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후생함수를 이용한 도시교통정책의 형평성 분석 : 수도권의 성남축 통근자를 대상으로

        최현주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국내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형평성 문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교통 분야에서도 ‘녹색성장’과 더불어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형평성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현재는 형평성을 고려할 때 공리주의 가치관을 기준으로 주로 접근성 측면, 지니계수를 이용한 불평등도 등과 같은 형평성 관련 지수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새로운 정책 및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할 때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도 함께 고려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특성, 목적 등에 따라 접근하는 방법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되지 못했던 형평성에 대한 가치관별 접근 방법 및 정책의 평가 방법론을 사회후생함수를 이용하여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858명의 통근통행자에 대한 행태를 고려하여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도시교통정책에 따른 수단선택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정책의 시행에 대한 교통측면 효과 분석, 사회후생함수별 형평성 측면의 효과분석 등 세 가지 방법론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후생함수별 형평성 측면의 효과분석에서는 사회후생함수의 유형에 따라 통근통행자의 후생변화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집중지수, 지니계수를 이용한 RS지수를 통해 도시교통정책의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을 기준년도(미시행)로 정하였으며 현 시점에서의 정책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2016년 12월 기준의 가격변화를 분석의 기본안(시행)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2006년에서 2016년(10년간)은 인구의 변화, 교통시설(버스노선, 운행대수, 지하철 노선, 신규 도로 등)의 변화, 요금체계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2006년과 2016년 자료를 각각 이용하게 되면 정책에 의한 순수효과 이외에 외부요인으로 인한 변화가 반영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의 변화에 따른 효과만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기준 자료를 기반으로 정책의 변화 요인만 고려하였다. 다만, 2016년 기준의 광역버스요금, 지하철 요금 및 유류비를 2006년 기준의 불변가격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후생함수별 사회후생 변화 측면에서 살펴보면 사회후생함수에 따라 정책들의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 ‘통근자 후생의 최대화’가 목표인 현 사회후생함수(일반화된 공리주의)와 극단적 공리주의 사회후생함수에서는 ‘유류비 인하 정책’이 통근자 후생이 가장 커지는 정책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근자 후생의 공평성 최대화’가 목표인 평등주의적 사회후생함수는 ‘지하철 요금인상 정책’이 개별 통근자 후생이 가장 공평해지는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저계층 통근자 후생의 최대화’ 가 목표인 롤즈적 사회후생함수는 ‘유류비 인하 정책’이 최저계층 통근자 후생이 가장 커지는 정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후생의 집중도 측면에서는 소득계층간 사회후생의 집중도가 일반화된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와 극단적 공리주의 사회후생함수의 결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화된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1개의 시간가치를 사용하기 때문이며, 소득수준을 고려한 시간가치를 사용하는 극단적 공리주의 사회후생함수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도시교통정책의 시행 전과 시행 후의 형평성 개선도를 지니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사회후생함수 모두 소득계층간 형평성 개선도가 가장 높은 정책은 ‘유류비 인하 정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신규정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때 기존 연구와 같이 총사회후생의 변화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계층 간 후생에 대한 집중도, 사회 전반적인 형평성 개선의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고 다양한 시각으로 형평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후생함수에 따라 정책의 우선순위 및 후생이 집중되는 계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이 추구하는 목표의 설정(후생의 최대화, 후생의 공평성 최대화, 최저계층 후생의 최대화)이나 정책의 수혜자를 어느 계층에 둘 것인지에 따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사회후생함수의 유형은 달라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형평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기존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 교통의 접근성, 이용자 후생, 지니계수뿐만 아니라 RS지수, 집중지수 등을 이용하여 형평성의 개선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도시교통정책의 시행이 개인의 형평성뿐만 아니라 구성원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정책이 소득계층에 따라 불평등도를 체감하는 정도가 상이한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다. 향후 이 지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책을 도입할 때 정책의 수혜자가 어느 계층인지에 따라 정책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大衆交通政策形成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 都市鐵道事業을 中心으로

