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요인 연구 - 비대칭 협상 이론을 중심으로 -

        류혜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rough Habeeb's asymmetric negotiation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tart, four revisions, and end of the Korea-U.S. missile guidelines, which began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issile white bears in the 1970s. Habeeb divides the power of the state in negotiations into overall structural power, issue-related structural power, and action power, and among them, issue-related structural power is an important factor in reversing negotiations with powerful countries. In this study, the three elements of structural power related to issues, alternatives, will, and control, influencing control, were analyzed by setting new variable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the U.S. response to North Korea's threats, and Sou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capabilities. Habeeb says control is for negotiators to concede some of the advantages to the other side as they engage in negotiations and achieve the goals they want to achiev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include international events,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effectiveness of forced sanctions, domestic political environment, cohesion of negotiating departments, and game venues. In this study, the above contents were analyzed by changing variables with the previous three factors. Regarding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it was worth noting that South Korea began to develop missiles and that the need for retaliatory measures was urgent as it was known that North Korea had deployed Soviet-made prog missiles in front of it. North Korea's withdrawal from the NPT in the 1990s, the first nuclear crisis, and the gradual advancement of threats such as long-range missile launches were factors that increased the negotiating power of South Korea's revision of missile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a weak country. Since then, in the 2000s, North Korea has further increased it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speed, and the revision cycle of the South Korea-U.S. missile guidelines and the time required for revision negotiations have been gradually shortened. The biggest change was the U.S. response. Until the early 2000s, when the missile guidelines were based on South Korea's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he United States tried to regulate Sou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prea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support for missile development could be seen as a proportional measure to reduce the number of U.S. troops in Korea. However, in the 2000s,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gradually advanced, and the scope of North Korea's direct threats reached the U.S. territory. The United States had no choice but to change the stance of responding to North Korea's missiles, which it had judged mainl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areas, and gradually eased Sou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standards. Above all, Korea's missile development capability and will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negotiating the revision of the missile guidelines. No matter how loosely South Korea's missile range and warhead weight were set in the South Korea-U.S. missile guideline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argue for a revision of the guidelines if South Korea did not have enough technology, resources, and facilities necessary for missile development. Similarly, the Korean government's will and diplomatic efforts to revise the missile guidelines were based on the revision of the missile guidelines. These facts could be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o demonstrate that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the U.S. response to them, and Sou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capabilities could be seen as the factors for revising the South Korea-U.S. missile guidelines. In particular, the South Korea-U.S. missile guidelines have also been shackled in non-military field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However, with the end of the guidelines in May 2021, it gave Korea an opportunity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not only in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in aerospace technology. 이 연구는 1970년대 국산 미사일 백곰을 개발하면서 시작하게 된 한·미 미사일 지침의 시작과 4차례의 개정, 종료까지의 일련의 과정에서 나타난 한·미 양국 간의 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하비브의 비대칭 협상 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비브는 협상에 임하는 국가의 힘을 총체적 구조적 힘, 이슈 관련 구조적 힘, 행위의 힘으로 구분하였고 그 중 이슈 관련 구조적 힘은 약소국이 강대국과의 협상을 반전시키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슈 관련 구조적 힘의 세 가지 요소인 대안, 의지, 통제력 중 통제력에 대한 영향 요소를 미사일 지침 개정 협상에 나타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이 위협에 대한 미국의 대응, 한국의 미사일 개발 능력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하비브는 통제력을 협상에 임하는 협상 당사국들이 상대에게 유리한 부분을 일정 정도 양보하고 자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는 것이라 말하였다. 이에 대한 영향 요소로는 국제적인 사건, 국제 정세의 변화, 강제 제재의 효용성, 국내 정치적 환경, 협상 담당 부서의 응집력, 게임 장소 등을 들고 있는데, 이를 앞의 세 가지 요인으로 변수를 바꿔서 분석한 것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요인에 대해서는 한국이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게 된 배경, 북한이 소련제 프로그 미사일을 전방에 배치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대응 보복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였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으며, 1990년대 북한의 NPT 탈퇴와 1차 핵위기,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위협이 점차 고도화되었다는 점은 약소국 한국의 관점에서 미사일 지침 개정의 협상력을 높여준 요인이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속도가 점점 빨라졌던 만큼, 한·미 미사일 지침의 개정 주기와 개정 협상에 소요된 시간도 점차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영향 요인은 미국의 대응이었다. 미사일 지침이 한국의 양해 각서를 바탕으로 했던 2000년 초반까지는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의 목적으로 미국이 한국의 미사일 개발을 규제하려 했었다. 그리고 미사일 개발에 대한 지원은 주한미군의 감축에 대한 비례적 조치로 볼 수도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점차 고도화 되었고 북한의 직접적인 위협 범위가 미국의 속령에까지 미치게 되자, 미국은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판단했던 북한 미사일에 대한 대응 기조를 바꿀 수밖에 없었고 한국의 미사일 개발에 대한 허용 기준도 점차 완화시킬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미사일 지침 개정 협상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요인은 바로 한국의 미사일 개발 능력과 의지였다. 아무리 한·미 미사일 지침에서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와 탄두중량을 느슨하게 정했다고 해도 한국이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자원, 시설을 충분히 갖고있지 못했다면, 지침의 개정을 주장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정부의 미사일 지침 개정에 대한 협상 의지와 외교적 노력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미사일 지침의 개정이 가능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비대칭협상이론 분석의 틀로 분석했을 때 한·미 미사일 지침의 개정 요인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 한국의 미사일 개발 능력으로 볼 수 있음을 논증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특히, 한·미미사일 지침은 우주발사체개발과 같은 비군사적 분야에서도 족쇄가 되었는데, 2021년 5월 지침 종료와 함께 한국은 군사 과학기술 뿐만아니라 우주항공기술 분야에서 한 단계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 가톨릭 미사 전례경에 관한 연구

        김영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사(Missa)는 모든 예절 중 가장 중심을 이루고 있는 예절이다. 그리스도를 우리의 祭物로 聖父께 봉헌함으로서 聖父와 우리를 和解시키시며 그리스도를 통하여 많은 은혜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미사는 우리의 영원과 生命과 幸福의 샘을 이루는 가장 거룩한 제사이다. 그리스도와의 일치가 信仰生活의 目的이라면 미사에서 거행되는 聖體視聖과 聖體拜領은 그리스도를 믿고 훔숭하는 가장 嚴肅하고 진실된 信仰의 表現이다. 모든 信者들이 갈망하는 그리스도의 신비체의 일원으로서 그리스도와 합치한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미사야말로 敬神行爲의 가장 中心이며 으뜸가는 祭祀요 예절이라 하겠다. 音業은 미사典禮중의 重要한 要因이다. 하느님께 드리는 讚美와 감사, 인간이 자기 罪를 뉘우치며 용서를 청하는 간구와 영육간에 필요한 모든 은혜의 간청은 音樂으로 더욱 아름답고 애절하게 表現된다. 「" 音樂은 기도를 감미롭게 표현하거나 일치를 도모해 거룩한 의식을 더 盛大하게 감싸준다." ( 전례헌장112 ) 」 이러한 미사는 대개 말씀의 典禮, 봉헌의 典禮, 領聖體와 聖餐의 典禮등 세 부분의 順序로 되어있다. 즉, 제1부는 Introitus, Kyrie, Gloria, 本祈禱文. 讀書, Gradnale, Alleluia, Tractus, Sequence, 福音聖書朗讀, 講論, Credo이고, 제2 부는 祭物準浦 Offertory, 奉獻祈禱文, 序文經, Sanctus, 望體適視望, 산사람과 죽은 사람을 위한 祈禱이고, 제3부는 天主經, Agnus Dei, 領聖體誦, 領聖體後 祈禱文, Ite missa est로 이루어 진다. 本 硏究에서는 미사典禮經의 간단한 변천과정과 더불어 미사의 고유문(Proper)과 통상문 (Ordinary)의 내용을 다루었는데 그중 통상문 작곡유형에 관한 부분을 자세하게 硏究함으로서 가톨릭 미사 典禮經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그리스도와의 일치른 원하는 信仰生活에 보다 근접되기를 희망하는데에 本 論文의 目的을 둔다. Mass is the most centric manners of Christianity and it makes us reconcifiate with Good by dedicating Christ for us. So mass is the holiest saerifieial rite for our eternal life and happiness. In mass, Benediction of Blessed sacrament and Holy communion are the most truthful and sacred expression of faith be cause it meand the union with christ as the part of mystic being christ. Music is also a very important factor of mass. It expresses praise and thanks for God pray for forgiving of human sin and pray for all graces of human spirit and body more beautifully and pitifully. Mass consists of Service of readings, Dedication, Eucharist and Holy Communion. The first part consists of Introitus, Kyrie, Gloria, Prayers, Readings, Graduale, Alleluia, Tractus, Sequenee, Reading of the Gospels, Preaehing and Credo. The second part consists of Offertory, Prayer, Preface, Sanetus and Benediction of Blessed sacrament. The third part consists of the Lord's Prayer, Agus Dei, Communion, Prayer and Ite missa est. In this study, I dealt with the changes of Mass Terms as well as the contents of Mass proper and ordinary. This study intend to a life of faith for the union with Christ as well as comprehension for Catholic Mass Terms by a detailed studying for a ordinary composition type.

