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먼지'의 은유적 상징성에 관한 작품표현연구

        최정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삶의 주변에 존재하는 보잘 것 없고 미미한 사물들은 때때로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가 열리는 순간, 그들은 숭고하고 겸허한 삶의 새로운 이면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인간이란 존재는 살아있는 순간순간마다 생의 의미를 추구하고, 찰나와 같은 삶을 살고 가는 자신의 존재적 한계를 초월하여 영원한 본질과 합일 하고자 애쓴다. 바로 이러한 인간의 생명력은 일상의 어느 날, 어느 순간, 더럽고 비천한 사물들을 향해 새로운 시각과 애정어린 눈길을 보내고, 그를 통해 다차원적인 상징성과 은유를 끌어내는 창조적 지각력을 발휘한다. 이것은 남녀를 불문하여 인간인 우리가 가진 영적 능력이며 예술적 승화력이다. 본 연구는 본인의 일상에서 새롭게 재인식된 '먼지'라는 소재를 모티브로 시작되었다. 인간사회에서 먼지는 더럽고 쓸모 없는 파편으로 청소를 통해 제거되거나 차차 자연스립게 분해되어 사라지는 존재이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존재가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국 세상의 모든 것이 죽고 분해되어 먼지와 같이 사라짐을 생각할 때, 먼지라는 사물은 모든 생명의 가리워진 본질을 드러내는 매우 상징적 오브제인 것을 알게 된다. 육체의 영역 밖의 세계를 두려워하는 인간에게 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존재하는 세계의 진실을 알리며,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먼지입자가 가진 생명력과 그 웅장한 스케일을 통해 우주적 거대함을 느끼게 하고, 생성과 탄생뿐 아니라 사라지고 파편화 되는 것마저도 바로 생명의 운동력임을 느끼게 한다. 또한 먼지의 세계는 어떤 규정할 만한 개념의 틀이나 공식, 질서가 없는 자유분방함으로 생의 비천함 그 자체를 통한 치유와 정화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먼지의 다양한 은유적 상징성을 작품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그 자체로 거대한 생태계이며 우주와 같은 거대함을 가지고, 생성과 소멸이라는 끊임없는 조류를 형성하여 그 자신이 척도가 되어 존재와 무 사이를 오가며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경계가 되는, 먼지의 다양한 은유적 상징성을 살펴보고, 미술사 속에서 비천함을 전략으로 한 작가들의 시도를 살펴봄으로, 비천함 그 자체를 직시함으로 '속(俗)'으로부터 '성(聖)'과 '정화'를 발현케 한 비천한 미술표현의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를 근거로 일상에서 경험하는 비천하고 작은 세계와 무한하고 거대한 우주가 만나는 순간의 심상이 표현된 작품을 제작한다. 본 논문에서 먼지는 불쾌한 공중의 불순물들이라는 관념에서 벗어나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와 방대한 우주의 영역까지 확대된 소재로 연구되었으며, 특별히 먼지를 닦아내는 '걸레'는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행위로서의 걸레질이 아니라 '먼지와 부대끼고 만나는 일상적 체험의 개념'으로 본인이 일상적 삶의 행위를 통해 체험한 먼지의 거룩한 에너지를 상징하는 오브제로 사용되었다. 걸레질은 본인의 행위와 먼지의 만남을 의미하며, 또한 걸레는 실재작품이 놓여지는 장소의 먼지를 닦아냄으로서 주위환경을 작품의 요소로 끌어들이고, 작가의 실재적 체험과 행위를 작품의 요소로 끌어들인다. 먼지와 먼지를 닦는 걸레라는 평범한 일상적 소재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은 '지극히 일상적인 분위기와 초월적인 시적 공간의 경계'에 놓여지도록 의도되었으며, 실제 본인이 일상에서 행하는 청소와 빨래에서 영감을 얻은 퍼포먼스는 사진매체로 기록된 후 작품에 도입되었다. 또한 투명 OHP필름으로 제작된 먼지 이미지는 공간 속에 투명한 막으로 제작되어 파편화되어 사라지는 존재가 가게 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 미지의 영역을 예감하게 하는 비밀스러운 장막, 접촉점이라는 먼지의 은유적 상징성을 드러내며, 부드럽고 얇은 막으로 외부와 내부를 그대로 드러내는 투명함을 통해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두 세계간의 상호침투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제시된 7점의 작품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하고 미미한 사물로 여겨지는 먼지, 그리고 지극히 일상적인 먼지 관련 행위들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은유적 심상을 작품으로 표현함을 통해 조그맣고 유한한 것들의 무한한 거대함과 광대한 생명력을 드러낸다. 또한 우리가 사는 평범한 일상 속에서 지극히 비천한 먼지와 관련행위인 걸레질을 통해 비천함 자체를 직시하고 그 자체를 명상하는 것은 속(俗)으로부터 거룩함을 발현케 하며, '더러운 파편화=곧 죽음'이라는 도식적 경계를 부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의 무한한 세계라고 하는, 현대사회에서 천시되고 잃어버려진 영역과 화해하고자 한다. There are times when little and tiny insignificant objects around us talk to us, and the moment our ears are opened up to hear them, they invite us to the other side of noble and modest life. Human beings pursue the meaning of life in every second of their lives, and make a great effort in order to overcome their instant existence in this life and rather to unite with the eternal nature coming from high above. This very vital power of human beings gives a new and warm attention to dirty unworthy objects in one unexpected moment, and through this, we are able to reveal the creative consciousness bringing out the multi-dimensional symbolism and metaphor out of it. This is a spiritual and artistic power that we human beings possess regardless of ones sex. This study started from having the newly recognized matter, the dust, as my motive, found in my everyday surroundings. In our society, dust is considered to be dirty and useless debris that is removed after our cleaning ritual or just disappearing by being resolved in gradual phase.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every existence in this world is consisted of small particles and that after all, everything disappears resolved as dust after its life span, one can realize that this subject, dust, is the very symbolic object revealing the concealed nature of all lives To human beings afraid of life after this physical world, dust is something that reveals the truth of invisible but existing world, lets us realize the universal immensity through the vital power and grand scale of it, and makes us consider that not only creations and births, but things that get resolved are after all the vital energy. Also, the world of dust reveals recovery and purification through the unrestricted freedom facing up the life lowl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various metaphorical symbolism of dust into the work of ar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based on the various metaphorical symbolisms of dust, it itself the grand ecosystem and having the immensity of the universe, building up an endless current of creation and extinction and making itself the boundary in betwee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world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isting and non-existing being itself the index; and examining the humbleness formerly tried by other artists, looking for the significance of expression in the history of art, we will check out the intention of the expressions used in the despicable art which have revealed the saint and purification coming from the inside out by examining closely into the despicableness itself. In this study, dust is no longer thought of as duty little particles in the air, but rather met as a much greater subject which is expanded to much huge scope as to the invisible world and the area of endless universe. The cloth, especially, has symbolized the holy energy coming from experiencing our everyday experience