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미술교육과 미술관 교육의 연계성 방안 연구 : 교사 재교육(연수)을 중심으로

        이하람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proposed a promotion strategy focusing on Korean and international art galleries that could connect art education at school with education at art galleries through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and support aimed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s the area of appreciation has been extended and become crucial in the seventh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education method that avoids the function-oriented art education method. Education at art galleries is arising as a new education metho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professionals and budget for art education in Korea. If a visit to an art gallery is not to end up merely as a one-time event, a clos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rt gallerie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created.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into strategies for the support and extension of training programs that enable a school teacher to function effectively in performing education programs at art galleries and that may undertake a mutually complementary role for education at school and education at art galleries.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teachers to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for education at art galleries. It is also necessary to build a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art galleries by developing diverse types of education programs such as curriculum study meetings and voluntary training as well as job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ials that may be utilized in the class by securing education professionals at art galleries. If every art gallery develops materials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utilizing its collections, it will be a direct and practical plan that may connect public education and art galleries in experiential educ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art by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and correc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consistently through the assessment and responses of schools; and, for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education professionals at art galleries.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 at art galleries is still at an early stage; however, there have been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developed and researched suited to a broad spectrum of classes and ages centering around the Leeum, Hoam Museum, and Moran Museum as well a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se programs, it is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detailed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connected to education at art galleries by schools; and, for this, it may be necessary to pursue follow-up studies consistently. An art gallery is a space of complicated mutual interaction where art works and visitors meet. In order to make the experience at art galleries meaningful as an education the role of the teacher who is in charge of education at a school is important. Various supports for promoting the diversification and specific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school teachers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education at art galleries may be made through continu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ionals at art galleries and school teachers. In addition, such a serious of endeavors may ultimately form a solid foundation for art education.

      •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현황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옥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reality of domestic or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art gallery and analyzed compared wi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art gallery, Busan. This intends to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s in art gallery and make people recogn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Korean,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function in art gallery has been recognized and the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art gallery have been expanded in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education programs of art gallery in rural areas are still not sufficien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refore,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5 art galleries in foreign countries(focused on U.S.A), 5 Korean ones, 3 in Busan art galleries for children and then suggested the activation plan for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art galleries, Busan. First, the recognition change of Busan residents into positive way and the interest in art are necessary. Second, the understand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have to be renewed in Busan. Third, the response of higher grade students as well as lower grade students has to be raised by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school subjects. Fourth,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has to be raised in connection with collection or works of art and exhibition. Fifth, the effort for public relations of art gallery is needed. Sixth, the consistent educational program for art has to be planned. Seventh, excellent educational experts have to be trained for the activation of education in art gallery.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유형율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5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개정 방향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며, 주요 역량으로 시각적 소통 능력, 미적 감수성,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창의・융합 능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실은 미술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측면이 강하며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과 실제 작품이 아닌 도판위주의 감상 수업, 표현과 재현을 목적으로 하는 미술수업으로 인해 주요 역량을 추구하기 힘든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교육적인 역할 및 기능을 강화를 위하여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에 대한 정의, 심리적사회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적 관계, 발달과업에 대한 이해와 미술관의 개념, 기능과 유형, 중요성,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청소년기에 미술관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그 다음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파악한 뒤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례조사를 위해 선정한 미술관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이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은 만 13세~18세를 의미하며, 주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상태이다. 기간은 자유학년제가 시범운영 된 2018년부터 현재까지이다. 사례를 통하여 청소년기 미술관교육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파악한 문제점을 토대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은 단체 감상교육 위주이거나 자유학년제와 관련하여 공교육 연계프로그램이며 개인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일회성 체험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포용성을 갖춘 인재로 교육하기 위하여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셋째, 새로운 미디어매체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교수매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앞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이 다양화가 되어야 한다. 미술관은 자유학년제 진로체험 프로그램에서 일상생활에서 만나기 힘든 직업군으로 다양하게 늘려주고, 청소년과 전문가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도전적인 과제 제시, 창의·융합교육의 진행해야 한다. 둘째, 다양함의 가치를 알고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문화다양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와 같은 뉴미디어 활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넷째, 문화기반 시설이 약한 지역 청소년에게 미술관견학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의 변화에 대비하고 학교교육을 보완하며, 미술관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미술관의 교육적인 역할 및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미술관은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소년기 학습자에게 단순히 체험하는 일회성 교육프로그램 제공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문화시민의 자질을 길러주고 진로 체험 및 자아실현의 발판 마련, 문화예술의 향유, 배움의 갈증 해소, 여가시간을 제공하길 바란다.

