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재생전략으로서 재개발정책의 특성 및 갈등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을 사례로

        이원상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심재생은 기존도시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치유하기 위한 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심재생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제도적 점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도심재생하면 기존 쇠락한 시가지를 정비하는 물리적 사업의 내용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도심재생은 도심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여 도시간의 교류와 흐름이 많아진 지구화 시대에 중심도시의 위계로 편입한다는 도시 목표를 위한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심재생은 도시의 정체성을 통한 도시의 매력을 확보하며 도시의 정체성을 이루는 역사성, 문화적 환경, 생태환경의 조성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서울시가 경제·문화 도시 브랜드 제고, 맑고 매력 있는 세계도시 서울 만들기를 목표로 하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이다. 특히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서울시의 전략은 강북 개발과 강북 도심재생을 통한 강남·북 균형발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런 맥락에서 강북의 도심재개발 사업은 서울시의 도심재생을 위한 재개발 정책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정책적 추진 과정이 실제 도심재생 정책의 목표를 이뤄 가는지를 점검 가능하게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 중인 ‘강북 부활 프로젝트’도 전 서울시장의 강북 개발 정책의 바턴을 이은 모양새이다. 구체적으로는 청계천을 가로축으로 삼아 남대문~경복궁, 명동~인사동, 세운상가~창경궁, 국립극장~동대문 등 4개의 세로축을 잇는 문화ㆍ관광거점을 육성할 계획이다. 세운상가 재개발 사업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바라보는 본 연구는 도심재생의 시각으로 현 서울시의 도심정책 사업의 내용과 특징, 도심재생의 정책 특성 및 갈등의 모습을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재개발 논의만 25년 이상 끌어온 세운상가 재개발 사업 속에서 도심재생을 위한 관점과 내용, 추진방식이 과연 재개발 정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본 연구는 시작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화의 흐름 속에서 도시간의 경쟁력이 중요해 졌으며 대도시 서울의 도심정책은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개선 중심의 도심쇄신(urban renewal)의 관점이 아닌 도심재생(urban regeneration)의 관점을 취하였다. 둘째, 도심재생 정책은 도심 토지이용의 재편, 도심 산업기능 및 경쟁력 강화, 도심 문화적 경관의 재편, 도심 신주거양식의 도입, 도심의 생태기능 회복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셋째, 도심재생을 둘러싼 갈등은 정부와 시민사회, 시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갈등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심재생의 쟁점은 갈등구조 안에서 상충 지점의 새로운 갈등 양상을 만들어 내며 갈등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넷째, 도심재생을 위한 서울시 재개발 정책 분석을 위해 지구화의 흐름 속에서 서울 대도시 기능의 쇠퇴 문제에 주목하였고 도심재생으로서 서울 도시정책의 특성과 재개발정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도시정책은 도심재생의 관점에서 도심의 경쟁력 강화, 도심 역사·문화적 정체성 유지, 환경적 쾌적성, 주체간의 민주적 합의에 포커스를 두고 전개된다. 다섯째, 도심재생전략의 일환인 세운상가 재개발 사업 분석을 위해 서울도시정책과 서울의 도심구조 변화 속에서 세운상가의 탄생과 재개발논의의 전개 내용을 살펴보았다. 세운상가 재개발 사업은 사업의 실제 논의 안에서 도심재생을 위한 이론적 관점과 내용, 재개발 추진 방식을 모색하게 된다. 여섯째, 세운상가 재개발 갈등의 요인을 분석하고 갈등구조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세운상가 재개발의 갈등쟁점은 개발의 규모, 개발의 이익, 개발의 내용, 개발의 방식 차원에서 전개된다. 세운상가 재개발이 추진되면서 세운상가 재해석의 문제, 도심정체성의 문제, 환경복원의 진정성의 문제, 도시약자와 권익문제가 새로운 갈등영역으로 떠올랐으며 이는 도심재생으로써의 재개발 사업의 핵심내용이 되고 있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Seoul's urban renewal policy with regard to inner city regeneration, by taking a case of Se-Woon Commercial Complex in the downtown of Seoul. The analytical focus of the study is placed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flict of urban renewal policy which is designed to enhance inner city regeneration. Seoul's hitherto urban renewal policy has been directed to improving the physical conditions of land use,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non-physical aspects of it. Recentl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incorporated an inner city regeneration perspective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urban renewal policy and thereby tries to put more importance to such non physical aspect of inner city improvement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identity of urban center.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urban renewal policy, the inner city regeneration policy tends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solve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which the existing urban center faces. But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study on defining inner city regeneration in Seoul as either a new theory or a new policy practice. Often we misunderstand inner city regeneration simply as a urban project to repair declining central urban areas. However, the recent inner city regeneration sets a clear target at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in general, by means of generation of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mpetitiveness of urban center. In order to secure the attractiveness of urban center, the inner city regeneration policy endeavors to create an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milieu in the urban core. Recentl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has undertaken urban renewal policy from this kind of 'inner city regeneration' perspective and thereby has made a great effort to enhancement of an economic, cultural