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소비자를 위한 RTD주류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허진영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경제와 문화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시각적 안목은 과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를 자극시키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는 과거의 문화에서 이제는 술을 가볍게 즐기는 음주 문화가 확산되면서 주류시장은 문화를 주도하는 젊은층 타깃을 사로잡기 위한 제품을 내놓게 되는데 가장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RTD(Ready To Drink : 저도주)주류다. 특히 여성은 자본주의가 형성된 이래 꾸준한 구매력을 가진 소비자이므로 그에 따라 주류시장도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RTD주류가 등장 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저도주의 매출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여성의 구매 비율이 67.5%에 달한다고 한다. 순한 소주와 탄산, 과즙을 첨가해 달고 상큼한 맛을 내는 RTD주류는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실 때 부담이 적은 것을 선호하게 된 배경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런 RTD주류는 과일의 맛과 도수를 제외하면 크게 차이가 없기에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RTD주류 패키지디자인의 국내·해외 사례 연구와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구매력이 높은 20대 30대 여성소비자를 중심으로 타깃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RTD주류의 패키지디자인 사례분석과 여성소비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서로 일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국내·해외 RTD주류 사례에 분석 차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라벨 메인이미지는 타이포 중심이 사례연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소비자 선호도에서는 과일이미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표현방법에서는 로고강조형이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였다. 색상에서는 푸른색계열이 사례연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소비자 선호도에서는 붉은색계열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용기유형별에서도 일반형이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익숙한 형태의 용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다음으로 높은 선호도를 얻은 잡기 편한 슬림형 또한 좀 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용기재질에서도 투명유리가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였으며, 이는 투명유리재질의 고급스러움이 RTD주류의 색상과 이미지와 잘 어울려져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RTD주류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향후 제작 방향과 디자인 발전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스트레스와 의복디자인 선호도간의 상관연구 : 성인남여를 중심으로

