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리어프리 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 측정기 디자인 연구

        천철훈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 교통약자의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교통약자의 이동접근권 보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교통약자의 이동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제작되는 배리어프리 지도는 이동 보조기기를 동반한 교통약자의 보행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배리어프리 지도는 교통약자 편의시설, 이동 보조기기 보행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약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지만 부족한 보행 경로 정보의 양과 낮은 정확성으로 인해 그 실용성과 신뢰도가 저조한 실정이다. 배리어프리 지도 정보수집 방식은 비 교통약자와 교통약자가 각각 중심이 되어 수집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각 집단의 정보수집에는 각기 다른 장단점이 존재한다. 비 교통약자가 중심이 된 정보수집은 효율적이지만 보행 경로 정보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지며, 교통약자가 중심이 된 경우는 정확하지만 많은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여 효율이 낮다. 따라서 정확한 다량의 정보를 가진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공하기 위해선 기존 정보수집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동 보조기기를 동반한 교통약자의 보행 가능 경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보행에 장애가 되는 보행장애 요소의 측정기준을 재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문제점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재정리한 측정기준을 기반으로 사용성과 유용성의 양측 면에서 정보수집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체크리스트를 근거로 사용성을 위한 형태적, 유용성을 위한 기능적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지형 측정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지형 측정기를 통해 효율적이고 정확한 배리어프리 지도 정보수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정확하고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로 안내 중심의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공하여 교통약자의 이동권리와 접근권리가 향상되는 데에 이바지하길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mobility handicapped in Korea increases every year, the importance of ensuring rights to mobility and acces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is emerging. The barrier-free map, which is produced to guarantee mobility and acces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provides convenience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with mobility assistance devices. Barrier-free maps provide information on facilities and walking path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but their practicality and reliability are low due to the lack of walking path information and low accura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ing cas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non-mobility handicapped is relatively less accurate,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obility handicapped is low in speed and efficiency. In order to provide a barrier-free map with an accurate and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To solve the problem, the measurement criteria for Barrier factor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were reorganiz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to measure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walking path of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and the measurement criteria, a product development checklist that can improve the information-collecting method in two aspects of usability and utility was created. Based on the checklist, a measuring instrument design that meets the requirements in terms of form for usability and function for utility is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and accurate barrier-free map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proposed measuring instrument through this study an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rights to mobility and acces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by providing a barrier-free map centered on route guidance that contains accurate and vast information.

      •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매뉴얼의 작성과 적용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정유경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인 관객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방법을 담은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소개하고, 매뉴얼을 기반으로 연극 다섯 편의 사례를 살펴보며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살펴보는 고찰을 담고 있다. 장애인 인권이 신장하며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당위성이 입증되며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관심과 사회적 움직임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실태를 살펴보면 그 참여율이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장애인과 문화예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작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향유 중심의 연구들은 시설 중심의 물리적 접근성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공연예술계에서 배리어프리 공연이 주목받으며 지원과 제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창작자를 중심으로 한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을 위한 매뉴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발간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부터 공연 후까지의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의 필요와 함께 배리어프리 연극에 대한 이해를 도울만한 패러다임과 정보를 공유하고, 실제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조건과 단계에 대한 안내를 제시하며,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유관 기관 연락처 및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진행한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기반으로 공연마다 나타나는 특징과 시도했던 배리어프리의 적용을 정리하고, 종합적으로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섯 편의 연극은 매뉴얼이 제시하는 내용을 대부분 실행했으며, 공연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시도도 엿볼 수 있었다. 배리어프리 연극 준비 과정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목표 설정과 예산 운용을 포함하여 객석 배치, 공연 후 의견 수렴에 대한 부분을 공통으로 실행하였다. 이외에도 대상 관객 설정에 따라 음성해설과 문자통역, 수어통역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매뉴얼에서 다루는 공연 내용 접근성 설계가 실현가능한 것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공연은 이뿐만 아니라 매뉴얼에서 제공하고 있는 요소들을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수행했다. 위의 연극 다섯 편의 제작과정 및 결과를 통하여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연극 실현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연과 장애 또는 배리어프리 관여 정도에 따라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관여도에 따라 공연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사례 연구의 한계와 발전을 위해서는 시설 접근성 점검을 제안하기보다는 교내 시설에 대한 접근성 상황을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외부 전문가와의 소통 방법과 홍보 및 모객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또한 매뉴얼에서 한정하고 있는 대상 관객이 확대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의 효용성 문제를 대비한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매뉴얼은 다섯 편의 사례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공연의 특성을 살려 창의적인 연극 제작이 가능하다는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다섯 편의 사례는 개정과 증보를 통해 매뉴얼을 발전시킬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사례를 지속해서 축적하여 추후 배리어프리를 시도하려는 창작진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되어, 문화예술 공연 관람 및 감상에 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동등한 예술 향유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which contains the production method of barrier-free plays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In performing arts, performances that focus on audienc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re called barrier-free performances. Nowadays, as barrier-free performances are drawing attention in the performing arts, and as support and production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e need for a manual for producing barrier-free performances centered on creators has emerged.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published by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ontains information on how to produce barrier-free plays,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audiences with disabilities from pre-production to post-performance. This study is centered around the five plays that have been performed at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ased on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For each performance, the study shows how the barrier-free factors were applied using the manual.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results, and limitations of a barrier-free performance. Based on the five case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is effective in realizing barrier-free plays and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by accumulating additional case studies. The manual will not only be a useful guide for creators who want to try barrier-free in the future but also be a step towards providing both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nd audiences without disabilities with equal opportunities to enjoy and appreciate arts.

