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소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3년 10월 15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 전국 반려동물미용사 남·여 321명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평가를 위해 Cronbach's α 계수로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의 중심경향성과 산포도,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기술통계로 확인하였으며, Pearson 적률상관관계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회귀분석 3단계를 활용하였고, Sobel-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변수들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려동물미용사의 경우 전문직업성이 높고 자기효능감을 유능하고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이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중요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매개효과 및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이한 것을 말하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분석한 결과 전문직업과 직무만족도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자신감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반려동물 미용사의 자신감은 직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는데, 가족과의 관계 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상승되었다.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는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반려동물미용사들의 자기효능감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제어 : 반려동물미용사,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pet groomers. The study targeted 321 male and female pet groomers nationwide from October 15, 2023, to November 1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ales for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during this period. Th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Population demographic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tiliz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Furthermor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central tendency and dispersion of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s were confi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Next, the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was utilized to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or pet groomers. For pet groomers, it was observed that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result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indicated the presence of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et groomer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atistical testing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is indicates that, along with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ppor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Third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revealed that 'confidence'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confidence of pet groomers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thereby indicating the potential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efficacy' was also verified. There was a tendency for job satisfaction to increase as the ability to regulat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improved. Finally, it was found that as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increased, self-efficacy,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lso increased. In summary, the comprehensive findings of this study verify that the self-efficacy of pet groomers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 Keywords: pet groomers, professionality,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실기검정을 중심으로

        류연옥 湖南大學校 産業經營大學阮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analyses the social reputation of estheticians and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esthetician, and proposes the methods to advance the system. From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paper notes that many respondents(53%) think the esthetic shop as of great prospect, 64% have positive view with their job or certification and 68 %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82% of the respondents consider the national certification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job and the most of them are in favor to give monetary incentive(79%) or promotional incentive(66%) to the national certificate holders. The most of the respondents(77% of workers and 61% of national certificate holders) do not support to issue national certificates without any examination, reflecting that they are in favor of the national certificate system should be equitable for everyone. Quite many estheticians have taken education from private academies(42%) or dedicated job training school(30%) for preparing the national certification. This means that the university or college course do not provide proper lessons and training for the students who are willing to get the national certificate for esthetician. The customer of esthetic shop prefer to have the special nerve parts massage(33%), electric esthetic of face(28%) and body massage(15%), however those items are out of scope of esthetician's job in the Korean acts which defines the esthetics as 'esthetics without using medicine and electric measure'. Many of the respondents(40%, this is significant compared to 7% of 'not necessary' answer)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esthetician.