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연구 : 행정법원법의 자족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를 중심으로

        강지웅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Eigenständigkeit des deutschen Verwaltungsprozesses bezüglich der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 und des Verweisungssystems der Verwaltungsgerichtsordnung (VwGO). Hinsichtlich des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s ist die koreanische Verwaltungsprozessordnung (K-VwPO) lückenhaft, daher verweist der Generalverweis in §8 Abs. 2 K-VwPO bei der Lückenfüllung allgemein auf das gesamte koreanische Gerichtsverfassungsgesetz, die Zivilprozessordnung (K-ZPO) und die Zivilvollstreckungsordnung (K-ZVO).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im koreanischen Recht sind die K-ZPO und K-ZVO entsprechend anzuwenden, wenn die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dies nicht ausschließen. Es fehlt aber an konkreter und systematischer Forschung zur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die der Verweisung auf die K-ZPO und K-ZVO im Verwaltungsprozess Grenzen setzt. Zur Lösung dieses Problems ist die VwGO zu erforschen, die verschiedenen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en und ein differenziertes System der abgestuften Übertragung von Zivilprozessrecht in das verwaltungsgerichtliche Verfahren enthält. Die deutsche Verwaltungsgerichtsbarkeit entstand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als Kompromiss zwischen dem justizstaatlichen Modell und dem Modell der Administrativjustiz in Anlehnung an den Zivilprozess. Während die Zuständigkeit der Verwaltungsgerichtsbarkeit unter Einfluss des justizstaatlichen Modells eng begrenzt war, wurde die strukturelle Ungleichheit der Beteiligten, das multipolare Prozessverhältnis und der Untersuchungsgrundsatz unter Einfluss des Modells der Administrativjustiz eingeführt. Nach dem Zweiten Weltkrieg wurde dann die deutsche Verwaltungsgerichtsbarkeit vollständig zum justizstaatlichen Modell umgebaut, das auf den subjektiven Rechtsschutz zentriert war. Das heutige deutsche Verwaltungsprozess bezweckt in erster Linie den Individualrechtsschutz, auf die die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ausgerichtet ist, dadurch mangelt es an Eigenständigkeit gegenüber dem Zivilprozess. Die objektive Funktionen wie Kontrollfunktion und Rechtsfortbildungsfunktion werden jedoch auch als weitere wichtige Funktionen des Verwaltungsprozesses anerkannt, und diese Funktionen prägen die Verwaltungsgerichtsbarkeit. Die Funktionen des Verwaltungsprozesses wirken sich auf das gesamte Gerichtsverfahren aus. Bezüglich der Rechtswegzuständigkeit steht die verwaltungsaktbezogenen Klagearten im Zentrum des Verwaltungsprozesses und sind manch öffentlich-rechtliche Streitigkeiten wie etwa Amtshaftung und die Höhe der Entschädigung wegen Enteignung an den ordentlichen Rechtsweg zugewiesen. Der umfassende Rechtsschutz gegen die öffentliche Gewalt wird aber einerseits gem. Art. 19 Abs. 4 GG gewährt, andererseits gibt es Klagearten, die nur objektive Funktionen erfüllen, wie das Normenkontrollverfahren in §47 VwGO. Darüber hinaus spiegeln sich die Besonderheit des Verwaltungsakts im Vorverfahren, in der Klagefrist und im einstweiligen Rechtsschutz wider. Hinsichtlich der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ist die mögliche individuelle Rechtsverletzung Voraussetzung der gerichtlichen Kontrolle (§42 Abs. 2 VwGO) und sind die bereits erfolgte Rechtsverletzungen durch die Behörde in der Regel Gegenstand der Überprüfung (§113 Abs. 1 und Abs. 5 VwGO). §42 Abs. 2 VwGO und §113 Abs. 1 S. 1 und Abs. 5 VwGO binden also den Rechtsschutz an die Verletzung von subjektiven Rechten. Außerdem ist die Beschränkung der Wirkung eines Urteils auf die Beteiligten des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s Ausdruck eines dem Individualrechtsschutz dienenden Prozessrechts. Hinsichtlich des Prozessverhältnises verteilen sich die Parteirollen formell, um ein geordnetes kontradiktorisches Verfahren zu ermöglichen. Diese festgelegten Prozessrollen sind Ausdruck der Ungleichheit der Parteien im Verwaltungsprozess. Außerdem ist die Beteiligung eines Dritten zur Verfolgung eigener Interessen Ausdruck des multipolaren Rechtsschutzverfahrens. Hinsichtlich der Verfahrensgrundsätze macht sich die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bemerkbar. Wegen der umfassenden Rechtsbindung der Verwaltung, ist die Verfügungsbefugnis der Behörde über den Streitgegenstand im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 erheblich eingeschränkter als im Zivilprozess. Außerdem stellt der Untersuchungsgrundsatz sicher, dass die Kontrolle der Verwaltung nicht durch eine Verfälschung der Tatsachengrundlage versagt. Dadurch gewährleistet der Untersuchungsgrundsatz die Kontrollfunktion und die Verfolgung des öffentlichen Interesses bei der jeweiligen Verwaltungsentscheidung. Der Kompromiss zwischen dem justizstaatlichen Modell und dem Modell der Administrativjustiz spiegelt sich auch in der Form und Systematik der VwGO selbst wider. Die VwGO enthält einerseits eine Reihe von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en und verfolgt den Anspruch einer vollständigen Kodifikation. Andererseits regelt die VwGO nicht das gesamte Gerichtsverfahren im Detail in eigenständigen