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적자료 분석을 통한 도심항공교통 비행체 감시방법 연구

        이경한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2021년 9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운용개념서”를 시작으로 비행체에 집중되어 있던 개발이 항공교통에 대한 연구로 확대됨에 따라 도심에서 유·무인 비행체 운영에 대한 법·체계, 운영 절차, 비행 통제방안, 비행 안전, 기존 항공교통과의 관계성, 도심지 생활환경에 대한 영향성 등으로 항행에서 항공교통의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초기 수요는 많지 않았기에 UAM 비행에 필요한 공역 내에서 좀 더 여유롭고 발전된 기술을 이용하여 도심의 특성에 맞는 향상된 위치 정밀도를 가지고 안전하게 비행을 할 수 있었지만, 조만간 화물을 중심으로 발생 되는 비행 수요, 특수목적의 비행 수요 등에 의하여 도심항공교통 운용에 필요한 공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민간항공에서의 비행계획 운용과 같은 운항계획의 관리체계 및 비행체의 특성에 맞는 공역설계 및 운용 절차등을 근간으로 개발되어 도입 될 것이다. 이러한 체계 하에 비행체가 공역 내 주어진 회랑에서 예정된 계획에 따라 안전하게 비행 하고 있는지를 확인 하는 것도 필요하게 된다. 항공교통에서 공역에 있는 비행체를 탐지하는 기술은 레이더와 같은 비행체 독립적인 기술, 비행체의 방사전파를 삼각측량 기법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비행체 협조적 기술, 비행체 스스로 가지고 있는 위치정보를 무선데이터 통신으로 수신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비행체 의존적인 기술로 비행 환경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고고도의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도심항공교통에 적합한 근거리, 건물 또는 계곡 등을 고려한 감시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교통에서의 감시추적과 도심항공교통에서의 감시추적은 운영환경 및 비행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도심항공교통에 맞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행체의 위치를 탐지 할 수 있는 기술과 감시 기술의 특성을 확인하고 유사한 비행 특성을 보이는 실비행 항적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소한의 필요 공역을 산출, 공간 제약적인 도심 공간의 비행체를 탐지 하는데 적용 가능한 방안을 연구하여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도심항공교통(UAM) 승객운송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민수홍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인구의 대도시권 집중으로 인하여 도심 교통체증과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공해는 날로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심 교통난 해소와 이산화탄소 배출억제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전기추진 수직이착륙기(electric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eVTOL)를 활용한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아직 준비단계이기 때문에 UAM에 관한 선행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데다 주로 eVTOL의 감항 기술기준, 이착륙장, UAM 산업 전망 등과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용의도와 관련한 요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UAM 운송서비스 중 승객운송서비스를 이용할 잠재적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드론, 자율주행 자동차, 블록체인, 핀테크 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 모바일 결제 시스템,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도입 관련 연구에서 검증 요인으로 자주 사용하였던 여러 변수 중 독립변수로 편의성, 경제성, 신뢰성, 유희성,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을 선정하고, 기술수용모형(TAM)과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을 조합하여 연구모형을 세웠으며 연령, 소득, 거주지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잠재적 사용자인 일반인 37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과 Smart PLS 3.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편의성과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성과 신뢰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는 4개의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용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사회적영향, 지각된 유용성, 촉진조건,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으로 통계적으로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에서는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사용의도 간 관계에서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촉진조건과 사용의도 간 관계에서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근소하게 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UAM 승객운송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초기 단계의 연구이다. 본 연구가 앞으로 UAM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마중물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우리나라의 UAM 정책을 입안하는 관계 당국과 제조와 운용을 맡을 관련 기업에 잠재적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우리나라의 UAM 승객운송서비스가 편하고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즐거움을 주는 신개념 운송 서비스로서 빠르게 정착되고 많은 이들이 사용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모범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Rapid population growth in large cities has aggravated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automobile exhaust fumes. As part of efforts to ease traffic congestion and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many countries are developing the Urban Air Mobility(UAM) service using electric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eVTOL).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UAM since it is still at a nascent stage, with most studies focusing on the airworthiness standard of eVTOL, airfield, and prospects of the UAM industry, and few on factors regarding intention to use.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potential users’ intention to use passenger transportation service among UAM transportation services. Accordingly, convenience, economic feasibility, reliability, playfulness,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ose frequently used in previous studies on adopting new technologies such as drones, autonomous cars, blockchains, fintech service, robo-advisors, mobile payment system, and Internet of Things(IoT).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 while age, income, and place of residence were set as moderat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372 potential users,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2.0 and Smart PLS 3.0. The results showed that convenience and playful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hile economic feasibility and reliability did not. However, all four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With regard to intention to use, social influence ha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followed by perceived usefulness,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erceived ease of use. The moderating effec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among younger groups, and marginally hig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ating conditions and intention to use among lower-incom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place of residence. This early-stage study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UAM passenger transportation service. The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in-depth research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UAM.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ovide data on information sought by potential users to the authorities establishing UAM policies in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companies monitoring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UAM, so that UAM passenger transportation service in Republic of Korea can be established quickly as a safe, convenient, affordable, and pleasant new transportation service that can be used by many people, thereby serving as one of the world’s most outstanding best practices.