living and breathing with it, in place of a cleaning tool in our ritual of wiping out dust in our everyday act of cleaning. Wiping out dust signifies the meeting of ones act and the dust. As 'the dust is wiped out from the places of actual articles, the surrounding of articles as well as the artists own experience and act, are drawn into the factors of articles. Moreover, the image of dust in its metaphorical symbolism implies a curtain or a contact point entering the invisible world where all the things become disappeared and the infiltration of two different world throughout transparency showing both sides with soft and thin membrane. This work inspired from the ordinary motive like dust and cloth is intended to put on the boundary of extremely ordinary moment and transcendental poetry, and the performance inspired from ordinary cleaning and washing is photographed before they were adapted to work. Here is the analysis for the 7 pieces of submitted work. Dust, which is considered to be dirty and insignificant objects, and the related acts to it, reveal an unlimited grandness and vital energy of tiny little things expressing work with metaphorical images experienced. And also facing up the humbleness itself through the act of cleaning with the cloth, and meditating it itself alone reveals the holiness out of popularity destroying the schemed boundary, which equals dirty debris with death and, recover the unlimited world of life abandoned and lost in the present society.

      • 천식 환자의 PM2.5와 미량원소의 개인노출농도

        이정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PM2.5) can affect asthma and various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children and the elderly. There are not many studies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of particulate matter(PM2.5) elements in relation to personal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PM2.5).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s and constituents of according to are different from those of indoor or outdoor compositi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may have different health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levels of particulate matter(PM2.5) in asthmatics and to estimate various exposure sources through analysis of trace elements in particulate matter(PM2.5) based on personal exposure. For this study, measuremen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46 asthmatics, children (2 to 12 years old) and adult patients (20 to 70)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measured every 10 seconds of the particulate matter(PM2.5) portable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as an average in one hour analysis.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5.0). In this study, when the particulate matter(PM2.5)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was divided into pediatric and adult, it was 13.9 ㎍/㎥ in children and 18.0 ㎍/㎥ in adults.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2.5) in adult patients was high.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2.5) in ambient was 25.0 ㎍/㎥ for children and 30.0 ㎍/㎥ for adults during each sampling period.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PM2.5) was also high in adult patients.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rticulate matter(PM2.5)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and trace elements showed correlation with 13(As, Ba, Ca, Cu, Fe, I, K, Mn, Pb, S, Se, V, Zn)(p<0.01).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race element group 1 of total personal exposure contains BC as a component of Al, Ti, Sc, Cr, Si, Te, Br and K and is related to outdoor by the influence of road dust, soil. Group 2 exposed to the source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teel and smelter, while group 3 Ca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cooking when burned indoors. The Cd, V, and S components of Group 4 were found to be related to gypsum, wall board, and vacuuming and dusting. As a result, particulate matter(PM2.5) was associated with personal exposure to indoor and outdoor particles in asthmatics. It is necessary to measure indoor, outdoor, and individual exposures at the same time and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indoor and outdoor particulate matter(PM2.5) elements in relation to particulate matter(PM2.5) personal exposure in Ko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not only for sensitive groups but also for the general public.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노출은 어린이와 노인에게 천식을 비롯한 다양한 호흡기 및 심혈관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노출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구성 성분은 실내의 노출 여건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실내에서만 또는 실외에서만 측정된 초미세먼지와 비교했을 때 조성과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이 다르며 건강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 환자들의 공기 중 초미세먼지의 개인 노출 농도 수준과 개인 노출에 따른 미량원소 성분 분석을 통해 다양한 출처에서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천식 유아, 어린이(2세부터 12세 미만), 성인 환자(20대부터 70대) 46명을 대상으로 측정 및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성별, 연령, 가구 수입, 건물 형태, 거주지와 도로변의 거리, 환기 시간 수준 비교, 실내, 실외 머무는 비율 비교 등은 기술 분석을 활용하였다. 초미세먼지 휴대용 측정 기기의 10초마다 측정된 데이터는 한 시간 단위의 평균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초미세먼지 개인 노출 PM2.5농도 수준을 파악하고 주변 도시 대기 PM2.5 농도 비교를 진행하였다. 초미세먼지 내 미량원소는 에너지 분산 X선 형광 분석법(EDXRF)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인노출 PM2.5 농도와 미량 원소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미량 원소 간의 주성분 분석은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회전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 25.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 대부분은 60% 이상이 실내 환경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노출 PM2.5 농도를 소아와 성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소아 13.9 ㎍/㎥, 성인 18.0 ㎍/㎥으로 성인 환자군에서 높았다. 