Regelungen, vielmehr bedient sie sich eines differenzierten Systems der drei Arten von Verweisungen auf die ZPO. Spezialverweis ohne Voraussetzungen verweist auf bestimmte Regelungen der ZPO und stellt die Anwendbarkeit der in Bezug genommenen Regelungen außer Frage. Spezialverweis mit Abweichungsvorbehalt verweist auf beide ein relativ großes Normintervall (Beweisaufnahme und Vollstreckung) und stellt die Anwendung der konkret in Bezug genommenen ZPO-Regelungen unter die negative Voraussetzung, dass die VwGO keine Abweichungen enthält. Dagegen erlaubt der Generalverweis die Anwendung der ZPO nur, wenn eine Regelungslücke und die Vergleichbarkeit der zu regelnden Sachverhalte vorliegen. Der koreanische Verwaltungsprozess ist im Hinblick auf die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und das Prozessverhältnis eigenständiger als der deutsche Verwaltungsprozess, jedoch weniger eigenständig in Bezug auf den Klagegegenstand, die Klagearten und Verfahrensgrundsätze. Der Generalverweis in §8 Abs. 2 ist tatsächlich die einzige Verweisung in der K-VwPO, so dass es unvermeidlich ist, dass eine beträchtliche Anzahl von Regelungen der K-ZPO und K-ZVO hierdurch entsprechend anzuwenden sind. Es bedarf jedoch einer eingehenden Prüfung, ob eine planwidrige Unvollständigkeit und die Vergleichbarkeit der zu regelnden Sachverhalte vorliegen. Dabei kann die funktionale und prozessuale Eigenständigkeit der Verwaltungsgerichtsbarkeit das Beurteilungskriterium sein. Während im Regelungsbereich mit relativ schwacher Eigenständigkeit sich die Anwendbarkeit der K-ZPO-Regelung nach den üblichen Prüfungsmaßstab zu klären hat, ist sie im Regelungsbereich mit relativ starker Eigenständigkeit nach den strengen Prüfungsmaßstab zu klären. 본 논문은 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을 행정법원법의 자족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를 중심으로 다룬다. 우리나라의 행정소송법은 행정재판절차를 망라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고, 제8조 제2항에서 법원조직법과 민사소송법 및 민사집행법의 규정을 포괄적으로 준용함으로써 그 공백을 메운다. 통설은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을 통해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이 준용된다고 본다. 그러나 민사소송법 준용의 기준이 되는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구체적ㆍ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상당한 정도의 자족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세분화된 준용체계를 지닌 독일 행정법원법을 살펴보게 되었다. 독일 행정소송은 19세기 후반에 행정국가 모델과 사법국가 모델의 절충을 통해 민사소송을 모방하여 생성되었다. 재판관할은 사법국가 모델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송관계인의 구조적 불평등과 多極的 소송법관계 그리고 직권탐지주의는 행정국가 모델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그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행정소송은 주관적 권리구제 중심의 사법국가 모델로 전면 재구성되었다. 현재의 독일 행정소송은 민사소송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권리구제를 최우선 목적으로 삼는 주관소송적 구조를 띠고 있으므로, 민사소송에 대한 독자성을 갖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행정통제 기능과 법형성 기능 같은 객관적 기능도 행정소송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으로 인정되며, 이것이 행정소송의 독자성을 이루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독일 행정소송의 기능상 독자성이 소송절차 전반에 미친 영향을 소송제도의 핵심을 이루는 네 개의 기둥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면, 각각의 기둥별로 독자성의 정도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기둥인 소송의 대상과 유형에 관하여 보면, 행정행위 개념을 기준으로 재판관할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독자성이 약하나, 공법적 행정작용에 관하여 포괄적 권리구제가 보장되고 객관적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소송유형이 있는 점, 행정행위의 특수성이 반영된 소송요건과 가구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는 독자성이 있다. 두 번째 기둥인 소송의 구조는 ‘권리침해’가 원고적격과 본안요건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이루고 있고 판결의 효력이 상대효를 갖는 등 철저히 주관소송적 구조를 띠고 있어 독자성이 약하다. 세 번째 기둥인 소송법관계의 경우, 원고와 피고 행정청 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전제로 소송상 지위와 역할이 부여되고, 계쟁 행정작용을 둘러싼 多極的 이해관계가 형량ㆍ조정된다는 점에서 강한 독자성을 띤다. 네 번째 기둥인 심리원칙의 경우, 행정에 대한 법적 구속으로 말미암아 피고 행정청의 소송물에 관한 처분권이 좁게 인정되고, 소송자료의 수집책임에 관하여 직권탐지주의를 채택함으로써 정확한 사실관계에 기초한 효과적인 행정통제를 추구하므로, 이 영역도 독자성이 강하다. 행정국가 모델과 사법국가 모델의 절충은 행정법원법 자체의 형태와 체계에도 반영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상당한 정도의 자족성을 갖춘 행정법원법이 마련되어 있고 행정소송에 관한 독자적이며 완전한 규율을 목표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세 가지 유형의 준용규정을 두어 민사소송법을 준용하는 범위와 한계를 세밀하게 규율한다. 제1유형인 ‘유보조건 없는 특별준용규정’은 인용된 준용대상 규정이 가장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그 준용대상 규정을 준용하는 데 있어 별도의 요건이 필요 없다. 제2유형인 ‘상충하는 규정이 유보된 특별준용규정’은 행정법원법이 독자적인 규율을 추구하는 증거조사와 집행 분야를 그 규율대상으로 삼고 있다. 준용대상 규정의 범위가 제1유형보다 넓은 대신에 구체성은 덜하고, 준용 여부가 행정법원법에 상충하는 규정이 없을 것이라는 소극적 요건에 달려 있다. 제3유형인 ‘일반준용규정’은 준용대상 규정을 구체적으로 인용하지 않고 법률 전체를 포괄적으로 인용하는 대신, 규율의 공백과 규율대상 간의 유사성이 모두 인정되어야만 준용이 허용된다. 우리나라의 행정소송은 소송의 구조와 소송법관계에 관하여는 독일 행정소송보다 독자성이 강하나, 소송의 대상ㆍ유형과 심리원칙에서는 독자성이 약하다. 또한 우리 행정소송법은 자족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준용규정이 사실상 제8조 제2항 한 개밖에 없으므로, 이를 통해 상당수의 민사소송법 규정을 준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다만, 위 조항은 일반준용규정이므로, 입법자의 계획에 반하는 불완전성이 있는지, 규율대상 간의 유사성이 인정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를 거쳐야 한다. 이때 행정소송의 기능상ㆍ절차상 독자성이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즉, 독자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나는 규율영역에서는 통상의 심사기준에 따라 민사소송법 규정의 준용 여부를 판단하고, 독자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영역에서는 엄격한 심사기준에 따라 민사소송법 규정의 준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 국제법상 일방적 행위 : 법적 의무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을 중심으로