        이영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8670

        本 硏究는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精神的 불안·갈등·긴장 등으로 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成人이 選好하는 衣服디자인을 비교·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硏究對象은 서울과 충주지방에 거주하는 成人 250명으로 임의 標集하였으며, 1987年 9월 26 일부터 10월 14일 사이에 조사·실시되었다. 측정도구로는 Holmes의 SRRS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검사를 했으며, 衣服디자인 選好度 검사는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만든후 信賴度 檢査를 받아 사용하였다. 資料分析은 스트레스 변인과 衣服디자인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이 둘간의 유의한 차이의 검증을 위해 t-test, x^2-test, F-test 검사를 하였다.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衣服디자인 選好度와 스트레스 上·下집단간에는 部分的으로 有意한 差異가 있었다. 1) 衣服의 色相選好에서는, 기본색 5가지중에서 有意한 差異를 나타내었는데 스트레스 上집단이 파랑色과 보라色을, 스트레스 下집단이 빨강色을 選好하였다. 色의 特性 즉, 명도·채도·배색에서는 有意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衣服의 形態選好에 있어서는 선·디테일·스타일중, 선에서만 有意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스트레스 上집단이 下집단에 비해 곡선을 선호하였다. 둘째, 衣服디자인 선호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즉, 성별·연령·교육수준·결혼여부·종교유무 별로본 스트레스 上·下집단 간에는 部分的으로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1) 성별과 의복형태 선호에 있어서 男子는 디테일에서, 女子는 선과 스타일에서 有意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男子의 스트레스 上집단은 下집단에 비해 단순한 디테일을 선호하였고, 女子의 스트레스 上집단은 下집단에 비해 곡선과 정장스타일을 선호하였다. 2) 연령과 의복형태 선호에 있어서는 선에서만 有意한 차이를 보여 특히 30대의 스트레스 上집단이 下집단에 비해 곡선을 선호하였다. 3) 결혼여부와 의복형태 선호에 있어서도 선에서만 有意한 차이를 보여 특히, 기혼자의 스트레스 上집단이 下집단에 비해 곡선을 선호하였다. 4) 교육수준과 의복형태 선호에 있어서도 線에서 有意한 차이를 보여 특히, 대학졸업자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上집단이 下집단에 비해 곡선을 선호하였다. 5) 종교유무와 의복형태 선호에 있어서는 선과 디테일에서 有意한 차이를 나타내어 종교를 지닌 자의 스트레스 上집단이 下집단에 비해 곡선을 선호하였고, 종교를 지니지 않은 자의 스트레스 上집단은 下집단에 비해 단순한 디테일을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y relations between social life stress and clothing preference. The objects of study were randomly sampled among dwelless in Seoul and Chung Ju distract from September 26 through October 14th. As for survey methods, Holmes' SRRS was used for stress test and clothing preference test was newly devised sefersing the precedent studies and used after reliability test. As for data analysis the hespectiv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Stress Variance and clothing preference variance were calculated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verified through t-test, 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artially verified in clothing preference between the higher-stressed groups and lower-stressed groups. 1) As for Costume Colors Pre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rified only as to Munsell's 5 basic colors i.e. Higher-stressed groups prefersed blue and purple and Lower-stressed groups r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as to color characteristic i.e. Value, chroma and color schemes. 2) As for costume form preference among line, detail and sty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only as to line i.e. Higher-stressed groups preferred curved line compared to lower-stressed groups. Secondl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othing preference were partially between statistic of population classified higher-stressed groups and lower-stressed groups. 1) As for costume form preference i) Sexuality and form p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for male as to detail and for female as to line and style. Especially female Higher-stressed groups preferenced simple detail. Curved line and formal style compared to female lower-stressed groups. ii) Age and form p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only as to line i.e. higher-stressed group thirties preferred curved line compared to lower-stressed group. iii) Marriage and form p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only as to line i.e. marrised higher-stressed group preferred curved line compared to lower-stressed group. iv) Religion and form p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as to line and detail i.e. religions higher-stressed group preferred curved line compared to lower-stressed group and non-religions higher-stressed group preferred simple detail compared to lower-stressed group. 2) As for costume Color Preference; i) Sexuality and color p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verified as to mean colors and achromatic colors i.e. Male preferred ivory and white, female olive pink and black. Among col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as to chroma i.e. male preferred low chroma, female high chroma. ii) Age and color prefer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as to color preference and among col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as to value preference i.e. the thirties and the forties prefersed high values and the twenties low values. iii) Education and color preference: among various colors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only as to achromatic colors i.e. the college graduates preferred white, undergraduates black and the high school graduates mean grey. Among col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as to value i.e. the undergraduates preferred low values and the college graduates and the high school graduates high value.

      • 성인 여성의 가치관과 구두디자인 선호도

        권미영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0

        Thie study was an attempt to survey, the relationships between asult women's values and preference of dress shoes design in buying dress shoes. For the measurement of values scale was to relect the theoretical, economic, aesthetic,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values explained by Allport-Vernon. The considered attribute in buying dress shoes considerd of design, utility, merchandise and contains 11factors separately. The questionnaire were asministered to a sample of asult women(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lives in Seoul, Kyong-gi province, Korea) For the preference rate of dress shoes design, design factors were classified by style, color, qualit, ornament and contain 17 factors separately. The data for 304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x²-test, Pearson product-moment, frequency distribution, ANOVA.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 ; 1. Aesthetic value was the most important of adult women values and religious value was the least important of asult women values, political, religious values were contrary to each other. 2. Inthe study between values and the consideration rate for the attribute of dress shoe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 in all vales. In the attribute of design, a group which theoretical values are low and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high considerd the style and the ornament,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high considered the color in buying dress shoes. In the attribute of utility,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low considered the comfort and lightness in buying dress shoes than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hihg did. In the attribute of merchandise, in cluding harmony with trend, price, bramd a group which theoretical, economical values are low and aesthetic value are high considered the harmony with clothing, trend in buying dress shoes and a grop which aesthetic values are low and religious value are high considered the price, a group which political values are high considered the brand. 3. In the study between values and the preference rate for dress shoes desig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all values except for political and the factor of dress shoes design. Especially, according to aesthetic values and social values, there was the difference for the preference in cluding color, quality, ornament in design factor. That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eference for dress shoes design. In the study for preference rate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there wer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yle but all groups prefferd style over normal. In color preference, a group which economical values are low preferred white color and brilliant color more than a group which economical values are low did. And a group which aesthetic, religious values are high preferred white color and brilliant color more than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high preferred black color and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high preferred brown color. In quality preference,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low preferred swade more than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high did. And a group which economical values are high preferred leather more than a group which economical values are low did. And a group which political values are high preferred patterned material more than a group which political values are low did. In ornament preference, all groups preferred dress shoes without are orna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ornamen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esthetic values and social, political, that is,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high and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low preferred the ornament of trimming ornament more than a group which aesthetic, political values are low and a group which social values are high did. Also, a group which aesthetic values are high preferred ribbon ornament more than aesthetic values are low did.