성별에 따른 소아, 성인 각각의 개인노출 농도는 남성이 15.0(9.0-19.2) ㎍/㎥, 18.0(9.4-18.4) ㎍/㎥, 여성이 11.8(7.4-17.9) ㎍/㎥, 16.8(7.9-23.8) ㎍/㎥으로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개인노출 농도는 소아의 경우 7세 이상일 때 15.4(8.0-21.2) ㎍/㎥ , 성인의 경우 60세 이상 일 때 19.4(10.1-22.7) ㎍/㎥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 수입에 따라 개인노출 농도는 소아의 경우 300만원 이상일 때 14.5(8.0-17.4) ㎍/㎥, 성인의 경우 300만원 미만일 때 20.6(12.7-24.4) ㎍/㎥ 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거 형태에 따른 개인노출 농도는 아파트 그룹에서 주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와 도로변의 거리에 따른 개인노출 농도는 소아의 경우 1m 미만인 그룹에서 성인의 경우 1m 이상인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환기 시간에 따른 개인노출 농도는 소아는 환기를 1시간 이상 했을 때, 성인은 1시간 미만으로 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각 샘플링 기간 동안의 환자 거주지 주변 지역 측정망에서 측정된 PM2.5 농도는 소아 25.0 ㎍/㎥, 성인 30.0 ㎍/㎥으로 도시 대기 PM2.5 농도가 앞서 언급한 소아, 성인 개인노출 PM2.5 농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1). 또한, 개인노출 PM2.5 농도와 미량원소 간의 상관분석 결과 20개 중 13개(As, Ba, Ca, Cu, Fe, I, K, Mn, Pb, S, Se, V, Zn)원소가 100% 검출한계 이상의 농도로 검출되었고, 미량원소 중 S의 경우 상관계수 0.73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주성분 분석 결과 전체 개인노출의 미량원소 그룹 1은 Al, Ti, Sc, Cr, Si, Te, Br, K의 성분으로 블랙카본(BC)과 함께 포함되어 외부 차량 배출원이나 도로 먼지의 영향과 같은 실외 공기 성분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배출원에 노출된 그룹 2는 제철, 제련소 관련으로 간주되며, 그룹 3의 Ca 성분은 실내에서 연소 시 조리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룹 4의 Cd, V, S 성분은 석고, 벽판, 청소기 먼지와 관련이 있다고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에 대한 개인노출과 관련하여 초미세먼지 요소의 구성 성분을 조사한 연구는 배출원 관리와 노출 저감에 필요하다. 향후에는 민감 집단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기상 인자와 대기오염물질 인자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미세먼지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심수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발암물질로 규정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최근 몇 년 동안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인체만 아니라 자연이나 생태계 등 다방면으로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악영향으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사전 예측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미세먼지 예측에 기상 모델을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치예보모델에 의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의 예측오류가 지나치게 커서 사실상 예보가 무의미한 실정이다.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 농도에 대한 예측 연구는 기상모델을 이용한 연구 이외에도 기계학습을 이용한 연구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상 요소 데이터와 대기오염물질 요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의 농도를 예측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그 성능을 비교했다. 본 논문에서의 핵심은 기상 요소와 대기오염물질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고 학습된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 예측을 통해 제안된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실험에 쓰인 기상 요소 데이터는 평균 기온, 평균 상대습도, 최대 풍속, 최대 풍속 풍향의 4가지이며 기상청에서 수집했다. 대기오염물질 데이터는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오존(),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농도로서 에어코리아에서 수집했다. 모든 데이터는 2016년부터 3년간 일일 수집된 데이터로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6개 광역시 데이터를 사용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병합, 삭제, 값 재설정의 3가지 전처리 과정을 사용하여 정리했다. 다층 신경망(Multi Layer Perceptron, MLP), 배깅(Bagging) 기법을 사용한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및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KNN)의 4가지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실험했다. 예측성능을 비교한 결과는 모든 광역시에서 랜덤 포레스트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배깅 기법을 적용한 선형회귀 알고리즘이 모든 광역시에서 안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250석 규모 음식점 실내미세먼지의 영향 요인과 저감 방안에 대한 연구

        김동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WHO(세계보건기구)에서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면서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가족단위의 야외활동을 줄이고 실내에서의 쇼핑이나 외식활동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렇게 실내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실내미세먼지의 위험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며, 실내미세먼지농도가 사람에게 위해하지 않은 수치인지 등에 대한 연구사례 또한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단위의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250석 수용규모 음식점의 실내미세먼지농도(PM10, PM2.5)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외미세먼지농도, 실내 방문객 수, 실내 주방요리가 필요한 스테이크 조리 주문건수에 대하여 어떠한 요인이 실내미세먼지농도 가장 영향을 주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자연환기, 공기청정기 또는 환기장치 사용 중에 실내미세먼지농도 저감에 가장 우수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7월∼9월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의 측정결과 국내 기준 대비 약 1.8∼2.2배, 국외 WHO 기준 대비 3.6∼4.0배, PM2.5의 경우 국내 기준 대비 약 3.1∼5.2배, 국외 WHO 기준 대비 약 8.6∼10.2배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개월 동안 PM10의 최대 농도에 비해 PM2.5의 최대 농도가 더욱 높게 나타나 미세먼지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다고 사료된다. 2. 7월∼9월 실외미세먼지농도는 국내 기준 PM10 150 과 PM2.5 50 로 모두 기준 이하였으나 WHO 기준인 PM10 50 과 PM2.5 25 에 비해 PM10은 2∼26 PM2.5는 14∼38 만큼 기준을 초과하였다. 실외미세먼지농도와 실내미세먼지농도와 비교한 결과 측정기간 중 1개월에 1일∼3일은 서로 미세먼지농도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날짜에서는 미세먼지농도 PM10은 최대 10.6배, PM2.5는 최대 91배 차이가 나는 등 실내·외 미세먼지농도차이는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외미세먼지농도와 실내미세먼지농도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3. 7월∼9월 음식점 평균 방문객 수는 19명∼81명이며 이때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13∼89, PM2.5는 22∼114 로 나타났다. 평균 방문객 수가 많은 시간대는 13시와 20시로 점심과 저녁시간인 것을 확인하였다.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가 가장 높은 시간은 20시로 PM10은 64∼77 PM2.5는 91∼114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가 가장 낮은 시간은 7월과 9월은 13시, 8월은 17시로 PM10은 13∼14 PM2.5는 22∼23로 나타났다.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는 저녁시간에 높게 나타났으며, 점심시간에는 평균 방문객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방문객 수의 변화가 실내미세먼지농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4. 