brand of Seoul as a global city. Especially SMG's urban policy for urban competitiveness puts a focus on regenerating the declining urban core and its surrounding areas in Kangbuk(=the North Hangang River region), which in turn leads to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Kangbuk(=the North Hangang River region) and Kangnam(=the South Hangang River region). In this regard,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for Kangbuk illustrates an essential feature of SMG's urban renewal policy as geared to inner city regeneration. The Kangbuk revitalization project introduced by the new mayor Se-Hoon Oh is in fact an ascendent of the Kanguk development policy that the former mayor Myung-Bark Lee, implemented. Especially the redevelopment project for Sewoon Commercial Complex, a core of the Kangbuk revitalization project, is believed to highlight such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conflicts of SMG's urban renewal policy as geared to inner city regeneration.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it is more involved in neo-liberal globalization, Seoul is faced up with more challenge towards the build up of competitiveness from other global cities. SMG is hence encouraged to pursue the inner city regeneration approach more rigorously than the urban renewal approach. Second, the inner city regeneration policy emphasizes on the reorganization of inner city land use, the strengthening of inner city industrial function, the renovation of inner city cultural landscape, the introduction of new housing type, the revival of inner city ecological function and so on. Third, the conflicts of inner city regeneration evolve in a frame of tripartite relations among the city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market. All thorny issues associated with inner city regeneration derive from this frame of conflict. Forth, the extent to which inner city regeneration becomes successful depends on the strengthening of urban competitiveness, the enhancement of historical-cultural identity of the urban center as a place, the democratic consensus among the parties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project. Fifth, the redevelopment project for Sewoon Commercial Complex started from a traditional urban renewal perspective but now reflects an inner city regeneration perspective. Sixth, the recent conflicts of Sewoon Commercial Complex redevelopment evolve around the ways in which the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sake of inner city regeneration, such as an interpretation of Sewoon Commercial Complex as a historical building, an authenticity of ecological restoration, a representation of the urban weak and so on.

      • 도심부 재개발구역 내 시행지구와 미시행지구의 도시설계적 특성 비교 연구 : 가로 경관적 측면의 분석

        김지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심재개발사업이 시작된 이래 약40년 넘도록 완료되지 않은 재개발구역이 총40개 구역 262개 지구 중 약25%인 20개 구역 65개 지구나 남아 있으며, 미시행지구 65개 중 20년 이상 장기미시행지구는 약86%인 56개 지구 나 된다. 그 동안의 미시행지구에 대한 서울시 정책은 개발 촉진을 유도하는데 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대규모 철거재개발에 따른 고도(古都) 도심의 역사성 훼손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도심의 역사․문화 환경을 보호하고 미시행지구가 갖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열악한 도시환경을 정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의 변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도시설계적 관점에서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도심부 재개발구역 내 시행지구와 미시행지구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우선 알아보고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완료되지 않은 재개발 구역 내 시행지구와 미시행지구가 갖고 있는 도시설계적 특성에 대해 현재 상황을 중심으로 가로경관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지는 시행지구와 미시행지구가 적당히 혼재되어 있어 비교 분석이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무교․다동구역과 비슷한 여건의 다른 구역과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서소문구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론 고찰을 통해 도심부의 재개발사업 추진과정과 가로경관적 측면에서의 각종 도시설계적 요소 도입 및 변화과정, 도심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 밀도 및 높이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도심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도시조직의 변화 여부, 다양한 용도 도입을 고려한 평면 형태, 접근성을 고려한 공공보행 통로, 보행자의 위요감을 고려한 건축물의 높이를 가로경관적 측면에서의 주요 도시설계적 요소로 도출하여 분석하기 편리하게 지수화 하는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연구대상지인 무교․다동구역과 서소문구역 내 시행지구와 미시행지구에 각각 적용한 결과 기존 도시조직의 변화 요소는 대상구역 모두 시행지구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미시행지구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양한 용도 도입을 고려한 평면 요소 등은 계획유도와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가각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아울러,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도심부 재개발구역에 도시설계적 요소 도입을 유도하고 있는 “2020 서울시 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 상 개발유도지침 개선 방안으로 기존 가로체계 유지와 가로에 대응하는 적정 획지규모 기준, 저층부 가로활성화 용도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평면 규모 및 형태 기준, 다양한 공공보행통로 설치 기준, 보행자의 위요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고층부 후퇴선 기준을 마련토록 제언하였다.

