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살장의 시간>에 대한 무대디자인 연구

        이소영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ater Design has been progressed to build a space or place for a performance based on a backdrop using perspective. Since 19thcentury,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of stage, started from Adolphe Appia. These studies widely covered simple reproducing the places in the script and, by extension, reinterpreting the places found deep inside a performance and expressing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Theater designers were able to effectively express the flow of psychology, employing architectural concept and philosophy visually reinterpreted through a wide range of stage languages such as space, text and characters. Psychological flow of characters and their actions are not against the stage space, but alive in it. Thus, the stage visualization process via internal psychology of characters in the performance is essential for stage.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space in a performance while designing the stage for “Time in Slaughterhouse” played in Seoul International Play Art Festival 2009. It analyzes the script, psychology of the main character, ‘Cheonpyeon’ who acts according to the script, and his social position from his job, and reorganized this past to establish the central concept of the performance space. According to the main concept of theater design, ‘remembering point’ of Cheonpyeon is the place where the form of the strata of memories are considered as a grave of the disappeared memory. It turned into the performance space via architectural language. The deep hole is made in the stage floor to present a grave. Over the hole, two stories built narrowly and the theater floor in between them are effective to imagine the space outside of the stage that is not seen within the performance space. Also, the first stratum of Cheonpyeon’s memory protruding toward the front represents his characteristic wickedly changed since it is disappeared by human oblivion. On the highest stratum, his purist memories are placed where the ‘performance’ is shown. This is the place where his inner side and the characters with purity play a role. As a result, the theater space which is formed with images from the grave of Cheonpyeon’s past memories utilized the theater place, Jayu Theater that was already there. Also, performance space is combined and rearranged ba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character, Cheonpyeon. Thus, the gap is created in the ambiguous space where theater is interlinked with the stage to present symbolic space existing but invisible in the performance. Also, architectural layer is used for audience to visually understand the inner condition of Cheonpyeon. The layer cuts off light coming inside the space, practically used to make light expressed with psychology of Cheonpye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place where the character acts among stage languages, used when a stage designer infers design factors from performance script, thereby visualizing the stage. <도살장의 시간>에 대한 무대디자인 연구 무대디자인은 원근법을 이용해 만드는 배경막을 기본으로 극을 위한 장소 혹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발전되어 왔다. 19세기 이후 아돌프 아피아를 시작으로 3차원적 무대 공간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는 연극을 위한 공간이 단순히 대본의 지시문에 나와 있는 장소들을 재현하는 것에서 나아가 극 안에 깊숙이 내포되어 있는 장소들의 재해석과 인물사이의 갈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무대 디자이너는 공간, 텍스트, 등장인물 등 많은 무대언어를 통하여 건축적 개념과 인문 철학을 시각적으로 재해석해 무대 안으로 들여와 극 안에 심리의 흐름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등장인물의 심리 흐름과 그들이 행하는 행위는 무대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무대 공간 안에 살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극 중 인물의 내적 심리를 통한 무대 시각화 과정은 무대의 필수 조건이다. 본 연구는 극 중 인물과 극 공간의 관계를 2009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 공연된 <도살장의 시간> 무대디자인과정 안에서 진행되었다. 대본의 분석과 함께 그 안에서 움직이고 극 행위를 하는 주인공 ‘천편’의 심리, 그리고 그가 가지고 있는 직업에 따른 사회적 위치 등을 파악하고 그의 과거를 재편집하여 극 공간에 대한 중심개념을 세웠다. 무대디자인 중심개념인 주인공인 천편 ‘기억의 장소(remembering point)’는 그가 가지고 있는 과거의 기억의 지층들이 쌓여진 형태를 사라진 기억에 대한 무덤이라 생각하였고 이것을 건축 언어로 바꾸어 극 공간 안에 형태화 시켰다. 무덤을 형상화하여 아래로 깊게 들어간 무대 바닥과 그 위에 아슬아슬한 높이로 세워져 있는 2개의 층과 그 사이에 껴있는 극장의 바닥은 극 공간 안에 보이지 않는 무대 밖 공간을 상상하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첫 번째 천편 기억의 지층은 관객을 향해 공격적으로 앞으로 돌출되어 인간 망각에 의해 잘려나가 위악적으로 변한 주인공을 대변해 주고 있다. 그 지층 위로 올라가면 무대 가장 상부에는 주인공이 가장 순수한 기억들을 담고 있는 공간인 ‘연극’이 있는 곳이 나타난다. 이곳은 주인공 천편의 내면과 극 중 순수함을 담고 있는 인물들이 극행위를 하는 장소이다. 결과적으로, 천편의 과거 기억의 무덤에서 나온 이미지들로 형태화된 극 공간은 연구 초기부터 가지고 있었던 자유소극장이라는 극장의 장소(Place)를 활용하고 주인공인 천편의 내면을 근본으로 극 공간(Performance Space)을 결합, 재배치하였다. 그리하여 극장과 세트가 맞물려 모호한 공간의 틈을 만들어내 극 안에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상징적인 공간까지 제시하였다. 또 관객들이 천편의 내면 상태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용되었던 건축적 레이어(Layer)를 사용하였다. 레이어는 공간 안으로 들어오는 빛을 자름으로써 천편의 심리를 바탕으로 표현 되어진 빛을 만드는데 실용적으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무대디자이너가 극 대본 안에서 디자인 요소를 유추해 낼 때 이용하는 무대 언어 중 중심인물과 그가 움직이는 장소가 가지고 있는 관계성을 알아보고 무대를 시각화 했다.

