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들의 지원요구 조사

        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장애를 가진 학생이 변화하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절히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기회 확대를 정책의 한 방향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진입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 중 하나로 특수학교에서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지원의 부족을 들 수 있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는 대학에 진학한 장애 학생의 실태 및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장애학생의 고등교육으로의 진입(대학입학) 이전의 교육환경 및 제도, 교육의 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 진학에 대한 욕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실태 및 진학지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의 지원요구 및 학생들의 만족도와 지원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50개교의 고등부 교사 316명 및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대학에 진학한 특수학교 졸업생과 현장 교사와의 면담 및 교육과정에 관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지원요구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실태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 교육부(1998b)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못 미치고 있었고, 수업 운영에 있어 학년이 높아질수록 직업교과의 수업 시수가 증가하고 있어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맡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에서 일반학교 교과서를 교재로 사용하고 있었고,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진학지원에 있어 고등부 과정에서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계열을 분리(예, 인문반, 실업반)하여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33 개교 중 8개교(24.2%)였고,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진학지원 프로그램에 있어 진학반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66.7%, 보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57.6%였다. 한편, 연구대상 학교 중 97%가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비정기적으로 진학상담을 실시하고 있었다. 3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는데, 특히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 찬성', '특수 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의 개선필요'에 대해 높은 요구를 보였고, 수업 운영에 있어서는 '보통교과의 교수 방법 개선', '학생들의 성취도 평가 방법의 개선' 문항, 진학지원에 있어서는 '진학 상담', '진학반과 같은 진학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직업 교육을 원하는 학생과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의 계열(예, 인문반, 실업반) 분리', '내신성적 산출방법이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4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진학을 위한 보통 교과의 주당 수업 시수'와 '대학 입시에 대한 정보 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 분석결과 .05 수준에서 시각장애 학생들과 지체부자유 학생들간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의 지원요구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적 낮은 지원요구를 보인 항목들은 수업 운영에 대한 부분이었다.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지원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 분석 결과 001 수준에서 시각장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 간의 지원요구와 지체부자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간의 지원요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은 대학진학을 위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안고 있었다. 우선적으로는 고등부 교육과정의 계열을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이 어렵다면, 다양한 형태의 진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등부 2∼3학년 과정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교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특수학교에서의 대학진학을 위한 교육은 많은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서는 대학에 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학생들을 가능한 한 인근의 일반학교로 통합교육을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장애 학생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일반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장애 학생들이 일반학교에서 일반학생들과 함께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물리적 환경개선 및 제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ituation on spe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survey the teachers' and students' need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i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316 teachers and 270 students in 50 special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The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s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typ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In the majority of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support programs for the college entrance of students were insufficient 2 Teachers showed high needs about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3 Students showed universally low satisfaction and high support needs Also,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 student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support programs for the college entrance of students are insufficient i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Also,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w high need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 고교시절의 사교육 경험과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의 관계 : 학생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연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난 50년간 급격하게 성장해 온 사교육은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과 사회통합의 저해, 그리고 가정경제와 국가경제의 왜곡이라는 문제를 가져왔고, 교육적 차원에서는 학교교육의 파행적 운영, 전인적 성장의 저해, 의존적 학습태도를 조장하는 등의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정부는 사교육을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해왔으나, 사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사교육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을 양산함에 따라 사교육 문제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교육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그 동안 사교육 관련 연구들은 사교육이 재학시절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사교육의 수요자가 과다한 비용과 시간을 사교육에 투자하는 이유가 단순히 사교육을 통해 단기적인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만 있지 않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수요자들은 사교육을 일종의 평생기대후생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고 사교육에 투자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학습성과 향상을 통해 상위대학에 진학하고 장기적으로는 대학진학 후 좋은 학습성과를 내어 취업 후 사회적·경제적 보상을 받고자 하는 기대가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사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때는 단기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성과, 즉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 하지만 사교육 경험이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인 자료로 검증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사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이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편, 사교육의 효과와 관련하여 그간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사교육의 효과에 대한 수요자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던 데 반해, 실제 학생들의 학습성과는 부정적인 경우가 많았다. 