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래한우(칡소)모색의 특성 및 모색유전자 발현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박재희 전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t color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brindle cattle(Chikso) and Hanwoo. And the mutation of gene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coat color were systematically studied using molecular genetic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explain the mechanism of coat color gene expression cattle breeding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impro ving the ratio of whole brindle color in Koream brindle cattl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breed differences in the 3'-untranslated region (UTR) of MC1R mRNA, which may be used to distinguish Korean brindle cattle (Chikso) from other breed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3'-UTR of the MC1R mRNA and coat color among different breeds and the Korean brindle cattle with different coat colors. MC1R mRNA expression levels we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oat color and hair colors of the tail. Total cellular RNA was extracted from the hair follicles of the tails in Hanwoo, Korean brindle cattle, Holstein and Hanwoo × Holstein crossbred cattle. After cDNA synthesis, PCR was performed. Sequences of the 3'-UTR of MC1R mRNA were analyzed. The 3'-UTR of the MC1R mRNA from different breeds of cattle did not show any variations. There were no variations in the 3'-UTR of the MC1R mRNA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different coat colors. The levels of MC1R mRNA expression in hair follicles of the tail varied substantially among the Korean brindle cattle with different coat colors, except yellow coat color. Correlation between the MC1R mRNA expression in the hair follicles of the tail and coat color may be present in the Korean brindle cattle, but not between the variations of 3'-UTR of MC1R mRNA and coat color.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t color appearance of Korean brindle cattle and the changes of relevant hormone levels that may affect the hair pigmentation during different stages of growth and maturation. In mature cattle, levels of both ACTH and DHEA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brown col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black color (p<0.05). Levels of α-MSH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whole brindle (≧50%) col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brown color (p<0.05). In calves of Korean brindle cattle at 2 to 6 months, the concentration of estradi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lves with whole brindle color than those with part brindle color (p<0.05), when the coat color was first confirmed. After 6 month of coat color confirmation, levels of testosterone and ACTH increased in calves with part brindle color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whole brindle color (p<0.05). In calves of Korean brindle cattle at 1 or 2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rmone levels of estradiol, ACTH, DHEA and α-MSH between the calves with brindle color and brown color, except estradiol before brindle color appearance. Changes of relevant hormone levels at different stages of growth and maturation may affect the pigmentation of coat during the development of cattle. In the third experiment, the aim was to identify coat color associated gene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mature Korean brindle cattle (KBC) with different coat colors and in Hanwoo cows. KBC calves, before and after coat color appearance, were included. Total cellular RNA was isolated from the tail hair cells and used for microarray. The number of expressed coat color associated genes/probes was 5813 in mature KBC and Hanwoo cows. Among the expressed coat color associated genes/probes, 167 genes were the coat color associated genes listed in the Gene card database and 125 genes were the pigment and melanocyte genes listed in the Gene ontology_bovine database. There were 23 genes/probes commonly listed in both databases and their expressions were further studied. Out of the 23 genes/probes, MLPH, PMEL, TYR and TYRP1 genes were expressed at least two fold higher (p<0.01) levels in KBC with brindle color than either Hanwoo or KBC with brown color. TYRP1 expression was 22.96 or 19.89 fold higher (p<0.01) in KBC with brindle color than either Hanwoo or KBC with brown color, respectively, which was the biggest fold difference.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indicated that MLPH, PMEL, TYR and TYRP1 were the highly expressed genes in mature cattle. There were only a few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after coat color appearance in KBC calves. In the fourth experiment, the aim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at color and expression of coat color-associated gene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different coat colors and in Hanwoo. Using Real Time PCR, we investigated relative levels of 11 coat color-associated gene tran scripts. Eleven coat color-associated genes transcripts were DCT-a, DCT-b, PPARG-a, PPARG-b, PMEL-a, PMEL-b, TYR-a, TYR-b, TYRP1-a, TYRP1-b and TYRP1-c. Levels of DCT-a, DCT-b, TYRP1-a, TYRP1-b and TYRP1-c transcripts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black coat color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in Hanwoo. Levels of DCT-a, DCT-b and TYRP1-a transcripts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brindle coat color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in Hanwoo. The five out of 11 gene transcripts that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expression were determined by Real Time PCR.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The five genes transcripts were DCT-a, DCT-b, PPARG-a, TYRP1-b and TYRP1-c. Levels of DCT-a, DCT-b and TYRP1-b transcripts in Korean brindle cattle with black coat color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in Hanwoo. Levels of DCT-a and DCT-b Korean brindle cattle with brindle coat color and Korean brindle cattle with brown coat color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in Hanwoo.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more ful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coat color expression patterns and regulation of highly expressed genes, and further improve the expression of whole brindle color in Korean brindle cattle.