      • 배리어프리 인증 건축물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연구

        최승철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 on the fact that the evaluative criteria used in the current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are organized with an emphasis on disabled users, resulting in the lack of any increased convenience or satisfaction among ordinary, healthy individuals who use the building. this study approached this issue with the idea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can be raised among the general public by analyzing evaluative criteria capable of reflecting the variety of characteristics that exist among individual users and applying such criteria to the design of construction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cope of users who should benefit,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socially disadvantaged users in the existing evaluative criteria for the barrier free system. Secondly,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s among individuals who use barrier free building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utcomes and to thereby identify the items that require improvement. Thirdly, this study will derive the items of facilities that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of these buildings to present a list of items for improvement.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 reviewed the literature of preceding studies to understand the differentiated features of barrier free and universal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conducted a research of installation items in the facilities installed within buildings. Secondly, I classified the 28 barrier-free buildings selected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nto five groups and conducted an on-site study. Thirdly, I surveyed the satisfaction levels of individuals who use the barrier free buildings and studied the items requiring improvement. Fourthly, I analyzed the surveyed user satisfaction levels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to present a list of items that can enhance users’ satisfaction in these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28 buildings that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barrier free evaluation criteria were categorized into public offices, senior citizen welfare facilities,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and cultural complex facilities based on the designed usage purpose and the individuals who actually use the buildings. The users’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in terms of 12 items, including age, sex, and presence of disabilities, etc. and user satisfaction regarding the buildings were researched in terms of the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convenience facilities, and responses regarding 9 types of facilities including access roads, general parking areas, entryways, hallway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y analysis of the range of user beneficiaries of the barrier free evaluation criteria confirmed that the criteria were weighted toward benefiting users with visual impairments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evaluative criteria were focused on the needs of wheel chair users and those with impairments in the use of their legs, users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users with visual impairments such as blindness or weak eyesight and users accompanied by guide dogs. This is the reason that healthy, ordinary users failed to have a high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benefits of barrier-free buildings, and therefore I argue that the evaluative criteria should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scope of user beneficiaries. Secondly, in the course of analyzing the barrier-free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categorized universal design elements that assist everyon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disabilities, which include the effective width, floor level gaps, inclines, impediments to pedestrians, and non-slippery floor finishes in access ways to the buildings, hallways, bathrooms, etc. Such universal elements are essential features that need to be applied when designing a building, since they will cause users experience significant inconvenience if they are not properly installed, rather than elements that necessarily increas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Thirdly,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ing user satisfaction regarding barrier-free buildings indicated that the satisfaction was at an “ordinary” level despite the application of barrier free design features. This was because the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only modifications designed for disabled users, such as designated parking spaces or bathroom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le excluding items design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healthy, ordinary user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 criteria should be enlarged to include evaluation items aimed at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healthy, ordinary users. Fourthly, the analysis of facilities intended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in barrier-free buildings demonstrated that multi-purpose restroom facilities were a common demand. Users were in need of a multi-purpose space equipped with diaper changing tables, support platforms for toddlers and small children, and facilities for ostomates (individuals who have undergone enterostomy or ureterostomy), which can be shared by all users and which offer various functions and installed facilities. Fifthly,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crease satisfaction regarding a building by age group, and found that user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place importance on the cleanliness of bathrooms and on convenience facilities, while users increasingly demand items related to parking spaces beginning in their twenties. Meanwhile, users approaching their sixties, expressed demand for items promoting safety and rest, such as non-slippery floor finishes and rest lounge facilities.