        조성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06

        Due to the classical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something as that is only formed through agreement between state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legal effects of unilateral acts in international law. Sinc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recognized the legal effects of unilateral declarations in the 1974 Nuclear Tests cases and dealt with unilateral declarations capable of creating legal obligations as a key issue during the 1986 Frontier Dispute case and the 2006 Armed Activities case, it has become apparent that unilateral acts may indeed have legal effects. However the relevant legal regulations have remained unclear. While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adopted Guiding Principles applicable to unilateral declarations of states capable of creating legal obligations in 2006 in order to promote the codification and progressiv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as it pertains to unilateral acts, the rulings dealing with this matter remain underdeveloped. Unilateral act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ubject, addressee, and form, but it is more common to categorize them by their legal effects. Traditionally, unilateral acts have been categorized as recognition, protest, waiver, and promise according to their intended effects, but notification can also be included among these categories. While the ILC Special Rapporteur has distinguished unilateral acts, according to their intended legal effect, into the reaffirmation of rights and the assumption of obligations, this categorization is problematic in that there are some acts that may be placed under both categories and acts that cannot be included in either category. Some have argued that unilateral acts do not need to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types. However, the categoriz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gal effects of real-world unilateral acts and to develop rules that pertain to them. Among the varieties of unilateral acts, unilateral declarations of states capable of creating legal obligations have been most frequently featured in international jurisprudence and scholarly discussions. Many works have attempted to clarify the basis of the legally binding effect of such declarations, cit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principle of estoppel, the principle of pacta sunt servanda, presumed consent, presumed reliance, protection of the trust and expectations of another subject, and international legal provisions that regulate unilateral declarations. Among them,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binding effect is produced by the sovereign will for self-restraint is the most persuasive. While some have argued that unilateral declarations should be treated as a unique type of treaty, a close 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of a unilateral act reveals that this perspective is flawed. Whether unilateral declarations should be seen as the source of law or the source of legal obligations is ultimately determined by one’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as a legal system. Four conditions must be fulfilled in order for a unilateral declaration to have legal effect. First, while the unilateral declaration in question need not be performed publicly, it must be known to the addressee. Second, the individual making the declaration must have the personal capacity to issue such unilateral declarations. When considering the nature of unilateral declarations, an overly broad recognition of such a capacity is not desirable, and in this sense the ICJ’s attitude may be said to be problematic. Third, there is no question that a unilateral declaration would be void if it conflicts with jus cogens, but given existing positive law, conflict with other norms would not necessarily render it invalid. Finally, the declaring state must cleary manifest its will to be legally bound by its own declaration. While the obligations that follow form the declaration do not need to be specific, there should not be error, fraud, corruption, or coercion in the will that is expres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whether a unilateral declaration will produce legal binding effects, and the extent of the obligations thereby created, is the intention of the declaring state. Since intention is a subjective concept, however, it needs to be assessed on the basis of objective factors. The content and text of the declaration receive primary consideration, and if legal effect is explicitly stated in them the said legal effects will necessarily follow. However, situational factors such as the declaring state’s attitude toward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its own declaration, whether it was possible for the declaring state to achieve the same goal by concluding treaty as an alternative, whether or not it actually implemented the obligations that follow from its declaration, and whether or not the declaration was made in the context of diplomatic negotiation, judicial proceeding, or political conflict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Preambles and preparatory documents(travaux préparatoires) may also play certain roles, the reaction of the addressee is irrelevant unless it entails obligations on the addressee. Given the basic principle of international law that grants maximum respect to the freedom of sovereign states, unilateral declarations should, as much as possible, be interpreted in a direction that produces no legal binding effects and a minimum of obligations. In other words, while alternative methods of interpreting unilateral declarations do exist, the application of a restrictive interpretation should be the norm. As in other topics in the field, the debate between the objectivist position and the subjectivist position has been ongoing regarding the subject of unilateral acts in international law. As unilateral acts produce legal effect according to the unilateral intention of the acting state,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pursue the formation of legal norms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ist perspective. This will ultimately prove more favorable to the objectivist position’s goal of promoting rule of law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국제법은 국가간의 합의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이라는 고전적인 이해로 인해 국제법상 일방적 행위의 법적 효력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ICJ가 1974년 Nuclear Tests 사건들에서 일방적 선언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고 1986년 Frontier Dispute 사건, 2006년 Armed Activities 사건에서 법적 의무를 창출할 수 있는 일방적 선언을 중요 문제로 다루면서 일방적 행위가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해졌으나 관련 법규는 여전히 불확실했다. 일방적 행위에 대한 국제법의 법전화와 점진적 발전을 위하여 ILC는 2006년 법적 의무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들의 일방적 선언에 적용할 수 있는 지도원칙을 채택하기도 했으나 이 문제에 대한 규율은 여전히 미약하다. 일방적 행위는 그 정의상 다른 주체의 반응이나 수락 없이도 법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주체가 하나의 일방적 행위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독자성을 갖추어야 진정한 일방적 행위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은, 독자성이라는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하든 국제법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국제재판소 판결과 상충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일부 일방적 행위에 대한 특별법 적용 필요성을 일방적 행위의 정의와 혼동한 결과이다. 그 행위로부터 분명한 의도를 도출할 수 있는 한 침묵과 같은 묵시적 행위도 일방적 행위가 될 수 있다. 일방적 행위는 주체, 수신자, 형식 등에 따라 나눌 수 있으나 법적 효력에 따른 분류가 주로 활용된다. 고전적으로 일방적 행위는 승인, 항의, 포기, 약속으로 분류되나 통고도 다른 하나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특별보고자는 일방적 행위를 의도된 효력을 기준으로 권리 재확인과 의무 부담으로 분류했으나, 이 분류에 따르면 어떤 행위는 두 유형에 모두에 속하거나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 일방적 행위의 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으나 현실에서 행해지는 일방적 행위의 효력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규칙을 형성해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방적 행위를 몇 가지로 나누어 이해해야 한다. 일방적 행위 중 판례에서 여러 차례 다루어졌으며 가장 많은 논의가 축적되어 있는, 법적 의무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이 갖는 구속력의 근거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신의성실의 원칙, 금반언의 원칙, 약속 준수의 원칙, 추정된 동의나 의존, 타 주체의 신뢰나 기대 보호, 일방적 선언을 규율하는 국제법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주권적 자기제한 의사가 그 직접적인 근거가 된다는 주장이 가장 합리적이다. 일방적 선언을 조약의 일종으로 보는 관점은 일방적 행위의 정의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이다. 일방적 선언을 국제법의 연원과 의무의 연원 중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국제법 체계에 대한 개인의 근본적 이해에 따라 결정된다. 일방적 선언이 법적 효력을 갖기 위한 요건으로는 네 가지가 있는데, 먼저 그 선언이 공개적으로 행해질 필요는 없지만 수신자는 그 선언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그 선언을 행한 개인이 일방적 선언을 행할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일방적 선언의 특성을 고려할 때 권한을 가진 자를 넓게 인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런 의미에서 국제재판소의 태도에는 문제가 있다. 일방적 선언은 강행규범에 위배될 경우 무효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으나 다른 규범과의 충돌은 실정법상 일방적 선언을 무효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언의 주체는 자신의 선언에 의해 법적 구속을 받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해야 하는데, 그 선언에 따른 의무가 구체적일 필요는 없지만 그 의사에 착오, 기만, 부정, 강박 등 어떤 하자가 있어서는 안 된다. 일방적 선언의 법적 구속력 발생 여부와 선언이 창출하는 의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선언국의 의도이나, 의도는 본질적으로 주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객관적 요소를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선언의 내용과 문언이므로 여기에 법적 효력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효력이 발생할 것이지만 조약을 통한 해결이 가능했는지, 선언국이 그 선언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했으며 선언에 포함된 의무를 실제로 이행했는지, 그 선언이 협상, 사법절차, 분쟁의 맥락에서 채택된 것은 아닌지 등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 서문과 준비문서도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그 선언에 대한 수신자의 반응은 수신자에 의무를 부과되지 않는 한 아무 관련이 없다. 일방적 선언은 국가들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는 국제법의 기본 원칙에 따라 가능한 법적 구속력이 없고 최소의 의무를 부과하는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 일방적 선언을 해석하는 대안적 방식도 있으나 제한적 해석이 원칙이다. 국제법상 일방적 행위라는 주제에 대해서도 다른 국제법 영역에서와 같이 객관주의적 입장과 주관주의적 입장이 대립해 왔는데, 일방적 행위는 행위국의 일방적 의도에 따라 효력을 발생시키는 만큼 객관주의가 지향하는 국제사회의 법치 강화를 위해서도 주관주의적 입장에 따른 규범 형성이 더 바람직하다.