스테이크 주문건수는 방문객 수가 약 700명인 일요일에 약 98건으로 가장 많았으나 방문객 수 대비 스테이크 주문건수는 약 14∼18%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일에는 방문객 수가 약 350명으로 일요일에 비해 절반 정도 수준이나 스테이크 주문건수가 약 71건으로 방문객수 대비 스테이크 주문건수는 약 21∼23%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8∼9월 공휴일에는 방문객수가 700명 이상 이었으나 실제 스테이크 주문건수는 58건으로 방문객 수 대비 스테이크 주문건수는 약 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 7∼9월 스테이크 주문건수에 따른 실내미세먼지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추세선을 나타낸 결과 결정계수(R2)가 0.92∼0.95로 1에 가깝게 나타나 스테이크 주문건수와 실내미세먼지농도는 거의 비슷한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주방 조리가 필요한 스테이크의 주문건수와 실내미세먼지농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6. 미세먼지 저감 실험에서 재실인원 5명이 실험 장소에 앉아 있거나 가벼운 움직임이 있는 정도일 때 실내미세먼지농도는 PM10은 31, PM2.5는 10.8로 나타났다. 자연환기를 하였을 때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20.1 으로 평균제거율은 35.2%, PM2.5는 7.3 로 평균제거율은 32.4%로 나타났다.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경우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22.4 으로 평균제거율은 27.7%, PM2.5는 8.3 로 평균제거율은 23.1%로 나타났다. 자연환기를 사용하거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였을 때 평균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2.3 , PM2.5는 1.0 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평균제거율은 자연환기를 사용하였을 때가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7.5%, PM2.5는 9.3%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PM10보다 PM2.5의 평균제거율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스테이크 요리 시 공기청정기만 사용하였을 때 실내미세먼지농도 평균제거율은 PM10은 19.1∼24.3%, PM2.5는 22.8∼29.4%, 환기장치만 사용하였을 때 실내미세먼지농도 평균제거율은 PM10은 41.9∼61.2%, PM2.5는 45.0∼68.6%임을 확인하였다. 환기장치를 사용하였을 때가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22.8∼36.9%, PM2.5는 22.2∼39.2%더 저감시켜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 실내미세먼지농도 평균제거율은 PM10은 67.4∼73.1%, PM2.5는 52.6∼78.2%로 환기장치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실내미세먼지농도 PM10은 11.9∼25.5%, PM2.5는 7.6∼9.6% 더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음식점에서 실내미세먼지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실내 주방 조리로 인한 요인으로 나타나났다. 미세먼지저감 실험 결과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은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며, 그 다음은 환기장치 사용, 효과가 적은 방법은 공기청정기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점에서 조리를 할 때에는 환기장치를 사용하거나 공기청정기를 추가하여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실내미세먼지농도를 줄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또는 개방형 주방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음식점 내의 미세먼지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Recently the fine dust of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been classified as a first carcinogen and the risk of fine dust has emerged. With this, people tend to reduce outdoor activities on a family basis, preferring to shop indoors and eating out activities. However, in such a situation, people are concentrated in the room, the danger of indoor fine dust can not be overlooked, and research cases such as indoor dust concentration not being harmed to human beings are not enough It is a fa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PM 2.5) of a restaurant with a capacity of 250 seats, which is frequently used by people in the family unit, was measured. And outdoor dust concentration, indoor visit, all the factors concerning the number of steak dish orders requiring indoor kitchen cuisine affect the most influence on indoor dust concent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through experiments, let's examine what is the best thing to reduce indoor dust concentration while using natural ventilation, air purifiers and ventilation equip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easurement result of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from July to September Approximately 1.8 to 2.2 times the domestic standard ratio, 3.6 to 4.0 times the overseas WHO standard ratio, about 2.5 to 5.2 times compared to the domestic standard for the PM 2.5, compared with the domestic standard WHO It was found that it exceeds about 8.6 to 10.2 times compared with the standard. Especially during the 3 months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PM 2.5 appears even higher than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PM 10, and the problem caused by fine dust is considered to be serious. 2. Outdoor dust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e criteria for both domestic standard PM 10150 and PM 2.550 in July to September but compared with PM 1050 and PM 2.525 which is the WHO standard, PM 10 is 2 to 26 PM 2.5 is 14 ~ 38 exceeded the standard.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outdoor dust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was similar to each other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from 1 day to 3 days a month, but on other days, the dust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indoor / outdoor dust concentration greatly varied, such as maximum 10.6 times PM 10 and maximum 91 times difference of PM 2.5.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outdoor dust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3. From July to September,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to restaurants was 19 to 81 people, and 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10 at this time was 13 to 89, and PM 2.5 was 22 to 114. We confirmed that the hours during which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is high are 13:00 and 20:00, the time of lunch and dinner. Time with the highest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is 20 o'clock PM 10 is 64 to 77 PM 2.5 is 91 to 114, 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is the lowest at 13 o'clock in July and September, and 7 o'clock PM 10 in August 13 - 14 PM 2.5 was 22 - 23. 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appeared very much in the evening time, and at lunch time, despite the large number of average visitors, it was not displayed very much.