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윤재선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 beauty industry is the one of the most professional service jobs, and as it is separated and professionalized more faster than ever, beauty artists is taking the significant roles in many positions. So research is necessar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stress which is confronted by beauty artists in the work place, and their coping methods. In this research, we intend to enhance the beauty industry performance , provide better beauty service, and make the chance of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for individual beauty artists by examining the beauty artists'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surveyed, by using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method, four thousand twenty beauty artists without distributions to sex and age who works in the beauty shops that are located in the Seoul and Busan from August 10th, 2009 to September 10th, 2009. Frequency analysis, factors analysis and confidence test, cluster analysis(K-Means), analysis of variance(post-hoc test is Duncan-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are utilized as data analytical methods, and the author analyzed these by utilizing SPSS v.1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irst, subdimensions of the occupational stress of beauty artists were task matter conflict, role conflict, working environment conflict, lack of knowledge and technique, and excessive role, and subdimensions of the coping methods were positive thinking, leisure, avoidance, problem solving-oriented, defence -oriented, and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Secondly, ob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minimum conflict group, excessive task group, and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f beauty artists, and at the aspects of differences of coping method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positive thinking, avoidance, defence -oriented, and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Thirdly, viewing the difference of working stress group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ists, it was found that as working position lowers, working period shortens, working time lengthens, working staffs reduces,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decreases, stress increases. Fourthly, viewing the coping method fact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ists, in the case of the working position designer section chief was higher in the degree of stress coping by strategic problem solving than assistant staff. In the case of the working period, it was found that as working period shortens they cope with the stress by counselling and conversation, and that as working period lengthens they cope with stress by strategic and active method. In the case of working staff number, group with fewer members showed defence-oriented tendency. In the cas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s the satisfaction increases, problem solving method becomes more positive and active. Considering these research results, cooperation of the proprietors and professionals is necessary to make the environment that enables beauty industry to make the comprehensive stress coping methods. Furthermore, through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ystem construction for stress resolution, it should be achieved that beauty artists work at the beauty industry as professionals with pride who are treated by the quality than quantity. In this research, by the limitation of time and distance, the targets were beauty artists only in the Seoul and Busan, so it is unreasonable to consider whole nation. Therefore, when applying this result to all beauty artists, it should be done carefully, and more extensive research is necessary. 현재 미용업은 대표적인 전문성을 갖는 서비스직의 하나로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세분화, 전문화 되어감에 따라 미용사는 많은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어 미용사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미용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나은 미용 서비스를 사회에 제공하며 미용사 개인이 유능한 전문인으로서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에 구분 없이 서울, 부산지역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미용사 4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2009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정,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사후검정은 Duncan-test), 교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SPSS 1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차원은 업무내용 갈등, 역할갈등, 근무환경 갈등, 지식과 기술부족, 역할 과다로 나타났으며, 대처방안의 하위 차원은 긍정적 사고, 여가활동, 회피, 문제해결 지향적, 방어 지향적, 상담 및 대화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기준으로 최소 갈등 집단, 업무량 부담 집단, 근무환경 불만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대처방안 차이는 긍정적 사고, 회피, 방어 지향적, 상담 및 대화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용사의 직업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집단의 차이를 살펴보면 직위가 낮을수록, 근속기간이 짧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직장인원이 적을수록, 직업 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미용사의 직업적 특성에 따른 대처방안 요인 차이를 살펴보면 직위의 경우 디자이너 실장이 보조스텝보다 계획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근속기간에 따라서는 근속 기간이 짧은 경우 상담과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며, 근속기간이 길수록 계획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장인원에 따라서는 인원이 적은 집단의 경우 방어 지향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 만족도에 따라서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종합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마련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경영주와 