      • 한우 모색 특성 및 무색소증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이성수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ain coat color characteristics in native Korean cattle, Hanwoo, and Jeju Black cattle (JBC). Our study also determined the genetic basis of the occurrence of albinos in Hanwoo. Melanin contents in hairs were quantitatively assayed and compared among cattle breeds to characterize the coat color patterns in cattle. Spectrophotometric assay was used to measure total melanin levels of upper scapular hairs that were obtained from various cattle breeds. The total melanin content of JB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Holstein and Angus (P<0.001) among breeds with black coats. Total melanin content of J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a breed with a yellowish-brown coat, and the red-coated breeds, Red Angus and Red Holstein, respectively (P<0.001). In addition, among yellow/red-coated breeds, total melanin content of Hanwo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Red Angus and Red Holstein, but higher than that of crossbred animals exhibiting a pale yellow coat produced from a cross of Hanwoo and Charolais (P<0.001). The relative ratios of eumelanin to pheomelanin in black-colored Angus, JBC, Red Holstein, and Hanwoo were 0.382, 0.359, 0.112 and 0.12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ttle with higher total melanin and eumelanin levels developed a black coat while those with lower total melanin and eumelanin levels developed a yellow/red coat, suggesting that bovine hair and coat color patterns may be determined by their total melanin and eumelanin levels.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 of coat color pattern and gene expression, the expression levels of three genes which play a critical role in melanin synthesis in melanocytes,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and Dopachrome tautomerase (DCT), were analyzed by a semi-quantitative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CR (RT-PCR) technique. An investigation into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three genes was conducted based upon the genotypes of the Melanocortin 1 receptor(MC1R) gene which was preliminarily determined in the four representative coat colors - yellowish-brown from MC1R e/e in Hanwoo, wild type black from E+/E+ in JBC, and dominant black and white pied regions from ED/ED in Holstein. In Holstein black skin, the expression levels of TYR, TYRP1, and DCT were over 4.5, 2.3, and 2.5 folds higher than those of JBC, respectively (P<0.001).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three genes in JB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anwoo (P<0.001). Our results indicate that coat color phenotypes in Hanwoo, JBC and Holstein breeds are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TRY, TYRP1, and DCT in transcription levels. Moreover, these gene expression levels also coincide with the genotypic distribution of the MC1R gene - e/e in Hanwoo, E+/E+ in JBC and ED/ED in Holstein. These results infer that the MC1R genotypes may determine the levels of total melanin content in the skin of Hanwoo and JBC as well as induce transcription activities of a TYR series and its downstream genes responsible for melanin synthesis. The entire complementary DNA (cDNA) sequences of TYR and TYRP1 were determined in Hanwoo and JBC. In comparison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in cattle breed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mplete coding sequences of TYR cDNAs. However, a novel short transcription variant showing the deletion of several exons was detected in TYRP1 in part of Hanwoo as well as in JBC. Based on this finding,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transcription variant and coat color pattern in cattle. Recently, white coat calves with white coats have been reported on Hanwoo farms in South Korea. A total of 9 white individuals were found on three Hanwoo farms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These calves and their yellowish-brown Hanwoo relatives were collected from each farm for pedigree analysis and genetic investig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color of skin, hair, and eyes, the calves were identified as albinos due to oculocutaneous albinism (OCA) which differs from the Charolais-related white coat color, a 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Charolais breed. The calves lacked melanogenic pigments in whole pigmentary organs including eyes and skin. In addition, they displayed the autosomal recessive inheritance patterns identical to OCA in mammals. Albino hair showed the lowest level of melanin content among the cattle breeds tested including the white pied region of Holstein. The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melanocytes in ear skin was provided from the results of the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for melanocytes using melanocyte specific antigen analysis. Further results obtained from flow cytometry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using melanocyte cell markers have given histological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melanocytes in albinos. A total of 15 DNA samples of the albinos and their relatives were collected and used to screen for causative mu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lbinism in SILV and TYR genes, known as critical candidate genes in mammals. DNA sequencing results showed the albino-specific mutation c.871G>A in TYR, but not in SILV. All albinos had the homozygous TYR c.871A/A and their dams and relatives with yellow coats had the heterozygous TYR c.871A/G. However, all Hanwoo individuals unrelated to the albinos had the homozygous TYR c.871G/G. The genotypic distribution of the mutation TYR c.871G>A was consistent with the bovine inheritance patterns of albinism in Hanwoo. Out of all DNA samples tested for the other population study, only one individual was heterozygous TYR c.871G/A. However, its breed was not identified because it was slaughtered as an unidentified crossbreed. The pedigree and genotypic analyses results for each coat color in the different cattle breeds suggested that this TYR c.871G>A mutation may be a diagnostic molecular marker for detection of albinos and their carriers in Hanwoo. In conclusion, bovine coat colors are mainly regulated by the genetic backgrounds of genotypes of the primary response gene for MSH signaling, MC1R, and the melanocyte intracellular melanin synthesis genes, TYR, TYRP1, and DCT. In addition, the Hanwoo albinos recently found in Korea were caused by a mutation of the TYR ge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of coat color genetics and a breed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Korean cattle breeds, Hanwoo and JBC. The newly established molecular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have also contributed to determining hair color patterns, measuring for melanin contents, detecting albinos and their carriers, and accelerating molecular breeding in the cattle industry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소인 한우와 제주흑우 모색 특성을 설명하고, 한우에서 무색소증 발생에 대한 유전적 기초를 결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소에서 모색 출현 양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모발에서 전체 melanin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소 품종들 간에서 비교하였다. 전체 melanin의 수준은 다양한 소 품종들에서 모발을 수집하여 분광광도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흑모색 품종들 중에서 제주흑우의 전체 melanin 함량은 Holstein과 Angus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반면 제주흑우의 전체 melanin 함량 수준은 황갈색 품종인 한우, 적색 품종인 Red Angus와 Red Holstein에 비해서는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또한 황색/적색 계열인 품종들 중에서는 한우의 전체 melanin 함량이 Red Angus와 Red Holstein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낮았고, 한우×Charolais 사이에서 생산된 미황색 교배 잡종들에 비해서는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흑모색 Angus와 제주흑우, Red Holstein과 한우에서 pheomelanin에 대한 eumelanin의 상대 비는 각각 0.382, 0.359, 0.112, 0.124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체 melanin 함량과 eumelanin의 수준이 높은 소들이 피부에서 흑색 외피가 발생하고 전체 melanin 함량과 eumelanin 수준이 낮으면 황색/적색 외피가 발생함을 나타내어, 소의 모발과 모색 양상들이 전체 melanin과 eumelanin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모색 출현 양상과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색소세포 내에서 melanin 생합성에 결정적인 역할들을 수행하는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and Dopachrome tautomerase (DCT) 세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반정량적 real time RT-PCR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세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대한 조사는 사전에 조사된 MC1R 유전자형에 따라 4 가지 대표적인 모색 부위 - MC1R e/e 한우의 황갈색, E+/E+ 제주흑우의 야생형 흑모색, ED/ED Holstein 우성 흑모색 부위와 백반 부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Holstein 흑반에서 TYR, TYRP1, DCT의 발현 수준은 제주흑우에 비해 각각 4.5, 2.3, 2.5배 이상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또한, 제주흑우에서 이들 세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한우보다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우, 제주흑우, Holstein에서 모색 표현형이 TYR, TYRP1, DCT의 전사 수준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이들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품종별로 대표적인 한우(e/e), 제주흑우(E+/E+), Holstein(ED/ED)의 대표적인 MC1R 유전자형 분포와 부합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MC1R 유전자형이 소 피부에서 전체 melanin 함량을 결정하고 melanin 생합성을 책임지는 TYR과 하위 유전자들의 전사활성을 유도함을 나타내었다. 한우와 제주흑우에서 TYR과 TYRP1의 상보적 DNA 전체 서열을 결정하였다. 기존에 다른 품종들에서 보고된 서열들과 비교했을 때, TYR cDNA의 전체 암호화 서열들은 차이점이 없었다. 반면, 한우뿐만 아니라 제주흑우의 일부에서 몇 개의 exon들이 결실되어 형성된 짧은 변이 전사체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소에서 이 변이형 전사체와 모색 출현 양상의 상호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한우 농장들에서 백모색 송아지들이 보고되었다. 전체 9 두의 흰색 송아지들이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3 한우 농장에서 발견되었다. 가계 분석과 유전학적 조사를 위해 각각의 농장에서 해당 백색 송아지와 이들과 혈연관계가 높은 황갈색 한우 개체들을 수집하였다. 피부, 모발, 안구의 색에 대한 관찰 소견을 바탕으로 송아지들은 안피부무색소증(OCA)에 의해 발생한 무색소증으로, 이는 소 품종 중 전신 백색이 품종의 특징인 Charolais와 연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송아지들은 눈과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색소발생기관에서 melanin성 색소들을 결핍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은 다른 포유동물의 OCA와 같은 상동염색체성 열성유전양상을 나타내었다. 무색소증 한우의 모발은 Holstein의 백반을 포함하여 조사에 이용된 모든 소 품종 중에서 가장 낮은 전체 melanin 함량을 나타내었다. 색소세포 특이 항원들을 이용한 조직면역화학 염색 분석 결과는 무색소증 한우 귀 피부에 색소세포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색소세포 표지인자들을 이용한 flowcytometry 분석과 면역형광 염색 분석에서도 무색소증 한우에서 색소세포의 존재에 대한 조직학적 증거들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무색소증 한우와 이들과 혈연관계인 15 두의 DNA 시료들을 수집하여 포유류에서 강력한 후보 유전자들로 알려진 SILV와 TYR 유전자에 대한 무색소증의 발생에 대한 원인 돌연변이 검출에 이용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TYR 유전자의 c.871G>A가 무색소증-특이 돌연변이로 확인되었으나 SILV 유전자에서는 전혀 특이할만한 염기변이가 없었다. 모든 무색소증 한우들은 TYR c.871A/A (C 유전자 좌위 인자형 c/c), 이들의 황갈색 어미소들과 형제-자매들은 모두 이형접합성인 TYR c.871A/G (C/c)를 나타내었다. 반면, 무색소증과 혈연관계가 없는 모든 한우 개체들은 동형접합성 TYR c.871G/G (C/C)를 나타내었다. TYR c.871G>A 돌연변이에 대한 유전자형 분포는 한우에서 무색소증 유전양상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집단유전학적 분석에 이용한 모든 DNA 시료들 중에서 단지 1 개체의 DNA에서만 TYR c.871G/A 이형접합자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해당 개체가 품종식별이 되지 않은 채 도축된 개체여서 품종확인은 불가능하였다. 소 품종들에서 각각의 모색에 대한 가계도 분석과 유전자형 분석의 결과들은 TYR c.871G>A 돌연변이가 한우에서 무색소증 개체와 보인자들을 검출하는 진단 분자표지인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소의 모색들은 주로 MSH 신호전달에 대한 1 차 반응 유전자인 MC1R, 색소세포 내에서 melanin 생합성을 담당하는 TYR, TYRP1, DCT 등의 유전자형을 유전적 배경으로 하여 조절되고 있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무색소증 한우들은 TYR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우리나라 재래 소 품종인 한우와 제주흑우의 품종식별체계와 모색 유전학에 대한 과학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정립된 새로운 연구기법들은 모색 양상의 결정, melanin 함량의 측정, 무색소증 한우 및 보인자의 검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소 산업에서 분자육종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모색전>을 통해 본 한국 현대미술 전개에 관한 연구

