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게임 몰입과 게임 중독의 차이 :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문제 중심으로

        김인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임중독과 게임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들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소재 대학교 학부생 402명을 대상으로 게임몰입, 게임중독,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문제 변인을 측정하였다.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이 독립적인 개념임을 확인하기 위해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군집이 나눠지는지 확인한 후, 각 집단들 사이에서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게임몰입과 게임이 아닌 다른 활동에서의 몰입을 비교하기 위해 플로우 성향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게임몰입 집단과 일반몰입 집단 사이에서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군집이 나누어졌으며(‘저몰입-저중독’, ‘저몰입-고중독’, ‘고몰입-저중독’, ‘고몰입-고중독’), 각 군집들 사이에서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몰입이 높은 집단들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서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반몰입과 게임몰입 집단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game flow and gam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e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influence to game flow and game addiction. This study examined game flow, gamd addiction, self-efficacy, life-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To investigate game flow and game addicion is separate concepts, this study practiced cluster analysis and MANOVA. By this analysis, check that we can divide cluster and examined self-efficacy, life-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each clusters. At last, to compare game flow with another flow, this study examined flow scale, and main facotrs between game flow cluster and another flow cluster. The study result suggest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low flow-low addiction', 'low flow-high addcition', 'high flow-low addcition', 'high flow-high addiction'). And four groups significantly differ on self-efficacy, life-satisfaction, interpersonal problems. Also, high flow groups are more positive than another groups among self-efficacy, life-satasfi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nother flow cluster and game flow cluster.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 몰입과 조직몰입의 선행요인과 역할 외 행동에 관한 연구

        김영용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sp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m commitment. In a model proposed for this study, trust, perceived group cohesiven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used as antecedents to both commitments whil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role behavior were used as consequences for them.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All items proved to have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used for the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LISREL 8.30. Out of 15 hypotheses 9 hypotheses were proved as expected. Particula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eam commitment, rather tha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roved to have a major role in the model fitting processes. Thus, in-depth analysis and discussion about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 중견기업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김연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견기업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 다양한 산업군에 속한 중견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Moa form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독립변인인 자기효능감 24문항, 종속변인인 정서적 몰입 8문항, 매개변인인 자기주도학습 21개 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 8문항, 총 6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2022년 5월 9일부터 2022년 5월 13일까지 총 5일에 걸쳐 온라인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351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한 설문 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총 349명의 유효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조사 자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에 활용된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 값을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측정된 주요변인들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자기효능감, 정서적 몰입, 자기주도학습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넷째, 독립변인인 자기효능감, 매개변인인 자기주도학습이 종속변인인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섯째, 관계지향 문화와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와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이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자율성의 하위요인인 업무계획 자율성, 업무방식 자율성, 의사결정 자율성 모두 관계지향 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정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Youth Center Direct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ung Hee Park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Min Kim Activation of youth activity is important for accomplishing joint target and creating efficient output of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find the way for the youth worker who is the major party of Youth Center organization to improve the attitude of securing the meaning of self-existence and promoting the motivation in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that is, organizational commitment.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treated important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fficient outcome of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treated as such because most of the affairs of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are handled by the youth worker. This study was focused on grasping the antecedents of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e of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creation of the efficient outcome of the organization.