      • 12세 이하 공공교육과 연계한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체험미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송경희 경기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on the operation of museum․art gallery linked with pre-schools․primary schools, and it is aimed to compliment and establish that there was not enough studies despite of a lot of interests on this field. Furthermore, it is fundamentally aimed to establish the program as a 'genre' of art education course by presenting the features and effects by developing programs to experience museum․art gallery along with these attempts. The functions of museum․art gallery at present are changing into a place of learning and not just simple collection and exhibitions thus various operation methods are being studied and its educational function is being expanded and they are actively preparing programs focusing on experience expanding their facilities especially for children. The reason is that school education is focusing too much on academic fields and educating children by way of cramming, memorizing thus it is believed that it takes away emotion such as joy and sorrow from our children. At this time when we need more basic ability to experience with much more solidity and energy and variable creativity, art experiencing programs that values the experience such as field trips or history studies conducted in museums․art galleries are being positively welcomed as a form of eduction. Especially, art experiencing program at museums․art galleries that accompany playing and art activities dealing with various materials we meet in our daily lives or natural objects through our 5 senses (sight․hearing․touch․smell․taste) are being regarded as much more important.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ethods of operating museums․art galleries or experience program suitable for the students are not yet active and there lacks systematic teaching methods as well. Of course, a few museums․art galleries such as National Central Museum,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National Folk Museum, Samsung Museum, Whanki Museum show various educational effect through systematic and high quality art program but most of museums․art galleries does not. There are many cases where art programs do not exist at well and even when it does than it is only for show.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art experiencing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interests on experience learning linked with museums․art galleries and presented detailed operation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Ⅱ was intended to prepare base for a study while examining what the museums․art galleries do and how far has preceding studies proceeded. Furthermore, it closely examined why it is necessary to operate museums․art galleries linked with preschools and primary schools and how much experience art has helped to display intelligence and creativity. Chapter Ⅲ presented models related with the methods of operating museums․art galleries in details and the development of art experiencing programs. Firstly, museum․art gallery operation methods are composed of programs that linked kindergartens and schools and programs for families and needy families. The following experience art program development presented experience program based on plane and solid and enjoying and playing while taking into account internal․external environments of museum․art gallery. Chapter Ⅳ discussed major features and educational effects and issues and outlooks of art educations linked with museum․art gallery. Firstly, the features and educational effects of art education linked with art gallery presented observation, intuition, expression that help to realize the essence of materials as well as building up imagination and fantasy and it aimed to search for more aggressive directions while assessing and evaluat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details and not just abstract presentation. Lastly, it mentioned the tasks of operating museums․art galleries and the trends in operating art galleries in the world. As the above, this study is about basic materials related with the methods of operating museums․art galleries and the development of art experience programs. I believe that efficient education program of museums․art galleries give a chance to create interests on art education most of all and compliment what lacks from school education. I have been operating art school and kindergarten for 25 years and have been preparing and studying for 13 years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children's gallery. Furthermore, I have been continuously