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en designing buildings intended for an unspecified multitude of users, to increase satisfaction for not only soci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such as disabled persons, senior citizens and the infirm, but also for healthy, ordinary users as well. By applying the convenience facilitie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 needs of various users when designing a building as propos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levate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was based on analyses of user satisfaction levels and of items requiring improvement within the scope of items included in the barrier free evaluation criteria, and therefore the study is limited in terms of the range of the items proposed for impro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was unable to offer an empirical analysis comparing user satisfaction levels before and after the building modifications. Therefore, it is left to the task of future studies to analyze user satisfaction level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barrier-free evaluation criteria, and to continue with further research for the revis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는 노동인구 감소에 따른 국가경쟁력 약화, 투자와 소비 위축에 의한 성장잠재력 약화, 광범위한 경제·사회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국토해양부와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변화 중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기반시설 확충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인증제도는 건축물, 도로, 공원 등에 대해서 사회적 약자의 편리한 접근과 이용성 확보를 위해 편의시설을 설계하거나 정비한 후 인증을 받는 제도이다. 건축물의 경우, 본 인증은 34개소, 예비인증은 167개소가 인증되었고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평가지침이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인에게는 정비에 따른 만족도나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평가지침을 사회적 약자는 물론 누구나 편리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배리어프리 인증제도의 평가지침이 장애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건강한 일반인이 건축물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느끼거나 이용만족도가 향상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반인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배려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분석하여 건축물 설계에 적용하면 일반인의 이용만족도가 향상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접근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배리어프리 평가지침에서 사회적 약자로 국한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혜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배리어프리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만족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항목을 도출하는 것이다. 셋째,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건축물의 이용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시설항목을 도출한 후 정비항목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해 배리어프리와 유니버설디자인의 차별성과 사용자 특성, 그리고 건축물 내에 설치된 시설의 설치항목을 조사한다. 둘째,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배리어프리 건축물 28개소를 5개 그룹으로 나누어 현장조사를 한다. 셋째, 배리어프리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한다. 넷째, 조사된 이용만족도와 개선사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설 이용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리어프리 평가지침에 의해 정비된 28개 건축물의 용도와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공공청사,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문화복지시설, 복합문화시설로 분류하였다. 사용자의 특성은 나이, 성별, 장애유무 등 12개 항목을 조사하였고, 건축물의 이용만족도는 편의시설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도와 접근로, 일반주차구역, 출입문, 복도 등 9개 시설에 대해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리어프리 평가지침의 사용자 수혜범위를 분석한 결과, 시각과 지체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와 관련된 항목에 편중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평가지침은 휠체어사용자와 다리가 불편한 자, 그리고 정신장애가 있는 사용자와 안맹, 약시, 맹인안내견 동반자 등 시각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편중되었다. 이것은 건강한 일반인이 배리어프리 건축물을 이용해도 체감도가 높지 않은 원인이므로 평가지침이 사용자 수혜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배리어프리 평가지침 분석 중 장애유무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는 보편적인 설계항목이 분류되었는데 건축물의 접근로, 복도, 화장실 등의 유효 폭, 단차, 기울기, 보행장애물, 미끄럽지 않은 바닥 마감이다. 이러한 보편적 항목은 만족도에 향상보다는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불편을 많이 느끼는 시설항목이므로 건축물 설계 시 적용해야 하는 필수항목이다. 셋째, 배리어프리 건축물의 이용만족도 설문분석 결과, 이용자만족도는 배리어프리 설계가 적용되었음에도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평가지침에 장애인전용주차장, 장애인전용화장실 등의 시설에 장애인을 위한 정비항목만 있고 건강한 일반인의 편의를 위한 항목이 배제되었기 때문이므로 이용자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한 일반인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넷째, 배리어프리 건축물의 이용자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설항목을 분석한 결과 다목적화장실을 공통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기저귀 교환대, 영·유아거치대, 오스트메이트(인공항문, 인공방광 장착자) 대응을 위한 시설 등이 설치된 다용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누구나 함께 쓰고 다양한 기능과 시설이 설치된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다섯째, 나이별로 건축물의 이용만족도 향상요인을 분석하였는데 10대와 20대는 화장실의 청결도와 편의시설을 중요시하고 운전이 가능한 20대부터는 주차장과 관련된 항목의 요구가 커지게 되며, 60대에 근접할수록 안전, 휴식과 관련된 미끄럽지 않은 바닥마감이나 쉴 수 있는 휴게시설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불특정다수가 이용하는 건축물을 설계할 때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는 물론 건강한 일반인도 만족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도입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편의시설 항목을 건축물을 설계할 때 적용함으로서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배리어프리 평가지침의 항목 범위 내에서 이용자만족도와 개선항목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개선항목이 한정적이라는 점과 건축물을 정비하기 전과 후의 이용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개선된 배리어프리 평가지침이 적용되기 전과 후의 이용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지침의 개정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배리어프리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시각장애인용 식기 디자인 연구 : 동아시아 식문화를 중심으로