      • <못 다 부른 그 해 오월의 노래>무대디자인 및 프러덕션의 실제

        지현정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2002년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광주 5 ·18 기념 문화관 민주홀에서 공연된 "못다 부른 그해 오월의 노래"에 대한 무대디자인의 수행과정과 함께 프로덕션의 각 분야별-조명 ·의상의 전반적인 작업의 연구를 제작과정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통해 무대디자이너로써 여러 분야의 지식과 그 수행과정을 숙지해야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다양한 자료수집과 그에 따른 분석을 통해 문학작품으로서의 희곡을 하나의 공연으로 형상화시키과 수행하는 과정을 기록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공연이 실행되기 위한 각 분야별 제작과정과 작업의 결과물을 정리하였다. 이논문은 무대. 조명. 의상의 디자인과정을 통해 무대환경의 전반적인 시각화작업을 기술한 것으로 이를 통해 방법론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방향제시가 기대된다. The present thesis summarized the process of stage design and the production of "Unfinished Song of May in the Year", which was performed in the Hall of Democracy of the 5.18 Memorial Cultural Center between 23rd and 26th of May, 2002. The production process described in this paper was divided into several parts including works related to lighting and costume. Chapter I presented the objectives and methodologies of this study. This chapter suggested the necessity for stage designers to have knowledge in various areas, and to be familiar with the process of stage designs. Chapter II recorded the process of shaping a play as a literary work into a performance through multilater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hapter III summarized the outcomes of production and works in various areas to perform a play. This thesis i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visualization works in creating stage environments including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stage, lighting and costum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ay suggest methodologies and directions for various future researches.

      • 중국전통극 무대배경디자인의 표현형식에 대한 응용과 연구

        배종정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무대배경은 일반적으로 회화스킬과 일부 특수한 스킬로 무대장면을 그리는 것을 말하고 있다. 무대배경은 무대예술디자인 중에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전통극무대위에서 모든 외부이미지는 거의전부 이 수단으로 완성되고 있다. 배경을 그리는 데에는 직접 그리는 방법의 또 페인트, 오려붙이기, 색을 칠하기, 모형으로 찍는 방법, 부조 등 이러한 여라 가지 수단이 있다. 중국 전통극에서 무대배경은 하나의 무대정경디자인의 중요한 수단이다. 이는 줄거리와 캐릭터를 위해 연출환경을 만들어주공 있을 뿐더러 더욱 잘 분위기를 더 받혀주고 있다. 중국 전통극이 더욱 많은 관객에 위해 받아드리게 하기 위하여 무대배경디자인언와는 또 전통극의 무대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어야하고 캐릭터와 서로 호응되고 련관되여야한다. 이러 야만이 관객들로 하여금 더욱 쉽게 전통극을 받아드리게 할 수 있고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번문장은 평극 "화워이메이" 의 무대배경디자인을 연구중점으로 두었고 전통극의 무대배경디자인의 표현형식에 대하여도 탐구하고 연구하였다. 캐리터의 특점과 매개신의 기본흐름에 대한 깊은 분석을 한 전제하에서 대응되는 캐릭터의 상징적인 원소들을 찾아낸뒤 무대배경디자인에 융합시켜야한다. 본문의 연구중점은 전통극의 무대배경과 전통극의 캐릭터, 줄거리의 흐름에 대응되는 문제들이다. 이는 전통극의 무대 배경 중 디자인의 표현이 더욱 생동하고 재미있으며 호소력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생명렬을 부여하였고 연출 분위기를 돋아주며 전통극문화의 전파를 위해 복무하고 있다.

