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활성황토를 혼입한 모르터의 물리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5

        현재 구미ㆍ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친환경적 측면에서의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으며, 자원의 순환적 재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재료의 개발 등을 통해 시멘트의 환경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대체자원의 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황토는 우리나라 전통건축에 있어서 돌, 나무와 함께 온돌바닥 및 벽체, 미장재료로 활용되어 온 대표적인 전통 건축재료 중의 하나로써, 활성화를 통한 포졸란 반응성, 높은 축열성, 자정력, 탈취 및 항균성능,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 등의 장점을 가진 대표적인 친환경 재료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령토의 산지이며 질적으로 우수한 황토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국내 수급이 용이하고 그 활용 및 개발 조건이 유리한 원료이다. 하지만 현재 그 활용방안이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으나, 개기공으로 되어 있어 큰 수축에 의한 균열, 낮은 강도특성 등의 결점으로 인해 현대적 건축 재료로의 자원화 개발이 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천연포졸란 성질을 갖고 있는 활성황토의 재료특성과 장점을 활용하여 공동주택 바닥마감 및 조적, 타일, 미장공사 등 현재 건축 비구조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 모르터에 혼화재로써 적용하여 사용한다면 현대적 건축 재료로서의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제의 개선 및 친환경성의 증진을 위한 시멘트 대체재로서의 황토의 건축적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천연 포졸란재료인 황토의 다양한 활성화 조건 및 배합ㆍ양생조건에 따른 활성황토 모르터의 물리적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황토를 활용한 모르터의 물성 영향인자 및 수준 설정을 통해, 황토 활성화 및 배합인자 조건으로서 소성온도, 소성시간, 황토분말도, 냉각방식, 대체율, 물시멘트비(W/C), 잔골재 종류 및 평균입경, 양생방법에 따른 모르터의 경화 전, 경화 후 물리적특성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활성황토 모르터의 물성영향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최적 활성화 및 배합 조건의 규명을 통하여 활성황토 혼입 모르터의 재료공학적 연구 데이터 마련 및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황토의 열반응 분석결과 1차적으로 450~470℃에서 흡열반응이 나타난 후 600℃부근에서 황토의 중량이 다시 증가한 점으로 미루어, 1차적인 황토의 활성화 시작온도는 500℃미만 활성화가 가속화되는 범위는 600℃일 것으로 판단된다. 단, 1,050℃ 이상의 온도에서는 황토가 고상반응을 나타낸 바, 플로우값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내부 공극이 다소 많이 발생함에 따라 압축강도의 저하를 가져와 건축적 적용을 위한 활성화 온도로는 부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2) SEM 분석을 통한 모르터의 미시수화구조 분석결과 800℃에서 활성화시킨 활성황토 모르터에서 포졸란반응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치밀한 C-S-H 구조를 보였고, 건조수축률은 DI=1.05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또한 압축강도는 활성온도 800~850℃에서 표준모르터에 비해 FI=1.18로 18%가 증가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모르터에 활용하기 위한 황토의 최적 활성온도 범위는 800~850℃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황토분말도 3수준별 황토의 활성시간에 따른 모르터의 물리적특성에 있어 황토분말도 13㎛일때 FI=1.26, 활성시간 1시간 조건일 때 FI=1.51로 가장 치밀한 C-S-H구조를 보이며 압축강도 측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바, 황토분말도는 13㎛의 범위, 활성시간은 1시간이 모르터의 성능 면에서 가장 적정한 조건이라 판단된다. (4) 황토분말도별 냉각방식과 대체율에 따른 모르터의 물리적특성 분석결과, 냉각방식에 따른 플로우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압축강도는 급랭시킨 황토가 10%정도 높게 나타난 바, 급랭시킨 황토일수록 활성화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황토대체율 20%에서 시멘트수화구조가 치밀해지고 압축강도 영향계수가 높게 나타난바, 적정 황토대체율의 범위는 20% 범위일 것으로 판단된다. (5) 황토분말도별 잔골재 평균입경에 따른 모르터의 물리적특성 분석결과, 물성영향계수를 고려할 경우 압축강도의 발현을 높이고 적정 플로우값 및 건조수축률의 확보를 위해서는 2.36mm 범위의 잔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6) 황토분말도별 물시멘트비에 따른 모르터의 물리적특성 분석결과, 적정 플로우값을 얻기 위한 물시멘트비는 60~70%(SI=0.71~0.96), 건조수축률은 50% (DI=0.80), 압축강도는 동일 황토분말도 조건하에서 50%~60%(FI=1.49~1.35)일 때 가장 양호하게 나타나, 활성황토 모르터의 물성측면에서 물시멘트비 60%일때 일반 표준모르터보다 35% 이상 압축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으며, 소기의 플로우값 및 건조수축변화율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7) 모르터 배합 후 양생조건에 따른 활성황토 모르터의 압축강도특성 분석결과, 수중양생에 비해 대기 중에서 양생시킨 모르터의 압축강도가 10%~1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활성황토 모르터의 시공시 대기양생이 적용될 경우 적정품질과 강도발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양 및 양생방법 등의 개선방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8)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변수요인별 상관계수 분석결과, 활성온도에서는 800℃미만이 r=0.92, 800℃이상이 r=-0.97, 활성시간에서는 r=0.89, 황토의 대체율에서는 r=0.69로 압축강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바, 모르터 배합 시 이들 조건에 대한 신뢰수준은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9) 모르터의 혼화재로써 활용하기 위한 황토의 활성화 조건으로는 활성온도 800~850℃, 활성시간 1시간, 냉각방식은 급랭방식이 개별 변수요인별 적정조건이라 판단된다. 또한 모르터의 배합 및 양생조건에서는 황토분말도 13㎛, 대체율 20%, 잔골재 종류는 강사, 잔골재 평균입경 2.36mm, 물시멘트비 60%(작업성 고려), 양생방식에서는 수중양생이 적정 조건이라 판단된다.