      • 액티브시니어세대의 헤어디자인 선호도 분석연구

        설숙자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depends on the strengthening and the revitalization of women's social abilities in active seniors. Actually, the present age demands that women give vividness to their images in strategic side of beauty design. Modern people attempt to pursue a constant change for a new expression of image and make every effort to diversify hair styles. As active seniors are no exception to this current, they direct their attention to the communicational image as expression and social exchange for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ferential causes by hair styles based upon the action type in characteristics of cosmetic care,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n cosmetic care of hair styles by population statistics of the elderly, to inquire into the preferential causes of hair style by action type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consumers' desire on hair design, an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n hair care of the elderly. The objects of research were active seniors(elderly women) as consumers of 23 beauty salons in Daegu City and of 50 beauty salons in Pohang City. The method of research was question and answer by paper, and the paper was composed of items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Such items were to searc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and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to them. The items left were to sear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 care and th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desire of hair design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i-square test and SPSS 12.0 program were applied to them. As a result of analytical analysis, the necessity of specialization in the side of development for hair design of the elderly was raised. And the necessities of investigation 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hair trend with researches on the individual design for consumers and the diversified trend for active seniors were drawn. A general tendency of respondents is as follows. Respondents who have a great interest in external features select themselves daringly for satisfaction, by selecting and expressing a daring style. People who have a large income try to change and control their hair styles. In conclusion, they have the same intention in relation to hair styles, namely, natural colors and styles. Because such causes control their own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taste of the elderly in hair style in order to specialize a field of hair design, by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Above all things, hair designers try to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reflect the latest fashion, and change past recognitions on consumers. Besides, they must develop individual methods and various trends for hair care and get foreknowledge of hair trend.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air design for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al and the various researches on analysis of hair trend will be continued.