      • 오페라 <마술피리> 무대디자인 연구 : 영상 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차현주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 이후 무대미술은 역할 범위 확장과 함께 창조적 역량 표출을 위한 표현 매체(media)의 확장을 이뤄왔다. 그 중에서도 현 시대의 매체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영상 매체는 무대미술에 접목, 혹은 수용되면서 무대미술의 시각적 표현의 스펙트럼을 넓히는데 비중 있는 역할을 하는 매체로 고공행진 중이다. 영상 매체의 활용 방법, 영상이 구현해내는 이미지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는 예술가의 상상력을 독려하며 새로운 무대미술 양식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매체를 활용한 오페라 < 마술피리 >에 대한 두 가지 무대디자인에 대한 연구로 시대적 흐름으로 진단되는 영상 매체에 대한 고찰과 함께 영상 활용 전작 사례에 대한 분석을 전제로 필자의 디자인 과정 기술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시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연예술의 한 요소로서의 무대미술에 있어 현대인들의 의식과 사고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매체에 대한 연구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이고 필수적인 요구이다. ‘영상’이라는 매체는 일반적으로 2차원 평면에 구현되는 3차원 이미지이며, 영상을 담아내는 프레임은 영상을 담아내는 액자틀임과 동시에 관객이 영상을 접하는 창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틀이나 창의 개념은 무대 공간 안의 시각적 표현 요소이며, 필자는 이를 전제로 하여 무대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영상의 활용은 내용과 물리적 환경 두 가지 역할에서 모두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는 구성 요소로 작용하였다. 시각적 환영으로써의 영상은 주제 표현의 메시지이며, 기계로서의 영상 매체는 사용 환경을 위한 물리적 요건들이 공간 구성과 장치의 형태와 제작 사항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하는 물리적 요건이다. 이러한 조건들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고 정리해 나가는 디자인 과정을 진행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공연을 통해 드러난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본 논문은 디자인 과정의 논리적 감성적 진행 과정에 대한 사례 기록일 뿐 아니라, 공연을 통한 결과물에 대한 디자인 분석이 더해짐으로써 완결된 작업 결과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자인 과정의 연구 : : 뮤지컬「드라큘라」를 중심으로

        이지선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Systematic Stage Costume Design Process — Focusing on the Musical「Dracula」— Lee, Ji-seon Major in Stage Costume Design Department of Scenography & Produc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 Art, Sangmyung University In the spotlight of the 21st century, Performing-arts as part of the cultural-contents industry are in the stage of endless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atrical musicals that appeal more to the vast public and are in vigorous communication with its audience have been in the regular interest in Korea, starting from the early 21st century. Popular large-scale imported hit musicals has raised the level of expectation of the general audience and more importantly, the producers and investors, so that the designer is judged by not only the quality of finished work but also the system in which the work has been produced, resulting in the need for high-quality products and a matching production system. This thesis will show how major concepts are derived from thorough analysis of a theatrical musical piece, leading to development of design and stages thereafter. This study will also focus its significance on the systematic costume design process and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 For this study, review of general concepts in theatrical musicals and basic theories in costumes is essential. In addition, several years of experience in the costume design and production field was utilized to finally establish research of the costume design process associated with「Dracula」the musical.「Dracula」was selected because it portrays basic human desires and essential human problems that coincide with the popularity of theatrical musicals through its acceptance by a world-wide audience, transcending it from any specific locality. To identify the design process, the first step is to research the Irish novelist Bram Stocker (1847~1912)'s novel with the same title, for which the musical「Dracula」is based up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 novel was written and several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Dracula needed to be reorganized. Furthermore, basic items such as the Costume Plot, Costume List and other basic articles based on each scene from「Dracula」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main concept i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itial concept, initial image, and basic research. This main concept is the basis for each character analysis and specific design decisions are made at this stag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haracter is explained and color concepts of each scene are also identifi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stages involved in forming the final design. Stage costume design is an independent field with areas of design and production, where each costume is specifically tailored to an actor playing a specific part in a specific performance. As performing arts develops, the importance of stage costumes is also becoming more significant and concurrently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producing more and more professionals that study and train in the field of costume design.