      • 北韓 彈道미사일 威脅과 對應方向

        정승택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북한과의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진 후에도 여전히 군사적인 위협이 존재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군사적 위협중에서 북한 미사일이 정밀타격능력뿐만 아니라 대량살상무기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한반도 주변 4국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대응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북한미사일 위협평가, 북한미사일 개발목적 그리고 한반도 주변국들의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대응책을 살펴봤다. 북한은 1960년대 말부터 대내적·군사적 요인으로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스커드미사일, 노동미사일을 개발하였고, 대포동미사일과 같은 장거리 발사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북한 미사일은 낙후된 관성항법과 정밀유도기술로 다소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장시간 미사일 개발과정에서 축적한 추진체 기술로 일본·미국지역 대부분을 사정거리에 포함시키는 위협수단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탄두를 사용 가능한 것중에 화학탄두를 사용할시에는 광활한 지역에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위협적인 존재인 북한미사일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살펴보기 위해 북한의 미사일 개발 의도와 주변국가들의 대응을 연구함으로써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1970년대부터 나타난 주요 사건들을 정리해 본 결과 북한이 미사일을 개발한 의도는 군사적 의도뿐만 아니라 정치적·경제적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먼저 군사적 의도는 유사시 전쟁주도권 을 장악하고 미국을 위시한 연합국의 증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전쟁을 속전속결하기 위함이며, 또한 한국과의 군비경쟁에서 있어서의 경제적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략무기로서의 미사일 개발을 선택하였다. 정치적 의도로는 체제를 유지하고 김정일 통치기반을 강화하며, 외교 협상력과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는데 미사일 개발을 이용하였다. 경제적 의도로써, 북한이 미사일을 수출하는 것은 당장 필요한 외화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라고 북한이 밝힌 바와 같이 미사일을 개발하는 경제적 동기는 외화획득과 경제 강성대국 건설이다. 더 나아가 미사일 개발과 수출은 북한에게는 생존의 길이며, 마지막 남은 협상카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미사일 수출 및 개발 포기등 마지막 카드를 제시하는 그들로서는 확실한 보상을 얻고자 하는 강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미사일 개발의도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는, 개발 초기에 대내적 군사적 요인에서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점차 대외적요인과 함께 정치·경제적 성격이 첨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변국들의 반응 역시 각 국의 이익에 부합되는 표출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미국은 세계경찰국가로서 북한미사일 수출과 개발을 저지시키기 위해 미사일 회담을 통해 해결 실마리를 찾고 있으며, 미·북 미사일 회담, 페리보고서를 통해 대북정책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미사일 기술의 국제적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창구로 MTCR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활용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NMD와 TMD라는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일본을 집단안보라는 테두리안에 잡아두는 동시에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일본은 미국이 제시한 TMD체계 구축에 공식적으로 참가함과 동시에 군비증강 노선을 걷고 있는 반면, 경제협력을 통해 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과 일본의 TMD계획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TMD 계획이 중국과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 능력을 약소하게 만들어 아시아 지역의 군비경쟁을 또 한번 초래할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TMD 구축을 통해 미국의 동북아시아 개입이 확대되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약국은 북한 미사일이라는 TMD 구축의 명분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북한 미사일을 양국의 통제권내에 두고자하고 있으며, 그러기 위해 북한과의 대화채널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처럼 북한이 미사일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동북아시아 국가들간의 갈등이 안보위협이란 부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미국의 NMD와 TMD체계 구축에 대한 각 국의 상이한 반응과 갈등을 들 수 있는 것이다. 즉, 북한의 미사일 문제는 이제 한반도 영역내의 위협범주를 벗어나 동아시아 지역 전체의 위협적인 존재로 등장하게 되었고, 주변국들의 반응 역시 각 국의 정치적·경제적 이익실현을 위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전체를 포함시키는 전 지구적, 국제적인 이슈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한국의 대응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대응방안 첫 번째로 미사일 해외구매 혹은 자체 개발을 촉진하여야 한다. 이는 남북한간에 존재하는 현격한 미사일 능력의 격차를 줄여 진정한 대북 억지력을 보유하기 위함이다. 둘째, 북한을 MTCR에 가입케 하여 준수하도록 압박하는 방안으로 MTCR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북한은 마지막 협상카드인 미사일을 미끼로 다른 가입국과는 다른 보상과 함께 가입조건의 차등적 적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는 북한의 MTCR 가입과정에서 북한에게 로켓기술이 역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북한 미사일 기지접근을 통한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북한 미사일 타격능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이는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함께 C4I체계를 완비하고 미사일 및 공군전력에 의한 타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북한미사일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인 접근을 하여야 한다. 북한 미사일은 한국과 북한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걸려있는 국제적 문제로 자리잡았으며, TMD계획을 두고 상충된 대립을 하고 있는 지역체제 특성상 북한 미사일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외교와 함께 주도적이며 포괄적인 접근을 하여야만 한다. 우선 미국, 일본 등과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일 것이며 북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 러시아와 외교·군사적 채널을 통해 협조를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주도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그동안 한국정부는 독자적인 대북 정책기조 없이 미국의 대북 정책목표를 추종해 온 것이 사실이다. 북한은 오래부터 펼쳐 오던 '통미봉남' 및 '선미후남' 정책으로 남한을 배제하고 북·미 양자관계로 이끌어왔기에 미·북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난 한국정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한 때이다. 아울러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이는 북한 미사일이 내포하고 있는 군사, 경제, 정치적의도가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등 주변국과 관여된 국제문제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어떠한 보상에도 불구하고 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 능력을 보유하려고 할 것이며, 북한에 대한 양보사항들이 한반도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국의 안보상황속에서 어느 일부분에 국한된 분야별로 해결할 것이 아니라 국내·국제적인 요인을 종합적으로 사고하며 이와 관련된 군사·경제·정치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하겠다. This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 military intimidation still exists by North Korea although the South-North summit talk has been accomplished. In order to extract our right response to the military intimidation from the North -particularly the fact that those missiles from the North are mass-casualty weapons, and have a precise strike capability-, I researched the effects of intimidation from the North to those four neighbor countries- namely; Japan, China, Russia, and U.S. Also I researched on those neighbor countries' countermeasures toward the North Korea, and the assessment of the missile threat, as well as the North Korea's purpose of the missile development. The missile development in the North Korea has begun in purpose of domestic affair and military affair in the late 1960s. North Korea produced Scud-missile and Roh-Dong missile, and acquired the ability to fire a long-range missile as Dae-Po-Dong missile. Missiles from the North are less precise with an outmoded inertial-navigation and precision-guiding technology. But their advanced propulsion technology is assessed as an intimidation to others since they can fly the missile to Japan and far up to the mose of westside of U.S. Also it will call a mass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in broad area if the North Korea maliciously applies a chemical warhead onto the missile. But we can find a proper solution to the missile intimidation from the North by acknowledging the intention of the North's missile development and researching other neighbor counties' feedback. For that, I searched into the major incidents from 1970s, and concluded that the intention of the Nor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is not only carried by military intention, but also by political and economical reasons. First, their military intention is to take the initiative in warfare, and to carry off the victory through the lightning war strategy before the arrival of Allied Reinforcement Forces. Also the North Korea develops a strategic missile as only solution to overcome the economic inferiority in arms race with the South Korea. In political intention, it's used to keep the current political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reinforce the Kim Jung-Il's sovereignty, and to uplift their diplomatic negotiation capability and their international phase. And last, as the North Korea officially announced, the motivation of missile development is the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ies to build the economic superpower. Moreover, the missile development and importing is only a means of their existence, and only left strategic card of the negotiation. Therefore those recent deals they have offered, a renouncement on the missile developing and exporting to other countries, represents their strong demand of acquiring the trustworthy indemnity. Throughout the research on the North Korea's intensive missile development, we can notice that their intention of missile development was started with a domestic military purpose, and then, merged into a broader purpose involving diplomatic, political, and economical reason. Even the responses from other neighbor countries are based on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To begin with, the U.S, considered as a police state, approaches this missile crisis through the U.S-N. Korea Missile Talks to make stop their will on the missile development. And the U.S settled their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based on the U.S - N. Korea Missile Talks and W. Perry's report. To block a spreading out of the missile technology in the world, the U.S utilized not only MTCR system, but also NMD and TMD system. Those are the anti-missile systems which will hold Japan under the name of a "collective security", and divert those two mammoth countries; China and Russia, simultaneously. Therefore Japan officially participates on this TMD system project proposed by U.S, and takes a routine of the force improvement while in other hand, Japan tries to solve the missile crisis through the economic cooperation. But China and Russia strongly oppose toward this TMD system planned by the U.S and Japan. Because this TMD system will make weaken of those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retained by China and Russia, and also it will bring about the arms race in Asia again. They also worry about the U.S getting more intervention in northeast Asia. Therefore China and Russia try to expand the chance of dialogue with the North Korea to get the control of North Korea's missile system, in order to minimize the justification of TMD system. As I mentioned above, the North Korea's missile development produces a contingent effect among those neighbo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nd the main effect is the unlike reaction and conflict among those countries toward those NMD and TMD system proposed by the U.S. That is, the issue of the North Korea missile development is not only a domestic matter of the Korean peninsula now, but it involves the whole related neighbor countries and produces all diverse reactions in politics, diplomacy, and economy. Moreover the issue is now became an international affair involving all regions of northeast asia. Through all of these aspects, the response of S. Korea towards this crisis is as follows. First, our correspondence to the missile crisis is driven by the acceleration of foreign missile purchase or the self-development of missile. This is to fill up the wide gap between North and South on the missile technology, and retain a deterrence toward North Korea. Second method is a forcing the North Korea to join the MTCR and follow its ordinance. North Korea would take advantage of the missile issue in order to acquire an exclusive entry benefit and to be applied on the different terms. As a countermeasure to this, we must ensure a transparency of the North Korea's missile through accessing their missile bases. Third, we have to uplift the knowledge of the striking power of the North Korea's missile: update the database of North Korea's missile threat, complete the C41 system, and enhance our strike power by improved missiles and air forc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n comprehensive notion toward this missile issue to extract a best solution. North's missile is not limited to Korea. It's an international issue that's involving all of those complicated interests of the U.S, Japan, China, Russia and other. Moreover, with the fact that there is a conflict among nations toward TMD project with the regional peculiarity, it is necessary of the multilateral diplomacy, and active as well as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this missile issue. Our close coordination with U.S and Japan is essential, and we have to be able to demand the cooperations of China and Russia , who have the strong voice toward the North Korea, in our need. It's also needed to approach the issue in active attitude; it's true that our previous governments haven't had an independent policy to the North Korea, and just driven by the U.S policy. Since the North Korea has being kept the "open-to-U.S and close-to-South" policy and "U.S first, then south" policy which led the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and U.S for a long tim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pursue the initiative and active rol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n comprehensive attitude because it is an international and multinational issue that involving other country's politic, economy, and military aspect. Because the North Korea would try to retain more advanced missile and mass-casualty weapon despite any kind of benefit from the world, the concession without a deep consideration would bring about the negative affection for the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So our solution shouldn't focus to the certain area, but have to take a broad and extensive perspective toward this missile issue with concerning a domestic aspect and international aspect, as well as the military, economic, and political consideration.

