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주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효과의 유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부적절한 소음을 내는 행동을 감소시키는가? 둘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부적절한 태도를 보이는 행동을 감소시키는가? 셋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주의 산만한 행동을 감소시키는가? 넷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으로 변화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공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각 대상학생별로 나타내는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였다. 기능 평가를 마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자폐성 장애학생의 인지적 약점을 보완하여 시각적 지원의 일환인 행동도표를 활용하여 중다 요소를 포함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을 두어 실험하였다.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특수학급 교사가 평소에 주로 사용하던 교육 방법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선행사건 중재, 행동도표를 활용한 대체 행동 교수, 그에 따른 후속결과 중재의 중다 요소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종료 4주 후에 3회기 동안 유지 검사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의 유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3명의 자폐성 장애학생 모두 부적절한 소음내기 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3명의 자폐성 장애학생 모두 부적절한 태도를 보이는 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3명의 자폐성 장애학생 모두 주의 산만한 행동이 감소하였다. 넷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변화된 3명의 자폐성 장애학생의 세 가지 문제행동이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가 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이를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교사가 직접 중재를 실시하여 얻은 효과이기 때문에 현장 적용에도 용이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행동도표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시각적인 강점을 이용한 중재로 자폐성 장애학생의 중재전략으로 유용한 가치를 가지며, 교사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실제적인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중재전략임을 시사하고 있다. ※ 이 논문은 2016년 8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란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진행에 따라 문제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동의 정서 ․ 행동문제를 예방하고 조기에 개입하여 원만한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A시 B구에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중에서 학교에서 실시하는 아동정서 ․ 행동발달 선별검사(CPSQ)에서 관심군에 해당하고, 담임교사에 의해 문제행동이 발견된 아동 중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아동 5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총 14회기로 주 2회 70분간 학교 교실에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아동 ․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교사용(TRF)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에 대한 사전 ․ 사후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 ․ 사후로 실시하여 그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제행동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내재화 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특히 내재화 하위영역인 위축/우울, 불안/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외현화 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특히 외현화 하위영역의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고 규칙위반에서 소폭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관찰 결과 연구대상자는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공격적 언어표현이 줄어들고, 갈등상황에서 자기주장적 표현 빈도가 증가되었다. KSD에서는 사전검사의 불규칙하고 산만한 선,공격성을 상징하는 표현이 없어지고 사후에는 전체적으로 온화한 느낌을 주고 자아상, 교우상, 교사상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임이입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교부적응 아동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편식과 아동의 자아개념 및 문제행동의 관계

        송정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식이 아동의 자아개념과 문제행동에 관련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편식 아동 판별 검사와 식품 선호도 조사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4·6학년을 편식집단과 비편식집단으로 나누고, 자아개념과 문제행동 측면에서 편식집단의 학생들이 비편식집단 학생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 유아의 놀이행동 군집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의 적응과 문제행동의 차이

        김미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eschoolers' play behaviors cluster according to gender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play behavior cluster. The subjects are 322 preschoolers aged 3 and 4 who attend 5 different preschool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measure preschooler's play behavior, this study applied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PPBS) developed by Coplan and Rubin(1998) and adapted by Jo Eun-ok(2001). To measure preschooler's adjustment, this study applie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ink(1993) adapted by Kim Nan-young and Shin Yoo-lim(2001). To measure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pplied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PKBS) developed by Merrell(1996) and adapted by Lee Jin-sook(2001).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preschooler's play behavior was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The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reschooler's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clustered play behavi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surem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frequency of social play was higher in girls and the frequency of rough-play was higher in boys. The preschooler's adjustment showed that girls were higher at the level of prosociality and preschool routine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s showed that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level of hyperactivity and aggression. Second, as the frequency of reticent behavior higher, the adjustment level was low and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s