행방법이 재범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들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관찰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본 논문에서 시도한 보호관찰종료 대상자의 재범률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으로 보호관찰 처분기관과 집행기관이 참고할 수 있는 제언을 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제시된 보호관찰종료 대상자의 처분유형별 재범률을 보면 보호관찰 집행방법에 따라 재범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보호관찰의 집행방법은 법원의 처분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법원의 처분유형에 따라 집행방법을 달리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재범률 분석결과에 의하면 통제적인 집행방법이나 복지적인 집행방법은 채범 률을 감소시키는데 덜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한다면 법원에서는 집행방법의 기초가 되는 보호관찰처분에서 독립적인 보호관찰이나 독립적인 사회봉사명령 또는 수강명령처분을 하는 것 보다는 보호관찰부 사회봉사명령 또는 보호관찰부 수강명령 등 통제적 집행방법과 복지적 집행방법을 병행할 수 있는 병과처분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보여 진다. 집행기관에서는 법원의 처분이 통제적 집행방법을 주로 하는 처분이거나 복지적 집행방법을 주로 하는 처분일 지라도 본인이나 가족의 동의 하에 양 집행방법을 적정하게 활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재범률 분석결과는 보호관찰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재범예방 효과가 크고 사회재통합에 효과적인 통제적 집행방법과 복지적 집행방법이 병행될 수 있는 처분과 집행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rate of second offenders for probation of criminal policy in Korea, and to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for the effective probation of offenders. Today, offender problems have become a worldwide issue resulting from rapidly changing society caused by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It is true that our national policy on offender problems has so far been no more than a limited and temporary counter plan focusing on protection and ex-post factor measures. In this context,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points to the main contents for probation or criminal policy. First, the probation execution methods of offenders in Korea must intend to be welfare oriented systems while the probation should give opportunity to use community materials along with correctional programs for the reintegration of offenders into the community. In Korea, the case of community service order and class attend orders sanctioned through probation have no effect without humanity and material resources that used the welfare oriented probation. The probation in Korea has developed many fields since the introduction of probation. However, the execution of probation is governed still by administrators mainly. Also, social welfare association has no concern for probation of offenders. Accordingly, to effect and develop probation in the future needs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people from various works of life. Secondly, it analyzed the rate of repetition crime for probationers who completed probation. Sample survey extracted 1,669 probationers who end probation befor 2000. The solo probation sanction which sentenced court of justice accompany the control probation with compulsory. And penalty of community service order and class attend order is treatment by social welfare execution which is accompany social service and education. The probation needs to balance not only execution but also humanity for offenders to a high effect. Basically, judges should be harmony of penalty and welfare for offenders and the role of probation facilities should consider control and welfare before pattern of treatment of probation. Such unbalanced national policy has caused the abscence of probation and has been the primary cause of offender problems. The rate of repetition crime of probationers who end probation during 2 years befor 2000 were analyzed by SPSS 11.0. The rate of repetition crime when analyzed, came out 59.9% rate of repetition, executed by control probation execution method for probationers who, 69.5% came out for probationers who were excuted by welfare probation execution method and probationers who were executed by control & welfare -oriented probation execution method was 58.3% rate of repetition crime. Accordingly, It is come out desirable that probation of control execution method including welfare execution method. Third, It suggested policy opinion by result of study the type and method of probation execution should be differenced for offenders. Also, It is not desirable and effective to control the welfare methods of probation. To solve and improve the present probation methods, community service is needed in order or class attend order for offenders with out community service order and class attend order for individual offenders. Also, even though control probation and welfare probation of judge, it should be agree individual and families of offenders, it can complete that desirable probation for offenders. Probation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tilized post conviction correctional disposition. Today, probation is the most useful reintegrative strategy because it permits offenders to remain in the community while they receive counseling, welfare and assistance. At the same time, probation attempts to ensure community protection through the rehabilitation of offenders. Finally, the ultimate aim of the probation is to strengthen and enlarge welfare oriented probation including individual and family of offenders.