        장호룡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1992년 유엔은 매년 12월 3일을 “세계 장애인의 날”로 제정 했다. 세계인구가 70억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15%인 7억3천5백만 명 성도가 장애인으로 분류되고 있는 셈이다. 그 후 급속한 사회발전 속에서 장애인과 관련된 편의 장비 및 시설은 각 나라별로 법률로 제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인식제고, 평의시설 확충 등은 통하여 점점 개선 피고 있는 시점 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편의 장비 및 시설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는 인지적 관점의 차이로 인하여 종종 무시되기 쉽다. 중국의 장애인 수는 국가 전체 인구의 약 6.34%, 시각 장애인 수는 전체 장애인 수의 약 14.8%를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편의 장비 및 시설을 많이 찾아보기가 어렵다. 흔한 식당과 같은 곳에서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관련 제품이 드물다. 본고에서는 시각장애인의 감정 욕구의 관점에서 관련 이론과 기술적 지식을 바탕으로 일상에 필요한 장애인 식기에 대한 혁신적인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여 향후 시각장애인과 관련된 식기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전략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배경 소개, 베리어프리 디자인과 감성적 디자인 개념, 시각 장애인들의 심리적 특징과 감성적 요구, 시각장애인들의 식기 디자인 개발, 시각장애인들의 감성적 요구의 장애인 식기 디자인 실현의 6개 부분으로 구성하였으며, 시각장애인들의 감성적 요구를 반영하여 장애인식기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음식문화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식기 디자인 과정에서 쌀을 주식으로 반찬을 곁들여 먹는 반상형(盤床形) 음식문화가 공통인 동아시아권 지역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보다 폭넓은 시각장애인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배리어프리 디자인과 감성적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생리적 특징과 식사습관에 따라 기존의 식기에서 최적화한 새로운 디자인제품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각장애인의 감성적 욕구를 함께 고려해 시각장애인들이 식사 시 불편한 물리적, 심리적 장애를 극복하고 식사 행위에 대한 합리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한다. 시각장애인은 사회적 관심에서 소외된 집단으로 사회 각계각층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 과제에서 우리는 그들이 인간다운 삶과 행복을 느끼고 그들의 법적 권익을 보장하며, 그들의 욕구에 귀를 기울일 수 있으며, 그들이 일상생활 에서 조화롭고, 도움이 되는 생활환경을 만드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barrier free facilities are going deep into people's daily life. More and more attention will be paid to vulnerable groups. When they focus on solving their basic life problems, their psychological needs are often ignored. According to statistics,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in China accounts for about 6,34% of the total population, while the numbe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ccounts for about 14.8% of the total number of disabled people. With such a huge population base, even in the increasingly mature environment of barrier facilities, it is still difficult for us to see them in our daily life, let alone in restaurants everywhere. As the saying goes: "food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people". When we observe the tableware design on the market, there are few related products designed and produced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is the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relevant theory and technical knowledge, the daily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barrier free tableware for innovative design research, which provides a new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future design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This thesis introduces the subject background, emotional design theor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emotional design method of barrier-free tablewar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practice and summary of the design of barrier-free tableware for the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Discuss the design of barrier-free tableware for the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barrier-free tableware design process for the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barrier-free design theory and emotional design theory are used as support, and the existing tableware is optimiz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ning habit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new products are designed. At the same time, it takes into account the emotional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overcomes the psychological barriers caused by the difficulty of eating, and summarizes a reasonable design method for the group's dining behavior. The visually impaired is the most marginalized group and needs due attention from all walks of life. Under this topic, we can respect their personal dignity, protect their legal rights, and listen to their emotional needs. The crowd contributes to creating a civilized, harmonious, and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 歩行空間のバリアフリーから見た 日本の福祉まちづくりに関する研究 : 東京都·高知県·広島県を中心に