        이장우 大田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9711

        Ⅰ. Introduction This thesis has a purpose to research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process. The factors that can be feasibility to transports is roads. The road is an instrument to make intermediates peoples face to face in one's life. In other words, the roads is an instrument meet peoples each others, and can get oneself to desire. Therefore, we can think that road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things in our life. According to increase people's income, also increase people's desire to get their automobile ownership. But it can be not to dependent on peoples automobile ownership for city transportation system. Because increase people's automobile ownership will bring to an extreme state of congestion with traffic. In these situation, public transport policy comes to as the core policy problems in city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has complex process which to participate formal participants and informal participants like as diversity interest groups, individuals, mass media and rural politics. This thesis inquires about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For this, applies to empirical study that is city railroad construction policy forma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s In order to analysis of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researcher is going to apply with various policy-making model. Basically policy-making model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Criteria of dividing into several types is rationality. There are 4 types model relying on rationality. 1) Rational comprehensive model Rational comprehensive model reflects rationality carefully. It premised perfect analysis of situation on rasing policy problem. But it is almost impossible, unless analysist has a man of ability about cognitive a certain status quo. 2) Satisfying model Satisfying model begins with problem oriented that perfect analysis is very difficult for peoples to actualization. Response to comprehensive rationality is to determine in level of satisfying of decision maker. But satisfying model can not reflect to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of real world. Because satisfying level of decision maker can be meant to arbitrary behavior. 3) Optimal model Optimal model originated by Yehezkel Dror. His concept of optimal model increase to more realize rationality in policy making stage. For more increase rationality, he asserted that policy maker seeks values positively. What is more, extra-rationality should be considered. But optimal model does not guaranteed tangible methods for seeking values. 4) Incremental model Basically incremental model premises that peoples are restricted beings in their cognitive ability, their time scopes and their finances. So, incremental model asserted that policy making process is like "muddling through". This means policy maker is dependanted upon various restricted factors According to incremental model, policy maker seeks values is very difficult in policy making process in real world. Therefore alternative is that policy make is determined by incremental method that is , step by step or little by little. But policies be determined by incremental model can not give chance to change and innovation. 5) Mixed-Scanning model Mixed-Scanning model compromises with between rational comprehensive model and incremental model. It is very useful model. And then in this model, it is necessary for initiative groups such as social guidance system that leads two points of view. 6) Garbage can model Garbage can model is useful thing that can be adopted in extream confused situation. Its keynotes can not be guranteed rationality. According to this model, policy making is determined by trigger effects in a certain situation. Ⅲ. Analytical Framework In order to analysis of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we have to investigate various theoretical model on policy making 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basically have two variables as a criteria. That is efficiency and equity. On the authority of theoretical studying untill now, can be proposed to analytical frame work.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Ⅳ. Empirical analysis On the authority of analytical framework, I analysis city railroad (subway) construction policy in Daejeon city. 1) Define policy problem & establish policy goal The defines of policy problems about public transit problem initiatives presidential candidates of participated in 1987 presidential election. This means defining policy problem has been dominated by non-rationality that is political characteristic rather than rationality. 2) Seek alternatives Seeking alternatives stage was neglected. Because city railroad policy was initiatives by presidential candidate and presidential candidate who asserted city railroad policy wins in presidential election. 3) Analysis alternatives Analysis process on alternatives was very simple. Because policy goal was given by president, analysis alternative was not important. Rather, more important thing concreted implementation process of city railroad policy. 4) Collect opinion & Hearing, policy change Collect opinions & hearing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policy formation stage. Collect opinion & hearing in city railroad policy is mainly focuses on course setting of railroad. Effect of collect opinion came out course change of railroad. 5) Adopt alternative Because seeking and analyzing process on alternatives was restricted, alternatives adopt stage was very simple. Ⅴ. Conclusio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making has to be determined in composing of basic city meta policy. I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mation, I think that the important thing of criteria harmonized between physical perspectives of city future and image of city. In these point, I propose several policy problems i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irst, I asserted mixed-scanning model applying, instead of garbage can model in city transit policy formation process. Second, policy formation and making ability of formal participants have to be increased in city government. Third, take part in informal participants has to be expanded. I truly think that these proposed assertions will increase rationality of policy formation process in city government.