      •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의 대처과정

        이정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흡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자녀의 재비행 예방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제도적으로 자녀에 대한 일차적인 법적 보호 의무자가 되어 자녀를 돌보아야 하는 책임을 부여받게 되며, 동시에 자녀의 법적인 처분으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면서 부모가 겪는 다양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려와 함께 이들에게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들의 정신적인 고통을 이해하고, 이 상황에서 적응해 나가기 위해 이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떠한 대처전략을 사용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의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이들에게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적 개입을 위해 필요한 포괄적이고 실천적인 기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녀의 보호관찰 개시 후 6개월부터 15개월이 경과한 청소년의 부모였으며,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는 어떻게 대처하였는가?"라는 연구질문을 중심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면접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에서 134개의 개념, 42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로 범주화되었다. 축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인과조건에 자녀의 보호관찰 통보 받음, 맥락조건에 사회인식, 현상에 수렁에 빠짐, 중재조건에 도움과 걸림돌,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홀로 삭이기, 방어하기, 반성하기, 희망 걸기, 결과에 헤쳐나가기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는 '자녀의 문제행동을 받아들이고 절망과 기대를 반복하며 헤쳐나가기'라는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근거이론을 개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이해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은 자존감 하락, 혼란, 긴장, 낙인감, 막막함, 자녀의 계속적인 비행으로 인한 속상함, 자녀에게 잘 해 주지 못한 죄책감, 황당함, 기막힘, 하늘이 무너지는 슬픔, 자녀가 불쌍해서 오는 슬픔, 잘못된 정보로 인한 두려움, 소문에 대한 두려움, 남편과 자녀에게 미안함, 신에 대한 원망, 자녀에 대한 배신감, 창피함, 죽고 싶은 절망감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대처하며 살아가는 지에 대한 연구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는 '절망 단계', '돌파구 찾기 단계', '자각 단계', '기대 단계' 의 4단계를 통해 각각 단계별로 '홀로 삭이기', '방어하기', '반성하기', '희망 걸기'의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돌보는 부모의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도움 요인으로 개인의 변화의지, 개인의 노력, 처지 아는 사람으로부터의 지지, 위로, 종교에 의지, 자기정화, 사고의 전환, 스스로 위안, 정보제공, 자녀의 변화로, 걸림돌이 되는 요인으로는 상처, 도움 거부, 부정적 사고, 개인 성격, 고정관념, 가정환경, 기대차이, 시도의 부재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요인의 차원에 따라 연구참여자들은 '발전형', '현상유지형', '회피형'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our practical jobs: to understand the parent's psychological pain caused by caring of their juvenile probationers, to analyse the parent's coping strategies applied in the period of probation,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the parent's coping strategies, and to suggest practical interventient methods based o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Data has been collected by depth interviews with the parent oaring their children under probation, an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the group work for those parent. The parent,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have taken care of their children under probation for the probationary period between 6 and 15 months. The gathered data is analysed into 134 concepts, 42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in the open coding. Consequently, the axial coding consists of 'notice of probation' as the causal condition, 'social perception' as the context condition, 'bogged down' as the phenomenon, 'help'/'barrier' as the intervening condition, and 'mitigating alone'/'defending'/'reconsidering'/'hoping'/'dashing' as the action/interaction condition. Finally, the core category is conducted by one sentence, 'dashing as to accept children's delinquent and as to repeat between expectation and despair'. The analysed data is resulted as follows; the parent caring their children under probation have been suffering from decreased self-esteem confusion, strain, stigma, obscurity, chagrin, guilty, absurdity, suffocation, sorrow, fear against rumors, sorriness to husband and children resentment against the gods, betrayal from children, shame, and despair to be dying; the parent have selected and used various coping strategies such as mitigating alone, defending, reconsidering, hoping, and dashing on the each four stages such like the despair stage, the breach stage, the awareness stage, and the expectation stage; and the parent's coping strategies have been effected by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For instance, the resulted positive factors are rehabilitation of will, individual efforts, support from associates, consolation, reliance on religion, self abreaction, diversion of thoughts, self consolation, information, and children's rehabilitation. And the revealed negative factors are hurt, denying help, negative thoughts, personality, fixed ideas, home environment difference of expectation, and absence of trial. In the facet of those influential factors,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re classified in the three models: the development model, the status quo maintenance model, the evasion model.