즉, 사교육 수요자들은 사교육이 학습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증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사교육 경험이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사교육과 학습성과 사이에 매개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학습은 투입-과정-산출이라는 연속적인 체계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성과는 투입변인과 과정변인을 통해 산출되는 결과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대해 연구를 할 때는 사교육 경험이라는 투입변인 이외에도 과정측면에 해당하는 변인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습성과를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과정변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학생참여변인을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학생참여가 사교육 경험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K기관에서 제공하는 전국 10개 대학에서 표집한 대학생 2,756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검사에 사용된 척도는 대학생의 학습성과 구인을 탐색하고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측정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확보된 것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사교육 경험이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교육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둘째, 학습성과를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과정변인으로 알려진 학생참여가 사교육 경험과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학생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학습성과를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으로 구분하고, 학생참여는 수업활동, 수업외활동,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성과에 대한 사교육과 학생참여의 효과를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은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성과를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으로 구분하여 사교육 경험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은 인지적 역량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의적 역량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교육 경험이 인지적 역량 중 어떠한 하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은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창의적 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글쓰기 능력을 개발함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과 함께 대학진학 후 학생참여가 학습성과(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사교육 경험의 회귀계수는 학생참여변인을 추가적으로 투입했을 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에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질 경우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대학진학 후 학생참여는 학습성과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이 대학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학생들의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은 향상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에는 수업외활동을 제외한 다른 변인들(수업활동,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참여의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수업활동이 인지적 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대학에서 제공되는 수업활동(팀활동, 실습 등)에 학생 스스로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예습과 복습을 통해 다음 수업을 준비하며, 팀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인지적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정의적 역량에는 수업외활동이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동아리활동이나 자원봉사와 같은 수업 밖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이 정의적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과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생참여의 매개효과를 Mackinnon방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붓스트랩방식으로 검증한 결과, 대학진학 후 학생참여는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과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은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참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습성과에 간접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교육을 받는 것이 학습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가 만연해 있는 현 실정에서,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이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입증함으로써 사교육에 과도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인적자원개발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낭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진학 후 학습활동, 학습외활동,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 개발에 도움을 주며,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에 대한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줄여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학생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과도하고 무분별하게 사교육을 받고 있는 사교육의 수요자에게나 대학입학 후 적응을 잘하고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우수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사교육을 지나치게 유발하는 내신 성적이나 수능 성적, 논술고사 성적을 입시전형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던 대학의 입시관계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줄 것이며, 향후 대학입시정책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urgeoning supply and demand in private education over the last 50 years has resulted in several unwelcome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repercussions. Competition fueled by a surge in private education has lead to greater social inequality, undermined social integration and distorted household and national economies. In addition, private education has significantly damaged the established education system per se, by becoming prioritized above school education, retarding students’ holistic development, and cultivating dependent learning behaviors among students.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multitude of measures to alleviate these negative influences. Unfortunately, however, these policies have only encouraged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s in private education.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private education have resulted in mounting criticisms against it and calls for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its true value. As a response to these demands, research on private education has so far focused on confirming its impacts on learning outcomes. However, these studies have neglect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consumers of private education do not simply expect short-term improvements in learning, but rather see private education as a means to maximize their lifetime well-being. In other words, in the short term, consumers of private education expect to gain acceptance to top-tier schools by improving their learning outcomes; in the long term, they expect excellent grades in college so as to land positions in leading companies, thereby earning wealth and status. Therefore, researchers must als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hat is, its usefulness in university-level learning outcomes. Henc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during high school on student performance in college. Existing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attest that while students and parents perceive positive learning outcomes, actual outcomes from private education are negative.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actor mediating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learning outcomes. Learning comprises a continuous system of input, processing and output, with learning outcomes generated by the input and processing variables. Thus, examining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requires researchers to consider a process variable in addition to the input variable (i.e., private educational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sets student engagement as the mediator and examines whether student engagement indee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nalyzed responses from 2,756 college students from ten colleges nationwide (provided by K). The scale used for the test was developed to measure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both confirme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wo points: first, whether private educational experiences yiel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second, whether student 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on learning outcomes in more depth, this study subdivided learning outcomes into cognitive outcomes and affective outcomes, and subdivided student engagement into class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teraction. The study’s primary findings were three. First, private education during high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and on cognitive outcomes, though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outcomes. This study also conducted further analyses to identify the specific sub-categories of cognitive outcomes affected by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ivate education during high school negatively affected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creativeness, computer skills and writing skills. Second, we analyzed the mediatory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on learning outcomes (cognitive and affective) in college.