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professionals in these competitive times, an effective design presentation with the added self-public relations skills will surface as the deciding factors. Bold concept selection and confident desig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will establish confidence in designers and this in turn will become a cornerstone for stage costume designers' overall significance.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the manifest a systematic stage costume design process, and also wish that both handworks and computer graphics will be gradually cooperated to this field, so there will be many reasonable and effective ways because of taking merits from these two methods. 국 문 요 약 체계적인 무대의상 디자인 과정의 연구 — 뮤지컬「드라큘라」를 중심으로 — 21세기에 각광받고 있는 문화콘텐츠 사업의 일환인 공연예술은 이미 무한 발전궤도에 들어선지 오래이며 특히 관객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대중 친화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는 뮤지컬은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반 이후 본격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외 유명 뮤지컬들의 대량 유입으로 대중의 눈높이는 물론 제작사와 투자사들의 눈높이까지 단번에 높아진 현 시점에서 결과물의 완성도 못지않은 작업과정의 체계성 또한 디자이너에 대한 주요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뮤지컬 의상 디자이너에게는 최종 디자인되어진 결과물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작업 과정에서의 체계성 또한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철저한 작품분석을 기반으로 한 주요 컨셉의 도출과 그에 따른 단계적인 디자인의 전개과정을 실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뮤지컬의 개념 및 뮤지컬 의상의 특징 등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고, 다수의 뮤지컬에서의 실무경험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과 제작 및 공연진행 등 전반적인 뮤지컬 의상의 작업과정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첨가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뮤지컬 작품「드라큘라」를 소재로 한 무대의상 디자인 과정의 실증적 연구가 실행되어졌다. 장르를 대중적인 ‘뮤지컬’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이에 어울리는 작품으로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와 기본적인 욕망들을 소재로 하여 특정지역을 초월하여 전 세계적으로 공감을 얻고 있는「드라큘라」를 선정하였다. 디자인 과정을 위하여서는 일차적으로 뮤지컬「드라큘라」가 그 바탕을 두고 있는 아일랜드의 소설가 브램 스토커(Bram Stocker: 1847~1912)의 동명소설「드라큘라」에 대한 문헌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에 따라 소설이 쓰여진 당시의 시대상과 드라큘라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들을 정리해보았다. 더불어 뮤지컬「드라큘라」의 대본을 바탕으로 각 장면 구성 및 의상 계획과 의상 목록 등 의상디자인의 토대가 되는 기본적인 사항들의 정리가 이어졌다. 컨셉의 정립을 위한 발상의 발단 및 초기이미지 그리고 기본적인 리서치 등의 전개를 바탕으로 작품의 주제 및 주요 컨셉을 확정지었고 그 컨셉에 따라 각 인물의 분석이 완료되고 세부디자인 사항들이 결정되었다. 각 인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 각 장 별 컬러 컨셉 및 스케치 과정 등이 첨가되어 최종 디자인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무대의상은 특정한 공연의 배우들만을 위하여 디자인 및 제작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 독립된 전문 분야이다. 공연예술이 발달함에 따라 무대의상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고 이에 따라 해마다 각국의 대학 및 기타 교육기관에서 무대의상을 전공한 전문 인력들의 배출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전문 인력들 탓에 디자이너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무대의상의 세계에서는 효과적인 디자인 PT (presentation)와 자기 P.R.이 강력한 무기로 작용할 것이다. 확고한 컨셉 정립 및 체계적 분석 과정에 의한 자신감 있는 디자인 제시는 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무대의상 디자이너들의 위상을 높여주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의 논문이 체계적인 무대의상디자인 과정의 시현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무대의상디자인 분야의 작업에도 점차적으로 수작업과 CG 프로그램의 사용이 적절히 병행되어 각각의 장점만을 살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기호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무대디자인 연구 : [페드르]의 무대 디자인 사례 중심으로

        정지안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와 예술은 근대적 산업사회와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하는 21세기를 앞둔 현재의 인간생활에서 가장 중심적인 화두 중 하나이다. 예술에 대한 논의에 있어 예술작품의 감상은 예술작품과 감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예술작품은 표현의 매체와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이 합일되어 존재하는 실체라는 점에서 예술작품을 기호로, 예술작품의 창조와 감상을 기호작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의 기호학적 입장을 취하여, 연극의 상연에 있어 환경디자인의 영역인 무대공간의 디자인 과정을 기호학적 분석과 적용, 이를 통한 구체적 형상화의 과정으로 체계화하여 무대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연구는 연극이라는 예술작품을 수많은 기호들의 복잡한 망들로 이루어진 단일한 텍스트라고 보고, 무대공간은 그 수많은 기호들이 이루는 체계들 중 하나로 파악한다. 그래서 무대공간 기호의 창조를 여러 분야의 다른 기호들과 함께 하나의 종합적 기호체계인 단일의 예술작품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정, 연극의 창작 과정에 참여하는 여러 가지 분야가 일관된 시각과 방법으로 일련의 창작과정을 밟아나가고, 연극 창조 집단이 발신한 기호와 궁극적으로 관객이 수신한 기호양자의 기의, 즉 생산된 의미와 해석된 의미를 가능한 한 일치시켜, 연극이라는 예술작품과 그것을 감상하는 관객 사이의 가능한 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것이다.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성립과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 연극 예술에서의 무대 디자인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 먼저 기호학의 개요를 살피고, 다음으로 공간기호이면서 연극기호이기도 한 무대공간 기호의 이해를 위해 공간기호학과 연극기호학, 그리고 나름대로의 특성을 갖고 있는 연극공간의 기호학을 고찰하고 정리하여, 무대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방법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 기호학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연극의 창조와 감상까지의 전과정을 적용, 전 상연 기호 창조 작업의 영역과 위상을 규정하고, 2). 희곡텍스트에의 기호학적 분석과 상연텍스트에의 기호학적 적용을 주축으로 전체 상연 기호의 방향과 윤곽을 설정한 후, 3). 