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귀국한 성인 교차문화 아이들을 위한 문화간 감수성 발달모델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xplore the experience of Adult Cross-Cultural Ki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CK), through the lens of group art therapy. The study wa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IS), first suggested by Milton Bennet in 1993. The study use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llowing for a holistic over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multiple perspective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30-year-old women who fulfill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y must have spent a minimum of six years outside Korea, 2) This time abroad must include their adolescence, 3) They currently reside in Korea.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twelve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from June 2023 to November 2023. The sessions were grounded on the DMIS and its six stages. Throughout the sessions, participants explored and learned how to better understand the foreign cultural context they each experienced in Korea, with the overall aim of finding creative ways to strength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ncourage lateral thinking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 experiences. The artistic medium used in the sessions, as well as the overall approach, wer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MIS—which, within the context of ACCKs, often manifests in their work as themes of identity, loss, homeland, and culture. The study also allowed the participant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own cultural identities. The participants did so by bonding through shared and similar experiences, and also by freely weighing the positives and negatives of their own cultural backgroun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form of a verbatim recording of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 and the in-depth interviews. Session diaries were also kept, both by the author of the study and by the participants. Data was also kept in the form of research notes, as well as photographs of the participants’ art pieces. Analysis of said data was informed by Braun and Clarke’s (2006) thematic analysis, as well as Stake’s (1995) categorial aggregation and direct interpretat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lead to five topics, as well as fourteen subtopics. The topics that are the most relevant to these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Exploration of a participant’s cultural identity after experiencing a cross-cultural move,” “Examining why a participant may be defensive towards adopting Korean culture,” “Reaffirming one’s sense of self through artistic and creative endeavors,” “Gaining insight into one’s identity in a collaborative process with other ACCKs,” “Gaining autonomy and a proactive mindset through changed perspectives.” Having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he ACCKs’ undergoing group art therapy sessions based on DMIS, the study has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participants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their identity as an Adult Cross-Cultural Kid, allowing them to process their unique experiences and lifestyles. This was achieved by group art therapy with members of their peers—others who have shared experiences. Furthermore,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their experiences were not uncommon when it pertains to ACCKs’, leading to a validation of their experiences. Through this, the participants laid down the groundwork for psychological change and acceptance of oneself. Secondly, by exploring their cross-cultural moves through the medium of art, participants learned that their adolescent experiences were still exerting an effect on their present life. Regardless of how long they lived abroad or when they returned, repeated and drastic changes in their adolescence often fostered an inexplicable sense of loneliness, difficulty in creating and maintaining significant relationships, and an anxiety of not being able to fit into a culture. With art as a medium, however,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 positives of their experience and how they manifest in their lives—ultimately fostering autonomy and better self-image.Thirdly, by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oneself, the participants gained the confidence to be proactive about their identity and what it represents within Korean society. Through twelve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gained a positive attitude and a sense of autonomy by experiencing growth and self-actualization. When one examin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it becomes clear that the DMIS-based group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olidation of a cultural identity and intercultural integration within the ACCKs. Participants bonding with each other and found support in others who have come from a similar cultural background. Within this framework, they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with honesty and clarity, and found an opportunity for self-acceptance. Furthermore, through the creative endeavors of art, the participants gained a sense of autonomy—allowing them to be proactive about addressing unresolved issues. It also offered the participants a chance to learn their strengths and broaden their perspective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s that group art therapy was useful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establish a stronger sense of cultural identity, which in turn fostered to a more positive and flexible attitude towards accepting and adopting Korean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간 감수성 발달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성인 교차문화 아이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사례가 특정한 상황 속에서 갖는 복잡성과 특수성을 포함하는 행위에 대해 이해하는 Skate(1995)의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청소년기를 포함하여 6년 이상 해외에서 거주하고 귀국한 만 30대 여성들이다. 2023년 6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두 차례의 개인 심층 면담과 12회기 집단미술치료가 실행되었다. 집단미술치료는 Bennett(1993)의 문화간 감수성 발달모델의 각 단계를 적용하여 한국 사회에서 경험된 낯선 문화적 맥락을 이해 및 수용하고, 문화간 감수성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증진하여 유연한 행동 변화를 돕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집단미술치료의 구성은 교차문화 아이들의 특성과 문화간 감수성 발달모델을 바탕으로, 정체성, 상실, 고향, 문화이동 등 교차문화 아이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주제들과 그들이 지닌 문화적 특성에 주목하여 미술 매체와 접근방법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사문화 경험집단으로부터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대감과 심리적인 지지를 형성하고, 소속되었던 문화들의 장단점을 자유롭게 판단하며, 교차문화 아이들이 가진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도록 개입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집단미술치료와 심층 면담 전 과정이 담긴 축어록, 연구자의 회기일지, 관찰자의 관찰일지, 연구 참여자들의 노트,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작품 사진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Braun과 Clarke(2006)가 제시한 주제 분석 방식과 Skate(1995)가 제시한 범주 합산과 직접 해석의 방식을 모두 참고하여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5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집단미술치료의 사례 범주는 <문화 간 이동을 경험한 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탐색함>, <한국문화 수용에 방어적인 원인을 찾고자 함>, <한국 사회에 잠식된 나의 삶을 창조적 미술 활동으로 깨움>, <성인 교차문화 아이들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감>, <변화된 시각을 통해 앞으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갈 힘이 생김>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간 감수성 발달모델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들은 성인 교차문화 아이들이라는 정체성을 인식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가진 독특한 경험과 삶의 양식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유사문화 경험집단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거주하며 경험한 문제들을 자신만의 문제가 아닌, 다른 사람들도 경험하는 보편적인 문제임을 깨닫고 심리적인 위안을 경험하였고, 참여자들이 자신의 문화적 소속감을 획득하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문화간 이동 과정에서 경험한 외상적인 사건과 감정들을 탐색하고, 미술을 매개로 일렬의 사건들을 안전하게 재구성하였다. 또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감정들을 다양한 미술적 표현 방법과 매체 특성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심리적인 이완감과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졌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밑거름을 형성하였다. 셋째, 문화간 감수성 발달모델을 기반으로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을 통찰하는 기회를 얻고, 숨겨져 있는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였다. 미술치료 안에서 발견한 변화는 참여자들을 자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문화 간 차이를 통합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으로 이끌었다.