        박민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논문은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에 있어 '젊은 작가'들의 움직임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이를 국내 미술계가 어떤 형식으로 수용했는 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한다. 한국 현대미술은 1950년 6·25 전쟁을 시작으로 60~70년대 5·16 군사혁명, 유신체제 등을 거쳐 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 88올림픽, 해외여행 자유화 등에 이르기까지 격변했던 한국 사회의 환경적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 1950년대 후반 「현대미술가협회」를 중심으로 한 젊은 작가군의 출현으로 인해 미술 내적으로는 외국의 새로운 회화사조의 자극과 영향이 뚜렷해졌고, 외적으로는 당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로 대표되는 기성 미술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구체화되었다. 이 시기에 ‘앵포르멜 운동’이라고 불리는 집단적인 현대미술운동이 시작되면서 70년대 단색조 회화인 ‘모노크롬 운동’, 80년대 극사실회화, 민중미술, 소그룹 등장으로 부각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90년대 테크놀로지 발전과 국제화 기류에 발맞춘 탈장르 예술의 활발한 움직임 등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이 이어져왔다. 이러한 움직임 가운데 국립현대미술관 내부에서 제도적인 관성을 깨고 변혁을 꾀하는 ‘기획전’을 구상하게 되면서 국내의 ‘젊은 작가’들을 위한 전시를 기획하게 되는 데, 그것이 <젊은 모색전(과거 청년 작가전)>이었다. 초기의 <젊은 모색전>은 70년대 모노크롬회화가 미술계 중심을 이루던 시절 새로운 형상회화의 부활을 보여주었다. 제4,5회 전시에서는 86년 과천이전으로 인한 보다 넒은 공간에서 설치 및 행위미술 작품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했다. 90년대에는 테크놀로지 발전애 따라 한층 다양해진 매체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젊은 작가’들의 실험적인 작품들이 많아지면서 그 기류가 1990~2000년대 <젊은 모색전>에서 꾸준하게 반영된다. <젊은 모색전>은 기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에 ‘젊은 작가’를 등장시킴으로서 변혁을 꾀했던 ‘기획전’으로 30년간 개최되어온 전시라는 점에서 미술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주제’나 ‘형식’적인 면에 있어 변화와 발전이 없다는 지적도 함께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변화한 <젊은 모색전>의 전개를 통해 그 역할과 한계를 되짚어 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인한 태권도장의 어린이 교통안전정책 개선방향 모색 : 세림이법을 중심으로

