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타버스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직업계고 현장실습생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안세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보건 전담교사의 역할은 최소화하고 교육의 효과는 상승시킬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직업계고 현장실습생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현장실습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및 교수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둘째, 프로그램의 설계원리와 지침을 도출한 후, 셋째,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고, 넷째, 형성평가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계 개발연구의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직업계고 현장실습생 안전보건교육, 메타버스, 게이미피케이션을 정의하고 수업체제설계의 기본모형인 ADDIE모형의 단계를 활용하였다. 문헌분석, 사례분석,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설계원리와 개발전략을 도출하였고,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한 후,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화를 진행하였고,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메타버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현장실습생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현장실습생을 대상으로 한 안전보건교육 분야에 제한적으로 적용하였으므로 보다 심층적인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 그리고 안전보건 부문의 전담교사가 충분히 확보되는 시점에서 교사의 역할과 지침에 따라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확보된 수업시간이 짧고 연속성이 없는 수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수업시간을 확보하여 효과성 검증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교수-학습 전용 메타버스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보건교과서에 근거한 보건교육이 고등학생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우리 나라 청소년들은 입시 및 성적위주의 경쟁교육, 가정붕괴현상,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환경으로 인하여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잘못된 건강정보와 무분별한 건강위험행위를 조장하는 환경 속에서 성, 물질 오·남용 등의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건강행위와 습관을 바람직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기건강관리 능력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보건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의 건강문제는 교육현장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소외되고 있으며, 학교는 학생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과 직결되는 보건교육에 적극성을 띄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용으로 개발된 보건교과서를 이용하여 실시한 보건교육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보건교육이 일 교과목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고등학교에서의 보건교육 계획 및 실시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 소재 102개 공립고등학교 중 2개의 고등학교를 편의 표출하여 1개 고등학교는 실험군, 나머지는 대조군으로 배정하였고, 실험군에 해당하는 학교에서는 11개 학급 중 3개 학급(100명), 대조군에 해당하는 학교에서는 10개 학급 중 3개 학급(100명)을 무작위 표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3월 20일부터 2000년 12월 16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에 앞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보건교육 요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3월 6일부터 3월 9일까지 보건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3월 13일부터 3월 18일까지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보건교육 요구를 근거로 계획한 26시간의 보건교육을 양호교사가 실시하였고, 교육이 끝난 후 실험군·대조군에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PC 6.12를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x²-test, t-test, ANOVA, ANCOVA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 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보건교육 실시 후 건강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은 보건교육 실시 전 건강지식 점수가 10.1점에서, 보건교육 후 15.9점으로 5.8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2.121, p=0.001), 대조군은 사전 건강지식 점수가 9.3점에서 사후 9.9점으로 0.6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t=1.142, p=0.255). 또한 보건교육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7.146, p=0.001). 2. 제 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보건교육 실시 후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실험군·대조군 동질성 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건강증진행위를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공변수와 처리변수와의 교호작용을 검정한 결과 교호작용은 없었고, 공분산분석 결과 보건교육 실시 후 실험군·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9.70, p=0.001). 3. 제 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보건교육 실시 후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은 보건교육 전 자아존중감 점수가 25.9점에서 보건교육 후 29.2점으로 3.3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470, p=0.001), 대조군은 사전 자아존중감 점수가 25.5점에서 사후 25.9점으로 0.4점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t=0.482, p=0.631). 또한 보건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장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518, p=0.001). 4. 제 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보건교육 실시 후 건강통제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실험군은 보건교육 전 건강통제위 점수가 43.3점에서 보건교육 후 45.5점으로 2.2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03, p=0.013), 대조군은 사전 건강통제위 점수가 41.7점에서 사후 42.1점으로 0.4점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t=0.348, 0.728). 또한 보건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건강통제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858, p=0.002). 이상의 연구결과 고등학생용으로 개발된 보건교과서를 이용한 보건교육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건강지식,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건강관련 행위 및 습관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의 하나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우선 순위로 교육내용을 조직하고, 모든 학생들이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독립된 보건교과목에 의한 정규적인 수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and the subjects were 200 students from 1st graders of two public high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Chonnam prov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6 to December 23, 2000 an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a survey of health education need, general characteristic,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AS-PC 6.12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s, x²-test, t-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omogeneity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age, health status) and research variables(health knowledge,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s 2. The Hypotheses test 1) Hypotheses 1,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scores of health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7.146, p=0.001). 2) Hypotheses 2,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scor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49.70, p=0.001). 3) Hypotheses 3,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scores of self -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4.518, p=0.001). 4) Hypotheses 4,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scores of locus of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858, p=0.001). From the above results, we noticed that health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 보건교사 자격제도에 관한 보건교사 인식 연구