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study, it is noted that the foreign countries request to attend compulsory education course for the esthetician qualification and allow electric esthetics as well as various diverging skills by classification of the certification field. Consequently, to meet the above mentioned social demand and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is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benefits as much as possible, this paper proposes to include the special nerve parts massage, the electric esthetic of face and the body massage to the examination item for the national certification for esthetician and to set up the provisions for the various classification of the certification to allow those skills of esthetic. This paper also suggests to develop the harmonized education program for esthetician and provisions to make compulsory education course. This kind of improvement would contribute to lead the esthetic industry as a key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would promote the esthetician to get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본 논문에서는 2008년부터 시행된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실기검정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피부미용업 종사자와 자격증 취득자를 대상으로 피부미용업에 대한 인식,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자 처우에 대한 의견, 고객과 종사자의 선호 미용 기술,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검정 종목 개선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 분석하고, 외국의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검정 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인구학적 측면에서 응답자의 90%가 여성이고, 연령대는 20∼40대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학력은 대학(전문대학 포함) 이상의 비중이 큰 것(62%)으로 나타났다. 직업 선택의 이유는 유망직종으로 생각하는 경우(53%)가 가장 많았고, 생계 수단(15%)이 뒤를 이었다. 미용업의 사회적 인식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64%), 종사자 및 자격자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68%). 국가기술자격자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82%가 자격증 취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격증 취득자의 급료 우대에도 79%가 긍정적인 답을 하고, 승진 우대에 대해서도 66%가 긍정적인 답을 하여 자격증에 대한 의존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시험검정 면허 발급에 대해서는 종사자의 77%, 취득자의 61%가 반대를 하고 있어 무시험 면허 발급보다 국가기술자격 취득 과정을 통해 피부미용인들의 자긍심 및 사회적 기대감이 보다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종사자나 취득자들은 대학이나 고등학교 보다는 미용학원(42%)이나, 직업전문학교(30%)에서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을 더 많이 받고 있고, 교육 기간은 이론과 실기를 합하여 6개월 정도가 가장 많았다. 실기검정 종목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자(40%)가 필요 없다는 응답자(7%)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이 선호하는 피부관리는 경락(33%), 얼굴 기기관리(28%), 바디마사지(15%) 순으로 나타나 실기종목 개선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실기검정 종목 중 ‘얼굴 관리’ 부분의 활용도가 현장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가장 낮은 현장성을 나타낸 ‘제모’는 한국인이 외국인과 달리 체모가 적은데서 기인된 결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국가기술자격 검정 제도는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국가기술자격 검정 종목은 사회적 요구를 충분히 투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용사(피부)국가기술자격 검정제도의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외국의 경우 피부미용사의 지적·실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자격검정 전에 일정 기간 교육 과정을 이수하게 하고 검정을 통과한 후에도 일정기간 현장에서 실무를 익힌 후 면허를 취득 할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우리나라도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기 전에 각 교육기관에서 통일된 교과목으로 일정 기간 동안 이론 및 실기를 교육하도록 하고, 국가기술자격 검정 과정을 업무별로 보다 세분화 하여 전문적인 검정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의 제도에서 피부미용 업무범위를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피부관리’로 한정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피부미용실이 미용기기 분류 자체가 없는 현실에서 의료기기 허가를 받은 피부미용기기를 사용하여 피부관리를 음성적으로 하고 있으며, 설문조사에서도 고객들은 경락과 얼굴 기기관리 등을 매우 선호하고 있어 제도적 괴리가 심각한 것으로 사료된다. 피부미용사들은 업무범위의 협소함으로 국제대회 참가에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외국과 비교해서도 국내의 피부미용 업무 범위가 매우 협소하게 정의되고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실기검정 종목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기기를 이용한 관리 기술을 반영시키고, 미용기기법이나 미용사법 등을 별도로 제정하여 합법적이고 실질적인 피부미용업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피부미용업을 중추적인 선진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피부미용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증대시키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역적 연구라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다소 무리일 수 있으나,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취득 후의 기대감이라는 부분, 자격증 실기 시험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실제적인 의견 수렴 시도라는 점에서 향후 피부미용 관리영역과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 검정종목과 제도적인 측면에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계속되어 실질적인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가 정착되어 국내 피부미용 인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이끌어 갈 수 있기를 바란다.

      • 미용사의 작업환경 실태에 따른 하지통증 정도 연구

        이지영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미용사의 작업환경 실태에 따른 하지통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에 소재되어 있는 미용실에 근무하는 헤어 미용업 종사자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하지통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작업환경 특성에서 근무일수는 ‘주6일’이 49.8%로 가장 많았고 한 달 평균 휴일은 ‘월 2회’가 가장 많았다. 작업 시 주로 취하는 작업자세는 ‘서서 일하는 기립’이 대부분 이였고 올바른 작업자세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미용사는 98.3%로 상당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일일 평균 근무시간은 ‘10-11시간 미만’이 40.1%로 가장 많았고 작업 시 점심시간 이외 휴식을 갖는 미용사는 1.4%뿐이었으며, 대부분인 98.6%는 따로 휴식시간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에서 대부분의 미용사가 현재 건강상태가 ‘나쁘다’가 많았고 헤어 미용업을 시작하기 전과 비교해서 ‘나빠졌다’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하고 있는 일의 육체적 강도는 ‘매우 힘듦’이 43.6%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지난 1년간 하지통증이 있는 미용사는 94.1%로 대부분의 미용사가 하지통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통증 후 처치방법으로는 가장 단순한 ‘약국치료’가 62.2%로 가장 많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미용사는 21.5%이었다. 결론적으로 헤어 미용업에 종사하는 미용사들의 94.1% 거의 대부분이 하지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낮아 건강상의 적신호를 인지하지 못 한 채 열악한 작업환경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근무 조건 개선으로 미용사의 5일제 근무도입과 오전오후 타임제 교대근무제의 업무 수행이 필요하며 미용사가 가질 수 있는 하지통증질환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 알권리를 높임으로서 건강악화를 막아야한다. 또한 미용사당 일 고객의 수를 10명 미만으로 제한하고 근무시간도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하지통증을 예방하고 근무 시에도 지속적인 스트레칭과 적당한 휴식을 취한다면 앞으로 미용사들의 건강관리와 하지통증 더 나아가 하지정맥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 된다.

