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이브 커머스에서 방송인 표정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라이브 커머스 방송 위주로

        전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방송인의 표정과 방송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정보,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서로 얽혀 있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방송인의 슬픈 표정이 더 강한 구매 의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이 방송인에 대한 동정심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방송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정보가 방송인의 표정과 구매 의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가 없는 경우 소비자는 방송인의 표정에 더 집중하여 슬픈 표정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지만,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가 방송인의 표정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 커머스 분야 실무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방송인의 표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촉진하며, 방송인의 표정과 동정심이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anchor's express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anchor's plight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live streaming. It wa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at the anchor's sad expression triggered stronger purchase intention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were driven by sympathy for the anchor. In addition, we found that information about the anchor's predica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the anchor's express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consumers focus more on the anchor's expression, resulting in a more significant effect of the sad expression. Conversely, in the presence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minishes the impact of the anchor's expression. This study provides an actionabl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e-commerce, promotes in-depth research on anchor’s facial expressions, and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anchor’s facial expressions and sympathy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 방송환경변화에 따른 방송인 재교육에 관한 연구 : 방송인 재교육 현황을 중심으로

        성대석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addition to the opening of full-scale satellite broadcasting, the broadcasters who are the subject of the broadcast program production have to cope with such changes of broadcast environment, satisfy various TV audience, and to fulfill new cultural desire of the audience who requires the internationalism of TV programs so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re-education for the broadcasters is essential. Between the discussions about the broadcasters' re-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art is 'the broadcasters' specializ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way of improvement of the broadcaster re-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ways of practice for the broadcasters' specialization and supposed the subject of the study like the followings. First, what are the specialized broadcasters' phases which are required as the broadcasting technical environment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education which coincide with it? Second, how is the structure of current domestic broadcasting human power and present condition of broadcaster re-education abroad? Third, what are the problems of domestic broadcaster re-education and what are the ways of improvement of broadcaster re-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o analyze these problems deeply, we made a study focu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changes of broadcasting environment, the necessity,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re-education program. To grasp how the broadcasters acknowledge about the current changes of broadcasting environment, we examined about 2 kinds of inqui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quiry, the average of the current changes of broadcasting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degre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it's shown that it's acknowledged that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very abruptly. In the broadcasters'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it's shown that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is very high, but in comparison with such necessity, the degree of the broadcasters who have actually re-educated was very low. Therefore, it means that the necessity by itself is very difficult to be re-educated actually, 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broadcasting sta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e can find that the broadcasters feel that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rapidly together with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and the changes of audience's desire change fast. To examine the broadcasters' recognition about the broadcaster re-education, we inquired into questionnaire related to re-educ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broadcaster re-education showed high degree and through it we can find that the broadcasters think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is very important. We can also find that even though the broadcasters know it's very important to be re-educated, rare opportunity is offered to them. In spite of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is felt with very high degree, compared with such necessity, the broadcasters who are actually re-educated were rare. Accordingly, it shows that with only simple necessity the needed information acquiring education is very difficult 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broadcasting sta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questionnaire which asks what the problems of re-education are,they represented the lack of consideration in the organ of expression where they belong to, lack of time to study by themselves, lack of the contents of instructor's lecture, incongru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others in detail.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human power requirement through the execution of satellite broadcasting and digital broadcasting;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focused on thorough broadcasting spot is needed and for current employees' re-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educational program in each field focused on duty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Second, the security of professor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broadcasting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contemporary educational curriculum are necessary. Third, for the improvement of supplement of the personnel, the objectivity and rationality of the way and standard of evaluation about a newcomer and experiences man should be secured. Fourth, legalistic and systemic support of the government should be accompanied.