      • 보호관찰에 있어서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유재령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범의 사회적 재활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보호관찰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호위원들이 보다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사회사업의 기본적 지식과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하면서 실무자와의 면담방법으로 보충하였다.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앞서 보호관찰의 개요와 보호관찰에 있어서 보호위원의 역할, 우리나라와 외국의 보호위원 교육현황을 살펴보았는데 , 이는 보호관찰에 관한 선행연구논문들과 소년범죄 및 그 대책들에 관한 문헌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 일반교육과정 모형과 사회교육프로그램 구성절차를 살펴보고, 그 구성절차들이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활용될 수 있는 지를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내용들과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 및 그에 관한 선행연구논문들을 참고하여 보호위원 교육의 정의 및 특성을 정리해 보고 보호위원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즉 ,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교육이나 기타 사회교육프로그램에서 활용되는 교육목표의 수립, 교육내용의 결정, 교육방법의 결정 및 평가 등의 기본적인 구성절차를 그 기초들로 하여 보호관찰업무의 특성과 보호위원들의 일반적인 특성들, 특히 자원봉사자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보호위원 교육에서 필요한 내용들은 무엇인가를 검토하여 보았고, 두번째로는 보호관찰당국의 필요와 목적을 반영하는 보호위원 교육의 목적과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 세번째로는 보호위원들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감안하여 보호관찰에서 필요한 사회사업적인 내용들을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보았다. 네번째 , 짜여진 교육내용들을 잘 전달하여 나가기 위한 시행전략을 수립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보호위원들의 일반적인 특성이 감안되었다. 그리고 , 끝으로 보호위원 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단계를 넣었는데 , 이러한 평가에는 교육프로그램에 참석했던 교육대상자들의 태도와 지식의 변화를 평가하는 '교육적 평가'와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의 각 구성절차들에 대한 평가인 '시행적 평가'가 있다. 결국, 이러한 보호위원 교육프로그램은 보호위원들의 전문지식이나 자질을 향상시켜서 그들이 보호관찰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나갈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which can offer basic knowledge and skills to volunteer probation officers (VPO) who play important roles in probation system for the healthy social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centered on paper researches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in probation offices. In the second chapter , before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VPO , I looked at the outline of probation system , the VPO's roles ,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for VPO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articles of probation and books about juvenile offence. In the third chapter , I examin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and social education procedures , and whether the procedures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VPO. In the fourth chapter , I summariz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VPO and developed Education Program suitable to VPO. That is,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for VPO was based on the procedures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aim , deteremin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 educational evaluation which used in genera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probation system and VPO (especially , volunteers) wer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VPO. The procedure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VPO read as follows. First , I examined what contents were required in education for VPO. Second , I established educational aim and comprehensive plan reflecting the need and goal of probation authorities. Third , consid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VPO , I selected social work contents required in probation task performance and made them b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VPO. Fourth , to deliver educational contents with efficiency , enforcement strategy was established. Finally , to se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VPO , I included two evaluation stages : operational and educational. Ultimately , this Education Program was proposed as a device to perform probation tasks effectively.

      • 보호관찰제도의 기능 변화와 현대적 과제

        김민이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Probation in criminal law, simultaneously, has two functions. It protects offenders from the risk of directly serving time in prison without any change of rehabilitation. It also protects regular citizen from offenders on probation through the supervision and it finally defends society. It is the nature of law to respond logically and necessarily to social change and feelings of law, in which probation in Korean criminal law is no exception. As atrocious crimes increase recently, the function of defending society has been emphasized over the function of protection offenders in the discussion of probation. For example, probation law tends to emphasize pharmacological treatment, attachment of electronic device and probation after the execution of sentence. In this perspective, this thesis examines the functional change and legal character of probation focusing on relevant Korean criminal law.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also suggests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ation and the restorative justice. It, finally, discusses direction for legislation revision of probation. Under Korean criminal law, probation is not only a modified version of suspended sentence, a stay of execution and parole but also surely a species of security-measure. In other words, probation, which was originally invented to supervise and rehabilitate offenders, expands its function to protect normal citizen and defend society. In addition, it necessarily seeks harmony with the restorative justice which contrasts with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s. It, that is, allows society or local community to punish offenders and helps provide reparation to crime victims and their communities, and provides offenders with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The legislation driven by populism tends to emphasize probation’s function of defending society, but legal circles and the public also agree to strengthen it. This, however, does not mean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probation can be ignored. Emphasis on the function of defending society does not mean either that probation system evolves in right direction. In conclusion, community matters. Without a mature community to rehabilitate probationers and people’s beliefs on the community, we will see the function of defending society strengthen, whereas we will see the original function of probation weaken. The balance between the two functions of probation is the key to right evolution of probation.