were high. As the frequency of solitary-passive play higher, the adjustment level was high and also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hi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olitary-active play, the higher the problem behaviors. As the frequency of social play higher, the adjustment level was high and the hyperactivity, social withdrawal and anxiety were low. As the frequency of rough-play higher, the adjustment level was high and also the level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high. Third, boys and girls were each clustered into four types, each showing distinctive play characteristics. Boys' play behavior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balanced play group', 'non-social play preference group', 'social interaction play preference group', and 'rough-play preference group'. Girls' play behavior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solitary and social play preference group', 'non participation group', 'non-social play preference group', and 'social play preference group'. Fourth, according to boys' play behavior group, the group with the highest score in adjustment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 in problem behavior are the 'balanced play group'. 'social interaction preference group' also showed good adjustment and low level of problem behaviors. On the other hand, 'non-social play preference group' boys showed low adaptability and high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Meanwhile, boys of 'rough-play preference group' showed high level of problem behavior as well as peer competence. Fifth, according to girls' play behavior group, girls in 'solitary and social play preference group' and 'social play preference group' showed high level of adjustment and low level of problem behaviors. The 'non - participation group' showed the lowest adjustment level and the highest problem behavior level. Girls in the 'non-social play preference group' did not experience serious maladjustment, but ha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ogether, only the degree of difference appears, and the preschoolers tended to play various play types at the same tim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ferred play according to gender. Also, preschoolers who participate evenly in various plays are adaptive, and preschoolers who play less have maladjustment. Preschoolers who prefer to solitary play and rough-play were differences in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level in social play. In other words, if preschoolers who prefer to solitary play or rough-play are vulnerable to social play, problem behaviors are highly evaluated, but it was evaluated as adaptive if the preschoolers who prefer to solitary play or rough-play participate well in social play.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element of social play to alleviate the negative aspects of other pl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illumin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eschooler's play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guide play behavior of preschooler.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행동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알아보고 놀이행동 군집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적응 및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 5개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세 유아 322명(남아 150명, 여아 172명)이다. 유아의 놀이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Coplan과 Rubin(1998)이 개발하고 조은옥(2002)이 수정․보완한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PPBS)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Jewsuwan, Luster와 Kostelink(1993)가 개발하고 김난영, 신유림(2001)이 번안한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을, 유아의 문제행동은 Merrell(1996)가 개발하고 이진숙(2001)이 번안한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PKB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t검정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이행동에 대해서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된 놀이행동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적응 및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일변량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들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놀이행동에서 사회적 놀이의 빈도는 여아들이, 거친 신체놀이의 빈도는 남아들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친사회성과 유치원 일과의 적응 수준에서 여아들이, 문제행동은 과잉행동과 공격성 수준에서 남아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비놀이 행동 빈도가 높을수록 적응 수준이 낮고, 문제행동 수준은 높았다. 혼자-정적놀이의 빈도가 높을수록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내면화 문제행동 수준도 높았다. 혼자-동적놀이의 빈도가 높을수록 문제행동 수준이 높았다. 사회적 놀이의 빈도가 높을수록 적응 수준이 높고, 과잉행동, 사회적 위축, 불안 수준은 낮았다. 거친 신체놀이의 빈도가 높을수록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도 높았다. 셋째, 남녀 유아 각각 네 개의 유형으로 군집화 되었으며 성별에 따라 구분된 놀이특성을 보였다. 남아의 놀이행동 군집은, ‘균형적 놀이집단’, ‘비사회적 놀이 선호집단’,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선호집단’, ‘거친 신체놀이 선호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여아의 놀이행동 군집은, ‘혼자놀이 및 사회적 놀이 선호집단’, ‘놀이 비참여 집단’, ‘비사회적 놀이 선호집단’, ‘사회적 놀이 선호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남아의 놀이행동 군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문제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문제행동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집단은 ‘균형적 놀이집단’의 남아들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선호집단’의 남아들 또한 대체로 적응을 잘 하고 문제행동 수준도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비사회적 놀이 선호집단’ 남아들은 적응력이 낮았으며 내면화 문제행동의 수준은 높았다. 