      • 미용사의 직무만족 요인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량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미용사의 직무만족 요인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헤어전공 오 량 본 연구는 미용사의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직률 감소방안을 모색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방안과 인사관리 체계 마련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서울특별시와 수도권에 위치하는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 400명과 부산광역시와 경남지역에 위치하는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 1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7월 18일부터 8월 30일에 거쳐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여 이중 불분명하게 기재된 2부를 제외하고 443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미용사의 직무만족 요인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사의 직무만족 요인에 있어서는‘직무내용’(M=3.63) 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직무만족 요인은 평균 3.18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62점, 이직의도는 평균 2.9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직무만족 요인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전반적인 직무만족 요인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35세 이상’에 비해 ‘34세 이하’의 경우 외부환경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경제적 요인이나 근무조건요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외부환경에 있어서는 미혼이 높게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전문대졸(재학) 이하에 비해 대졸(재학) 이상의 경우가 작업환경, 동료관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사의 총 근속년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10년 이상’ 근무자의 경우 ‘10년 미만’ 근무자에 비해 전반적인 직무만족 요인과 하위영역별 경제적 요인, 근무조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상사관계에 있어서는 ‘6개월 미만’ 근무자의 경우 ‘6개월 이상’ 근무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도 ‘6개월 미만’ 근무자의 경우 ‘6개월 이상’ 근무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있어서는 ‘6개월 미만’, ‘10년 이상’ 근무자에 비해 ‘6개월에서 10년 미만’ 근무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다. 직급에 따른 분석 결과 책임자는 헤어 디자이너나 스텝에 비해 전반적인 직무만족 요인과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이직의도에 있어서는 헤어 디자이너나 스텝의 경우 책임자에 비해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미용사의 월평균 급여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과 직무만족도는 월평균 급여가 ‘200만원 이상’의 경우 ‘200만원 미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이직의도에 있어서는 월평균 급여가 ‘200만원 미만’의 경우 ‘200만원 이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희망 급여에 따른 직무내용이나 동료관계에 있어서는 ‘300만원 이상’을 희망하는 경우 ‘300만원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외부환경에 있어서는 ‘100만원 미만’을 희망하는 경우 ‘100만원 이상’을 희망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경제적 요인, 작업환경, 근무조건, 상사관계를 비롯하여 전반적인 직무만족 요인에 있어서 ‘12시간 이상’ 근무자에 비해 ‘12시간 미만’ 근무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월 휴무일수에 따른 분석 결과 경제적 요인, 근무조건 요인이 ‘월 8일 미만 휴무’인 근무자에 비해 ‘월 8회 이상 휴무’인 근무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미용사의 직원 수에 따라서는 경제적요인, 근무환경요인이 비교적 직원 수가 적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미용사의 지금까지 근무한 미용실 수에 따라서는 근무조건에 대해 비교적 지금까지 근무한 미용실 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미용사의 직무내용, 동료관계, 경제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사의 직무내용, 동료관계, 경제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의 향상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미용사의 상사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이직의도는 .239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이직의도는 .163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이직의도는 .14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이직의도는 .12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사의 상사관계, 직 Abstract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Factor of Hair Designe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yang Oh Dep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Eun-Jin Im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job satisfaction of hair designer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o seek plans for the reduction of turnover and furnish basic data on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prepar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o attain this object, a survey was made on hair designers work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Busan metropolitan city, and Kyungnam area from July 18 to August 30, 2009. Except for unclear stated questionnaires, total 443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o analyze data using SPSS v.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job specifications(M=3.63)’ is the highest for the job satisfaction factor of hair designers, and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factor is 3.18 points on the averag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lso 3.62 and 2.92 points on the average, respectively. Second, it showed that men are higher than women for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factor, and under 34-year-old is higher than over 35-year-old for the understanding of outside environment by age. The married was higher than the unmarried for the economic factor or working conditions factor while for the outside environment, the unmarried was higher than the married, whic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Over university graduation(being in univers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under college graduation(being in college) for the working environment and colleagueship. Employees over 10 year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employees under 10 years for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factor, economic factor or working conditions factor by total employment years of hair designers, while workers under 6 month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workers over 6 months for the relation with supervisor,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Workers under 6 months were also relatively higher than workers over 6 months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workers over 6months and under 10 year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workers under 6 months and over 10 years for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Responsible person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hair designers or staffs for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factor and job satisfaction by the class of their position, while hair designers or staffs were higher than responsible persons for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Average monthly wages over 2 million won were higher than average monthly wages under 2 million won for the job satisfaction factor and job satisfaction, while average monthly wages under 2 million won were higher than average monthly wages over 2 million for the turnover intention. The hope for over 3 million w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ope for under 3 million won for the job specifications or colleagueship by hope wages, while the hope for under 1 million w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ope for over 1 million won for the outside environment,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Workers under 12 hours worker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workers over 12 hours for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factor including the economic factor, working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s and supervisor relation by working hours. Workers of holiday over 8 day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workers of holiday under 8 days for the economic factor and working conditions factor by the number of holidays a month. The economic factor and working conditions factor by the number of employees had a tendency to be high with the number of employees being few. The working conditions by the number of hair shop, which hair designers have ever worked, had a tendency to be high with the number of hair shop being many. Third, it showed that high satisfaction with job specifications, colleagueship and economic factor of hair designers raises job satisfaction, which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their job specifications, colleagueship and economic factor is an important factor in raising job satisfaction.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supervisor relation, job specifications and promotion lowered turnover intention to .239, .163 and .140, respectively. While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outside environment raised turnover intention to .121, which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their supervisor relation, job specifications and promo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lowering turnover intention, and outside environment factor, that is, the more they thought that even if they quit their present job, they get many job opportunities, the more turnover intention raised. Fourth, it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p<.001). High job satisfaction of hair designers lowered turnover intention to .394, which improvement in their job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lowering turnover intention. Consequently, the reduction of hair designers' turnover will have to seek a policy of reducing employee's role ambiguity through monitoring of job specifications factor with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for job satisfaction or community-improving program to raise the quality of exchange relation with colleague and supervisor, and improve wages system based on job evaluation and establish objective and fair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o create work environment in which can induce long service.