      • 계층분석기법(AHP)을 이용한 북 핵·미사일 관련시설 타격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김인식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early 1990s when th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 had been made public, the continuous nuclear testing and launching of new ballistic missiles has exceeded from being not only a security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but to being an increasingly serious issue in international society; hence it remains for us as both a vital threat and a problem yet to be solved. This research, as part of an investigation for action against such North Korean nuclear threats, focuses on an analysis of the order of priority in striking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related facilities. It analyzes, categorizes and sor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facility targets, for which such works had not yet been attempted in any such preceding research. Hereafter, upon gathering the opinions of those experts in both the policy department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conduct of operations department (Air Force Operations Command) on targeting nuclear and missile related facilities, this research establishes a priority list of targets to be struck in case of military operations through the use of the AHP technique and analysis.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sophistic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city with regards to its continued development and testing of nuclear weaponry and its current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capabilities, and after closely examining the prospects and countermeasures, it considers the necessity for the AHP technique which is analysis method adopted in this dissertation. Focal to the point is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become equipped with the actual means for the manufacture and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that through the diversification and modernization of ballistic missiles, its nuclear and missile capacity shall continue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As for our countermeasures, it is a fact that while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pursue a variety of measures of both the military and non-military sort, i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reaches the worst-case whereby military action is the only solution, the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needs to be eliminated through 'military means'.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rough the above mentioned 'military means', this dissertation has analyzed and classified the zones and facilities that are to be used for prioritizing strikes on nuclear and missile related facilities, and has at the same time structured and stratified their factors for evaluation. Furthermore, it has established a model and procedure for analyzing strike priority. In the main body of disser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inistry of Defence (MOD), Office of Joint Chiefs of Staff (OJCS), Air Force Operations Command (AFOC) experts active in the fields directly concerned with responding to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issues, and the priority for strikes was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HP technique. Strike priority analysis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of analysis. 1) Analysis of priority strike zones 2) analysis of priority strike facilities within strike zones 3) combined analysis for order of priority based on calculations made for strike zones and strike facilities. In conclusion, upon conducting a combined analysis on the order of priority of strikes on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related facilities (type 3), North Korea's Command and Control Facilities (CCF) (26.2%), which can be metaphorically described as the human 'brain', was deemed first priority target; likewise its Short-Range Scud Missile Base of Operations (12..8%), which also poses a direct threat, together with its Mobile Launching Platforms (12.1%), which are capable of surprise ballistic missile attacks, were deemed effective targets to be destroyed. In addition, it was deemed necessary to prepare against future provocations by destroying nuclear weapons storage facilities (11.8%), and fully prepare against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by destroying what can be described as the human nervous system, namely its communications facilities (10%). As for other the related facilities (nuclear weapons assembly and production facilities, fixed launching platforms, Musudan missile base of operations, Nodong missile base of operations, nuclear fuel processing plants, ballistic missiles support facilities), considering the limit of usable strike power and their relatively low order of priority, an efficient management of strike power through selecting and focusing upon key nodes to strike was deemed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 clear scale for choosing which targets to first strike and eliminate in case of military operations responding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It will become a touchstone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and military strength, no less for the formulation of operations, both necessary for military response; furthermore it will shed light on North Korea's nuclear issue that is yet to be solved. 북한 핵문제가 공론화된 1990년대 초 이후 지속적인 핵실험과 신형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안보위협의 수준을 넘어 국제사회에 대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우리에게 사활적 관점의 위협이자 미결 과제이다. 본 연구는 이런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북 핵·미사일 관련시설 타격 우선순위 분석에 주목하였다. 현재까지 제반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북한의 핵·미사일 타격시설을 분석 및 분류하여, 범주별로 정리하였다. 이후 핵·미사일 대응책을 입안 및 수행하는 정책부서(국방부, 합동참모본부)와 작전수행부서(공군작전사령부) 전문가들의 핵·미사일 관련시설 타격에 대한 견해를 수렴한 후, 계층분석기법(AHP)을 활용하고 분석을 통해 군사행동시 타격해야 할 표적의 우선순위를 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북한의 지속적 핵개발, 핵실험 그리고 현재 핵 및 탄도미사일 능력 등 핵·미사일 능력의 고도화에 대해 정리하였고 향후 전망 그리고 대응방안에 대해 살펴본 후, 본 논문의 분석방법인 AHP기법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핵심은, 북한은 핵무기의 실질적인 제조 및 보유능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탄도미사일의 다종화·현대화로 핵·미사일 능력은 지속적으로 고도화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에 대응방안으로 우리는 군사·비군사적 다양한 방안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며 북핵 위협이 최악의 경우로 치닫아 군사행동만이 해결방안일 경우에는 ‘군사적 수단’을 통해 북한 핵위협을 제거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군사적 수단’을 통해 북한 핵위협를 제거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논문에서는 핵·미사일 관련시설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타격영역과 타격시설을 분석·분류함과 동시에, 평가요소를 구조화·계층화 하였다. 이후 타격 우선순위 분석을 위한 모델과 절차를 구축하였다. 본론에서는 북 핵·미사일 대응에 직접 관여하는 국방부, 합참, 공작사 현직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AHP기법을 적용해 타격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타격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 3가지의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타격영역별 우선순위 분석 각 타격영역내 타격시설별 우선순위 분석 타격영역과 타격시설에서 계산된 우선순위 종합분석이다. 결론적으로 북 핵·미사일 관련시설 타격 우선순위 종합분석(번 유형)을 실시한 결과, 인간의 ‘뇌’라고 할 수 있는 북한의 지휘통제시설(26.2%)이 우선적 타격 대상이었으며, 이와 함께 직접적 위협인 단거리 스커드미사일 작전기지(12.8%) 및 기습적 탄도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이동식발사대(12.1%)를 파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핵무기 저장시설(11.8%)을 파괴하여 추후 도발에 대비하고, 인간의 신경계통이라 할 수 있는 통신시설(10%)을 파괴함으로써 완벽하게 북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기타 관련시설(핵무기 조립/생산시설, 고정식발사대, 무수단미사일 작전기지, 노동미사일 작전기지, 핵연료 가공공장, 탄도탄 지원시설)은 가용타격전력의 제한 및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고려, 타격 핵심노드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타격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군사행동시 무엇을 먼저 타격하고 제거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선정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이는 군사적 대응에 필요한 전략과 전력구축 그리고 작전을 구상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며, 미결의 북핵 문제의 실마리가 될 것 이다.