      • 釜山市 都市交通政策方向과 政策順位 決定에 관한 硏究

        신제철 東亞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9711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various transportation policies to solve current traffic problems in Pusan and to establish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s satisfying the transportation demand which will be forecas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decide primary transportation policies, which is comprehensive and future oriented, based on empirical studies, and to decide priority order of the policies by the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examined and evaluated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policies by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transportation policies which is executed in the pas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rban railroad construction on neighbouring circumstances, area-wide road network construction, and vehicle trip management policy which are the representive cases of implementing the transportation policies. And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primary policies to solve the Pusan traffic problems as follows; ① consolidation of public transpotation system, ② restraining passenger car trips, ③ building up the transport system linkage, ④ preemption of pedestrian's right of way, ⑤ effective operation of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In order to be successful of those policies above, following measures are recommended; ① building up urban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② area-wide network construction and establishing hierarchy of the roads, ③ improving convenience of intra-urban public transportation, ④ enacting of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laws and regulations, ⑤ ultramodernization of traffic control system and foundation of the traffic broadcasting ⑥ introduction of near transit system, ⑦ reorganization of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ration organizations. Above mentioned transportation policy alternatives were selected on a model of deciding priority order about various given transportation policy alternatives through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Those policy alternatives were ordered using the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otal effectiveness index of the alternative, reorganization of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is 0.73,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nd therefore proved the most urgent policy to solve Pusan traffic problems. Then, the index of the improving convenience of intra-urban public transportation is 0.68, which is the second priority, and that of the enacting of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laws and regulations is 0.58, which is the third priority. And that of introduction of new transit system, ultramodernization of traffic control system and foundation of the traffic broadcasting station, and building up urban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is 0.46, which are the last priority. The traffic problems of Pusan appear multi-complicated and diverse. This phenomena will be more deepened as the numbers of vehicle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traffic problems we must implement simultaneously the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policies. In addition, we must devote all our energies to develop the transportation policy which could have consensus for all Pusan citizen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feed-back transportation policy implementation impacts through effectiveness analysis, and to continue to implement the modified transportation policies, if necessary to modify, according to results of feed-backing. This study requires further research subject and will be continued to proceed from now on.

      • 대도시 교통정책의 개선방향 비교연구 :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수요 및 공급 측면을 중심으로