      • 여중생의 교복 디자인 선호도와 체형 유형에 따른 패턴 설계

        김주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7

        It was study of school uniform pattern for middle school girls somatotype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design of middle school girls and research and analyze the somatotype of middle school girls to suggest uniform pattern that corresponds with school girls' aesthetic sense of value and fits good on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iddle school girls dissatisfied highly on design of present uniforms and they wanted to be altered was design with highest rate. So there should be some improvement in design. The items that need alternating were design, various size, and colors order. In detail, they wanted to change designs of collar and waist line etc. About items of the material, color and details, the preference to synthetic fiber was the highest which does not wrinkle easily and solid color without any pattern and different colors for each jacket and skirt were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favorite items for uniform they chose were black jacket and grey skirt. About Jackets, they wanted tailored collar, one button double adjust and waist long jacket combination. About Skirts, they wanted grey color, over knee length, and box-pleated skirt with stitches line combination. So there should be improvement in design reflected of their preference. 2. The somatotypes of the middle school girls were intended to be categorized for the highly applicable clothes design that reflects the clothes design. For this, the 3 middle schools in Jeonju were selected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317 middle school girls between the age of 12-15. The items of measurement are related to the body shape of middle school girls, clothes design and size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total of 50 items. For the basic data of clothes design was judg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body shapes related to the tops and bottoms would be rational; hence, it is classified into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body to extract the body shape consistent fa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e upper body consistent was extracted as the 4 items: upper body circumference, upper body length, breast development, and arm length. It was displayed as 75.26% explicability. The lower body consistent factors are extracted as lower body height, lower body circumference, hip length, and rear shape with 78.62% explicability. To categorize the body shape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each factor score is made into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group analysis. As a result, the upper body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with weak development of horizontal factors and long arms and ‘upper body with big breast’ with relatively short arts and developed breasts. The lower body was categorized as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with large and long hip length compared to other body shape and ‘standard lowerbody’ body shape which th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items all showed smaller value compared to the glamour body shape. 3. This study designed and present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that is suitable for the physical figure of middle school girls, providing a good fit and appearance. It finally design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after passing through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test study,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dressing test. Based on these experiments a new jacket and skirt pattern are created with the features as shown in the following. 1)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arm’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8.7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3.6cm larger than the B/6 while th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6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bust breadth was B/4+2.5cm and back bust breadth was B/4+1.5cm. ⑥ The width of the back neck was applied 8.5cm. ⑦ As to the length of a nipple, shoulder, it applied the real measurement. ⑧ The waist breadth was made 4cm larger than the waist circumference measure(W/4+1cm) ⑨ As to the height of sleeve cap height, it set it to A.H/3+1 from the armhole of jacket pattern, and as for the height of a sleeve, it applied the measurement of the sleeve length, 2)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big breast’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9.5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5cm larger than the B/6 whil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and back bust breadth was B/4+2.5cm. 3) The skirt pattern for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① The front and back hip breadth was made H/4+1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4) The skirt pattern for 'standard lower body’ ① The front hip breadth was H/4+1.7cm, the back hip breadth was H/4+0.7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With the resulting clothing, it is hoped that middle school girls would be able to develop an improved sense of social stability.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clothing industry would find this pattern a helpful tool in their pursuit of satisfying the demand of the middle school girls.

      •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정민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19

