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족 시어머니의 외국인며느리와의 관계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동희 한서대학교 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시어머니의 입장에서 외국인며느리와의 관계에 관심을 두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문화가족 시어머니가 경험하는 외국인며느리와의 관계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1년 9월부터 10월까지 두 달에 걸쳐 충남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방문지도사를 설문조사원으로 활용하여, 외국인며느리를 본 시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읽어주고 응답하는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작성된 설문지는 159부였고, 이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151부가 최종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차이분석(t-test, ANOVA),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어머니의 고부갈등은 5점 만점에 2.73점, 고부관계만족도는 2.98점, 문화적응스트레스도 2.61점으로,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의 고부갈등과 고부관계만족도, 문화적응스트레스 모두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14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주관적 경제수준을 ‘상’이라고 지각하는 시어머니의 고부갈등이 ‘하’라고 지각하는 시어머니의 고부갈등에 비해 낮았고, 며느리와의 동거기간이 3년 이상인 시어머니가 2년 이하인 시어머니에 비해 고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배우자가 있는 시어머니가 없는 시어머니에 비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중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시어머니가 무학 및 초졸의 학력을 가진 시어머니에 비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았다. 종교가 없는 시어머니가 있는 시어머니에 비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외국인며느리를 맞이한 기간이 2년 이하인 시어머니의 삶의 만족도가 3-5년, 6년 이상인 시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비해 낮았다. 셋째, 시어머니의 고부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어머니의 고부관계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외국인며느리와 시어머니와의 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삶의 만족도를 외국인며느리가 있는 시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외국인며느리와 시어머니와의 고부관계에 대한 제언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the mother-in-law’s relationships with foreign daughter-in-law from the perspective of mother-in-law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mother-daughter-relationship which the mother–in-law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experience and cultural adjustment stress on her life satisfaction. For this in this study during the two months of September-October 2011 utilizing the visiting counselo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Chungnam area as survey Instructors, the mothers-in-law with a foreign daughter-in-law were investigated with the method of reading the questionnaire to them and writing their answers. 159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and among them except 8 copies with the poor response, 15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he average differenc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conflict of mother was 2.73 out of 5 points, high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2.98 points and cultural adjustment stress was 2.61 points. The mother-daughter-in-law conflict, satisfaction, cultural adjustment stress were all not high. However, life satisfaction was 3.14 out of 5 points, that is more than average level. Second, the mother with the awareness of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as high perceived conflict less than the mother with the awareness of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as low. The mot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living together with daughter-in-law showed living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daughter-in-law compared to the mothers with more than 2 years of living together with daughter-in-law. In addition, the mother-in-law with spouse had higher perception of cultural adjustment stress than the mother-in-law without spouse. The mother-in-law with middle school degree or more education had higher cultural adjustment stress than the mother-in-law without education and with elementary school degree. The mother-in-law with no religion, compared to mother-in-law with religion showed higher cultural adjustment stress. Finally, mother-in-law with accepting foreign daughter-in-law less than 2 years before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with 3-5 years, and with six years or more. Third, the mother of the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lower cultural adjustment stress, showed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my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the relative influence is the highe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relations, cultural adjustm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daughters-in-law and mother-in-law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tudied for the mother-in-law with foreign daughter-in-law. In addition, it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proposals on the follow-up study and the relationships with foreign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were made.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진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preparing social welfare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hrough the encourage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to encourag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life. In order to pro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ix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hildren and Youth Policy (NYPI) were studi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for hypothesis verific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The final result was the Sobel Test proposed by MacKinnon et a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irect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duces achievement motivation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this,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through these results.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독려를 위해 성취동기의 격려를 통한 사회복지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입증을 위하여 한국아동ㆍ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6차년도 조사결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성취동기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주요변수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Sobel Test와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성취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공동운명모형(CFM)을 적용한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분석