        장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7년 학교보건법의 개정으로 보건교과가 신설되고 보건교사의 직무가 학생건강관리와 보건교육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보건교사의 자격은 정교사가 아닌 특수교사로 되어있다. 이에 대해 학교 안팎에서 보건교사의 직무에 따른 자격과 관련하여 문제 상황들이 계속 발생되고 있기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특히, 보건교사의 자격제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학교현장의 사례를 통해 보건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므로 이론과 정책이 현실성을 갖고 성공할 수 있는 제도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보건교사 자격제도에 관한 보건교사 인식연구를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정교사제도에 비추어 볼 때 보건교사 자격제도의 문제점을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심층면접을 통한 보건교사의 인식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정교사 제도에 비추어 볼 때 보건교사 자격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보건교사 자격제도에 대한 보건교사의 문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보건교사 자격제도 문제점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고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건교사 자격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간호대로 단일화 되어 있는 보건교사 교원양성체제, 보건교과의 표시과목 미부여, 보건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양성과정 제외로 파악되었다. 보건교사 자격제도에 관한 보건교사의 문제인식을 알아보면 보건교과 신설당시에 비해 보건교육 실시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고, 그 이유로는 2008년 보건교과 신설당시 고시에서 2009개정교육과정 고시로 바뀌면서 보건수업을 타 교과처럼 안 해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 관리자의 보건수업 실시에 대한 의지부족, 보건교사에 대한 수업지원이 없어서, 다른 교과교사에게 보건수업시수가 우선순위에서 밀림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은 문제의 바탕이 되는 보건교사가 비정교사인 것에 대한 문제인식을 표출하였다. 이에 심층면접 실시한 결과는 앞서 보건교사 자격제도의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던 3개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보건교사의 인식, 문제인식,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보건교사 자격제도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2007년 보건교과 신설당시의 취지대로 보건교과를 정식교과로 자리매김하도록 법률에 맞게 교육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보건교사 자격을 정교사로 전환하는 것이다. 타 교과와의 형평성 차원에서나 보건교과가 신설되고도 정교사가 아니어서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로 법률대로 보건수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바 교원자격검정령 및 초․중등교육법을 개정하여 보건교사에게 표시과목을 부여하고 정교사로 전환시켜야 한다. 셋째, 보건정교사 양성과정을 개방하여 간호대학과 교육대학원에 보건정교사 양성과정을 개설하는 것이다. 이는 곧 가르치는 교사로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넷째, 보건교육정책을 주관하는 부서를 개설(보건교육정책의 통합화)하여 법률대로 보건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부처 내에서의 의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보건교사의 직무 정체성을 확립하고 개선해야 한다. 이제 보건교사는 보건수업을 하는 교과교사로서 아이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보건교육을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정책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보건교사, 자격제도, 정교사, 보건교육 Qualification of health teachers still remains as that of special teacher, not jung-teacher, notwithstanding that health subject was newly established and duty of health teacher was changed to health care and education due to revision of 2007 school health act. Under this situation, as a problematic situation relevant to qualification for the duty of health teacher is taken place continuously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necessity of this study was raised. In particular,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 for their qualification system was researched so that theory and policy would be realistically settled down as a successful system by surveying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s through the cases of school sett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method based on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s after exploring problem of their qualification system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 literature consideration in view of jung-teacher system.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is, first, what is the problem of qualification system of health teacher in view of jung-teacher system? Second, what is problem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s for their qualification system? Third, what is its improvement method?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As a problem of qualification system of health teacher, it was identified as health teacher training system being unified to nursing university, no indicated subject of health curriculum and exclusion of health teachers from training cours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exploring problem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s for their qualification system, it was represented that operation rate of health educ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by a wrong recognition that health class does not need to be operated like other subject as notification at the time when health subject was newly established in 2008 was changed to that of 2009 revised curriculum, lack of will of administrator for health class and priority of health class hours being pushed back by other subject teachers as class of health teacher was not supported. In addition, target interviewers exposed their problem recognition that health teacher was not jung teacher. As such, problem recognition of health teacher and its improvement method were identified by categorizing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 as three areas being previously identified as a problem of qualification system. As an