텍스트 구성의 계열체와 통합체의 이론을 연극공간에 적요, 공간의 계열체적 구조를 도출, 무대공간과 물리적 요소들의 구조와 형태를 결정하고 통합체적 조합을 통해 기본적 무대공간의 전체 형태를 형상화한다. 4). ‘공간기호’라 할 수 있는 장소성을 가지는 무대공간의 형상이 드러나면, 시간성을 가지고 상연되는 ‘연극기호’로서의 무대의 변화 양상을 형상화한다. 3. 실제 희곡작품의 상연을 가정, 위의 과정을 적용하여 무대디자인을 실행, 무대공간의 형태를 이끌어냄으로써 위 방법론이 실제 무대디자인 방법으로 성립할 수 있음을 보았다. 대상 작품은 프랑스 신고전주의 작품인 라신의 [페드르]이며,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하여 한 여인의 내적 갈등으로 빚어지는 운명적 비극이다. 이 비극의 공간을 ‘밝음의 공간’과 ‘어둠의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빛과 그림자를 각 공간의 대립하는 힘으로 표현, 양자의 갈등과 대결을 변화 의 줄기로 삼았다. 이러한 설정은 정념/이성, 패륜/도덕, 불결/순수, 신/인간, 운명/의지 등 작품의 중심적 의미를 이루는 모든 갈등과 그 갈등이 이끌어가는 비극의 진행을 담는 기호로 작용한다. 4. 실제 극장의 무대에 도출된 무대 공간 기호를 적용, 설계하고 3차원 모형을 만들어 봄으로써 기호학적 무대디자인 과정을 통한 무대공간의 구축이 연극 상연의 모든 기호들을 담고 함께 움직이는 상연의 장으로서의 무대가 됨을 검증하였다. 대상 극장은 예술의 전당 내의 토월극장으로 규모가 크고 움직이는 보조무대가 있어 앞서 도출된 무대공간 기호들 중 빛과 그림자를 적극적으로 사용, 넓은 공간에서의 밝음의 공간과 어둠의 공간의 대결을 극대화하고, 보조무대를 사용하여 어둠의 공간부분을 전진하게 함으로써 어둠의 공간이 밝음의 공간을 잠식해감을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무대공간 기호를 대항 무대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 탄력적이고 유동적이며 무대의 상황에 따른 대처 가능성이 풍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극을 총체적 기호체계인 텍스트로 파악하고 연극의 전 창조과정에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무대디자인의 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여러 가지 타분야와 함께 하나의 연극작품을 창조하는 데에 있어 무대디자인의 영역과 그 과정을 명확히 하여,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무대디자인 방법이 연극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무대디자인 방법은 객석과 무대에서 관객과 작품이 상호간에 메시지를 공유하는 성공적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높여주어 연극 예술의 본질적 기대를 더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을 것이며, 인간과 구축환경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환경디자인의 본질적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Culture and art the most essential topics in present human life confronting the 21st century and proclaiming a complete separation from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Since an art can be understood up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reciator and the work, and a work is an entity of unity of which contents is delivered through expressional media and this media, we can see a work of art as a 'sign' and creation, appreciation of an art as 'semiosis(an action of the sign)'. This study, on this semiotic ground, is to present certain semiotic methodology of stage design through systematization of the stage designing process such as semiotic analysis, application, and final concrete formatization. As for the methodological ground, the author considered a work art, i.e. a play, as a sole text consisting of intricate nets of infinite signs. Therefore, setting up the creation of stage signs as a component of one unified artistic system, i.e. a work of art, with other signs in other fields of performance, the author tried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creative process of a play as a fine art and stage design as on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and ultimately to go toward a consistent process of creation. This was to coincide with projected signs by creating groups with accepted signs by the audience, that is, produced meanings and interpreted meanings, to establish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an art, a play, and its appreciator, the spectator. To establish and review proper signical methodologies of stage design,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as follows: 1. The essential role of stage design in the theatrical art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necessity of semiotic stage design has been presented. 2. To see the outline of semiotics first and then to understand stage signs which are space signs as well as theatrical one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arranged each characteristic semiotics of space, semiotics of drama and performance, and semiotic in theatrical space to establish and present a proper semiotic approach to stage design. 1) Fir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miotic communication models to the whole process of play from creation to appreciation; definition of the range and level of the whole creating work of signs of performance. 2)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and outline of the total signs of performance sighs based on the semiotic analysis of drama texts and semiotic application of them to performance texts: 3) Application of paradigm, syntagm theories on the text structure to the theatrical space, extraction of the paradigm structure of space,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tage space and physical elements and finally formatization of the whole basic stage space through syntagm combination: 4) When the shapes of the stage space which has certain spatiality that can be called as "a spatial sign" are reveale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stage as "a theatrical sign" which has time character should be formatized. 