      • 도심형아웃렛의 구성요인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김기홍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도심형아웃렛의 현황 및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도심형아웃렛의 경쟁력 요인을 분석하여, 기존에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새로 입지하고자 하는 도심형아웃렛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도심형아웃렛 이용고객의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여 아웃렛 이용고객 관점에서 이용만족도 요인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분석 결과와 함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입지특성과 이용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접근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202로 나타났고, t=3.985,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접근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241로 나타났고, t=4.213,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가시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규모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004로 나타났고, t=0.065,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상권 규모는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과 이용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규모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138로 나타났고, t=2.563,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규모는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리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119로 나타났고, t=2.176,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편리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치 연계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024로 나타났고, t=0.515,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배치 연계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모와 편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치 연계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특성과 이용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뢰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129로 나타났고, t=2.895,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신뢰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159로 나타났고, t=3.355,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대응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신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109로 나타났고, t=2.481,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확신성은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만족도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표준화 경로계수는 0.815로 나타났고, t=12.868, p<0.05로 나타나 도심형아웃렛의 주거만족도는 도심형아웃렛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심형아웃렛의 지속적인 고객 확보를 위해서는 특정 요인만을 도입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연구결과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신규 도심형아웃렛 개발 시에는 일정규모 이상의 복합쇼핑공간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 중소형 도심형아웃렛의 경우에는 주변 상권과 연계한 활성화 전략을 도입하여야 한다. 셋째, 기존 중소형 도심형아웃렛은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관리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설정에 있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며 설문조사의 응답의 정확성과 어려움 때문에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들을 배제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정에서는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지역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해볼 필요가 있으며,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과 시설을 운영하는 운영자 및 직원들을 연구대상에 포함하여 그 차이를 실증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U·E·C)이 외식소비자의사결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이미지와 신뢰를 조절변수로

        안광열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소비자의사결정,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 신뢰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외식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경영에 대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에 위치한 5곳의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방문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6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약 10일) 실시하여, 설문항목을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7월1일부터 7월 31일까지 30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5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사회과학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고안된 SPSSWIN 21.0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타당성 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지리적 위치, 문화·체험, 여가·휴가, 엔터테인먼트)은 외식소비자의사결정(구매평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외식소비자의사결정(구매평가, 구매의도)은 공간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외식소비자의사결정과 공간 만족도 간에 신뢰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매평가×신뢰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소비자의사결정과 공간 만족도 간에 브랜드이미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매의도×브랜드이미지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지리적 위치, 문화·체험, 여가·휴가, 엔터테인먼트)은 공간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과 공간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구조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방문하여 소비하는 소비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었다. 특히 공간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변수를 통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실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이라는 새로운 키워드가 우리나라에 보편화 되면서 소비자가 얼마나 많이 이용을 하고 이용에 따른 만족도, 그 안에서 외식업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서 좀 더 세세하게 고민해보았다. 소비자가 공간 안의 테넌트를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 소비, 만족하는지 분석하였다. 공간을 통해 모든 테넌트들은 함께 상생하며 몰(Mall)안에서 공존한다. 이는 공간 자체의 하나의 브랜드 이미지 요소가 된다. 이러한 구조는 각기 다른 브랜드들의 긍정적 이미지를 창출하고 나아가 안정적 인지도와 수익구조를 가져오게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브랜드 경영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공간 속 외식업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적 마케팅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를 서울에 위치한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 5곳을 방문·경험해 본 소비자로 한정하였으며, 소비자를 임의로 선정하여 편의 표본 추출을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소비자에게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증분석의 한계로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과 공간 만족도의 구성요인을 몇 가지로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나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방문하여 이용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는 각기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지리적 위치, 문화·체험, 여가·휴가, 엔터테인먼트 요인 이외의 다양한 요인을 추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향후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에 대한 연구에서는 만족도에 대한 단순한 인과관계를 보이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보다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소비자행동의 변화에 따른 인지적·정서적·행동적 태도에 대한 단계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 속의 외식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경영에 대한 마케팅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도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의 외식업체 접객 엔터테인먼트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of new marketing strategy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restaurants and br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on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satisfaction, and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brand image and trust.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survey of consumers who visited five urban entertainment areas in Seoul.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June 10 to June 20, an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30 days from July 1 to July 31, 2017 and 50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1.0 design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of social sc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geographical location, culture․ experience, leisure∙vacation, entertai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cision making of food service consumers(purchasing intention, purchasing evaluation). Second, food service consumers' decision making (purchasing intention, purchasing 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patial satisfaction. Third, brand image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spati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purchasing intention and brand have been found out to interact. Fourth, trust between food service customer decision making and spatial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In particular, purchasing evaluation and trust showed interaction. Fifth,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s (geographical location, culture∙experience, leisure∙vacation, entertai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spat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re w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on consumers who visited and consumed i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theoretical structure relation betwee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and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onsumers who use the spa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ausality between them were verified through various variables. Second, as the new keyword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becomes popular in Korea, it has been deliberated that how many consumers use it, how satisfied they are with usage, and the role of the restaurant in it. Also, thoughts, judgment,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on the tenants in the space have been analyzed. Through space, all tenants live together and co-exist in the mall. This becomes a brand image element of the space itself. This structure creates a positive image of different brands and leads to stable recognition and profit structur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ggest various brand management strategies and it is meaningful to be able to derive efficient marketing method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restaurants in the spa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consumers who visited and experienced five urban entertainment spaces in Seoul,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ll consumers since the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by randomly selecting consumers. Secondly, this study limited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and satisfaction as a limitation of empirical analysis. However,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visiting and using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may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Therefore, th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by adding various factors other than the geographical location, culture∙experience, leisure∙vacation, and entertainment factors. In future research o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by applying various approaches rather than deriving influential factors that have a simple 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If studies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re additionally performed stage by stage, it will be the basic data for brand management marketing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food service companies i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Lastly,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a systematic analysis and comprehensive study on the customer-facing entertainment factors of the food service companies in the urban entertainment space.