        이경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Although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acculturative stress they experience is still in a stalemate. Acculturative stress can likely result in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Existing studies have approached this acculturative stress from the perspective of mothers or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en considering that mothers and children influence each other and share perception or emotion, however, an integrated attempt on them is necessary. In that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trajectory of changes and factors in predic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by applying Common Fate Model (CFM) and Latent Growth Model (LGM) through the dyad data of mother and child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analysis process, the terminating data from the 1st wave (2011) to the 6th wave (2016)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which is a nationwide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final analysis, 1,566 pairs of foreign mothers and children were chose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trajectory of acculturative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confirmed. The acculturative stress exhibited a decrease over time in both mothers and children. In result of applying the quadratic function model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it indicated a gradual decline in the trajectory of change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change trajectory of acculturative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fluent level in Korean language of moth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the higher the support from family for children, the higher the support from friends for children, the higher the support from teachers for children, and the lower the child's perceived experience in collective bullying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a relative influence of mother and children was verified in the acculturative stress. It was found that children have more unique areas than their mothers, and their unique area decreased toge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analyzed at the level of family, not at the level of individual. Through thi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 acculturative stress together, and provided the basis for intervention in services and policies at practical setting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and factors in predic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family level programs, the provision of multidimensional services to mother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children's support system, and the cooperative countermeasures of bullying to reduce the acculturative stress. 한국사회에 다문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우울이나 불안, 자살생각과 같은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 또는 자녀로 각각 분리하여 접근하였다. 하지만 어머니와 자녀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인식이나 감정을 공유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에 대한 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의 쌍자료(dyad data)를 통해 공동운명모형(CFM: Common Fate Model)과 잠재성장모형(LGM: 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여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조사인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년도(2011년)에서 6차년도(2016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외국인 어머니와 자녀 1,566쌍이 선정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궤적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와 자녀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된 2차함수모형을 적용한 결과, 점차 완만하게 감소하는 변화궤적을 나타냈다. 둘째, 다문화 가정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궤적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한국어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의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의 인식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적을수록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 어머니와 자녀의 상대적인 비중을 확인하였다. 자녀가 어머니에 비해 더 많은 고유영역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고유영역이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개인 수준이 아닌 가족의 수준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밝히고,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실천 현장의 서비스와 정책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족 단위의 프로그램의 개발, 어머니에 대한 다차원적인 서비스 제공, 자녀의 지지체계에 대한 통합적 관리, 집단괴롭힘의 협력적 대응방안 등의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적응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김재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고 있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현 진행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만족도, 효과성평가, 제공 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중요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들의 국내 대학 적응을 돕기 위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적응 이론, 다문화교육의 발달 및 역사적 배경, 다문화 인성 발달론, 다문화 교육 모형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외국인 유학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다루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는 어느 정도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현 진행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만족도, 효과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에서 제공 가능한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필요성, 중요도는 어느 정도 이며, 이에 영향을 끼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선호하고 필요로 하는 적응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소재 아주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기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는 분석목적에 따라 신뢰도 분석, 기술 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Tukey 사후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주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평균 2.44로 보통보다 낮은 