3. Supposing an actual peice was to be performed, the author applied all of those processes to stage design to realize approaches mentioned above can be proper stage design methods through creating actual shapes of stage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classic French work, [Phedre], by Racine, a tragedy that depicts a woman's inner conflicts on ancient Greek background. This tragic space was divided into the contrst of bright and dark, through light and shadow by the author of this study to express the contrasting power of light and darkness since it was proper to reveal the basic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his setting acts as signs developing between conflicts of passion and reason, immorality and morality, impurity and purity, god and man, fate and will, and the tragic progression of the story which is progressed by the conflicts. 4. By applying stage signs which have appeared on a real theatre, drafting and making three-dimensional models, the author has proved that building up a stage space through semiotic stage design can contain every sign of theatrical performance and can be a performing place moving with those signs. As for the theatre, Towol Theatre was used. Since its scale is big and it has an extra mobile stage that contrasts between light and shadow this should be effectively maximized and with extra stage the space of darkness progressed into the area of brightness to represent the gradual invasion of dark upon light. Thus, stage space signs can be applied elastically, flexibly, to the actual stage, and their adaptability with different situations of actual stage is great.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realized that in designing the stage of the drama, semiotic approaches to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 drama and performance can overcome disparity between each of the components of a drama as well as the gap between approaches to fine art and those creative processes of design. They also make stage space play a proper role in a dramatic performance as a composite art to contribute a heightened level of that work. When semiotic approaches to stage design are studied, systematized and put to practical use further,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artist and spectators to share certain messages together could be expanded in a broad sense to meet more effectively the essential demands of creative work of the theatrical performance.

      • 기호학적 관점에 기초한 무대디자인 상징성 표현 연구

        문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극은 단순히 하나의 예술장르가 아닌, 문화의 중요한 매체이다. 문화적 에너지를 담아 전 달하며 공유하고 재창조하는 매체로서의 연극은, 그 범위가 확대되고 문화적 매체로 그 역 할과 기능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대중매체가 지배하고 있는 산업사회에서 연극의 현장성은 대량 커뮤니케이션에 비견하여 그 가치가 점차 하락했지만, 다양한 공동체적 관계가 확대되리라 예상되는 정보화 사회에서 는 그 현장성이 중요한 문화적 형태로 새롭게 부상할 것이다. 문화와 예술은 근대적 산업사회와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하는 21세기 인간생활에서의 가장 중심적인 화두 중 하나이다. 예술 논의에 있어 예술작품의 감상은 예술작품과 감상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다. 또한 예술작품은 표현의 매체와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이 합일되어 존재하는 실체라는 점에서 예술작품을 기호로, 예술작품의 창조와 감상을 기호작용으로 파 악 할 수 있다. 그러나 기호가 가지는 의미만으로는 그 기호에 궁극적으로 다다를 수 없다 고 여겨지는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호들을 '상징'이라 한다. 상징은 의미를 지 시하면서 동시에 개념전달을 위한 도구로서의 개념이며 사유와 존재 사이의 거리를 메워 주 는 도구가 된다. 본 연구는 연극의 상연에 있어서 환경디자인의 영역인 무대공간의 디자인 과정을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상징성 표현을 적용, 이를 통한 구체적 형상화의 과정으로 체계화하여 기호학적 관점에 기초한 상징적 무대 디자인 표현을 위한 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호학적 관점에 기초한 상징적 표현의 방법론에 성립과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과 정으로 진행되 었다. 1. 먼저 상징의 개요를 살피고, 공간기호이면서 무대공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극기호학 을 고찰 정리한 이후, 상징성을 기호학으로 해석하여 무대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접 근 방법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2. 연극 예술에서의 무대디자인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상 징성 표현의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호학적 관점에 기초한 상징적 표현의 무대디자인 방법론은 다음 과 같이 제시된다. 1)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한다. 2) 모든 기호들이 참여하여 극장 안에서 완성시키는 연극적 의미작용을 의미의 계열 체와 연극의 의미구조 두 항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3) 희곡텍스트의 기호학적 연구분석과 상징성 표현을 극 오브제의 수사학에 대해 분 석한 후 코드의 선택과 그 코드의 조합에 따른 은유적 형태 도출한다. 4) 이를 시간성을 가지고 상연되는 '연극 기호'로서 무대 변화 양상을 형상화한다. 3. 대상작품은 안톤 체홉의 <갈매기>로 실제 희곡작품의 상연을 가정하였다. 위의 과정 을 적용하여 무대디자인을 실행, 무대공간의 형태를 이끌어냄으로써 위 디자인 과정이 실제 무대디자인 방법으로 성립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실제 극장의 무대에, 기호학에 기초한 상징적 표현을 적용, 설계하고 3차윈영상을 만들 어 봄으로써 기호학적 관점에 기초한 상징적 무대디자인 표현과정의 무대공간이 연극 상연시 특별한 종류의 기호로서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 함께 작용하는 상연의 장으 로서의 무대가 됨을 검증하였다. 