        오준수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일본정부가 발표한 2006년도 장애인백서에 따르면, 전국의 장애인수는 약700만 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원활히 하는 복지마을 만들기가 각지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복지마을 만들기의 실천방법인 배리어프리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배리어프리라는 것은, 초창기에는 주택건축용어로 등장되었으나 장애가 있는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장벽이 되는 것들을 제거하자는 의미로, 지금은 그 의미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배리어프리의 실현을 위해서 일본정부는, 1994년에는 「하트빌딩법」, 2000년에는 「교통배리어프리법」 을 제정해 시행해왔으며, 2006년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배리어프리 신법」을 제정, 시행해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05년, 내각부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장애인시책종합조사」에 따르면 아직도 많은 장애인들이 생활 속에서 배리어를 느끼고 있으며, 특히 보행공간의 배리어프리가 절실하다고 말하고 있다. 보행공간의 배리어프리화는 복지마을 만들기의 하나의 과정으로 각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정부주도하의 의무적인 형태이다. 도쿄도세타가야구, 고치현고치시, 히로시마현구레시의 예는 정부의 도움을 받아 지역주민이 주도한 배리어프리마을만들기의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다. 일본정부의 배리어프리최종목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장애의 유무에 상관없이 같이 살아갈 수 있는 「공생사회」의 실현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역의 예와 같이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진행보다는 주민들과의 협력에 의한 지역의 배리어프리가 만들어져야 한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는, 대부분이 고령에 의한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 지금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자기자신의 문제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도, 배리어프리는 앞으로 더욱더 중요한 테마로 자리잡아갈 것이다. According to the 2006 「Disabled report」 announ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 national population of the disabled is 7million people and is in a rising trend every year. Thereupon welfare village establishments enabling public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s in progress at many places, while the interests in barrier-free, a practical method of welfare village establishment is also rising. Barrier-free was first introduced as a term in housing construction, but now the meaning is used extendedly as a word to remove barri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engaging in social life. To actualize barrier-free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nd enforced 「Heart Building Law」in 1994, and 「Traffic Barrier-free Law」 in 2000, and in 2006 to complement these laws,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New Barrier-free Law」, which is the current situation. But in 2005, according to the 「Coordinated Examination on the disabled policy」done by the Cabinet division with the disabled as subjects, there were still many disables who felt barriers in their life, and told that they especially needed barrier-free in pedestrian space. The barrier-free pedestrian space is a process in welfare village establishment, and is carried out among each region, but most of them are duty bounded form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Tokyo, Kochi, and Hiroshima cases are considered successful cases where local residents lead the establishment of a barrier-free village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 The ultimate goal of the Japanese government`s barrier-free is the actualization of 「Symbiosis society」where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can live among themselves regardless of disability. For this, like each region`s example, the region`s barrier-free should be built through the cooperation of locals rather than unilateral policy enforcement by the government. In Japan where ageing is progressing rapidly, most people live with the disabilities from ageing. It may not be so now, but someday it could be one`s own problem. For this reason also, barrier-free will become situated as a more important theme.

      • 한옥 공공건축물의 배리어프리 개선을 통한 현대 한옥의 방향성

        서해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0년대 초반 한옥을 대중적으로 보급하고 일반인들에게 한옥을 접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한옥 공공건축물은 그 수도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서관, 주민센터, 전통공예체험관 등으로 용도도 다양해졌다. 대부분 주거 용도였던 한옥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함에 따라 한옥 역시 다양해진 용도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옥이 공공시설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장애인 및 노유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어려움 없이 경험할 수 있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옥의 구조적 특수성으로 인해 장애인 및 노유약자가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및 노유약자의 한옥 공공건축물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한옥 공공건축물의 배리어프리 디자인 적용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한옥의 현대화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용어를 정리하고 선행연구과 관련 법규를 살펴본다. 이를 가지고 현장 조사표를 작성하여 법적으로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한옥 공공건축물 6개소와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한옥 공공건축물 5개소를 현장조사를 시행한 후 현황을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의 내용을 토대로 편의시설의 항목별로 적절하게 설치된 정도에 따라 ‘모두 적절’, ‘일부 적절’, ‘모두 부적절’, ‘모두 미설치’, ‘검토 불필요’로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옥 공공건축물에서 적절하게 적용되는 배리어프리 디자인 요소와 개선이 필요한 배리어프리 디자인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사 결과와 평가의 내용을 토대로 편의시설 설치 의무사항별, 유형별, 규모별로 대상 시설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편의시설 설치를 법적으로 규정 여부에 따라 적정 설치 여부를 검토한 결과, 법적으로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대상 시설의 적정설치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유형별로 보면 노유약자시설에서 적정설치비율이 가장 높았고 제1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단독주택 순이었다. 그리고 규모에 따라 편의시설 설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중규모의 한옥 공공건축물이 소규모와 대규모 공공건축물에 비해 적절하게 설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은 구조, 용도, 규모, 의무사항과 관계없이 설치되어야 하고 이를 설치하기 어려울 경우엔 개선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옥 공공건축물의 배리어프리 요소가 적극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법적 규제 강화, 인센티브 지원 혹은 인증 제도 확대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 운영 서비스와 연계한 인천국제공항 배리어프리 계획 효율화에 관한 연구