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visitors will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4. The number of steak orders was the largest at about 98 visits on Sundays with about 700 visitors, but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of steak orders was only about 14 to 18% compared to the number of visitors. However, on weekdays the number of visitors was about 350 people compared with Sunday level and the number of steak orders was about 71, compared to the number of visitors, the number of steak orders was high at about 21 to 23%. Especially in the period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number of visitors was over 700 on holidays, but the actual number of steak orders could be visited with 58 cases and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of orders for steaks was only about 8% . 5. The data on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eak orders was compiled from July to September and the number of display steak orders and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which are close to 1 with the result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showing the trend line of 0.92 to 0.95 are almos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similar surf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orders of steaks that require kitchen cooking and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6. In a fine dust reduction experiment sitting at the experimental place of 5 people in the room, or in some cases of light movement,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was 31 days for PM 10 and 10.8 for PM 2.5.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was 20.1 when natural ventilation was performed,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35.2%, the PM 2.5 was 7.3, and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32.4%. When using an air purifier, 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10 was 22.4,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27.7%, the PM 2.5 was 8.3, and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23.1%. The averag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when natural ventilation was used or when using an air purifier was 2.3, and the PM 2.5 was 1.0, showing almost no difference. The average removal rate was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of 7.5% and the PM 2.5 of 9.3% than when using the air purifier when natural ventilation was used, and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the PM 10 and the PM 10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rate was better. 7. When only the air cleaner at the time of steak cooking was used, the average removal rate of indoor dust concentration was 19.1 to 24.3% for PM 10, 22.8 to 29.4% for PM 2.5, and when only the ventilator was used, room du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removal rate of the concentration was 41.9 to 61.2% for PM 10 and 45.0 to 68.6% for PM 2.5. It was found that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PM 10 was reduced from 22.8 to 36.9% and the PM 2.5 was reduced from 22.2 to 39.2%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air cleaner when the ventilator was used and i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n air cleaner or a ventilator at the same time, the average removal rate of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was 67.4 to 73.1% for PM 10 and 52.6 to 78.2% for PM 2.5, which is lower than the case where only the ventilator was used, Concentration PM 10 was confirmed to be 11.9 to 25.5%, PM 2.5 to be 7.6 to 9.6%,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more excellent. Result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door dust concentration at restaurants was shown as a factor due to indoor kitchen cooking. As a result of experiment for reducing fine dust, the most effective method is to use air purifiers and ventilators at the same time, the next step is to use ventilation equipment, the less effective way is to use air purifier only I understood. Therefore, when cooking in a restaurant, using a ventilator or adding an air purifier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reduce indoor dust concentration. It is judged that it is reasonable to independently configure the open kitchen so as not to affect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restaurant.

      • 都市鐵道 微細먼지 發生量 豫測을 위한 레일과 車輛 部品 磨耗量 分析

        윤천주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대도시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도시철도에서 미세먼지 발생량 예측을 위하여, 도시철도 시스템의 주요 미세먼지 발생요인인 레일 마모량과 차량 부품의 마모량 분석 연구를 통해서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도시철도 터널의 미세먼지 농도는 여러 가지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총 발생량에서 각종 제거요인에 의해 제거되는 양을 차감되고 여러 가지 변동요인에 의해 변동되는 양이 반영되어 최종적으로 측정되어지는 결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의 미세먼지와 관련한 인자를 발생인자, 제거인자, 변동인자 3가지로 정의하고, 그 인자별로 요인들을 분류하였다. 미세먼지 총 발생량 산정을 위해서는 발생인자를 식별하고, 발생인자의 요인별로 발생량을 산정하여 합산하여야 한다. 발생인자는 레일요인, 차량요인, 전차선요인, 기타발생요인 4가지로 분류하였고, 4가지 발생요인 중에 주요요인인 레일요인과 차량요인에 의해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여, 대상노선 전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양을 예측하였다. 레일요인은 레일 마모에 의한 요인으로 일정기간 동안에 마모된 레일의 마모 데이터를 분석하여 레일 마모량을 산출하여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레일 마모 데이터는 대표적 측정 지표인 편마모 C0와 직마모 V0 값을 이용하여, 구간평균 및 노선평균 레일 마모량을 산출하였다. 측정된 레일 마모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마모 단면적 및 마모체적과 마모질량을 구하고, 마모질량이 총 먼지(TSP)로 전환되는 비율과 총 먼지가 미세먼지(PM-10)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이용하여, 레일요인인 레일 마모에 의한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차량요인은 차륜 마모, 제동장치 및 집전장치 부품의 마모, 그리고 기타 주공기압축기 오일, 그리스 등으로 구분하였다. 차륜 마모는 일정기간 동안 차륜 직경(D)와 후렌지 두께(FT)의 마모량 측정값을 이용하여, 마모 단면적 및 마모체적과 마모질량을 산출하여, 레일 마모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제동장치 부품 제륜자 및 라이닝 제륜자 2종류와 집전장치 부품 주습판, 보조습판, 고체윤활제 3종류의 연간 사용량을 조사하였고, 부품의 교환기준에 따른 마모체적 및 마모질량을 산출하여,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도시철도 시스템에서 미세먼지 주요 발생요인으로 레일요인은 레일 마모량을 차량요인은 차량 부품의 마모량을 각각 분석하여 미세먼지 발생량을 산출하였고, 그 산출결과를 합산하여 미세먼지 총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S호선의 1일 동안 미세먼지 총 발생량은 10.063kg이며, 이를 10ton⋅km로 환산하면 18.667㎎/10ton⋅km로 산정되었다.