      • 창의적 방송인력 양성모델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 분석 및 전문가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정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6

        Title : A Study on the Model of Cultivating Creative Broadcasting Professionals – focusing on Curriculum Standards Analyses and In-depth Interviews on Specialist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hanged the nature of the media industry as well as industrial structure. These changes subsequently diversified production formats and eventually developed broadcasting technology. In particular, from the new media generation represented by terrestrial TV channel, cable TV, satellite TV, DMB, IPTV to HDTV, UDTV, 3-Dimensional TV, and Hologram, broadcasting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great improvement. This change of broadcasting environment requires not only the reorganization of manpower structure in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duction companies, but also the curriculum of broadcas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istical servic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39 universities and 167 colleges in Korea have Broadcasting related majors. That most universities of 406 including colleges have Broadcasting related majors proves the significance of them in both university admission and employment. This qualitative growth is remarkable achievement, but there is a issue about the quality of broadcasting education. It has been over half a century since Journalism and Broadcasting was introduced as a new area of study and trained broadcasting professionals.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Broadcasting has become a representative major in universities with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of Speech, but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ir curriculum focuses on theories and lacks of practice. For this reason,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rospection of Journalism and Broadcasting allows its curriculum reorganized for decad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journalism, there’s still a big question mark hanging over its concrete achievements. In contrast, the growth of video related departments of colleges that embrace the changes in medi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remarkable. The acceptance of criticism that initial two-year departments of hands-on production train technicians to be passive as being required in the field made a change into three-year so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train professional producers who are superior both in theories and practice and training, but the important thing is how much reflect the needs of industrial sit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dicated parts above and separate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ultivating Creative Broadcasting Professionals as planning / directing technical staff manpower training course and analyze the usefulness of curriculum and methodology that were selected for cultivating broadcasting professiona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specialists. Meanwhile, the involved target of research was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National Department of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and the table of academic department classification in universities nationwide, or was selected through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Education Statistics Services. However, this study selected the target of research as human planning / directing staff and broadcast technical personnel, focusing on the target of department in universities that introduced for emitting and educating the broadcasting personnel on web site of 139 universities that are attached to College Education Council and 201 universities that are attached to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select a more specific target,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Research Questions 1-1. the composition of 2/3-year college’s planning/directing specialist training 1-2. the composition of 2/3-year college’s broadcasting technology specialist training 1-3. the composition of 4-year college’s planning/directing specialist training 1-4. the composition of 4-year college’s broadcasting technology specialist training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mposition of broadcasting related departments and their main curriculum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 of broadcasting related departments of 2/3-year colleges and the composition of broadcasting related departments of 4-year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tried to diagnose the process of cultivating broadcasting specialists who are being educated in terms of present respectiv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rates taken by the curriculum of broadcasting / directing training and broadcasting technology and the curriculum of broadcasting manpower that are directly become a part of the field after separating broadcasting 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ies as the curriculum of planning / directing and broadcasting technology.