      • 은나노 가공 직물의 물리적 특성 및 태에 관한 연구

        나현준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직물과 편성물의 은나노 가공 전후의 태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물리적특성 및 기계화학적 특성과 Kawabata system을 이용하여 태를 측정. 시료는 각각 폴리에스터 능직물과 면 져지로를 사용하였음.

      • 공동주택 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단지특성과 주동특성을 중심으로

        임연수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아파트 비율이 커질수록 거주자의 개별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단위세대 유형이 상품화되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의 삶의 질은 해당 주택의 평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고 볼 수 없다. 사업특성, 단지특성, 주동특성, 단위세대 특성 모두 채광, 조망, 환기 등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으며 이 요인들은 아파트의 매매가격에 반영된다. 아파트 물리적 특성과 아파트 가격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여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물리적 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단지특성과 주동특성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파트 물리적 특성과 형태를 변수화하고 송파구와 강동구에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준공된, 최근 10년 아파트 24개단지, 136세대를 기반으로 헤도닉 가격모형을 통해 4단계로 위계적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업특성, 단지특성, 주동특성, 단위세대 특성의 순으로 평당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첫째, 사업특성 요인은 분석결과 송파구, 재건축, 임대주택 혼합이 없는 단지, 총세대수가 큰 단지가 평당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단지특성 요인은 접도면수, 인접 녹지 접면수, 평지는 평당가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인접 저층지 접면수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주동의 배치가 빗각평행으로 배치된 단지의 경우 평당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각평행이나 중정형으로 배치된 단지의 경우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전면개방형 배치를 50%이상 한 경우도 평당가격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주동특성에서 주동유형 판상형 ㅡ자형과 일부 탑상형 X자형, Y자형은 평당가격이 높았으나 향과 통풍환경이 불리한 주동형태 ㅁ자형은 평당가격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면 볼륨 특화로 계획된 경우와 층당 세대수가 많을수록 평당가격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단위세대 특성에서 층수가 높을수록 평당가격은 높았고 공급면적이 클수록 평당가격은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아파트 사업자가 공동주택을 신축하거나 재개발할 때, 설계자가 최근의 아파트 거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설계주안점을 찾을 때, 소비자가 아파트를 거래할 때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주택가격은 일반적 요인, 지역적 요인, 개별적 요인에 결정되는데 같은 시점과 지역에서 주택의 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 단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그 격차는 점점 커질 것이다.