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report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organization and the scholars. This study, however, was aimed at exploring mutual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by establish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justice, and leader trust that are the variables frequently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assuming that individual competent ability would be sufficiently exerted and the outcome of organization would be created when the youth worker is absorbed in the organization by recognizing the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positively and perceiving the justice of Youth Center organization, the researcher intends to analyze influential relation of the leadership of Youth Center Director and organization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verify mediating role of leader trust in the process that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by explore the variables having positive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youth worker’s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357 youth workers with 72 Youth Centers among 175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alpha) and feasibility (factor analysi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asuring tools using SPSS 20.0 program. Hypothesis was tested using AMOS 18.0 program. In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research hypothesis testing; First,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perceived by youth worker appeared not to directly influence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howed the result contrary to that of the previous study that leadership influences on the organization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shown in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eature of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and the type of leadership as well as the type of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influencing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of Youth Center perceived by youth worker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actional justice (out of subcategories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appear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verified through this result that interac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about the Youth Center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youth worker’s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leader trust appeare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at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verified through this result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trust between Youth Center Director and youth worker to improve the youth worker’s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 the major measurement variables in this study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ership, organizational justice, leader trust, etc. are those normally used in discussion and verification for the workers with commercial organization. That is, these variables have been studi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profit by further motivating the workers and maximizing the productivity. Accordingly many restrictions exist in apply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developed in such background to non-profit organization, that is,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as it is.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as the study making attempt to explore the antecedents influencing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the antecedents of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youth facility organization. Second, the level of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appeared not to directly influence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result verified only the entire level of leadership of Youth Center Director based on the competing value models, but it couldn’t identify which kind of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would lead to the most improved level of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handle what kind of leadership model among the competing value models of leadership may have most positive influence on the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youth worker’s purity of motivation can be higher and more value-oriented compared with that of the workers with a commercial enterprise. That is, because their levels of purity and value-orientedness are high, they are more sensitive to th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reatment, and such sensitivity is connected to injury, which finally can be the factor disturbing them to be devoted to into the deployment of activity for the organizational mi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human resource of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thought to be ‘organizational justice’. That is,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youth worker in the Youth Center organization might have substantial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other type of organization. Especially, as expectation of transparent and responsible organization is relatively high in case of Youth Center organization, the justice in terms of operation, especially the matter of justice related with employee management is thought to be still a great task to be developed. Accordingly, th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handle how to improv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on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Fourth, when the confidence level of leader perceived by youth worker increase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f the Youth Center Director and the justice of procedure/distribution of the Youth Center perceived by youth worker on youth worker’s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increase further. As shown from such result, when a high level of confidence is formed between the Youth Center Director and youth worker, youth worker’s level of perception on the leadership of Youth Center Direct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may improve, and furthermor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enhanced. Therefore, the it is required for further study to focus on which factors, especially out of leader trust by diversifying the leader trust items,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국문초록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 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년 박 정 희 청소년수련관 조직의 공동 목표 달성 및 효율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서 청소년 활동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수련관 조직의 주요 당사자인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수련관 