      • 보호관찰제도와 지역사회협력 관계에 관한 연구

        정지윤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보호관찰은 범죄자들에 대한 사회내처우로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집행되는 제도이다. 따라서 보호관찰과 지역사회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보호관찰제도가 도입된지 얼마되지 않으므로 아직까지 여러가지 부분에서 발전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거니와, 특히 보호관찰의 중심적 특징인 지역사회협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사회협력 체계가 원활하지 못하면 효과적인 보호관찰제도를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보호관찰제도의 발전과 효과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운영이 제도 운영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국내·외의 문헌을 통해 "보호관찰제도와 지역사회협력 관계", 즉 보호관찰제도의 전반적인 내용과 보호관찰에 있어서의 지역사회협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미국 보호관찰제도의 지역사회협력'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우리나라 보호관찰제도의 지역사회협력'을 알아보기 위해 그 협력 현황 및 관련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아직까지 우리나라 보호관찰의 지역사회협력 및 관련프로그램이 시작 단계에 있으므로, 모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의 적용여부를 논의할 수 있었다. 즉 지역사회 중심 지향적인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언급함에 있어 '미국 지역사회협력 프로그램과 그 수용여부' 및 그 외의 '지역사회협력 발전방향'을 중심 내용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보호관찰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협력이 부족한 이유는 크게 여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보호관찰에 대한 대국민적 홍보 부족, 둘째, 지역사회봉사 개념이 약한 국민 의식, 셋째, 정부와 학계의 노력으로 시작된 보호관찰, 넷째, 범죄에 대한 지역사회의 책임회피 및 배타성, 다섯째, 적절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부재, 여섯째, 보호관찰에 대한 국가 후원 미흡 등이 그것이다. 미국 보호관찰제도의 지역사회협력 프로그램으로는 홍보 (public relations), 인근지역-중심 보호관찰 (neighborhood-based probation), 회복프로그램(re-storative programming), 자문위원회 (advisory boards), 멘터링 (mentoring) 및 기관간 연합형성 (coalition building)이 강조되고 있다 : ① 홍보 - 보호관찰제도는 지역사회의 협조 없이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국민 협력 기반 조성을 위한 대국민 홍보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홍보는 보호관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기본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 홍보프로그램인 '홍보위원회'와 지역사회를 토론의 장으로 여는 홍보방법인 '지역사회 평의회'는 지역사회가 중심이 된 효과적인 홍보프로그램이다. ② 인근지역-중심 보호관찰 - 지역사회 안으로 직접 들어가 보호관찰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호관찰의 기본적인 철학을 실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보호관찰대상자가 생활하는 지역사회 속에서, 실질적으로 보호관찰을 행하므로 그 효과도 과히 실질적이라고 할 것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인근지역 보호관찰'과 '프로젝트 세이프웨이'가 있다. ③ 회복프로그램 - 범죄자, 피해자, 지역사회 모두를 범죄의 피해로부터 회복시키자는 취지의 프로그램으로, 이는 '회복'이라는 의미를 지니면서 인간적인 과정을 강조한 것이다. 즉 '회복' 과정에 범죄자, 피해자, 지역사회를 참여시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강구하고 실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지역사회협력을 유도하고 보호관찰을 집행할 수 있다. 소개된 회복프로그램은 '피해자-범죄자 화해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서비스 프로그램', '연방 지역사회봉사명령'이 있다. ④ '자문위원회' -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자발적 조직을 구성함으로써 보호관찰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교정 자문위원회'와 '회복적 보호관찰 위원회'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보호관찰의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고, 범죄자의 활동 및 행동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멘터링' - 자원봉사자들이 범죄자와 1대 1로 결연하는 인간적인 보호관찰 활동을 통해 범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자원봉사자의 역량에 따라 어떤 프로그램보다도 보호관찰의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지역사회의 강점을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 프로그램으로는 '범죄 대항 협력자들', '자원봉사자 멘터링 프로그램'이 있다. ⑥ '기관간 연합형성' - 지역사회내의 기관간 연계 및 서비스 협력을 통해 보호관찰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절한 프로그램 진행은 보호관찰을 더욱 발전시키며 지역사회의 협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소개된 프로그램은 '가족센터와 지역사회 학습센터', '문맹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재범방지 프로그램'이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사회협력 프로그램으로는 멘터프로그램, 범죄예방위원 및 자원상담위원 등의 자원봉사자, 보호관찰 자문단, 홍보활동, 순회상담, 지역사회봉사센터, 전산정보교육센터, 수강명령의 위탁, 사회봉사명령 협력기관, 지역사회 자체 교정프로그램, 기관간 협력프로그램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들의 실질적 운영 및 내실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여러가지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미국 등의 모범적인 프로그램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프로그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보호관찰제도 운영에 있어 지역사회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협력프로그램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진행될 때, 그 효과가 크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협력이 미흡한 것도 사실이지만, 관련프로그램 부족 및 운영상의 미숙함이 더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보호관찰에서의 지역사회협력이 비교적 모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프로그램을 연구함으로써, 일부 발전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었다. The Probation is characterized as a system of treating criminals within a community as its basis. Accordingly they are inseparable in its system operation. In Korea, however, it has been the early stage of its development since the operation of probation system was launched and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in many aspects, especially the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as its partner. It is, in fact, impossible that we expect the effective probation system unless community is involved as a partner. Therefore, in order to run the probation system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enforce programs attaching importance to a community