        현대사회에서 감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도 감성적 디자인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웹을 단순한 정보 습득의 목적 뿐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에 맞는 웹사이트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 구축 단계에서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개성과 감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적 측면에 접근하여 해당 브랜드만의 독창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성디자인 요소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여 감성요인과 브랜드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커피음료 중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로 한정하였다. 이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첫째, 브랜드 및 웹 인터페이스와 감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브랜드와 감성, 그리고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감성척도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본 연구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웹사이트만의 감성어휘를 도출하였다. 셋째, 조사의 표본이 될 5개의 브랜드 웹사이트를 선정하고, 1,2차의 설문조사를 거쳐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디자인 요소에 관한 실증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토대로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감성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에서 브랜드 선호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디자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의 구매 욕구 자극과 브랜드 웹사이트의 재방문 여부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 증가의 가장 큰 이유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두 집단 모두 디자인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같은 결과 내에서 일반인에 비해 전문가에서 디자인에 대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선호도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 요소는 색채로 조사되었다. 브랜드 선호도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은 이미 다른 연구결과에서도 검증된 사실이며, 본 논문의 웹사이트 감성디자인에서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감성디자인을 위한 방안으로서, 무엇보다 사용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감성에 접목한 다양한 디자인 계획을 세울 것을 제시한다. 소비자 및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그들의 감성은 브랜드 선호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웹사이트에서도 차별화된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감성적 측면에 접근하여 시대에 맞는 감성디자인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브랜드 웹사이트 디자인은 사이트의 목적과 컨텐츠 및 사용자의 욕구에 따른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As emotion is soared up as an important keyword in the modern society, emotional design begins to take important position even in web interface design. Users are utilizing web for the purpose to simply acquire information, as well as, for tools to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and are requiring those web sites suitable for one's own personality. Accordingly, designers should grasp what users want to satisfy user's personality and emotion from beginning stage to construct web site, and build a creative identity belonged only to the corresponding brand by approaching the emotional aspects of users based on it.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otional design elements in web interface design over brand preference, and cle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lements and brand preferenc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web sites for can, cup coffee brand among coffer beverages. To induce the result suitable for this purpose, first, we looked around brand and emotion, and their relation with design element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n brand, web interface and emotion. Second, we derived emotional vocabularies suitable only for concrete, systemic web site after looking around previous researches on emotional scale. Third, we selected 5 brand web sites to be samples for survey, and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for emotional design elements available to influence brand preference after the first, second questionnaires. We suggested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web interface emotional design to improve brand preference based on this result. We could sum up results of this research underwent these processes as followings. First,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brand preference among many elements in the web site for can, cup coffee brand, and it was proved to have direct effects for stimulating the purchasing desire of brand and revisiting of brand web site. Both ordinary people group and specialist group all concluded design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preference, and design group showed more high concentration on design than ordinary people group based on the same conclusion. Second, the design element to stimulate user's emotion was color for brand preference in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lor in brand preference was already verified in the result of other researches, and the same result was derived from the web site emotional design of this paper. Third, we suggested to establish various design plans grafted with user's emotion after looking around user's desire first as a plan for web interface emotional design to improve brand pre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lifestyle of consumer and user are changing fast, their emotion is directly connected with brand preference,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emotional design suitable for period by approaching the emotional aspects of users to strengthen differentiated brand power even in web site. Brand web site design needs design strategics in accordance with site's purpose, contents and user's desire, and we t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emotional design of web interface to back up it.

      • 간판의 기능과 디자인 요소가 고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광역시 간판개선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김현옥 한밭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7

        도시가 발달하고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상인들은 판매증진을 위한 1차 홍보 수단으로 ‘간판’을 적극 활용한다. 이렇듯 간판이 도시에서 매장을 운영하는 상인들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되면서 최근 옥외광고 시장도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설치된 간판은 도시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도시경관을 해치고 있다. 이러한 간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 지역별로 간판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다. 그 주된 이유는 간판제작 시 해당 점포의 위치표시를 시각적 흡인효과에만 의존하고, 획일화된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건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간판은 도시의 주거, 자연 및 상업 환경 등 사람들이 계속 접하는 거의 모든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간판은 고객들에게 교통정보 및 생활안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자인적, 기능적 요소를 적용하여 고객과 공간의 상호적인 연결효과를 제고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도시환경 개선에 기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판의 디자인적 요소 및 기능적 요소가 고객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152명의 전문가(간판 또는 디자인 종사자) 및 비전문가(고객,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간판의 기능은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제공 기능과 기업 이미지측면 기능이 고객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간판디자인 요소인 색채요소는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사색 간판이 고객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간판디자인 요소인 간판디자인 구성요소는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체타입은 고객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명품 브랜드 핸드백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연구 : 20~40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아영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03