      • 수로를 이용한 도심항공교통(UAM) 활성화 방안 연구 : 양평군 예시 중심으로

        임장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의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수로를 이용한 UAM 활성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UAM은 국내에서도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친환경적인 미래 교통수단으로, 시간과 공간의 가치를 재생산하는 신산업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4대강과 바다 같은 수로를 활용한 UAM 회랑 개발이 도심항공교통을 어떻게 활성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양평군을 예시로 들어, 수로 기반 UAM 회랑이 지역 경제, 특히 관광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수로 기반의 회랑 도입이 UAM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수로를 활용한 UAM 회랑 개발이 지역 경제, 특히 관광 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UAM의 상용화와 관련된 정책 결정자, 도시 계획가, 그리고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수로를 이용한 UAM 도입이 기존의 교통 체계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며, 도시의 교통 흐름과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양평군의 현재 교통 상황, 관광 자원, 그리고 관광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UAM 도입이 이러한 요소들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조사한다. 특히, 한강을 활용한 UAM 회랑이 양평군의 관광 산업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activating Urban Air Mobility (UAM) using a new approach: waterways. UAM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uture mode of transportation, expected to be commercialized in South Korea by 2025, and is anticipated to play a role in redefining the value of time and space as a new industry.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development of UAM corridors utilizing waterways, such as South Korea's four major rivers and seas, can activate urban air transportation. Using Yangpyeong-gun as an example, it analyzes the impact of waterway-based UAM corridors on the local economy, especially the tourism industr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introduction of waterway-based corridors can transform the UAM paradigm. It is also expect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positive impact of developing UAM corridors using waterways on the local economy, particularly the tourism industry. Th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makers, urban planne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involved in the commercialization of UAM. Furthermore,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introduction of UAM using waterways interacts with the existing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impact it can have on urban traffic flow and th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current traffic situation, tourism resources, and the status of the tourism industry in Yangpyeong-gun, investigating the changes UAM introduction can bring to these elements. Specifically, it provides specific examples of how a UAM corridor utilizing the Han River can positively impact the tourism industry in Yangpyeong-gun. Key