      • 勤勞基準法의 法體系的 位相에 관한 硏究

        한권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704

        우리나라의 노동법학계의 지배적인 견해와 판례는 노동법이 서구에서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근대시민법의 원리를 수정하여 생성되었다는 역사적 연관성을 근거로 근로기준법을 사법(私法)으로서 민법의 특별법으로 파악하고 있고, 이에 따라 어떤 노동문제에 대해 적용할 근로기준법의 규정이 없는 경우 곧바로 민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1953년에 일본의 노동기준법을 참고하여 제정된 우리 근로기준법은 서구와는 다른 사회 ․ 경제적 배경에서 제정되었고, 법의 많은 내용을 참고한 일본과도 그 입법 배경과 목적이 다르다. 즉 서구와 일본에서의 노동법은 근대시민사회의 성립과 더불어 자본주의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를 지탱하던 임노동에 대한 근대시민법적 규율이 한계를 드러내고 많은 노동의 문제를 야기하자 이에 대한 법적 처방책으로 성립한 것임에 반하여 우리 근로기준법은 일제의 식민지배와 아메리카합중국의 군정을 막 벗어난 후 전근대적 농업국가에서 근대산업국가로의 전환을 위해 제정된 기획법으로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초로 하여 서구의 법이론을 맹목적으로 추수해서는 아니 된다는 “탈식민법학”의 관점에서 우리 근대법과 근대법학의 의의에 대한 반성을 통해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의 의의를 재평가함으로써 우리 노동법과 노동법학의 상대적 독자성을 확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노동의 전환기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 역사와 노동현실에 부합하는 근로기준법의 법체계적 위상을 정립함으로써 우리 노동법과 노동법학의 새로운 출발을 모색하기 위한 법사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임노동의 맹아부터 근로기준법 입법 전후의 사회 ․ 경제적 배경과 국회에서의 논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 우리나라는 농업국가를 벗어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인해 많은 물적 피해를 입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근로기준법 제정은 전쟁의 막바지에 전쟁물자의 생산에 필요한 노동력을 동원하기 위해 노동자에게 제시한 법적 비전로서의 성격과 전쟁 종료 후 국가재건을 위한 본격적인 자본주의법제의 도입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의 규범적 기초가 된 제헌헌법의 노동헌법적 구상과 헌법의 노동질서를 살펴봄으로써 근로기준법은 헌법이 구현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근대적 노동제도 내지 노동질서의 기본적인 이념과 방향을 구체화하고 있는 노동관계에 있어 기본법이란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동법의 독자성, 민법과 근로기준법의 관계에 관한 국내외의 논의와 법적 상황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민법전조차 없는 상태에서 노동관계에서 있어 전근대적 악습을 폐지하고 본격적인 자본주의적 산업화를 위해 근로기준법을 제정하였으므로 근로기준법은 민법의 특별법이 아닌 사회법으로서 독자성을 가지는 법이란 것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우리 근로기준법 제정에 있어서 역사적 특수성과 상대적인 독자성을 바탕으로 우리 근로기준법의 법체계적 위상은 우리나라 노동관계의 적극적 근대화기획에 관한 국가의사와 기본적 방침을 표현하고 있는 기본법이라는 의미에서 “노동기본법”, 자본주의사회에 있어서 노동력의 유지와 재생산을 위한 “노동보호법”, 그리고 인격적 소산으로서 노동력의 거래를 위한 “근로계약법”으로 재정립할 수 있고, 상품교환의 기초법인 민법과는 별도로 설계한 독자적인 규범영역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이것이 우리 근로기준법의 역사와 역할에 부합하는 근로기준법의 법체계적 위상이며 서구와 일본의 노동법이론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근로기준법을 민법의 특별법으로 파악하는 해석론은 수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이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노동관계에 관한 규범은 노동기본법으로서 근로기준법이 규정하고 있는 이념과 목적에 부합하도록 독자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민법상 계약의 법리는 이러한 이념과 목적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비로소 노동관계에 관한 규범으로서 준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로기준법의 법체계적 위상은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우리나라 나름의 새로운 노동법학을 구축하는 데에도 유지되어야 하며 우리 노동법과 노동법학의 새로운 출발의 단초로 삼아야 한다. The conventional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s of Korea are that the Labor Standard Act is recognized as a special law in the civil law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labor law was legislated by amending the principles of modern civil law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apitalism in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As a result, they apply the Civil Act if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Labor Standards Act applicable to certain labor issues. However, the Labor Standards Act of Korea, which was legislated in 1953 with reference to the Japanese Law, was legislated in a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han that of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legislative background and purpose are also different from the case of Japan which refers to many contents of the law. The Labor Law in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and Japan was legislated as a legal prescription for modern civil laws as they exposed limitations and caused many labor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ivil society. However, the Labor Standards Act of Korea has a character as a planning law legislated for the transition from a pre-modern agricultural country to a modern industrial country, which is just beyond the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colonies and the military regime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reassessed the significance of the Labor Standards Act 1953 by reflecting on the significance of modern law of Korea from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 law" that should not unconditionally follow the Western legal theory. Through it,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ve uniqueness of Korean labor law.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period of labor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legal status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line with our history and labor reali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legal thinking to find a new start of labor la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and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National Assembly from the generation of wage labor in Korea to before and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1953. According to this, Korea was an agricultural nation until the Korean War and suffered much damage from the war.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legisl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was intended to provide a legal vision to the workers at the end of the war and introduce a full-scale introduction of the capitalist law to rebuild the nation after the war ended. Next, by examining the Labor Order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hich was the normativ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1953,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abor Standards Act is the fundamental law embodying the basic ideology of the modern labor order that the Constitution intends to implement.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abor Standards Act is not a special law of civil law but an independent social law, by examin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 and leg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law and labor law. Based on historical specificity and relative uniqueness in the legisl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the legal status of the Labor Standards Act is defined as “Framework Act on Labor” expressing the national intentions and basic policies on the active modernization planning of labor relations in Korea. And it is the "Labor Protection Act" for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n capitalist society, and the "Labor Contract Law" for the trade of labor power as Individual personalit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legal area designed separately from the civil law, which is the basis of the exchange of goods. This is the legal status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line with the history and role of the Korea Labor Standard Law,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bor Standards Law as a special law of the civil law should be revised as it unconditionally accepts the labor law theories of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nd Japan.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in the Labor Standards Act, the legal standards of labor issues should be formed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y and objectives stipulated by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legal principles of the contract of the civil law should be applied only to legal standards of labor issues only if it meets the ideology and purpose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addition, the legal status of the Labor Standards Act should be maintained in legislating a new labor law of Korea in the new situ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nd should be the new starting point of Korea labor law and labor law studies.