improvement method of qualification system problem of health teacher, first, education policy should be promoted by complying with relevant law so that health subject would be settled down as a formal subject based on an original aim at the time when health subject was newly established in 2007. Second, qualification of health teacher is required to be changed to Jung-teacher. As health class is not legitimately operated systematically due to school problems even though health subject was newly established, health teacher is required to be changed to jung-teacher by assigning indicated subject to them after revising teacher qualification verification order and education law of primary, secondary school. Third, health jung teacher training course is required to be newly established at nursing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opening training course of health jung teach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expertise of health teachers. Fourth, a will of education authorities is required so that health education would be operated legitimately by newly establishing a department that supervises health education policy (integration of health education policy). Finally, job identity of health teacher is required to be firmly established and improved. Health teacher is required to demonstrate expertise of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health right of children and education policy for this objective shall be supported without fail. Keywords : health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Jung-teacher, health education

      • 구강보건교육이 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김준완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위, 구강보건 교육경험, 구강보건 위생관리에 나타나는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대상은 경기도 수원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복지관 소속(유당마을 복지관, 서호 노인복지관, 광교 노인복지관)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2016년 4월 27일부터 5월 4일까지 8일 동안 120명 남자 32명, 여자 88명에게 일대일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에 수준은 평균 3.21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높은 교육수준과 연령이 높은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잇솔질 방법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은 의치세정제와 치실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장소에 대해서는 치과와 보건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의 특성상 움직임을 싫어하고 이들이 주로 함께 행동하는 장소가 경로당이나 복지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노인들을 위한 구강 보건 교육의 장소로 경로당과 복지관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횟수에 대해서 질문한 결과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재의 구강보건교육은 1회성 교육이 되고 있는데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 교육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에서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구강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등의 평균 점수가 2.5점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들을 위한 구강교육은 현재 보다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 치간칫솔 중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최명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치간칫솔 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고 나아가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환자들에게 적용한 뒤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ADDIE모형과 구강보건교육학(장기완 외, 2013)의 내용을 참고하여 성인의 교수-학습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적용과정을 거쳐 수정안을 도출한 후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성인40명을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에서 치간칫솔만을 제외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위해 설문지를 통해 성취도 평가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교육 유효도 평가를, O'Leary index(치면세균막지수)와 구강미생물검사(싸이토페리오)를 통해 구강보건증진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선형모델(GLM)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통계치의 유의도 수준은 p<.05에서 이루어졌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ver.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및 실험군모두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성취도 평가는 일부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진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구강보건증진도 평가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도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었다. 요약 본 연구는 성인 환자들의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는 동시에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반응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환자들에게 적용한 뒤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가장 먼저 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실험이 이루어져도 좋다는 사전 동의를 얻은 성인 40명을 대상자로 확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진행하여 단편적인 요구분석만이 아닌 다양한 분석을 통해 ADDIE모형의 일부를 채택하여 수업설계를 진행하여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인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적용을 거쳐 수정안을 도출한 후 최종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관련 연구 설명서 및 동의서와 설문도구는 건국대학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쳐 의생명과학연구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은 송파구 소재 P동의 치과에 내원하는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0월 초까지 3차에 걸쳐 적용하였다. 적용 차시를 단순히 프로그램 적용 전 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3차에 의한 교육 즉, 반복 적용으로 구강 관리 능력의 유지 및 증진을 기대 할 수 있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적용기간은 단기간 보다 장기간 적용할수록 효과적이나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3차시에 걸친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성인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치간칫솔을 제외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시범실습은 학습자들의 실천 확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며 매차 시 O'Lealy index와 큐레이뷰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고 점수화하여 관리 능력의 유지 및 증진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첫 번째 성취도 평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전후 치주질환 증세 지식의 차이, 치주질환 예방 지식의 차이, 칫솔질 횟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을 조사하였다. 일반선형모델(GLM)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영역 하위요소 중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통계치의 유의도 수준은 P<.05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SPSSWIN(ver.