        Gurvanbaatar, Amartuvshin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study aims to derive applicable planning elements for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atar by analyzing traffic stat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Ulaanbaatar comparatively. Ulaanbaatar is home to more than half of Mongolia's population. As the population grows, traffic congestion becomes a major problem in the cities and start to give negative impact on economy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becomes urgent and necessary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In the past, the most efficient way to solve increasing traffic was to scale the roads, perhaps the simplest intuitive solution. However, right after the expansion, traffic congestion occurs again as soon as the surrounding traffic moves to an extended section of the road. Traffic congestion problem cannot be solved solely by the flat expansion of the road. Therefore, the government is asked to implement a new transportation policy to reduce the amount of traffic flowing on the road or to transfer the passengers in the cars to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traffic demand management policy'. Solution for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and its consequential problems in Ulaanbaatar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various research with different approaches fo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example,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oad infra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 in traffic management policy of Seoul and Ulaanbaatar in order to derive measures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ities are studied in terms of traffic situation and the traffic congestion status. The solution methods mainly described by the references, literature related to traffic congestion such as research institute reports, papers, newspapers, and magazines. Furthermore, local residents and experts in the Mongolian capital are interviewed regarding what should be resolved first in congested roads. One possible way to decrease road congestion is to control number of vehicles in the central area through the toll collection system, which can work with auxiliary highways by charging drivers for entering the city center. In Ulaanbaatar,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reform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a similar direction as Seoul.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most efficient and suitable way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tar is to reduce cars by im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본 연구는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 및 새로운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교통 현황을 분석하여 적용이 가능한 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울란바토르는 몽골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 따라 교통 혼잡은 도시의 주요 문제가 되었으며 경제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교통 혼잡 문제 해결이 긴급히 필요하다. 과거에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교통 혼잡을 회피하기 위한 직관적 해결방법일 뿐이다. 즉, 도로가 확장된 직후에 해당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는 통과속도가 빨라지고 그 결과 통행비용 또한 감소하게 되어 도로확장이 매우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주변 교통량이 확장된 도로구간으로 이전 되어 또다시 교통 혼잡이 발생된다. 결국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만으로 교통 혼잡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교통량을 감소시키거나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으로 이전하는 방향으로 교통정책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이 교통 혼잡문제에 대해서 교통수요관리 측면의 접근 방법을 ‘교통수요관리 정책’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수도권 집중(metropolitan concentration), 자동차 증가(car increase), 대중교통 시설(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도로 인프라(road infrastructure) 등 다양한 차원의 연구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교통수요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교통수요관리에 초점을 두고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현황 분석과 교통 혼잡 현황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울란바토르 교통 혼잡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교통 혼잡과 관련 참고 문헌과 연구기관의 보고서, 논문 및 신문과 잡지 등을 분석한 조사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아울러 문헌에서 나오지 않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실적은 문제와 도시민들의 생각과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집행 된 정책에 대한 의식을 예측하기 위해서 혼잡이 심각한 도로를 선정하여 지역의 도시민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교통 혼잡 지역 통행자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주민들의 생각을 파악하여 인터뷰를 진행해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해서 문헌에서 분석된 자료와 함께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개선 방안과 정책 방향을 시사한다. 울란바토르는 주간선도로가 도심을 지나가기 때문에 도심으로 진입하는 보조간선도로에 통행료 징수 제도를 통해 도심으로 집중되는 차량을 제어 할 수 있다. 울란바토르의 경우도 서울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통 정책을 개선하여 지금의 잘 못 된 교통 체계를 대중교통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소유자를 대중교통으로 전환하는 것은 현재 가장 적합한 교통 개선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중국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산동성 웨이팡(潍坊)시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심재필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94

        본 연구 대상 지역인 웨이팡(?坊)은 중국의 개혁개방 선두에 있는 항구 도시인 칭다오(??)와 산동성(山東省)의 성도(省都)인 지난(?南)의 중간에 위치한 총 면적 15,860㎢에 인구 8,625,000 명으로 산동성(山東省) 제 3위의 중소도시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일산과 같이 계획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국내선 공항과 화물선 위주의 항구, 내륙과 연해를 연결하는 일반 및 고속철도가 관통하며, 사통발달 각지로 통하는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연해도시와 내륙 대도시를 잇는 중소도시의 도시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중국 내륙지방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중소도시의 도시 계획 흐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향후 더욱 가속화될 한중관계에서 중국 내륙으로 진출할 한국기업들이 비교우의를 점하여 기업경영과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유용하기를 바란다. 연구방법은 그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각종 자료와 중국 정부통계자료 및 선행 연구 내용분석 등을 통한 서술적 문헌연구와 연구자가 2010.7.24∼8.25까지 3회에 걸친 웨이팡시(?坊市) 성시(城市=都市)계획국 국장과 시외사판공실(市外事瓣公室) 아주(亞洲)과장 등과의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수집한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국내외에 발표된 각종 문헌자료 및 중국 정부의 통계자료를 통해 도로계획의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도시 및 도로관련 법규와 계획을 분석하여 시행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향후 해안지역과 내륙지방의 연결거점 도시의 역할을 제공한다. 연구내용은 중국 교통계획과 웨이팡(?坊)시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6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의, 연구목적, 연구의 방법과 연구내용을 설명하며, 제 2장은 도시계획의 이론적 고찰로 도시의 본질과 도시계획의 역사 및 기본적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제 3장은 중국의 국토개발정책과 추진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를 비교/분석하고, 도시화 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와 비교/분석한다. 제 4장은 중국의 도시계획으로 법률 법규와 철도 및 도로 중장기계획 및 산동성(山東省)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제 5장은 웨이팡(?坊)시 도시계획중 도로, 철도, 항공, 항만을 소개하고 철도와 도로 등 교통체계위주로 서술한다. 특히 연해지역과 내륙 대도시간의 연결성과 도시정책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밝힌다. 제 6장은 결론으로 앞에서 연구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힌다.