      •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회화에 관한 연구 : 미니멀리즘과의 비교와 독자성을 중심으로

        임미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92

        본 논문은 1970년대 한국미술에 있어서 주류를 형성했던 모노크롬화의 독자성에 대한 연구에 목적이 있다. 그 동안 한국의 모노크롬회화가 논의될 때면 한편에서는 서구미술의 추종이니 모방이니 하는 비판적인 지적도 있어 왔다. 본 연구논문은 이 같은 지적의 문제점과 함께 한국 모노크롬회화의 독자성 연구를 위해 서구 미술과의 비교 특히 미니멀리즘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비교를 했다. 먼저 서구 미니멀리즘과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발상에서 찾을 수 있다. 모더니즘이 (미니멀리즘을 포함해서) 배제의 미학, 다시 말해서 미술로부터의 미술 외적인 요소의 전적인 배제를 앞세우고 있는 반면 우리의 모노크로미즘은 색채의 배제에서 결과한 것이 아니라 원천적인 것에로의 회귀라는 일종의 범자연적(汎自然的)인 세계와의 만남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두 번째로 비물질화 현상을 비교하였다. 서구 70년대 미술의 중심경향이었던 미니멀리즘이나 컨셉추얼 아트의 경우 비물질화란 것이 초의 비물질화가 아니라 과잉된 물질화가 불러일으킨 역현상으로서의 비물질이며 이러한 비물질화가 가져온 것이 관념의 세계였다. 이에 비해 한국 미술에서 나타나는 비물질화 현상은 오브제로서의 물질을 지워감으로써 도달한 관념상의 비오브제 단계가 아니라 오히려 물질과 비물질의 중간인 제로 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중성화 구조이다. 세 번째로 작가의 작업에 대한 정의, 세계관을 비교하였다, 미니멀 아트의 경우 작업이란 객체로서의 오브제로 남겨진 미술의 상태를 말하며 미술 대상의 내부보다는 대상의 물리적 경이나 관찰자의 반응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계획과 의도에 의해 예측가능한 것이었던 반면 우리의 모노크롬은 주객의 합일로서 인식론적 접근이 요청되며 그림 자체가 사유의 과정에 의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형태반복의 방법과 조형성을 비교하였다. 미니멀리즘 작가들 역시 일률적인 단위의 반복으로 작품을 하지만 그들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주로 개념적인 작품의 단일성이다. 반면 우리 작가들의 경우 그러한 개념적인 단일성보다는 일종의 반복되는 수행성이라는 과정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회화의 독자성을 먼저 내용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모노크롬은 작품의 내용과 미적 가치의 측면에서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며. 실제로 주관의 표현을 제하는 경우, 지워가는 경우, 중화시키는 경우 등 그 방법은 다양하지만 전체적으로 그 표정에 있어서는 소박, 단아하고 탈속적인 세계를 구현한다. 다음으로는 익명성과 표현의 무목적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모노크롬이 익명성의 의지를 가지고 형상의 이미지를 소거해버린 것은 70년대의 사회적 상황과도 맞물리지만 궁극적으로는 '자연의 순리'라는 대명제를 깨닫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70년대 모노크롬회화에서 나타나는 백색의 모노톤은 그 속에 빛깔 이상의 우리의 오랜 민족적 정서와 결부된 정신의 세계가 침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70년대의 모노크롬회화는 이와 같이 높은 품격의 동양적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우리 현대 미술사에 최초로 민족적 주체성과 정통성을 간직한 우리 고유의 미적 양식을 수립함으로서, 비로소 '한국적 모더니즘'이라 일컫는 현대 회화를 이 땅에 뿌리내렸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모노크롬은 우리의 정신전통의 발견과 현대적 방법론이 가장 이상적으로 결합되어 독자적인 한국의 현대미술을 가능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individuality of the Korean Monocrome Art which was the main current of Korean Art in 197Os Whenever the Korean monocrome art is discussed, there has always been a criticism that it's just an imitation of the Western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viduality of the Korean monocrome art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at and Western art, especially minimalism.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monocrome art and the Western minimalism came from conception. Modernism, including minimalism, was an esthetics of exclusion that meant to absolutely exclude every external element from art. However, our monocromism was built on a return to the original, a meeting with a kind ct pan-natural world, not exclusion of color. Second, the dematerialization phenomenon was compared. In minimalism or conceptual art which was the central trend of Western art in the 1970s, dematerialization Wasn't used in its original sense. That was just an adverse phenomenon against the excessive materialization, which produced an ideological world. On the contrary, the dematerialization phenomenon in the Korean art had a neutral structure, in which it stood on a zero point between object and non-object, not an ideological non-object phase that one reached by erasing object. Third, another comparison was made over the definition of work and an outlook on the world. For minimal art, work meant a state of art that remained as an object, being predictable, The physical background of an object or the reaction of observer was more significant then its inner world. On the other hand, monocrome was an unity of subject and object, requiring an approach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picture itself was formed through a thinking process. Finally, the means of form repeat and plasticity were compared. Minimalism artists also made their works by repeating a uniform unit, yet what they had in mind was mainly to attain a conceptual unity. However, our artists placed more stock in a sort of repeated performance than in conceptual unity. We could see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monocrome art in the 1970s in its content. Monocrome was unique in light of content and esthetic value. That was generally in pursuit of a simple, refined and unworldly world, even though diverse means to exclude, erase or neutralize an subjective representation were utilized. Another original thing was an anonymity and an aimless represent- action. Monocrome eliminated image under anonymity, ultimately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nature, though it's also driven by the social situation in the 1970s. In addition, the mental world associated with our old national sentiment soaked into the white-color monotone of the monocrome art in the 1970s. The Monocrome Art of the 1970s became the Art of Korea called Korean Modernism. The Monocrome Art of the 1970s is the spirit of Korean Art by reflecting our traditional beauty, national identity and orthodoxy. The Korean monocrome art, which is the most ideal combination of rediscovered mental tradition and modern methodology, makes it possible to pave the way for an unique Korean modem art.

