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독거노인 삶의 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빈투안성 거주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Dung, Bich Thao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Aging is a globally significant phenomenon, and Vietnam is no exception. Vietnam entered the period of an aging population, known as the 'golden population,' since 2007,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until 2038. Simultaneously, the country has been entering the aging phase since 2011, and a complete transition to an aged population is predicted by 2038. In recent years, Vietnam's elderly population has been consistently and rapidly increasing, with approximately 11.4 million elderly individuals currently (constituting around 11.86% of the total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continues to rise with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persist, making strategic planning and policy formulation crucial to address these changes.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tend to face more daily life difficulties compared to their healthier counterparts, leading to an increased tendency towards dependency (Jeon Seong-nam, 2010). Particularly in cases of chronic illnesses, the absence of family or caregivers often results in frequent accidents, and a lack of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more prevalent psychological issues. Economic challenges heighten dependence on social support, and a lower economic status adversely affects health and medical care. Moreover, elderly individuals facing socioeconomic difficulties such as low education and income levels tend to report more physical ailments (Kim Young-joo, 2009). As societal issues like loneliness and elderly suicide become more prominen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In Vietnam, the number of solitary elderly individuals is on the rise, emphasizing the need for diverse approaches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Systematically investig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olitary elderly individual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Vietnam's solitary elderly population. Moreover, deriving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can aid in the development of targeted welfare policies for solitary elderly individuals, aiming to establish a continuous and effective system of policies and support to enhance the lives of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particularly those living alone, with the objective of providing informed policy recommendations. Summarizing the key findings, we find that economic stabilit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higher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Those who are financially stable tend to experience greater life satisfac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olicies and initiatives aimed at enhancing economic support and stability for this demographic. Secondly, while health status itself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policies that bolster healthcare management and preventive measures. Prioritizing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and promoting healthy aging is essential to ensure that elderly individuals can maintain their well-being. Thirdly, leisure activities emerge as a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Engaging in diverse leisure activities not only fosters social participation but also injects vitality into their lives. Hence, it is imperative to support and encourage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rough policy measures. Fourthly, fostering collaboration between elderly individuals and their local communities is crucial. Such cooperation can result in increased access to support and servic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improved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elderly welfare policies remain dynamic, accounting for the multifaceted needs of elderly individuals. In conclusion, these comprehensive research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multifaceted policies and efforts to enhance the welfare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particularly those living alone. It is anticipated that such measures will empower elderly individuals to enjoy a more stable and fulfilling old age.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현상이며 베트남도 그 예외가 아니다. 베트남은 2007년부터 인구의 고령화 시기에 진입했으며, 이는 2038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 된다. 동시에, 베트남은 2011년부터 고령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으며, 2038년에는 고령화 단계로 완전히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의 노인 인구는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약 1,140만 명의 노인이 있다(전체 인구의 약 11.86%를 차지). 노인 인구 비율은 인구 구조에서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 수립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독거노인은 건강한 노인들에 비해 더 많은 일상생활 어려움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의존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전성남, 2010). 특히 만성 질병에 걸린 경우 가족이나 지원자의 부재로 인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소통 부족으로 심리 적 문제가 더 자주 나타난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의존이 높아지고, 낮은 경제 수준이 건강과 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낮은 학력과 소 득 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독거노인들은 신체적 질환을 더 많이 호소하고 있다(김영주, 2009). 현재 고독사와 노인 자살 등의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면서 독거 노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독거노인의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러한 상황에서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베트남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독거노인 복지 정책의 구체적인 시사점 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는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핵심 요인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로, 여가 활동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가 활동은 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노인들에게 활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의 질 을 누릴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여가 활동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로, 건강 상태는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건강 관리와 예방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독거노인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로, 경제적 안정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경제적으로 안정된 독거노인들은 더 높은 삶의 만족도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며, 따라서 경 제적 지원 및 안정을 강화하는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넷째로, 독거노인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독거노인들은 더 많은 지원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노인복지 정책은 계속해서 발전되어야 하며, 독거노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통해 독거노인들의 복지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 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노년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유정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정도는 어떠하며,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 독거노인으로 배우자, 자녀, 친척 등 노인 본인 이외에 동거인이 없고 이들로부터 부양을 받고 있지 않으며 복지관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203명의 재가독거노인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사회적 관계망과 관계망 유형,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설문 응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정보에 대하여 분석하여서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둘째로,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관계망의 수준 셋째로,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넷째로,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나이, 홀로된 나이, 독거나이, 종교, 건강상태, 지역, 학력, 용돈)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정도를 살펴보았다. 