조직에 자신의 존재 의미를 확보하고, 동기를 촉진하는 태도 즉, 조직에 대한 몰입도를 향상 하는 방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청소년수련관은 대부분의 업무 수행을 청소년지도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 선행요인을 찾기 위해 조직몰입 선행변수관련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변수 인 리더십, 조직공정성, 리더신뢰를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선행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면 조직에 몰입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조직의 성과가 창출될 것이라는 첫 번째 가정과,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수련관 조직이 공정하다고 지각하여 조직에 몰입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조직의 성과가 창출될 것이라는 두 번째 가정 그리고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과 조직공정성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이 리더신뢰를 통해 조직에 몰입한다는 세 번째 가정하에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 및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175개 청소년수련관 가운데 총 72개의 청소년수련관에서 근무중인 청소년지도자 총 357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측정도구의 신뢰성(Cronbach's alpha)과 타당성(factor analysis)을 분석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 특성과 리더십 유형을 밝히는 연구필요하며, 더불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 유형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수련관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이 청소년지고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공정성 하위영역 중 상호작용공정성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상호작용공정성 지각의 중요함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수련관장과 청소년지도자 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함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측정변수인 조직몰입, 리더십, 조직공정성, 리더신뢰 등은 주로 영리조직의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검증하는데 사용된 변수들이다. 즉 이 변수들은 근로자들을 더욱 동기화시키고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이윤창출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에서 발전하게 된 위 변수들의 이론적 개념을 비영리기관, 즉 청소년수련관 조직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많은 제한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고자 시도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추후적으로는 청소년시설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 수준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는 경쟁가치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수련관장의 전체적인 리더십 수준을 검증하였을 뿐 청소년수련관장이 어떠한 리더십을 보일 때 청소년수련관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 수준이 가장 향상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경쟁가치모형의 리더십 모형 가운데 어떠한 리더십 모형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몰입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동기적 순수성은 영리기업의 근로자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높고 보다 가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순수성과 가치지향성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기에, 이들은 조직의 행태와 처사에 보다 민감하고 그러한 민감성은 상처로 이어지고, 결국 조직에 의한 상처는 조직의 미션을 위한 활동전개에 있어서 몰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청소년수련관 조직의 인적자원의 속성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조직관리 과제의 하나가 바로 조직공정성이라고 생각된다. 즉 청소년수련관 조직에서 청소년지도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갖는 효과는 다른 형태의 조직에 비해서 매우 큰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청소년수련관 조직에 대해서 투명하고 책임있는 조직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운영상의 공정성 특히, 직원관리와 관련된 공정성의 문제는 여전히 커다란 개발 과제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하는 리더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아질 때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하는 청소년수련관장의 리더십과 청소년수련관의 절차?분배공정성이 청소년지도자의 조직 몰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청소년수련관장과 청소년지도자 사이에 신뢰 수준이 높게 형성될 때 청소년지도자가 청소년수련관장에 대한 리더십과 조직공정성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더불어 조직몰입 수준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리더신뢰 항목을 보다 다양화하여 리더신뢰 가운데 특히 어떠한 요인이 리더십 및 조직공정성과 조직 몰입간의 관계에 강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규명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유아 스마트폰몰입 측정도구 개발 : 부모보고형

        변미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Csikszentmihalyi (1975, 1990, 1999, 2003, 2014)의 몰입(flow)의 개념에 기초하여 유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경험하는 몰입 현상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를 확보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몰입의 연구와 몰입의 측정도구를 검토하여 이론적 구성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현장 확인 단계를 거쳐 32문항을 제작하였다. 전문가타당도와 안면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28문항으로 정돈되었고, 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20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부모보고형 유아 스마트폰몰입 측정도구는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과정을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36개월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스마트폰몰입 측정도구와 영유아 스마트폰과의존 측정도구와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Based on the Csikszentmihalyi’s concept of flow, we developed a new scale to measure the flow phenomenon in toddlers when they use smartph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real world. The theoretical components were evaluated from reviewing bot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in terms of Flow State Scale. At first, 32 questions were screened from field verification stag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nd 28 questions were chosen by expert feasibility and content analysi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cess, the final 20 questions were selected by combining technical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ert feasibility. We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our parents-reported toddler’s smartphone flow state scale.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smartphone flow state scale and the infant and toddler’s smartphone dependence measurement tool was reviewed for parents of 36-month-old infants. The value of Cronbach's α of the toddler’s smartphone flow state scale was .95 and each factor was verified as .79 to .92, The explanatory power was 72.21%. The test - retest reliability was found to be stable with the Intra Class Correlation (ICC) coefficient of .78 (p <.001). Our toddler’s smartphone flow state scale helps to measure how toddlers feel the flow phenomenon when using smartphones. As the excessive flow of smartphone inevitably leads to smartphone dependence, measuring the toddler’s smartphone immersion will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interventions that prevent side effects from smartphone dependence.