      • 응축성 먼지 및 2차 먼지의 통합관리를 위한 배출원 미세먼지 Potentials 산정방법 및 적용방안 연구

        안윤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행 먼지, SO2, NO2 세가지 오염물질 발생량의 합으로 산정되는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관리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최근 빈발하는 고농도 미세먼지의 생성원인인 전구물질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응축성 먼지 및 2차 먼지의 통합관리를 위한 배출원 미세먼지 Potentials 산정방법 및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응축성 먼지 및 2차 먼지의 생성메카니즘과 전구물질의 미세먼지 전환계수 및 미세먼지 형성 Potential, 기여율 등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고찰한 결과, 국가별, 지역별, 문헌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1차 PM과 NH3에 의한 PM2.5 형성율이 높았고, NOx의 전환율이 과소평가되었으며, VOC는 제외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미세먼지로 인한 위해성이 높아지고 시민들이 불안을 느끼는 시기는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시이므로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고농도시에는 질산염(NO3-)이 차지하는 비율이 저농도시보다 약 3배 정도 높았고, 저농도시에는 황산염과 유기탄소가 주요성분이었다. 미세먼지의 저감과 대기오염물질의 통합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1차 먼지, SOx, NOx, NH3, VOC 5가지 전구물질에 대해 대기환경 중에서의 전구물질의 흡습과 산화로 인한 입자의 성장에 따른 질량의 증가를 반영하고 전구물질별 2차 미세먼지 형성율을 감안하여 합산한 양을 미세먼지포텐셜(Particulate Matter Potentials, PMPs)로 정의하고, 5가지의 원칙 및 기본 가정을 전제로 그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PMPs는 각 전구물질 별 미세먼지포텐셜계수와 배출량의 곱을 합산하여 계산하며, 미세먼지포텐셜계수 PMPFi는 PM당량계수(PMEFi)와 PM형성율(PMFRi)의 곱으로 정의하였다. 전구물질의 흡습과 산화로 인한 입자의 성장에 따른 질량의 증가를 반영하여 산정한 PMPF를 비교․검토하기 위해 종합 PMPs지수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종합 PMPs지수는 ‘2.9886’으로, 5가지 전구물질 외의 탄산염이나 Cl이온 등 다른 물질의 존재를 반영하지 못하였고, 최근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에 다소 낮게 추정되었다. 전구물질의 미세먼지포텐셜 활용방안으로 배출원의 미세먼지포텐셜 산정방법을 2015년 CAPSS 배출량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비교․검토하였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management system in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air pollutants that is calculated as the sum of current dust, SO2, and NO2, and to perform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precursors, which are the frequent cause of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the estim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potentials of emission source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condensible particulate matter and the secondary particulate matter was studi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mechanism of generation of condensable PM and secondary PM, the PM conversion factor, and the potential and contribution rate of precursor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country, region, and literature. Overall, PM2.5 formation rate by primary PM and NH3 was high, NOx conversion rate was underestimated, and VOC was mostly exclud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isk due to particulate matter increases and the citizens feel uneasiness, at high concentrations. In addition, nitrate(NO3-) at high concentrations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at low concentration. Meanwhile, at low concentration, sulfate and organic carbon were the main components. In this study, 5 precursors of primary dust, SOx, NOx, NH3 and VOC wer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reduc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air pollutants. Particulate Matter Potentials(PMPs) was defined as summation of mass increase of the precursors i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due to moisture absorption and oxidation and total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rate for each precursor. Also, the estimation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five principles and basic assumptions. PMPs are calculated by summing the product of the particulate matter potential factor and the emission amount for each precursor (PMPFi : the product of the PM equivalent factor(PMEFi) and the PM formation rate (PMFRi)). The total PMP index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PMPF to reflect the increase of the mass due to absorption and oxidation of the precursors. The final PMP index was estimated ‘2.9886’, somewhat lower. This was not reflected in the presence of other substances such as carbonates or Cl ions other than the five precursors, and recently there was a lack of datum that adequately reflected the high concentration of PM. We proposed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M potential of the precursors based on the 2015 CAPSS emission data.