전문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며, 향후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종합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스템 구축을 통해 미용사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양적인 팽창보다 질적으로 대우받는 전문직업인으로써 미용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표본의 선정과 조사에 있어서 서울 및 부산지역의 미용사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확대해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모든 미용사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시키는 것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지역적으로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치매노인가족의 부양부담이 부양부담대처방안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선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치매노인가족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이 부양부담대처방안을 매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부양가족의 생활만족도 제고를 위한 부양대처방안에 대한 영향 관계를 분석을 통해 치매노인 부양자의 적절한 대처 전략을 찾아 그 방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생활만족도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과 강원도 소재의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치매노인의 가족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분석과 영향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시간 의존적 부담, 발달적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이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다. 각종 맞춤형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도록 적극적인 여건 조성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치매예방을 통해 치매노인 부양자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시간 의존적 부담, 발달적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이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다.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잘 해결하여 긍정적인 부양부담대처방안에 긍정적 측면을 갖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이 노인치매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다.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요인인 부양부담대처방안을 증진하기 위해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제공과 개인상담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전략적인 도움과 적극적으로 활성화 되도록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시간 의존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매개효과는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시간 의존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발달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신체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정서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중 경제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발달적 부담, 시간 의존적 부담, 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부양부담대처방안을 매개변수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영향이 더 작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지침 개발의 근거를 마련해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 발레 무용수의 실수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한윤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A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when ballerinas make mistakes in the state of practice and performance and to find how to overcome mistakes by researching qualitatively and making useful information for reducing mistakes by developing effective guide studies This research took 13 professional ballerinas and specialists on ballet to find causes of mistakes and how to cope with them. They are all interviewed and contents of interview has been analysed as follows. The causes of mistakes in practice and performance are devided into four parts. by physical working capacity, psychological working capacity, environmental working capacity and ability working capacity. The cause of mistakes by ballerinas in practise is branched in physical working capacity are fatigue, lack of physical strength and an injury. In mental working capacity are distractibility, uneasiness of insufficient movement, lack of tension, a fall of motive, self-admiration, lack of confidence, uneasiness about mistakes that are made in the past, uneasiness about their role, an inferiority complex, note to the shortage of the sight and too much desire. In environmental working capacity are poor environment, lack of teamwork, lack of partnership, too much anticipation from the coach and condition of toe shoes. Lastly, ability working capacity are lack of rhythmic sense, too much movement in the fast music, lack of the sense of balance and lack of high techniques. To overcome the mistakes that are made by physical working capacity, to control their condition, act alternatively and self-controling. To overcome the mistakes that are made by mental working capacity, to concentrate on the theme, mental training, control themselves, regulation of practice, avoidance of circumstances, act positively, consultation with a couch, do the assignment first, control their condition and act alternatively. To overcome the mistakes that are made by environmental working capacity, regulation of practice, adoption, act alternatively, talk, prepare beforehand, be friendly and counsel. Finally to overcome the mistakes that are made by ability working capacity, act alternatively, control themselves, regulation of practise, talk to the couch, concentrate on the theme. In the performance, physical working capacity are classified as a lack of physical stamina and injury, in psychological working capacity are classified as lack of concentration, lack of excitement, immoderation of ambition, lack of tension, lack of self-confidence, note on the shortage of vision, an inferiority complex, being uneasy about mistakes that are made in the past, being uneasy about insufficiency of the movement, a responsibility of their role and self-admiration. Environmental working capacity are classified as a problem with clothes, lack of preparation of