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cultivating talents in the broadcasting production and supply and demand in industry? An in-depth expert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bove. University of curriculum planning / directing divided into parts and broadcast technology and the analysis results presented to industry professionals at the University of the current broadcasting industry for workforce training needs and industry in the field looking for the analysis of higher education investigated.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opinion of universities toward the demand of improvement of broadcasting specialists’ training that has been raised for decades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universitie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of curriculum.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could analyze the cause of supply and demand’s imbalance about the education of broadcasting manpower that exists between universities and on-site.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higher education for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미디어 산업의 성격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제작 포맷의 다변화와 그에 따른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특히 방송 기술의 발전은 지상파와 케이블TV, 위성TV, DMB를 넘어 IPTV로 대표되는 뉴미디어 시대를 열고 다시 HDTV에서 UDTV와 3D입체 영상에서 홀로그램으로 발전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방송 환경의 변화는 방송사와 제작사의 인력 구조 개편과 더불어 대학의 방송인력 교육 과정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 하게 되었다. 교육부의 교육통계 서비스에 의하면 전국의 방송관련 학과는 일반대학 239개, 전문대학 167개에 이르고 있다. 전문대학을 포함한 전국 406개 대학 중 대부분의 대학에 방송관련 학과가 개설 되어 있을 정도로 방송관련 학과는 대학의 입시와 취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송관련 학과의 양적 성장은 주목할 결과 이지만 문제는 방송인력 교육의 질이다. 새로운 학문으로서의 신문방송학이 도입되고 방송 인력을 양성한지 반세기가 넘어섰다. 신문방송학과는 지금까지 방송인력 교육과 관련, 4년제 대학의 언론홍보학부와 더불어 대표적인 학과로 자리 매김 했지만 대부분 이론 위주로 실용성 있는 교육을 기대 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러한 이유로 방송학 전반에 대한 방송학계 내·외부의 비판적 성찰이 지난 수십 년간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이어졌지만 방송학의 특성상 그 현실적인 성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있다. 이에 비하여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영상관련 학과의 성장은 주목할 만하다. 초기 제작실습 위주의 2년제 학과들이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동적인 기술자를 양성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3년제로 전환하면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전문 제작자 양성이 가능해 졌지만 중요한 것은 산업체 현장의 요구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분에 주목하여 방송핵심인력 양성 학과의 교육과정을 기획/연출인력 양성 과정과 방송기술인력 양성 과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지금까지 대학이 방송핵심인력 양성을 위해 선택한 교육과정과 방법론의 유용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그동안 관련된 연구의 대상은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와’ 전국 대학 학과 분류표를 기준으로 하였거나,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등을 통해 선정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좀 더 구체적인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대학교육협의회’ 소속 139개 대학과 ‘대학교육협의회’ 소속 201개 회원대학 중 홈페이지를 통해 방송관련 인력을 교육, 배출 한다고 소개한 학과를 중심으로 직접 제작 투입 인력인 기획/연출 인력과 방송기술 인력을 교육하는 학과로 연구 대상을 선별, 선정하고 다음의 연구문제를 도출 하였다. 연구문제 1-1. 2/3년제 대학의 기획/연출 인력 양성 교육 과정 구성현황 1-2. 2/3년제 대학의 방송기술 인력 양성 교육 과정 구성현황 1-3. 4년제 대학의 기획/연출 인력 양성 교육 과정 구성현황 1-4. 4년제 대학의 방송기술 인력 양성 교육 과정 구성현황 이를 통해 대학의 방송관련 학과 현황과 주요 교육 과정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방송관련 학과 현황과 교육 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 하였다. 또 대학의 방송관련 학과를 크게 기획/연출 교육 과정과 방송기술 교육 과정으로 구분하여 직접 투입되는 방송인력 교육 과정의 추이를 분석해 냄으로써 2/3년제 대학의 기획/연출 과정과 방송기술 과정, 4년제 대학의 기획/연출 과정과 방송기술 과정이 차지하고 있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대학이 각각의 관점과 입장에서 교육하고 있는 방송인력 양성 과정에 대한 진단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2. 대학의 방송제작 인력 교육 과정과 산업체 수요와 공급의 차별성은 존재하고 있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대학의 교육 과정을 기획/연출 부분과 방송기술 부분으로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를 전문가들에게 제시하여 현재 대학의 방송인력 교육 과정에 대한 산업체 현장 필요도 및 산업체에서 바라보는 대학 교육 과정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육 과정 개선과 관련한 대학의 의견도 분석 하여 지난 수십 년간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방송인력 교육 과정의 개선 요구에 대한 대학의 의견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산업체 현장과 대학 사이에 존재하는 방송인력 교육에 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3. 산업체가 요구하는 방송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 과정의 개편 방향 은 무엇인가 이를 통해 산업체가 요구하는 방송인력 교육 과정과 대학의 교육 과정 사이에 존재하는 괴리감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대학의 방송인력 교육이 지향

