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당뇨병 삶의 질 예측모형: 당뇨병 통제위 성격,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 대처전략

        변상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적: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통제위 성격 및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대처전략과 삶의 질에 관한 인과관계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모형 구축 및 검정 설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B 시내 P 대학병원 외래 당뇨병 센터를 방문하는 280명으로, 최종 분석 대상자는 결측값이 많거나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52명을 제외한 228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 6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과 당뇨병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당뇨병 통제위 성격, 당뇨병 사회적 지지, 당뇨병 자기효능, 당뇨병 대처전략, 당뇨병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및 독립표본 t 검정과 ANOVA 분석을 하였고, 모형의 검정은 SmartPLS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당뇨병 자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0.17, p=.038)이었다.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0.32, p<.001)과 타인의존 당뇨병 통제위 성격(=-0.15, p=.025), 당뇨병 사회적지지(=0.11, p=.048) 그리고 당뇨병 자기효능(β=0.31, p<.001)이었다. 당뇨병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당뇨병 사회적 지지(=-0.21, p<.001), 당뇨병 자기효능(β=0.21, p<.001),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β=-0.58, p<.001)이었다. 본 연구의 당뇨병 삶의 질에 대한 모형의 설명력은 =.50이었으며,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GoF=0.42로 중간 정도로 검정되었다. 심리사회적 변수(당뇨병 통제위 성격, 당뇨병 사회적지지)와 당뇨병 삶의 질 간의 당뇨병 자기효능의 매개효과 크기()는 0.06(p<.01)이었고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크기는 0.46(p<.01)이었다. 결론: 당뇨병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당뇨병 사회적 지지와 당뇨병 자기효능, 당뇨병 대처전략이었다.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은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낮아지게 하지만, 당뇨병 자기효능을 매개하여 삶의 질이 높아진다. 타인의존 당뇨병 통제위 성격은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당뇨병 삶의 질이 낮아진다. 당뇨병 자가관리에 대한 행위적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삶의 질을 낮아지게 하였고, 당뇨병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낮아지게도 하였다. 따라서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의 수정과 당뇨병 대처전략 향상을 위한 당뇨병 자기효능의 중재가 개입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당뇨병 지표와의 관련성

        송인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당뇨병은 내분비 대사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으로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제 1형 당뇨병)과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제 2형 당뇨병)으로 분류된다. 성인기에 호발되는 당뇨병은 대부분 제 2형에 속한다.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요법을 병행하기도 하나, 제 2형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요법이 중요하다. 그러나 식생활의 조절과 함께 흡연, 음주, 운동 등 건강관련 생활습관을 바람직하게 유지한다면 당뇨병의 관리가 보다 용이할 것이다. 흡연은 노르웨이에서 시행된 Hordaland Homocysteine Study의 결과,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혈압, 흡연, 신체 활동부족 등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흡연인구의 비율이 높으며, 당뇨병의 발생율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흡연 당뇨병 환자의 경우 합병증으로 혈관 질환을 초래하기 쉬우며 흡연에 의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도 혈관 질환 발생에 영향을 끼칠것으로 보인다. 만성적인 에탄올의 섭취는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크게 높이고, 에탄올 급여 중단 시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개선되므로 역시 혈관 질환의 발생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일 것이다. 운동은 혈당치나 혈장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어 당뇨병 지표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체질량지수(BMI)나 허리엉덩이둘레비(WHR)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도, 혈당치를 상당히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까지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당뇨병 지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광대 광주한방병원에 입원한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식습관과 함께 운동, 음주 및 흡연습관을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면접법으로 조사하였고, 이들 습관이 당뇨병 지표와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한편,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은 대혈관 합병증의 발현률이 높으므로 대혈관 합병증의 유무가 당뇨병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남자대상자는 61.9±10.8세이었고, 여자대상자는 69.7±7.3세이었다. 혈당치(mg/dl)는 남자가 여자(254.0±112.4 vs 202.6±95.8,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합병증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남녀 모두 없었다. 혈장 호모시스테인(μmol/ℓ)농도도 남자가 여자(11.21±4.96 vs 9.48±2.73, p<0.05)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자에서만 비합병증군이 합병증군(10.90±2.53 vs 8.75±2.57,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시에는 과반수가 당분섭취에 주의하였으나, 남녀간에 또는 합병증 유무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활동수준은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고 운동빈도도 여자가 양호하였다. 그러나 신체활동수준 및 운동의 빈도와 종류는 합병증 유무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당뇨병 지표중 혈당치, 당화혈색소 비율 및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흡연 여부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혈당치는 남자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315.1±143.8 vs 223.5±80.9, p<0.0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에서도 흡연자가 비흡연자(354.5±20.5 vs 196.3±92.4,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당화혈색소 비율은 남자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8.93±2.30 vs 7.56±1.0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에서도 흡연자가 비흡연자(9.25±0.63 vs 7.40±1.2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남자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234.9±51.4 vs 195.2±39.0, p<0.0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음주 여부는 당뇨병 지표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한편 운동 여부는,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혈당치와 당화혈색소 비율, 혈장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병 관리에 있어 흡연과 운동이 당뇨병 관리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수가 제한되었고 건강관련 생활습관을 자세하게 평가하지 못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미비점을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인,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Diabetes Melliteus is a chronic disorder of glucose metabolism caused by ineffective action of insulin. It is classified to type and type Diabetes Melliteus (DM). The type II which usually occurs during adulthood is non-insulin dependent. Thus, the treatment of the type II carry out through diet therapy. However, the management of health-related life styles like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seems to be important to control blood paramaters such as glucose and lipids. In the Hordaland Homocysteine Study in the Norway, smoking caused to increase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lood pressures. High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may cause vascular diseases as a complication in the patients of DM. Chronic ethanol consumption is highly associated with increasing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Taking exercise regularly seems affect positively on blood glucose and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DM patients even without changes of blood mass index (BMI) or waist-hip ratio (WHR).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life styles on the blood parameters of diabetes.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abits of exercise,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s well as dietary habits in the type II DM patients over 35 years old hospitalized in the Wonkwang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Eighty patients were divided by sex and the presence of macrovascular angiopathy complication.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ere 61.9±10.8 years in the males and 69.7±7.3 years in the females.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than the females (254.0±112.4 vs 202.6±95.8, p<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 Plasma total homocyste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s than the females (11.21±4.96 vs 9.48±2.73, p<0.05) and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without complication than the group with complication (10.90±2.53 vs 8.75±2.57, p<0.01). Among dietary factors, most subjects concerned about was sugar intak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etary factors between the males and the females and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higher in the females and the frequency of exercise seems to be good in the females. However,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e frequency and kind of exerci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ales and females and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he complication, too. Smoking seemed to raise blood glucose, HbA1c, and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okers than the non-smokers (315.1±143.8 vs 223.5±80.9, p<0.05) in the males and also in the females (354.5±20.5 vs 196.3±92.4, p<0.01). The percent of HbA1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okers than the non-smokers (8.93±2.30 vs 7.56±1.07) in the males and also in the females (9.25±0.63 vs 7.40±1.26).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okers than the non-smokers (234.9±51.4 vs 195.2±39.0, p<0.05) only in the males. But, alcohol drinking did not affect any blood paramaters of diabetes. Exercise tended to show effects positively on the blood glucose, HbA1c, and plasm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otal homocysteine concentrations but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ype II DM patients, their dietary habits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blood parameters of diabetes. However, smoking deteriorates the parameters but exercise seems to improve them.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life styles on DM management.