        김현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research suggests the traffic safety and improvement directions that the Taekwondo gyms may provide to the athletes and seeks the children’s traffic safety policy directions that the consumers (parents) may be satisfied. Through this, the Taekwondo gym suggests improvements to secure the traffic safety of the children and for the consumers(parents) to be satisfied with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Taekwondo gym, and has its purpose in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directions for the Road Traffic Act of the Taekwondo gyms of the instructors and the consumers (pare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selected with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one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at in-depth interviews with 5 Taekwondo leaders who are operating gyms for three years, and 5 consumers (parent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Taekwondo gym for one year or more, a total of 10 people were conducted. The material collection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making prior phone calls to the Taekwondo leaders and consumers (parents) to gain approval in research participation, and by the researcher actually visiting the research participant to conduct interviews. The research participant listened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nswered according to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ll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with a digital recorder,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rote a written record by using the computer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g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of all, all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action for the amended Road Traffic Act. However in terms of practicality, often enough assistant teachers were not hired compared to the scale of the Taekwondo gym, and alternatives in case of absences of assistant teachers due to personal reasons were poor. Also, as a structural problem of the children’s commute vehicle, there was no car safe for children. Because they are cars that only considered the practicality of the adults,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the traffic safety vehicle for children. Development of cars for children is needed. Secondly, 90%(9 out of 10)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ought that children’s traffic safety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e needed to be institutionalized for the awareness of education for children’s traffic safety. Because children lack cognition and identification of circumstances compared to adults, they need regular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This would need the education with materials(models and media video) and a mock testing policy for the traffic safety of the children through participatory education., children who are close to the Taekwondo gym need walking policies to foster the ability for children to walk safe. Thirdly, the fine for the traffic safety in South Korea is low compared to other nations, 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traffic safety need to be made aware by enforcing the fine. Through facility measurements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CCTV and speed measurer, awareness of children’s traffic safety must be raised for the people. The Taekwondo gyms may need to drive safely by considering the shuttle operation time. Thirdly, for car remodeling and riding of guardian, there are difficulties for the small businesses to take burden of everything, and as the number of guardian differ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Taekwondo gyms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 mandatory riding of assistant teacher is difficult. All the research participants thought that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children as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 it would need the enthusiastic cooperation of the nation and policy supports. For this law to be enacted realistically, the positive assistance of the nation would be needed. 본 연구는 태권도장 지도자가 수련생들에게 할 수 있는 교통안전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 소비자(학부모)가 만족 할 수 있는 태권도장의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태권도장은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을 확보 하고 소비자(학부모) 또한 태권도장에 자녀를 보내는 것에 만족하는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지도자와 소비자(학부모)간 태권도장의 도로교통법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확률적표집(nonprobabil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채택하여 도장을 3년 이상 경영하고 있는 태권도 지도자 5명과, 도장에 자녀를 1년 이상 보내고 있는 소비자(학부모) 5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태권도 지도자, 소비자(학부모)에게 사전통화를 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를 얻은 후, 연구자가 직접 연구 참여자에게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목적을 들은 후, 반 구조화된 질문지에 따라 응답하였다. 면담의 모든 내용은 디지털 녹음기로 기록 되었으며 면접 내용은 자료 분석을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 모두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실용성 부분에서 태권도장의 특성상 태권도장의 규모 관원의 수에 따라 보조교사를 고용하지 못하는 사례들이 있으며 보조교사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결근할 경우 대비책 또한 미흡하였다. 또한 어린이 통학차량의 구조적인 문제로서 어린이들을 위한 안전한 차량이 없다는 것이다. 성인들의 실용성만을 생각한 차량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교통안전 차량에는 적합하지 않다. 어린이들을 위한 차량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어린이들의 교통안전 교육의 인지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90%(10명중 9명)가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 강사 자격증 제도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어린이들은 성인보다 인지상태 및 상황판단이 미흡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교보재(모형, 미디어 영상)를 통한 교육과, 평소 차량의 승·하차 시에 어린이들에게 참여형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에 대한 모의시험 제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태권도장과의 거리가 가까운 수련생들은 보행제도를 만들어 어린이들이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교통안전에 관한 범칙금은 낮은 수준이며 범칙금의 강화로 국민들에게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감시카메라, CCTV, 속도 측정기 등을 이용한 시설적인 조치를 통해 국민들에게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을 시켜야 할 것이다. 태권도장의 경우 차량운행 시간을 고려하여 시간에 비례한 안전한 운행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차량 개조 및 보호자 동승 제도의 경우 영세 사업자가 모든 것을 감당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으며, 태권도장의 특성상 태권도장의 규모, 관원의 인원수 에 따라 지도자의 인원이 달라지기 때문에 보조교사의 의무적인 탑승의 경우 비현실적인 부분이 있다. 연구 참여자 모두 유치원, 어린이집과 같이 어린이들의 안전이 관련된 일이기 때문에 국가에서 적극적인 협조와 일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이 법안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 할 것이다.

      •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곽지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5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 진로모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진로모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89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된 인과적 조건은 ‘내적 가치에 이끌려 상담의 길에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기대와 시선의 인식’, ‘독립이라는 발달과업’, ‘기대와는 다른 상담자의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에 대한 부모의 태도’, ‘주변의 정서적 지지’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호함을 홀로 감내하기’, ‘진로를 고민하며 결정을 망설이기’, ‘내적 진로동기를 강화하기’, ‘패기 있게 도전하기’,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해 나가기’, ‘상담자 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기’, ‘상담자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서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는 ‘현실을 마주하고 진로를 모색해감’, ‘상담공부를 통해 정체감을 형성해감’,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은 ‘갈등 및 혼란 단계’, ‘불안정 단계’, ‘시도 단계’, ‘명료화 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선택코딩 절차를 통해 핵심범주는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 속에서 현실을 마주하고 내적 동기와 가치를 기억하며 진로를 모색해 나아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진로를 모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bstantive theory that explains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 throughout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what elements they are affected by. Total 13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were interviewed, in which its result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The analysis resulted in 89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 which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entering the counseling field driven by internal valu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recognizing social expectations and perspectives’, ‘independence as a developmental task’, and ‘the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s a counselor’.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control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en as ‘Parents’ attitude towards counselors’, and ‘emotional support from surrounding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olerating the ambiguity alone’, ‘hesitating to make a career choice’, ‘reinforcing internal career motivation’, ‘taking on bold challenges’, ‘overcoming practical constraints’, ‘an improved perception of the counselor image’, and ‘taking a step forward to become a counselor’. Their following results were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 career exploration’, ‘forming a sense of self identity by studying counseling’, and ‘becoming certain about the career pat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derived from this study is presented in four stages, ‘Conflict and Confusion’, ‘Instability’, ‘Attempt’, and ‘Clarification’. The core category examined by the optional coding process is found as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wards career exploration, reminding oneself of the internal motivation ami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s understands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nd provides an experiential evidence for future development of necessary practical support.