      • 미사전례에 있어서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

        이상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econd Vatican Council's Sacrosanctum Concilium (Sacred Liturgy) has become the basis for not only scholars of liturgy but also for Christians in general to seek novelty in life of faith and expansion of spiritual awareness through mass liturgy. In addition, the Sacrosanctum Concilium created an opportunity for nations and peoples to localize the liturgy to fit their respective cultural environments while upholding the traditions of mass liturgy as express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Sacrosanctum Concilium promulgat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is the origin for the contemporary reform of mass liturgy. As emphasized in Verse 10, Chapter I of the Concilium, “the liturgy is the summit toward which the activity of the Church is directed; at the same time it is the font from which all her power flows”. The mass liturgy encompasses all acts of Christ to save mankind from sin by reenacting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With the reenactment of the Paschal mystery, we take part deeply in the mystery of Christ's sacrifice and achieve our salvation through it. The restoration of the paschal mystery reenactment as the centerpiece of mass liturgy is thus considered the major achievemen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well as made chartering of the Concilium a pivotal moment in the Catholic history of mass liturgy. This study analyzes the Second Vatican Council for its historical significance, concepts, and its influence on mass liturgy as the entity that awarded contemporary mass liturgy a new purpose and identity through clear guidelines and a new perspective. In this regard, Chapter 1 reviews the etymology of mass liturgy terminology, historical changes in the liturgical process, and the discourse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regard to the aforementioned matters. In Chapter 2, the influenc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n mass liturgy is divided into two parts: 1) the influence on the liturgy and the identity of the Catholic Church and 2) the influence on the concept of mass liturgy and on pastoral liturgy in relation to n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n the style and scope of the mass is summarized through a review of the General Guidelines for the Roman Mass as an appendix. The primary academ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reader to survey changes in mass liturgy contents across the Catholic Church including in Korea. This study can also enhance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a universal practice of the Catholic mass liturgy ritual to common Christians through a comprehensive and comparative examination of mass liturgy practices pre- and post-Second Vatican Council. Furthermore, academic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n mass liturgy requires a relativistic approach to the diverse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of all groups, including those who practice modern Catholicism. This study begins a discourse on the Catholic worldview in mass liturgy that delves further into the fundamental perceptions of mass liturgy in the contemporary era to create balanced and diverse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the ritual.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a larger discourse of studying the localization process of mass liturgy in Korea and to establish an academic discipline around the change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of mass liturgy in Korea. The data can be used for the Catholic Church's basic education on the matter of mass liturgy in the future. Given the world's sociopolitical diversity, traditional mass liturgy may undergo another expansion in active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 this study could be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an in-depth emotional approach to liturgy. Concurrent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urposes of research, the timing of this study lends itself to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paper.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헌장’(Sacrosanctum Concilium)은 전례를 연구하는 학자들 뿐 만 아니라 일반 그리스도인들이 미사전례를 통한 신앙생활의 참신함과 영적 인식의 확대를 지향하게 되는 기초가 되었다. 또한 각 지역적 특색을 가지는 여러 국가와 민족들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표명한대로 미사전례 형식들의 전통을 견지하면서도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에 적응을 시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반포한 ‘전례헌장’은 오늘날 미사전례 쇄신에 있어서 그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전례헌장’ 10항에서 “전례는 교회의 활동이 지향하는 정점이며, 힘이 흘러나오는 원천이다”라고 강조한 것처럼 미사전례는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을 다시 행함으로써 죄로부터 인간을 구원하시는 그리스도의 모든 행위라 할 수 있다. 이 파스카 신비의 재현으로 우리가 그리스도 희생의 신비에 깊이 참여하게 되고 우리의 구원이 성취된다. 이러한 파스카 신비의 예식 거행과 신자들의 능동적인 미사전례의 참여를 강조한 점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례쇄신의 주요한 의의라 할 수 있으며, ‘전례헌장’이 가톨릭 미사전례 역사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거행되고 있는 미사전례의 의미와 정체성에 새롭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개념과 역사적 의의 및 미사전례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구체적 고찰 방향으로 본론 1장에서는 미사전례 명칭 어원과 미사 변천과정 및 미사전례에 있어서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의의를 검토 하였다. 본론 2장에서는 미사전례에 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에 대하여 전례와 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영향、미사전례 개념과 민족문화 전례사목에 대한 영향으로 구분하여 고찰 하였다. 또한 미사양식과 범위에 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영향에 대해서는 ‘전례헌장’과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을 검토하여 부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향은 한국을 포함하는 가톨릭 교회의 미사전례 내용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 제공이라는 점에서 일차적인 학문적 의미를 갖는다. 동시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의 미사전례 내용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명료하게 검토함으로써 일반 그리스도인들에게 보편타당한 가톨릭 교회의 미사전례 내용에 대한 교육적、문화적 이해를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미사전례에 있어서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영향에 대한 학술 연구도 현대 가톨릭이라는 종교의 삶을 영유하고 있는 우리를 포함한 모든 집단들의 다양한 정체성, 그리고 그들과의 관계를 상대론적인 시각에서 접근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미사전례의 가톨릭 세계관에 대한 인식을 시작으로 현 시대에서의 미사전례가 갖는 근원적인 인식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미사전례에 대해 다양하고 균형 있는 관심과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이는 일반 한국 미사전례의 환경적응과 변화에 대한 학술적 체계 구축에 일조함으로써 향후 가톨릭 교회의 미사전례 사안에 대한 일반 교육적 목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최근 정치사회적 다양성을 기반으로 전통 미사전례에의 적극적 참여와 이해의 범위를 확대하고, 미사전례에의 심층적、정서적 접근을 위한 기본적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상기한 연구의미의 전제아래 시기적으로 적절한 성격의 탐구 작업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학술적, 현실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청년미사 활성화를 위한 전례음악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연구 : 광주대교구 내 본당을 대상으로 한 청년미사 실태조사