      • 도심 수변공간 환경디자인 연구 : 동대문 청계천변을 중심으로

        배준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현재 우리의 도시 환경이 급속한 산업화와 개발위주의 시고간으로 인간과 환경의 부조화를 야기하고, 인간이 도시내에서 쾌적한 생활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인공환경에 위협받고 있는 데에 문제의식을 느껴, 도시의 정체성과 자연성을 회복시키는 동시에 도시의 어메니티 증대를 통해 도시민들에게 정서적 만족을 주고, 도시 생활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도시 환경 이미지를 개선시키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환경디자인 패러다임으로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여, 도시의 환경체계를 패러다임 전환에 의한 상호보완적인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스템적 관점에서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수변의 확립 방안과 도심의 빛 화녕의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도시민들의 도시환경에 대한 정서적인 만족을 위한 도심 수변공간 입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자연과 조화롭고 인간행태를 지원하는 디자인 방안을 기본 개념으로, 빛의 물리적 성질을 조형원리로 응용한 수변공간 디자인을 전개하여 도심 수변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Ⅰ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 장에서는 패러다임 전환에 의한 시스템적 도시환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Ⅲ 장에서는 시스템적 관점에서의 도시 수변공간과 빛 환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스템적 세계관에 의한 도심 수변공간의 특성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변공간의 빛 환경에서는 빛의 물리적 개념과 특성, 빛과 물의 공간 관계와 수변공간의 경관조명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Ⅳ 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공간을 선정하고 수변공간의 주간과 야간의 기능과 공간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하면서 빛의 물리적 성질을 조형원리로 적용한 공간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대상공간을 설정하고 선정의 타당성과 디자인 전제를 밝힌다. 그리고 앞장에서 조사,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어메니티 중심의 도심 수변공간 모형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주간과 야간의 대상지 환경 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적용 가능한 빛의 물리적 개념을 시각 언어화시켜 디자인 방안과 패턴언어를 추출하고, 이를 본 디자인 형태 추출 과정에 적용하여 최종디자인 안을 제시한다. 또한 앞서 제시된 디자인 결과물을 평가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한다. 제 Ⅴ 장에서는 새로움 도심수변공간 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과정의 방법과 결가가 갖게 될 기대효과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론적으로 시스템적 세계관으로 통해 통합적인 관점으로 도심 수변을 인식함으로써 해결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패러다임전환에 의한 통합적인 시스템적 관점은 앞으로의 도시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도심 수변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 인문환경, 행태분석, 시지각분석 등 철저한 환경 분석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오늘날의 복잡하고 비인간적이며 기계적인 도시환경에서 도심수변공간은 유기적이며 친인간적이며, 친환경적인 해결안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러한 환경연구의 접근방법과 시도가 제 21세기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해결바안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의의를 두고, 환경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과 가치를 지닌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都心再生을 위한 計劃要因에 관한 硏究

        배영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의 도시는 산업화와 정보화 등으로 급격하게 발전하고 팽창하여 도시집중 현상이 가속화 되었고, 이에 따라 도시의 공간적 범위가 외연적으로 확장되었다. 도시가 외연적으로 확장되면서 도심기반시설이 노후화되고 환경이 악화되어 도심지역이 쇠퇴하고 도심상권이 붕괴되었다. 또한 도심의 인구감소와 직주분리현상은 중심시가지 내부의 역사성ㆍ공간성ㆍ정체성의 상실을 초래하였다. 그 결과 도심공동화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도심공동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도시에 맞는 도심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도심재생과 관련된 문헌과 사례들을 통해 계획요인들을 추출하고 분류하였다. 추출된 요인들은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광주광역시, 순천시, 광양시를 대상으로 각 도시별 도심재생계획요인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도심재생과 관련된 37개 항목을 선정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3단계로 분류하였다. 대분류는 정책요인, 환경요인, 기능요인, 자원요인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환경요인은 쾌적성, 문화성, 미관성, 편리성으로, 기능요인은 교류성, 정보성, 복합성, 안전성으로 각각 4개의 하위요인을 두고 구성하였고 정책요인과 자원요인은 중분류를 두지 않고 구성하였다. 대분류ㆍ중분류ㆍ소분류의 단계별로 구성된 도심재생계획요인에 대해 광주광역시, 순천시, 광양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주민과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성취도를 리커트 9점 척도(1점에서 9점)로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 SPSSWIN(VER.14.0) 통계패키지와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6.0이 사용되었다. 도심재생계획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분류는 15개 항목으로, 환경요인은 14개, 기능요인은 16개 항목으로 검토하였다. SPSSWIN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Varimax 요인회전방법에 의한 요인부하량이 높게 나타나 요인분류의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고 Cronbach's 계수도 높은 수준을 보여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분석 결과 분류된 요인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AMOS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경우도 주요 적합도 지수가 전반적으로 권장수용기준에 부합되어 요인들의 분류가 타당하다는 결론을 확인하였다. 지방대도시인 광주광역시의 도심재생계획 요인분석 결과는 37개의 요인 모두 요인부하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방중소도시인 순천시와 광양시의 도심재생계획요인은 37개의 요인 중 기능요인의 교류성 요인에 속하는 국제적 교류활성화, 고령자공동체 및 건강센터 설치의 2개 항목의 요인부하량이 매우 적어 분석에서 제외하고 35개 요인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어느 요인이 지속적으로 현 상태대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한지(1사분면), 어느 요인이 관리의 주체가 주의나 노력을 덜 기울여도 되는지(2사분면), 어느 요인이 투자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지(3사분면), 어느 요인이 개선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지(4사분면)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도와 성취도의 평균값을 토대로 실행격자(action grid)상에 표기하여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차이인 효용도를 도출하여 도심재생정책을 수립하거나 집행할 때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도록 하였다. 광주광역시의 중요도와 성취도의 분석결과, 37개의 요인 중 중요도는 높은데 성취도가 낮아 효용도가 가장 큰 요인 즉, 가장 개선에 노력하여야 할 요인들은 주민과 전문가 모두 저소득층주거공급의 확대, 에너지 및 자원절약, 친수환경조성, 도심공동주차장확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확보, 생태계보존 및 연계, 장애인 편의시설 등 7개 요인이다. 