여성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60대에 배우자를 읽고 홀로 된 여성노인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자 거주하기 시작한 연령도 동일한 연령대에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 천주교, 불교,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음 순으로 많이 차지하였고 여성노인의 대부분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대하여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응답지역의 거주지는 강동지역으로 대부분의 노인이 초등학교만 졸업하였거나 학교에 다닌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돈별로는 한 달에 사용하는 용돈은 평균 29.0만원 수준이었으며, 독거노인의 경제 상태는 그럭저럭 살만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직업을 가지고 있는 노인의 경우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여성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관계망의 수준은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접촉빈도, 지리적 근접성, 크기)과 기능적 특성(정서적, 도구적, 부정적 기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정서적, 도구적, 부정적 기능은 관계망의 크기와 비례적 관계에 있었으며 이점을 고려하여 관계망의 크기를 총합으로 구성하여 정서적 지지는 평균9.6, 도구적 지지는 5.2, 부정적 기능은 4.0을 받았다. 이러한 지지는 여성독거노인 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서 다양한 독거노인 중에서 고립된 노인층이 별도로 존재한다고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여 살펴본 결과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경우, 구조적 특성(접촉빈도, 크기, 지리적 근접성)에서 강북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접촉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성노인이 배우자를 잃고 홀로된 나이와 혼자 거주하게 된 나이가 50대 이상인 경우가 30, 40대에 비해, 강북지역이 여타의 지역보다 관계망의 크기가 크다고 볼 수 있었다.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긍정적 기능, 부정적 기능)에서는 여성노인의 나이가 80세 이상인 경우와 배우자를 잃고 홀로된 시기와 혼자 거주하게 된 독거 시기가 40대인 경우에 다른 나이에 비해 정서적 지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무학인 경우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정서적 지지가 낮았다. 또한 종교가 없는 노인보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경우 부정적 기능이 낮은 수준이었다. 생활만족도의 경우, 여성노인이 배우자를 잃은 홀로된 나이와 혼자 거주하기 시작한 나이가 60대 이상인 경우가 그 이전 시기보다, 건강한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강서?강북 지역이 강남 지역보다, 학력이 높은 경우, 그리고 용돈이 31만 원 이상인 경우가 그 이하인 경우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보면 생활만족도와 부정적 기능을 제외하고 모두 정(+)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정서적지지(r=.262), 크기(r=.221), 도구적지지(r=.191), 부정적 기능(r=-.143) 순으로 관계성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지리적 근접성은 접촉빈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나타났는데 여성독거노인과 관계망이 지리적으로 근접하는 경우 접촉빈도가 늘어나는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리적 근접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반비례 관계였다. 또한 관계망의 크기와 기능상의 관계인 긍정적?부정적 기능도 증가하였으며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은 비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조적 특성

      • Maslow 욕구이론을 통해 본 저소득 독거노인의 서비스만족에 관한 연구

        김병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다양한 노인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새로운 세대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저소득 독거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효과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 되었다. 이를 위해 , 경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가구 중에서 경주시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에 현재 혼자 거주하고 있으며 독거노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노인 중 일반 독거노인 세대를 제외하고 지역 내 다양한 공공․민간분야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수급자, 조건부수급자, 차상위 계층) 230명의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Maslow의 위계별 욕구(기대도․충족도)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해 부족으로 독거노인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저학력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복지 정책들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독거노인들은 현재 제공받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해 평균이상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욕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Maslow의 위계별 욕구에서 안전의 욕구, 소속과 애정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가 사회복지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는 사회복지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도 중요하지만 서비스 지원 대상의 특성과 다양한 욕구에 대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수집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적이며 접근이 용이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vanc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that arising due to the rapid aging of modern society and to determine the social welfare service related need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low-income live-alone elderly who now form a new social category, so as to propose a metho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local communities and to build an effectiv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o do so, we studied the effects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expectation․satisfaction levels) on satisfaction towards social welfare services using a group of 230 residents of Gyungju city of ages 65 or older who live alone and are registered as live-alone elderly with the Basic Caregiving Service for the Elderly and who receive various regional public․private services(recipients, conditional recipients, quasi-poor class) as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ve-alone elderly had difficulty selecting the services they needed for themselves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ir low education levels caused them to harbor some aversion towards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though the subjects showed higher than average satisfaction towards the welfare services they were currently receiving, customized services suited to their needs are requir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services. Third,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 safety needs, belongingness and love needs, and self-actualization needs seemed to affect satisfaction levels towards welfare services. Overall, though the development of a varied and efficient program is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levels, the need to gather more systematic and specialized data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needs of the recipients remains, and such data must be used to create a feasible and easily accessibl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o offer some final proposals for subsequent studies, I believe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existing social welfare services in a more detailed manner, and that studies need to expand their subjects to include the elderly that do not receive public aid as all citizens are the subjects of social welfare policy.