수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7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서는 향수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순위로는 지각된 미워함, 사회적 고립, 의사소통의 어려움등과 같은 기타요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재정지원, 체류기간, 체류계획 및 한국어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현 진행 외국인 학생 적응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성을 종합 분석하면,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성이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나, 현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활 적응을 유용하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업목적에서만 차이를 보여 대학원 과정생들이 어학연수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나, 프로그램 효과성의 평균이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미루어,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상관없이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은 효과적이고, 프로그램에 참가할수록 대학적응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학에서 제공 가능한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하여서 보통 수준이상으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이러한 적응 프로그램 대학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체류유형별로는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거나 경향성을 보인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업목적, 유학경험이나 해외경험의 유무 이었다. 제공 가능한 프로그램 필요성에 있어서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한국문화 유적지 방문 프로그램, 직업상담 프로그램, 재정지원 프로그램, 또래 멘토링 프로그램의 순위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어교육, 문화유적지, 직업상담, 재정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도에 있어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현 시점에서 오리엔테이션 등의 단순한 정보전달을 위한 프로그램 이외의 보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심도 있는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들의 한국문화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이는 대학의 국제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볼 때,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서는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일반적 특성, 적응 프로그램의 유형 등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이중문화적 혹은 다중 문화적 소양을 함양한 인력개발도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은 비단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일 뿐만 아니라, 요즘같이 국제화 되어가는 시대에 다문화적 기술을 습득하여 개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써, 외국인을 주로 교육하는 국제대학원, 국제학부등의 교과과정에 포함 되어져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다문화 교육적 관점에서 적응 프로그램은, 외국인 학생들뿐만 아니라, 우리문화와의 차이를 인정하고, 타 문화의 문화편견해소등을 위한 한국 학생들 및 대학 내 구성원들을 위하여도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며, 대학이 지향하는 국제화를 위하여서 반드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외국인 유학생, 문화적응 스트레스,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 국제화, 다문화교육

      •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덕현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자아존중감이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6차년도(2016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1,635(100.0%)명에서 일관되게 응답하지 않아 제거된 데이터 306명(1.23%)을 제외한 1,329(98.77%)명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집단간차이(t-test,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연령, 부모 국적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과 부모의 외국인 여부에 따른 차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성별, 부모의 국적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과 부모의 외국인 여부에 따른 차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적응은 성별, 연령, 부모의 국적 인식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부모의 외국인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부모의 외국인 여부와 부모 국적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부분의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으나 스트레스라는 부정적인 개념이므로 낮을수록 좋은 의미로 볼 수 있어 실질적인 방향의 흐름이 같음을 볼 수 있다. 여섯째,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적응간의 사이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자아존중감이 이중문화수용태도를 경유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조절하는 조건부 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문화 청소년의 연구에 있어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을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동시에 투입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적응에 자아존중감과 이중문화수용태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유기적으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론적 함의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동시에 투입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이고, 실천적 함의로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제시와 이중문화수용태도에 관한 정서 및 심리적 안정에 중점을 두어 이중문화스트레스를 낮추고 극복하도록 다문화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분석이 가능하도록 지역 특색에 맞는 표집을 통하여 지역별 비교분석도 가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동시에 표집이 이루어져 두 집단간의 비교분석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사이에서의 다양한 매개변수를 밝혀내야 할 것이다. 넷째, 문화적응스트레스 외에 조절효과를 보일 변인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 중도입국청소년의 초기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봉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입국 초기에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구했다. 먼저 중도입국청소년들의 본국에서의 경험이 한국으로의 이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그다음 입국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가족구성원들과 사회화의 다양한 관계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 결과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그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의 대처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이때 이들이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이며, 이들의 재사회화 과정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의 초기 한국사회 적응을 탐구한 것으로써 중도입국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진행을 위해 연구 참여자인 중도입국청소년은 입국 2년 이하, 학교 제도권 밖, 입양으로 입국한 청소년으로 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개별 심층면접을 각각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개인별 면접시간은 각각 1시간 30분에서 2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재사회화하는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입국 이전의 상황으로 방황과 그리움의 단계이다. 