가장 먼저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요인들, 즉 효용도가 가장 높은 요인들을 보면, 주민은 장애인 편의시설과 도심공동주차장 확보를, 전문가는 장애인 편의시설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확보를 지적하고 있다. 두 집단 모두 제1순위는 장애인 편의시설로 나타났고 두 집단의 반응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순천시와 광양시의 중요도와 성취도의 분석결과, 실행격자에서 중요도는 높으나 성취도가 낮아 효용도가 높아서 먼저 개선되어야 한다고 여기는 5순위 내에 든 요인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순천시는 도심공동주차장확보, 장애인편의시설, 저소득층주거공급 확대, 민관협력체계 구축이 주민과 전문가 두 집단에 일치하게 나타났고, 광양시는 도심공동주차장 확보만 일치하고 장애인편의시설, 대중교통활성화, 보행자전용도로 등이 일치하지 않게 나타났다. 순천시는 두 집단이 대체로 유사한 반응을 보이고 광양시는 두 집단이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지만, 두 도시 모두 편리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점은 공통된다. 편리성의 요인은 모두 자동차문화와 관련이 있었다. 광주광역시, 순천시, 광양시 지역별 재생요소의 효용도를 주민과 전문가로 그리고 전체적인 순위를 1순위부터 10순위까지 매겨 먼저 개선되어야 할 요인들의 순위를 파악하였다. 먼저 순위 10위권 내에 든 요인들 중 주민과 전문가 모두에 공통된 요인을 살펴보면, 광주광역시는 도심공동주차장확보, 장애인편의시설, 녹지 및 광장확보, 교통사고로부터 안전, 생태계보존 및 연계, 보행자전용도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 7개 요인이고, 순천시는 도심공동주차장확보, 장애인편의시설, 저소득층 주거공급확대, 태양열ㆍ풍력 등 자연에너지활용 4개요인, 광양시는 도심공동주차장확보, 자연에너지 활용,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GIS인프라구축,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차별적인 건축 · 공공디자인, 주거시설의 현대화 7개 요인이 일치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광양시는 7개 요인이 순천시는 4개 요인이 주민과 전문가에서 일치하고 있다. 주민과 전문가의 평균을 낸 전체적인 순위의 경우, 우선 3개 도시에 모두 일치하는 요소는 도심공동주차장확보, 장애인편의시설, 보행자전용도로,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4개 요인이다. 이는 자원요인의 하위요인인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요인이 3개 도시 모두에서 환경요인의 하위요소인 편리성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도시별 시급한 요인을 비교해 보면, 3개 도시 모두 도심공동주차장확보와 장애인편의시설을 1, 2위로 우선적으로 들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본 결과 적어도 위의 3개 도시에서 주민의 삶의 질을 해치는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현안은 도심공동주차장확보이다. 이는 급격하게 불어난 자동차 수요를 과거의 도심 형태로서는 수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장애인편의시설도 자동차와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자동차가 우리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도심에서의 생활행태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조심스럽게 추론해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심활성화를 위해서는 자동차문화의 파급효과를 선순위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Today's city has developed and expanded radically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trend and the urbanization had been accelerated. Accordingly spatial range of city has expanded. As this sprawl has brought about dilapidation of downtown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deterioration, urban area has declined, and downtown commercial power has been collapsed. Vacancy downtown and split between occupation and residence has deprived urban district of historicity, spatiality and identity. As a result, downtown area vacancy has happe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vacancy in downtown, a method specifically suitable for vacancy is needed, thus the author extracted and classified the planning items through the preceding literatures and examples of urban regeneration in this study. The extracted items were verified by the survey of residents and experts, and priority for urban regeneration pla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ncheon city, and Gwang-Yang city was also analyzed. Firstly, the author selected 37 urban regeneration items from precedent studies and the literature and classified them into 3 steps; category, division and section. The category has 4 factors; policy, environment, function and saving of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factor which is composed of amenity, culture, beauty, and convenience. The function has the sub-category of interchange, information, complexity, and security, and the policy and resource categories don't have division. About the factors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which comprise the steps of 'category', 'division' and 'se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respondents composed of inhabitants and experts aged twenty and above living in Gwangju, Suncheon, Gwangyang was implemented using Likert scales (the scale of one to nine) for importance and achievement. For analysis, SPSSWIN(VER.14.0) statistics package and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6.0 were us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15 items for the category, 14 for environmental factor, and 16 for functional factor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analyzing SPSSWIN, this classification has validity because of the high factor loading through Varimax factor analysis and is also assured due to a high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assified factor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through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6.0 it was found that preceding classification is valid because chief suitability index confirms recommending admission standard. B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urban regeneration plan factor of Gwangju City, a local metropolitan shows that the amount of factor loading index is relatively high in all 37 factors. In the meantime, only 35 factors were used for analyzing factors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for Suncheon and Gwangyang, local small & medium