      •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현정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Y심리센터에 공격성으로 인한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여 의뢰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중 공격성 점수 70점 이상인 학생 5명이다. 5명 모두를 실험집단으로 배치하여 Y심리센터 집단상담실에서 주 1회 60분씩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총 16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격성척도(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적의성, 분노)와 그림 검사인 동적학교생활화(Kinetic School Drawing: KSD)를 사전 · 사후 ·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에 대한 개인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신체적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언어적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적의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분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적의성, 분노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나며 효과가 유지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점토매체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와 같은 결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향후 공격성을 보이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위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aggressions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a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students from Y psychological therapy center in G city who have troubles in their friendships and school life because of their aggressions, and have a score of over 70 in the grade of aggression. The experiment was done in a group counseling room at Y psychological therapy center, where all five students attended. Each session was 60 minutes long and held once per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To prove the effects on this study, I conducted an aggression scale and KSD(Kinetic School Drawing) in the pre, post, and later case, and compared and analyzed it. Also, I had an individual qualitative analysis on aggressions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First, the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had a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in physical aggressions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had a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in linguistic aggressions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had a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in hostility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the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had a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in rage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finds that the art therapy with clay medium had a positive effects on reduction in physical aggressions, linguistic aggressions, hostility, and rage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d effects on keeping the reduction in the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lay medium of previous studies had had effects on reduction in aggressions in the childre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programs, for the 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how aggressions, in the art therapy clinical field.

      •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현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의 노인요양센터에서 장기 입소를 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남성 노인 중 한국형 노인우울검사를 기준으로 경도 우울 이상의 점수를 받은 자를 10명 선정하여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을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9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주 1회 60분씩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제외한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GDS)와 주관적 행복감 척도(OHQ)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에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회기별 변화분석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의 하위요인 3가지 ‘무력감’,‘근심 걱정 초조함’,‘불행감’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고 ‘인지적 저하 활동감소’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험 집단의 사후 우울의 점수가 사전 우울의 점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우울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행복감의 하위요인 3가지 ‘내적행복’,‘외적행복’,‘자기조절 행복’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실험 집단의 사후 우울에 대한 점수가 사전 우울에 대한 점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회기별 변화과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다양한 미술 활동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이전에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자아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였고 작업 활동을 통하여 자기 표현과 높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내적 에너지와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여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남성노인들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시설 남성노인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남성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켰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남성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집단미술치료가 많이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 total 10 composed of 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 in the control group who live in K welfare centre located in K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weekly 60 minutes session, on every Thur, which made a total of 12 programs excepting pretest and posttest from Sep. 2019 to Nov. 2019. As a study tool for this study,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in SPSS 25.0 program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by the treatment stage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ssimil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their depression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which areas of three sub-factor factors:asenseofhelplessness, unhappiness, anxiety·worry·nervousness. This means that the scores on post-experimental depression were lower than those on pre-physical satisfa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their depression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Second,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areas of three sub-factor factors: a sense of inner happiness, external happiness, self-control happiness. This means that the scores on post-experimental depression were higher than those on pre-physical satisfa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Third, through the initial, medium-term I, medium-term II, and closing process of each program stage,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effectiveness for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of negative self-awareness. And through the work activity, self-expression and high interaction were made to form internal energy and positive self-imag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al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We hope that this program will be as a useful art therapy program to help positive influe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돌봄교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 연 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돌봄교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의 돌봄교실을 이용하는 1, 2학년 남녀 아동 중 전담사의 추천 아동과 본 연구에 대한 동의를 얻은 16명의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8명에게는 2018년 12월 24일부터 2019년 2월 7일까지 주2회 80분씩 총 12회기의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행하고 통제집단 8명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경우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돌봄교실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전체 자아존중감과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점수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평균점수가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은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돌봄교실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은 전체 또래관계와 하위요인인 주도성 및 협동·공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인 반면에 통제집단은 또래관계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변화와 개인 및 집단별 변화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림 속에 표현된 자아상의 크기와 위치가 사전그림에 비해 균형 있게 조정되었으며,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가 보다 풍성해 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활동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친한 또래 몇 명과 제한된 상호작용을 했던 초기와 다르게 다양하게 교류하며, 서로 의견을 수용하고 협동하며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돌봄교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봄교실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the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The subjects were 16 children who were recommended by the caregiv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using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greed with this study. Among them, 8 children were selected in an experimental group, for whom a total of 12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were conducted from December 24, 2018 to February 7, 2019 twice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80 minutes while no therapy was for the remaining 8 children in a control group. Tests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was also performed in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monstrat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The score of self-esteem of the entire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among its sub-fact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ost-experiment compared to pre-experiment while the mean score of family self-esteem increased albei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both entire self-esteem and sub-factors.