      • 금산군 지가모형 분석 : 물리적 특성과 입지적 특성 중심으로

        이영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지가 형성요인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입지변수는 매우 복잡하고 측정의 어려움으로 수치화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 투입된 입지변수는 부동산 가격에 내재한 입지의 영향력을 적절히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 헤도닉 모형을 이용하여 기존의 토지특성조사표상의 자료인 물리적 특성과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도출한 입지적 특성값들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몇 가지 모형 별로 분류하여 지가를 형성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 논문의 특징은 중소도시의 입지적 변수를 보다 정확히 추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하나의 대안적인 방법인 GIS의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입지적 특성값을 추정하였다. 또한 헤도닉 모형을 이용한 지가연구와 공간분석을 이용한 기존의 연구가 주로 시 단위 이상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다면, 이 논문은 군 단위이하로 연구의 중심을 확대해 보았다. 그 결과 몇 가지 사항으로 정리해 보았다. 첫째, 기존의 물리적 특성(토지특성조사표 자료 중 일부) 자료의 일부를 분석대상으로 한 입지생략모델에서 모형의 설명력은 80%이상의 높은 적합성이 나왔다. 그 중 특히 토지이용상황, 도로접면, 고저가 매우 유의성 있는 결과값이 나왔다. 둘째, 그동안 공간자료를 분석할 경우 직관적인 이해가 힘들었는데, GIS환경내에서 분석 결과값을 시각화함으로써 해석이 쉽게 이루어졌으며, 헤도닉 모형의 회귀잔차를 입지적 특성값으로 가정하여, 복잡한 공간적 자기상관관계의 정보를 쉽게 해석 및 접근할 수 있었다. 셋째, 입지선택모형에서 회귀잔차를 통한 입지적 특성값은 헤도닉 모형을 10%이상 적합도를 향상시켰다. 즉 입지추정에서 측정된 입지적 특성을 중심으로 유사한 인근지역의 설정이나 개별필지의 지가 산정시 입지의 예측력을 높일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시간변화에 따른 모형의 적합도 변화양상에 파악하여 과거에 비해 얼마나 입지변수의 영향력이 증대되었는지 비교분석해보아야 할 것이다. 보충적으로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지가영향력 변수의 비교와 실제 토지특성조사표상의 자료의 의미성 있는 변수와 의미가 퇴색되어가는 변수를 파악하여 토지특성조사표 자료의 보완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그 외 공간분석의 기능을 활용한 연구로, 새로운 시설이나 공장의 입지에 따른 개별지가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이 논문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면서 공공기관의 많은 자료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지만 새로 구축되는 자료와 기존에 구축된 자료 사이의 차이와, 각 부서의 업무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그 분야의 담당자만이 그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부서에서 이용하고자 하면 자료의 호환 문제로 실제적인 분석과 계획에 활용에 문제가 있다. 결국 많은 형태의 자료는 존재하지만 실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는 극히 제한적이다. 앞으로 각기 부서마다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로 통합 구성함으로써 자료의 활용을 극대화해야겠다. 또한 위 모형분석에서 사용한 방법처럼 지리적 자료 분석과 단순한 거리 개념의 분석모형에서 발전된 복잡한 GIS 공간분석기법 모형까지 이용한다면 GIS의 공간분석기능의 입지는 더욱 강화될 것이다. 또한 GIS환경에 공간분석의 기능을 통합 구현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분석결과를 가시화 할수 있는 자료의 변환 및 다양한 분석기법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This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location on evaluating Geumsan land value with implementation of GIS coupled with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Over the past years, traditional land value analysis method is illustrating the land value by making use of Hedonic Price Model without taking into account location influence. In other words, the model was deficient in illustrating some complex factors that affect the land value. In addition, the model is analyzing the land value under the permit that there is not autocorrelation in the model. Real land value, however, has the autocorrelation and is affecting the land value. Among 301 samples excepting missing data's variables in Keumsan-eup, this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he technical process like an overlay, an interpolation and spatial analyses by using 271 samples. Among them, by using the Kriging, one of interpolations, Higher area was depicted and the results was expressed by the real location characteristic value. GIS utility tool mainly used in the analyses carried out the statistic process by using the spatial analysis function of Arcgis 8.2 and Spss 10.0. Due to adding the location factor,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very high risen, that is, expectation probability was risen, and the metropolitan model in Hedonic price model inclu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low fitness. In the contrast to it, a city and rural community model like Geumsan-eup showed the high fitness. I could find out the fact that the land model of the rural community is comparatively simple. By add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 value, the fitness of the location model has very high results. In conclusion, I found out that the higher the fitness is, the higher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s. During that time, the spatial analysis that felt difficultly is approaching general users due to developing GIS analysis function. Even though this field needs much research, once it is more developed, GIS spatial function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many areas through the broad research. Key Word : GIS, Land Value, Spatial Autocorrelation, Interpolation,Hedonic Price Model, Kriging