size cities excluding 2 factors, because the factor loading of two articles of 'international interchange activation 'establishment of community and healthcare center for elders' which belong to the 'interchange' in the 'function' factor among 37 factors indicated very low numerical value. To figure out which items require more to remain at the current status (first quadrant), which factors may have less attention or effort of the administrator (second quadrant), which factors need reconsideration for investment, and which factors have the first priority for improvement, we put a mark on the action grid based on the averag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deriving the utility which is a gap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and helped to decide an order of factors according to priority when establishing or executing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factors of which both residents and experts judge the utility to be highest are seven factor : low-income group housing, resources saving, cleaner water, downtown parking place, green space, ecosystem preservation, disabled people facilities. Of them, inhabitants group think disabled people facilities and downtown parking space should be improved first, experts group think disabled people facilities and green space should be improved first. Both of the group think improvement of disabled people facilities is urgent. The responses of inhabitants and experts were generally similar.

      • 울산 중구 도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갑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심쇠퇴 현상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도시는 물론 지방중소도시까지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90년대 도시성장이 정체되면서 발생하였고,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은 60년대 이후 공통적으로 도심쇠퇴문제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쇠퇴한 기성시가지나 낙후된 주거지역 등의 활성화를 통한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중구지역을 대상으로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심쇠퇴의 원인을 도출하고, 선행연구와 지역분석을 토대로 지역실정에 맞는 도심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심재생 및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국내외의 도심재생 사례와 정책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도심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도심기능의 활성화와 쾌적성 증대를 통한 도심활성화가 궁극적으로 도시경쟁력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울산 중구의 도심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한 도심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도심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고, 상권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보행자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문화의 거리를 조성하며, 도심형 아울렛의 도입 등이 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아울러 도심공원기능 강화를 위해 동헌 및 내아의 담장을 허물어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여야 하며, 울산읍성의 원형복원을 통하여 도시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보하고 도심의 랜드마크 기능의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후주거지역 재생을 통해 활력있는 주거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주인구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 The decline in downtown is occurring in major cities as well as local minor cities. This problem was due to the congestion in urban growth of the 1990s. Europe and the US also experienced the urban decline since the 1960s. Therefore,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aimed at lasting development is increasing, by breaking from existing development-oriented policies, which have caused thoughtless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available lands, and by revitalizing old sections of the city or underdeveloped residential areas. This research has drawn conclusions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esent conditions, Jung-gu,downtown in Ulsan, and its cause of decline. Based on theoretical study, preceding research, and subject analysis, a plan apposite to the case has been suggested. Also,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urban regeneration and policy were examined. A downtown revitalization plan for Jung-gu was drawn up by trying to aim at utilizing urban regeneration which was more effective in using its limited urban space and resources, from a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by ultimately attaining competitive edge for the city through achieving downtown revitalization from increased comfort and revitalized urban functions.  The urban revitalization plan that resulted from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urban problems of Jung-gu district in Ulsan are the following.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downtown, a space that can work as the center of the downtown must be created and the business district needs to be vitalized. Strengthening the pedestrian network, establishing a cultural promenade, and adopting an urban outlet are ways to vitalize the business district. Another plan for strengthening the urban park functions is securing open space by tearing down the walls surrounding the historical points(Dong-hun and Nae-ah), and using it as the urban center. It is necessary to secure urban identity and grant it the functions of landmark by restoring the Ulsan Eupsung(walled-town). Moreover, the outflow of settle-down population must be stopped by establishing an a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 regeneration of old residential areas.