      • 1950년대 시 문학의 '지성' 담론 연구

        정영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56

        1950년대 시 문학장에서는 한국시의 현대화를 위해 ‘지성’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후반기’ 동인을 중심으로 제기된 지성주의는 1950년대 중반이 되면 범시단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는 현대 비평정신이라 할 지성을 현대시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 시의 지성주의는 현대 세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한국 현실에서의 부정정신의 실천적/미학적 태도로 규정할 수 있다. 지성주의의 출현은 1940년대 후반 시의 규범으로 자리 잡은 순수시의 관념이 문제적으로 재인식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수립 이후 남한 우파 문인들은 순수문학의 민족문학화를 본격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문학이 현실과 분리되어, 탈정치, 탈이념의 순수한 예술로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가를 다시 고민하게 되었다. 더구나 문학에서 현실 문제를 도맡았던 좌파 문인들이 대거 월북함에 따라, 우파 문인들은 어떤 식으로든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소화해야 했다. 이들은 이념적인 차원이 아니라 지성의 차원에서 현실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을 그들의 문학에 반영하고자 했다. 하지만 당대 이념적 제한성과 세계주의 지향으로 인해 현실 문제는 현대의 문제로 치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지성주의는 유파별 고유한 시적 지향과 결합되어 1950년대 시의 현대성을 구성하였다. 지성 개념은 현대시의 관념에 긴박되어 있는 것이기에, 시의 현대성을 어떻게 사고하느냐에 따라 지성 개념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1950년대 탐색해나갔던 현대성 기획의 다양성과 유동성은 지성주의가 각 유파별로 내화되는 과정을 통해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실존주의 유파는 인간 보편의 실존 문제에 대한 관심을 현대성을 이해하는 거점으로 받아들였다. 실존주의에 담론에서는 주체가 내면세계로 침잠하여 현대와 현대인을 사유하는 것을 지성적 태도로 이해했다. 실존주의 담론에서 주체의 부정정신은 비극의식의 철저로 규정되었으며, 총체적 신화세계로서의 시를 지향했다. 이 질서와 통합의 신화세계 속에서 시적 주체는 내적인 초월의 지평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통 서정파는 지성을 시인의 사상성과 철학성으로 규정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들은 현대 사회를 아무것도 신뢰할 수 없는, 가치관이 붕괴된 세계로 이해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예지적이고 건실한 이성을 소유한 주체를 시적 주체로 요청하였다. 전통 서정파는 시인의 정신(사상)이 하나의 완전한 질서체로 구현되는 시를 추구하였다. 이는 통합적인 신화세계로서의 시를 지향했던 실존주의의 시의 규범과 유사한 것이었다. 모더니스트들은 지성을 현대 비평정신으로 이해했다. 이들은 현실(대상)과 주체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면서 대결의 의지를 확고히 할 것을 강조했다. 이들은 전통을 과거의 축적된 가치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미래적인 것의 출현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했다. 모더니스트들은 특히 주관성 시학에서의 개성에 대한 이해를 비판하고 ‘독자성 시론을 내세웠다. 독자성이 확보된 시란 기존의 시의 규범성을 돌파하고 새로운 시적 사고를 보여주는 시를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각 유파별로 지성을 도입하여 시의 규범을 정립하는 과정을 살핌으로써, 시의 전통적 규범이라 할 순수주의와 주관성 시학이 1950년대 현대성 기획에서 어떻게 와해되고 동시에 재정립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모더니스트들은 시의 현대성을 과거의 미적 규범과 결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들은 1950년대 부정정신을 시 언어와 시 형식의 다양한 실험으로 실천하고자 했으며, 여기서 파생되는 난해성의 문제에 대해서도 관습화된 시의 규범성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순수주의와 주관성 시학에 대한 도전이었다. 여기에 대항하여 1950년대 전통적인 순수주의와 주관성 시학은 자기 논리를 마련해야 했다. 실존주의의 영향은 시의 보수적 미의식을 새롭게 재건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실존주의에서의 시적 주체의 지적인 내면성 탐구는 과거 시적 자아의 절대화라는 순수주의의 현대판이 되었다. 실존주의는 세계적 차원의 보편적 감각으로 인식되었던 까닭에 세계주의를 지향했던 1950년대 지식인들의 내적 욕구에 부합하였다. 또한 실존주의는 1950년대 한국 사회의 반공주의에 가로막혀 역사현실의 조건을 충분히 사유할 수 없었던 지식인들이 대상 세계를 자기 자신으로 초점화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기제가 되었다. 주관성 시학의 현대화는 전통 서정파의 담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지성주의는 정신주의적 경향을 보여준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 주관성 시학에 시인의 의지와 정열을 사상성으로 대체하였고, 현대의 물질주의와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전일적인 시 세계를 추구하였다. 전통 서정파는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들이 내세운 시적 주체는 1950년대 지식인에게 요구되었던 주체 모델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었다. 1950년대 시의 현대성 탐색과 미적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당대 한국 사회를 인식했던 지식인들의 사유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이었다. 문인-지식인들은 서구/선진/보편의 세계를 지향하면서 사회 통합을 이끌어내야 했던 당대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을 확고히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후반 시 문학장에서는 부정정신의 미학적 실천을 둘러싼 유파별 차이가 선명해졌으며, 개성의 문제도 첨예화 되었다. 또한 실존주의 앙가주망론이 대두되고 동시에 개인의 내적 고투에서 그 의미가 고정되는 국면을 보인다. 이러한 지점들은 이 시기 민주주의에 대한 각성과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자각이 싹트는 상황에서 지식인들이 사회 통합과 사회 변혁의 실천 주체로서 자기 정립을 모색했던 과정과 맞물리는 것이었다. 지성 담론이 유파별 시적 정체성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현대적 주체의 모습이 제시되었다는 점은 1950년대 한국에서의 부정정신과 현대성의 다층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이 지향한 시 세계는 현대 세계에 대한 미적 처방이었다는 측면에서 현대 사회와 한국 현실에 대한 인식을 함축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반공주의/국가주의라는 사고 틀에서 지성의 한도가 표시되고 있었던 점은 당대 부정정신과 현대성의 한도를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 불능미수와 위험성 : 제27조의 '위험성'의 독자성과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이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5