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rience decreased when the student engagement variable was incorporated. This signifies that the negative influences of private education during high school are alleviated by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in college. Meanwhile,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indicating that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apacities are enhanced by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n college. However, of the sub-variables of student engagement (class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teraction), only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ies. Moreover, class activ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gnitive outcomes. This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team projects, hands-on experiences, etc.) and prepare for the next class by thoroughly reviewing class materials to improve their cognitive outcome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on affective outcomes, signifying that activities outside the classroom, such as school clubs or volunteering opportunities, are conducive to boosting affective outcomes. Third, we examined the mediatory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al experience in high school and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via the Mackinnon method and the bootstrap metho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 engagement during colleg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al experience in high school and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In other word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not only has a negative effect directly on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but also yields a negative influence indirectly on learning outcomes by negatively affecting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The present study directly rebuts currently prevalent beliefs about private education during high school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private it negatively affects learning outcomes in college. Moreover, excessive investment in private education is unnecessary and wasteful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tively engaging in class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 is more efficient for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apacities, as well as in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university learning outcomes. The authors of this study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meliorating college admissions criteria that focus excessively on grades, college admissions tests, and admissions writing tests that promote the hitherto unprecedented expansion of private education.

      • 대학진학이 청소년 비행통제에 미치는 영향 : 생애과정이론을 중심으로

        유준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비행은 어떠한 국가를 불문하고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성인범죄로의 발전할 가능성 때문에 이를 심각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Sampson과 Laub의 생애과정이론에서는 성인 초기의 결혼, 취업, 군입대 등과 같은 인생사건을 비행을 중단시키는 전환점으로 제시하였으며, 사회유대를 회복시켜 비행경험자들로 하여금 정상궤도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해준다고 주장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대학진학을 결혼, 취업, 군입대와 더불어 성인이 되는 중요한 과정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진학을 비행을 중단하게 되는 전환점으로 보고 대학에 진학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비행을 중단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의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이제 갓 20세가 된 청소년들로 하였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을 위해 청소년패널조사(KYPS)의 6차년도 자료를 Logistic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학에 진학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의 지난 1년간의 비행경험여부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독립변수로는 대학진학을, 설정하였으며, 비행의 중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부모유대, 비행친구,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 진학한다는 사실 자체는 비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의 충동성 요소와 비행친구가 이들의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학자 그룹의 경우 기존의 논의와 달리 부모의 감독이 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이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대학에 진학할 정도 매우 높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대학이수기간을 기준으로 2년제 대학생들의 특정비행경험이 미진학자보다도 많은 것이 이를 반영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마도 이 결과는 대학생이 되었을 때 음주와 흡연과 같은 지위비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결과물일지도 모른다. Adolescent delinquency in all of countries around world without exception is perceiv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Moreover, it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ecause of possibility to develop into an adult crime. Sampson and Laub in their life-course theory suggest that life events in one's early adulthood, such as marriage, employment, military service are turning points as key factors associated with desistance from criminal activity and also argue that these life events make delinquent people to return normal trajectory through recovering social bond. For Korean youth, proceeding to college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life event to come into adulthood.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roceeding to college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and attempts to examine a hypothesis that college students are less likely to commit delinquent behaviors than non-college students. Subjects in this study are adolescents just becoming twenty years old. To accomplish this goal, the author conducts a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ixth year data of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In addition, the author compares the differences of delinquent experience last year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non-college students by using SPSS 15.0.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the proceeding to college and mediating variables are parental bond, delinquent peers, and self-control. The results have revealed that self-control and delinquent pee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linquency while the proceeding to college doesn't much affect. Especially, unlike previous discussion, supervision of parents is positively linked to crime experience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 may be explained by the high college entrance rate in Korea. Nearly almost adolescents can proceed to college. The result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delinquency is higher than non-college students' may also reflect this circumstance. Perhaps, it may be a product of increasement of status delinquency such as drinking and smoking excessively increased when they become college students.