      •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황선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노인의 저소득 및 빈곤문제는 고령화사회가 될수록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상실은 생계수단의 상실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경제적 곤란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자녀가 부양할 능력이나 의 지가 없을 경우 이러한 경제적 곤란은 더욱더 심각해진다. 독거 여성노인의 경제적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노인빈곤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노후 빈곤의 심각성이나 빈곤의 여성 편중현상을 드러내는데 기여했을 뿐 성을 나이, 교육, 지역 등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하나의 범주로만 취급해 온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의 노후 경제적 궁핍과 이를 초래하는 사회적 장치 및 과정이 남성의 경우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즉, 여성노인의 빈곤을 노인 전체 문제의 일부로만 파악하고 그것이 일생동안 누적되어 온 성차별의 결과라는 구조적 측면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노인의 성에 따른 상황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현재의 정책적 접근방법으로는 여성노인의 빈곤문제, 즉 여성노인의 욕구와 문제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저소득 및 빈곤문제 개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 여성노인의 개인특성 요인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개인특성으로 연령, 학력, 건강수준, 취업경력, 노후준비수준을 측정하고, 이것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독거 여성노인의 배우자특성 요인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배우자특성으로 배우자 학력, 결혼관계 해체 전 배우자 소득 및 자산, 결혼 관계 해체 전 직업적 지위 및 고용형태, 그리고 결혼 기간동안의 경제적 가족부양정도를 측정하고, 이런 것들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세째, 독거 여성노인의 자녀특성 요인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자녀특성으로는 취업자녀 수, 자녀의 경제적 부양정도, 자녀의 직업적 지원 및 고용 형태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네째, 독거 여성노인의 결혼관계 해체특성 요인에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결혼관계 해체특성으로는 해체 형태, 해체기간, 해체 시 의존자녀수, 해체 시 배우자자산이전정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교통수당을 받고 있는 독거 여성노인이였으며, 서울시 3개동을 임의로 선정하여 대면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03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시에는 SPSSWIN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27.2%, 36.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개인특성 중 연령이 낮을수록 독거여성노인의 월소득은 높아지며, 자산의 경우 는 연령이 낮을수록, 취업경력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노후준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24.3%, 17.5%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특성보다는 다소 낮은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배우자특성 중 배우자 학력과 배우자 소득이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혹은 자산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보여졌다. 셋째, 자녀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36.1%, 13.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자녀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녀특성 중 자녀의 경제적 부양정도, 자녀의 직업적 지위, 자녀의 고용형태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결혼관계 해체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12.8%, 18.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소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혼관계 해체특성 중 결혼해체 기간 결혼관계 해체 후 배우자자산이전정도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보여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은 개인의 특성요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및 자녀특성과 결혼관계 해체특성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여성의 개인특성이 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동류혼적 혼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감안하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은 인적자본 보다는 배우자 및 자녀, 결혼관계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독거 여성노인의 경제적 지위가 인적자본에 의한 영향보다는 배우자 및 자녀의 특성, 결혼관계해체 특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함으로써 여성의 경제적 의존성이 노후 경제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독거 여성노인의 저소득과 빈곤문체에 대한 접근이 남성의 빈곤문제 접근과는 구별되어 이들의 경제적 불안정의 해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득 계층구조, 남성중심적 노동시장 구조 및 여성들의 경제적 의존성을 해소하는 구조적 차원의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정책 및 제도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힌다. The low income and poverty problems of the elderly are appearing seriously as the society is becoming aged.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emale elderly ones, their losing their spouse cannot but result in the loss of their livelihood and thus experience financial difficulties. Moreover, in case their children have no ability or no intention to support their surviving parent, such financial hardships will become more serious.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financial problem of the elderly widow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poverty of the aged contributed to the revealing of the seriousness of the elderly or the poverty's leaning on women, but showed a tendency of treating sex as one sector with a demographic feature such age, education and region. This is a failure to see that the financial poverty of the elderly women and the social device and procedure causing such a poverty can be different from those of men, that is the failure to see that the poverty of the older women living alone is grasped as part of the problem of the elderly people and it is the result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accumulated for life, the structure of the poverty. So it is said that the current politic approach, which is not considering the situation difference by the sex of the elderly people, cannot fully explain the poverty problem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e quest and problem of the aged women. Thu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with the low income and poverty problem of aged women by considering the women's special situation in Korea, that affect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i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on the income level of th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ividual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background, health, employment career and preparation level for the elderly and analyzed whether or not it works a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Second, this study also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spouse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upon the income level of them. For the spouse factors, this study measured the education, broken marriage relation, the income and assets of their ex-spouse, the employment position and type before the breaking of marriage relation and the financial support for family during marriag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rd,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on their income and measure, for the children factors, the number of employed children, their children's financial support, their children's job position and employment typ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Fourth,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breaking factors of marriage on their income and then measured, for the breaking factors of marriage, the breaking type, breaking period, the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of the broken marriage and the assets transfer of spous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targeted at older women the age of over 65, who were living alone and receiving their transportation allowance from the government, from three administration-dongs selected freely. They were interviewed and a total of 103 copies of questio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atistic program, SPSSWIN 8.0 was used along with technology statistic analysis and rarity analysis.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individual factors are affecting as 27.2% on the monthly income and 36.8% on the asset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monthly income of them was higher as their age was younger. Their assets were higher as their age was younger, their employment career was longer and their preparation level for the elderly was higher. Second, it is shown that the spouse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ffect less than the individual factors as 24.3% on the monthly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17.5% on their assets. Among the spouse factors, the education and income of their spouse were shown to be a little affecting the monthly income or asset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rd, it is shown that their children factors are affecting as 36.1% on their monthly income and 13.2% on their income. Their children factors are shown to b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mong their children factors, their children's financial support, their children's job position and their children's employment type are a littl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Fourth, it is grasped that the marriage breaking factors are affecting as 12.8% on the monthly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18.3% on the assets of them. Among the marriage breaking factors, marriage breaking period and the assets of their spouse after the marriage breaking are a littl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s stated above,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is affected by not only their in야vidual factors, but also their spouse and children factors and their marriage breaking factors. Moreover, the individual factors of a woman is affected by their likelihood marriage rather than affect her income directly. And so the income of them is shown to be affected by their spouse, children and marriage relation factors rather than human assets. As resul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woman's financial dependence is affecting the financial level for the elderly by proving that the financial position of older women living alone is affected by their spouse, children and marriage breaking factors rather than hum resources. Therefore, the approach toward the solution of the low income and poverty of aged widow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ne toward the solution of the poverty of aged men. And thus in order to solve their financial instabi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nd develop the policy and system to make structure-level efforts so that the income hierachic structure, the man-centered labor structure and the financial dependence of women can be improved and solved.