        윤기용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6

        우리나라는 점차적으로 초고령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장애인, 고령자를 포함한 교통약자 역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 항공산업 발전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교통약자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약자에 대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법규 등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단순히 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지나친 예산 낭비 및 실질적인 교통약자 편의증진 효과 얻지 못하는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인 제도는 개선하고 시설과 서비스의 균형을 통한 전체적인 서비스 수준 향상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교통약자 편의시설 현황을 관련 법규에서 정하는 기준과 비교하고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각종 운영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한 배리어프리 계획 효율화 방안을 제도적 측면, 시설 계획 측면, 운영 서비스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동북아 허브공항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시설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비효율적인 시설 기준은 개선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공항과 같은 공공시설물에 대해서는 운영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방안, BF 인증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활성화 방안, 시설 설치의 관점이 아닌 정비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리를 의무화하는 방안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시설 계획 측면에서는 궁극적으로는 배리어프리에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으로 진보되어야 하며 인천국제공항내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시각장애인 및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시설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운영 서비스 측면에서는 안내 서비스가 더욱 확대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현재 국적사 이용객에 한하여 제공되고 있는 항공사 탑승 지원서비스는 외항사 및 저가항공사로도 확대되어야 하며 공항과 연계되는 교통수단별 안내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장애 유형에 대응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화, 자막, 점자, 음성안내 등 다양한 형태의 안내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 부산시 도심·레저형해수욕장의 배리어프리 분석 연구 : BF 인증지표를 중심으로

        최서연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2

        Recently, a lot of efforts are exerted to establish barrier-free (BF) environment where people with mobility handicaps can access, use, and move to the various urban facilities freely in a safe manner.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Certification System for Barrier-Free Environment’ in 2007 in order to get more social attention with respect to establishment of the environment. Howeve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of BF certification indices is still insufficient. Among diverse urban facilities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targeted three famous beaches located near downtown (Gwangan-ri, Song-do, and Haeundae), which are being utilized as recreational and leisure spaces for a variety of visitors. And current situations of the beache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BF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riorities of improvement factors were elic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rveyed scores of BF environment certification factors: 33 points in Gwangan-ri 36 points and 41 points in Song-do and Haeundae respectively showing they did not reach even the average level (70~80 points) which was the lowest grade of BF certification. Thus, an aggressive measure for further improvement of each factor was necessary. The results from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questionnaire about the improvement factors in the aspect of enhancement of satisfaction, and the priorities of improvement thereof targeting BF experts revealed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the following order: intermediate facility (33 points); hygiene and sanitary facility (19 points); continuity of BF walk (17 points); guiding and information facility (16 points); convenience facility (15 point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andards as provided by the existing BF certification system, i.e. hygiene and sanitary facility (30 points), continuity of BF walk (28 points), intermediate facility (21 points), convenience facility (14 points), and guiding and information facility (7 points)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importance the people with mobility handicaps felt about each BF factor. Meanwhile,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AHP weight of BF factors which were estimated through this research, and of the mobility handicapped people’s satisfaction in each factor showed that the actual users perceived intermediate factors, such as stair gap and slope, were the most urgent improvement factors in using and accessing the facilities in the sites.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as for intermediate facility, the stair gaps for approaching the beach was most urgent problem which should have to be addressed promptly, and that as to hygiene and sanitary facility,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toilet, which could be used by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infirm, in terms of ‘respon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led’ was required most urgently. And that as for continuity of BF walk, the urgent problem was the slope of sidewalk inside the beach, and that as to the guiding and information facility,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board and guiding facility as an integrated information facility for deaf and blind people was the top priority. Also that, regarding convenience facility which takes a role as the ‘main entrance of the park facilities,’ the most urgent thing was to build a path which would enable people to make horizontal approach thereto without trouble of stair gap. This study was focused on drawing out the importance of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the beaches located near downtown in Busan as in BF environment, and provided basic materials which would be of help in planning reorganization of the beaches as BF environment. However, it is regretful that the study hasn’t conducted economic analysis at the time of making decision on the improvement priorities, and also hasn’t produced detailed BF designs according to each beach.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BF designs for a specific beach should be conduct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which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 are included.