      •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의사결정양식과 중요한 타인의 인정이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강대철 慶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선택기준을 이해함으로써 진로지도와 진로상담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자, 대학진학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인인 학생 개인의 의사결정 양식(합리적, 직관적, 의존적)과 환경적 조건인 중요한 타인의 인정(부모인정, 교사인정, 친구인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물음은 첫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양식, 중요한 타인의 인정, 그리고 대학진학 선택기준(대학중심, 학과중심, 합격중심)은 어떠하며, 이들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양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중요한 타인의 인정은 무엇인지를 남녀 성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의사결정 양식과 중요한 타인의 인정의 상호작용 효과를 성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학생의 성격변인인 의사결정 양식이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한 타인의 인정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386명(남학생 197명, 여학생 189)을 대상으로, Harren(1984) 진로의사결정 검사척도를 고향자(1992)가 번안한 질문지와 중요한 타인의 인정 질문지(서우석, 1994), 그리고 대학진학 의사결정 질문지(하화주, 1999)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양식 중 합리적 양식이 직관적, 의존적 양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합리적 양식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아 유의미한 성차를 나타났다. 또한, 인문계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선택기준은 학과중심, 대학중심, 합격중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과중심의 대학진학 선택기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중요한 타인의 인정 역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의사결정 양식의 영향을 대학중심, 학과중심, 합격중심의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대학중심의 선택은 남녀 모두 의존적인 의사결정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중심의 선택은, 남녀 모두 합리적 의사결정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합격중심의 선택은, 남학생의 경우에는 합리적 의사결정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의존적 양식이 합격중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중요한 타인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과중심의 선택에 있어 남학생은 교사의 인정과 친구의 인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에는, 친구의 인정과 부모의 인정이 학과중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진학 선택기준에 미치는 의사결정 양식과 중요한 타인의 인정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학과중심의 선택에 있어서는 중요한 타인의 인정 정도에 따라 합리적 양식이 학과중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부족한 학생들은 중요한 타인의 인정을 받지 못할 경우 학과중심의 선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들은 대학중심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타인의 인정 정도에 따라 의존적 양식이 대학중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사결정을 할 때 의존적인 학생들은 중요한 타인의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지각할 때 대학중심의 선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 하여 볼 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지도나 진로상담의 계획을 수립 할 때는 학생들의 특성에 따르는 의사결정 유형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그들에 맞는 차별적 처치를 하여야 한다. 특히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배양은 진로의사결정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role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 decision-making style(rational, intuitive and dependent style) and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parents, teachers and friends) play in choosing univers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on the field of high school. The research problem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how do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and college decision-making style(college-oriented, department-oriented, entrance-oriented style), differentiate depending on gender?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on college decision -making style, and how do they differentiate depending on gender? Third, what is the effect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on college decision-making style, and how do they differentiate depending on gender. Fourth, how do the effect of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 on college decision-making style differentiate depending on the level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To verify this problem, 400 high school students in Masan and Changwon, Korea were sampled at rando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y to the seniors at the first semester of 2004. After data cleaning, a total of 386 samples(197 male students and 189 female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processing of the data, test on the number of cas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t-verification, F-verification, repeated measu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386 students, utilizing Spss win (ver.10.0) statistic package. Three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naire asking the decision-making styles was the revised version of Harren's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1984) by Koh, Hyang-ja(1992). Other instruments were the questionnaire on college decision-making developed by Ha Hwa-ju(1999) and the questionnaire on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developed by Seo Woo-Seok(1994).