      • 도심항공교통(UAM)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UAM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이한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대도시권으로 인적자원 집중에 따른 지상교통 혼잡 해결을 위해서 상공을 나는 친환경 교통수단 도심항공교통(UAM)이 대안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을 미래 경쟁력 있는 성장산업으로 적극 육성할 필요성에 따라 본격 대중화('35년) 이전에 시장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 '25년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서비스 개시를 주 내용으로 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정부는 또한 '23년까지 「UAM 특별법」제정 추진,「K-UAM 그랜드챌린지」실증사업 연계 및 부처 간 협력 R&D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항공교통(UAM)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UAM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심항공교통(UAM) 실증노선 구간인 인천국제공항-인천 길병원 노선을 대상구간으로 하여 인천광역시 대중교통 이용자 840명을 대상으로 선호의식(SP)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심항공교통(UAM) 도입 초기, 성장기, 성숙기로 구분하고 시기별 통행시간, 통행비용을 달리하여 선호의식(SP)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였다. 구축된 수단선택모형을 활용하여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분석한 결과 54,096원/시로 나타났고, 모형에서 통행비용(원), 차내시간(분), 차외시간(분)에 대한 탄력성 검증 결과 본 모형에서 도심항공교통(UAM) 분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행비용(원), 차내시간(분), 차외시간(분)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행비용(원)이 증가할 때보다 감소할 때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새로운 수단에 대한 안전성 우려와 기존 이용 수단을 선호하는 경향 등을 고려할 때, 통행시간 감소와 함께 경쟁수단의 요금과 유사한 수준으로 서비스를 향상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human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areas, ground traffic congestion is expected to continue. Urban air traffic (UAM), a three-dimensional means of flying in the sky, has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to solve ground traffic congestion. Accordingly,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actively foster urban air traffic (UAM) as a future competitive growth industry is increasing. In order to increase the self-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before its full-scale popularization ('35), the "Korean-style Urban Air Traffic (K-UAM) Roadmap" was established with the main content of starting commercial service in '25.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the enactment of the 「UAM Special Act」 by '23 to link the “K-UAM Grand Challenge” demonstration project, promote R&D projects in cooperation with 5 ministries in '23, and lay the groundwork for R&D commercialization suppor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preference for UAM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urban air transportation (UAM), A preference consciousness (SP) survey was conducted on 840 user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Incheon Gil Hospital route, which is the urban air traffic (UAM) demonstration route section. In addition, the means selection model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ducting a preference consciousness (SP) survey by dividing travel time and travel cost by period into early, growth, and maturity phases of the introduction of urban air traffic (U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value for travel using the established means selection model, it was found to be 54,096 won/hou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lasticity of travel cost (won), in-vehicle time (minutes), and out-of-vehicle time (minutes) in the model, the effect on the urban air traffic (UAM) share in this model was found that travel cost (won), in-vehicle time (minutes), and out-of-vehicle time (minutes) were in order, and the effect was greater when the travel cost (won) decreased than when it increased. Considering users' safety concerns about new means and the tendency to prefer existing mean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o reduce travel time and improve services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competing means.

      • 항공 안전관리를 위한 UAM-PSU 인적 요인 및 TEM 연구 : 항공교통관제사 인적 오류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분석을 포함하여

        김정빈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최근 도시 인구 증가, 도시화 가속화에 따른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 심화, 도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인프라 구축 한계,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내 항공교통관제사 역할과 유사한 교통관리 서비스 제공자(PSU)의 인적요인 및 TEM 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PSU의 인적요인은 대표적인 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시스템(HFACS)를 인용하여 AHP 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을 보유한 숙련되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예측 가능한 PSU의 인적요인을 도출하여 ATC의 인적요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슷한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PSU 뿐만 아니라 UAM 이해관계자의 인적요인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항공운송산업에서 활용 중인 인적요인 기법 및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PSU의 TEM 요인을 제시하고자 ATC 분야 항공 사고사례에 대해 TE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토교통부 정상운영 안전표본조사(NOSS) TEM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버티포트, UATM 공역, 이해관계자 등의 새로운 개념 적용이 요구되며, UAM 상용화 이전에 안전하고 신뢰도 있는 교통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운항을 도모하는 기법인 PSU 분야 TEM 개발 필요성이 제기된다.