      • 베이비부머의 주거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지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18

        현재 많은 주택이 들어서고 있으나 획일화가 되어 있고 고령 인구의 증가에 따라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택 수요에 맞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급격히 늘어날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거 선호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베이비부머에 대한 연구는 베이비부머가 고령기로 접어드는 201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기존의 연구들이 베이비부머의 경제적인 상황이나 지원시설 및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따라서 주거 내·외부에 관한 베이비부머의 의견에 관한 데이터가 충분치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베이비부머가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주거 환경에 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 출생)가 선호하는 주거 특성을 파악하고자, 주거 선호 사항인 주거 환경, 주동, 실내 환경, 실내 디자인을 범주로 하여 각 문항별 선호도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주택에 관한 의견 또한 주거 환경, 주동, 실내 환경, 실내 디자인을 범주로 하여 각 문항별 주택 선호도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선행연구 20건을 기초로 하여 공통이 되는 문항들을 조사 도구 초안으로 작성한다. 둘째, 노인 주거 사례 조사 및 현장 조사 분석을 통해 연구 목적에 맞게 추가될 문항과 제거될 문항을 수정하여 최종 조사 도구를 완성한다. 셋째,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곧 노인 세대가 되는 베이비부머를 위한 배리어프리 설문조사 문항을 추가로 구성하고자 배리어프리 인증 건물인 고령자 공동주택 한 곳을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 범위로는 지하 1층과 지상 4층, 옥상 공간이며, 주거 환경, 주동, 실내 환경, 실내 디자인 순으로 주택 내 각 층별 모든 공간에서 거주자가 편하게 이용이 가능한 배리어프리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또한 해당 조사는 고령자나 장애인이 존중받을 수 있는 주택의 가치와 개발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기에, 조사 문항으로 구성한다면 추후 공간 디자이너의 디자인 계획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현장 조사 이후 최종 조사 도구를 완성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하는 문항은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이외에 개인적인 질문은 지양하였으며, 거주자로서 주거 내·외부에 관한 평가와 의견을 구하는 형태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먼저 주거 선호도의 중요도 결과는 주거 환경에서는 주차 환경, 주동에서는 도난 및 범죄로부터의 안전, 실내 환경에서는 도난 및 범죄로부터의 안전, 실내 디자인의 공통 문항에서는 전체 실내 공간의 배치, 현관 문항에서는 한 가지 문항인 현관의 크기, 주방 문항에서는 상부 및 하부 수납장의 높이, 거실 문항에서는 거실의 크기, 안방 문항에서는 안방의 크기, 욕실 문항에서는 욕실의 바닥재 재질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각 범주별로 살펴보았을 때, 실내 환경이 가장 중요한 문항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베이비부머가 주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호 사항들을 잘 고려하여 주거를 계획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주택에 관한 의견에서는 주택 선호도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선호도 의견에서 주거 환경은 일반 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심, 환경이 쾌적한 곳, 병원이나 약국 시설이 근접한 곳, 편의시설이 많은 곳, 주동은 위급 시 빠른 대처가 필요한 장치, 실내 환경에서는 채광이 잘 들어오는 곳, 실내 디자인은 문턱이 없는 살기에 안전한 주택, 마감재의 고급화, 기타는 실속형 노인 맞춤형 주거지의 다양한 형태의 개발 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 의견에서는 지금 짓고 있는 아파트들이 먼 미래에 실버타운으로 바뀔 듯한데 가격이 적당했으면 한다, 전원주택에 이주하고 싶은데 편의시설이 적어서 고민이 된다 등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가 조사한 범위 외에 베이비부머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거 선호 및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고, 향후 후속 연구에서 필요한 조사 문항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자료는 베이비부머의 주거 선호 사항인 주거 환경, 주동, 실내 환경, 실내 디자인에 대해 중요시하는 사항을 확인할 수 있어서 가치가 있다. 또한 향후 베이비부머 대상 주거계획에 도움이 되고, 추후 건강한 노후를 위한 주거 내·외부 환경을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an increasing number of residential buildings are being built, most of such residential buildings are standardized, and are failing to meet the housing deman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as the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super-aging Korean society,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housing preferences and nee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e size of which is anticipated to increase exponentially. Research on baby boomers begun in earnest after the year 2010 when the boomers approached an advanced age. However, previous studies were focused mainly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baby boomers or on the facilities or services that support their livelihood. As it is deemed that there exist insufficient data related to the opinions of baby boomers on interior and exterior housing environment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allow baby boomers to lead a healthy lifestyle during their declining year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ousing preferences of Korean baby boomers (the demographic cohort born between 1955 and 1963) by analyzing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the preference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unit, indoor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which are factors that determine housing preferences, and by studying the opinions and preferences of baby boomers and the problems identified by baby boomers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unit, indoor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The research method and flow for conducting the study are stated hereinafter. To begin with, based on 20 preceding studies, the common factors identified from those studies were selected and drafted as research tools. Secondly, by conducting case studies on the housing of elderly citizens as well as an on-site survey and analysis, certain survey items were added and delet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Subsequently, the research tools were finalized,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 summary of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provided hereinafter. Initially, in order to add a survey item related to “barrier-free” for baby boomers who will become elderly citizens in the near future, an on-site survey was carried out on an apartment building for the elderly. This building has received a “barrier-free” authentication. The on-sit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ower ground floor, the fourth floor, and the rooftop space of the aforementioned building.