      • 여성독거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엄아람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홀로 생활하고 있는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또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적지지가 여성독거노인 우울에 완화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봄으로써 여성독거노인의 우울 예방과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노년기의 우울은 노인 자살 및 사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그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특히 노인 고령화와 남녀노인 수명차이, 핵가족에 따른 가구유형 변화로 늘어난 독거노인가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노인은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다른 노인 집단에 비해 취약하며 이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동거가족이 없고 혼자 사는 여성노인 543명을 대상으로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인구학적 특성,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적지지로 나누어 이들이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사회적지지의 완화효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에서 일상생활능력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인지력은 절반 이상이 인지기능 저하나 치매로 의심되는 수준을 보이고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도 보통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상태에서도 실제 얻어지는 소득 수준이 낮고, 주관적인 경제상태도 낮게 평가되었으며, 사회적 지지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만성질환 수,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사회적지지로 나타나 만성질환의 보유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에 사회적지지가 완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관적 경제상태에 사회적지지가 완충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낮고 사회적지지가 낮은 사람인 경우 주관적 경제상태가 낮더라도 사회적지지가 높은 사람들 보다 우울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특히, 사회적 지지가 직․간접적으로 여성독거노인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여성독거노인에 대한 지원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향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For this, first of all, it will be suggested what factors might give an influence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and then whether social support, which is usually said to be one factor of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 people, would have the buffering effect on them as well.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epression of the aged, as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mmitting suicide or death of them and it may greatly influence the quality of their lives. In particular,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are more vulnerable than the aged men economically, physically, and socially; their numbers increase due to the population ageing and the difference of life expectancy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spreading of the nuclear family type. This is one main factor to lead them to depression. In the study, a total of 543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5 years, who live alone without a family member,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first year by the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rough the analysis, some variables which give an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m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se categories: demographic characters,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and each variable's relative influence and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ir health status is comparatively higher in respect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but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do not reach the average level. In addition, they have one chronic disease or more. As it is apparently showing by their economic status, their real income is low and they evaluate their subjective economic status is low, and social support for them is not high. Second, the factors which give an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m ar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It is confirmed that as these factors show lower or worse level, so their level of depression is higher. Third, it is also found in the analysis that the factor of social support has the buffering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ir depression; In more detail, it also shows the effect in regard with the factor of subjective economic status, which means that in case of low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low social support, even though h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is low, her degrees of depression might be higher than those who acquired higher social support.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such factors as their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give some influences on the depression of them. And it is true that the factor of social support has directly or indirectly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depression of them.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e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their depression when they are applied for the social welfare practice.