      • 도심항공교통(UAM)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 중심으로

        주효근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에 대하여 잠재적 이용자 대상으로 기술수용 중심으로 기술, 보안, 신뢰, 가격, 인프라, 소음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의 영향 관계 실증분석으로 UAM 수용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측정되는 요인들은 최근 해외에서 시행된 사회적 수용관련 문헌 내용과 기술수용모델, 혁신확산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되었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이 시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이 인지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PE)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성으로미친다는 사유로 PU 변인으로 채택한 연구나, UAM 관련 연구로 PU만 적용된 혁신적인 교통수단 수용모델 기반으로 구성된 연구 1의 연구 결과 신뢰, 가격, 인프라가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으며 PU도 수용의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에서 기술수용모델의 PE와 인구학적 특성이나 성향을 포함 하는 혁신확산이론 기반 상대적 이점과 혁신성향을 추가한 연구 2 검증결과 연구 1과 같이 신뢰는 PU와 PE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라는 연구 1 결과와 같이 PU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PE에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격은 연구 1에서는 PU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연구 2에서는 PE에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교통매개체 서비스 이용 혜택은 적정 가격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교통매개체보다 유용해야만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고 해석할 수 있다. 상대적 이점이나 혁신성향은 수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UAM 기술, 보안기술, 소음은 연구1, 2 모두 PU나 PE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개개인들의 수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 보다는 해외 연구 내용과 같이 UAM이 사회적 수용을 위해 꼭 충족해야 하는 전제 조건이라 추측 할 수 있다. UAM에 대한 소식이나 정보를 일반인보다 더 자주 듣게 되고 현황을 더 잘 알고 있는 항공관련 업무종사자와 비 항공관련 업무종사자간의 차이 검증 결과, 항공관련 업무종사자는 PE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내용과 다르게 비 항공관련업무 종사자는 PE가 PU의 매개효과를 통해야만 수용의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AM 수용 확대를 위해서는 UAM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현재 도심 내 교통시스템 대비 얼마나 더 유익한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있어야만 수용 확대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고 예측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UAM 수용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행한 연구 1과 연구 2는 학문적으로 큰 의의로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관련 기술 외 신뢰, 가격, 인프라, 용이성, 유용성은 UAM 상용화를 위해 이용자들에게 꼭 충족되어야 하는 요인인들로 UAM 참여 조직에서 연구 및 개발 방향이나 수용에 관한 마케팅 전략 고안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항공 MRO 동향 및 입지분석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MRO 산업의 도입방향 연구

        박재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고밀 집적된 대도시의 지상부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에 대한 선진 국가와 기업의 관심과 투자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도 도심 교통망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UAM 기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UAM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UAM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으나 연구는 버티포트(Vertiport), 항공로 등에 국한돼 있다. 실질적으로 UAM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MRO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 MRO 및 항공 MRO 입지분석 사례를 통해 국내 UAM MRO 산업의 도입 방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UAM 및 항공 산업의 동향과 항공 MRO 산업, 항공 MRO의 입지현황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항공사별 운항정비, 기체 중정비, 엔진 중정비, 부품 정비 등 MRO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등 공항 입지별 MRO 레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비 전문업체 대부분이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에서 1~2시간내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대부분 입지를 하고 있었다. 또한 엔진 정비는 부천 엔진 전용 정비공장에서 대부분 정비하고 있었으며 운항정비 및 기체정비는 공항에 따라 항공사가 정비영역을 달리하고 있었다. UAM MRO 도입 시 UAM의 수직이착륙장별 정비 영역을 달리 적용하고 이착륙장내 또는 인근에 정비 전문업체가 입지할 수 있도록 착륙장 설치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 항공 MRO 업무 인증 기준과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인증 기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기체 정비 등급과 엔진 정비 등급 구분, 장비품 및 부품 등급이 달랐다. 분석 결과 FAA의 인증 기준은 현재 UAV 정비 센터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비 주기는 항공기 정비 주기, 군 정찰용 무인헬리콥터 정비 주기, 산림청 헬리콥터의 정비 주기를 비교 분석해 UAM 기체 정비를 위한 주기를 도출하였다. 향후 UAM MRO 도입을 위해 국내 정비업무 한정 기준과 미국의 FAA 기준을 조합 및 세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s an alternative to solve high-density traffic congestion on the ground in the metropolitan areas, Urban Air Mobility(UAM) is becoming the main target of interest and investment by the developed countries and global companies. South Korea government is also developing UAM aircraft in order to solve traffic jam in urban public transportation with big companies, and is trying to increase investments for the growth of UAM industry through strategic policy. Although South Korea government intends to commercialize UAM service by 2025, overall research is limited to the area of Vertiport and Aviation routes. As a result there is strong need to study MRO Industry in order to launch UAM services successfully. Therefore,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domestic UAM MRO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Aviation MRO states and Aviation MRO locations. This study includes UAM, Aviation industries, Aviation MRO industry, the location of Aviation MRO, the status of MRO such as flight maintenance, aircraft maintenance, engine maintenance, and parts maintenance. In addition the MRO level by airport location such 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and Jeju International Airpor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deep analysis, most of the maintenance companies were located in the place within one to two hours by car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In addition, most of the engine maintenance job was progressed at Bucheon exclusive maintenance plant for ENGENE. However there is some difference on operation and airframe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airports. If the government and company want to set up UAM MRO busines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different maintenance area of eac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ite. It is strongly advised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the landing site so that a specialized maintenance company can be located within or near the landing site.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omestic aviation MRO certification standards and the FAA's certification standards, the classification of aircraft maintenance grades were different. So did the maintenance grades, and equipment and parts grades. Furthermore certification standards of FAA are currently being applied to UAV maintenance centers. Several maintenance cycl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cluding aircraft maintenance cycle, the military reconnaissance unmanned helicopter maintenance cycle, and the maintenance cycle of the Korea Forest Service helicopter. Through this long journey the maintenance cycle of UAM aircraft could be derived. In order to introduce and develop UAM MRO industry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combining and subdividing the domestic maintenance work limitation standard and the U.S. FAA standard.