visiting museums․art galleries with children since 10 years ago and conducted various art experiencing education and received great responses from the parents. I can say that experience education such as explaining collections, visiting cultural properties, making insects using sticks as well as natural dyeing, pottery, folk tale drawings are very popular. This study was largely completed with the researcher's interest on the operation of art gallery as seen from the above and if focused on developing ideal human being and creativity at the crossroad of museum․art gallery and art․eduction at all times. Finally, I hope that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continuously on ways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by kindergarten and schools by linking with museums․art galleries. 본 논문은 12세 이하 공공교육과 연계한 박물관/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그동안 이 분야에 대한 적지 않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가 없었던 점을 보완, 정립시키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시도와 함께 박물관/미술관의 ‘체험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해 그 특징과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과정의 한 ‘장르’로 그 위치를 확보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목적도 갖고 있다. 현재는 박물관/미술관의 기능이 단순히 수집하고 전시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면서 다양한 운영방법을 모색하는 가운데 교육적 기능을 넓혀가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을 교육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체험위주의 프로그램과 그에 맞는 시설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무엇보다도 학교교육이 학문에 중점을 두고 주입식, 암기식으로 교육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보다 내밀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원초적인 체험능력과 가변적인 창의력이 필요한 시점에, 박물관/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자연학습이나 역사학습 등 경험치를 중요시하는 체험미술활동이 긍정적인 학습형태로 환영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놀이를 동반한 박물관/미술관 미술체험 활동과 오감을 통해 자연물이나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다루는 미술활동이 더욱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아직까지 박물관/미술관의 운영 방법이나 대상에 맞는 적합한 체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체계적인 지도방법 또한 미약한 편이라 본다. 물론,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삼성박물관, 환기미술관 등을 비롯한 몇몇 박물관/미술관에서는 체계적이고 차원 높은 미술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드러나고 있지만 대부분의 박물관/미술관은 그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도 많으며 설사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더라도 형식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한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관심아래, 체험미술의 다양한 측면들을 통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구체적인 운영방법과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먼저 박물관/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기본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기초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아울러 12세 이하 공공교육과 연계한 박물관/미술관 운영은 왜 필요하며 또 중요한지 그리고 체험미술이 지적, 창의적 발휘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면밀히 알아보았다. 다음, 구체적인 박물관/미술관 운영 방법과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한 내용들의 모형을 두 가지 제시했다. 첫째 박물관/미술관 운영 프로그램에서는 유치원과 학교 등을 연결시키고 아울러 가족과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둘째 체험미술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박물관/미술관 내․외 환경을 고려하면서 평면과 입체 그리고 감상과 놀이를 바탕으로 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제시해 놓았다. 이어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한 미술교육의 주요 특징과 교육적 효과 그리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관해 논했다.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한 미술교육의 특징과 효과에 대해서는 상상력과 환상력 키우기를 비롯해 사물에 대한 본질을 깨닫는 관찰력, 직관력, 표현력 등과 관련하여 제시했다. 이는 추상적인 제시가 아니라 그 장점과 단점을 세세히 가늠, 평가하면서 좀더 적극적인 방향을 찾고자 했다. 끝으로 박물관/미술관 운영의 과제와 세계의 미술관 운영의 추세를 거론했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박물관/미술관과 연계된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한 기초 내용들이다. 박물관/미술관의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무엇보다도 미술 교육에 대한 흥미 유발을 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 체험미술교육을 토대로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학습지도안과 함께 제시해 놓았다. 본 연구자는 미술학원과 유치원을 25년 동안 운영하면서, 어린이미술관 운영을 목적으로 13년 동안 이에 관련한 준비와 연구를 해 왔다. 또한 10년 전부터 원 아동들과 함께 박물관/미술관을 지속적으로 관람하고 또 연계하여 다양한 체험미술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소장품 해설, 문화재 답사, 나뭇가지를 이용한 곤충 만들기 등 체험교육을 비롯해 천연염색, 도자기, 민화 그리기 등은 더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연구자의 미술관 운영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큰 바탕이 되었으며, 시종 박물관/미술관과 미술․교육의 교차점에서 바람직한 인간형성과 창의성을 보다 거시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도록 역점을 두었다. 끝으로, 12세 이하 공공교육과 박물관/미술관이 연계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물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는다.