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The comparison of peer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entire peer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 such as leadership, cooperation and empath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both entire peer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 Third, in the investigation of changes in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in individuals and group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were observe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elf-image shown in the drawing were harmoniously adjusted in comparison to the drawing before the program, and positive changes such as richer positive descriptions of situations were shown. In addition, during activities,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and the range of their interaction had become more wide and diverse, which differed substantially from the early phase of the program when they had only limited interactions with a few close peers. Furthermore, they had become much more interactive in exchanging opinions, accepting others' opinions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se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proposed group art therapy could be utilized as a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the after-school care program.

      • 집단미술치료가 콜센터상담사의 직무소진과 자기위로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소진과 자기 위로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W콜센터에 재직 중인 콜센터 상담사로 직무소진을 경험하고 연구참여를 희망하는 20대 12명을 선별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6명씩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이며,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하고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2회 70분씩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만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직무소진 척도검사, 자기위로능력 척도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에서 맨-휘트니 U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여 집단 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직무소진척도 3개의 하위요인인 감정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자기위로능력척도 4개의 하위요인인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가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소진 감소와 자기위로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소진을 겪는 콜센터 상담사들의 직무소진 감소와 자기위로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 직무소진을 겪는 콜센터 상담사와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직종을 대상으로 직무소진을 완화하고 자기위로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본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call center counselors’ job-related burnout and self-comfort ability. The study’s subjects were 12 call center counselors in their 20s who were experiencing job exhaustion and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se counselors were working at the W call center.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six participants each.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of 2020. Excluding the pre-Ω and post-test, 12 program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each lasting 70 minute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pre- and post-tests. As research tools, a job burnout test and a self-comfort test were used.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3.0 program, and chang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he Mann-Whitney U test. Changes within each group were also analyzed by performing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study’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hree sub-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s job-related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ur sub-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s self-comfort ability scale: resilience, physical comfort, self-exposure, and self-comfort. Ultimat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in reducing call center counselors’ job-related burnout and improving their self-comfort abil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used to improve the self-comfort ability and alleviate the job-related burnout of call center counselors who experience job-related emotional exhaustion in the future.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유혜신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지속적인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척도 하위요인별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P 대학 학생들이며, 사전검사로 대인관계검사 및 S-HTP검사, KSD 검사를 실시하여 대인관계검사에서 60점 이하이며 S-HTP검사, KSD 검사에서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학생 중 최종 6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한 회기는 1시간 30분씩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로는 Schlein과 Guerney(1977)의 대인관계검사(Relationship Change Scale: RCS)와 S-HTP검사, KSD 검사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대학생 집단원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를 기준으로 대응비교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2.0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대인관계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7개의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분석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대인관계 하위영역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하위영역에서 이해성 영역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론은 S-HTP 검사, KSD 검사에서 변화가 현저하게 차이가 있었던 점에 초점을 두고 종합하여 보면 대학생들에게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집단미술치료는 대학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켜 좀 더 건강한 대학생으로 성장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며, 자신 뿐 아니라 남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다 긍정적인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ffective a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b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 thereby, based on the proven effects, suggesting basic materials to develope a new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its continuous application. To do so,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Firstly, ca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positive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 Secondly, what positive effects ca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bring to each sub-category of 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objects are six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selected scored below 60 points on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and had some problems in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were reflected by the tests of S-HTP and KSD. The program itself consisted of a total of 10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90 minutes. Survey Instruments are Schlein and Guerney's RCS (1977), S-HTP, and KSD. SPSS 12.0 is used to perform t-test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pretest and post-test of the student gro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scales confirms that a group art therap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s. Second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all seven sub-categorical relations also exhibi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duced from a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particular, among subcategories, the domain of understanding changes most greatly. To conclude, a group art therapy program proves effective on improving th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ly, it not only suggests a possibility to provide som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a new group art therapy program, but helps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skills in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may affect their entire campus life, and to understand better himself or herself as well as others so as to behave more positively.