      •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및 물리적 특성 고찰

        김호일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3

        A total of 414 agricultural reservoirs ranging from 180 thousand m³ to 253 million m³ in storage volume were investigated from 1990 to 2000 with respect to COD, TP, TN, Chlorophyll-a, and their annual mean valu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Koran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generally small storage volume, shallow depth, small drainage and surface area, short residence time, and small ratio of total area to surface area when compared with the natural lakes and reservoirs in the U.S.A. contained in the NES(national eutrophication survey) data sets. The retention time of reservoirs(td) ranged 10 to 157 days, and the ratios of drainage area (DA) to reservoir surface area (SA) were 10 to 168. The residence time(Td) correlated with TA/ST was 462.8×(TA/ST)^-1.03 (R²=0.87).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contaminated by organic matter (BOD, COD) and nutrients, and easily developed algal blooms. Phosphorus is a nutrient limiting factor in 83% of total reservoirs. Trophic state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Vollenweider method, U.S. EPA method, and OECD method. Vollenweider method analysis uses only one parameter (nutrients), so it may be deficient of rationality. In U.S. EPA method, the results of trophic state by TP and Chlorophyll-a differ because TP and Chlorophyll-a relationship differs temporally and spatially, thus it may not be proper, either. The analysis by the use of OECD method using many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nutrients, trophic state by Chlorophyll-a, secchi disk depth, and TP had similar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OECD method be applied in analysing trophic state of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As a result of trophic state by OECD method, ultra-oligotrophic is 0~1%, oligo-mesotrophic 1~4%, mesotrophic 34%, meso-eutrophic 42~48%, eutrophic 14~22%.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mean depth of reservoir, implying higher Chlorophyll-a concentration with deeper mean depth in spite of similar pollutant loadings. The effect of theoretical retention time on chlorophyll-a yields per TP was not noticeable in Korean reservoirs. The effect of the ratio drainage area (DA) to surface area (SA) on TP and chlorophyll-a relationship was prominent. The smaller was the ratio of DA/SA, the stronger was the TP and chlorophyll-a relationship. This seems to be from the fact that there is density overflow in deep reservoirs so actual retention time which effects algal growth is determined not by storage volume but by surface area. The empirical regression equation of TP concentration using physical parameters in the reservoirs is C=6.03W^0.68V^-0.53SA^-0.21(DA/SA)^-0.50. The relationships among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TP, and COD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Chiorophyll-a but that of TN has weak relationship with Chiorophyll-a. It indicates that the limiting factor of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is phosphorus.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Chlorophyll-a has the most strong correlation during summer.

      • 高溫에서의 自己 充塡 콘크리트 特性變化에 관한 硏究

        정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8

        자기 충전 콘크리트 (SCC)는 높은 유동성, 충전성 그리고 충분한 분리 저항성을 가지기 때문에 복잡한 보강이 필요하거나 큰 규모의 복합 구조 부재 제작에 부가적인 진동 다짐 없이 사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지난 20년간 토목 공학에서 사용과 관심이 증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네 종류의 온도와 세 종류의 노출 시간에 따른 자기 충전 콘크리트 (SCC)의 특성에 대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각 조건에 따라 압축강도, 변위, 중량 손실룰 그리고 탄성계수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 충전 콘크리트 (SCC)의 잔존 압축 강도 변화는 기존의 보통 강도 콘크리트와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험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The use or interest of Self-compacting concrete (SCC) has been increased in civil engineering in the last 20 years because SCC has a high fluidity, a filling ability and a sufficient segregation resistance when its placing into the congested reinforcement or larger size of complex structural members without any vibration efforts. This study describe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concrete (SCC) subjected to four different exposure temperatures and three different exposure tim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diagonal deformation, mass loss and bulk modulus of elasticity were examined under given conditions. The observed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SCC showed a similar decreasing pattern those of normal strength concrete and high strength concrete.