      • 大都市 大衆交通 活性化方案에 관한 硏究 : 光州廣域市를 中心으로

        홍한의 朝鮮大學校 政策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00543

        The traffic jam in the metropolis is the result of inconveniences coming out of using public and private vehicles. If the services are not to be improved, the citizen will stick to using their own cars and the situation of the traffic indigestion will become worse. Now schemes to utilize narrow road space more efficiently are prepared. But rather than road fixing or road widening, it is more urgent to grasp the status and the problem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set up traffic demands controlling policies and introduce service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highly- intelligent public vehicles controlling system. And the efforts will make the utiliz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more activated and help easing transportation jam. 1. As one of ways of easing the traffic jam, we can consider road fixing and road widening, especially with facilities supplying. the specific means to ease traffic jam is as follows. 1) It's required, through consolidating circulating function among crossings, to construct radiately circulating road network system and introducing circulating road system between inter-belt districts. and introducing circulating road system between inter- belt districts. 2) As the cities' structure get changing, it's necessary to establish express circulating roads, and it's urgent to develop entirely the second circulating roads because of the traffic indigestion in the first circulating roads and between connected areas. That means that we have to establish new roads to make the traffic situation, for example, in downtown, Song Jung, I1 Gok districts, without a hitch. 3) We have to make the passing of vehicles easier by changing some important crossing points into being dimentional, for example in Dong Mun Ro, Seo Mun Ro, Gyong Yeol Ro, Nam Mun Ro, Buk Mun Ro, etc. 4) We need to open new roads by the river sides of the intersection area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Yeong San river. And also, we have to transform the road system into a crossing type through developing Song Jung, Han Nam at the same time. 5) Authorities concerned have to rearrange the facilities relating to the railroad and mainlines according to the function. 2. Supplying facilities will create new demands and cause another traffic problems inclined to repeat themselves. This study considered and investigated some problems occurring on the way of implementing various traffic demands controlling policies, some exampl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e Gwang Ju citizen's answering and responses. 3. Grand cities' traffic demands controlling policies are implemented through controlling the uses of private vehicles. 1) We have to give benefits to the faithful observants and harsh legal, systemic punishment to the negligent citizen. 2) By changing work days and work hours, we can ease traffic jam. 3) By imposing bustling toll to the private vehicle drivers, we can control the traffic passes and we can realize the redistribution of wealth, through investing those incomes to improvement of the bus and the subway system. 4) It must be considered positively to introduce the restricted zone and road transportation permitting system and district license system. 5) We must practice co-using private vehicles system, in advance, in the chronic traffic jam areas, especially around downtown working places, and we have to give benefits to the observants. 4. The policies on the parking controlling cam be suggested as follows. 1) It's required to expand and reinforce the regulations on the illegal parking acts. 2) In the year 2000, to make the traffic circulation active and emergency vehicles pass smoother, we have to forbid parking inside the width of 6 meters from the dwelling districts in the first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