      •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자기 모색 과정의 양가성 연구

        서정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09

        최명익 소설의 자기모색은 1930년대 후반의 속악한 시대 상황을 극복하려는 방편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실의 양가성 인식과 그를 통한 극복의 모색이라는 측면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의미를 준다. 내면의 양가적 감정은 때로 모순된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주인물의 현실 인식은 극대화된다. 관념의 세계에서 탈피해 현실에 직면해갈수록 양가적 인식은 심화되는데 오히려 그로인해 주인물은 어떠한 ‘선택’을 하지 못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그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그것의 양면이 존재함으로 해서 선택을 할 수 없게 되는, ‘지연’으로서의 강박적 행동이 이어질 뿐이다. 이 과정에서의, 자기모색을 위한 타인의 ‘운명’에 대한 고찰 역시 어떠한 해결방안이 명확히 존재하지 않음으로 해서 자기 분열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한 중에 주인물로 하여금 양가적 속성을 인식하게 했던 인물들의 죽음을 응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고 등장인물들과는 다른 ‘자기 길’을 모색하게 된다는 점에서 죽음은 공통적으로 하나의 결정적 계기로서 작용한다.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한 이칠성을 통해 타인의 관념화한 행복으로서의 물질추구의 삶이 아닌, 자기 충족적이고 반성적인 삶으로서의 ‘독서’를 이어나갈 내적 확신을 얻는다. 또한 경멸해 마지않던 아버지 만수노인의 죽음 과정에서 느낀 생의지의 가치를 통해 자신의 삶에서 그러한 생의지가 결핍됐음을 느끼며 반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결말은 그러한 깨달음을 통해 얻은 행동의 형상화로서 이어지는 것이다. 그 형상화는 ‘독서’로서의 자기 길을 가는 것과 ‘동면’, ‘죽음’으로써 나타나는데 이때의 동면은 언젠가 깨어날 것으로서의, 추운 겨울을 견디기 위한 동면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을 ‘죽은 사람’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아버지의 죽음을 통한 깨달음으로 생에 의지력을 가진 사람으로 새로 태어날 것임을 드러낸다. 이러한 역설적 의미로서의 결말은 직접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으나 상징적으로 ‘희망’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Self-seeking in novels of Choi, Myoung Ik can be shown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vulgar time in the second half of 1930s. However, it gives meaning to our modern life in aspects of awareness of ambivalence towards reality and seeking for the way to overcome through that awareness. Inner ambivalence is sometimes revealed by contradictory words and actions, and in this process awareness of ambivalence is maximized. Facing the reality out of the world of ideas, awareness of ambivalence is so deepened that the principal character has difficulty not to choose anything. Even if he chooses something, the existence of both sides fails to make choices and it is followed by obsessive behaviour as 'delay'. In the study of others' fate for self-seeking in this process, any solution does not exist clearly and it might result in self-division. During that, the principal character stares the death of characters who made him aware ambivalent property. Finitude of life is recognized and ''his own way' which is different from characters is sought through this process. In this aspect, the death works as a bottom line in common. From Lee, Chil Seong who faced sudden death, the principal character is sure to keep "reading" as life for self-fulfillment and reflection, not as life for substance which means happiness according to others' ideas. He also feels that he lacks a will to live and reflect himself from recognizing the value of a will to live after the death of father, the elderly Mansoo who he despised. Thus, the consequences will lead to embodiment of action obtained through such a realization. The embodiment appears as 'reading; which means he goes his way, and 'hibernation' which shows as 'death'. It can be said this hibernation means that one wakes up one day and stands against the cold winter. Expressing himself as 'a dead man', he is revealed to be a new birth who has a will to live by realizing from father's death. Such a paradoxical ending does not give a direct solution, but has a meaning to reveal 'hope' in a symbolical way.