      •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와 공공봉사동기(PSM)가 공무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송윤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직사회에서 공무원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 조직성과, 인재 유지, 이직 의도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공직사회 내에서 공무원의 사기와 조직 내 인재유지를 위해 여러 조직 차원의 노력들이 진행되어왔다. 예를 들어, 연금과 같은 후생복지제도, 교육훈련 등과 같은 조직의 지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조직의 지원이 있음에도 공무원의 퇴직자 수는 서울시 공무원 기준으로 지난 2013년부터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동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고 조직몰입 중 공무원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정서적 몰입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조직몰입은 조직에 대해 구성원들이 느끼는 심리적 애착감인 정서적 몰입을 의미한다. 조직몰입에 대해 동기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어떤 변수가 조직몰입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보고자 한다. 외재적 요인으로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승진, 보수를 설정하고, 내재적 요인으로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와 직무만족을 구성하였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와 공공봉사동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승진, 보수, 직무만족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포함하여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무원을 대상으로 했을 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동기적 차원에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에 대한 변수를 제도 활용경험 여부와 만족도로 나누어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도의 활용여부 혹은 만족도만 살펴본 기존 선행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를 통해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좀 더 정확히 보고자 한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는 일, 가정, 성장, 여가 및 건강 지원제도 모두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조직몰입에 어떤 제도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된 「공직생활 실태조사」 2017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이 데이터는 46개의 중앙행정부처 및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된 일반직 공무원(연구·지도직을 제외한 행정·기술직을 대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된 것이다. 먼저 기술통계 결과, 성별 간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만족도와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중 육아휴직제도만이 성별 간 활용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회귀분석은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와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급)와 승진, 보수, 직무만족 변수를 통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용여부는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도 만족도에 대해서는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중 유연 및 탄력근무제도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요인으로 분류하여 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을 때 일-가정 양립제도와 성장 및 건강 지원제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공공봉사동기 또한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의 조직몰입에 대한 선행연구는 동기적 차원에서 접근한 연구가 적었고 세부적인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무원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그들의 욕구와 동기 부분을 파악하고 정서적 몰입에 초점을 둠으로써 구성원을 위해 좀 더 효과적인 제도적 및 정서적 지원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금융노동조합원의 노조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노조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성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actors influencing labor union participation of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set up 3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reason why the organizational rate of financial workers` labor union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labor unions? We want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financial workers` unions which are higher than that of other unions. Second, it was intended to confirm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labor union directly affect union participation without the effect of union immersion?’ or ‘Can't they affect union participation without the mediate effect of union immersion?’ Third, generally speak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immersion to the business organization they belong to. Theref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union particip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e wanted to confirm, 'Do union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with high organizational rates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related variables and union participation b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ase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sider the proposed research issues.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selecting cases of disputes and win-win cases of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For empirical analysis, union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amples. The measurement method was used by the survey method. After selecting variables that can analyze research theories, independent variables and union participation variables that can measure individual attitudes based 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impacts were select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union immersion and the control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case and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rate of the financial union was confirmed to be 70.85%. The figure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11 percent average of the labor union's organizational rate of other business organiz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reason why financial unions were able to have such an organizational rate was due to the systematic cause of joining the union when, right away, joining the company, awareness of union formation, union satisfaction, and pro-union attitude. Second, we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related independent variables and union participation in which the intention of union particip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union immersion.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union immersion had a significant mediate effect. However, the independence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 in the first stage, such as union satisfaction, pro-union attitude, and recognition of union formation, were all not significant in the third stage, indicating that there was a full match effect that the relationship with union immersion and union participation was not established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parameter. These results can be said that the greater the desire or willingness of union members, the more immersed they become in the union and the higher the union participation rate. In this regard, union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a research sample of this study, have high union immersion so that they also have a high rate of union organization. Third, we analyzed whether members of the labor un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with high organizational rates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related variables and union participation b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Man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s closely related to immersion in the business organization they belong