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study of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showed that the mean of rational style is higher than that of intuitive, and dependent style. The results from examining differences in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by gender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ional styles. The study of Students' college decision-making styles showed department-oriented, college-oriented and entrance-oriented styles in due order. The results from examining differences in students' college-making styles by gender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partment-oriented styles. Also, in view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female students was meaningfully higher when compared with male students. Second,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effect of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on college decision-making styles indicated that dependent styl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lege-oriented style, and rational style on department -oriented style to bot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entrance-oriented styl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Rational styl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entrance-oriented style of male students, while dependent style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entrance-oriented style of female students Third,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effect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on college decision-making styles revealed that in case of male students praise from teachers and friend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artment-oriented styles, while in case of female students praise from parents and friends had an influence on department -oriented style. Fourth,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with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on college decision-making styles revealed that in case of male students the effect of rational style on department-oriented styl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upon the level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 In other words, when students with a lower rational style had little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department-oriented style was lower.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effect of dependent style on college-oriented styl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level of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In other words, when students with dependent style felt little praise from significant others, the college-oriented style was higher. An overall review of the above findings suggests that career counselor on the field of high school should hav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students' decision -making and make a differentiated diagnosis and treatment suited each and every student, in making plan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findings particularly show that the cultivation of the capability to make reasonable decision-making will raise incidences of career decision-making.

      •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창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지도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심층 면담하여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이를 통해 학교체육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파악하여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내실 있는 운영 방안 및 효율적인 진학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현직 체육교사 3명과 대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서자료의 수집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법을 채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와의 검토, 동료 간 협의, 다각도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접하게 된 계기, 실행 과정,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가 가진 강점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었고, 어떻게 하면 체육계열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하는 지속적인 관심과 열정이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 중 프로그램 운영에 비협조적인 관리자나 학생에 대한 관심 정도와 교수 방법이 다른 동료 체육교사와의 갈등,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와 개인 시간의 부족을 힘들게 생각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체육교사를 바라보는 시선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을 때와, 졸업 후 찾아오는 제자들의 모습을 통해 학교에서 체육교사의 입지가 확대된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교사들에게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주었다. 넷째, 교사들은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비협조적인 관리자나 동료 체육교사를 설득하고, 학교의 부족한 시설 및 기자재를 확보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주변 학교와의 지속적인 교류 및 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된 과정과 진학 준비 과정, 진학 후 만족도를 통해 살펴본 학생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은 체제선택 과정에서 이동 시간 절약, 학교의 통제력, 금전적 부담 감소 등의 이유로 학원보다 학교가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은 학교의 통제력으로 이는 학교에 대한 신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학생들이 체육계열 대학 진학을 결정할 때 체육교사의 영향이 부모님, 친구, 선배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체육교사는 학생들에게 닮고 싶은 인생 모델이자 멘토(mentor)로서 체제 선택 및 진학 준비 과정 내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진학 준비를 하면서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가장 힘들어 했으며, 모의고사 성적이나 실기측정 기록이 오르지 않는 슬럼프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넷째, 학생들은 대학 진학 후에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그 이유로는 학교의 시간 통제와 학습 분위기 조성, 이동 시간의 절약, 학생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갖고 대하는 체육교사, 사교육비에 비해 부담 없는 공교육비 등이었다. 이상의 결론들에서 볼 때, 연구 참여 교사들 및 학생들은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접하고 경험하면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자신감, 열정, 학교와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성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였고, 그 과정 속에서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학원과 비교해 학교가 가진 수많은 강점을 생각해볼 때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학교에 꼭 필요한 교육과정이며, 열정을 가진 체육교사들의 적극적인 실천과 문제점의 극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arching effective operation plan of after-school program for enter the universiti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APEURPE) and efficient guidanc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understanding positive effec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do this, this question, "How do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on APEURPE?" was given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n participating in APEURPE. To reach the purpose, three pres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 and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deep interview and collecting data were applied to