        정경륜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청년들의 미사참례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전례음악의 활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례음악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피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례음악의 방향성을 개진하고자 한다. 청년들의 신앙생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신앙생활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청년 재교육’을 제시한다. 그리고 재교육의 결과 미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미사가 신앙생활의 바탕임에도 불구하고 미사를 통해 청년들의 신앙을 키우는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미사 안에서 청년들의 신앙생활을 활성화해야한다는 주장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한다. 최근 청년신자의 급감을 두고 청년들이 전례에서 하느님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는 청년미사가 어떤 것인지, 청년들이 참여하는 미사가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제시가 없다. 단지 서울대교구에서 청년사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몇몇 본당의 예를 교회신문이나 인터넷을 통해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청년미사의 구성원과 특징들을 파악하여 청년미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미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례음악의 다양한 활용’을 제시한다. 전례음악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역시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그저 교회의 가르침에 따른 원론적인 이야기만 권고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광주대교구 7개 본당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표본조사를 통해 청년미사의 전례음악 실태를 파악하고, 청년들이 미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교회가 말하는 청년의 모습과 더불어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청년들의 전례인 청년미사에 대해 이해해보려고 했다. 우선 교회는 청년들을 매우 중요한 교회의 구성원으로 여기고 그들의 신앙생활과 사도직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들은 교회 안에서 신앙체험을 충분히 하지 못했고 형식적인 미사전례에 지쳐있었다. 광주대교구 7개 본당 38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청년미사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청년미사에 참여한 사람들 중 청년들은 1/3정도였고, 청년미사의 특징은 청년들과 어울리는 성가에서 흘러나오는 전례분위기였다. 다음으로 전례음악에 대한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을 통해 전례음악이 전례에 가장 탁월한 봉사자임을 피력했고, 전례 안에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서술해놓았다. 그리고 조사를 통해 청년미사 전례음악의 현 상황을 파악해보았다. 현재 청년미사에는 ‘CCM(Contem- porary Christian Music, 동시대 교회음악)’과 ‘가톨릭 성가’(『가톨릭성가』에 수록된 곡들)가 함께 쓰이고 있다. 또한 전례음악은 ‘의식 거행에 있어서 장엄함을 더하고, 말씀의 효과를 더해주며, 전례에 아름다움을 부여하고, 회중이 하나 되게 도와준다’는 4가지 자신의 봉사적인 역할과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고 인간을 성화한다’는 그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하고 있었다. 전례음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의견을 들어보았는데, 청년미사의 전례음악 봉사자들은 다양한 장르의 성가를 활용하여 청년에게 어울리는 분위기를 내려 노력해야하고, 동시에 세대와 취향이 다른 신자들 전체의 입장을 고려하고 반영하여 ‘겸손한 자세’로 봉사해야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크게 네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청년들에게 어울리는 전례를 연구하고 교회의 검증을 받아 시도해봐야 한다. 둘째, 양질의 전례음악 봉사자들을 많이 양성해야한다. 특별히 전례음악을 공부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마련하고 교구차원에서 봉사자들을 잘 관리해야한다. 셋째로 다양한 성가를 수집하고 정리하기 위해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산하의 성음악분과위원회에서 성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하며, 저작권 보호를 위해 교회 내에서 캠페인을 벌이고, 성음악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학교를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당 사제들이 전례음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성가대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더 활기찬 전례를 만들어가야 한다. 앞으로 우리 교회 안에 청년들의 신앙생활 증진을 위한 전례적인 방안들이 더 많이 제시되길 바란다. 또한 성음악에 대한 연구역시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하며, 특히 교회 내에서 활동하는 많은 음악가들이 최근 전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CM에 대한 이론적인 바탕을 마련해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한 번 잃었던 신앙을 막 회복했을 무렵 교회의 노래를 듣고 눈물을 흘린 일을 기억한다. 그리고 오늘도 나는 선율보다도 노래에 붙어있는 말씀을 듣고 감동한다.” 좀 더 많은 청년들이 활기찬 전례음악을 통해 미사 안에서 하느님을 깊이 체험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에 이르길 진심으로 기도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물이 사목현장에 있는 많은 선배신부님들과 전례음악봉사 This thesis presents the application of Liturgical Music as a means to revitalize going to youth mass. For this the present writer would consider the role of Liturgical Music,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about the fulfillment of the ministerial functions, and make the expansive direction of Liturgical Music. Most researches for the religious life of the youth present 'youth reeduca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revitalize religious life. And they say the fruit of the reeducation will be that the youths would participate actively in mass. They don't present the methods bringing the religious belief in mass though mass is a fundamental of the religious life. But this thesis develops its research based on the opinion that we have to revitalize the religious life of the youths in mass. Recently there is the drastic reduction of the young faithful, So some give their opinions that church make the youth be able to experience God in the liturgy. But most researches don't indicate what the 'Youth Mass' is, or what the model of the mass the young people participated in should do. They just introduce the example of some parishes that ministry for the youth is active in Seoul Archdiocese through the newspapers or the web-site. And most of them are from the Seoul archdiocese. So in this thesis the present writer would try to grasp the actual member and special feature of youth mass through a survey. And this thesis presents the various application of Liturgical Music as a means that makes mass be animated. Most investigations for Liturgical Music don't grasp its actual condition especially through an objective data, so they just recommend the principal theory from the teachings of the Church. But the present writer would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Liturgical Music through the survey with the systematical sampling method to 7 Parishes in Gwangju Archdiocese and find the actual alternative methods which make the mass animated. In this thesis the present writer tries to understand 'Youth mass', the liturgy of the youth through not only the shape of youth which the Church teaches but also the objective survey data. At first, the Church regards the youth as the important members of the church and expects their pious life and apostolic action. But the young faithful couldn't get enough religious experience, and they were tired of the typical rite of m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tell us that the youth comprises about 1/3 of the participants in youth mass, and the feature of youth mass is the active atmosphere of the liturgy came from the chant which is suitable for the youth. After that this thesis clarifies that Liturgical Music is the most excellent servant from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Church, gives some instructions that we have to follow in the rite, and grasps the actual state through the survey. Recently the both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nd 'Catholic Hymns' from the book 'Catholic Hymns' have been used in youth masses. Also their liturgical music not only discharges itself ministerial four functions such as "Song adds solemnity to the celebration, gives a greater efficacy to texts, imbues the liturgical celebration with beauty, and helps create unity in the assembly" but also serves its essential purposes for giving glory to God and making the faithful holy. This thesis also gathers some opinion in order to develop Liturgical Music. The answers were that the volunteers of Liturgical Music try to make the atmosphere of the liturgy which is suitable for the youth by using sacred songs of the various genres at the same time, and they have to serve more humbly with consideration for not only every other generations but also every other taste in music. Based on the answers, the present writer makes four suggestions. Firstly, we should study the rite more suitable for the youth and make a try after the inspection from the Church. Secondly, we should train many volunteers of good quality for Liturgical Music. Furthermore, we should found som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turgical Music and their dioceses need to manage the volunteers too. Thirdly, there should be the system that manages(it means 'collecting' and 'arranging') various hymns systematically at the Committee on Sacred Music in the Conference of Bishops, and the committee should conduct a campaign for keeping the copyright in the church and establish a school that educates professional Sacred musicians. Finally, parish priests should take more interest in Liturgical Music and make the liturgy more animated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choir. The present writer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alternative methods for revitalization of the youth's religious life, and that the study about Sacred Music will be more animated, and that the musicians volunteered for Liturgical Music will fou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bout CCM often used in the present liturgy. St. Augustine said, "I remember the time when I just recovered my missing faith, I shed tears for a song from the parish. And today I am moved by the words on the song not by the melody." The present writer prays that more young people can experience God in the Mass with animated Liturgical Music and they can reach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hope this thesis will be more helpful for the elder priests and other volunteers of Liturgical Music.