        단조롭고 획일적인 한국 사회에서 최근 명품 브랜드의 소비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급격히 증가하는 명품 구매 제품 중, 해외 명품 브랜드들 매출과 핸드백 비중 및 인지도가 높은 6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여성들이 주로 구매하는 고가의 명품 핸드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주 소비층인 20~40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어떠한 디자인 요소에 가치를 부여 하고, 어떠한 브랜드 특성을 선호하는지 실증적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 및 직업 등에 따른 디자인 및 브랜드 선호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핸드백의 디자인 및 브랜드 가치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 졌으며, 핸드백 주 소비층인 20~4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2014년 5월 23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 조사하여 23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핸드백의 기능적인 측면을 분석한 결과, 캐주얼용, medium 크기, 숄더 착용방법을 선호하였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핸드백을 구입 시 사용 편의성 보다 디자인을 더 중시하며, 보관 관리의 용이성, 데일리 백(사용빈도)으로 사용여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 일수록 핸드백을 더 많이 구매하였으며, 20대 보다는 30대가 정장용 선호도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대학생/대학원생)이 직장인, 가정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일리 백 사용여부를 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핸드백 디자인 측면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기본 컬러인 블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재로서는 소가죽을 선호하는 반면에 관리가 어렵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스웨이드를 기피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외관상으로 브랜드를 더 부각시키는 요소(로고 및 화려한 패턴)의 제품은 40대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단순한 민무늬 디자인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대마다 선호하는 브랜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핸드백 브랜드 선호도에서 20대는 프라다를 30대 이상은 샤넬을 가장 선호했다. 또 핸드백 구입 시 고려하는 브랜드의 정통성(역사), 핸드백 전문 브랜드 등을 중요시 하는 요소로 나타났지만, 유명인의 사용 제품을 전적으로 선호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명품을 맹목적으로 과시하던 과거와는 달라진 소비자들의 디자인 및 브랜드 선호도를 좀 더 세분화하여 브랜드 마케팅에 반영하였음 한다.

      • 로봇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뇌파분석 적용에 관한 연구 : 산업용 양팔로봇의 형태적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조은경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03

        Enormous amounts of resources and number of personnel are invested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oming future by using the robot industry as a driving force for national growth. In the past, the robot is primarily used in some special fields requiring professionalism, such as industry, medical, military, universe and agriculture, but the development field of it is gradually extended into the scope of daily life. As the robot is introduced into the life scope of human beings,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individual which interacts with human beings, beyond a general product, a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 on the 'robot design' is emphasized. The scenario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s of the stage of design development show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robot design and product design process. As the robot is required to not only perform jobs and deliver information but also conduct th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human beings, the proces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product design occurs. In order to understand subjective feelings and measure emotional satisfactions in establishing characters of robot design,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are frequently used.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which allows subjects to express their subjective favorites as scores, needs careful attention in designing the questionnaire with objectivity, accuracy, validity,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avoid psychological distortion even if well-designed evaluation mode and questions are used. In order to overcome such a weakness of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e psycho-shysio-logical measurements should be increased, and especially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is one of them. As a scale of favorite, EEG has an advantage in that emotional responses of subjects can be analyzed in real time, and the psychological distortions can be avoided by using objective and direct psycho-shysio-logical measurements, rather than users' subjective evalu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overcome many problems of the pyschophysical evalu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 data of robot favorite and EEG data of subjects who perceive form images of robots and explores availability of EEG according to robot design. The industrial dual-arm robot design is applied to study on development cases by verifying the EEG analysis method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orm favorite of the robot design and providing a guideline regarding form favorite analysis method of industrial dual-arm robot design using EEG. 로봇산업을 국가차원의 성장 원동력으로 삼아 다가오는 미래에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과거 로봇의 활용분야는 산업, 의료, 군사, 우주, 농업 등 전문성이 요구 되는 특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었지만 로봇 개발영역은 점진적으로 인간의 일상생활 범위까지 확대되고 있다. 로봇이 인간 생활 범위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로봇은 인간과 일반적인 제품 이상의 상호작용을 하는 커뮤니케이션 개체로 인식 하게 됨에 따라 ‘로봇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로봇 디자인 프로세스와 일반적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의 캐릭터 설정과 시나리오 개발이다. 로봇은 사람과의 사이에서 정보 전달이나 직무 수행만이 아니라 ‘감성’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로봇디자인에 프로세스에서는 일반적인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는 다른 과정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로봇 디자인의 캐릭터 설정에서의 주관적인 느낌을 파악하고 감성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심물리적 스케일(pyschophysical scales)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피험자에게 주관적인 선호도를 점수로 표현하게 하는 심물리적 평가 방법은 객관성, 정확성, 타당성, 신뢰성, 가용성을 갖는 설문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잘 고안된 평가 양식과 질문을 이용하더라도 평가과정에서 심리적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이러한 설문지를 이용한 심물리적 스케일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심생리적인(Psycho-physio-logical)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EEG(electroenceph-alogram; 뇌파)이다. EEG는 선호도의 척도로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보다 객관적이고 직접적인 심생리적 측정 방법을 이용하면 심리적 왜곡을 피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피험자의 감성 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심물리적 평가 방법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자 로봇의 형태 이미지를 지각하는 피험자의 뇌파 데이터와 로봇 선호도 설문지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로봇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른 뇌파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로봇 디자인의 형태적 선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뇌파분석 방법을 확인하고, 뇌파를 이용한 로봇 디자인의 형태적 선호도 분석 방법을 가이드라인화 하여 산업용 양팔로봇 디자인을 개발 사례 연구에 적용하였다.