properties, the condition of toe-shoes, a quality of sounds, setting of stage, lights on stage, floor of stage, mistakes that are made by their partners and colleges, response from the audience and lack of partnership. Lastly in ability working capacity is classified as lack of learning skills and the sense of balance. In the performance, plans for coping with mistakes that are made by physical working capacity are to act alternatively, modulation of condition, to control themselves, slackness. Plans for coping with mistakes that are made by psychological working capacity are to control themselves, to act alternatively, practice beforehand, self-suggestion, self-talking, concentrate on a theme, concentrate on the performance, control their condition, meditation, preparation beforehand, acting alternatively,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nough recess. Plans for coping with mistakes that are made by environmental working capacity are preparation beforehand, act alternatively, encouragement, mental training, concentration on the theme, requesting beforehand and adaption. Finally plans for coping with mistakes that are made by ability working capacity are to concentrate on the theme and preparation beforehand. Based on the results, to reduce mistakes, regulation on the cause of mistakes in four branches and learning all the plans for each mistake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 무용수가 연습상황과 공연상황에서 어떠한 경우에 실수가 발생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실수의 원인과 그에 따른 극복방안에 대한 대처전략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나아가 무용지도자들이 무용수들의 행동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공연에서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학습 전략을 개발함으로서 실수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발레 전공자와 전문 발레 무용수 총 13명을 대상으로 실수 원인과 대처방안을 밝혀내기 위하여 심층면담을 하였고, 면담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귀납적인 방법으로 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습상황과 공연상황에서 실수의 원인은 신체적 차원, 심리적 차원, 환경적 차원, 기능 및 기술 차원으로 모두 4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발레 무용수들의 실수의 원인은 연습상황에서의 신체적 차원은 신체적 피로, 체력 부족, 부상으로 분류되었고, 심리적 차원은 주의산만, 부족한 동작에 대한 불안감, 새로운 동작에 대한 불안감, 긴장감 부족, 동기 저하, 자만심, 자신감 부족, 과거 실수에 대한 불안감, 역할에 대한 불안감, 열등감, 좁은 시야의 주의력, 지나친 욕심으로 분류되었다. 환경적 차원은 열악한 환경, 팀워크 부족, 파트너십 부족, 지도자의 과도한 기대, 토슈즈의 상태로 분류되었으며, 기능 및 기술 차원에는 리듬감 부족, 빠른 음악에 많은 동작, 균형감각 부족, 고난도 기술 부족으로 분류되었다. 연습상황에서 신체적 차원으로 인한 실수의 대처방안은 컨디션 조절, 대안적 행동, 자기 조절 등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차원의 대처방안은 과제 집중, 정신 훈련, 자기 조절, 연습 조절, 상황 회피, 적극적 행동, 지도자 상의, 과제 최선, 컨디션 조절, 대안적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차원으로 인한 실수의 대처방안은 연습 조절, 적응, 대안적 행동, 대화, 사전 준비, 친밀감, 조언 등으로 나타났고, 기능 및 기술 차원에 대한 대처방안은 대안적 행동, 자기 조절, 연습 조절, 지도자 상의, 과제 집중 등으로 나타났다. 공연상황에서의 신체적 차원은 체력 부족, 부상으로 분류되었고, 심리적 차원에는 집중력 부족, 긴장감 부족, 과거 실수에 대한 불안감, 과도한 긴장감, 부족한 동작에 대한 불안감, 흥분, 지나친 욕심, 자신감 부족, 열등감, 좁은 시야의 주의력, 역할에 대한 부담감, 자만심으로 분류되었다. 환경적 차원은 의상의 문제, 소품의 준비부족, 토슈즈의 상태, 음향 및 음질의 문제, 무대 세트, 무대 조명, 무대 바닥, 파트너 및 동료의 실수, 관객의 호응도, 파트너십 부족으로 분류되었으며, 기능 및 기술 차원에는 기능학습 부족, 균형감각 부족으로 분류되었다. 공연상황에서 신체적 차원으로 인한 실수의 대처방안은 대안적 행동, 컨디션 조절, 자기 조절, 이완, 자기 조절 등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차원의 대처방안은 자기 조절, 대안적 행동, 사전 연습, 자기 대화, 과제 집중, 공연 집중, 컨디션 조절, 명상, 사전 준비, 책임감, 휴식, 자기 암시 등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차원에 대한 대처방안은 사전 준비, 대안적 행동, 격려, 정신 훈련, 과제 집중, 사전 요구, 적응 등으로 나타났고, 기능 및 기술 차원에 대한 대처방안은 과제 집중, 사전 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수원인 4가지 차원의 범주들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 차원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처방안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강윤영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 유아 아버지가 겪고 있는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달지체 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 상담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 아버지의 변인(연령, 학력, 종교)에 따른 아버지 양육 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발달지체 유아 변인(성별, 연령, 장애유형)에 따른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발달지체 유아 아버지의 변인(연령, 학력, 종교)에 따른 아버지 스트레스 대처 방안은 어떠한가? 넷째, 발달지체 유아 변인(성별, 연령, 장애유형)에 따른 아버지 스트레스 대처 방안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에 있는 유아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조기교육실과 치료실에서 교육 및 치료를 받고 있는 3세에서 7세까지 취학 전 발달지체 유아의 아버지 145명을 연구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이의 대처방안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Adib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35문항의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전겸구, 김교헌, 조산웅, 노명래, 손정락(1994)이 개발한 다차원적 대처척도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30문항의 대처방안 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t-검증과 변량분석,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요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안을 알아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39세 이하의 아버지와 40세 이상의 아버지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학력에 따라 학력이 높을 수록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른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라 아버지의 전체 양육스트레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학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자기비판’ 영역에서 종교유무에 따른 대처방안은 ‘종교적 지원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3세-5세 유아의 아버지가 ‘종교적 지원추구’를 많이 사용하며, 성별에 따라 여자 유아의 아버지는 ‘고집’ 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애유형에 따라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철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정도와 대처방안을 보고자 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부모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노력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아동중심의 정보전달에서 벗어나 부모 자신의 역량을 기르며 가족중심의 형태로 확장시키는데 개발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만족도