      • 팔레스트리나의 작곡 양식에 관한 연구 :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의 음악과 언어를 중심으로

        박순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세-르네쌍스 시대의 음악은 언어중심의 음악이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사곡은 라틴어의 억양법에 따라 음악보다는 전례가사가 잘 드러나도록 배려되어 있다. 종교개혁을 전후해서 전개된 반종교개혁의 시기, 주로 전례음악의 쇄신을 다루었던 트리덴트 공의회가 제시한 가톨릭 교회음악의 모범적 모델은 교회음악에 세속성을 배제하고 가사가 명료하게 전달되는 폴리포니성악음악이었다.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은 트리덴트 공의회가 요구한 가톨릭 교회음악의 이상을 충족시키며 '음악과 언어' 의 관계를 새롭게 함으로써 고대로부터 지속되어온 미사전례 변천과정의 한 시기를 마감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곡에서 가사와 선율은 지극히 잘 조화되어 있다. 이는 전례언어와 음악이 초대교회부터 서양음악의 형성, 발달과정과 함께 지속적인 변화의 단계를 거쳐 팔레스트리나의 작품에서 자유로운 음악언어로 완성되었으며, 미사곡 작곡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르네쌍스 시대 미사곡의 음악과 언어를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을 통하여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회음악에 바탕을 둔 서양음악의 형성과정, 팔레스트리나 미사곡에 미친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과의 영향 그리고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에 대한 작곡배경과 음악 기법을 음악과 언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팔레스트리나는 이 미사곡에서 당시 트리덴트 공의회의 전례음악적 요구에 따라 명확한 가사전달을 위해 상하성의 리듬을 일치시키는 기법을 사용하고 16세기 대위법에 이태리적 선율과 화성적 음향효과를 결합시켰다. 즉 가사가 긴 부분은 호모포니로, 가사가 짧은 부분은 폴리포니로 구성하여 가사전달을 명확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화성적 음향 효과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화성을 보여준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곡에서 드러나는 자연스러운 선율의 진행, 엄격하게 제한하여 사용한 불협화음의 처리, 음악의 단순함은 16세기 후반의 아카펠라 양식을 대표하며, 결코 과장됨이 없는 언어의 표현은 자연스럽게 말해지는 언어로서 설득력을 가진다.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은 서양음악사에서 음악적 언어와 함께 관통되어 온 미사곡의 역사와 함께 가톨릭 교회음악의 모범적인 모델로 평가되며, 교회음악의 완성자로서 그의 음악양식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Music in the middle age and the Renaissance age is language oriented one. Masses of Palestrina is focused on the textual intelligibility rather than the melody according to the Latin intona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the exemplary model of catholic church music proposed by the Council of Trent, which initiated innovation 'of liturgical music in the era of the Counter Reformation, was polyphonic vocal music which deliver the lyrics clearly with elimination of all themes of reminiscent of secular music. By realizing the ideal of catholic church music required by the Council of Trent, and renov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language',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played a role as a momentum to close an era of transition of liturgy, which had been kept up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masses of Palestrina, the lyrics and the melody is in good harmony with each other. It means that the liturgical text and the melody has been completed as a free musical language in his music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s from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occidental music from the early church.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new era of liturgical music has sta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 and the language of the Renaissance age through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For this purpose, formation process of occidental music based on church music i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Later, the effects of both the Reformation and the Counter Reformation on Palestrina's masses is covered. Finally,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s well as the musical technique of 'Missa Papae Marcelli' are examined, focused on the melody and the liturgical tex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by the Council of Trent for liturgical music, Palestrina used the technique of according the rhythms of upper and lower sound to satisfy textual intelligibility and associated the sixteenth century counterpoint to the Italian melody and acoustic effects in 'Missa Papae Marcelli'. To communicate text clearly, he used homophony for the long lyrics, and polyphony for the short ones, The harmonious acoustic effects appear naturally in this process show a harmony in the modem sense. The natural proceeding of melody, cacophonies used with strict limitation, and the simplicity of music represent Accapella style of the late sixteenth century. Moreover, the textual expression without any exaggeration has persuasive power like a natural spoken language.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is taken as a exemplary model of catholic church music in the history of masses, advanced along with the musical language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music. So far, his music style as a consummator of church music has influenced many composers today.