      • 헤어스타일 고객선호도와 디자인 특성분석 : 2014년 방영된 TV드라마 여배우 중심으로

        박인용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03

        With the increase of the customers requiring the actress hairstyle at the hair salon,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ir preferenc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actress hair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actress hairstyle appearing in soap operas by design element and analyze the factor and hairstyle design characteristics considered for customers to get their hairstyle pu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76 dramas selected through the survey of contemporary pieces telecasted in MBC, KBS, KBS2, SBS, Jtbc and tvN in 2014. And it attempted to analyze a total of 460 photos of two profiles and two appearances from behind of each of 230 selected actresses appearing in dramas and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30 female customers aged their 20s and 30s visiting this researcher's shop. It attempted to dividie the form into length, volume and silhouette as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to analyze the texture by dividing it into curl and straight hairstyle and the color by dividing it into hue, brightness and chroma.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criteria for the choice of hairstyle based on customer preference include the taste experienced by customers, the psychology of imitating the entertainer and a desire to complement the defect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Second, the respondents in getting their hairstyle put considered long hair, abundant volume in relation to form, natural and thick 'S' curls in relation to texture and medium brightness in relation to the color. Third, the customers gets information on hairstyle through actresses and chose hairstyle preference but chose their hairstyle on the basis of their taste and the complementation of the defects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This implies that marketing should be conducted by making use of many-sided counseling for their tastes and the defects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for customers and design elements and suggests that it shows an possibility of the marketing strategy at the hair salon. 헤어살롱에서 여배우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하는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여배우 헤어스타일 선호도와 디자인 특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에 출연한 여배우 헤어스타일을 디자인 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고객이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할 때 고려하는 요인과 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2014년도 MBC, KBS, KBS2, SBS, Jtbc,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중 현대물을 전수 조사하여 선정한 76편이다. 드라마에 출연한 여배우 230명을 선정하여 각 앞모습, 옆모습이 캡처된 사진 2장씩 총 460장을 자료 분석하였고, 분석 대상은 연구자 샵에 내방하는 20, 30대 여성 고객 30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 하였다. 분석기준은 형태를 길이, 단차, 볼륨, 실루엣으로 나누었고, 질감은 컬과 스트레이트로 구분하였으며, 컬러는 명도, 색조, 색도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 선호도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택 기준은 본인의 취향에 의한 선택, 연예인 모방심리에 의한 선택, 본인 외모 결점 보완을 위한 선택이다. 둘째, 헤어스타일을 시술하고자 할 때 형태는 길이가 긴 헤어와 풍성한 볼륨, 질감은 자연스럽고 굵은 S컬, 컬러는 중명도 계열의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였다. 셋째, 고객은 여배우를 통해 헤어스타일 정보를 얻어 스타일을 선택하지만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할 때 본인 취향과 외모결점 보완 등에 의해 선택한다. 이는 고객 취향과 외모 결점 보완을 위한 다각적인 상담과 디자인 요소에 따른 특성을 활용한 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의 제언점은 고객과 디자인 요소가 드러나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며 헤어살롱에서 고객 맞춤 서비스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