them. Th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se record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nd examination with subjects, peer debriefing, triangulation were applied to increase reliability. The result are given below. Teachers' recognition about motive to participate in APEURPE and operation process, direction for development was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sure that schools have advantages, and are motivated by steady concern and passion for students that help them enter the universiti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Second, teachers had difficulties for administrators who were unwilling to operate these programs, trouble with peer teachers who had different point of view, mental·physical stress, and lack of individual time. Third, teachers came to have pride of their career when students' recognition to their teachers was changed positively and graduates visited them. Fourth, to develop APEURPE, teachers thought that cooperation with administrators and peer teachers, expansion of facilities, persistent interchange between the other schools, and upgrad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needed. Students' recognition about motive to select APEURPE, preparation for entering universities, and satisfaction after entering universities was as follow: First, students choose APEURPE due to time and money saving, especially, control of schools-this represents students' reliability to schools. Second, teachers' influence on their students was superior to their parents, friends, and senior when students decided their cours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role model and mentor of their students. Third, students had difficulties of involving in both study and exercise, so they made every effort to overcome their slump such as bad grades, unchangeable records. Fourth,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APEURPE after entering universities because of time control and creation an academic atmosphere of schools, time sav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concern in their students, economical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s.

      •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만족도

        조두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현재 질적, 양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체대입시학원에 비해,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한 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환경과 교사 전문성, 주요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K도 내에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18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남, 여학생 2, 3학년 학생 252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의 개인적 배경인 성별, 학년, 수강기간, 입시학원수강경험, 수강동기별로 실태, 만족도, 개선방안을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실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주당 실기 지도 횟수는 4회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당 운동시간으로는 2시간~3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의 월당 진학지도 시간은 1시간 이하~2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나 체대입시학원과 비교하여 주당 실기 지도 횟수와 회당운동시간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진학지도시간은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월당 수강료에서는 3만원~6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운동 장소로는 본교 체육관이 가장 높게 나타나 체대입시학원과 비교하여 수강료는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관 이용비율 또한 체대입시학원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지도받는 종목 수에서는 4종목~8종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형태로는 단체운동의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의 프로그램 지도방식으로는 교사의 열정적 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중점사항에서는 기초제력운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프로그램의 개인적 비중사항은 실기고사 준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만족도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진학지도 만족도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2학년 학생보다 3학년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강경험이 오래 될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시설 및 기자재 만족도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점수분포는 다른 만족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 학교의 시설 및 지자재가 학생들에게 충족될 만큼 잘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해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강기간이 오래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대입시학원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체대입시학원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질이 낮지 않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수강료 만족도에 대해 상당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대입시학원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수강료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체대입시학원보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수강료 대비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만족도분야에서 학생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 체대입시학원과 비교하여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많은 고등학교에서는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의 대부분이 체대입시학원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되며, 체육교사의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선방안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회당 운동시간에 대해 2시간~3시간을 가장 적당한 운동시간으로 선택하였으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주당 운동 횟수에 대해 4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수강인원에 대해 15명~20명을 적정 인원으로 선택하고 있었으며, 재수강시 고려요인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뒤를 이어 전문적 실기지도로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우선적 중요사항에 대해 교사의 실기지도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는 시설 및 기자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 및 기자재의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 요구되고, 체계적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만족도를 높여가야 할 것이다. 또한 수강인원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여 단체운동의 비율을 낮춰야 할 것이며, 주당 운동시간과 회당 운동시간을 학생들과 협의하여 적정수준을 선택하여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주변 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정기적 통합운동, 통합 실기테스트 등을 통해 더욱 내실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4년제 대학 진학과 노동시장 성과의 서울소재 대학 효과 분석 : 비 서울출신 고등학교 졸업자를 중심으로