      • 대화의 상상력, 공존의 모색 : <수박> 외 41편에 대한 창작론

        서희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94

        동시는 어린이들의 맑고 정직한 눈으로 세계를 보고 노래한 ‘순수의 세계’ 의 지향을 목표로 한다. 이 ‘순수의 세계’ 를 바라보는 시심이 바로 동심인 것이다. 동심은 모든 시적 대상들을 새로운 존재로 탄생시킨다. 시인의 눈을 통해 다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아 생명력 있는 존재로 태어난 시적 대상은 어린이들에게 무한한 상상력을 가져다 주며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이 귀하고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깨닫게 해 준다. 어린이가 아닌 어른들에게는 동시를 읽으면서 잠깐이나마 잃어버린 동심을 회복하고 순수의 세계를 경험하게 해 준다. 동시를 짓는 시인은 동심을 이럴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 지어 추측하여 시를 창작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자신이 시 속에서 설정한 어린이 화자가 그 세계를 주체적으로 이해하여 터득한 것에 따라 대응하는 모습을 시 속에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시인이 포착한 대상에 있어 그 대상의 본질을 가장 잘 살려주고 인위적으로 꾸미지 않고 진실하게 드러내고자 할 때 그렇게 표현된 시가 바로 진한 감동을 주게 된다. <수박> 외 41편의 동시 창작원리는 대화적 상상력에서 비롯된다. 대화적 상상력은 시에 이야기를 담아내고 환상의 세계를 가능하게 한다. 마법의 행위를 믿는 아이들은 주변에 있는 모든 오브제들을 생명력을 가진 하나의 주체로 탄생시킨다. 무한한 대화의 상상력은 시상을 자유롭게 전개시키며 시인이 가진 인식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대화의 상상력은 환상세계를 불러일으킨다. 현실세계에서 시적 화자와 갈등을 일으키는 언어들은 환상의 공간을 통해 사고를 전환시키며 긍정과 희망의 언어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그렇게 갈등이 해결되어지면 필자가 지향하는 ‘공존의 세상’ 을 시에 재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존의 세상은 어린이를 완전한 인격체를 가진 존재로서 대우하는 것에서 가능해진다. <수박> 외 41편에서 구현하는 주제의식은 공존의 모색이다. 시에서 중요한 메시지인 공존의 모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창작기법으로 문답법, 자문자답법, 반복법, 의성어법, 의태어법, 은유법, 직유법, 의인법, 역설법, 풍유법, 제유법, 환유법, 원형적 상징법, 희언법과 같은 다양한 표현 기법이 사용 되었다. 이러한 창작기법이 <수박> 외 41편에서 주제를 구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시를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빌려 쓰는 동시는 희망을 노래하는 시이다. 대화적 상상력이 가져오는 희망의 언어는 생명력 있는 언어이며 밝은 미래를 현실로 끌어당기는 변화의 언어이자 재생의 언어이다. 그 재생의 언어는 공존의 세상을 형성하는 언어가 될 것이다. 본고는 <수박> 외 41편에 나타난 상상력과 작품세계를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본고를 통해 필자가 직접 창작을 하면서 현재 아동문학의 시단 안에서 <수박> 외 41편에 대한 시들이 어떤 경향에 속하는지 파악하고 시인이 가져야 할 동시 정신에 대한 고민과 반성을 적극적으로 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필자가 직접 자신의 동시 정신을 규명하고 동시 세계를 조명한다는 것에 대해 자칫하면 객관성이 결여 될 문제점을 안을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론이 완성되는 과정을 통해 문예창작학이라는 학문적 특수성을 규정하고 동시에 창작을 수반하면서 보다 진지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동시 정신을 고취시킬 수 있는 가치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박> 외 41편에 나타난 상상력과 작품세계를 대화적 상상력, 공존의 모색이라는 핵심적 원리에 따라 고찰해 봄으로써 앞으로 필자의 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보다 새로운 시각에서의 동시 창작론을 연구하는 방향의 제시가 될 수 있겠다. Nursery rhymes aim to promote 'innocent world' where children sing seeing the world in the pure and honest view. It is the very 'innocence of a child' that sees the 'innocent world' or a 'poetic turn of mind'. The innocence of a child gives the birth to all poetic objects as each new existence. Once poetic objects are reborn as the living existence with the new meanings in the eye of poets, they give children indefinite imagination, leading them into the realization that the every object in this world is valuable and worthy. By reading nursery rhymes, most adults can recover their lost innocence and experience the innocent world, for a minute. Any poet who writes nursery rhymes must abandon the attitude to make a hasty assumption and conclusion of nursery rhymes. Instead, he or she must describe in a poem in a specific way how a child speaker or subject presented in the poem understands and copes with the world. Only when a poet tries to write his or her poem, highlighting the essence of a targeted object and demonstrating it just as it is, instead of falsifying the essence, the poem makes a deep impression. The creativity principle of the forty-two nursery rhymes including <Watermelon> originates from conversational imagination. Such a conversational imagination enables a poem to describe a story and fantastic world. Most children who believe power of magic itself, offer all objects surrounding them as one subject with each vitality. Imagination from Indefinite conversation allows poetical sentiment to freely float, helping a poet expanding his or her own horizons for awareness. And imagination from such conversation evokes up the fantastic world. Languages in conflicts with poetic speakers in the real world change thoughts through the fantastic space, reborn as positive and optimistic languages. When such conflicts are settled, 'symbiotic world' that I promote is rekindled in a poem. Also, such symbiotic world can be possible when children are treated as the existence of complete character. The subject awareness that the forty-two poems including <Watermelon> materialize is the symbiotic existenc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eliver the symbiotic existence as a major message in a poem, a wide variety of expressing patterns, such as ‘the interrogatory method of teaching’, ‘monologue’, ‘repetition’, ‘onomatopoeia’, ‘mimetic word’, ‘metaphor’, ‘simile’, ‘personification’, ‘paradox’, ‘allegory’, ‘synecdoche’, ‘metonymy’, ‘pattern symbolism’, ‘comedic joke’ and the likes, can be used. In analyzing a role that such a creation method plays in embodying a subject in the forty-two poems including <Watermelon>,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poem are illustrated. Borrowed from innocent minds of children, nursery rhymes are the poem which sing for hope. Hopeful language from conversational imagination is the living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changing and reproductive language. Such a reproductive language would take the form of the language to create the symbiotic world. This paper conducts the research with the focal point on considering the imagination and work world in the forty-two poems including <Watermelon>. Writing through this paper, I have understood the tendency of the forty-two poems including <Watermelon> in the poetical circles, spending much time in considering and reflecting the spirit of nursery rhymes that poets must have. Allowing that I have accounted for the spirit of nursery rhymes, and shedded light on the world of nursery rhymes, on my own, a problem of the lacking objectivity can be posed. Nevertheless, the completing creation work process can define academic specialism what's called 'literary creation work', and at the same time, give the value of solemn spirit of nursery rhymes under a more serious and positive attitude, along with creation work, I'm sure. Hence, the paper would seek the directions that the poem by me will head for, and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s for writing and creating nursery rhymes, from the new perspective. To do it, this paper will consider the imagination and work world in the forty-two poems including <Watermelon> in accordance with the key principle of seeking conversational imagination and symbiotic existence.

      • 한국적 기독론 모색 : 일아(一雅) 변선환을 중심으로

        전종배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93

        현재 한국의 기독론 현주소를 종교신학의 조명 아래 비춰 정의한다. 그리고 일아(一雅) 변선환 기독론의 흐름과 그의 기독론의 종교신학적 위치를 토대로 예수의 인성, 신성, 독특성을 되짚어보고, 세계적 신학자 폴 니터와 아시아 신학자 알로이시우스 피에리스의 기독론과의 관계성을 살펴본다. 그런 후에 변선환의 기독론이 어떠한 점에서 한국적 기독론 모색의 근간이 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적 기독론이 모색되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 이육사와 윤동주의 실존의식과 시적 모색 연구