as a basic system enforcement. See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a model that contributes toward "the probation system and the community as partnership" by examining general contents of the probation system through various references. It also focuses on 'community partnership of America probation system' to identify whether they are applicable to our system. It seems that there are six aspects that contribute to the lacking development of community as a partner in Korea. First, lacking of public relations about the probation. Second, lack of public recognition of community service. Third, the probation program initiat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academy. Fourth, public's indifference on crime. Fifth, absence of the proper community programs. Sixth, lacking of stronger national supports. In America, they have public relations, neighborhood-based probation, restorative programming, advisory boards, mentoring and coalition building as the community partnership programs of the probation system: ① Public Relations - Public relations involves communicating a message and presenting a positive image to the public. This can be administered in many different ways and various strategies must be combined to reach wide-ranging segments of the community. Representative programs are 'Public Relations Committee' and 'Community Congress'. The Committee developed a comprehensive public relations strategy. And Community Congress demonstrates community corrections' ability to become empowered community partners. ② Neighborhood-based Probation - Traditional probation problems and a search for solution ar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eighborhood-based probation and parole agencies. Accordingly, such programs as 'Neighborhood Probation' and 'Project Safeway' are leading the way, having developed variations of a community-based model. Neighborhood-b-ased probation obviously takes a large investment in time and resources. However, its efforts at integration are aimed at the offender as a whole person,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offender's needs, but the needs of the community in which they reside. ③ Restorative Programming - Restorative justice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for community corrections. Its primary assumption is that "crime results in injuries to victims, communities and offenders and that all part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sponse to crime". Agencies making this paradigm shift are developing ways to involve the victim and the community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to hold offenders directly accountable for the damage they have caused. There are 'Victim-Offender Reconciliation Program', 'Volunteer Services Program', and 'Federal Community Service' as major programs. ④ Advisory Boards - Advisory boards are potent methods for involving the community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They bring many benefits to community corrections. 'Community Corrections Advisory Committee' helps develop the county's community corrections plans and oversees its operations. And the skills and expertise of citizen participants contribute to the quality and success of correctional services. 'Reparative Probation Boards' provide a unique mechanism for involving citizens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⑤ Mentoring - Mentoring seems to provide a perfect fit with correctional programming. Offenders have many and diverse needs that could be addressed through a one-to-one relationship. Common problems among offenders are the lack of a proper role model and weak social bonds both of which could be addressed through a mentoring relationship. 'Partners Against Crime' and 'Volunteer Mentoring Program' in particular have done a tremendous job developing a concept and operational framework for effective mentoring programs in community corrections. ⑥ Coalition building - The multiple offender needs that contribute to criminal behavior necessitat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intervention. Rather than duplicating services or working at cross-purposes, agencies are joining together to create solutions. As result, coalitions form around many substantive areas including family violence, drug and alcohol abuse and educational programming. These coalition programs are 'Family Center and Community Learning Center', 'Frank X. Gordon Education Program' and 'Recidivist Prevention Program'. In Korea, we have 'Mentor Program', 'Crime Prevention Volunteer', 'Probation Advisory Boards', 'Public Relations', 'Circuit Counseling', 'Community Service Center', 'Electronic Information Education Center', 'Learning Order Referral', 'Community Service Order Agencies', 'Community Itself Correction Program', and 'Agencies' Coalition Program' as a community partnership. But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in enforcing and substance of programm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try to find various directions of development toward further improvement by studying advanced American Program. The importance of community partnership was emphasized by this study. Its impact will be significant, when various partnership programs of community progress.

