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방송언어로서의 사투리에 대한 방송인과 일반인의 인식도 연구 = (A) study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towards the accent as a broadcasting terminology between the broadcasters and the general publ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27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re is a stipulation that broadcasting terminology should be the standard language, the brogue in broadcasting programs is still used. In addition, programs inspiring the local feelings or using the accents intentionally often stir up the t...

      Although there is a stipulation that broadcasting terminology should be the standard language, the brogue in broadcasting programs is still used. In addition, programs inspiring the local feelings or using the accents intentionally often stir up the televiewer's interests with the opening of. the private local broadcasting and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This study focus on the question that the brogue is inappropriate language in broadcasting programs. To solve the question, we have take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onsciousness between the broadcaster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oll survey. By the survey, we can come to some conclusions. These are the following.
      First, we have researched the use of brogue with the kinds of programs(namely drama, quiz, news, etc). In the discussion, interview or news programs, broadcasters answer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accent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ile the general public and college students are strict to the use of accent. Also in these kinds of program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In the sports program,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broadcasters.
      In the drama or show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In the children, discussion, interview or popular song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announcer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thos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composition, reporting or technology.
      Secon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broadcasting station(namely central, local and cable). In the use of accent of central broadcasting, the broadcasters are more generous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lso women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men. Broadca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han those working in Seoul.
      Thir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the person charged with the program(namely announcer, MC, reporter, etc). In the case of announcer and anchor man in new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Against our expectation, the general public, the college students and broadcas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broadcasters and those working in Seoul.
      This study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brogue in broadcasting. Through the analysis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brcacasters and the those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So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can use the brog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and the personality of broadcasters, rather than it should be always the standard language.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analytic scheme as well as time and space, this stud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방송언어의 특성 = 4
      • 1. 방송언어의 개념 = 4
      • 목차 = ⅰ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방송언어의 특성 = 4
      • 1. 방송언어의 개념 = 4
      • 2. 방송언어의 성격 = 6
      • 제2절 사투리 사용 문제 = 10
      • 1. 방송심의위원회의 입장 = 10
      • 2. 사투리 사용 실태 = 12
      • 3. 사투리 사용 주체의 문제 = 16
      • 4. 각종 규정에 나타난 사투리 사용 문제 = 18
      • 5. 언어의 오용으로서의 사투리 사용 문제 = 19
      • 제3절 바람직한 방송언어정책의 방향 = 22
      • 제4절 문헌 연구 결론 = 24
      • 제3장 연구문제 = 27
      • 제4장 연구방법 = 29
      • 제1절 조사방법 = 29
      • 제2절 설문지의 구성 = 31
      • 제5장 분석 및 해석 = 32
      • 제1절 분석방법 = 32
      • 제2절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사투리 사용에 대한 인식도 분석 = 35
      • 1. 집단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35
      • 2. 성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37
      • 3. 연령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38
      • 4. 방송인의 근무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40
      • 5. 방송인의 근무 부서에 따른 차이 비교 분석 = 42
      • 6. 방송인의 근무기간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44
      • 7. 사용언어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45
      • 8. 방송인의 언어교육 여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47
      • 제3절 방송국별 사투리 사용에 대한 인식도 분석 = 49
      • 1. 집단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49
      • 2. 성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1
      • 3. 연령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2
      • 4. 방송인의 근무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2
      • 5. 방송인의 근무부서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3
      • 6. 방송인의 근무기간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4
      • 7. 사용언어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5
      • 8. 방송인의 언어교육여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6
      • 제4절 진행자별 사투리 사용에 대한 인식도 분석 = 57
      • 1. 집단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7
      • 2. 성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8
      • 3. 연령별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59
      • 4. 방송인의 근무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61
      • 5. 방송인의 근무부서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62
      • 6. 방송인의 근무기간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63
      • 7. 사용언어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63
      • 8. 방송인의 언어교육여부에 따른 인식도 차이 비교 분석 = 64
      • 제6장 요약 및 결론 = 66
      • 제1절 요약 = 66
      • 제2절 연구의 결론 및 한계 = 68
      • ◈ 참고문헌 = 71
      • 설문지 = 73
      • ABSTRACT =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