      • 남북한 미사일 개발 실태 분석과 남한의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

        김상윤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불법 남침으로 인하여 남한과 북한은 67년 동안이라는 동족비극의 아픔을 몸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한반도는 종전국가가 아닌 휴전국가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의 위험은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북한은 6.25전쟁 이후 크고 작은 도발이 있었다. 많은 도발들 중에서 연평도 포격도발(2010.11.23.)은 남한의 민간인에게 피해를 준 도발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북한은 6.25전쟁이후 1960년대 초부터 미사일과 로켓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1962년 말부터 1963년 초까지 소련에서 SA-2 지대공미사일 1개 대대를 도입하였다. 1965년 김일성은 함흥 군사대학을 설립하면서“일본을 타격할 수 있는 로켓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 후 1975년‘북·중 지대지탄도미사일 공동개발’에 합의 하였으나 중국의 국내 정치적 이유로 1년 뒤 취소되었다. 1976년 이집트로 부터 스커드 미사일을 획득했고 이것을 모방,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북한 미사일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한 원동력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후 1985년에는 사정거리 300km 화성 5호 생산을 시작으로 1990년에는 사정거리 500km, 화성-6호 개발, 수출하였으며 “1993년에는 노동미사일 발사실험”을, “1998년 8월 31일에는 대포동 1호를 발사 성공”했다. 2년 뒤, 2000년도에는 사정거리 120km, KN-02를 개발하였다. 2007년 4월 25일에는 무수단 미사일 공개, “2009년 4월 5일에는 은하 2호 비행시험 성공”, “2012년 3월 16일에는 은하 3호 로켓발사 예고”하였으며, 동년 “12월 12일에 발사 성공”을 하였다. 같은 해 4월 15일 김일성 100회 생일 기념행사에서는 새로운 미사일이 등장 했으며 이 미사일은 “2013년 2월 엔진성능실험을 2013년 7월 27일 정전 60주년 열병식과 2015년 10월 10일(쌍십절)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KN-08을 공개”하였다. 그리고 2016년 8월 24일에는 SLBM(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잠수함탄도미사일) 실험발사도 성공하였으며 2017년 5월 14일에는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성공하였다. 남한은 1971년 12월 26일 지대지 유도탄(탄도미사일)을 개발할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지시하였고 1972년 5월 14일에는 남한의 독자적인 지대지탄도 미사일(백곰) 개발이 본격화 되었다. 1974년에는 제 1차 율곡사업을 시작, 1977년에는 130mm다연장로켓(구룡) 개발시작, 1978년 9월 26일에는 백곰 미사일발사를 성공하였으나1979년에‘한·미 미사일 양해각서’에 의해서 백곰미사일 개발이 중단되었다. 1981년 3월에는 대한민국 최초 국산로켓(구룡) 대대가 창설되었다. 박정희 정권에서 전두환 정권으로 바뀌면서 미사일 개발을 완전히 중지했으나, 1983년 10월 9일 북한의‘아웅산테러’사건을 계기로 ‘현무 유도탄 사업’을 추진하였다. 1983년 11월 29일 국방부는 현무미사일 개발사업 계획을 승인하였다. 사업 계획 승인 10개월 만에 현무 지대지 탄도미사일 시제품 DT-1시험발사에 성공했다. 1986년부터 1987년에는 1·2차전력화를 1993년 10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3차 전력화를 실시하였다. 2001년 1월 17일에는 마침내‘한·미 미사일 양해각서’에서 ‘한·미 미사일 지침’으로 개정하였다. 이로써 사정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에서 사정거리 300km, 탄두중량 500kg으로 미사일을 좀 더 멀리 보낼 수 있게되었다. 순항미사일은 2000년 초 개발을 시작하여 2006년 9월에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2012년 현무-3 작전배치하고, 2013년 10월 1일 국군의 날 행사시 공개 하였다. 2012년 10월에는 북한의 은하-3호 발사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미 미사일 지침을 재협상하였다. 재협상 결과 남한은 사정거리를 기존 300km에서 800km까지 늘릴 수 있게 되었으며, 사정거리 300km이내의 미사일은탄두중량을 기존의 500kg에서 최대 4배까지 늘릴 수 있게 되었으며, 2015년 6월 3일에는 현무-2 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했다. 이렇듯 남·북한은 6.25전쟁 이후 67년 동안 미사일을 개발하였다. 남한은 북한에 비해서 양적으로는 부족하지만 질적으로는 우수하다는 판단이많았으나, 북한이 SLBM사출 실험 성공과 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Missile : 대륙간탄도미사일) 미사일 개발을 하는 등 성능적인 면에서도 남한에 뒤지지 않다는 것을 많은 전문가들은 인정하는 분위기 이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대한 대응을 적극적으로 보이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일본이다. 먼저 미국은 북한의 ICBM탄이 본토에 떨어지는 것을 우려하여 방어체계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1단계는 GBI(Ground-basedinterceptor : 지상발사요격미사일) 44기로 증강 배치하여 북한의 ICBM탄이 태평양을 건너오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것이고 2단계는 요격 능력 향상을 위해 RKV(Redesigned Kill Vehicle : 개량요격체)와 장거리 식별 레이더의 개발, 3단계는 MOKV(Multi-Object Kill Vehicle : 다중요격체) 개발, 그리고 4단계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와 이를 장착한 무인기 개발을 통해 북한 미사일을 방어하는 계획은 세우고 있다. 일본은 북한이 대포동 1호 미사일을 발사하자 1998년 9월 미국과TMD(Theater Missile Defence : 미국의 전역 미사일방어)에 참여할 것과정보수집 위성발사를 공식 선언하였다. 일본은 다음해 1999년 8월 TMD공동기술연구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일본은 1999년 10억 엔을 책정하여 미국과의 공동연구에 착수하였다. 또한 1999년부터 200억~300억 엔의 경비를 5~6년간 분담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지스구축함, 정보 및정찰 위성, 공중급유기, 공중조기 경보통제기 등을 도입하여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대해서는 미국과 일본과는 다르게 적극적인 대응보다는 UN결의안에서 명시하는 경제적인 조치만 하는등 소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남한은 현무-2,3 미사일을 개발 및 실전배치하였으며, 킬 체인 (Kill-chain), KAMD(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등 북한의 미사일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통해정보력을 보강하고 있다. 하지만 남한은 미국과 일본과 같이 북한 미사일위협을 탐지할 수 있는 정찰위성과 같은 첩보(정보)자산이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따른 남한의 대응방안으로는 한·미 동맹을 통한 강압외교와 억제전략을 통한 대응능력을 확보하고 군사정찰위성 개발과 미국의 ISR자산과 같은 정보체계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기위해서는 국방예산을 증액하여 중·장기 계획에 할당함으로써 남한에 부족한 정보자산 개발 및 확보를 통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또한, 예방타격의 논리적 개발과 이에 필요한 무기체계를 구비함으로써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궤도화 되어 있는 미사일 발사체계를 찾기 위한북한의 종심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남한의 자체적인 정보자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킬 체인과 한국형 KAMD를 좀 더 세밀하고 완벽한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미사일, 대응방안 Since the illegal invasion of North Korea in June 25th, 1950, South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the pain of a fratricidal war for 67years. Korean war is not concluded, but ceased by a truce. Therefore, the threat of war always exists in Korean peninsula. There has been several provocative actions after the truce. Among them, the firing to Yeon-Pyeong Island(Nov. 23th, 2010) was the first firing provocation toSouth Korea which harmed civilians. North Korea has concerned to develop missiles and rockets since 1960s to early 1963. In 1965, II-Sung Kim established Ham-heung military school and emphasized that North Korea should develop facilities that can produce rockets that can attack Japan directly. After that, in 1975, North Korea brought scud missile from Egypt, and started to copy and develop it. It is thought that this is the power that started North Korea to invest in missile development. After that, starting from 1985, when North Korea started to produce Mars 5th, which has 300km of range, in 1990, they invented Mars 6th , 500km of range. North Korea successes at launching Ro-dong missile in 1993, and Daepo-dong missile the 1st at August 31st, 1998. In 2000, they invented KN-02 missile, 120km of shooting range. At April 25th 2007, North Korea unveiled Musudan missile, successes launching Eunha the 2nd, warned for launching rocket Eunha the 3rd at March 16th , 2012. They succeeded at launching Eunha the 3rd at December. At April 15th ,2012, a new missile was revealed at 100th anniversary of II-Sung Kim, and this missile – KN-08 – was unveiled at troop inspection of the 60 anniversary of truce and 70th anniversary of Labor party foundation. Finally, At August 24th , 2016 they succeeded in launching SLBM(Submarine Launching Ballistic Missile). Otherwise, Presidnet Park of South Korea directed to develop Scud missile at December 26th , 1971 and it was actualized from May 14th, 1972, by the development of Korean-original Scud missile, Baek-Gom missile. In 1974, South Korea started the first Yul-Gok project, started developing 130mm rocket(Gu-ryeong rocket) in 1977, and succeeded in launching Baek-Gom missile. However, Baek-Gom missile development was ceased by ‘South Korea-U.S Missile Memorandum’, in 1979. At March, 1981, the first Korean rocket battalion, Gu-ryeong was stablished. Due to the change of Park regime to Jeon regime, missile development was totally ceased, but launched ‘Hyeon-Moo Missile Projcet’ after the ‘Ah-Ung-San’ terror, which became the motivation of Korean missile development. At November 29th 1983,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greed on the Hyeon-Moo missile development project. Only 10months after the agreement of the Hyeon-Moo project, South Korea succeeded in launching demonstrative model of Hyeon-Moo Scud missile, DT-1 missile. From 1986 to 1987, the 1st and 2nd disposition was held and the 3rd disposition was held from October 1993 to December 1999. At January 17th, finally, ‘South Korea-U.S. Missile Memorendum’ was revised to ‘South Korea-U.S. Missile Manual.’By this, we could launch missile much further, 180km of range to 300km. Cruise Missile started to develop from early 2000s and finished developing at September 2006. Cruise Missile Hyeon-Moo-3 was committed in actual operation, and it was revealed at October 1st, the Armed Forced Day. On October 2012, ‘South Korea- U.S. Missile Manual’ was re-negotiated in response to the launch of Eunha the 3r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 missile range of South Korea became much further, from 300km to 800km. The missiles that has range under 300km has been allowed to load 4 times heavier warhead, and South Korea succeeded to launch Hyeon-Moo-2 missile at June 3rd 2015. As we can see,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eveloping missiles for 66 years. The opinion that South Korean missile is short in quantity but much better in quality had been in a superior position, but we realized that North Korean missile is no worse that South Korean missile, recognizing that North Korea succeed in launching SLBM and ICBM missiles. The countries which are showing active response to North Korean missile development are US and Japan. Pentagon is proceeding defense system step by step, worrying direct launch of ICBM missile. The first step is arranging 44 GBI missile (Ground-Based Interceptor) so that North Korean ICBM cannot cross the Pacific Ocean. The second step is developing ability. The third step is RKV developing, and the final step is missile defense plan using aiming energy missile ad pilotless airplane that can adapt it. Japan officially announced participating in TMD(Theater Missile Defense) and launching information-collecting satellite in September 1998, right after North Korea shot Daepo-dong missile the 1st. In August 1999, Japan consented in Memorandum of co-research. Also, Japan invested 1 billion yen and started co – research with US in 1999. From then, it is said that Japan charged 20-30 billion yen for 5 to 6 years and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making plans to defend from North Korean missile threat such as the Aegis, intelligence vessel, air to air refueling plane, and air early warning system. South Korean developed and arranged Hyeon-Moo 2,3 Missile in real operation and developing Kill-Chain and KAMD to defend North Korean Missile. Also, South Korea is getting information by remaining alliance with US. However, South Korea does not have enough intelligence facilities like intelligence vessel(satellite), as Japan and US have. The right response of South Korean government to North Korean missile development would be diplomatic oppression by South Korea- U.S. alliance, constraining strategy. South Korea should also develop and secure more intelligence property and considering for preventive attack so that South Korea could prepare for missile threat of North Kroea.