      • TV프로그램에 따른 放送人의 이미지 메이킹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TV扮裝, 헤어, 衣裳을 中心으로

        김민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e image making of telecaster in TV program on the basis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so that it coul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broadcast staffs in broadcast fine arts, and help them to produce ideal broadcast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makeup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makeup coordinators thought that depending on program, broadcast makeup is different from common makeup in the aspect of technique and style, and valued face type, eyebrow and eye shape in the aspect of face profile as a makeup factor. In regard to main points for telecasters' makeup presentation,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image in news programs, while focusing on highlighting individual characters in entertainment programs. And for standing gag program, it was found that male gagmen focused on makeup true to script, while female gagmen focused on pretty makeup.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possible relations between hair styling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it was found that some hair styling factors were considered critical(e.g. face type, hair length, hair color and hair wave). In regard to main points for telecasters in hair styling,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style and image in news program, while focusing on highlighting individual characters in entertainment programs. For standing gag programs, it was found that our telecasters focused on character images expressed in script.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n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costume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it was found that face type, stature, weight, costume color and style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costume factors. In regard to main points of telecaster's costume, it was found that male anchors in news program focused on selecting color of tie and shirts, while female anchors focused on design, neckline and color. For entertainment programs,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style. And for standing gag programs, both male and female gagmen focused on costumes true to given character.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n telecast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it was found that telecasters valued all the 3 factors, independent of program type. According to analysis on telecaster's awareness about the contribution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to coordinating broadcast, it was found that our telecasters found makeup and hair styling helpful to coordinate broadcast, and MC had higher tendency to think makeup helpful for broadcast coordination than anchors and gagmen. Fifth, in view of telecaster's images depending on program, the analysis on telecaster's images broadcast staffs pursue showed that most ideal anchor images included reliability, intellect, approachability, sophistication, faithfulness, warm-heartedness, confidence and high culture. And it was noted that sensual image was the most ideal MC image in entertainment, while funny and cute image was the most ideal gagman image that would deserve pursuing. 현대사회는 이미지 시대다. 자신의 내적인 요소를 아름답고 훌륭하게 연출하여 외모를 가꾸는 사람이 인정받고 성공하는 시대다. 또한, 최근 디지털 방송의 실시와 HDTV의 본격적인 실시를 앞두고 방송미술 분야인 방송분장, 헤어, 의상분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방송인들은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이미지 메이킹에 관심을 갖고 있고 이러한 방송인의 이미지 연출에 분장, 헤어, 의상 등 시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호감이 가는 방송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방송인의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방송미술 분야의 분장, 헤어, 의상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적합한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을 위해 실무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 중에서 TV프로그램에 따른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방송미술 분야인 방송분장, 헤어, 의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방송인의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있어 방송분장, 헤어, 의상이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방송미술 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물론 프로그램 제작에 따른 이상적인 방송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상파 방송국과 케이블 방송국에서 방송미술 분야인 분장, 헤어, 의상을 담당하고 있고 방송 프로그램별로는 뉴스, 오락, 개그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20~40대 남녀 30명의 실무자와 앵커, MC, 개그맨 등 방송인 28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χ2(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장과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장사는 방송분장이 프로그램에 따라 분장의 테크닉과 스타일면에서 일반화장과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분장요소 중에서는 얼굴윤곽 중에서 얼굴형과 눈썹, 눈의 형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방송인의 분장 연출시 주안점으로는 남녀 방송인 모두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이미지에,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개성을 부각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고,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남자 개그맨은 대본에 충실한 분장을 여자 개그맨은 예쁘게 분장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와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용사는 방송헤어가 프로그램에 따라 헤어의 테크닉과 스타일면에서 일반헤어와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헤어요소 중에서는 얼굴형과 모발의 길이, 모발의 색상, 모발의 웨이브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방송인의 헤어 연출시 주안점으로는 남녀 방송인 모두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스타일과 이미지에,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개성을 부각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고,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대본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상과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코디네이터는 방송의상이 프로그램에 따라 의상의 색상과 스타일면에서 일반의상과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의상요소 중에서는 얼굴형, 신장, 체중, 의상의 색상과 스타일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방송인 의상에 대한 주안점으로는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남자 앵커는 넥타이와 셔츠의 색상선정에 여자 앵커는 디자인과 네크라인, 색상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고,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남녀모두 유행과 스타일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으며,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남녀모두 캐릭터에 맞는 의상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장, 헤어, 의상의 중요성에 대한 방송인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방송인은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분장, 헤어, 의상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분장, 헤어, 의상이 방송 진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방송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방송인들은 분장, 헤어, 의상이 모두 방송진행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나, 프로그램 중에서는 오락 프로그램의 MC가 앵커와 개그맨보다 분장이 방송 진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따른 방송인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스태프가 추구하는 방송인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와 ‘지적인 이미지’, ‘교양 있는 이미지’, ‘자신감 있는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는 앵커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으며, ‘관능적 이미지’는 오락 프로그램의 MC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고, ‘재미있는 이미지’와 ‘귀여운 이미지’는 개그맨의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다. 또한, 방송인이 추구하는 방송인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와 ‘지적인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따뜻한 이미지’, ‘교양 있는 이미지’는 앵커가 가장 많이 추구하였고, ‘세련된 이미지’와 ‘성실한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는 MC가 가장 많이 추구하였으며, ‘재미있는 이미지’와 ‘귀여운 이미지’는 개그맨이 가장 많이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방송언어로서의 사투리에 대한 방송인과 일반인의 인식도 연구