대상극장은 예술의 전당내의 토월극장으로 규모가 크고 움직이는 보조 무대가 있어 출발과 귀환의 상징적 표현에 적극 활용, 넓은 공간에서 밝음의 공간과 어둠의 공간의 대결을 극대 화하고 보조무대를 사용하여 어둠의 공간 부분을 전진하게 함으로써 출발과 귀환의 상징적 의미를 보여주었다. A Play is not only a genre of an art but it is also a signijicant medium of culture. By looking into a play as a medium oJ commurucation, possession, and recreation of cultural energy, it broadens the realm of a play and its role and function as the cultural medium become more and more critical. The crisis of a play actually means the crisis of the concept of illiberal and limited play, and traditional practice is 3ounded on this concept. The latest distinctive quality of a play is the ambience that both performers and the audience can participate in the play. Creators rejorm the ambience to performance nature and the audience understands it as movement. The value of the ambience of a play in industrial society donunated by mass media has fallen, but today'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xpects various communal relations to be extended and consequently the ambience will rise up as an important cultural patten. Culture and art is one of the key subject of discussion in our lives in 21 century,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oden industrial society. In discussing art, appreciation of art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works of art and observers. Also,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works of art are understood as Semiotic process in that the works of art are media of expressions and messages conveyed through the media exist in one. However, there are things that cannot be reached to the final end to the Semiotics only with the Semiotic process, and they are Symbolics. Symbols direct the meanings,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tools for conveying concepts and bridging a gap between reason and exist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esign process of theatrical stage design applied with Symbolic expressions through the Semiotic perspective. The research has gone on by the follornng procedures to formulate and verify the thesis of the research. 1. Examining the outline of symbolics, studying theatrical symbolics to help understand the space as a stage and symbols, interpreting the symbolics of the theatrical stage design in Semiotic terms and systemizing the Semiotic approach. 2. Presenting essential qualities of stage design in theatrical art and a need 3or methodology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n Semiotic perspective.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e research is as follows. i. Understanding the work presented in the research in all its aspects. ii.Examining the theatrical connotative effects respectively into the system of the mean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the play iii. Analysing the playscript in semiotic analysis, studying the symbolic expressions of the play, and drawing the metaphorical form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elected codes. iv. Giving the shape to the aspect of the stage as a 'play semiotics' showirlg with the nature of time. 3. See Mew written by Antoine Chehop has been chosen as a subject of study. Procedures explained above has been applied to this play to verijy the suggested methodology of the study by executing the stage design process and deriving the 3orm of the stage from the design process. 4. In the actual stage as a prforming place, symbolic expressions based on Semiotics has been applied, designed, and verijied that the stage is a place 3or communicating the special kind of symbols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semiotic stage design by creating the 3D images. A theater to be an example is Towol theater in Sanctuary of the Fine Arts and there is a large and movable auxiliary stage, which helps express the symbolics of departure and returrl, and maximize the contrast between the areas of brightness and darkness.

      • 은유와 환유, 두 가지 무대디자인 표현기법 연구 : 가오싱젠 <버스정류장>의 무대디자인을 중심으로

        ZHANG HU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history of European stage art, the design approach-setting up the scenes in plays by simple imitation lasts hundreds of years. For hundreds of years, people only know how to truly depict the settings but do not know how to express the hiden thoughts and the inner working of characters in plays through stage setting. At the end of 19th century,beginning from the Swiss stage artist Adolphe Appia, people advocate that stage setting has the power of arousing the emotions in plays, and not just singuarly depict the scenes in plays. From then on,stage settings frequently appear on stages in a metaphorical way. The early 1980s is exactly the period in which China started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82, the appearance of Gao Xingjian’ work <Bus Station> aroused a heat discussion among the public, this drama gets rid of the mode of traditional dramas, it makes a change in performance mode of drama with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perfectly presenting a series of drama concepts of Gao Xingjia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paper, it makes an analysis for two stage expressions, namely metaphor and metonymy. In 1-1,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tage art in dramas; in1-2,it analizes