      • 미용사의 직무 만족도와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L 프젠차이즈 미용실 중심으로

        진병운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용실내 근무환경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근무환경이 미용사들의 이직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영실무 현장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미용사들의 보다나은 근무환경 개선과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L-프랜차이즈 미용실 80개 지점의 관리자, 디자이너, 스텝 남, 여 550명을 대상으로 2007년 1월 8일 부터 2월 28일 까지 52일 간에 걸쳐 연구의 취지를 설명학 대상자로 하여금 자기 기입식 설무누지를 이용하여 회수된 525부중 응담내용이 부실한 23부를 제외하고 502부를 분속 하였다. 또한 수집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set 및 일워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과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엿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SPSS Ver.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미용실내 근무환경이 미용사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각 항목별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은 직무환경은 3개의 요인, 직무만족도는 1개의 요인, 교육시스템은 3개의 요인, 이직의도는 1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고 각 항목별 적재값이 4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고, 신뢰도 역시 .6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직급은 디자이너가 266명(53.0%), 스텝이 236명(47.0%)으로 조사되었고, 성별은 남성이 141명(28.1%), 여성이 361명(71.9%)이었다.연령은 6~30세가 206명(41.0%)으로 가장 많았고, 미용사 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206명(41.0%)으로 가장 높았다.현 근무지에서의 재직경력은 6개월~1년 미만이 199명(39.6%)으로 가장 높았으며, 현 근무지의 근로자 수는 11~15인이 187명(37.3%)으로 가장 높고, 직장소재지는 시내번화가가 226명(4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의 선택 동기는 본인의 헤어 미용에 대한 관심이 190명(34.8%), 타인의 권유 98명(19.5%), 전문 경영인으로의 경제력 확보가 85명(16.9%)순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분석한결과 직무만족도는 근무경력 10년 이상의 근무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아파트나 주택단지에 위치한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다.이직의도는 직장 소재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변두리(도시의 외곽)에 위치한 미용실에 근무하는 미용사들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 번째,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환경의 3가지 요인(인관관계, 관리체계, 작업환경)이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 졌을 때 직무만족도 역시 보다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미용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함께 일하는 동료들 간의 원만한 관계형성이나 복지 및 관리체계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 번째, 직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환경의 3가지 요인(인간관계, 관리체계, 작업환경)중 작업환경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무리한 작업량이나 환경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미용사들에게 과도한 업무량이나 작업환경이 주어질 때 이직의도가 높아짐을 인식하고 무리한 작업보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만큼의 업무를 통해 이직률을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여섯 번째, 교육시스템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 교육시스템의 3가지 요인(참석의향, 정보습득, 교육체계)중 정보습득 요인과 교육체계 요인이 직무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즉,교육시스템의 정보습득 요인과, 교육체계를 강조할때 직무만족도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교육시스템이 개선된다면 참석의향이 높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미용사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 번째, 교육시스템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교육시스템의 3가지 요인(참석의향, 정보습득, 교육체계)중 참석의향 요인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익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즉, 교육시스템의 참석의향 요인을 강조할 때 이직의도는 상승하였다. 따라서 교육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참석의향이 강할수록 이러한 시스템이 잘 이루어지는 다른 살롱으로의 이직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미용사들의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무환경 및 복지제도 개선이 시급하며, 미용사의 근무 경력이 오래 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미용실에서 전체적인 직무 만족을 높이고,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서 이직률을 개선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경력관리 프로그램 운용을 통하여 젊은 미용사들에게 비젼을 제시하여 장기근속을 유도 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dnig the problem of work environment within beauty salo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work environment on cosmetologists' turnover rate the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of beauty work, and presenting the directivity to reduce the improvement of their more work environment and the turnover rate. For this, it made an analysis of 502 qustionnaires excepting 23 qustionnaires of unreliable response contents among the collected 525 qustionnaires using self-administered qustionnaires on 550 persons-manager, designer and staff in 80 branch offices of L-franchise beauty salon - for 52 days from january 8 to february 28, 2007. Also, it conducte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12.0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w as follows : First, factor analysis by item showed that work environmenet, job satisfaction, educational system and turnover intension were drawn by 3,1,3 and 1 factor, respectively and that absolute values werw morethan ±4, which validity was secured. Also, reliability was more than .6, which it was to be trusted. Second, analysis of dernograph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designers and staffs were 266(53.0%) and 236(47.0%) persons for class of one's position, respectively. And Men and woman were 141(28.1%) and 361(71.9%) persons , and those under 1~5 year were largest by 206(41.0%) persons for work career. For service career in present workplace, those under 6months~one year were largest by 199(39.6%)persons. For number work in present workplace, 11~15 persons were highest by 187(37.3%) persons, and urban busy street was highest by 226(45.0%) persons for workship location. For motive of job selection, interest in one's hair beauty was highest by 190(34.8%) persons , and subsequently it was order of other's encouragement by 98(19.5%) persons and security of economic power as a special manager by 85(16.9%) persons. Third,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sion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showed that satisfaction of them more than 10 years was highest, and satisfaction of them working in beautysalons located in apartments or housing lots was high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ship locations for turnover intension, which turnover intension of them working in beauty salons in the outskirts of a city was highst. Fourth,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work enviromen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lso was higher when three factors (human relations, management system, working enviroment) of work enviromen was well made up systematically. Consequently, the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is in need of the formation of amicable relation between colleagues working together. Fifth,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sion showed that working environment among three factord of work environ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which turnover intension was high when proper worknig amount or environment wasn't made up. Consequently, the turnover rate will have to be reduced by service enough to get satisfaction than unreasonable work. Sixth,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ystem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information