      •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기윤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의 목적은 위기계층으로 인식되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파악해 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도 및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지원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독거노인 211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s mulitiple range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실시되었으며, 이상의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실태는 먼저ADL 사항 중 일상생활수행 정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없는 식사하기로 3.84점이었으며, 그 다음이 옷 갈아입기 3.78점인 반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걷기로 3.59점으로 나타났다. ADL전체 평균은 3.71(.52)로 나타났다. IADL의 경우, 일상용품 사러가기는 3.62점, 전화걸기 3.76점, 버스·전철타기 3.49점이었으며 IADL전체 평균은 3.61점으로 ADL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도를 분석한 결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단기보호서비스로 1.58점, 경로당 1.57점, 노인복지관 1.50점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이용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주간보호서비스 1.02점이었으며 그 다음이 이.목욕서비스 1.04점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도의 평균은 1.16점으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2.34점이었으며 삶의 질은 3.0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서는 연령, 경제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경제수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삶의 질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 교육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일상생활수행능력,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이용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이용도와 삶의 질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또한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도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는 자아존중감(β=.21), 소득(β=.19), 일상생활수행능력(β=.18)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변인들의 설명력은 24%였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 수록,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을 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자신 자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느냐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냈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소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독거노인이 독립적으로 매일 매일의 일상생활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지역복지관 및 노인복지센터, 경로당 등에서 지지모임과 신체활동, 건강증진활동 등을 활성화시켜야 하며 더불어 소득 수준 향상을 위한 취업교육의 활성화 및 경제활동 지원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s basis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11 elderly people who lived alone in Seoul at the age of 65 and up. The answers for the survey are analyzed with frequency,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get the right result, SPSS WIN 12 program had been used for the study. In summary, thos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same as following: First, ADL mean score on five point scale was 3.71 and IADL mean was 3.61. Also, Community- based service of alone-living elderly mean score on two point scale was 1.16. Self -Esteem mean score on five point scale was 2.34 and quality of life mean score on five point scale was 3.06. Second, ADL(IAD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ge, education and health. Community- based serv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economic activity. Self -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 economic in quality of life.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based service and quality of life,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Forth,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ving in alone-living elderly self -esteem, income, ADL in order, while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at 24%. As a result, it was considerde nessary to use findings from this study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cial work intervention programs to raise self-esteem in an effort to raise quality of life among low income, alone-living elderly. To do this, government, related groups, related professionals have develop policies and concrete programs for the benefit among low income, alone-living elderly.

      • 노인돌봄서비스와 수급권자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남동구·남구·계양구 중심으로

        우흔국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ing services, which have been provided to senior citizens since 2007, 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living-alone elderly beneficiar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lderly people in Namdong-gu, Nam-gu and Geiyang-gu in the city of Incheon, to whom caring services were rendered. Caring services have been provided to the elderly for three years. A variety of services are offered, and it seems necessary to make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services and of what difficulties the responsible institutions faced. Therefore it's meant to find out what factors of the caring services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and which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mpacted on that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taking caring services to another level. There have been no authentic research efforts to center arou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iving-alone elderly with their own lives and with the life management project geared toward themselves. Just the institutions in charge of the project conduct a simple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pu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to that without making any scientific evalu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planned to discuss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alone elderly, t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the conception and state of caring services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to check the state of caring services and problems with them in the city of Incheo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aring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living-alone elderly beneficiaries, and to suggest how to help senior citizens lead a more satisfactory life. Senior citizens who lived alone and benefitted from caring servic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districts in Incheon, and the selected elderly people were survey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caring servic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selected three districts involved Namdong-gu, Nam-gu and Geiyang-gu. After a survey was implemen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uggest in which way caring services should be led and could be more prevailing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upply of customized caring services i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living-alone elderly people. Their emotional and mental health status should primarily be grasped to create more successful services and programs in order for them to find their lives more satisfactory. Specifically, individualized programs, group guidance programs and a backing system that cater to senior citizens who are not in good mental health should be prepared. Second, service diversification and budget increase are required. Various kinds of program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beneficiaries to provide more satisfactory caring services. To make it happen, what matters is an improvement of the pay system for people in charge of the living-alone elderly, and more budget should be secured. Besides, helpers who take care of elderly people should be paid at a realistic level to attract more helpers. Third, there should be an intensive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to ensur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caring project. Those who are in charge of it should be capable of luring local resources available and building an information database, and helpers who take care of elderly people should continue to receive educati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hinges on how people in charge of it take advantage of existing local resources available, and an establishment of a close tieup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expedite the qualitative growth and success of the project.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노인돌봄서비스와 수급권자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인천광역시 남동구·남구·계양구 지역에 있는 수급권자 노인돌봄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노인돌봄서비스가 서비스 시작 3년째에 접어들었다. 진행과정에서 직접 수행기관으로 겪고 있는 어려움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노인돌봄서비스의 어떤 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노인의 개인적/사회적요인 중 어떤 것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노인돌봄서비스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검증된 연구자료가 전혀 없는 상태이며, 수행기관 자체적으로 단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사업수행을 하고 있어 과학적인 검증이 없는 상태에서 인력과 자원을 투입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독거노인의 현황과 특성,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 노인돌봄서비스의 개념 및 현황을 검토하고, 둘째, 현재 인천광역시 노인돌봄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하고, 셋째, 노인돌봄서비스가 수급권자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넷째, 노인돌봄서비스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인돌봄서비스가 수급권자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수급권자 노인으로서 노인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인천광역시 3개 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천광역시 소재 각 지역별 3개 구를 선정하여 남동구, 남구, 계양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들을 토대로 도출된 주요 요인을 가지고 노인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돌봄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결론적으로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노인돌봄서비스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할 때에 다른 요인들보다는 재가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정서적 정신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시정하여 반영해야 하며, 우선 정신건강 수준이 취약한 노인들을 중심으로 개별 프로그램, 집단지도프로그램 및 지원체계 확립을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독거노인돌봄서비스 수혜어르신들을 위한 사업의 서비스 및 예산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노인돌봄서비스비스의 지속적인 만족정도 향상을 위해 수혜자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이들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 돌봄 담당자의 급여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사업예산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 노인돌보미의 수당도 현실화함으로써 이들의 충원이 용이하게 되어야 한다. 셋째, 독거노인돌봄서비스 사업 질적 성장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인돌봄서비스 담당자가 지역사회 자원 및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노인돌보미의 재교육 및 보수교육이 실시간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업의 성과는 담당자가 기존의 지역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렸으며, 이를 위해 지역자원과 협력체계구축은 사업의 질적 성장 및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기제가 될 것이다.