        임명숙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정보예술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5

        Although there is a stipulation that broadcasting terminology should be the standard language, the brogue in broadcasting programs is still used. In addition, programs inspiring the local feelings or using the accents intentionally often stir up the televiewer's interests with the opening of. the private local broadcasting and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This study focus on the question that the brogue is inappropriate language in broadcasting programs. To solve the question, we have take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onsciousness between the broadcaster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oll survey. By the survey, we can come to some conclusions. These are the following. First, we have researched the use of brogue with the kinds of programs(namely drama, quiz, news, etc). In the discussion, interview or news programs, broadcasters answer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accent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ile the general public and college students are strict to the use of accent. Also in these kinds of program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In the sports program,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broadcasters. In the drama or show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In the children, discussion, interview or popular song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announcer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thos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composition, reporting or technology. Secon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broadcasting station(namely central, local and cable). In the use of accent of central broadcasting, the broadcasters are more generous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lso women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men. Broadca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han those working in Seoul. Thir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the person charged with the program(namely announcer, MC, reporter, etc). In the case of announcer and anchor man in new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Against our expectation, the general public, the college students and broadcas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broadcasters and those working in Seoul. This study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brogue in broadcasting. Through the analysis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brcacasters and the those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So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can use the brog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and the personality of broadcasters, rather than it should be always the standard language.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analytic scheme as well as time and space, this stud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 방송 저널리스트 인력 양성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대학의 바람직한 인력 양성에 관한 방송사 저널리즘 분야 실무자들의 제안을 중심으로

        정성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26

        Nowadays, broadcasting study circles are meeting enormous transition period of paradigm. Especially, engaged workers require that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way of thinking about forme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broadcasting. In order to endure the point of changing time, there should be fundamental re-setting up in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to say, it is urgent matter to find the effective solution planning for education of broadcast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which is needed on site operating. At first, for this, there should be the first solution that is to achieve curriculum or expand of intern system between schools and industries. Also, according to experience hand to promote entering academic circles that should break down the walls between schools and industries Secondly, three dimensional educations, which are focused on whole rounded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broadcasting and included developing creativity and cultivating personality, should be established. This means, it should be set the base of student’s training ability to solve and analyze the problems by changing the view of society and the way of thinking. Thirdly, with the developing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amalgamation betwe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t should lea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ll over the media and raise the opportunity of experience. Professors should be aware of issue of media changing in advance and organize panel discussion to discuss with students. According to those options, new mode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university should be established to be consistent with new age. In order to find out original solution, this research has been tried to listen to voice of all those different experienced workers and look for solution about this. 지금 방송유관학과의 방송인력교육은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방송 실무자들은 방송유관학과 기존의 방송인력 양성교육의 사고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를 요구하는 시점에서 방송유관학과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립이 필요하다. 즉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방송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선 첫째, 현업과 학교가 같이 할 수 있는 산학연계 커리큘럼이나 인턴제도의 확대가 가장 먼저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현업경험자의 학계진출을 높여 학제간의 벽을 허물어야 한다. 둘째, 전인적인 방송인력양성을 목표로 학생의 창의력 계발 및 인성의 함양을 포함한 입체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를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과 발상의 전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미다. 셋째,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방송통신융합이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미디어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깊이 있는 경험의 기회를 늘려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교수들은 미디어 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들을 미리 파악하고 학생들과 함께 토론할 수 있는 공론장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들 방안을 통해 새 시대의 조류에 부합할 수 있는 대학의 새로운 방송인력 양성모델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점을 찾고자 방송현업진들을 찾아가 현장을 목소리를 듣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 방송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정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broadcast staff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nd their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dissonance, a sub-factor of emotional labor of broadcast staff was highest in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oadcast staff, showing negative 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Second, emotional labor of broadcast staff had positive relation with burnout . Third, job stress of broadcast staff had negative 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oadcast staff, and in particular, out of the three predictor variables of job stress, depression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y, job stress of broadcast staff was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of broadcast staff. Conclusively, broadcast staff experienced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because of dissonance between emotions required in broadcasting and personal emotions, and their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In this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to present general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ism of broadcast staff,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grams through raising the morale broadcast staff, and to establish broadcasting environments in which they focus on broadcasting.