        임근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내 자녀를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시켜야 하는가? 이의 문제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비 서울 출신 고등학교 졸업자를 중심으로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과 비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의 진학실태와 노동시장 성과를 알아보았는데, 구체적으로 연구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권역별․학과계열별 4년제 대학 진학 관련 실태는 어떠하며 서울소재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서울소재 대학 졸업생과 비 서울소재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 정규직여부, 임금에는 차이가 있는가? 차이가 있다면 그 구체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이 논문은󰡐2008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의 자료 문항 중 4년제 대학을 진학한 비 서울출신 고등학생을 추출한 후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 서울출신 고등학생은 서울소재 대학으로 16.7% 정도 진학하고 있으며 남녀의 비율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경우 취업률에서는 비 서울소재 대학 졸업자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규직으로 취업과 평균 월수입에서는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규직 취업과 임금에서도 성․권역․학과계열에 따라서는 자기권역이나 기타권역의 대학으로 진학할 경우 노동시장 성과가 서울권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 자녀를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시켜야 하는 것 아닌가 고민하는 학부모라면 우선적으로 성별 ․ 권역별 ․ 학과계열별 노동시장 성과도 참고하여 진로를 결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면 왜 이러한 결론을 도출했는지 4년제 대학 진학 실태, 취업률, 정규직 취업, 임금 분석을 한 결과로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비 서울출신 고등학생이 서울소재 대학으로 진학하는 비율은 전체로는 16.7%인데, 이를 남․여별로 구분하면 남학생이 15.4%이고 여학생은 18.5%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계열별 진학실태에서 남자는 서울소재 대학 진학 시 주로 사회계열, 공학계열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고 그 외 학과계열은 여학생의 진학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률 현황에서 비 서울출신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서울권역, 자기권역, 기타권역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경우 남자의 취업률은 각각 79.1%, 77.9%, 77.3%로 서울권역 대학 졸업자가 자기권역이나 기타권역 대학 졸업자보다 조금 높으나, 여자는 74.3%, 77.2%, 78.4%로 오히려 서울권역 졸업자의 취업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취업에서 비 서울출신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서울권역, 자기권역, 기타권역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경우 남자의 정규직 취업률은 각각 72.9%, 70.5%, 68.1%이고, 여자는 62.2%, 57.7%, 57.9%로 남녀 모두 서울권역 졸업자의 정규직 비율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학과계열별 정규직 취업 현황에서 남자는 교육대학, 인문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의 경우 서울권역 대학 졸업자, 공학계열과 의약계열은 자기권역 대학 졸업자, 교육계열, 예체능계열은 기타권역 대학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 비율이 높았다. 여자는 인문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 예체능계열의 경우 서울권역 대학 졸업자, 교육대학, 사회계열, 교육계열의 경우 자기권역 대학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성과에서 비 서울출신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서울권역, 자기권역, 기타권역 대학으로 진학하여 졸업한 경우 남자의 평균 월수입은 각각 201만원, 176만원, 181만원이고, 여자는 160만원, 150만원, 153만원으로 남녀 모두 서울권역 졸업자의 평균 월수입이 높게 나타났다. 학과계열별 평균 월수입 현황에서 남자는 인문계열, 사회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의 경우 서울권역 대학 졸업자, 교육대학, 교육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은 기타권역 대학졸업자일 때 평균 월수입이 높고, 여자는 인문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의 경우 서울권역 대학의 졸업자, 예체능계열은 자기권역의 대학졸업자, 교육대학은 기타권역의 대학졸업자일 때 평균 월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 분석

        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진학 포부와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서 대학진학 계획여부를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와 대학진학 계획을 계획하는데 각각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와 대학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변수로 성별,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학업성적, 고졸 학력 직업에 대한 기대를 설정하였고, 학교 변수로 소재지, 전공계열, 취업지원 환경, 진학 지원 환경 등을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와 대학진학 계획의 결 정 변수를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개인 변수(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학업성적, 고졸 학력 직업에 대한 기대)와 학교 변수(소재지, 전공계열, 취업지원 환경, 진학지원 환경) 가운데 대학진학 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분석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 가운데 대학 진학 계획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분석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 가운데 대학진학 계획여부에 영향 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 자료를 가지고 검증해야 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는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은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여부는 개인 변수와 학교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과 대학진학 포부는 상관이 있다. 설정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의 11개 실업계 고등학교를 표집하여, 720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에 따라 χ² 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자료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포부는 개인 변수들 중 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② 고졸 학력 직업에 대한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학교 변수들 중 ① 학교의 소재지 ② 학교의 진학지원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은 개인 변수들 중 ① 성별 ②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③ 학업성적 ④ 고졸 학력 직업에 대한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학교 변수들 중 ① 학교의 소재지 ② 학교의 전공계열 ③ 학교의 취업지원환경과 ④ 학교의 진학지원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학교의 소재지, 전공계열, 취업지원 환경, 진학지원 환경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 변수 중 전공계열과 학교의 취업지원 환경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① 학교의 소재지 ② 학교의 진학 지원 환경 ③ 학교의 취업지원 환경 ④ 성별 ⑤ 전공계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과 대학진학 포부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상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과 대학진학 포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의 소재지와 학교의 진학지원 환경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여부에 개인 변수보다 는 학교 변수가 더 큰 영향을 미치며, 학교의 진학지도 환경으로 인해 학생들 의 진학 욕구가 상승되거나 상실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곧, 진학지도 환경 이 좋은 서울지역 우수학교의 학생들은 높은 진학 포부와 졸업 직후 대학진학 계획을 많이 세우고 있었고, 진학지도 환경이 좋지 못한 경기지역 선생학교 학 생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학교는 학생들의 교육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진학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사들 또한 학생들의 대학진학 요구에 적극적으로 지원 하는 학교풍토가 조성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college entrance and their plans for it as specific strategies for carrying them out.