      • 인천공항과 국내 비수도권 지역 간의 UAM 운항 시장 규모 예측

        한정수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4

        본 연구는 미래에 다가오는 UAM 운항 서비스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운항 시장 규모를 예측함으로서, UAM의 초기 시범 운항과 서비스 사업 검토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정부(중앙, 지방)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과 유관 기업의 실질적인 투자 및 UAM 상용화 모델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국내 여객시장 중에서 「인천공항과 비수도권지역」 간의 노선에 대하여 현재의 시장 규모를 data에 기반하여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UAM 운항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다. 시장 규모의 예측은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나, 정성적인 방법으로 교통수단 선택 모형을 구축하고 정량적인 data를 활용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특히, 현재의 시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해당 구간 여객의 운임 규모 및 통행시간 가치, 운송 수단 선택 경향(지역별) 등을 분석하였고, 교통 운임 대비 시간 비용(통행시간 가치) 비율이 낮은 교통수단(KTX, 항공)을 이용하는 여객의 인원수를 UAM으로 전환하는 시장수요로 도출하였다. 미래의 UAM 시장을 예측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의 K-UAM 로드맵 및 글로벌 컨설팅사의 관련 보고서, UAM 개발 기업의 발표자료, 국내선 항공사의 운임 분석 등을 토대로 UAM 운임을 산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인천공항과 비수도권지역」 간의 노선에 대한 UAM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다. 「인천공항-비수도권지역」간의 노선에서 초기 UAM 운항 시장은 UAM 항공기의 짧은 항속거리 때문에 세종, 강원(원주), 충북(청주), 충남(천안)에서 인천공항 간의 구간 만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들 지역은 자동차 교통이 여객 수송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인천공항보다는 서울로 이동하는 구간에 대하여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 지역 외에 인천공항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멀고, 종합 비용에서 통행 시간 가치의 비율이 낮은 지역(빠른 교통 수단 이용 多)을 대상으로, 초기부터 UAM 인프라와 사업 환경을 구축하여 해당 지역권에서 UAM 서비스를 사업화하고, 향후 UAM 기체의 성능이 향상되면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국내 비수도권지역에서 UAM 상용화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정부조직법상 항공청 신설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조정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부조직법상 항공청 신설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항공산업은 첨단기술과 자본 집약적인 고도의 성장산업이며 기술변 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특히, 1919 년 파리협약을 시작으로 국가간 항공서비스가 증대되면서 발전한 국제 민간항공체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민간항공서비스의 양적·질적 확대에 따라 1944년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제로 발전되었다. 국제조약의 국내 이행이라는 측면에서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제를 통해 마련된 국제 기준은 국내 입법의 형태로 국내 민간항공서비스 시장을 규율하고 있다. 한편 최근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로 인한 국제 항공산업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변화는 민간항공의 위기 돌파를 위한 근 본적인 경쟁력 확보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주고 있다. 다시 말해, 항공운 송사업은 국제적인 인적 그리고 물적 이동을 담보하는 국가 기간산업인 만큼 그 전문성을 확보하고 책임행정을 구현해 나가는 것이 민간항공의 위기를 넘어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처럼 항공운송사업을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해나가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살펴보건데, 한국의 현행 항공관계법과 조직체계는 역사적·시대적 요인으로 말미암아 경로 의존적 성격 측면에서 이웃 국가인 일본의 영 향을 받아왔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러한 경로의존성과 제도의 지속성은 법제와 조직체계의 유사성에서 보듯이 현재에도 이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기존 경로 의존성에서 벗어나 민간항공 분야에서 정부가 한국에 걸맞은 독립적인 전문적인 정부조직과 제도를 마련할 필 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한국 국내 항공법의 근간인 1961년- II - 단일 항공법체제가 2016년 항공법 분법으로 기능적 분리가 된 이후 최 근 국적항공사의 외국인 임원 문제, 국적항공사에 대한 역대 최대 과징 금 부과와 이에 대한 불복으로 인한 행정소송(심판) 등 사회적 논란을 겪으면서 현재의 민간항공 사무를 관장하는 정부조직은 점차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민간항공 분야에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행정 수행에 한계 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민간항공분야를 독자적으로 관장하는 항공청의 신설을 주요국 가의 항공당국 조직 및 국내 전문부처 발전사례와 비교를 통해 살펴보 고 국제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민간항공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스 트코로나 시대에 맞춰 민간항공분야에서 근본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항공행정을 전담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전문부처 신설에 대해 본 논문을 통해 제언하고자 한다. Reconstructing Civil Aviation Authority in Korea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law and policy-oriented analysis The aviation industry is known as a high-growth industry with high technology and capital concentration, and it is also a rapidly developing sector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ical change.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ystem, which started with the Paris Convention in 1919, developed into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in 1944 follow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ervices after World War II.