      • 스포츠캐스터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 스포츠 전문채널을 중심으로

        한명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6

        방송 초창기에는 아나운서가 모든 출연자를 대변하였다. 그러나 방송의 발전과 함께 아나운서는 뉴스는 기자에게,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MC는 연예인에게, 교양 프로그램의 MC는 프리랜서 방송인에게, 넘겨주고 그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방송인의 전문화 추세에 자연스런 일이다. 최근에 와서는 각성의 소리가 높지만 이미 대세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출연자의 기용이고, 결국 전문화로 가고 있다.본 연구는 이런 변화하는 방송인 전문화중에서 스포츠캐스터라는 직업의 전문화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이런 추세 속에서 그동안 아나운서 고유의 영역이었던 스포츠캐스터들도 전문화해야 한다. 이것은 시청자의 높은 지식 수준과 욕구에 걸맞게 변화하는 과정이다. 이것이 바로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이다. 이것은 비로소 스포츠캐스터라는 직종이 살아남기 위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을 살펴보고, 방송인 전문화 연구를 통해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 필요성을 알아보고 실제 현업 스포츠캐스터들의 예비 서베이와 심층 면접을 등을 통해 현실적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 하였다.첫째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는 왜 필요한가?둘째 공중파의 스포츠캐스터 전문화는 무엇이며, 어떻게 이뤄졌는가?셋째 스포츠 전문채널의 캐스터의 전문화는 무엇이며, 공중파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넷째 보다 전문화된 스포츠캐스터의 육성을 위한 제도적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가?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각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공중파는 아나운서가 하고 있는 다른 직군, 즉 MC, 뉴스앵커, DJ 등과 방송전문화 과정에서 대치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었고, 반면 스포츠 전문채널은 종목별 전문화에 대한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두 매체의 스포츠캐스터가 모두 전문화가 시급하며, 이상적으로는 종목별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었다.둘째 공중파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는 주어진 환경 속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아직 낮은 시청률과 편성시간의 문제로 스포츠 프로그램이 서서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지만, 대신 스포츠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등 종합대회 위주로 편성되면서, 그 종합대회위주의 전문화를 추진하고 있다. 결국 4년에 한 번씩, 혹은 2년에 한 번씩 진행되는 종합 대회의 사이클에 따라 다른 일을 하면서, 종합대회 기간이나 그즈음해서 집중적인 교육과 방송에 투입되어 활약하기도 한다. 현실적으로 젊고 연차수가 낮은 스포츠캐스터들은 4년에 한 번 주어질지도 모르는 기회를 위해서 올인하기 보다는 보다 다양하고, 인지도 높은 뉴스캐스터나, MC 등의 직무를 소화하면서, 종합대회 중계 캐스터진에 합류하길 바라면서, 준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스포츠 경력 15년 이상인 스포츠캐스터들은 서서히 본인의 주 종목에 따라 종목별 전문화 과정으로 걸어가고 있었다.셋째, 스포츠 전문채널의 캐스터들은 출발부터가 스포츠캐스터라는 점에서 이미 상당한 전문화가 실현된 직업이다. 현실 여건에서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스포츠채널의 현식적인 복리나 급여, 혹은 대외적인 매체력에서 아직 공중파와 비교하기 힘들다. 그러다 보니 인력의 수적, 질적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그 인원이 절대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화과정에 필요한 시간적 제도적 지원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고, 그에 따른 전문화도 종목별로 많이 이뤄지고 있으나, 미흡하다.넷째 이런 현실적 문제에도 스포츠캐스터 전문화는 이뤄져야 하고 몇가지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스포츠캐스터의 자유계약제도나, 인턴쉽의 적극적인 활용, 인력풀제의 도입, 재교육 시스템의 도입 및 합평회의 상시화 등을 통해 완벽한 스포츠캐스터 전문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본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차별화된 종목별 전문화, 스포츠캐스터와 방송사의 스테이션 이미지의 구축, 이를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편성, 인력의 활발한 운용, 자유계약제도의 시행 등을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On the early stages of broadcasting, announcers represented all telecasters and performers who appeared on TV. However,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has led announcers to pass over news programs to reporters, entertainment program MCs to entertainers and 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to freelance broadcasters making their positions narrower. Such reality is natural for the trend of professionalism of broadcasters. Recently, there is a high voice of awakening and consciousness but the general trend of broadcasting is already employing performers fit for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ogram, eventually to professionalism.