        장래하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92

        李陸史(1904-1944)出生于慶尙北道安東郡,在韓国沦爲日本殖民地期间,積極抵抗日本侵略,韓国光復前6個月死于中国北京的監獄中。他生前多次入狱,一直生活在貧困和危險中。尹東柱(1917-1945)出生于北間道,在日本留學期间被日本警察以參加獨立戰爭的罪名逮捕入獄,死于日本福冈監獄。他們是日本侵略時期,韓国具有代表性的兩位抗日詩人。 本文参考現有硏究成果,用克爾凱郭爾关于“存在的三个階段”理論來研究李陸史和尹東柱的存在意識,以及他們如何将这種意識體現到作品中,以此揭示作品的形成過程,证明存在主義是一种研究韓国詩歌的有效方法。 第Ⅱ章第1节对日本帝國主義侵略末期的時代背景和當時詩壇的形勢進行分析。第2节对李陸史和尹東柱的現實認識和文學抵抗方法進行研究。李陸史作为革命知識分子,早期試圖通過參與抗日行動來改變當時黑暗的社會現實,而尹東柱則試圖通過對自己內心純粹性的追求和自我反省抵抗日本侵略。 第Ⅲ章分析了李陸史和尹東柱的作品形成過程。李陸史自小接受傳統敎育薰陶,爲以后從抗日活動轉入文學創作打下了堅實的思想基礎。他的思想受到了古典文學以及現代文學的影響,特別是受到了魯迅社会革命意识和徐志摩唯美主義的影響,此外还受到歐洲文學和哲學的影響。尹東柱出生于典型的基督教家庭,自小博覽群書,對文學有濃厚的興趣。他受到了克爾凱郭爾存在主義的影響,也受到了當時在韓国詩壇較爲活躍的作家鄭芝溶的現代主義和白石的故鄕意識的影響。 第Ⅳ章第1节利用克爾凱郭爾的審美階段理論,对李陸史关于日本侵略時期遠離故鄕到處流浪的詩歌和尹東柱初期的觀念诗和兒童詩進行研究。李陸史多次被捕入狱和长期四處漂迫,他的很多詩中都有对日本侵略時期故鄕的蕭條和流浪生活艱辛的描述。尹東柱在初期的觀念詩和兒童詩中展示了他作为感性存在的理念,體現了他在現實生活中感受到自己作爲有限存在的意義。 第Ⅳ章第2节分析了李陸史和尹東柱在日本帝國主義侵略的現實基礎上寻找承担社會倫理責任的方式。李陸史在黑暗的社会現實中从未放棄對未來的希望,表現出抵抗日本侵略的强烈意識。他在傳統主義的基礎上增加了抒情詩高尚的思想性,提高了詩的有效性。尹東柱没有直接參加抗日斗争,而一直关注自己内心世界,通过不断自我反省,對民族和同胞表現出無限熱愛,进而表達了對美好未來的希望。 第Ⅳ章第3节對李陸史和尹東柱改變悲慘現實的方法進行考察。李陸史沒有選擇逃避或屈服,而是正視社會現實,幷爲了改變這種現實,進行了不斷的斗爭。李陸史沒有到达克爾凱郭爾宗敎性存在的階段,但在他短暫的一生中,通过参加抗日战争和在詩中表达斗争精神,實現了現實和精神的统一,形成了獨特的文學風格。尹東柱克服了恐懼、厌煩、憂鬱、絶望等消極悲觀情绪,成爲“孤獨地站立于上帝之前的存在”。他意識到神的愛,并且把這種愛從個別擴大到對大衆的博愛,達到了宗敎存在階段。爲抵抗日本帝國主義侵略,李陸史通過行動和作品表達對美好未來的期望和对未來的把握;尹東柱受基督敎影響,實踐了西方的存在主義,为韓国近代精神史的形成做出了貢獻。 李陸史和尹東柱作为日本帝國主義侵略后期韓国的抗日詩人代表,展現了當時韓国文學界的兩種抗日方式。一是直接參加抗日戰爭幷与文學創作結合,二是通過不斷的自我反省改變和超越現實。這兩種方法旣重疊交錯,又各具特色,是日本侵略時期韓国民族文學能够流傳下来的重要原因。 Lee Yuksa (1904-1944), born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was once actively engaged in the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nvasion in the time of Korea being the colony of Japan, and died in a prison in Beijing just 6 months before Korea recovery. Lee, jailed for many times in his life, was living in poverty and danger. Yun Dongju (1917-1945), born in Beijian Province, was once arrested in the name of participation in independent war by the local police during his overseas studies in Japan and later died in Fukuoka prison. Both are the representative anti-Japanese poets in that crucial period. This thesis, based upon current researches, is to analyze both Lee’s and Yun’s internal Existentialism and the reflection in their poems, by means of Aabye Kierkegaard’s Three Periods Theory. Through disclosure of the poems’ taking shape, Existentialism comes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ologies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he First Section of Chapter II analyzes the background at the end of Japanese invasion as well as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poem area. Both Lee’s and Yun’s existential mentality and literature resistance are examined in the Second Section. Lee, a revolutionary intellectual, tried, in the primary stage, to subvert the dark social reality by participation of anti-Japanese movement, which was in contrast to Yun, who strived for the success of anti-Japanese invasion by consistent pursuit of internal purity and self-reflection. Chapter III conducts a further research upon the formation of their poems. Immersing in traditional education at a young age paved solid mental foundation for Lee’s poem creation. Lee’s though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lassic and contemporary literature, Luxun’s social revolutionary mentality and HSU Chih-mo’s Aesthetic movement in particular, as well as European literature and philosophy. Yun was born into a Christian family and developed a great interest in literature. He was influenced by the Existentialism of Aabye Kierkegaard, as well as the Modernism of Jeong Ji-yong and Hometown mentality of Beek Sok. The First Section of Chapter IV employs the Aesthetic Stage theory of Aabye Kierkegaard to conduct an in-depth research upon the Lee’s poems in the time of roaming far away from the hometown, as well as Yun’s conception and children’s poems at an early stage. In addition, Lee’s experience of many arrests and long time roaming was clearly reflected by those descriptions of desolate hometowns and roaming lif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Yun’s perceptional image in his early poems is an example that he realized the value of his being limited existence. The Second Section of Chapter IV puts that both Lee and Yun sought ethical responsibility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ude reality. Lee never gave up hopes for future and displayed, in contrast, a strong will to fight the Japanese invaders. Lee promoted the effectiveness of his poems by adding unique ideology in his lyrics. Yun chose continuous self-reflection of his own heart, rather than engage in the resistance movement, to show his limitless love for his peoples and compatriots, and to further express his hope for the future. The Third Section of Chapter IV shows how the two poets overcome the miserable reality. Lee chose neither to escape nor to succumb to reality. He