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치주질환 증세 지식, 치주질환 예방 지식 , 태도 및 행동 모두 증가했으며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 유효도 평가는 전문가 평가로 진행됐으며 교육학 전문가와 구강보건교육학 교과목을 담당하는 치위생과 교수 및 치과 임상 실무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를 받았다. 구강보건증진도 평가는 구강환경관리 점수로 O,Leary index 를 사용하였으며 구강 내 유해 세균 감소 여부를 위해 사전사후 구강미생물검사(싸이토페리오)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구강미생물과 치면 세균막은 감소했다. 그러나 치면세균막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차검사 시에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서희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non synchronized design)이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G시의 M초등학교 6학년 4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개 학급을 실험군, 2개 학급을 대조군으로 편의표집하였고 각 집단은 55명씩 동일한 수로 총 11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은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6학년 보건교과서’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안전한 식품섭취, 흡연예방, 스트레스 조절, 성폭력 예방’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은 매주 2시간씩 총 4주간 8차시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을, 대조군에게는 전통적 강의식 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측정도구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고 평가하였다. 건강지식 측정도구는 ‘안전한 식품섭취와 스트레스 조절’은 송명희(2005) 도구를, ‘성폭력 예방’은 김유미(2010) 도구를, ‘흡연 예방 ’은 심은경(2008)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는 ‘안전한 식품섭취와 스트레스 조절’은 송명희(2005)와 정경숙(2011) 도구를, ‘성폭력 예방’은 김유미(2010) 도구를, ‘흡연예방’은 심은경(2008)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5월 21일부터 2014년 8월 28일까지로 사전조사, 교육 직후 조사, 교육 4주후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9.0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성 여부를 Shapiro-Wilk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 비모수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 동질성 검증은 test, Fisher's exact test로 검증하였고, 두 군간의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Mann Whitney test로 분석하였다. 교육 전후 차이와 시점별 두군 간의 차이는 각각 Repeated Measures ANOVA와 Mann Whitney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강의식 보건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건강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지식은 측정시기와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고(F= 7.809, p= .001), 집단 간(F= 10.050, p= .002) 및 측정시기(F= 64.075,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강의식 보건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측정시기와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고(F= 34.694, p= <.001), 집단 간(F= 51.345, p= <.001) 및 측정시기(F= 26.782,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협동학습 구조에 의한 보건교육이 전통적 강의식 보건교육보다 초등학생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향상에 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은 일정시간이 흐른 뒤에도 향상된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구조의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전통적 학습방법을 보완하는 새롭고 효과적인 보건과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체계적 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나주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체계적 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규교육과정으로 진입하기 시작한 학교보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체계적 보건교육이란 일상생활과 건강, 질병예방과 관리, 약물 오남용 및 흡연․음주 예방, 성과 건강, 정신 건강, 사회와 건강, 사고예방과 응급처치의 7개 영역으로 학교보건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보건교사가 ‘보건’교과서를 사용하여 재량활동시간에 연간 17차시의 보건교육을 실시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0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1, 2학기동안 격 주 1회씩 총 17차시의 체계적 보건교육이 실시된 163명과 동일시기에 체계적 보건교육이 실시되지 않은 14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2월에 연구대상과 같은 지역의 다른 학교 학생 61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문항을 수정하여 2011년 2월 14일부터 2월 17일까지 대상 학생이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기존의 연구도구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된 교육 주제에 부합되는 도구를 간호학 교수 1인, 지원교육청 파견 보건교사 1인, 보건교사 2인이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건강지식 1문항, 건강증진행위 1문항이 개발되었다. 일반적 특성 6문항, 건강지식 29문항, 건강증진행위 29항목으로 총 6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5.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χ²-test를 실시하였고, 체계적 보건교육 실시군과 미실시군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비교는 t-test로 하였으며, 대상자 특성에 따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지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시군 18.45(±3.04)점, 미실시군 15.29(±4.55)점으로 실시군의 점수가 더 높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260, p=.000). 2. 건강증진행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시군 28.18(±2.88)점, 미실시군 26.93(±3.52)점으로 실시군의 점수가 더 높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426, p=001).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한 결과 두 군 모두에서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건강지식 점수 및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체계적 보건교육 미실시군의 경우 남자는 여자보다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초등학생에게 실시된 체계적 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보건교사에 의한 체계적 보건교육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체계적 보건교육이 모든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2)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낮은 특성을 보이는 집단에 대한 별도의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하다.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to prepare a foundational material to reveal analyse the impacts of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ed to their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al behavior. This is for the schools that are starting to include school health education into their regular curriculum.