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job 'sportscaster' among ever-changing jobs related to broadcasting. Under the trend, sports casting, which was once recognized as the unique domain of announcers, needs to be professionalized. It is a natural process in order to meet the high level of knowledge and desires of viewers. It is a procedure sportscasters must go through in order to survive as a vocation sportscaster. This study will look over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to research how to professionalize sportscasters and find out why professionalism of sportscasters is necessary through studies of specialization of broadcasters. It will find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job through preliminar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portscasters in service. For these reason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ssues:Firstly, why is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necessary?Secondly, what does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mean in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s and how does it take place?Thirdly, what does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mean in sports channel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terrestrial channels?Lastly, which systematic methods can bring up more professionalized sportscasters?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Firstly,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is necessarily required but the characteristicsof media are recognized differently. On one hand, the terrestrial channels recognize sportscasters differently from announcers --- that is a concept contrary to the courses of professional broadcasters such as MC, news anchor and DJ. On the other hand, sports specialized channels are aware of the specialization by sports.Both media urgently require sportscasters to be specialized and ideally pursu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by sports.Secondly, sportscasters in the terrestrial channels have been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under the given environment. Even though sports programs are gradually reducing due to low ratings and restricted programming time, broadcasting channels program big sporting events such as the Olympics or Asian Games driving forward to be specialized on the basis of all-round games. This means that, while sportscasters join other jobs under the cycle of all-round sporting events held once every two or four years, they show their ability by training intensively during or near the certain period. In reality, many young and less experienced sportscasters prepare theirfutures by working as news anchors or MCs in various fields hoping to join the team of sportscasters in an all-round sporting event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an opportunity that might come every four years. On the other hand, sportscasters with more than fifteen years experience are taking their ways by specializing their own types of sports.Thirdly, it can be said that specialization is realized for sportscasters in sports specialized channels from the start. However, they face many kinds limitations under the actual circumstances. Welfare, wage or media power of sports channels cannot be compared to terrestrial channels. For the reasons, they are faced with manpower limitation both numerical and qualitative. Since sports channels lack of human resources, it is impossible to provide systematic and timely support necessary for the specialization course. Although specialization is under process according to type of sports, it is still far from adequate.Lastly, even under the realistic conditions,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is inevitable and systematic systems are necessary. The specialization of sportscasters can be realized through activeutilization of internships, introducing freelance sportscaster system, manpower pool system, re-education system and regular panel discussion.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ies including differentiated specialization by type of sports, building station images for sportscasters and broadcasting channels, active promotion and programming, aggressive operation of manpower and effectuation of freelance system

      • 地域基盤 政權變化에 따른 地域放送人들의 報道態度 硏究

        안동진 高麗大學校 言論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5

        신들의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첫째, 그 지역의 사회적 분위기를 다른 지역 출신보다 상대적으로 잘 파악하고 있다는 점, 둘째, 혈연 지연 학연 등으로 이루어진 인맥 활용도가 다른 지역 출신에 비해 뛰어나다는 점, 셋째, 우리나라의 공동체적 특성상 서울이 아니라면 지역 방송인들의 직접적인 혈연 관계자인 부모 형제들과 멀지 않은 곳에서 살고 싶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이유로 인해서 지역 방송에서 업무의 효율성 제고에는 도움이 되지만 이것이 특정 이슈에 있어서는 지역 편향적인 방송태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