둘째, 한국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문화의 접촉 시기로 재회의 기쁨과 충격의 단계, 셋째, 갈등기로 고립과 소외의 단계, 넷째, 위기기로 갈등과 혼돈의 단계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연구 참여자에게서는 자녀가 바라는 역할기대(role expectations)와 부모와 사회화 기관에서 행동한 역할수행(role performance)이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는 물질적 지원군 역할을 하였지만, 연구 참여 청소년들은 부모에게 정서적 기능의 강화 역할, 또래 집단에는 부모를 대신해줄 수 있는 동반자 역할을 기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 참여 청소년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가족과 대안교육 기관의 지지를 통하여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내면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 청소년들은 순차적으로 재사회화 발달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는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혼종 현상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재사회화 경험의 시기나 수준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 청소년의 재사회화는 그들 본인의 성격과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라 다소 다른 것으로 보아 문화적응 과정은 개인의 욕구 및 노력과 사회 환경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중도입국청소년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가족 전체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입국 초기에 대안교육 기관을 통한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사회문화 적응으로 인한 갈등과 부적응의 정도를 약화시켜 최소한 주변화 되는 경향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실질적인 경험을 통한 한국사회 적응 양상을 연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특성이 모두 학교 밖이라는 것과 중국 국적의 남성, 입양, 그리고 인천이라는 공간적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동시에 향후 중도입국청소년들의 국적이 점차 다양화될 것이므로 추후 연구로 다양한 국적과 다양한 계층의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주제어 : 중도입국청소년, 재사회화, 사회화 기관, 사회화 방법, 문화적응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발달궤적과 발달산물의 관계

        강유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경험하는 문화적응이라 할 수 있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종단적인 발달궤적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최종적인 발달산물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아동후기에서 청소년기로 전이되는 시점에 있으며 이들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닌 두 나라-아버지나라와 어머니나라의 문화적 배경은 한국사회를 이끌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응에 대한 연구는 부정적인 발달산물과 관련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을 한국문화와 어머니국가문화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한국문화수용태도와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의 세 변인들이 시간에 따라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발달궤적을 관찰하였으며, 이 세 변인들의 궤적이 마지막 6년차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최종적인 발달산물(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 우울,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전국단위 종단자료인 다문화청소년패널 1차에서 6차년도까지(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가정 청소년 1,561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발달궤적은 시간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시간흐름에 따라서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일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초등학교 4학년에서 가장 높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보이므로 이에 대한 조기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태도의 발달궤적은 시간흐름에 따라 개인 차이를 보이지만 안정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고,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의 발달궤적은 평균적으로 감소하지는 않지만 개인 간 변화에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어머니국가수용태도의 초기치가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시간흐름에 따라서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가 가파르게 감소하는 반면 초기치가 낮은 청소년은 완만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문화와 어머니국가문화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한국문화수용태도와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의 발달궤적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최종 발달산물의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초기치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우울과 사회적 위축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변화율에서도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빠르게 감소할수록 중학교 3학년 시점의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높고,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율에 강력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문화수용태도의 초기치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보였고, 우울, 사회적 위축은 부적(-) 영향을 보였으며, 종단적 발달궤적을 통한 발달산물의 수준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즉 한국문화수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의 수준은 높고,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수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의 초기치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만이 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변화율에서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는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국가문화에 대한 수용태도가 감소할수록 중학교 3학년 시점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문화수용태도의 모든 발달산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와는 대조적이다. 넷째, 통제변인을 투입하였을 때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한국문화수용태도와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의 종단적 궤적에 따른 최종 발달산물은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즉 통제변인을 투입하더라도 발달산물인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은 투입전과 일관되게 나타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발달산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강력한 영향력이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한국문화수용태도와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출신국가에 따라 발달산물의 차이가 나타나고, 가구소득 및 어머니의 학력, 한국어 능력, 학생 성별에 따라 발달산물이 다르게 나타나 이를 고려한 연구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산물을 증진시키고 부정적 발달산물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는 전략이 요구되며, 어머니국가문화수용태도를 높여 이중문화수용태도의 균형을 이루어야 할 정책적 지원방안이 이루어져야 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사회구성원으로서 건강한 발달과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일 수 있는 개입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적응 연구