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test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school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level of college-entrance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types of their college-entrance plans corroboratively. In terms of variables which can exert an influence on the college-entrance aspirations and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makes a selection of sex,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one's family, academic achievement, jobs which can be acquired as high school graduates as individual variables, taking into consideration such school variables as location, major, job-application atmosphere and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and so 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has mad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what variable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entrance aspirations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sex,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one's family, academic achievement, jobs which can be acquired as high school graduates as individual variables, and among the school variabl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location, major, job-application atmosphere and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Second,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what variables have influence on the college-entrance variables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school variabl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what variables influence the college-application plans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school variabl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ith a view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makes a choice of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llege-entrance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school variable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school variables.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th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plan to enter college or not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Fourth, there is a relation between the college-entrance aspirations and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720 student subjects in 11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and Konggi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esting my research hypotheses, resorting to x²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or the treatment of materials. First, the college-entrance aspiration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subject to influence by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a family and the expectation of the subjects for high school graduates' jobs, while they are influenced by location and the atmosphere of college-entrance application among the school variables. Second,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influenced by sex,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a family, academic achievements, the expectations of the subject for high school graduates' jobs in order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while they are influenced by location, majors, the job-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and the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in sequence. Third, the variables influencing whether the subjects plan to go to college or not turn out be sex, school location, majors, job-application atmosphere and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Yet, such variables as majors, majors and the job-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turn out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Fourth, factors influencing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the subjects are influenced by location, the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the job-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majors and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families in order. Fifth, the relation between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college-entrance aspirations turns out to be very high. This study has it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college-entrance plans and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school location and the college-application atmosphere of schools. The school variables are influencing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college-entrance plans of the subjects more than the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atmosphere of college-entrance guidance can boost or damp the desire of the subjects for college entrance. Students at good-quality va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which has a good atmosphere of college-entrance guidance tend to plan to go to college while those subjects devoid of such environment fail to. I strongly suggest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create culture to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y working out curricula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supply a variety of college-entrance information, and by meeting the demands of students for entering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