      •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한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카페를 통해 모집된 4년제 대학교 소속인 16명으로 실험군 8명과 통제군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 에게만 실시된 비대면 미술치료는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3월 18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50분, 총 10회기를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활용하여 1:1 개인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로 Spielberger(1970)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한국 대학생과 고등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와 Dignan(1965)이 개발한 Ego-Identity을 서봉연(1975)이 번역하고 박아청(2003)이 한국 대학생과 중‧고등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완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여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비대면 미술치료 실시 전 실험군, 통제군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맨 휘트니 유(Mann-Whitney U)검증을 하였고,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Wilcoxon Signed-Rank Test) 검증을 하였다. 또한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불안과 자아정체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미술치료는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통제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즉 실험군의 전체 불안이 감소되어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상태 불안, 특성 불안 또한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감소되어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둘째, 비대면 미술치료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실험군의 전체 자아정체감이 향상되어 긍정적 변화가 보였으며 하위요인에서는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확신성, 주도성에서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실험군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미술작업에서 자신의 불안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자각하는 기회를 갖고 부정적인 감정을 인식, 해소함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이해 및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상이 생기면서 자아정체감 역시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미술치료를 구성하고 실시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향후 다양한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비대면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원하는 자신만의 안전한 치료적 공간에서 시행 될 수 있으며 시공간의 제약이 없고 접근성이 용이 하기에 불안이 높은 내담자들에게 정서적 안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정서 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정적 감정 중 불안에 집중하여 자아정체감 확립에 방해되는 정서를 살피어 자아에 대해 깊이 통찰하여 긍정적 자아상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untact art therapy on anxiety and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 The sample consisted of 8 in treatment group and 8 in control group, 16 of students of university who were recruited through social media or online community. The untact art therapy subjected to treatment group was administrated by face to face with online video conference platform ZOOM, during total 10 sessions of on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from December 23, 2020 to March 18, 2021. The measures are suggested as belows. Kim and Shin(1978) modified and revis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developed by Spielberger(1970), which lead to state-trait anxiety scale to apply to Korean university student and then the study use this scale. In addition, Seo(1975) translated and Park(2003) modified and revised ego-identity by Dignan(1965), which lead to‘Koran Ego-Identity Scale’to utilize for Korean students and then the study also use this scale.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5.0 was used. Prior to untact art therapy, Mann-Whitney U analysis for homogeneity testing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was conducted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effectiveness testing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run. Also anxiety and ego-identity represented during untact art therapy was examin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bout untact art therapy effect on anxiety of student statistically illustrated the significant change. That is, the decrease of total anxiety in treatment lead to positive change, and state as well as trait anxiety decreased and indicated positive change compared to pretest. Second, untact art therapy statistically indicated the significance on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bout untact art therapy effect on ego-identity of students. That is, the increase of total ego-identity in treatment lead to positive change, and sub-factors, subjectivity, self acceptance, goal assurance, and self directed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pretest. Third, the positive qualitative change anxiety and ego-identity in treatment during untact art therapy course was observed. For art activity the chance that anxiety attribution of oneself could be recognized was obtained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perceived and released and lead to ease anxiety. On account of which by perceiving,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the positive ego image arose and also, ego-identity moved up. As discussed above, the effect of untact art therapy on anxiety and ego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 was identified. This study determined effectiveness by untact art therapy which are provided and administrated for university student and established the background environment applied to various clinical counselling in the future. The untact art therapy could be administered in his/her own safe therapeutic space in virtue of no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 as well as easy accessibility the emotional well-being could be presented to clients with the high anxiety. Also, there is implication in that through art activity his/her own feeling and emotional state is appropriately recognized, anxiety among the negative emotion is focused, emotion interrupted for ego-identity establishment is checked and an deep insight into self is gained and it could be helpful for the positive ego-identity establishment.