      • 노인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미화 慶北大學校 科學技術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lder care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propos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ervices. This study was surveyed and analysed on the 233 elderly living alone in the Gyeonsangbuk-do region. This survey was particularly focused on seeking for effective operation for the service. Below are the findings from the survey-analysis. First,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Gyeonsangbuk-do region showed distinctive trends such as: female elderly were relatively superior in number compared to national gender ration, 9 out of 10 didn't even complete primary school, majority of them were unhealthy, most of them spent their daily routine at home, and it turned out the largest number of them. have been living alone longer than 10 years, proving they have been alone. for a long time in their liv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they have been receiving are the following: that the status of major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basic services have been given to them about double more than integrated service, the longest period of the service given turned out to be longer than 3 years, which means mos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tarted to get the elderly care service since it started,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get more aid from the organization than their own children living separatel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at was very high proving the service organization to be a major public institution. Third, regarding the use status of the service, the largest number of the elderly who responded to periodic visits, calls to find out how they are, aid in case of emergency,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education for living, culture, etc, followed by the offering of and linkage to health. welfare information, linkage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proving their use level of the service very activated. Besides, the order of the service those living alone received consultation & education about diseases, received eating & wash up assistance, body heat & blood pressure checkup, daily necessity purchases, proving the service involved in medical treatment and dietary matters was of high benefit Fourth, Regarding the details of the service wanted by the elderly, the largest number of them wanted the direct offer of side dishes or meals, followed by health, Welfare services linkage and information provision, periodic visits, call to find how they are, aid at the time of emergency, and desires for joining for the program involved in education of living, culture, etc showing a little difference from the user status. Fif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elderly care servi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showed its results that the longer they have benefited from the service and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service, their life satisfaction has also heightened higher. Accordingly, the results above imply that the elderly care service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have inadequate family or neighborhood relations, and therefore public elderly care service needs to be extended, and below are a few proposals to achieve this. First, as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the service being closely related to their life satisfaction, concrete alternative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should be prepared focusing on the service provision based on their individual wants. Especially, as what they want most is the aid in basic dietary needs, program focused on food - support needs to be developed Second, the role of the caregivers for the elderly who are at the forefront in conveying the service, c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in rais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togeth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ir capability for the enhancement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the service should be differentiated in region and institution as a way of supplementing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standardized elderly care service. Lastly, regional community-based social safety ne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needs to be extended. In addition, plans for expanding regional community as the resources to protect those elderly is also urg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 service was sought for from users' views by publicizing public area of it shifting from private area. the extraction of the effectiveness of how the elderly care service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first introduced will be especially contributive to direction search for the service provis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독거노인 돌봄서비스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수요자 관점으로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돌봄서비스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경상북도 독거노인 233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북지역의 독거노인은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 비해 고령의 여성노인이 상대적으로 많은 특성을 보이며, 10명중 9명의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하이고, 과반이상은 건강하지 못하고, 대부분은 하루 일과를 집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그들이 독거노인이 된 기간도 10년 이상이 가장 많아 장기간에 걸쳐 독거노인으로 생활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이 받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특성을 살펴보면, 과반이상이 기초생활수급자로 나타났고, 독거노인들이 제공받고 있는 노인돌봄서비스의 종류는 기본서비스가 종합서비스에 비해 두배 정도 높고, 이용기간은 3년이상이 가장 많아 대부분의 독거노인이 노인돌봄서비스가 시작될 무렵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노인들은 거주를 달리하는 자녀보다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으로부터 지원받는 도움정도가 높다고 응답하였고, 이에 대한 만족정도도 매우 높아 노인돌봄서비스기관은 독거노인들을 위한 주요 공적 돌봄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돌봄서비스 종류별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주기적 방문․안부전화․위급상황시 도움과 생활교육․문화 등에 관한 프로그램 교육에 참여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고, 다음은 보건․복지에 관한 정보 제공과 연계, 공공기관․민간기관 복지서비스 연계 순으로 나타나 독거노인들의 노인돌봄기본서비스에 대한 이용정도는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독거노인들은 질병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식사 및 세면의 도움, 체온 및 혈압체크 등의 검진, 생필품구매 순의 노인돌봄종합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의료적인 문제와 식생활관련 서비스 수혜정도가 높았다. 넷째, 독거노인들이 희망하는 노인돌봄서비스의 구체적 내용은 반찬이나 식사의 직접적 제공이 가장 높고, 다음은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와 정보제공, 주기적 방문, 안부전화, 위급상황시 도움과 생활교육이나 문화 등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욕구 순으로 나타나 이용실태와 욕구에는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노인돌봄서비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독거인들이 노인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기간이 길고, 서비스에 대한 만족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생활만족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결과로 볼 때, 지역사회 내 가족이나 이웃 등의 인적자원이 열악한 독거노인의 경우는 노인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밀접한 상관을 미치는 주요 지지자원으로 나타나 이러한 공적 노인돌봄서비스 확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는 생활만족도로 연결됨으로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 독거노인의 개별적 욕구에 기초한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독거노인들은 기본적 식생활 지원에 관한 욕구가 높아, 식생활지원에 주안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돌봄서비스 전달체계의 최일선인 노인돌보미의 역할이 노인돌봄서비스의 질적방안 마련의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어 그들의 역량강화가 독거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진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노인돌봄서비스의 대상자별, 지역별, 기관별 차별성을 마련하여 기존의 보편적 노인돌봄서비스를 보완하는 방법 개발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독거노인의 사회안전망 확충이 필요하다. 