to, so it is common opinion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union particip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verification shows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plays a role of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satisfaction and union participation. The result value indicat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β) was -.190,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This is inversely related to un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ich can be predicted to reduce the participation rate of labor unions if union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who are satisfied with the union are interested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f we analyze the impact like above on the reason why the labor union rate of financial institutions is high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members of the financial union tend to take an attitude for themselves rather than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financial institutions, or that the union's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ich means that union participation is higher. However, as the case analysis considered,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workers at financial institutions, except for some banks, are creating a harmonious atmospher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creat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so that the index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mong unionized workers at financial institutions is not low, and as previously analyzed, union satisfaction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satisfaction and union participation. In the end, what can be seen from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union memb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have mature civic awarenes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rational min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through such thinking, they also perform a desirable social function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for co-prosperity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were presented based on significant implications derived from case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본 연구는 금융기관 조합원들의 노조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연구를 위한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금융노조의 조직률이 기업별 노조에 비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 즉, 금융노조 구성원들의 노조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노조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조합관련 독립변수들은 노조몰입의 영향 없이도 직접 노조참여에 영향을 주는가?’, 그렇지 않으면 ‘노조몰입의 매개효과 없이는 노조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일반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은 자신이 속한 기업조직에 대한 몰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때문에 조직시민행동과 노조참여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그렇다면 ‘조직률이 높은 금융기관 노조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력에 의해 노조관련변수들과 노조참여의 관계를 조절하는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앞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은 국내 금융기관의 분쟁사례와 상생사례를 선정하여 경영성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위해 수도권지역 금융기관 노조원들을 연구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분석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정한 후 심리적 환경적 영향에 따른 개인의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독립변수들과 노조참여 변수를 선정하였고 독립변수들과 관계에서 노조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사례와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노조의 조직률은 70.85%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별 노조의 조직률 평균인 11% 수준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로써 금융노조가 이러한 조직률을 갖출 수 있게 된 배경은 입사와 동시에 노조에 가입되는 시스템적인 원인과 노조도구성 인식, 노조만족도, 친노조태도 등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조관련 독립변수들과 노조참여의 관계에서 노조몰입의 영향력에 따라 노조참여의사가 달라지는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노조몰입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수인 노조만족도, 친노조태도, 노조도구성인식이 3단계에서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아 매개변수인 노조몰입의 영향 없이는 노조참여와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조원들의 열망이나 헌신하고자 하는 마음이 커질수록 노조에 몰입하게 되고 노조참여율 또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본 연구의 연구표본인 금융기관 노조원들은 노조몰입이 높아 노조조직률 또한 높은 것이라고 본다. 셋째, 조직률이 높은 금융기관 노조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력에 의해 노조관련변수들과 노조참여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조직시민행동이 자신이 속한 기업조직에 대한 몰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조직시민행동과 노조참여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는 견해인데, 검증결과 노조만족도와 노조참여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값은 회귀계수(β)가 -.190으로 나타나 노조참여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조만족도와 조직시민행동과는 반비례의 관계가 있어 노조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금융기관 노조원들이 조직시민행동에 관심을 가진다면 노동조합의 참여율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영향관계를 금융기관 노조조직률이 높은 이유와 관련해 분석해 보면, 금융노조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금융기관의 발전을 위한다기 보다는 자신을 위한 태도를 취하는 성향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거나, 노조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 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노조참여 다시 말해 노조조직률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사례분석에서 고찰했듯이 금융기관 종사자들은 일부 은행을 제외하고는 노사 간 화합분위기가 조성돼 서로 상생하는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금융기관 노조원들의 조직시민행동 지수가 낮다고 평가할 수 없고 앞서 분석했듯이 노조만족도와 노조참여의 관계에서 노조몰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노조만족도 또한 높다고 봄이 타당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해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금융기관 노조원들은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어 노사관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합리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고 이러한 사고를 통해 노사관계에서도 바람직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의미한 시사점을 토대로 노사상생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몰입 이론을 적용한 창의성 증진 미술 교수·학습지도 방안 연구

        남은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아동의 감각을 민감하게 일깨우며 다양한 지식을 종합적 사고를 통해 통합하고 사고의 결과물을 즉각 시각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미술교과는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로서 주목받고 있다. 창의성과 미술에 대한 동시적인 접근은 21세기 이전부터 공공연히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창의적인 미술교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합치하는 어떤 긍정적인 견해를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와 동시에, 갈수록 빠르게 개인의 행복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현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행복과 긴밀히 연결된 개념인 몰입(flow)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창의적 미술교육에 대한 해답이 몰입교육과의 연관성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이라 보고 몰입과 창의성의 관련성을 살펴 미술 교육의 한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몰입이론과 창의성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그 둘의 연관성을 찾아본다. 이어서 미술이 가진 특성을 살펴 미술만이 지니고 있는 내재적 가치와 몰입경험이 미술 수업을 통해 발생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몰입의 가치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미술 수업 안에서 몰입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며 연구자가 지향하는 창의적인 미술교육에 대한 관점을 정비한다. 