acquirement and educational system among three factors (participation intension, information acquirement, educational system) of educational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 order words, the emphasis on factors of information acquirement and educational system rose the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more improvment of job satisfaction is in need of the provision of various and systematic educational sysem, because cosmetologists will be highly inclin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system and they will think of being help to themselves if the system is improved. Seventh,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ystem and turnover intension showed that participation intension among three factors of educational system had a positive on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the emphasis on factors of participation intension rose the turnover intention. Consequently, the more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ystem, and tehy are highly inclined to participate in the system, it would seem to wish the turnover into other salon that this systm is well made up. The prevention of cosmetologists' turnovr is in need of the improvment of work environment and welfare sytem as soon as possible. It will have to present the vision young cosmetologists through systematic operation of career management program,so that high job satisfaction in beauty salon can generally improve the turnover rate, to complete the work environment that can lead a long service, because cosmetologist's long sevice career rises the job satisfaction.

      • 미용사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사 : 충청지역 중심으로

        장문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rofessional position, the quality and qualification,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well-being and economical status of the hairstyli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this investigation. As this research approachs, both the bibliographical study and practical study are used and conduc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to ordinary people of Chungcheong Province area. The content of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s of data recollection,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and synthetic evaluation in order, and this aim is to find the improvements for the hairstylists' status rising based on this evaluation, also is to find a develop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 presented. The survey result shows the level of social recognition on the hairstylist is not higher than other designers. According to age, academic career, and monthly income, there is a meaning difference. That is, compared with other designer, the higher their age, monthly income, and schooling background is, the lower social status is. The subjects' view of the hairstylists was very favorable, also they did not think the hairstylists' work is simple but rather considered that the hairstylists' work has a great influence on people including themselves. However, in spite of this positive recognition of the hairstylists, they didn't want their wives or husbands to be a hair stylist. Especially a beauty artist was thought of as an important person who leads to current beauty, and the subjects preferred a single hairstylist to a married.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thought that the welfare and health service for the hairstylists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or insufficient. Therefore, the survey says that the welfare service for the hairstylists has to be ensured and complemented legally. As a result, the modern's view on the hairstylists' social status or their vocational potential etc is as a rule acceptable, while actually the welfare for the hairstylists is still far from perfect. I'd like of this study to d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business' resources good and also be helpful to improve the hairstylists' quality, professionalism, and raising their morale.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윤재선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Now beauty industry is the one of the most professional service jobs, and as it is separated and professionalized more faster than ever, beauty artists is taking the significant roles in many positions. So research is necessar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stress which is confronted by beauty artists in the work place, and their coping methods. In this research, we intend to enhance the beauty industry performance , provide better beauty service, and make the chance of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for individual beauty artists by examining the beauty artists'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surveyed, by using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method, four thousand twenty beauty artists without distributions to sex and age who works in the beauty shops that are located in the Seoul and Busan from August 10th, 2009 to September 10th, 2009. Frequency analysis, factors analysis and confidence test, cluster analysis(K-Means), analysis of variance(post-hoc test is Duncan-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are utilized as data analytical methods, and the author analyzed these by utilizing SPSS v.1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irst, subdimensions of the occupational stress of beauty artists were task matter conflict, role conflict, working environment conflict, lack of knowledge and technique, and excessive role, and subdimensions of the coping methods were positive thinking, leisure, avoidance, problem solving-oriented, defence -oriented, and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Secondly, ob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minimum conflict group, excessive task group, and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f beauty artists, and at the aspects of differences of coping method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positive thinking, avoidance, defence -oriented, and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Thirdly, viewing the difference of working stress group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ists, it was found that as working position lowers, working period shortens, working time lengthens, working staffs reduces,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decreases, stress increases. Fourthly, viewing the coping method fact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ists, in the case of the working position designer section chief was higher in the degree of stress coping by strategic problem solving than assistant staff. In the case of the working period, it was found that as working period shortens they cope with the stress by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and that as working period lengthens they cope with stress by strategic and active method. In the case of working staff number, group with fewer members showed defence-oriented tendency. In the cas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s the satisfaction increases, problem solving method becomes more positive and active. Considering these research results, cooperation of the proprietors and professionals is necessary to make the environment that enables beauty industry to make the comprehensive stress coping methods. Furthermore, through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ystem construction for stress resolution, it should be achieved that beauty artists work at the beauty industry as professionals with pride who are treated by the quality than quantity. In this research, by the limitation of time and distance, the targets were beauty artists only in the Seoul and Busan, so it is unreasonable to consider whole nation. Therefore, when applying this result to all beauty artists, it should be done carefully, and more extensive research is necessary. 