한편 ‘거친 신체놀이 선호집단’의 남아들은 또래유능감도 높고,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 수준 또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아의 놀이행동 군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문제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혼자놀이 및 사회적 놀이 선호집단’과 ‘사회적 놀이 선호집단’의 여아들은 대체로 적응을 잘 하고 문제행동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문제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집단은 ‘놀이 비참여 집단’의 여아들이었다. ‘비사회적 놀이 선호집단’의 여아들은 기관에서 심각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으나 내면화 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었다. 종합해보면, 정도의 차이만 나타날 뿐 유아들이 다양한 유형의 놀이를 함께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놀이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놀이에 고르게 참여하는 유아들은 적응적이며, 놀이를 적게 하는 유아들은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혼자놀이와 거친 신체놀이를 선호하는 유아들은 사회적 놀이 참여정도에 따라 적응 및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즉, 혼자놀이나 거친 신체놀이를 선호하는 유아들이 평소 사회적 놀이에 취약할 경우 문제행동이 높게 평가되었지만, 혼자놀이나 거친 신체놀이를 선호하는 유아들이 평소 사회적 놀이에 잘 참여한다면 적응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사회적 놀이의 긍정적인 요소가 다른 놀이의 부정적인 측면을 완화시켜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새롭게 재조명 하고, 교사가 유아의 놀이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과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윤호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 문제행동의 이해와 지도에 중요한 생태적 변인인 어머니와 교사변인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문제행동 원인에 대한 인식과 지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지도방안은 어떠한가? 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창원시에 위치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와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적대-공격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며, 다음으로 과잉행동-산만, 불안-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행동 원인에 대한 인식역시 높지 않았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유아 의도와 행동을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지도방안은 가정에서의 예방실제가 다른 요인들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사회정서전략, 반응적 상호작용 순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개별화된 중재가 가장 낮게 사용되었다. 셋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느 정도 문제가 된다고 평가하였으며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적대-공격성 행동을 가장 큰 문제행동으로 인식하였다. 문제행동 원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가정요인과 유아의도와 행동을 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방안은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유치원에서의 예방실제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문제행동을 일으키거나 유지시키는 환경을 개선하여 문제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를 위한 가정과 유아교육 기관의 상호교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cknowledging the important roles of mothers and teachers in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i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lso the caus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and educational guidance for the young children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in this study: 1. What are moth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guidance to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2. What are teach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guidance to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administered to the mothers and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nurseries located in Changwon.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Anova using SPSS 14.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thers’ awareness of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were low in general and mothers did not perceive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young children too seriously. When sub-categories of behavioral problems were specifically examined, mothers put “Hatred-Aggressiveness” in the highest order. It was followed by “Hyper-active and Attention deficient behaviour.” “Anxious- depressive behaviour” was rated as the least serious problem. Mothers did not aware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s too seriously. When the sub-categories of causes were considered, mothers rated “the Intention and behaviour of the young children” as the most significant caus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Secondl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guidance for the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most common principle chosen by the mothers was “Prevention in home environment.” It was followed by “Socio-emotional strategies” and “Responsive interaction” in sequenc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as the least chosen approach. Thirdly, th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howed that they perceived the problems more seriously than mothers. As in the case of mothers, “the Hatred and Aggressiveness” was perceived by the teachers as the most serious behaviour out of other sub-categories. The teachers attributed the caus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to the two factors such as “Family background” and “the Intention and behaviour of the young children.” Fourthly, the teachers’ educational guidance was similar to the mothers’. “Prevention in the classroom setting” was the most commonly chosen approach by the teachers to the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teachers tried to minimize problems by correcting any trigger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before any incidents happened. Last, this study ha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for close network between hom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maximize the effectiveness in the guidance.