연구자는 아동의 내적 동기를 부여하는 자기목적적 경험이 몰입경험을 통해 일어날 수 있고, 창의성의 발현에 있어 아동의 자기주도적인 탐구와 내적 동기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미술활동에서의 몰입경험이 궁극적으로 아동의 창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몰입단계를 적용한 미술 교수학습 전략과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고안하여 제안한다. 미술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도 아동의 정신적, 신체적 참여가 수반된 몰입적 자기표현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미술표현활동을 다룬다. 몰입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살펴 단계적인 수업구조를 구상해 아동의 미술 표현활동에서 몰입적 표현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계발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구체적 미술 활동으로는 주제 중심 표현을 하되 자유재료를 활용하는 방법과 재료 중심 발상을 하되 제시된 재료를 활용하는 방법, 즉 두 다른 속성의 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 몰입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주목받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몰입을 정서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창의성과 관련한 것으로 보고, 몰입경험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과 더불어 인지적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미술 교수학습 지도방안에 대해 고안 및 적용을 시도한 사례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 몰입이론을 적용해 지속적 사용의도 및 정보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 도우인(TikTok틱톡)중심으로

        리샤오이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최근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UGC (User Generated Contents) 관련 행동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사용자 몰입을 중심으로 그 원인과 지속적 사용의도 관계를 규명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존 문헌을 통하여 사용자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독립요인으로 즐거움과 호기심에 더하여 개인특성화와 상호작용성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몰입은 지속적 사용을 위한 매개변수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 변수를 발굴하여 고려하고 결과 변수에 정보공유의도 등 관련된 변수를 추가적으로 파악하여 그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실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사용자의 의도가 핵심적으로 드러나야 하는 틱톡(TikTok) 앱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중국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 问卷星wenjuanxing(https://www.wjx.cn/)를 통해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틱톡 앱에 대한 개인특성화, 호기심, 즐거움, 상호작용성은 몰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과 자아노출은 지속적 사용의도 및 정보공유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자책감은 몰입과 지속적 사용의도, 몰입과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틱톡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와 정보공유의도를 유지하기 위해 자책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시사점과 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UGC 짧은 동영상 앱 업체의 개선에 유용한 기초 방안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focus on the most popular ugc product named Tik Tok in China recently, and centers on the user immersion. It mainly points out the rasons for the user immersion, including the research on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immersion and their continued intentions. Firstly, on the basis of relevant Literatures, the main independent vriables that influence user's immersion are selected,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zation, happiness, curiosity, and interaction. Then, take user's immersion as a media variable that ultimately affects user's sustainable intentions. Finallym the adjustment variable affecting their relationship were found,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outflow performance and user intelligence sharing intention are also considered in the research process. Taking the Tik Tok users as the investigation object, the investigation of this thesis is carried on based on comparing different user's intentions of Tik Tok in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bject and result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s designed and conducted on the widely used questionnaire website in China. Then a professional software named SPSS 22.0 isapplied to obtai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survey data, including parcel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And the results show that. 1: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zation, happiness, curiostity, and inteaction have positive influemce on the user's immersion 2: the user's immersion and self-outflow performance both have positive impact on user's sustainable intentions and their intelligence sharing intention; 3: the self-blame of user has a has a nagativ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f user's immersion and their intelligence sharing intentions. It is obviously concluded from the results that the self-blame of consumer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pplication of most products. Therefore, ugc products such as Tik Tok should deliberately reduce the self'blame generated by users, whicealso should be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gc short video app products in the future.

      •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 정도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묘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뷰티 산업 종사자 중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설문을 통한 실증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긍정심리자본은 다르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연령, 결혼상태, 자녀유무, 최종학력, 직무경험 년 수 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조직 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소인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소인 낙관주의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이크업 종사자에게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조직몰입은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메이크업 종사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긍정심리자본을 이끌어내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심리적 요인을 증진시켜주면 현장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부정성을 감소시키고 산업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보아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의 심리적 역량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인력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메이크업 종사자의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업의 관리 전략을 적용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ke - up work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is higher than the low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 - efficacy, hope, and optimism, which are sub -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people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n those with low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optimism, a sub-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of make – up practitioners.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for make - up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herent in make-up practitioners is promoted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organization are promoted, it is possible to reduce various job stresses and negativities of emotional labor induced in the field, . It is meaningful that the management of make - up workers is needed to discover and develop the psychological competenc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c data by applying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compan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workforce of make - up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