나아가 지역사회를 이들의 보호자원으로 확대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 돌봄 문제를 사적영역에서 공적영역으로 공론화하여 돌봄서비스의 효과성을 서비스 소비자의 관점에서 연구한 데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노인돌봄서비스의 도입기에 수요자인 노인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도출한 본 연구는 향후 노인돌봄서비스 제공의 방향성 모색에도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 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인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of elder`s health statu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used the secon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is nationally sampled data in 2008 being perform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A sample of 602 was eventually selected except for the inappropriate respon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19.0.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lderly living alone have one or more chronic diseases, high levels of depression, reduced cognitive fun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status assessment appeared more than half of those surveyed. On the other hand, they reported no difficulties with physical function. Many chronic diseases, physical functional limitations, depressed level an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assessment were correlated with a lower life satisfaction. Whereas better cognitive function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ife satisfaction. Fewer chronic diseases, lower levels of depression,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assessment and cognitive functions gave positiv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nd financial supports from children, homeowners, graduates of higher education showed a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was depressed level, followed by, in this order, subjective health status assessment,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financial supports from children, cognitive functions, homeowners, chronic diseases, and education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tical were discussed. First, more active and practical supports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which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systematic management of overal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thought to be needed because of the impacts of physical, menta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sessment. Various programs for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provided. Although we can not solve health deteriorated due to aging process, we can prevent failures and rapid deterioration of health through changes in health behaviors and life styles. Third, systematic services of community are required to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out families who support financially. It should be established community network which give immediate assistance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identified to case management subjects among the entir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 this results didn't appear various aspects of mental health because the secondary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analyzed. Second, this cross-sectional analysis didn't show dynamics of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De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uniqueness of this study is in its investigation on mental difficulties, from the degradation of the body to function of health status in the lack of segmentalized research of health status. Also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welfare practice and political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ly focused at health care.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본 연구는 건강상태의 어떠한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KLoSA)의 2008년도 2차 기본조사를 이용하였고, 65세 독거노인 602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SPSS 19.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평균적으로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활동제한에는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점수는 평균 10.44점으로 절반 이상의 노인이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기능 점수는 평균 20.51점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는 전체 대상 노인의 절반 이상이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신체활동제한이 심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인지기능 정도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독거노인의 우울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가 좋을수록, 인지기능 수준이 좋을수록,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민기초생활 수급 여부, 자녀지원 여부, 거주하고 있는 주택 소유여부, 교육수준 등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울수준이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 국민기초생활수급 여부, 자녀지원 여부, 인지기능 정도, 거주하고 있는 주택 소유여부, 만성질환 개수, 교육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정신건강 가운데 우울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독거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 모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독거노인의 전반적인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건강이 악화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건강행위나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장애나 급격한 건강의 악화를 예방하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특별한 부양가족이 없는 독거노인의 경우 지역사회의 체계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긴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대상여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미 수집되어 있는 이차자료를 근거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모형과 변수를 선정함에 있어 제한적인 한계를 가진다. 즉 정신건강이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나 정신건강의 여러 측면을 살펴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횡단면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 궤적을 좀 더 역동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도 한계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에서 건강상태를 세분화해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건강상태를 신체 기능의 저하에서부터 정신적인 어려움까지 모두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연구에서는 건강에 대한 접근을 보건의료에 치우쳐 살펴보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정책적 제안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영등포지역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김우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social supports that influence the life of the elders who live alone in Young Deung Po district. Also it provides relation resources with spouse, offsprings, friends, neighbors, volunteers, and etc. supporting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s and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s of elders living alone and to seek ways to promote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result. In this study, we have surveyed 278 elders living alone over the age of 60 in Young Dung Po district. Firs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 find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is the highest factor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se variables, education level, the reason of living by alon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National Elderly Served Program als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 social support shows statistical importance in all levels: gender, religion,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The investigation of structural social