        오자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적응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 부속 한국어교육기관 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국문화적응 양상이 어떠한지를 밝히고 그 구성요인과 학습자 변인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국내 주요 국가별 한국어 학습자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한국문화적응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화적응의 개념과 접근 유형을 정리하였다. 또한 문화적응 연구에 사용되는 측정 도구와 변인을 정리함으로써 본 연구의 문화적응 측정 도구와 변인의 이론적 바탕을 정립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밝혔다.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문화적응척도를 개발하고 학습자 변인을 선정하였다. 한국어로 작성한 설문지를 베트남어로 번역한 후 검토 및 수정 작업을 거쳤다.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ilot)를 실시하였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학습하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20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유효한 설문지 155부를 대상으로 윈도우용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후속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구조적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4장에서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적응 구성 요인을 밝히고 학습자 변인별 한국문화적응 구성 요인에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적응 구성 요인은 지각된 차별감, 문화충격, 향수병, 한국어 사용의 어려움,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이었다. 이러한 구성 요인에 대하여 학습자 변인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는 나이가 많을수록 지각된 차별감을 더 많이 인식한다. 둘째, 한국인과의 접촉도가 적을수록 한국어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로 인하여 한국어 실력이 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셋째, 언어적 행동으로 인하여 차별감을 인식한 학습자는 한국인에 대한 인상이 전처럼 긍정적이지 않았으며 이로 인하여 외로움을 느끼고‘향수병’을 앓는 학습자도 있었다. 한편, 비언어적 행동으로 차별감을 느낀 학습자는 차별경험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여전히 한국인에 대해 긍정적인 인상을 갖고 있었다. 반면 한국인에게 도움을 받은 학습자는 한국인과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였다. 양적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후속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집단 차원의 요인과 개인 차원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베트남 학습자의 집단 차원 문화적응 요인은‘사회‧문화적 차이’,‘경제적 격차’그리고‘미 래 성공 수단으로서의 한국어’이다. 개인 차원 문화적응 요인은‘한국에 대 한 기대감’, ‘사전(事前)한국어 학습’,‘주류집단의 사회적 지지’,‘언어적‧비언어적 차별경험’이다. 4장의 마지막에는 와타나베(2002)와 김지혜 (2010)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본인, 중국인 학습자와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 문화적응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한국문화적응을 방해하는 부정적 요인을 해소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한국어교육 종사자들의‘상담자 역할’,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운영 그리고 ‘베트남 학습자들 간의 사회적 지지 형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에 소재한 20개 초등학교 4, 5, 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192명이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노충래와 홍진주(2006)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고,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김진경(2002)의 또래관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교적응 유연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박현선(1998)의 학교적응유연성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척도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h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또래관계, 학교적응 유연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또래관계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또래관계, 학교적응 유연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 유연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래관계와 학교적응 유연성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교적응 유연성이 높으며,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 유연성이 높다는 결과이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 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또래관계는 학교적응 유연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between the culture adaptive stres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peer relationship on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2 students of 4th, 5th, and 6th grad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 elementary schools in Jeonnam. The survey was conducted July 1, 2017 to September 30. The research tool was used to measur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y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scale of Nho Choong Rai and Hong Jin Joo(2006). In order to measure peer relations, us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of Kim Jin Kyung(2002). and And the instrument to measure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was Park Hyun sun(1998)'s questionnaire on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was calculated by Chronbach’s α.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ccording to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variance analysis carried ou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ltural stress of multicultural childr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aptability flexbility.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eer rela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ving influence on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peer relationship than male students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peer relations,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It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at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The lower the stress of adaptation to culture, the more flexible the school adaptation. Third,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follows.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a factor affecting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Currently,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suffered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Finally, the results of effect of peer rela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mpacted adjustment flexibility on school, Pe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explain school adaptability flexibility significantly. This is a result of efforts to promote peer relations.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병욱 서울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진로결정성 강화를 위한 이론적 제언, 실천적 제언, 정책적 제언을 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의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는 2011년도 1기 코호트 1차연도 본 조사를 시작으로 2020년 10차연도까지 동일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6차 연도 자료는 2016년 중학교 3학년이 된 다문화가정 청소년 1,329명이 참여하였다. 중학교 3학년은 특성화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진학, 그리고 대학교 진학에도 실질적인 관심과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결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결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사회적 지지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한 선행연구들의 지지를 받는 것이며, 낮은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 강화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