        이명주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1

        최근의 경제위기와 그에 따른 구조조정 등 직장생활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 가는 중년남성들은 이런 변화에 대해 성공적으로 적응을 하여 그로부터 직장과 가정에서 책임에 대한 충분한 만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 문제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지금까지의 중년기 남성에 관한 연구는 다른 연구들의 부속물에 그쳤고, 또한 그나마 있는 연구들은 직업내에서의 위기감이나 역할갈등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필요성을 인식하여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안과 사회적 지지등의 변인 중 삶의 만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언이 무엇언지 파악해 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먼저, 이를 위한 도구는 직무스트례스 척도가 총 21문항의 5점 Likert형으로 점수가 높을 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처방안 척도는 모두 20문항으로, 4점 척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그 대처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지지망의 형태, 접촉빈도, 지리적 거리의 3가지 측면과 정서적, 사회활동적, 도구적의 3가지 측면에서 측정된 것으로 모두 15분항으로 되어 었다. 자료 수집은 서울지역 직장남성을 중심으로 설문지 300부를 배포해 245부가 회수되었지만, 이중 내용기재가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20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상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기혼인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가 미혼인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일에만 전념할 수 있는 미혼의 경우와는 달리 가장이라는 책임증가로 인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직접·소극적 대처방안과 간접·적극적 대처방안, 그리고 간접·소극적인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종교별로 보면, 불교가 간접·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남성들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간접·소극적 방법, 즉, 담배나 알콜 등을 사용하거나, 몸이 아프고 의기소침해지는 증상과 함께 부정적인 대처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취미생활아나 운동, 사우나나 목욕 등 간접·적극적인 방법은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상태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중 활동적 지지인 경우 기혼이 마흔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년남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가지 환경들이 있지만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접·소극적인 대처방안 역시 삶의 만족도를 낮게 하므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때 사용하는 대처방안의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중년남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이런 스트레스를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취미활동 및 여가활동 등을 영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이 사회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복지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므로 사회복지사들도 이런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factors which a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between the job stress of middle-aged man and its coping, and social support by recognizing these necessities. First of all, the instrument for this comprised total 21 items of job stress scale, 20 items of coping scale, and 15 items of social support. As for data collection, among 300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on the male employees in Seoul, 203 copies except those whose entry was insincer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the married middle-aged man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 middle-aged man from the aspect of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marriage status. Second, considering the coping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religion used more direct and negative coping, more indirect and positive coping, and indirect and negative coping than those who didn't have religion, and among the religions, Buddhists used more indirect and positive coping. Third, it appeared that the more the middle-aged man had the job stress, the more they used indirect and negative coping and the less they used indirect and positive coping. Fourth, in case of active support among the social supports according to the marriage status, the married appeared higher than the singe. In the e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n's life included several contexts, among which the job stress appeared to be most influential, and since the direct and negative coping lowered satisfaction with living, an adequate choice of coping used in resolving stress was required. A systematic and efficient means to manage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flexibly cope with this stress which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iddle-aged man's life should be provided on a social basis, and for this a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 was considered urgent.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연구

        김윤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공립 어린이집과 사립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립과 사립 어린이집 교사가 모두 교직에 만족할 수 있는 보육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배경변인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과천, 수원, 안양, 화성)에 소재한 공립 어린이집 교사 100명, 사립 어린이집 교사 113명, 총 213명을 대상으로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에는 Clark(1980)가 개발하고 D'Arienzo(1981)이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를 권기태(1990)가 번안한 후 이명화(2002)가 수정한 도구를 일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김정희(1987)가 수정한 후, 박석출(2002)이 수정 사용한 것을 중복된 일부 문항을 삭제하고 일부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공립 어린이집 교사와 사립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t-test(검증), 그리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원아관련 요인과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학부모관련 요인, 경제적 대우 및 복지 관련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에서 사립 어린이집 교사가 공립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업무관련요인이 공·사립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생리 중심적 대처, 문제 중심적 대처는 사립 어린이집 교사가 공립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으나 기관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정서 중심적 대처는 사립 어린이집 교사가 공립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으며,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담당 원아수, 교사의 연령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다. 