      • 도심하천 답사활동을 통한 초등학생 환경소양 증진

        조현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회과에서 기르고자 하는 시민은 다양한 소양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원자력 발전소 폭발 문제와 지구 온난화 문제 등과 같은 환경 문제들이 발생하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환경소양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하천 답사활동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실행연구의 접근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도심하천 답사활동은 연구 대상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상일동 근처의 고덕천 지역에서 진행된다. 고덕천은 경기도 하남시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과 강일동 지역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전형적인 도심하천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G초등학교의 6학년 25명의 학생이며 남자 11명과 여자 1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 설문 조사 과정에서 해당 지역 거주 기간과 환경에 대한 관심 정도를 이용해 총 4개의 그룹으로 편성하여 거주 기간과 환경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른 환경 소양 변화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지식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꼈다. 그래서 학생들이 친환경적인 태도를 가지고 책임감 있는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또한, 환경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도심하천 답사활동 프로그램을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환경 소양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선정하였다. 첫째, 환경 소양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Hsu와 Roth(1998)가 환경소양과 환경적인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초등학생들 수준에 맞도록 수정하고 사용하였다. 또한, Hsu와 Roth의 도구 중에서 부족했던 지식 영역을 측정하기 위해서 진옥화(2004)와 김미진(2005)의 환경 소양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보충하였다. 둘째, 교단일지를 작성하였다. 1차부터 4차 실행까지 수업을 하면서 느낀점이나 필요하다고 생각한 점 등을 교단일지에 작성하여 실행연구의 기본 정신인 교사 연구자의 발전과 학생의 발전을 동시에 성취하고자 하였다. 셋째, 학생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의 실행연구가 종료된 후에는 실행연구 대상반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사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도심하천 답사활동 프로그램이 마무리되고 초등학생 환경소양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선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도 진행하였다. 도심하천 답사 프로그램은 총 4차 실행(4단원), 총 15 차시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원은 고덕천과의 만남으로 고덕천의 유래와 현황, 고덕천 산책하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학생들이 고덕천을 자주 놀러가지만 공부하는 교과서와 장소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목적이 있다. 2단원은 고덕천의 식물이다. 식물은 도심하천을 구성하는 경관 요소 중에서 하나이고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인 조사학습을 진행하기에도 알맞은 소재이다. 학생들은 고덕천에서 살고 있는 식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식물도감으로 조사하고 특징을 이용해 ‘너를 위한 시’를 작성하고 이를 시화로 표현해본다. 3단원은 고덕천의 물이다. 물 역시도 도심하천을 구성하는 경관 요소 중에서 하나이고 수질 측정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가지고 있어 교육 내용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수질오염은 원인과 해결 방법 등이 책이나 인터넷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사회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 등도 함께 학습할 수 있다. 마지막 4단원은 고덕천과 다시 만나기이다. 4단원에서는 고덕천을 다른 사람에게 소개해보는 활동을 해보고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산책해보며 마무리한다. 첫째, 학생들은 도심하천 답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지식과 관심은 환경을 사랑하는 마음과 지키고자 하는 마음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고덕천이라는 생활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지역을 다른 관점에서 알게 되고, 지역의 문제와 세계의 문제를 연결함으로써 환경 소양을 지역과 세계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셋째, 초등학생 환경소양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도심하천 답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환경소양의 기능 영역과 더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 도심 쇠퇴양상 파악 및 활성화사업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주시 도심의 토지이용특성을 중심으로

        이강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주시는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작으로 1990년대까지 기존 시가지 면적의 40%에 해당하는 택지를 도심 인근 및 그 외곽지역에 공급하였다. 이는 도심지역의 거주인구 감소와 기능유출 등의 공동화현상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90년대 이후 더욱 심화되며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와 같은 공동화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행정에서는 특화·특정거리 조성, 구도심활성화지원조례 제정 및 시행 등 제도적, 물리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왔고, 일부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도심지역에 대한 정확한 실측조사나 쇠퇴양상 등에 대한 사전조사가 미흡한 채 시행된 정책으로 인하여, 그 정책에 따른 파급효과가 일부 지역에 국한되고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인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주시 도심지역에 대한 실측 및 전수조사를 통하여 도심에 대한 경계를 설정하고, 도심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각종 현상들에 대하여 토지이용, 지가, 업종특성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도심내부의 토지이용 특성을 파악하고, 도심 현상 및 쇠퇴에 대한 진단지표를 설정 하여 도심의 현상에 대해 연구하여, 지속적인 도심활성화의 근거자료로서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순서는 첫째 기존 연구에서 통칭하는 도심 범위인 중앙동, 풍남동, 노송동을 대상지로 선정, 분석 자료를 토대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대상지 내부의 업종 전수조사를 하여 토지이용실태를 분석하고 도심에 입지하는 업종의 특성 및 변화양상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셋째 1990~2010년까지 대상지 일대의 공시지가 자료를 토대로 도심의 시계열적 지가변화 특성을 살펴보고, 도심 활성화 사업 등의 공공정책의 시행 전후 현상분석 및 사업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조사·분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land and buildings and land prices in downtown Jeonju, which actively carried out urban revitalization projects in the late 1990s, in order to measure and analyze the deteriorating conditions and state of revitalization policies.