      •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최심영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Regulation of Maladjusted Teenagers in the school 재활심리학과 최 심 영 지도교수 임 호 찬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탐색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시에 위치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1학년 남학생 5명을 선정하여 매주 2회씩, 1회기 당 9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학교부적응 척도와 자기조절능력 척도 검사를 통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학교부적응 행동 중 교내흡연, 결석, 조퇴를 자기조절 목표로 정하여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로 사전․사후그림 비교를 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으며, 6개월 후에 추후상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와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교내흡연, 결석, 조퇴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기별로 관찰된 각 학생의 그림,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학교생활화(KSD)의 사전․사후그림에서 질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자기조절능력을 향상 시키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학교에 적응하게 하고, 구체적인 진로 탐색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상담기법 임을 확인 하였다. 주요어 :학교부적응, 자기조절능력,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학교생활화.

      •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연옥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동의 정신적 발달에 직접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적 요인인 학교에서 아동의 정서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자아존중감 척도와 아동상호간 교우관계 검사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낮고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5명이다. 연구방법은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사전ㆍ사후 점수변화를 비교하였으며, KSD(Kinetic School Drawing) 사전ㆍ사후를 통하여 언어, 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은 3단계로 초기는 신뢰감 형성단계, 중기에는 자기이해 및 수용단계, 후기에는 상호작용 향상 및 현실 인식단계이며 총 12회기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집단 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지지되었다. 자아존중감 사전ㆍ사후 변화점수 결과 A아동은 전체 19점, B아동은 전체 17점, C아동은 전체 19점, D아동은 전체 18점, E아동은 전체 20점이 향상 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감과 스스로 완성해 나가도록 하는 성취감을 경험하여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질 수 있으며 공동 작업을 통해 집단 원과 긍정적인 피드백과 상호관계의 이해 및 지지 등의 안정된 정서 속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가치 있고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집단 원들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지지되었다. 교우관계의 사전ㆍ사후변화를 살펴보면 A아동은 전체 43점, B아동은 전체 21점, C아동은 전체 46점, D아동은 전체 37점, E아동은 전체 51점이 향상 되었으며 교우관계 하위영역인 ‘신뢰감’ ‘존중감’ ‘교우관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미술치료를 통해 집단 원들 간의 적절한 관계를 맺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야기를 듣는 태도, 신뢰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집단 원들 간에 존중하는 태도로 교우관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내면의 자기표현을 함으로써 성취감을 경험하여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치료 및 상담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래 관계가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문제예방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if and how group art therapy influence positively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mate relationship that are direct and crucial for the children to develop appropriate mentality and emotion, so as to grow as a healthy member of the society. Study subjects are five elementary 4th graders who marked low scores on Measurement of Self-Esteem and Test for Friendship. Research instruments used are, first, group art therapy through which scores on pretest and posttest for self-esteem and friend-relation are compared; second, KSD with which the children's language and behavior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and have three stages of confidence,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and interaction with reality recogni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in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e comparison between the scores on pretest and posttest exhibited that child A improved 19 points, B 17, C 19, D 18, and E 20. It also indicated that all subcategories of self-esteem, such as 'tot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life self-esteem', marked a higher posttest score than that of pretest. This means that the children have felt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art therapy, which in turn improved their level of self-esteem. In the therapy sessions the children needed to cooperate, understand and encourage others, and give positive feedback with other members of the group, which made them to feel good about themselves including their own ability and value as a person. Second, group art therapy positively encouraged the children's friendship with schoolmates. The comparative scores on pretest and posttest displayed that child A improved 43 points, B 21, C 46, D 37, and E 51 to inform that all subcategories of 'confidence', 'esteem or respect', and 'schoolmate relationship' marked a higher posttest score than that of pretest. This indicates that the children developed appropriate skills to tell their own opinions and to respect and listen to others, which allowed them make friends with others easier than before. To conclude, the children were able to gain a sense of achievement by expressing their inner experience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hich gave them enhanced self-esteem and improved friend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can be employed to help any therapeutic or counselling programs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o provide some basic material to prevent the related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