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implies implementing seventeen health education lessons a year by the health teacher using a health textbook during the student's discretional activity time. The school systematic health education curriculum is established by the following seven domains: daily life and health, disease prevention and maintenance, drug abuse,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sex and health, mental health, society and health, 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This studywas carried out on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o verify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effects, the seventeen lessons were each taught on a fortnightly basis from March 2010 through til December 2010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student'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compared with the 163 students who were implemented with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ared to 147 students who were not implemented with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is studydata was collected during February 2011.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61 students from different schools that are in the same district as the studysubjects. Then survey questions was edited and from February 14 til 17th, 2011, it was given to the targeted students to completed it out themselve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e studytools that was used in this study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meet the student's level from the existing studytools which coincided with the inserted current studyeducational topics by the following people: one Professor of nursing, one supporting aid health teacher from the education office and two health teachers. Thus one health knowledge section and 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section was developed which is composed with 6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 29 questions on health knowledge, 29 article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otaling 64 questions. SPSSWIN 15.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X2-test was implemented to find 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 T-test was used on both groups that was implemented with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nd those who were not, and was compared for their specific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nections. ANOVA and t-test was used for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followed by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These are the following study results: 1) The results comparing the health knowledge scores for the implemented group was 18.45 (±3.04) and for non-implemented group was 15.29(±4.55) and the scores for the implemented group was higher and resulted in noticeable differences (t=7.260, p=.000). 2) The results comparing the scores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the implemented group was 28.18(±2.88) and for the non-implemented group was 26.93(±3.52) and the implemented group score is higher with the noticeable differences (t=3.426, p=001). 3) Comparing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both of the group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are academically higher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health knowledge score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In the case of the non-implemented group, boys showed lower results i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pared to the girls. In both of the groups, students who have higher scores for th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ory results, it showed higher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Further more with these study results, the implemented systematic health educ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elementary student'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fore, here are the proposals: 1) Health teachers needs to maintain continuous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reate foundations for all schools to actualize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in their schools. 2)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program to be implemented on the groups who characterize having lower levels of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 2008·2009·2015 중학교 보건교육과정 비교 연구

        윤혜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Korea, the seriousness of juvenile health problems has emerged and as a solution, school health education has begun to attract attention as a national policy agenda. Based on the organizational movement of health teachers, such as the Health Education Forum, it is a major milestone in the National Assembly in 2007 to enact legislation for systematic health education for all schools and all students. As a follow-up measure,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was announc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n 2008, and after that, in 2009 (2011), 2015, the health curriculum was revised and announced as part of the revision of the whole curriculum, and it is now. These changes in school health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liferation of health promotion. In particular, since the Ottawa Charter in 1986,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models have been approached rather than medical models, emphasis has been shifting on health rights and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public policies. These changes have been the basis for OECD countries' activities, policies and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imed at health. Health promotion targets everyone, not just a specific group of people with health problems, and aims at the health of everyone. Health promot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ill be a necessary paradigm to mitigate the serious social polarization and health inequality in Korea. It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are directly linked to positive schoo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attainment, and affect adulthood and socioeconomic status so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internalize their health promotion ideals and develop competencies to practice them. It will be very important. In Korea, however, health promotion i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agenda.