support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of subvariables except for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offsprings. Especially perceived health status is the highest significant factor to all of structural social support subvariables which are number of supporters, period of contact per year, frequency of contact per month, and distance from supporters. The reason for living alone, time period of living alone,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variab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mber of supporters and distance from supporter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is significant the frequency of contact-per-month in structural social support. National Elderly Served Program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se variables' inter-correlation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ers, time period living alone, distance from supporters and frequency of contact-per-month as they show strong relationship to the life satisfaction level except for a few supporters. Finally, the study utilized hierarchical regression to analyze the social support variables and the sample's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higher when the sample'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higher and time period of living alone was short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tructural social support on the sample's life satisfaction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ntact / distance from supporters and the sample's perceived health status. B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unctional social support on the sample's life satisfaction are not significant to all of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promote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irst, in the result of the study, for elders' perceived health status is the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for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social suppor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the elders to perceive health status the importance of physical and psychical characteristics.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measures to assist those with poor health status. Second, elders living alone lived nearer by and were more frequently contacted by formal supporters such as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than the informal supporters such as their sons/daughters. It is important to the developed network connections among related resources of the community members as their friends and neighbor. Third, as the activities of the elders' relatives and families and observed to be rare, if becomes necessary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nearby related resources to the elders to lessen their psychological burden and depression by ways of gathering all local community members naturally. For example, we can find ways to bring about natural contacts and connection through local events. Fourth, for the elders without supporting families,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local emergency network for immediate conta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Korea Community Care Services carries out systematic management for elders. However, those who actually received the benefits remained as only a part of the whole, and, therefore, local governments need to complement the services systematically. Fifth, it needs to strength the support network and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upporters for elders living alone to build the basis for the formal support network in community. A Community Welfare Practice on the change of Local Autonomy urge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a Community Welfare Plan. Therefore, as community welfare resource, local residents-based Practice knowledge and description should develop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further proceed the study about the integration of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elders living alone, organization and intervention of near-living supporters in addition to volunteers, and the analysis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local elders living alone. Such efforts enhance empowerment and promote a community care of local elders living alone. 본 연구는 영등포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구조·기능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상호작용하는 배우자, 자녀, 친구, 이웃, 봉사자 등의 관계자원들을 확인하고 이들의 사회적 지지정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거자료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등포지역에 거주하는 60세이상 독거노인 278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영등포지역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비율은 여자가 81.3%, 남자 18.7%에 비하여 많았으며 평균77.75세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독거노인이 55.8%로 더 많았으며, 직업유무에 대한 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92.0%가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응답했다. 월평균 수입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82.8%가 월평균 50만원 이하의 수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에서는 39.8%가 수급자, 공공노인복지서비스 수급여부 조사에서는 58.8%가 수급을 받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영등포지역 독거노인들이 느끼는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측면에 대한 조사결과, 조사대상자에게 평소 중요한 일이 있을 때 가장 많이 도와주고 관심을 보이는 지지원에 대한 질문에서 자녀라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복지사 및 봉사자라고 응답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접촉빈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자녀와 복지사 및 봉사자 이외의 나머지 지지자와의 접촉빈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자와의 근접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복지사 및 봉사자와 같은 공식적 지지자들이 자녀를 비롯한 비공식적 지지자들보다 조사대상자와 근접한 거리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등포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조사에서는 평가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영등포지역 독거노인이 인지한 삶의 만족도 하위변인 중 노화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현실만족감, 자아존중감, 자아성취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 중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력상태, 독거이유, 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 공공노인복지서비스수급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지지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차이에 대한 조사에서는 성별과 종교유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여부에 따라 사회적지지의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에 대한 조사에서는 연령, 성별, 학력상태, 자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는 사회적지지의 구조적측면의 모든 변인 즉 지지망크기, 접촉기간, 접촉빈도, 지지자와의 근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독거이유와 독거기간, 직업유무, 월평균수입은 접촉빈도와 지지자 근접성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기초생활보장수급자여부는 접촉빈도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공공노인복지서비스수급여부에서는 접촉기간과 접촉빈도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지망의 크기를 제외한 변수들 즉,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 접촉기간, 접촉빈도, 지지자근접성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낮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수들 중에서 접촉빈도가 삶의 만족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의 각 변수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하고(Model 1), 여기에 구조적 사회적지지 하부요인을 추가(Model 2) 한 후에 세 번째 단계에 기능적 사회적지지 세부요인을 추가(Model 3)하여 각 변수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역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 가운데 지지자와의 접촉빈도와 지지자와의 거리가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하여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으나, 기능적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