      • 청소년의 학교관련 문제행동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정경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관련 문제행동 발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강명령을 받아 교육 받는 징계학생의 부모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하여 자녀의 문제행동 발생 원인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과정은 모두 축어록으로 작성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의 단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의 문제행동 발생 원인으로는 자녀의 우발적 행동, 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분노, 학교생활의 부적응, 친구들의 폭력행동 강요와 선배의 협박에 의한 금품 갈취, 부모의 강압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 지나친 간섭과 주시, 자녀에 대한 무관심과 방치로 나타났다. 자녀의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대응 방안으로는 자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화, 상담 지원, 부모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의 폭력피해 경험이 폭력행동 발생 원인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이 제시되었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육에 대한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경험 진술을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통하여 자녀의 문제행동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고, 부모들이 자녀의 문제행동 예방은 물론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dolescent’s troublesome behavior and implement the qualitative study on parent's experience so as to identify the relations with parent's education attitude. To that en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8 parents who were in the middle of mandatory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because of bad behavior committed by their adolescents so as to collect the data on cause of troubles and parent’s way of bringing up adolescents. Record of all interviews was maintained an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through domai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s a result, included in the cause of troublesome behavior by adolescents were adolescent’s accidental behavior, anger against the act of violence,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enforcement by friends to use violence and blackmail by the seniors, parent’s oppressive and authoritarian treatment, excessive intervention and care and indifferent and careless attitude. Among the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 were constant concern and conversation, counseling assistance and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Viewing the result above, parents’ rearing pattern appeared to have had effect on adolescent’s behavior. And the experience as the victim of violence was one of the factor causing the violence,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and proposing further study on identifying the cause of becoming the offender from sufferer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analyze the factors causing adolescent’s troublesome behavior through qualitative study and more importantly, proved the need of training program for the parents in effort to prevent the adolescents from committing problematic behavior as well as help them grow into fine young people.

      •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결손가정아동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금비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mong the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period of which is the transition period before adolescenc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two male students and two female students both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after school for from 90 minutes to 100 minutes, once a week, during 18 times in total in the classroom in Y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U c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whole proc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recorded, and the dynamic of group observed and log-written by the researcher was analyzed in each session, while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 of each individual child, changes in expression in art works and attitude as well as behavior were observed and recorded to be compared. Also, in order to compensate HTP(House - Tree - Person) Drawing 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PAS-C) was conducted adjunctively before and after HTP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scale of aggression, hyperactivity , autism, and anger. To summarize the result drawn from such process is as follows. The changes in children’s expression in their art works and attitude as well as behaviors sugges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reduced th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mong the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Improvement in time duration of participating in task with concentration as well as abilities to follow orders and regulations in group and to adjust their emotion among children presented externalized problems such as attention-concentration and aggression, was observe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he children who presented internalized problems such as being intimidated and refusing to speak, spontaneously expressed their emotion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and intimidated behaviors turned active while improvement in confidence was observed. Improvement in active attitude and compulsive behaviors which provide feedbacks aggressively among the children who presented compulsive attitude and behaviors was observed throughout the group art treatment. The children with internalized problems tended to alleviate their problems throughout imitating the active and adventurous aspects of the children with externalized problems. Generally a more stable appearance and changes in self-image were observed in HTP test. The result of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scale test suggested general positive changes in scores of aggression, hyperactivity, autism, and anger, while the scores of aggression among the child who presented self-conspicuous behavior problems and lies, were increased. Since children with such tendency are more conscious of other members in their group so that they tend not to express their inner side, there is a limit in approaching them with group art therapy. It is considered that an in-depth approach throughout personal counselling is required. Overall, group art therapy affect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positively, plays as a proper medium in general development along childhood, and has significance as a group case study. However, since this study is based experiments without control group, which only dealt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ular children, there is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결손가정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 연령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중 결손가정에 속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U시에 위치한 Y복지관 방과 후 교실에 참여하며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남 2명, 여 2명으로 Y복지관에서 주 1회 90~100분간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기록하여 작성한 구체적인 사례일지와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집단의 역동을 회기별로 분석하였고, 개별 아동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회기별 작품표현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관찰·기록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와 질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아동용 인성검사(PAS-C)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격성, 과잉행동, 자폐증, 분노의 척도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회기별 아동의 작품표현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에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주의집중 및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를 보인 아동들은 프로그램 실시 후 집중하여 작업에 참여하는 시간이 늘고, 집단 내 규칙과 질서를 따르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위축되고 말을 