        형법 제27조는 '불능범'이라는 표제 아래 "실행의 수단 또는 대상의 착오로 인하여 결과의 발생이 불가능하더라도 위험성이 있는 때에는 처벌한다. 단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법은 불능미수의 성립요건으로 ① 실행의 수단 또는 대상의 착오로 인한 결과발생의 불가능과 ② 위험성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이 있는가의 여부는 가벌과 불가벌을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고, 어떠한 경우에 위험성이 있다고 볼 것인가에 대해서 견해가 대립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위험성이라는 표지가 불능미수범의 가벌성을 근거 지우는 핵심적인 표지도 아니고 독자적인 기능을 가진 표지도 아니라는 견해가 주장되고 있다. 종래에도 형법 제27조의 위험성이라는 표지는 미수범 일반의 가벌성에 관한 최소한의 전제조건으로서의 위험성과 같은 것이고 이것은 인상설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주장되어 왔는데, 근자의 견해는 이와 맥락을 같이 하는 입장이다. 제27조의 위험성의 판단 기준에 관하여는 종래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온데 비해, 제27조의 '위험성' 표지가 일반 미수범의 처벌근거로서의 위험성과 다른 독자적인 의의가 있는가의 여부에 관해서는 중점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형법 제27조의 '위험성' 표지가 독자적인 의의를 지니는가는 제27조의 불능미수범의 성립여부를 검토함에 있어 중요하다. 따라서 먼저 형법 제27조의 '위험성' 표지가 과연 독자적인 의의를 가진 것인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IV장). 일반 미수범의 처벌근거인 위험성은 '결과 발생의 현실적 가능성'인 반면에, 제27조의 위험성은 결과발생의 현실적 불가능을 전제한 '평가적 위험성'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다르다. 이와 같이 일반미수범의 처벌근거인 위험성과 제27조의 위험성은 다른 의미를 지닌 것이기 때문에, 일반미수범의 처벌근거를 설명하는 데는 타당한 이론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제27조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인상설이다. 인상설은 일반미수범의 처벌근거를 설명하는 데에는 적합할지 모르지만(필자는 일반미수범의 처벌근거로서도 인상설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제27조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겠다. 따라서 일반미수범의 처벌근거와 불능미수범의 처벌근거는 모두 인상설에 의해 설명할 수 있고, 불능미수에서만 '위험성'이 특별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제27조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V장). 이에 관하여는 많은 학설이 제안되어 왔으나 형법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구체적 위험설과 추상적 위험설이 타당성 있는 학설로 축약되는데, 위험 판단의 기초 사정에서 행위자가 인식한 사정만을 고려하는 추상적 위험설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형법 제27조의 '위험성' 표지는 독자적인 의의를 가지며, 위험성 유무의 판단은 추상적 위험설에 의해서 행위자가 인식한 사정을 기초로 (과학적)일반인이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cept of danger of the impossible criminal attempt of Article 27 in the Korean Criminal Law. Article 27 in Korean Criminal Law prescribes that under the title of impossibility, when there is any type of risk or danger involved, punishment shall be imposed even if the occurrence of crime seems impossible due to mistaken means or objects adopted for the commission of crime, provided that the punishment may be reduced or remitted.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over whether or not Article 27 should contain the concept of danger.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arguments that the concept of danger in Article 27 does not have any particular meaning in defining impossible attempted crimes. People with this view said that all attempted crimes involve danger. They also insisted that danger of impossible attempted crime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other attempted crimes, and that the "Eindruckstheorie", which defines danger as disturbing the stability of legal order, thereby causing trust deficit in the law, can explain this danger. Nonetheless,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danger in an ordinary attempted crime and an impossible attempted crime. In an ordinary attempted crime,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 danger involved was real, whereas in an impossible attempted crime, the danger is the potential concept concerning the impossibilities of the crime. "Eindruckstheorie" may be suitable for interpreting attempted crimes and impossible attempted crimes under the German Criminal Law. Nevertheless, the concept of danger in "Eindruckstheorie" is too ambiguous to explain the danger in Article 27. In sum, it is incorrect to insist that danger of Article 27 does not have any particular meaning to define and interpret the impossibility. There are many theories to define the danger in Article 27. In them, the concrete danger theory and the abstract danger theory are thought to be the two most proper theories in interpreting Article 27. According to the concrete theory, a case for impossibility crimes is formed only when the conducts involve concrete danger. The abstract danger theory, however, explains that even if there is only an abstract danger in a person's behavior, there is a case for impossibility crimes. In my opinion, the abstract danger theory is much more reasonable in that it puts more importance on the inten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criminal himself.