      •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의 보장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허창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the past, when a clean atmosphere was bestowed, breathing clean air was a natural human act. Therefore, there was no particular need to demand “clean air” as a human right. Howeve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ccelerate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hazardous air pollutant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egan to spread, and people began to demand the state to provide conditions for 'breathing clean air'.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and legislation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by enacting the ‘Particulate matter Act’. However, the ‘Particulate matter Act’ is not considered to be based on a constitutional view of the risk of Particulate matter. However, since the Constitution serves as a guide for laws and policies as the highest norm, and acts as a post-regulatory norm by binding all state powers, hence the constitutional research to cope with such 'new threats like Particulate matter' needs to be followed. The first step of the constitutional analysis to solve the problem of Particulate matter risk should begin with clarifying wha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re to be infringed upon by the Particulate matter risk. In that regard, we can refer to the discussions about humanity's 'clean air', such as' Right to Clean Air 'and' Right to breathe Clean Air', which are recently being enforced by Europea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United Nations. The question is whether Korea can recognize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as the basic right of the people not as one the basic rights listed in the Constitution. Since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originates from the ‘right to life, health, and environment’, it has significant meaning as a constitutional right, and public consensus on the need for protection of such basic right is instigated by the spread of risk knowledge of Particulate matt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ublic consensus has been formed, that its concept and means of realization are clear, and that its uniqueness is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ly recognized basic rights, it must be interpreted that the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can be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onstitution. Therefore according to Article 10,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the state is obliged to guarantee the people's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through the following suggested practices. First,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have a duty to improve the underrepresented statement of the ‘Particulate matter Act’ in order to ensure the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In particular, the ‘Particulate matter Act’ needs to stipulate the transparent disclosure and dissemination of 'Particulate matter-related information' to the public, provide protection for vulnerable groups, establish the provision of a request to secure national finances, and enforce a legal binding of the Particulate matter standard under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actively pursue environmental diplomacy with China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articulate matter coming from foreign atmosphere. Second, the court is obliged to take into account that the “guaranteed right to enjoy clean air” is ensu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islation for specific disputable cases. Third, the Constitutional Court directly bears the obligation to guarantee the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through unconstitutional examination in the course of the constitutional lawsuit against the Particulate matter Act. In particular,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derive an interpretation that considers ‘The Right to enjoy Clean Air’ is based on from an important basic right, such as the right to life, in its criterion for unconstitutionality. 청정한 대기가 유지되던 과거에는 ‘깨끗한 공기를 마시는 것’은 자연스러운 인간의 행위였다. 따라서 ‘깨끗한 공기’에 관하여 특별히 인간의 권리로 인정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산업화와 함께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자연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의 위해성의 정보가 국민들에게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국가에 대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적극적인 규제 조치를 할 것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국가는 국민적 요구에 따라 미세먼지법을 제정·시행하는 등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하였다. 헌법은 최고규범으로서 법률·정책들의 지침이 되고, 모든 국가권력을 기속하여 사후적인 통제규범으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미세먼지와 같은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헌법적 차원의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행 미세먼지법은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대한 헌법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기초로 마련되었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헌법적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헌법적 분석의 첫 걸음은, 미세먼지의 위해성으로 인하여 침해되는 국민의 기본권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최근 유럽의 환경단체들과 UN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Right to Clean Air’ 내지 ‘Right to breathe Clean Air’와 같은 인간의 ‘깨끗한 공기권’에 관한 논의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우리나라에서도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기본권’으로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Right to Clean Air)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할 수 있을지가 문제된다. 그런데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는 헌법상 생명권·건강권·환경권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헌법적 권리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대한 지식의 전파로 인하여 현재 그러한 기본권의 보호필요성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념과 실현수단이 명확하고, 종래 인정되는 기본권과 구별되는 독자성이 인정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현행 헌법의 해석론으로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가 도출될 수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국가는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의 효력에 구속되어 이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인바, 그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법부와 행정부는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관점에서 ‘미세먼지법령’의 미진한 부분에 대해 개선하고 이를 시행할 의무를 부담한다. 특히 미세먼지법에서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전파하도록 규정하고, 취약집단의 보호를 위하여 국가재정의 우선적인 확보요청규정을 두고, 환경정책기본법상의 미세먼지 기준에 법적인 구속력을 부여하는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과의 적극적인 환경외교를 추진할 의무가 있다. 둘째, 법원은 구체적 분쟁사건에서 법령을 해석함에 있어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가 보장받을 수 있도록 배려할 의무를 부담한다. 헌법재판소는 미세먼지법령에 대한 헌법소송의 과정에서 위헌심사를 통해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를 보장할 의무를 직접적으로 부담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깨끗한 공기를 향유할 권리’가 생명권과 같은 중요한 기본권에서 도출된다는 점을 구체적인 해석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 공간분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미세먼저 농도 예측

        안남준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의 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해지면서 1995년부터 PM10의 미세먼지에 대한 본격적인 관리가 시작되어 관측소가 곳곳에 세워졌고 환경기준도 이때 도입되고 2015년부터는 PM2.5 초미세먼지에 대한 환경기준이 도입되고 대응도 달라지니 조금 더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의 제공이 필요하다. 에어코리아 공개 대상 측정망 현황을 보면 352개의 측정소에 불가하여 측정소와 거리가 떨어진 지역은 여러 환경 요인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가 다를 것이고, 정확한 고농도 미세먼지 단계별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세먼지 측정이 불가능한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근접 지역의 정보를 활용하는 공간 분석과 이를 예측하는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제 미세먼지 측정기가 있는 곳에 측정기가 없다는 가정으로 측정기 지역의 기상관측데이터, 유동인구, 유해시설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구현을 통하여 예측된 미세먼지 농도와 실제 미세먼지 측정기의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기술을 통해 미세먼지 측정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충분히 예측함을 보인다. As air pollution from domestic dusts became worse, the management of PM10's fine dust started from 1995, and observatories were established everywhere. Environmental standards were introduced at this time, and environmental standards for PM2.5 ultrafine dust were introduced from 2015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accurat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Airkorea, there are 352 measurement sites and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efficient technique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a reg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fine dust.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spatial analysis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nearby region where fine dust measurement is possible and the machine learning to predict it. In addition, in this thesis,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measuring instrument in the place where the actual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 is located. Using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harmful facility data of the measuring area, the predict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actual fine dust measuring device concentration By comparis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technique sufficiently predi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region where the fine dust measurement is impossible.