전혀 하지 않았던 내면화 문제를 보인 아동은 프로그램 실시 후 자발적으로 언어표현과 정서표현을 하였으며 위축되었던 행동이 적극적으로 변화하였고 자신감이 향상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보인 아동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는 능동적인 태도와 강박적 행동이 완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내면화 문제를 가진 아동들은 외현화 문제를 가진 아동들의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면에 대한 모방으로 인해 문제가 완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HTP검사에서도 전반적으로 조금 더 안정감 있는 모습과 자아상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척도검사의 사전·사후의 분석 결과에서는 공격성, 과잉행동, 자폐증, 분노의 점수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거짓말’과 ‘자기과시적’ 행동문제를 보인 아동의 경우 공격성의 점수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성향의 아동은 집단내 다른 집단원을 더욱 의식하여 자신의 내면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으려는 점에서 집단치료로 접근하기에 한계가 있어 개별적인 상담을 통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가 결손가정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전반적인 아동기 발달에서 적정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집단사례 연구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러나 통제집단 없이 소수의 특정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정서능력,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김수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정서능력,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 효과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방법 중 삼각화 설계방법을 적용하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함께 실시하였다. 양적연구에서는 본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정서능력,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경계선 지적 기능 범주에 해당하는 IQ 65∼80 사이, BIF-S를 통해 성격/정서, 사회성에서 90%이상 지연 아동 16명을 선별하였다.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배정 후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사전, 사후로 문제행동, 사회정서능력, 또래놀이상호작용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Program 24.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정(Mann-Whitney U 검증)과 집단 간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에 따른 사전-사후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Wilcoxon Sing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는 비모수분산분석인 Friedman's 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 후 사전-중간-사후-추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Wilcoxon Singed Rank test 하였다. 질적연구에서 양적연구에 참여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부모 5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현상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전사작업 후 의미있는 단위를 개념화 작업을 진행 후 하위구성, 최종 구성요인으로 코드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가 아동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하위 요인(내면화, 위축 및 우울,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통계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가 사회정서능력 및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통계적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가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는 하위 요인(또래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지만, 시간 흐름에 따른 통계적 변화는 없었다. 넷째, 동물과 교감을 경험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질문에 근거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진술에서 의미 있는 문장을 도출하고 하위구성요인 21개와 구성요인 5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에 참여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정서능력 및 탄력성, 또래놀이상호작용이 향상되어 사회정서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인지행동치료 기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학교, 상담현장 등에 적용해 사회정서능력향상에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on problem behavi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in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To promot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triangulation design. In the quantitative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on problem behavi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in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For this study, 16 children between IQ 65 and 80, corresponding to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ategory, with delays of more than 90% in personality,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were selected throug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creening (BIF-S).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two groups: eight for the experimental and eight for the control group, and problem behavi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pss Program 24.0 was used to Mann-Whitney U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Wilcoxon Singed Rank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in both group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Friedman test, a non-parametric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and a Wilcoxon Singed Rank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herapy. In the qualitative study, five parent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study,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conceptualized, organized, and coded into subcomponents and final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in sub-factors (internalization, anxiety and depression,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tatistically, and the statistical changes were shown over time. Second,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th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mental elasticity statistically, and the statistical changes were shown over time. Third,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er play interactions in sub-factors (peer interacti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change over time. Fourth, from analyzing interviews of the parent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who have communicated with the animals, 21 subcomponents and five constituent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have verified that the problem behavi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mental elasticity, and peer play interactio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were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our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Therefore, we expect that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animal-assisted therapy can be applied to schools and counseling sites to help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improve their social emotional skills.

      •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황명선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 지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 의 문제행동이 사회적 지지와 서로 상호작용하여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소진에 영향 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 능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 둘째,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즉,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 를 보이는가? 즉,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40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생의 문제 행동, 소진,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SPSS 21.0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 v 였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모두 학생의 문제행동이 증가할 때 교 사효능감이 낮아지지만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교 사효능감을 보였다. 또한 학생의 문제행동이 점차 개선될 때, 높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 집단은 교사효능감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절된 매개효 과가 유의한지 분석한 결과,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 효능감이 매개할 때 사회적 지지의 크기가 커질수록 이 매개효과가 상대적으로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경쟁모형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으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교사의 소진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 이에서 조절효과를 보이고,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인다는 결과를 통해 교사의 소진 을 예방하기 위하여 교사효능감이 저하되기 이전에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