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desirable to construct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it was influenced by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of OECD countries such as USA, Finland, Australia, and it was applied to our reali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tribute to this study. 2008․2008․.2015 Health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ewed and compared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the adequacy of the contents. The research method is to study each health education cours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area of health promotion in 2008, 2009,2015 and compare the three health education curriculums I have. Health promotion is divided into the ideology, the activity area, and the activity method based on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presented in the Ottawa Charter. The ideology of health promotion is divided into health rights, health equity, social responsibility, the activity area of health promotion, building health public policy, create supportive environments, strengthening community action and re-orientating health care services toward prevention of illness and the method of health promotion was divided into advocacy, enable, and mediation. The health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background, go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s a result, the 2008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the self-health management of individuals relatively, but the 2009 health education curriculum does not include the use of health resources and coping skills, health, society and culture. This is a turning point in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because it is composed of major part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public policy are emphasized. In comparison with 2009, in 2015, the scope of health promotion ideology and activity was clarified in 2009, but the two major parts that were composed from the viewpoint of health promotion were reduced to "health resources, society and culture" . It is believed that the subjects such as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ocial resources and culture, government policies, In order for health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 in the future,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operate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quity, minority sensitivity, personal and social consideration should be further cultivated.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notices, placement of special researchers of health education in the curriculum depart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trengthening community relations, advocacy and experience activities, resurrection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council, Suggest that effort is needed. 우리나라에서 청소년 건강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해결방안으로 학교 보건교육이 국가 정책 의제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는 (사)보건교육포럼 등 보건교사들의 조직적 운동을 바탕으로 2007년 국회에서 모든 학교, 모든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된 것이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대한 후속 조치로 2008년, 처음으로 국가교육과정에 보건교육과정이 고시되었고, 이 후 2009(2011) ․2015년에 전체 교육과정 개정의 일환으로 보건교육과정이 개정, 고시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학교 보건교육의 변화는 건강증진 확산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특히 1986년 오타와 헌장을 기점으로 의학적 모델보다는 사회․문화․환경적 모델로 접근하게 되면서 보건교육은 물론 건강권, 공공정책 등 그 내용에 있어서 강조점이 달라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OECD 각국에서 건강을 목표로 하는 활동과 정책 및 교육과정 개발에 근간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건강증진은 건강문제를 가진 특정 집단만이 아닌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모든 사람들의 건강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건강증진은 우리나라에 심각한 사회 전반의 양극화와 건강 불평등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패러다임일 것이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 건강이 긍정적인 학교생활 경험 및 교육 성취와 직결되고, 성인기 건강과 사회경제적 지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건강증진 이념을 내면화 시키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건강증진은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건강증진 측면에서 보건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은 필요하고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우리나라 보건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 미국, 핀란드, 호주 등 OECD 국가들의 보건교육과정에서 영향을 받았던 바, 이를 우리 현실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보건교육 효과를 높이는 한편, 추후 보건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재구성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09․2015 보건교육과정을 건강증진 측면에서 살펴보고,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내용의 적정성을 위해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한정하였고, 연구 방법은 2008․2009․2015 보건교육과정 각각에 대하여 건강증진 구성 영역을 기준으로 연구하고, 이후 세 보건교육과정을 비교하는 과정을 가졌다. 이 때 건강증진 구성 영역은 오타와 헌장에서 제시된 개념을 기본 틀로 삼아 건강증진 이념, 활동 영역, 활동 방식으로 나누고, 건강증진이념은 건강권, 건강형평성, 사회적 책무로 건강 활동 영역은 건강한 공공정책 수립, 건강지원 환경 조성, 지역사회 활동 강화, 의료제도의 예방 지향적 개편으로 건강 활동 방식은 옹호, 지원, 중재로 세분하였다. 보건교육과정은 배경 및 목표, 내용 및 성취기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008 보건교육과정은 비교적 개인의 자기 건강관리에 초점을 두는 등 건강증진 관점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으나, 2009 보건교육과정은 ‘건강 자원의 활용과 대처 기술, 건강과 사회․문화’ 등이 대단원으로 구성되고, 사회적 참여와 공공 정책을 강조하는 등 건강증진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하고 있어 보건교육과정의 전환기라고 볼 수 있었다. 2015 보건교육과정은 2009와 비교하면 2009에서 건강증진 이념과 활동 영역이 명시화되었으나 건강증진 관점에서 구성되었던 두 개 대단원이 ‘건강 자원과 사회․문화’ 한 단원으로 축소됨으로써, 건강증진 관점에서 볼 때 실제로는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는 보건교육과정을 연구한 주체, 사회적 자원과 문화, 정부의 정책과 정책 주체들의 한계 등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건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건강증진 관점에서 보건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건강형평성, 소수자 감수성, 개인적․사회적 배려 등이 더욱 함양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보건교과 필수화, 초등학교 보건교육과정 고시, 교육부 교육과정 담당 부서에 보건교육 전문 연구사 배치, 지역사회 연계와 옹호 및 체험활동 강화, 보건과 교육과정심의회 부활, 보건교육 전공 석․박사 과정 확대 설치 등 정책적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