담당 원아수가 25명 이상인 교사, 그리고 연령이 26~30세인 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차이는 생리 중심적 대처에서 교사의 연령과 교사의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생리 중심적 대처가 높았고,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인 교사가 생리 중심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정서 중심적 대처에서는 교사의 연령, 교사의 결혼여부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 교사가 기혼 교사보다 정서적 대처가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공립 어린이집과 사립 어린이집 교사 모두 업무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부족한 수업자료 및 수업 이외 기타 잡무 등의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으므로 업무의 부담감을 줄여 줄 수 있는 여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립 어린이집 교사들이 공립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정적 지원, 경제적 대우 및 복지관련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사립 어린이집 교사들도 만족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보다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analysis of the job stress and coping style of caregivers in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s. It's meant to help shape childcare policies satisfactory for both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es the type of institute make any differences to the job stress of caregivers? 2. Does the type of institute make any differences to the stress-coping style of caregivers? 3.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aregiv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job stress and coping patter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3 caregivers in Gyeonggi(Gwacheon, Suwon, Anyang, Hwaseong) province. Out of them, 110 and 113 caregivers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s respectively.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job stress was Lee Myeong-hwa(2002)'s one that modified Gweon Gi-tae (1990)'s Job Stress Questionnaire, which adapted D'Arienzo, et. al(1981)'s modified version of Clark(1980)'s Job Stress Questionnaire. Lee Myeong-hwa's version was partly modified again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ir job stress coping style, Park Seok-chul(2002)'s instrument that modified Kim Jeong-hui(1987)'s amended version of Folkman and Lazarus(1985)'s Ways of Coping Checklist was employed. Some overlapped portions of Park Seok-chul's instrument were ruled out, and some were modified again. For data handling,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job stress and coping pattern of the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And t-test,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on their job stress and coping sty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type of institute and the job stress of the caregivers,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felt more job stress than the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due to preschoolers, work, administrative support, parents, compensation and welfare,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institute on their coping style, physiological coping and problem-centered coping were more prevailing among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but the type of institut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use of those coping styles. Emotion-centered coping was more widespread among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than the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and the type of institut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motion-centered coping style. Third,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n job stress, the caregivers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charge and their age. Those who were in charge of 25 or more preschoolers and whose age was between 26 and 30 suffered more job stress.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stress coping, their age and marital status made a difference to their physiology-centered coping. This coping style was more common among the younger caregivers and the single caregivers. Their emotion-centered coping varied according to their age and marital status. This coping pattern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younger caregivers, and it was more common among the single caregivers than the married one As stated above, work-related factor put a heavy pressure o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This finding indicated that the caregivers were overwhelmed by excessive workload. A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and nonessential duties put strain on them, and it's required to take actions to cut down on their workload. Especially,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were more stressed out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ere was a broad gap in administrative support, compensation and welfare benefits between the two. A more efficient support system should be built to rai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 교사의 갈등과 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황남숙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교사들이 학교조직내에서 지각하고 있는 갈등의 유형을 알아보고 갈등을 경험하였을 때 이를 어떻게 대처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갈등의 완화 및 자기갈등관리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중·고 교사 63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하성광(1997)이 제작하여 사용한 교사의 갈등진단 검사 설문지를 근거로 11개의 갈등요인과 43개의 하위요인으로 개발 사용하였으며, 갈등 대처방안으로는 S. K. Folkman과 R. S. Lazarus(1984)의 8가지 유형의 갈등 대처방안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는 SPSS for Window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개인특성에 따른 갈등 유형중 학교급에 따른 교사의 갈등유형에서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습지도와 의사결정에서, 중학교 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근무환경에서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갈등유형에서 여교사들은 의사소통과 전문성, 교육정책, 업무 수행에서, 남교사들은 인간관계에서 갈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근무상황에 따른 갈등 유형 중 경력별에 따른 교사의 갈등유형에서 16~20년의 경력을 지닌 교사들은 인간관계에서, 11~15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은 의사소통과 인사문제, 전문성, 교육정책, 근무환경, 개인적 요인에서, 5년이하의 경력을 지닌 교사들은 생활지도와 업무수행에서 가장 심한 갈등을 보였다. 