      • 미사 예물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황광욱 가톨릭대학교 교회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성체성사는 그리스도교 생활 전체의 원천이며 정점이다. 그래서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성체성사를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한다.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로서 바치는 성찬례는 산 이와 죽은 이들의 죄에 대한 보상과 하느님께 영적이거나 현세적인 은혜를 얻기 위해 바쳐졌다. 교회의 오랜 전통에 따라 신자들은 미사를 거행하는 사제에게 특별한 기도 지향을 청하였고, 사제는 신자들의 지향에 따라 미사를 거행하였다. 신자들은 사제에게 미사 지향을 청하면서 예물을 제공하였는데 이 예물을 ‘미사 예물’(stips Missae)이라고 한다. 초기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미사에 참여하면서 하느님께 바쳐질 봉헌 예물로 빵과 포도주를 가져왔다. 이렇게 예물을 봉헌하는 관습은 전례 안에서 지속되었고, 이와 함께 신자들로부터 예물을 받은 사제가 신자들의 지향에 따라 미사를 거행하는 관습도 생겨났다. 사제는 미사를 거행하면서 예물을 제공한 신자들의 지향을 기억하며 기도하였고, 신자들이 제공한 미사 예물은 교회의 사업과 사제의 생활을 지원하였다. 미사 예물 제도가 교회 안에 자리를 잡으면서 미사 예물을 통해 불법적인 이익을 취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교회는 미사 예물의 남용을 막기 위한 규범을 마련하였고, 1983년 교회법전은 제945~958조에서 미사 예물에 관한 규범을 제정하였다. 과거에는 미사 예물이 사제에게 기도를 청하면서 바치는 일종의 사례금 성격이 강하였고, 사제와 신자 사이의 거래나 매매와 같은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1983년 교회법전에서는 미사 예물을 교회와 사제에게 제공하는 무상의 기부로 제시하면서 미사 예물이 지닌 본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종의 계약적인 성격도 배제하였다. 1983년 교회법전은 미사를 거행하는 사제는 교회가 승인한 관습에 따라 미사 예물을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며 미사 예물에 따르는 각각의 지향대로 미사를 거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리고 미사 예물 제도가 정의에 따라 이행될 수 있도록 미사 예물을 받은 사제가 미사 거행의 책무를 온전하게 이행하고 이를 보증하기 위한 규정들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 천주교회는 1983년 교회법전과 이후 공포된 사도좌의 교령을 바탕으로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에서 미사 예물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국 교회의 교구는 1983년 교회법전과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를 바탕으로 각 교구의 사정에 맞추어 교구 미사 예물 규정을 제정하였고, 이 규정에 따라 미사 예물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미사 예물에 관한 규정들은 미사 예물 제도가 지닌 선의와 유익함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며 정의에 따라 미사를 거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에 미사 예물을 받고 지향에 따라 미사를 거행하는 성직자뿐만 아니라 미사 예물을 제공하는 신자 모두가 미사 예물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미사 예물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The Eucharist is the fount and apex of entire Christian life, which is why the Christian faithful revolve around the Eucharist in their religious lives. The Eucharist as the sacrifice of Christians was offered to get rewards for the sins of the dead and the living and spiritual or temporal gift from God. the faithful asked for a special prayer intention from priests celebrating a Mass according to the long tradition of the Church, and priests held a Mas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faithful. Asking for a Mass intention from priests, the faithful would give offerings, which are called "Mass offerings(stips Missae)". Early Christian the faithful brought bread and wine as offerings they would dedicate to God in a Mass. This custom of dedicating offerings continued in the liturgy. A new custom emerged in which priests would celebrate a Mas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faithful after receiving offerings from them. In a Mass, priests would remember the intention of the faithful that dedicated offerings and pray for them, and the Mass offerings dedicated by the faithful supported the good of the church and priests' lives. As the system of Mass offerings settled down in the Church, a problem emerged of taking illegal profit through Mass offerings. The Church thus established norms to prevent the abuse of Mass offerings. In the 1983 Code of Canon Law included norms about Mass offerings in Canons 945~958. In the past, Mass offerings were strongly characterized as a sort of reward offered to priests by praying the faithful and held the same meaning as trade or transaction between priests and the faithful. In the 1983 Code of Canon Law, however, Mass offerings were presented as free rewards offered to the Church and priests to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Mass offerings and exclude some kind of contractual nature from them. The 1983 Code of Canon Law stipulate that priests celebrating a Mass are allowed to receive Mass offerings according to the custom approved by the Church and should celebrated a Mas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intentions of Mass offerings. There are also regulations to ensure that priests fulfill their accountability of celebrating a Mass fully and guarantee it after receiving Mass offerings so that the Mass offerings system will be implemented according to its definitio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prepared a set of regulations about Mass offerings in "Pastoral Directory of the Church of Korea" based on the 1983 Code of Canon Law and the Decree of Apostolic See. The dioceses of the Church of Korea established rules about Mass offerings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based on the 1983 Code of Canon Law and "Pastoral Directory of the Church of Korea" and have implemented the Mass offerings system accordingly. The regulations about Mass offerings were to preserve the good will and usefulness of the Mass offerings system and celebrated a Mass according to its definition. Both priests celebrating a Mas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Mass offerings and the faithful dedicating Mass offerings need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Mass offerings system and comply with the regulations about Mass offerings.

      • 생존율 향상을 위한 피탐성 최소화 탄도미사일 최적자세 연구

        김혜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2012년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이후 대한민국은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 500km의 현무-2B미사일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탐지 능력과 기동성이 향상된 새로운 타입의 지대공 미사일에 의하여 탄도미사일의 생존율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지대공 미사일은 지상 스테이션에서 예상한 요격 지점으로 중기 유도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탑재된 RF, IR 탐색기를 이용한 종말 호밍 유도를 통해 지대공 미사일을 탄도미사일로 유도한다. 그러므로 탄도미사일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지상 추적 레이더에 의해 탄도미사일이 탐지될 확률을 낮춰야 한다. 탄도미사일의 피탐성은 RCS(Radar Cross Section)와 레이더로부터 목표까지 상대거리의 함수로 주어진다. 탄도미사일의 RCS는 레이더에서 방출된 전자기파가 탄도미사일에 입사하는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낮은 고도에서 트림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공력 모멘트에 의해 탄도미사일의 자세를 변경할 수 없다. 그러나 40km이상의 고고도에서는 동압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탄도미사일의 자세는 원하는 만큼 변경가능하다. 탄도미사일이 적절한 자세 제어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본 논문에서는 고고도에서 피탐성을 최소화하는 탄도미사일의 자세에 대해 연구한다. RCS로만 구성한 목적함수와 RCS와 상대거리 4승에 반비례하는 SNR(Signal to noise ratio) 개념의 목적함수를 고려한다. 다수의 지상레이더를 고려한 일정자세와 시변자세의 최적해는 SQP(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기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를 통해 피탐성 최소화하는 최적자세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향후 탄도미사일 설계에 이용 가능하다. 핵심어 : 탄도미사일, 생존율, 피탐성, 최적화, RCS(Radar Cross Section), SNR(Signal to Noise Ratio) Since the Korea-USA Missile Guideline revised in 2012, we had developed Hyunmoo-2B that can strike anywhere ranging 500km. Ballistic missile's survivability however cannot be guaranteed as new type of surface-to-air missiles(SAMs) with a higher detection capability and maneuverability are being developed. Typically, the SAM performs mid-course guidance to an anticipated intercept point by a ground station. And then terminal homing guidance with an on-board RF or IR seeker is done to deliver the SAM to the ballistic target. Hence, the first step to improve survivability of a ballistic missile is to make lower the detection possibility of the ballistic missile by the tracking radars on the ground. The measure of the radar exposure of the target is given by the function of RCS(Radar Cross Section) and range of the ballistic target with respect to the radar. The RCS of the ballistic missile is determined by the incidence angle of the ballistic target to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ed from the radar. In a lower altitude, ballistic target’s attitude is not unchangeable due to the aerodynamic restoring moment to a trim condition. However, in a higher altitude above 40km, the ballistic missile’s attitude can be easily changed to a desired value as dynamic pressure negligibl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ballistic missile equips appropriate attitude control system, the attitude of the ballistic missile to minimize radar exposure at a higher altitude is investigated in this thesis. Two different types of performance cost are considered: RCS only and SNR(Signal to Noise Ratio) which is defined by RCS over the forth powered of detection range. Optimal solutions to the fixed attitude and the time-varying attitude during the flight against multiple ground radars are found by using a SQP(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based optimization technique. We draw out some tendency of optimal attitude of ballistic to minimize the detection rate and it can be applied to future ballistic missile design. Key-words: Ballistic missile, Survivability, Radar Exposure, Optimization, RCS(Radar Cross Section), SNR(Signal to Noise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