      • 보호관찰 청소년의 성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김정만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폭행과 일명 원조교제라 불리우는 10대 성매매 등 날로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있는 청소년들의 성비행 실태와 성비행에 영향을 주는 제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성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적인 개입방법과 실천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위험요인(Risk Factor)과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서는 성비행을 설정하였다. 위험요인이란 청소년의 성비행의 결과를 야기키는 개인적 요인과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위험요인으로는 개인의 자극추구성향과 성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비행친구와의 접촉, 가정에서의 학대경험을 설정하였다. 보호요인은 청소년이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많은 위기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하는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보호요인으로는 개인의 자기유능감, 가족의 응집력, 학교에서의 적응(학교에 대한 흥미,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 학교 규범 준수)과 사회적 지지체계(가족, 친구, 교사, 전문가의 지지)로부터의 지지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 비행경험으로 인하여 법적 처분을 받고 있는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자기기입법에 의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 2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주요 통계 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 등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청소년 성비행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호관찰 청소년의 집단 간 성비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력, 직업, 음주, 흡연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즉, 학력이 고등학교 중퇴이상이나 중학교 졸업이하인 경우 고등학교 재학인 경우보다 성비행이 높고, 직업이 학생이 아닌 경우 학생인 경우보다 성비행이 높았으며, 음주, 흡연의 횟수가 많을수록 성비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보호관찰 청소년의 성비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성과 포옹한 적이 있다’는 경험이 73.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성과 키스한 적이 있는 경우’가 70.5%로 나타났다. 성비행 중에서도 심각성이 돋보이는 ‘이성과 성관계를 한 적이 있다’는 경우는 35.9%(85명)이었다. 3. 위험요인과 성비행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위험요인 중 비행친구와의 접촉, 자극추구성향, 개방적 성태도 순으로 성비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보호요인과 성비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학교적응요인과 사회적 지지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성비행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위험요인이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위험요인 회귀분석 결과 친구요인인 비행친구와의 접촉과 개인요인인 자극추구성향, 개방적 성태도 순으로 성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 학력, 직업, 음주, 흡연 요인을 통제한 후 위험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친구요인(비행친구와의 접촉), 음주, 개인요인(자극추구성향, 개방적 성태도) 순으로 성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5. 보호요인이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이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교적응요인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나이, 학력, 직업, 음주, 흡연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학교적응요인은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성비행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체가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나이, 직업, 학력, 음주, 흡연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친구요인인 비행친구와의 접촉, 음주와 개인요인(자극추구성향, 개방적 성태도)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성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많고, 음주를 많이 하고, 자극추구성향과 개방적 성태도가 높으면 성비행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 때 보호요인은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7.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위험요인 중 친구요인인 비행친구와의 접촉과 보호요인 중 개인요인인 자기유능감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나 이 상호작용효과는 성비행에 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1. 성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본 연구결과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성비행에 위험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비행친구와의 접촉이었다.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또래관계와 또래 문화를 건전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이 적극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최근 청소년단체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또래 상담자(peer counselor)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도 모색해 볼 수 있다. 또한 음주요인도 성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는데 청소년들에 대한 음주예방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개인의 자극추구성향과 개방적 성태도 또한 성비행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를 조장, 확대하는 자극적 유해환경을 추방하기 위한 노력을 사회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다. 2. 성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 본 연구결과 학교적응요인은 보호관찰 청소년을 성비행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는 지식의 전달이라는 목적 이외에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사회사업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체계 중 교사의 지지만이 유일하게 성비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 교사와의 친분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3. 제도적 노력 첫째, 1989년 보호관찰 제도가 도입된 이래 보호관찰 제도는 비행청소년에 대한 낙인화를 억제하고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편입되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상에 따른 전문화된 보호관찰이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호관찰 활동에 전문 사회사업가가 개입하여 활동할 수 있는 보호관찰의 제도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보호관찰제도와 병행하여 상담서비스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즉 그 지역의 사회복지기관이나 관련 시설 등에 위탁하여 보호관찰기간동안 혹은 그 사후까지도 보호관찰청소년과 그 가족에게 적절한 원조를 행하게 하여 근본적으로 비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 학교를 떠난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성비행이 학생인 청소년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학교를 떠난 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를 설립하여 이들의 요구와 현실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juvenile sexual delinquencies and to analyz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m in order to find methods of interven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rom the social welfare perspective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the author sets up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n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sexual delinquencies. Risk factors mean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juvenile sexual delinquencies. Concrete risk factors include sensation seeking trait, personal inclination to sexual promiscuities, contacts with delinquents, and abuse experiences from the family members. Protective factors which likely cause positive results in spite of living in a potential dangers include sense of self-efficacy, family cohesio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o acquire data by self-fill-out questionnaires from 237 probationary juvenile delinquents and to analyze statistics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the protective factors and the juvenile sexual delinquencies. 