      • 중등학교 미술 감상 학습지도안 연구 : 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김여정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가 범람하는 일상생활 속에서 정보전달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이라는 위치는 점점 작아지고 있다. 교실 안에서의 단편적인 지식전달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는 교수법이며 이러한 수업은 점차 학생들에게 외면 받을 것이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모습을 좀 더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의 현장의 장소로서 활성화되기 위해 미술교과수업을 미술관이라는 사회교육기관과 연계하여 확장된 학교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미술시장의 발달과 함께 미술관의 규모는 점점 커져가고 소장품에 대한 구매력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관의 소장품에 대한 활용에 대한 연구는 소장품 구매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고 그저 작품과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컨테이너로서의 역할에 머물지 못하고 있다. 현대의 미술관은 과거 특정 지배계층을 위한 전시위주의 공간이 아닌 대중과 소통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공간으로써 유동적인 사회문화교육기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방대한 소장품들을 바탕으로 열린교육으로서 적극적인 교육적 대안공간으로 활용되어 지고 더불어 제7차 개정 미술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상호보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기에 있어 미술교육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사회에서 요구되어 지는 창의적인 인재개발을 위해 청소년 미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대안점으로 소장품과 연계한 미술교과수업에 대한 연구방법을 제안해보려 한다. 교과서에 의존한 수업이 아닌 미술관의 온·오프라인 소장품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전세계의 작품을 감상하고 오프라인으로는 거리적으로 접근가능성이 있는 국내의 미술관을 현장학습을 실시하여 실제작품을 감상하는 기회를 통해 교욱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대안을 마련하였다. 기존의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보다는 현재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고루 활용하여 그 범위 안에서 모색되어 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In terms of information delivery, the position of education has been gradually waning in daily life though it is overflowing with information. The method of merely delivering fragmentary knowledge in a class is out of date and will be ignored by students. This study is for utilizing the museum as an extended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relating art class to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like the museum in order to revitalize school education as the site of more aggressive, creative education. With the growth of the art market the museum has gradually become larger and the buying power for its collection has increased every year. Any study of the utilization of the museum collection cannot catch up with the speed of it’s newly purchased collection. As a result, the museum simply assumes the role of a container for preserving artworks or cultural heritage. A modern art museum h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communicating with the general public and associating with a local community, departing from the tendency of displaying artworks for the a specific ruling class. This dissertation studies how the art museum as a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 can be utilized as a positive alternative educational space for open education with an enormous amount of collection, and how it mutually satisfies the problem of the 7th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of Art Education. Realizing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adolescence to develop creative human resource required in a future society, I intend to propose study methods for the class of art subject in connection with a museum collection. I presen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with opportunities to appreciate works of art round the world by internet, which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also by the appreciation of real works of art through field study of art museums accessible offline. In this paper I have proposed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be explored within the category of present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its merits and demerits as well, rather than any fundamental criticism of existing policy.

      • 국.공립 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민숙희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gives children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art and become motivated by the culture which surrounds ar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compares and contrasts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conclusive evidence for the need for advanced programs for art museum programs for children in the future. This study gathered facts from research papers, web sites, and interviews with staff at the museums from 12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and 5 foreign art museums. The content and activities of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research papers and actual examples of the art museums, the results are studi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diversify. Generally,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supported by fund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public body, seem to conduct the programs only for the public. This results in a lack of differentiation between museums. Secondly,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 with trained educators. The art museums cannot properly develop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ecause it does nott have an education department or professional staff at the museums they fund. Actually, most of art museums which conduct proper children's art education programs depend on professionals who lie outside the government’s influence and usually come from the private sector. Thirdly, the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regions and be diverse. Actually, one tim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such as weekend programs have been conducted in recent. Domestic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based on some of the effective foreign programs while, at the same time, still aim to have a Korean flavor or dimension to our programs. Fourth, the subjects and content of art museums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diversify. Lastly, the types and teaching method of art museums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Besides the program ought to be collaborated with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the museums. In conclusion, I hope my research will help foster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so that children will be able to enjoy systematic and divers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미술을 직접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술 감상능력을 높이고 나아가 미술문화를 향유·발전시킬 수 있는, 학교 미술교육과는 구분되는 중요한 교육활동이다. 