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treaties in Korea, international standards set throug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system regulate the domestic civil aviation service market in the form of domestic legislation. Rece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industry network paradigm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e been calling for the need to strengthen fundament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 aviation. In other words, securing expertise and implementing responsible administration is in line with the trend of fostering air transportation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like the United States, beyond the crisis of civil aviation. It is pointed out that Korea's current aviation relations law and organizational system have been influenced by neighboring Japan in terms of route-dependent characteristics due to historical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path dependence and system continuity is still reaching the present. Meanwhile, this reminds us of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set up an independent profes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system suitable for Korea in the civil aviation sector, away from existing route dependencies. The recent issues of foreign executives of national airlines, the imposition of the largest fine ever for national airline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judgment) caused social controversy. Also, the single aviation law system was functionally separated in 2016,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civil aviation field has limited effective and systematic administrative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which independently oversees the civil aviation sector, through comparison with the aviation authorities of major countries, and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specialized administration that can secur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 개인 통행 성향이 도심항공교통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양병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의 주요 사회 문제 중 하나는 교통 체증이며, 이는 교통혼잡비용을 유발하여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일으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내 지속적인 교통시설 확충이 이루어져 왔으나, 도시 내 인구 과밀화 및 공간적 한계 등으로 인해 추가적인 교통시설 확충은 한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도시의 공중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교통혼잡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도시 내 정시성 및 신속성을 보장하는 신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으며, UAM 시장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국토교통부 또한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UAM 활성화를 위해서는 잠재적 UAM 이용자들의 성향 및 이러한 성향이 UAM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관련 연구 중 국내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UAM이 처음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거주자를 대상으로 개개인의 통행 성향이 UAM 이용 의사 및 UAM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UAM 서비스 도입 및 활성화 시에 고려해야 할 정책적 사항을 제시하였다.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UAM 이용 의사 및 UAM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UAM 이용 의사의 경우 전반적으로 남성, 고연령층, 고소득층, 자가용 보유자의 이용 의향이 높았으며, 경로고정형 UAM 서비스보다 수요응답형 UAM 서비스의 이용 의향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AM 서비스 요소의 경우 기술적 안전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가격의 경우 연령, 소득 및 운전 빈도가 낮을수록, 신뢰성의 경우 연령, 소득 및 운전 빈도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통행 성향, UAM 이용 의사, UAM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 간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 통행 성향 중 정시 도착 의향의 경우 경로고정형과 수요응답형 UAM 서비스 모두 이용 의사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AM 이용 가격의 경우 경로고정형과 수요응답형 UAM 서비스 모두 서비스 유형별 UAM 이용 의사가 중요도에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AM 기술적 안전성의 경우 경로고정형 UAM 서비스에서만 서비스 유형별 UAM 이용 의사가 중요도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주었으며 UAM 신뢰성의 경우 수요응답형 UAM 서비스에서만 서비스 유형별 UAM 이용 의사가 중요도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인의 성향과 UAM을 연계시켜 잠재적 UAM 이용자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UAM 도입 시 도시민들의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UAM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경로모형의 변수, 경로 설정 등을 다각화하거나 경로모형 외에 다양한 모형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향이 UAM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추후 국내 UAM 서비스의 성공적인 도입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