직위에 따른 교사의 갈등유형에서는 의사소통과 인사문제, 학습지도, 전문성, 개인적 요인에서 부장교사보다 평교사의 갈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담임유무에 따른 갈등유형에서는 인사문제와 전문성, 업무수행에서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들의 갈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개인특성에 따른 갈등 대처방안 중 학교급에 따른 교사의 갈등 대처방안에서 고등학교 교사들은 분리와 자기비난, 고립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사회적 지지의 추구에서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갈등 대처방안에서 문제집중적 대처와 긴장해소, 고립에서는 남자 교사들이, 사회적 지지의 추구에서는 여자 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근무상황에 따른 갈등 대처방안 중 경력별에 따른 교사의 갈등 대처 방안에서 사회적 지지의 추구는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자기비난에서는 21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교사들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교사의 갈등 대처방안에서 평교사는 사회적 지지의 추구에서, 부장교사는 긍정적 측면에서의 집중에서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담임유무에 따른 교사 갈등 대처방안에서는 8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학교조직내의 전반적인 요소들이 모두 교사가 느끼는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갈등상황은 전문성, 의사소통, 인사문제, 교육정책, 업무수행, 근무환경에서 갈등의 지각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등의 대처방법에 있어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거나 바람직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갈등을 해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 materials for conflict mitigation and resolution by identifying the conflict types teachers perceived in school organizations and analyzing how to deal with those confli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0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naire modified from ‘Teachers Conflicts Questionnaire’ developed by Seong-gwang Ha (1997) to have 11 conflict factors and 43 sub factors. ‘Conflict Countermeasures Questionnaire by S. K. Folkman and R. S. Lazarus(1984) with 8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methods. Statistics of the data were made using SPSS for Window 11.0 and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verific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teachers showed most conflicts in ‘Teaching’ and ‘Decision Making’ while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conflicts in ‘Discipline’ and ‘Working Environments’ in conflict type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s among conflict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n conflict types of teachers according to sex, female teachers showed most conflicts in ‘Communication’, ‘Expertise’ and ‘Job Performance‘ and male teachers showed higher conflicts in ’Human Relationship‘. Second, in conflict types of teachers according to experiences among conflict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ose who have 16~20 years' experiences showed most severe conflicts in ‘Human Relationship’, those who have 11~15 years' experiences showed most severe conflicts in ‘Communi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Expertise’, ‘Educational Policy’, ‘Working Conditions’, and ‘Personal Factors’. Those who have less than 5 years' experiences showed most severe conflicts in ‘Discipline’ and ‘Job Performance’. In the conflict types of teachers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a class in charge, those who are Homeroom Teachers showed higher conflicts in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eaching’, Expertise' and ‘Job Performance’ than non-homeroom teachers. Third,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chool among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high scores in ‘Separation’ and ‘Self-condem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 scores in ‘Social Support Pursuit’.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sex, male teachers showed higher average in 'Problem concentrated coping behavior and conflict resolution' and ‘Isolation’ and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average in ‘Social support pursuit’. Fourth,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experiences among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ose who have less than 5 years' experiences answered ‘Social Support Pursuit’ and those who have more than 21 years' experiences answered ‘Self-condemn’ as the best resolution method of the conflicts.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job title, general teachers showed higher average in ‘Social Support Pursuit’ and senior teachers showed higher average in ‘Concentration in Positive Attitudes’.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HR cla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ight (8) sub factors. From the above we understand that all the factors in school organization may cause conflicts to teachers. They perceived conflicts better in ‘Expertise’, ‘Communication’, HRD, ‘Educational Policy’, ‘Job Performance’ and ‘Working Conditions’. They resolve the conflicts by accepting them positively or dealing them with in desirable ways.