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to be barrier-free and can be conveniently accessed by the residents were investigated, in every space of every floor of this apartment building, in the following order: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unit, indoor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The on-site survey helped to highlight the value of residential buildings in which elderly citizens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respected, an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such buildings. Hence, it was deemed that this survey item would help space designers to plan their designs in the future. Next, the research tools were finalized after the on-site survey was carried out. Subsequentl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online survey excluded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matters and focused more on the demographical and socio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urvey questions were structured in a way that seeks the respondents’ remarks and opinions relat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ir housing units. Responses to the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level of importance of housing preferences showed that, in “residential environment,” parking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in “residential unit” and “indoor environment,” safety from burglary and other crime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s for “interior design,” the layout of the entire indoor space, the size of the entrance,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cabinets, the size of the living room, the size of the main bedroom, and the material used for the bathroom floor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common space,” “entrance,” “kitchen,” “living room,” “main bedroom,” and “bathroom” categories, respectively. An observation of the above outcome based on each category revealed that “indoor environ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aby boomers. In this regard, it was deemed that housing plans need to be mad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ors that the baby boomer population places the biggest emphasis on. Then, with regard to the opinions of baby boomers on residential buildings, the housing preferences of baby boomers as well as the problems identified by the boom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a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baby boomers prefer urban areas with access to general public transportation, places that have pleasant surroundings, places that have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and pharmacies in the vicinity, and places with many convenient facilities. As for “residential unit,” baby boomers prefer equipment that allow a prompt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and residential buildings that pursue safety. As for “indoor environment,” baby boomers prefer places with enhanced standards for floor noise and places with well-lighted spaces, while as for “interior design,” they prefer safe residential buildings that do not have doorsills and that have been built using high-quality finishing materials. For “others,” it was identified that baby boomers prefe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practical residential areas that are tailor-made for elderly citizens. As for the problems pointed out by baby boomers,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price of newly built apartment complexes that are anticipated to be transformed into silver towns in the future, and also about th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in suburban housing districts to which they have an intention to move. These opinions helped the researcher to identify the housing preferences and problems that are prioritized by baby boomers, which can be used as survey items for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help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prioritized by baby boomers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unit, indoor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preparing housing plans for baby boomers in the future.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for planning and managing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that enable elderly citizens to lead a healthy lifestyle during their declining years.

      • 치유환경요소 사례분석을 통한 노인복지주택 공간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이동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588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출생과 사망의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인구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인구의 고령화에 관한 관심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을 치유할 수 있는 치유환경에 대한 관심이 동시에 높아졌다. 현재 의료계에서도 치유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과 연구자들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다. 치유환경에 관한 기존연구는 종합의료시설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노인주거시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실내 환경 가운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치유환경은 일반 의료시설에서 뿐만 아니라 노인주거시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으로 안정된 삶을 위한 치유환경이 필요하며 치유환경으로 인하여 노인의 건강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알아야한다. 나이가 들수록 노인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생긴다. 노인주거시설에서 노인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치유환경을 찾아야 한다. 노인주거시설은 수용적 보호행태가 아닌 삶의 질을 높이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여 노인의 건강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복지주택의 치유환경요소를 분석하여 평가 후 노인복지주택을 사용하고 있는 노인의 삶의 질에 주목하고 삶의 질을 향상 및 치유 할 수 있는 공간계획을 제안함으로서 향후 노인주거시설의 치유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