미술관의 이념, 목적, 내용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다르게 이뤄지며, 미술관 소장품 또는 전시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국·공립 미술관을 대상으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해외 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사례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관 어린이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미술관 교육의 정의, 미술관 교육의 기능, 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에서는 문헌조사 , 미술관 웹사이트 검색 및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국·공립 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해외미술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우수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국·공립미술관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그 재원을 지원하고 있어 다수의 일반 대중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기관의 규모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수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내용적으로는 차별성보다 획일성을 보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주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미술관 교육 전문인력(Museum educator)의 양성이 시급하며, 이를 확대 보급하여 미술관 특성에 맞게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이는 향후 미술관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교육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미술관에서는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지나치게 외부강사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자체적인 전문 인력을 좀더 확충 또는 양성하여 고급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대상유형이 확대되고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현재 미술관에서는 주로 일회성 교육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일회성 교육에서 벗어나 해외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경우처럼 한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많은 관객에게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이 다양해야 한다. 미술영역에서 벗어나, 외국미술관의 사례처럼 다양한 관련 주제를 도입하여 체험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미술관 소장품 및 전시연계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 청소년을 위한 미술관교육프로그램과 향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우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current age of industrialization, the youth are forced to face lots of problems due to loss of humanity and do-humanization. Specifically, the juvenile problems can be defined as the cultural deficiency. These are serious problems to the youth who are sensitive and have strong desires. However, there aren't many cultural areas if which the youth can form their own culture and acquire the cultural knowledge. If art museums work as a field of art and cultural exchange and support the young, they can help their proper growth through art and culture. The education of art museums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complements the school education and provides balanced opportunities of art education. However, there are few art education programs provided for the young in art museum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to promot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in art museums. For the purpose, it examined and analysed the present condition of art education for the young and its programs provided in art galleries and museums. Based o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focus should be given on nurturing of museum professionals to lead art museums to be a field of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Second, for activation of education provided through art museums, a general curriculum through which art class at school is complementarily adjusted should be presented. Third, for effective education provided through art museums, the museums should be equipped with advanced audio-vidual instruments and teaching aids. Forth, art museums should provide a variety of learning programs through experiences such as participation in music concerts, seminars and movie watching for the young. Through the programs, the young become familiar with the museums. Fifth,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s to use regional cultural areas should be developed. Sixth, to keep up with the trend of the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t museum home pages should be presented on-line. They are able to attract great attention from the young. To sum up, art museum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school educ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esentation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models. Therefore, the young will be familar with and feel emotionally stable if the education. For active art museum education, educational staff in museums and schools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linked with school curriculum, and art teachers should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education, and put their best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 중등미술교육에서 미술관 연계수업 모형 연구

        최소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예술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미술관은 학생들에게 감상과 더불어 체험적 요소까지 함께 제공하고 있다. 미술관 교육은 실제 작품을 보고 접하는 것에서 오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고 이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대안으로써 그 의의가 크다. 제 7차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학교와 연계하는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은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미술관 수업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진다. 그러나 여전히 국 · 공립 및 사립 미술관의 수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수도권 이외의 지역미술관은 환경적인 제약과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미술관의 실정에 따라 경제적 여건, 접근성, 교육전문가 인력확보 등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다. 