현재 미용업은 대표적인 전문성을 갖는 서비스직의 하나로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세분화, 전문화 되어감에 따라 미용사는 많은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어 미용사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미용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나은 미용 서비스를 사회에 제공하며 미용사 개인이 유능한 전문인으로서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에 구분 없이 서울, 부산지역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미용사 4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2009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정,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사후검정은 Duncan-test), 교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SPSS 1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차원은 업무내용 갈등, 역할갈등, 근무환경 갈등, 지식과 기술부족, 역할 과다로 나타났으며, 대처방안의 하위 차원은 긍정적 사고, 여가활동, 회피, 문제해결 지향적, 방어 지향적, 상담 및 대화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기준으로 최소 갈등 집단, 업무량 부담 집단, 근무환경 불만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대처방안 차이는 긍정적 사고, 회피, 방어 지향적, 상담 및 대화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용사의 직업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집단의 차이를 살펴보면 직위가 낮을수록, 근속기간이 짧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직장인원이 적을수록, 직업 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미용사의 직업적 특성에 따른 대처방안 요인 차이를 살펴보면 직위의 경우 디자이너 실장이 보조스텝보다 계획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근속기간에 따라서는 근속 기간이 짧은 경우 상담과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며, 근속기간이 길수록 계획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장인원에 따라서는 인원이 적은 집단의 경우 방어 지향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 만족도에 따라서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종합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마련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경영주와 전문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며, 향후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종합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스템 구축을 통해 미용사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양적인 팽창보다 질적으로 대우받는 전문직업인으로써 미용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표본의 선정과 조사에 있어서 서울 및 부산지역의 미용사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확대해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모든 미용사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시키는 것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지역적으로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네일 실기과제 활용도 증진방법

        황예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the practicality of the Beautician (Nai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was not practical in the field, and tried to discuss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practicality in the field. The aim i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practical use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Beauticians(Nails) and to support students in acquiring the expertise and ability to actively work as a Beautician in the actual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surveyed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among those eligible for the national license for Beauticians (Nails). Targeting those who are eligible to acquire qualifications, we analyzed the acquisition statu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icians (Nails) and the practical use of Beautician(Nails) practical problems, and analyzed the ne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problems and the work satisfaction of beauty professionals. The analysis and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46.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obtained a national skill certificate for Beauticians(Nails) because they wanted to find a job or start a business, followed by 42.5% that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expertise. Seco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written test for the National Skills Certificate of Beautician(Nail) is an average of 3.21 points,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actical test is an average of 3.60 points. I found it to be difficult. Thirdly, the need to obtain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Beauticians(Nail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4.26 points, indicating that the need for obtaining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s high for graduate school and above. Fourthly,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national technical license for Beauticians(Nails), the most common reason, at 66.2%, was to improve expertise as a Nail Beautician. And 16.4% answered that it is possible to start a business. Fifth, the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tasks performed by Beauticians(Nails) due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1 task - wet manicure - nail care, 1 task - wet manicure - red full code, 1 task - wet manicure - French, 1 task - Wet manicure - deep French, 1 task - wet manicure - gradation, 3 tasks - artificial nail - gel one-tone catcher, 4 tasks - artificial nail removal, etc. While 7 tasks are highly practical, 2 tasks - gel manicure - Sun Marble, 2 tasks - gel manicure - marvel fan, 2 tasks - gel manicure - marvel fan, 3 tasks - artificial nails - natural tip weed wrap, 3 tasks - artificial nails - silk extensions, 3 tasks - artificial nails - acrylic French nails Five issues such as catcher were surveyed as having low actual utilization rates, and it seems that the issues with low actual utilization rates must be improved. Sixth, items (multiple response) that can be treated with the skills of the Beautician(Nai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practical task are overall nail care and coloring, which is the highest at 36.9%, followed by artificial Nails (lengthening) (26.4%) followed by hand/foot massage and exfoliation (14.7%). Seventh,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nail practical use in practical tasks for the National Nail Technician License is 2.90 points, and the overall degree of technical applicability in the field afte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for Beautician(Nail). The average is 2.61 points, which is a little lower than usual,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the actual machine, and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practical skills of the problems with the actual machine so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Eighth, the subject that should be added to the national qualification practical test is the repair of torn nails, which is the most common overall at 35.4%, followed by problematic nail management (27.0%), shain and flat art (20.8%), was the most common.