      • '먼지보고서' 작품론 : 'Dust', 'Dust in Dust', '먼지가 되어가는 중' 작업을 중심으로

        주병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먼지’에 대한 사진 작품 보고서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먼지는 하찮고 유해한 존재로 인식되지만, 먼지의 생성원인과 순기능을 살펴보면 먼지는 완전히 새로운 의미가 된다. 본 연구는 먼지가 작품의 중요한 소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먼지의 특성을 활용해 시각화하며, 제시된 먼지를 통해서 인간의 삶에 대해 사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물리적, 종교적,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먼지를 서술하고, 먼지 또는 하찮은 존재를 대상으로 작업한 에르빈 부름, 쉬 빙, 구본창, 온 카와라 작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먼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탐구하고 관찰하면서, 먼지와 연구자의 삶을 연결시켜 작품화하였다. 첫 번째 작업 ‘Dust’에서는 먼지의 생성원리와 먼지가 범죄 수사에서 중요한 단서로 작용한다는 점을 활용하여, 방 안에 쌓인 먼지가 지난날의 흔적을 담고 있는 기록이 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이러한 먼지를 시간의 흔적을 담는 기록물로써 제시하였다. 두 번째 작업 ‘Dust in Dust’에서는 시간성과 장소성이라는 먼지의 특성을 활용하여, 특정 공간의 먼지가 가지는 성질에 대해 고찰하여 작품으로 시각화하였다. 세 번째 작업 ‘먼지가 되어가는 중’에서는 먼지의 물성을 탐구한 결과를 통해서 먼지가 왜 인간과 필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종교적 측면에서 이야기하였다. 나아가 먼지를 보다 먼지답게 기록하기 위한 그 과정을 서술하면서, 먼지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사진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물로써의 먼지를 시각화하여 먼지가 작품의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하찮게 여겨지던 먼지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돕고, 먼지를 통해 인간의 삶을 고찰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자는 추후에도 먼지와 같이 하찮은 존재들을 관찰하고 탐구하며, 그 안에 존재하는 가치를 발견하여 작품화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report on photographs of ‘dust,’ which I sugges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Dust is usually considered insignificant and even harmful matter to human beings. However, an in-depth look at the cause of its generation and its positive function gives a completely new meaning to dus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dust can serve as important subject matter for a work of art, to visualize dust by making use of its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a way to better understand human life through the suggested understanding of dust. For this purpose, I have described dust from a physical,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 and then reviewed previous works by such artists as Erwin Wurm, Xu Bing, Bohn-Chang Koo, and On Kawara, who have all worked with dust or other insignificant object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 have attempted to observe and investigate about dust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connect dust and my life in my works. In the first work titled ‘Dust,’ I have paid attention to how dust is generated and the fact that dust may offer an important clue in criminal investigation. In so doing, I have shown that a room layered with dust can be a record of traces of the past days, thereby presenting dust as a record of traces of time. In the second work titled ‘Dust in Dust,’ I have visu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dust within a specific time and pla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dust. The third work titl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Dust’ delves into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inevitable relation between dust and humans,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dust. Furthermore, I have attempted to express dust in my photographs in an attempt to record the full meaning of dust as it is. This study has visualized dust, which records something, and provided a basis for the possibility that dust may serve as important subject matter of works of ar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viewing dust, which has been considered insignificant, from a new perspective, and helping to understand human life in light of its relation to dust. This study has also given me the motive to further observe and explore other insignificant entities like dust, and find their values and express them in my works.

      •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먼지 검출 센서 시스템 개발

        김동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먼지 검출 센서 시스템을 통해 먼지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센서의 개발을 제안한다. 최근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각광 받고 있는 청소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법, 위치인식, 핵심 부품개발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센서부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먼지 검출 장치는 먼지의 종류와 양을 판단함으로써 청소로봇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개발 하였다. 개발 된 먼지 검출장치는 한 개의 발광부와 다섯 개의 수광부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 센서에서 쏘아진 빛은 수광 센서로 들어오면서 먼지 검출장치를 통과하는 먼지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 투과되고 반사되어 빛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다섯 개의 수광 센서의 빛의 양의 변화를 통해 Pixel Based Dust similarity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분석 후 먼지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확인한다.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 베드를 통해 실제 실험을 진행하고 중력을 이용한 먼지 검출 장치 테스트베드를 사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트랩을 사용 결과를 확인한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 dust detection sensor system capable of identifying types of dust for an improvement of a robot vacuum cleaner. Recently, robot vacuum cleaners have been developing in various fields. Performance improvement has been researched such as navigation, location aware, development of important components. Accordingly, sensor parts are researched actively. The dust detection sensor system is composed of a set of infra-red sensors: a single transmitter and multiple receivers. Given the fixed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e amount of light coming in multiple receiver sensor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and density of dust that is passing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s. Therefore, the type of dust can be identified by means of observing the change of the amount of light from the receiver sensors. For experiments, we use test bed using gravity and two types of dust, rice and sesame,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