the textual and aesthetic meaning of metaphor and metonymy, and explains how to design stage with metaphorand metonymy by giving exmples of stage designs in other plays. In chapter two, it m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reator Gao Xingjian and his work <Bus Station>. In 2-1, it is the background introduction of Gao Xingjian and his creation <Bus Station>. In 2-2,it expounds Gao Xingjian’s views of drama like “dramatic action”, “theatricality”, “presumption”, “multi-voice” and “dramatic conflict by giving priority to the combination of the script content and performing forms of <Bus Station> and supplementing with other works. From 2-3 to 2-5, there is the introduction of the synopsis of <Bus Station>, and the analysis of time, space, and the eight characters in the play. In 2-6,it mainly enumerates the performing situation of <Bus Station> in Republic of Korea,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makes an analysis of stage designs of these opening performances. The third chapter is mainly about my preparation for designing the stage of <Bus Station>, and it expounds the space analysis of “soul” in opening performing and demonstrates the scenes appearing in plays and the image research results of setting materials. In chapter four, it formally makes an exposition of the stage design of <Bus Station> performed in Sejong University. The contents from 4-1 to 4-3 are about the design process and design concept from first draft to the final draft. In 4-4,it shows the constructiuon drawing of stage design, 3D-effect drawing, the process of stage installation and pictures of opening performance. And the contents in 4-5 are views of the stage design of <Bus Station> from the actors and the backroom staff. Lastly, in the conclusion, it firstly makes an exposition of the reasons why Gao Xingjian, a representative of “Pioneer Drama” in 1980s was not accepted widely at home, next it expounds how metaphorand metonymy are embodied in details of stage setting in the stage design of <Bus Station>, and what meaning the metaphor and metonymy put in the design. Additionally, after the exposition ofmetaphor and metonymy and the study for Gao Jainxing, review the stage of <Bus Station> once designed by myself, and reflect if there are any different and better thoughts. In conclusion, taking the metaphor and metonymy and Gao Jianxing’s drama views as breakthough points, this paper makes an exposition of the stage design of <Bus Station>. 유럽의 무대미술의 발전역사는 주로 극중에 등장하는 지점에 대한 단순한 묘사의 디자인 방식을 수백년 동안 유지해 왔다. 그동안 사람들은 단지 장소에 대한 진실한 묘사에만 치중해왔을 뿐 무대세트를 통하여 연극에 숨겨진 사상과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방법은 몰랐다. 19세기말기에 이르러 스위스의 무대미술가인 아피아를 시작으로 사람들은 무대세트를 통해서도 연극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힘에 대하여 제창하기 시작하였으며, 단순히 극중의 장소만을 묘사하는 데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렇게 무대세트 는 은유의 방식으로 빈번하게 무대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20세기 80년대 초기, 중국은 문화대혁명을 거친 후 경제와 문화의 변혁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982년에 가오싱젠(高行健)의 작품 <버스정류장 車站>이 등장하면서 사회의 열렬한 토론을 일으켰고 이 연극은 전통 연극의 방식에서 벗어나 '인성'에 대한 탐구로 연극의 표현방식을 개혁시켰으며, 가오싱젠의 일련의 연극관을 완벽하게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제1장은 우선 은유와 환유라는 두 가지 무대디자인 표현방법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1-1에서는 무대미술의 중요성에 대해 논술하였고 1-2에서는 환유와 은유의 문자성, 미학적 의미, 그리고 사례를 들어 기타 연극 작품의 무대디자인에서는 어떻게 환유와 은유의 방식으로 무대디자인을 진행하였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가오싱젠과 그의 작품 <버스정류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2-1에서는 가오싱젠과 작품<버스정류장>의 배경에 대해 서술하였고, 2-2에서는 <버스정류장>의 대본 내용과 연출형식과 함께 가오싱젠의 '연극동작(動作)', '극장성(劇場性)'. '가정성(假定性)', '다성부(多聲部)', '연극충돌(衝突)'등 연극관과 가오싱젠의 무대미술에 대한 생각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2-3으로부터 2-5까지 <버스정류장>의 이야기 줄거리에 대해 다루었으며, <버스정류장>의 극중 시공간 등장인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2-6에서는 <버스정류장>의 한국, 중국 및 기타 국가에서의 공연상황을 열거하였고 이 공연들의 무대디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연구자가 <버스정류장> 무대디자인을 준비하기 전 사전 작업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공연 극장'혼'의 공간 분석과 대본 중에 등장하는 장소와 무대세트 재질에 대한 이미지 리서치 결과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세종대학교에서 공연한 <버스정류장> 무대디자인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4-1로부터 4-3까지 디자인 초안으로부터 최종안에 대한 디자인과정과 디자인 켄셉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4-4에서는 무대디자인의 제작도, 3d 효과도, 무대제작과정 및 공연사진을 열거하였다. 4-5의 내용은 공연에 참여한 배우와 스탭들이 <버스정류장> 무대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담았다. 결론 부분에서는 우선 중국의 20세기 80년대 '선봉연극(先鋒戲劇)'의 대표인물인 가오싱젠이 중국 국내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지 못한 이유를 논술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버스정류장> 무대디자인에서 은유와 환유가 무대세트의 각 부분에서 어떻게 표현되었으며, 어떤 의미를 담았는지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또한 은유와 환유, 그리고 가오싱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본연구자가 직접 디자인한 <버스정류장> 무대와 어떤 차이가 존재하며,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문은 은유와 환유, 그리고 가오싱젠의 연극관이라는 두 접점을 시작으로 <버스정류장> 무대디자인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