      •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대처방안 연구

        강진숙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teacher stres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management plan for job stress, to investigate how they differ according to the age, academic background, work experience, undertaking class, number of children, facility type, and marital status, and to obtain preliminary data to raise the learn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s for accomplishing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How does the job stress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 of daycare center teachers? Research problem 2. How does the teacher efficacy diffe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 of daycare center teachers? Research problem 3. How does the coping plan for job stress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Research problem 4. How are the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coping plan of daycare center teachers related?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process to verify such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on 350 teachers who worked in Seoul-si, Kangwon-do Wonju-si, and Chungbuk Chungwon-gu from March 1 to March 31, 2014 and collected total 297 copies. For questionnaire, this study evaluated and revised a questionnaire on the job stress factors of teachers developed by Clark(1980) which was later modified by D'Arienzo et al(1981) and adapted and used by Kwon Ki-Tae(1990). For the teacher efficacy scale, a Lee Boon-Ryeo(1998)'s tool which modified a measuring too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developed by Riggs and Enochs(1990) into a measuring tool of teacher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was evaluated and modified in part for the measurement. For measuring tool of the job stress coping plan, this study evaluated and measured a coping plan criterion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1985) which was modified by Kim Jung-Hee(1987) and later revised by Park Seok-Chool(2002).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on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gulation effect of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coping plan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summarized and concluded results of suggest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 of daycare center teachers was highest in activity factors with young children, then in the order of work related factor, administrative support factor, interpersonal factor, economic stability factor, and personal related factor. Secondly, for the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 of daycare center teachers, it was identified that the job stress makes negative effect i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irdly, for coping plan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menstruation centered measure was highest, then in the order of emotion-focused coping and problem centered measure. Fourth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how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are related, the teacher efficacy did not change according to the emotion-focused coping level when economic stress was high,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 teacher efficacy increases when they handle situations by focusing on the emotion when economic stress is low. Therefore, the emotion-focused management was verified to be a semi-controlling variable as it can be used a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teacher efficacy during the early stage of economic stress, and when emotion-focused measurement is used for low economic stress, general teacher efficacy was high, but it was identified that when emotion-focused measurement is not used on high economic stress, the teacher efficacy was high. It was verified that the emotion-focused measure is a semicontrolling variable for general teacher efficacy as the emotion-focused measure is significant in stage 2 and stage 3. When emotion-focused measure is used on low economic stress, the individual teacher efficacy was high,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dividual teacher efficacy was rather high when emotion-focused measure is not used for high economic stres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motion-focused measure is a pure controlling variable for general teacher efficacy as the emotion-focused measure was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only in stage 3.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ts coping plan, the job stress of daycare center teachers made negative effect in teacher efficacy and the coping plan made partial mediator effect in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in part.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ecessary. First,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follow-up studies on the stres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re needed, and secondly, a measuring tool according to the changing process by researching the job stress concept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 needs to be developed. Thirdly, as the teacher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make direct influence on holistic human development of children, various measures to increased the teacher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are required and programs to deal their job stress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lied to them.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살펴보고 교사 및 특성에 따라 연령, 학력, 경력, 담당학급, 유아 수, 시설유형, 결혼여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규명하고, 유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목적을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대처방안은 어떤 관계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진행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2014년 3월 1일∼3월 31일까지 서울시, 강원도 원주시, 충북 청원군에서 근무하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총297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Clar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 등 (1981)이 수정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설문지를 권기태(1990)가 번안하고 사용한 도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측정 하였다. 교사 효능감 척도는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를 어린이집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측정 도구는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대처방안 척도를 김정희(1987)가 수정한 후, 박석출(2002)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조절회귀분석(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와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보면 원아들과의 활동요인에서 가장 높았고,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요인, 대인관련요인, 경제적 안정요인, 개인관련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들째,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는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대한 대처방안 차이를 살펴보면 생리중심적 대처가 가장 많았고, 정서중심적 대처와 문제중심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대처방안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을때는 정서중심적 대처수준에 따라 교사효능감이 달라지지 않았으나 경제적 스트레스가 낮을 때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잘할 때 교사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중심적 대처는 경제적 스트레스 초기에 사용하면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어 준조절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경제적 스트레스가 낮을 때는 정서 중심적 대처를 사용할 때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높으나,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을 때는 오히려 정서 중심적 대처를 사용하지 않을 때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 중심적 대처는 2단계와 3단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정서중심적 대처는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준 조절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 스트레스가 낮을 때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사용할 때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으나,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을 때는 오히려 정서중심적 대처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중심적 대처는 3단계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정서 중심적 대처는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순수조절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대처방안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처방안은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