또한 학교미술현장에서는 표현위주의 수업진행과 소극적인 감상수업, 학년단위의 미술관 관람 등의 현상을 통해 미술관 교육이 매우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관은 학교미술교육의 현실적 제약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해주고 청소년들에게 예술작품을 직접 접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체험학습현장의 새로운 교육공간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점에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학교와의 상호연계가 중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어린이와 성인에 비해 청소년 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는 미술관은 많이 부족하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미술관과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중등미술교육에서 미술관 연계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관과 학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더불어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연계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국내 · 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 분석하고, 미술관과 중등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한계 그리고 미술교사와 미술관 교육담당자의 역할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의 개발모형을 연구하고 미술관 관람 수업 진행에 있어서 사전 · 현장 · 사후 학습지도안을 함께 제시하여 학교에서 실행 · 활용 할 수 있는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관을 현장학습이 갖는 창의적이고 확장된 사고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리고 미술관을 효과적으로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학습장소로서 중등미술교육에서의 미술관 연계수업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s people’s awareness on art increases, art museums have provided students with not only art appreciation opportunities but also its experiencing elements. Art museum education is an important alternative in that students can watch and feel actual works of art first hand and by doing so, they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lassroom art study. The significance of art museum education linked to schools, as also emphasiz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amendment, has been more specified along with the rising interest in culture and art enjoyment. This leads to the growing demand for art museum classes. However, there is only insufficient number of public/national and private art museums. Art galleries in regions other than the metropolitan area face plenty of difficulties such as environmental limitations, lack of education program diversity, financial status, poor accessibility and few education experts. In schools, art education classes just focus on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has been passive. School art museum education has been rather superficial as schools have done hardly more than just sending students altogether to art museums. Art museums can help students overcome diverse problems caused by realistic limitations and let them watch and feel works of art at first hand, playing a role as a new educational venue with experiences. In this aspect, art museum education has been taken more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its connection with schools. Still, compared with children and adults, adolescents have been less of a target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exposing the need for more studies on diversified education programs for them. I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based on the problems perceived about school art education, analyzed art education programs linking schools and art museums and suggested an art museum-connected teaching model for middle schools. First, the necessity was examined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linking schools with art museums based on their intera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adolescent education program was reviewed herein. Second, domestic and overseas school-linked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were compared and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s linking middle schools with art museums, their limitations and desirable roles of art teacher and art museum education managing staff. Third, a school-linked education program model was examined herein and pre/on-the-spot/post art museum study guidelines were presented together as part of efforts to explore a more practical and applicable adolescent education program in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middle school-linked art education in art museums as a place of field study for creative and expanded ways of thinking for effective student experience and lessons.

      •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관교육에서 미디어의 활용방안 연구: 대전시립미술관 사례중심

        김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 속에서 미디어는 소통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역사적으로 꾸준히 미술소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해 온 미술관도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소통의 중심에 있다. 오늘날 미술관은 홈페이지 구축을 통한 웹상의 서비스와 모바일, SNS를 통한 서비스 등 관람객과의 소통에 더욱 다양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미술관관람객 또한 이러한 미디어매체를 통한 소통에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며 더 나아가 미디어매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미술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미디어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다른 미술교육이 가질 수 없는 실물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구분된 특성을 가진 미술관은 감상교육을 위해 오는 초등학생을 위해 전시와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미술관에서 수업의 매체가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등 미디어기기를 표현 수업의 매체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시와 연계한 표현활동에서 미디어의 활용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고, 이러한 경험이 전시의 주제와 작가탐구에 이르도록 하고자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여러 문헌과 관련 자료, 대표 연구 미술관교육 실무 담당자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미술교육에서 미디어의 활용을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내용분석을 통해, 미술관교육에서 미디어의 활용은 전시감상과 표현활동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Ⅳ장은 실제 수업연구 방안을 계획하는 장으로서 미술관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수업 방안을 대전시립미술관의 전시와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디어활용 표현수업의 실제를 다룬 Ⅴ장에서는 2011년 대전시립미술관과 이응노미술관의 전시를 주제중심전시과 작가중심전시로 나누어 전시와 연계한 미디어수업연구를 하였다. 미술관교육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활동을 전시와 연계하여 적용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와 연계한 미디어활용 표현활동은 전시의 주제와 작가에 대해 흥미를 갖고 접근하게 한다. 둘째, 표현매체로서 미디어의 활용은 개인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개념중심의 현대미술을 이해함과 동시에 미술관에 대한 관심을 고양시킨다. 셋째,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활동은 학생들에게 창작에 대한 도전의식을 갖게 하고 미래 미술환경에 발전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게 한다. 넷째, 미디어기기와 프로그램의 힘을 빌린 표현은 사실적인 묘사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나 표현의 확장을 경험하게하고 자신감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를 사는 학생들을 위해 미술관교육이 차별화되고 새로운 미술활동을 모색해 봐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계획되었다. 이에 위와 같은 효용성을 통해 전시 연계 표현활동에서 미디어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미술관 감상을 보다 흥미롭게 하고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와 표현의 확장을 갖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