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oblem while working in the beauty industry, and it seems necessary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e field when improv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Practical Test. Ninth, regarding work satisfaction by occupation and career, working hours, number of days off per month, satisfaction on days off, and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ere generally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ractical utilization in the field, we actively listen to the opinions of nail workers and make it possible to immediately apply the actual machine problems to the field without separate external retraining.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Also, in order to meet the eye level of nail consumers, nail professionals will have to learn new techniques and strive to improve their services. Keyword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eauticians(Nails), practical assignment, Improvement, practical use 이 연구는 미용사(네일)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가 현장에서의 실용도가 낮다는 판단을 하여 현장에서 실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이러한 논의를 통해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의 실무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실제 현장에서 미용사로서 능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용사(네일) 국가자격증 취득 대상자를 대상으 로 실기과제의 현장 활용도를 조사하여 실기과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대상자를 대상으로 미용사(네일) 국가기 술자격증에 대한 취득 실태와 미용사(네일) 실기과제의 현장 활용도 분석 을 통해 실기과제 개선의 필요성, 미용 종사자의 근무만족도를 분석하였 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증 취득이유에 대해서는 취업 및 창업이 46.9%, 다음으로는 전문성향상이 42.5%로 많았다. 둘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의 필기시험의 난이 도는 평균 3.21점이며, 실기시험의 난이도는 평균 3.60점으로 필기시험과 실 기시험 모두 조금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사(네 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평균 4.26점으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사(네일)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이 필 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네일 미용인으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가 6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격증을 취득해야 취업 및 창업이 가능 해서가 16.4%로 많았다. 다섯째, 직업특성에 따른 미용사(네일) 실시 과 제 활용도 차이는 1과제-습식 매니큐어(네일 케어), 1과제-습식 매니큐어 (레드풀코트), 1과제-습식 매니큐어(프렌치), 1과제-습식 매니큐어(딥프렌치), 1과제-습식 매니큐어(그라데이션), 3과제-인조네일(젤 원톤 스캅춰), 4과제-인조네일 제거 등 위의 7과제는 실제 활용도가 높은 반면에 2과제 -젤 매니큐어(선 마블), 2과제-젤 매니큐어(부채꼴 마블), 3과제-인조네일 (내추럴 팁위드랩), 3과제-인조네일(실크익스텐션), 3과제-인조네일(아크릴 프렌치 스캅춰) 등 위의 5과제는 실제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실제 활용도가 낮은 과제는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현장에 서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의 기술들로 시술이 가능한 항목 (다중응답)은 전체적으로는 네일 케어 및 컬러링이 36.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인조 네일(연장)(26.4%), 손/발의 마사지 및 각질제거(14.7%) 순 으로 많았다. 일곱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의 네일 실 무 현장 활용 만족도는 평균이 2.90점이며, 미용사(네일) 국가자격증 취득 후 현장에서의 기술 적용 가능 정도는 전체적으로는 평균이 2.61점 등 보통보 다 조금 낮으므로 실기과제의 개선이 필요하며 현장에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기과제의 실무기술 결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국 가자격 실기 시험에 추가되어야 할 과목은 전체적으로는 찢어진 손발톱 보 수가 3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제성 손발톱 관리(27.0%), 쉐입 및 평면 아트(20.8%) 순으로 많았다. 이는 미용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많이 접해 보는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국가자격 실기시험 개선 시 현장의 목소리 를 청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홉째, 직종, 경력에 따른 근무 만족도는 근무시간, 한 달 기준 휴무 일수, 휴무일 만족도, 근무환경 만족 도는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았다. 위와 같이 현장에서의 실무 활용 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네일 실무 종사자들의 의견을 적극 청취하여 별도 의 외부 재교육을 받지 않아도 실기과제가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개선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네일 수요자들의 눈높이에 맞추고자 네일 종사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서비스 향상에 매진하여 야 할 것이다. 주제어: 국가기술자격증, 미용사(네일), 실기과제, 개선방안, 실무 활용도

      •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홍정아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고, 다양한 신산업이 등장하면서 노동과 자본의 관계가 변하고 있고, 그 중 미용 직업이 유망직종으로 분류되고 있다(통계청, 2017). 본 연구는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보고, 이직에 관련된 추가적인 영향요인을 찾아 미용업 근무에서의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미용사들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효율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인으로서 지속적 성장과 발전 계기를 마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시행한 후에 질적 연구를 통해 양적 연구 결과를 보완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는 2018년 8월 17일부터 2018년 9월 19일까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서 근무하는 미용사 6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는 2018년 11월 30일부터 2019년 4월 27일까지 양적 연구 참여자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명을 편의 표출하여 심층 면담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K-CD-RISC, KOSS, BMS, 이직의도의 4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의 정도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각 변수인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급별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미용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아탄력성이 높은 미용사는 양적·질적 연구에서 동일하게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자아탄력성이 높은 미용사는 양적·질적 연구에서 동일하게 소진의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자아탄력성이 높은 미용사일수록 낮은 이직의도를 가진다는 결과가 양적·질적 연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네 번째,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양적·질적 연구에서 동일하게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소진의 경험은 양적·질적 연구에서 동일하게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직무스트레스는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 간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양적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일곱 번째, 소진은 미용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 간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양적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직의도 변수 외 고객이 추가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용사들을 직급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가 보였다.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내력, 강인성, 지지가 직급별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소진에서는 정서적 탈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소진 외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객이라는 변수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소진 그리고 고객이라는 변수가 미용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미용사들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효율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용 직업 특성을 고려하여 자아탄력성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차원의 노력과 미용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또는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직의도에 관여하는 미용사와 고객 간의 관계에 대한 추후 연구도 제안하는 바이다.