had a good idea of the social background and launched ceaseless fights. In his short life, although Lee did not reach the zenith of religious existence, he realized the unity of action and ideal. In accordance, Lee’s own lyrical characteristics took shape in the course of resistance and fights. Yun became the lonely being in front of God, by overcoming such pessimistice motions as fear, boredom, gloom and despair. Yun finally came up to religious existence, by first being consciou softhelove of God and the next ending it to the universal love forth epublic. For the purpose of resisting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ts, Lee made full use of his action and poems to express his hope and precise judgment for the future. Influenced by Christianity, Yun brought the Western Existentialism into exercise and contributed to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history in Korea. Actually, Lee and Yun were two typicalanti-Japanese poets in Korean literature. One is to participate in to war and try to find the knot point with literature; the other is to overcome and surpass reality by continuous self-reflection. The two methods, embedded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despite of some overlaps, were just an important reason for Korean literature to pass down in the time of Japanes einvasion. 이육사(李陸史, 1904-1944)는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나 항일 독립 운동을 하다가 광복 직전에 중국 북경의 감옥에서 옥사했다. 그의 생애는 부단한 옥고와 빈궁으로 점철된 너무나도 험준한 행로였다고 할 수 있다. 윤동주(尹東柱, 1917-1945)는 일제치하 정치․문화적으로 소외된 북간도에서 태어나 장남으로 성장하여 일본에서 유학하는 중에 독립운동 혐의를 받고 일본 순경에게 검거되었으며, 후쿠오카 감옥에서 억울하게 옥사하여 짧은 생을 마감했다. 두 시인은 한국 일제 말기에 실존적 저항시를 쓴 대표적인 시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육사와 윤동주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히고, 그러한 의식이 어떻게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가와 그들이 추구하는 시의 존재론적 모색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의 성과를 계승하여 실존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육사와 윤동주 시의 중심 원리로 작용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이들 시의 특징을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Ⅱ장 1절에서는 일제 말기의 시대상과 시의 전개, 특징을 살펴보고, 2절에서는 이육사와 윤동주의 현실인식과 문학적 대응방법을 검토하였다. 이육사가 혁명적 지식인으로서 암울한 시대상을 미래지향적 의지로 초극하려고 하였다면, 윤동주는 외부 현실의 억압을 순수성의 회복을 위한 내적 각성의 계기로 받아들이고 신앙적 반성을 통해 실존의식을 추구했다. Ⅲ장에서는 이육사와 윤동주의 실존적 시의식 형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육사는 어렸을 때부터 전통적인 서당식 교육을 통해서 그의 지성과 문학적 소양의 기틀을 마련해 주는 동양의 경서와 외집 등 고전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제와 대면하는 과정에 중국의 근대 사상을 계몽하는 작가 노신, 유미주의 시인 서지마, 그리고 러시아의 실존주의 철학자 셰스토프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수용했다. 윤동주는 대학의 선배 시인인 정지용을 통해 모더니즘의 창작 방법과 원리를 받아들임으로써 당시 유행하던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관념적 주지주의에서 벗어나 자연친화적인 순수 서정시를 쓰게 되었다. 또한 백석 시의 고향회귀 의식을 통해서 윤동주는 현실에서 황폐화된 고향과 그 어두운 현실에 대한 존재론적 내면 성찰과 근대 주체를 회복하기 위한 신앙시의 출발점을 삼았다. 실존철학에 관심을 가진 윤동주는 그가 즐겨 읽었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의식을 수용하여 부조리한 삶의 어두운 현실 속에서 실존의식과 영성을 지향하는 내적 자아성찰을 모색함으로써 기독교적 가치관 및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실존적 신앙시를 쓰게 되었다. Ⅳ장 1절에서는 키에르케고르 실존철학의 심미적 단계의 이론을 적용하여 이육사의 고향 상실과 표랑의 모습을 담고 있는 시와 윤동주의 초기 관념시와 동시를 살펴보았다. 이육사는 여러 차례의 투옥과 저항운동으로 인하여 고향을 떠난 방랑생활을 그의 시적 모티브로 삼고 있다. 그의 시에는 고향 상실과 그로 인한 표랑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윤동주는 초기의 관념시와 동시에서 심미적 실존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현실 비판적 경향을 보이는 관념시와 고향 상실을 보여주고 있는 동시(童詩)는 그의 실제 삶에서의 실존적 유한성을 드러내고 있다. Ⅳ장 2절에서는 이육사와 윤동주가 일제 말기에 자기 자신을 새로운 주체로 정립하고자 했던 의식과 시적 모색의 방법을 고찰했다. 이육사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미래를 지향하는 의식을 잃지 않고 어두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전통적 지사 의식을 보여주었다. 윤동주는 행동적인 투사로서보다는 내면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시인이고, 동포와 이웃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표시하며 스스로의 반성과 윤리적 의지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 신앙적 구원을 꿈꾸었다. Ⅳ장 3절에서는 이육사와 윤동주가 그들이 놓인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육사는 비극적인 시대 현실에서 도피하거나 굴복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참다운 삶을 추구하는 실존적 존재라는 것을 자각했고 강력한 투쟁과 불굴의 의지로 비극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을 선택했다. 그는 키에르케고르의 종교적 실존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짧은 생애와 시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의 행동과 시 세계에서의 의지를 일관된 체계로 융합시키고 있다. 윤동주는 ‘신 앞에 홀로 선 단독자’로서 절망을 극복하고 현실을 초월하여 그리스도와 동일화를 이루기 위해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화해를 추구한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의식처럼 신의 사랑을 깨닫고 그 사랑을 개별적인 주체의 결단을 통한 자기 사랑에서 보편적인 이웃 사랑으로 확대함으로써 종교적 실존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일제 말기 제국주의의 폭압에 맞서 이육사가 부정적 현실에 대한 초월의지와 미래지향적 실존의식을 보여주었다면, 윤동주는 기독교 의식을 실존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의 근대 정신사를 형성하는 데에 새로운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두 시인은 일제 말기의 어두운 현실 속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