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land price, type of business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downtown Jeonju has been on the decline continuously, an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land and building, refurbishment of the building was found to be difficult because of the shop operator and the land owner are not identical in many cases, resulting in accelerated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s. To deal with such urban deterioration problem, various revitalization measures have been taken. However insufficient data needed to identify the cause as well as to predict the effect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has caused the inefficiency in establish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revitalization projects. Thus, a nationwide guideline and assistance need to be provided as a way to measure the effect of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 부산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이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람, 물자, 교통 등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는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구심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도심 또는 중심구역 등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도심은 도시민의 삶의 흔적과 도시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도시 전체의 발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부산시 중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가진 부산의 대표 중심지이자 상업 공간으로 부산의 발전을 이끌어온 구도심 지역이다. 그러나 시청사의 이전, 신시가지의 개발로 인한 도심 기능의 이전 등의 이유로 도심은 예전과 같은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여전히 도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구도심 지역은 지속적으로 도시의 발전을 선도하여야 하기에 불가피하게 쇠퇴하는 도심을 재생시켜 예전의 활력을 되찾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오랜 기간 부산의 중심지로 부산시 전체의 발전과 역사를 함께 해온 구도심 지역의 도심 쇠퇴 현황을 파악하고 이의 해결을 위해 적용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대해 밝히고 Ⅱ장에서는 도심과 도심재생에 관한 이론을 정립한다. Ⅲ장에서는 도심재생과 관련된 현행 제도를 알아보고 영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선진 외국을 사례로 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통계자료와 시민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도심 지역인 중구의 도심 쇠퇴 정도를 파악하고 구도심 지역에서 진행된 도심 재생 관련 사업을 살펴본다.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도심 쇠퇴의 원인과 사례의 시사점을 통하여 도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부산 구도심 중구 지역의 쇠퇴현상을 보면 인구변화 측면의 경우 상주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60세 이상 노령인구의 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사업체 및 종사자의 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도매업 및 소매업의 감소로 상권이 침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리환경적 측면에서는 건축허가 건수의 하락과 20년 이상 된 건물이 다수 차지하고 있어 물리적 환경이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도심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시민 다수가 구도심 지역의 쇠퇴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한 도심 재생 관련 사업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현 가능한 도시재생 사업이 이루어지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중재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사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평가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물리환경적 측면에서 도심 내 거주 인구의 확보를 위하여 주상 복합 단지의 개발과 지역 특성에 따른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도심 전체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여 상업 활성화를 도모하며 주차공간의 확보를 통하여 도심의 방문이 보다 편리해 질 수 있도록 한다. A city concentrated by people, goods, and traffics has the pivot serving as an important role of development, and it i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 center or a central area. Jung-gu in Busan is an old downtown that has led the development of Busan as a representative center and a commercial area with historicity and placeness. However, an urban center is losing its vitality due to the transfer of city hall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The downtown area that is still important in a city should lead urban development continuously so that it needs to return its vitality by rehabilitating the weakening urban cent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ctual situations of a downtown area that has gone through development and history of Busan as a center. To this end, it aims to seek for methods to activate the city. Therefore, this study i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chapter Ⅰ finds out the background and goals of the study, and chapter Ⅱ established the theory of downtown and urban rehabilitation. Chapter Ⅲ looks into current policies related urban rehabilitation and draws implications through advanced countries’ cases, especially England and Japan. Chapter Ⅳ suggests methods to activate an urban center through abovementioned causes of the weakening downtown and implications of cases. Considering weakening phenomena of Jung-gu, old downtown in Busan, constant reduction in residents and increase in the old population are shown in terms of changes in population. From the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 the number of companies and employees are increasingly decreasing, and businesses are getting depressed due to the drop in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es. In term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due to dropping construction permits and more than 20 years old buildings, physical environments are really ba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ld downtown, most of citizens perceived the decline of an urban center and the need of the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to activate the old downtown. The activation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improve policies for the realizable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and a consultative group should be formed to collect and medicate various interested parties’ opinions. Second, in term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housing environments should be form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ultipurpose buildings and local characteristics. Overall pedestrian environments of downtown need to be improved to promote commercial activities, and more parking lots can lead visitors of the urban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