      • 한국문인화의 독자성에 대한 고찰 : 조선조후기 화가를 중심으로

        유희승 동덕여자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0

        朝鮮王朝 後期 英·正祖는 社會的으로나 文化的으로 安定된 時期였으며, 이러한 時代的인 토양에서 文人畵의 自主的인 發展올 보게 된다. 전반적으로 儒敎思想에 의해 人格修養이 된 선비사회에 기본바탕을 둔 文人畵는 朝鮮朝 後期에 이르면 이러한 독서계층의 활발한 활동에 힘입어 주로 畵意的 形成에 있어서 괄목할만한 發展上을 보게 된다. 초기의 中國的인 모방에서 부터 벗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한 次元 높은 韓國的 精緖와 부합된 순수畵風을 창출해 내기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나 내용상으로 볼 때 中庸思想에 영향을 받은 韓國的인 文人畵는 後期에 오면서 中國의 소위 精神修養을 으뜸으로 여기는 禪宗思想의 유입으로 인해 점차 현실도피의 은둔사상과 結合되며, 이로써 逸品畵로서의 새로운 경지를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韓國的인 文人畵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특유한 自然觀을 바탕으로 한 순수 예술경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儒敎思想과 함께 禪宗思想이 가미됨으로써 소위 南宗 文人畵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 論文에서는 주로 朝鮮後期 畵家들과 그 作品들이 韓國的 美感을 形成하는데 기여하였음을 考察해 보았고, 또한 오늘의 화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明末 淸初 時代의 遺民畵家들이 미친 영향과도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讀書的인 人格修養에 기반을 둔 文人畵의 畵意的 特性에는 現實에 대한 초탈의 경지가 반영되며, 이는 韓國人의 전통적인 巫俗信仰에 보이는 風水地理思想과 더불어 결과적으로 獨自的인 畵風을 形成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본 論文에서는 그 時代의 文化的, 社會的인 배경이 새로운 文人畵 形成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力點을 두었다. The latter period of King Young-Cho and King Jung-Cho of Chosun Dynasty was socially and culturally a stable environment that resulted in autonomous development of MunInHwa. In general, the scholar society whose foundation of self cultivation had been Confucianism was the fundamental nature of MunInHwa and towards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ts energetic activity gave an outstanding enhancement in artistic formation. Not only they escaped early imitation from China but also created a higher dimension of pure painting style that corresponded traditional Korean emotion. However, towards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Korean MunIn Hwa what had been influenced by moderation thought in content, began to show anti-actualism of seclusion because of an inflow of the zen Buddhism whose the most importance was the mental cultivation and created new horizon in IlPumHwa. The outcome was the expression of the pure artistic style on the base of characteristic naturalism and together with Confucianism, the addition of the Zen sect of Buddhism thought gare development of NamJong MunInHwa. In this report, the discussion is on the contribution of artists and their works on the Korean sense of beauty at the end of late Chosun Dynasty in connection with the YuMin astists of late Myeong early Chung Dynasty that still influences artists nowadays. MunInHwa's artistic emotion reflects the transcendence from reality and together with the theory of wind, water and geology, they influenced a great deal in the formation of its independent artistic nature. This report emphasizes specifically an the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decis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the new MunInHwa.

      • Hugo Wolf 藝術歌曲의 獨自性에 관한 硏究 : 그의 5개의 代表的 歌曲集에서 1曲씩 발췌한 5作品을 중심으로

        손명자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28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Romantic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birth of the art song. The art song, as we know it, today was a product of the romantic era. It was created by the union of romantic poetry and music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is union was consummated with such artistry by Schubert and his successors, notably Schumann and Brahms, that the new genre came to be known all over Europe by the German word for song - Lied. The Lied wa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romantic forms of music. Late 18th - century and 19th - century romanticism gave great impetus to serious popular poetry, and many poems of such masters as Goethe and Heine were set by Lied composers. Schubert, who composed more than 600 Lider, Schumann, Brahms are famous among the 19th - centruy Lider composers, and Hugo Wolf succeeded them. The Lied brought to flower the romantic desire for the union of music and poetry. The Lied ranged from ender sentiment to dramatic balladry. Its favorite themes were love and longing,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transience of human happiness. Within a short time the Lied achieved immense popularity and made a durable contribution to world art. This thesis aimed at studying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ugo Wolf's Lider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erman Lied, his techniques and originality of composing Lider, and the relationships of music and poetry in Lied, and by analysing five Lider in his five representative songbooks. "Morikelider" - more than fifty songs, composed within a few months, - it is above all this astonishing musical wealth that captivates us, together with the breath of nature, fields, woods and hills. The traditional, folksong- influenced style of earlier German song is clearly still one element in the Morike volume. In the Eichendorff songs, Wolf laid emphasis on the more manly and humorous aspects of the poet, which Schumann had neglected. This volume is full of captivating things, but occupies a relatively modest place in Wolf' s greater song collections. After Morike, Eichendorff and goethe Wolf found no further inspiration in German poetry. Wolf had had Morike, fortunately, almost to himself ; he could share Eichendorff with Schumann, but already, in the Goethe volume, he had been driven largely to repress the natural lylical side of his nature, to emphasize his intellecuual approach. Wolf's Spanish Songbook is a wonderful series of portrait - sketches of men and women in every phase of love's troment and delight. In Spanish Song Book he lays less emphasis on felicities of verbal accentuation than on rhythmic vitality and passionate expression. Wolf in his search for dramatic truth is seen at his most uncompromising in some of the religious songs with which the Spanish Songbook opens. Wolf's Italian Songbook is full of the liveliest portraiture of the most varied types. Here Wolf allowed himself complete freedom in interpreting his poetic material and produced his most exquisite and original work. There is nothing Italian about these songs ; everything has been refined and transfigured in the composer's imagination. The musical. style is a marvel of simplicity and limpid beauty. In Wolf's Italian Songs the Lied attains its consummation. Wolf's songs were very original, in the finest tradition of the German Lied ; they are unique in their poetic insight and in the richness of their evocative accompaniments. He placed emhpasis on the poem itself, so he was very faithful to his poets and treated their words scrupulously. He expressed much deeper ideal of art not only musically but also poetically on the basis of the balance of poetry, melody and barmony with the treatment of recitative voice melody and emphasizing the parts of contents of words. His style of piano accompaniment leads content of a poem showing dramatic dialogue forms with poetry through intimate interdependence of poetry, m lody and harmony. His harmony of songs shows a chromatic scale of R. Wagner, but has very original styles which differ from those of R. Wagner's music. In the Lied Hugo Wolf attained a new and intimate union between music and poetry. Wolf was the composer who brought the 19th-century German Lied to its highest point of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