1. Examining the group differences among the probationary juvenile sexual delinquents, the author could find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school years, occupations, drinking, and smoking habits. High school drop-outs or junior high graduates commit more sexual delinquencies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non-students commit more sexual delinquencies than students, and the more they drink and smoke the more they tend to commit sexual delinquencies. 2. Analyzing the sexual delinquencies of the probationary juveniles,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y have "hugging" experiences with the other gender(73.8%), "kiss" experiences(70.5%), and have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35.9%). 3.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the sexual delinquencies,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 contacts with delinquents, sensation seeking trait, and personal inclination to sexual promiscuities, in order, have positive correlation to sexual delinquencie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tective factors and the sexual delinquencies,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re ar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adaptation factor and the sexual delinquencies, and between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the sexual delinquencies. 4. The Effect of the Risk Factor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 friend factor(contacts with delinquents), and individual factors(sensation seeking trait, and personal inclination to sexual promiscuities), in order,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exual delinquencies. 5. The Effect of the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only the school adaptation factor has an effect on the sexual delinquencies. Controlling the factors of age, school year, occupation, drinking habit, and smoking habit,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 school adaptation factor works as a protective factor but the power decreases. 6. The Comprehensive Effect of the Risk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Analyzing the risk/protective factors after controlling the factors of age, occupation, school year, drinking habit, and smoking habit, the author could find out that friend factor(contacts with delinquents), drinking habit, and individual factors(sensation seeking trait and personal inclination to sexual promiscuity), have meaningful effects, in order, on the sexual delinquencies. 7.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risk factors, friend factor(contacts with delinquents) has an interactive effect with individual factor(sense of self-efficacy) of the protective factors, but this interactive effe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xual delinquencie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s: 1. Efforts to Overcome the Risk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 could find that the most effective risk factor of the juvenile sexual delinquencies is the contacts with the delinquents. Therefore, the intervention of social work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 and their culture is essential. Peer counselor programs are to be positively developed. Also, as the drinking habit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sexual delinquencies, the juvenile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is vital. Individual sensation seeking traits and personal inclination to sexual promiscuity also work as risk factors. Therefore, the social movements to eliminate those harmful environments that encourage and expand them need to be actively developed. 2. Efforts to Develop the Protective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school adaptation factor is proved to have a protecting function of the juveniles from sexual delinquencies. Therefore, schools ne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capabilities for school adaptation, and also need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chool social work systems. And among the social support systems, only teachers' support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juvenile sexual delinquencies. Therefore, teachers need to have concerns and efforts to improve their human relationship with students. 3. Efforts to Change Systems First, the probation system has worked since 1989 to constrain stigmatization on the juvenile delinquents and to rehabilitate them as healthy members of the society.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 present system is not a specialized probation system dependent on specific client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uthor suggests to change its system for specialized social workers may intervene. Second, becaus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chool drop-outs are more likely to become sexual delinquents, the author suggests to establish alternative schools and to develop relevant programs for the drop-o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