      • 韓國 美容師 免許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서희원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용사면허제도가 국가적인 차원의 인적자인개발 문제라는 인식하에 현행 한국 미용사면허제도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로 미용사면허권자를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개정해야 한다. 현행법은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미용사면허를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시·도지사의 권한이 미용사업무와의 밀접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는 제도이다. 따라서 미용사에 관한 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을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을 면허권자로 하여야 한다. 둘째로 면허체계를 정비해서 면허시험을 거쳐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일원화방안을 채택해야 한다. 현행법에서의 면허요건은 일정한 학업과정을 이수한 자들과 미용사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들에게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중 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국가기술자격증을 교부받은 자에게 다시 면허를 부여해야 하는 이중적인 체계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불합리를 정비하여 일원화하는 방법으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국가기술자격의 취득을 면허요건에서 삭제하고 미용사면허제도로 일원화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 하겠다. 셋째로 무시험 면허부여 제도를 폐지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서 미용에 관한 학과를 졸업하거나 고등기술학교에서 1년 이상 미용에 관한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서로 다른 수준의 학업성과를 동등하게 취급하는 부당한 결과가 된다는 점, 그리고 다른 면허제도와의 형평성에서 현저한 불공정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폐지되어야 마땅하다. 넷째로 미용사면허시험은 미용사 업무를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험관리업무는 의료인등의 면허제도와 마찬가지로 비영리법인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위탁하여 시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섯째로 미용사면허시험 응시요건을 일정한 수준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 하여야 한다. 현행법중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시험의 경우 국가기술자격 법의 규정에 의거 응시요건을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선진제국의 미용사면허 시험제도는 한결같이 일정한 기간의 미용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에게만 응시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미용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되는 일정한 교육을 이수한 자들만이 미용사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여섯째로 피부미용사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미용사 면허를 취득한 자만이 피부미용 업무에 종사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이는 피부미용업무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업계의 실상을 살펴볼 때 반드시 피부미용사를 독립하여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로 독립된 미용사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미용사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에 관한 법이 공중위생관리법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크게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미용사면허제도와 미용업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독립된 미용사법을 조속히 입법하여야 한다. 1961년 '이용사및미용사법'으로 미용사면허제도를 입법화한 이래 40여년간 미용사면허제도는 다소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모순되는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로잡는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미용 수준이 선진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미용사면허의 공신력은 높이고 그 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만으로 위에 제시한 개선안들이 입법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 in Korea under the perception that the system is crucial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n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issues cosmetologist licenses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e current system, which stipulates that mayors or governors of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or provinces issue the licenses, is hardly considered legitimate in that their competence has little relevance to cosmetologist's job. Therefore, the issuer should be revised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is responsible for institutions related to cosmetologists and hairdressing business. Secondly,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system under which all would-be cosmetologists obtain licenses through a licensing exam. The existing system, which prescribes that those who completed a specified course of study or acquire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re entitled to licenses, raises a problem of a double standard since it requires those who obtained the certificates to apply for the license. Of many ways proposed to fix this problem, it will be most reasonable to eliminate the national certificate from the requirements for license, unifying the system as a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Thirdly, the ”acquisition of license without an exam” provision should be abolish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ose who completed a hairdressing-related course of study at high schools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er technical schools (those who finished the one-year or longer curriculum) are entitled to a license without an exam. This system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treats different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equally and is quite unfair in terms of equity with other licensing systems. Fourth,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However, if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with administering the exams, it is worth considering ways of entrusting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f Korea with doing it. Fifth, application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requires no particular application qualifications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Ye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qualify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period of course of study on hairdressing to apply for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Thus, we should limit application qualification for the exam to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Sixthly, we should introduce a esthetician license system. Under the current system, only licensed cosmetologists can engage in skin-care business. It is irrational in light of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reove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kin-care business community, esthetici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s an independent occupation. Lastly, separate legislation concerning cosmetologists should be enacted. It is unreasonable that the law regarding cosmetologists and the hairdressing business is included i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 separate law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usiness should be enacted as soon as possible. Since 1961 when the Barbering and Cosmetology Act was enacted, the licensing system has not changed a lot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amendments, failing to radically rectify irrational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