      • 볏짚 수거시기가 물리적 특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응덕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7

        본 실험은 볏짚 수거시기에 따른 물리적 특성, 사료가치, 소화율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볏짚 수거시기를 9처리 3반복(T1: 벼 수확 후 10일, T2: 벼 수확 후 25일, T3: 벼 수확 후 40일, T4: 벼 수확 후55일, T5: 벼 수확 후 70일, T6: 벼 수확 후 85일, T7: 벼 수확 후 100일, T8: 벼 수확 후 115일, T9: 벼 수확 후 130일)으로 하여 2007년 10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실습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엽장, 녹색도는 떨어지 며, 곰팡이 발생 및 건물 손실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떨어졌으나,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일정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반추위 소화율은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4. 기호성에 있어서는 볏짚 수거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한우, 젖소, 사슴에 있어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지면 물리적 특성, 영양적 특성 및 기호성이 모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볏짚 수거시기는 가급적 빠른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양질의 볏짚을 생산하는 좋은 방안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ction time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feed value, digestibility and palatability in rice straw. Collection time of rice straw after the rice harvest was allocated into nine treatments : T1(10days), T2(25days), T3(40days), T4(55days), T5(70days), T6(85days), T7(100days), T8(115days) and T9(130day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green degree were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while mold distribution and dry matter yield were in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2.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while crude fiber were in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But crude ash showed multifarious. 3. Digestibility 1n vivo digestibilitl was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4. Palatability of Hanwoo, Holstein and deer was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ollection time of good lice sim would be recommendable during the from 10 days to 40 days after rice straw harvest.

      • MOCVD에 의해 성장된 Si이 도핑된 AlxGa1-xN 박막의 물리적 특성

        안병열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5

        Al_(x)Ga_(1-x)N thin films with x ranging from 0.30 to 0.54 were grown on the Al₂O₃(0001) substrate with AlN buffer layers by using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he Al content (x) of Al_(x)Ga_(1-x)N thin films wa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atio of TMAl and TMGa. The X-ray diffraction (XRD) spectra showed the wurtzite Al_(x)Ga_(1-x)N thin films had a good crystalline quality and were grown epitaxially on Al₂O₃(0001) substrate. The amount of Al in the Al_(x)Ga_(1-x)N thin films was linearly dependent upon the TMAl and the TMGa flow rate. The thickness of Al_(x)Ga_(1-x)N thin films confirmed through the measuring of cross sec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was 1.2 ㎛ and the more the Al composition increased, the coarser the film surface became. Dislocation density which seemed to have been formed by the stress relaxation at the AlN/Al₂O₃ interface was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Al content. Through the measuring of UV-visible spectrometer, photoluminescence (PL) and cathodoluminescence (CL), it was found that as the Al composition of Al_(x)Ga_(1-x)N thin films increased, overall optical properties have dropped decreasing of the intergrated luminescence intensity and increasing of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in the PL and CL spectra. Band gap energy of Al_(x)Ga_(1-x)N thin films increased depending on the increase of Al content, and bowing parameter has been 0.77, which agreed with existent experiment result. As the Al composition increases, the yellow luminescence (YL) peak intensity, related to defects in comparison with near band edge (NBE) peak intensity, has relatively increased.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Al0.48Ga0.52N thin film showed remarkably inferior optical properties related to the defect and structural properties compared with others. It was confirmed in the analysis through cathodoluminescence indepth spectroscopy (CLIS) that the peak related to Al_(x)Ga_(1-x)N thin films takes place within 1.2 ㎛, and in the depth more than that, Al-O-N-related activators exist in the buffer layer of AlN and the AlN/Al₂O₃ interface. The length scale of spacial distribution of activator by Al composition fluctuation of Al_(x)Ga_(1-x)N thin film is hundreds of nm, and the more Al composition increased, the darker the CL image bec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