      •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 : 노인을 대상으로

        이남희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당뇨병은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대사의 이상을 조절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자가 관리가 필요하다. 환자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일반적인 자가 관리에 대해 알고, 환자 스스로가 얼마만큼 할 수 있느냐 하는 자기효능감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 정토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4년 7월12일부터 2004년 8월 14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하는 M대학 병원의 외래에 통원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백경신(1996)이 개발한 당뇨병 관리 자기효능감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 하였고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는 박오장(1984)이 개발한 당뇨병환자의 역할행위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 간호행위 정도는 각각 평균평점 6.45±1.93점과 3.73±.61점으로 중상 정도였다. 2. 노인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의 배우자 유. 무에서 유의한 차이(t=,2.721, p=.008)를 나타내었다 또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정도는 당뇨병으로 입원한 경험(t=-3.839, p=.000), 약물치료 경험(F=4.680, p=.011), 의료보험 가입상태(t=2.073, p=.041) 당뇨관리가 어려운 이유(F=6.304, p=.001), 합병증 발생(t=-2.629, p=.010), 돌봄 제공자(F=-2.050,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노인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행위의 차이는 배우자 유. 무에서 유의한 차이(t=2.258, p=.026)를 나타내었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행위 정도는 당뇨병으로 입원한 경험(t=-3.082, p=.003), 약물치료 경험(F=4.294, 9=.01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하는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행위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823, p=.000). 결론적으로 노인 당뇨병 환자들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가 간호행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간호사들이 노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독자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of the diabetic elderly. The subject included 104 diabetics Who were over 65 years at the outpatient clinics of university hospital in M and Gyeonggi city.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instrument developed by Paek(1996) and Self-care behavior was measured by Sick-role behavior instrument developed by Park(1984).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percentage,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WIN 11.0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self-efficacy was 6.45±1.93, The mean score of the Self-care behavior was 3.73±.61. 2.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xistence of spouse (t=2.721, p=.008).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isease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xperience of the diabetes mellitus admission(t=-3.839, p=.000), drugs treatment experience (F= 4.680, p=.011), medical insurance subscribe state (t=2.073, p=.041), reason that diabetes mellitus control is difficult(F=6.304, p=.001), complication occurrence (t=-2.629, p=.010), existent care giver (F=2.050, p=.043). 3. Self-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xistence of spouse(t=2.258, p=.026). Self-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 Disease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the Diabetes Mellitus admission(t=-3.082, p=.003), drugs treatment experience(F=4.294, p=.016). 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showed a strong significant correlation (r=.823, p=.000). In conclusion, the elderly Diabetes Mellitus will be able to live the satisfactory life, if they are appropriately for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And then, nursing care plan must be based on the increase of the self-efficacy for self-care behavior b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 소아 연령에 발병한 당뇨병환자에서 만성합병증의 빈도 및 특성

        유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당뇨병 치료의 발달로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은 급성 합병증보다는 만성 합병증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들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연령에서 발병한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의 동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브란스 병원에서 치료중인 8-28 (16.8±4.4)세의 당뇨병 환자 163명 (남자 59명, 여자 104명)을 대상으로 망막검사를 시행하였고, 소변내 알부민을 정량 측정하였으며, 말초신경전달속도 및 심혈관계 자율신경기능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혈액에서 Lipoprotein(a) (Lp(a))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intima-media thickness, IMT)는 45명의 1형 및 9명의 2형 당뇨병 환아에서 측정하여 24명의 정상 청소년에서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63명중 141명 (87%)은 1형 당뇨병이었고 나머지 22명 (13%)은 2형 당뇨병이었다. 1형의 경우 8.7±4.1세에 발병하였고 평균 유병기간은 8.1±3.4년이었으며, 2형은 12.8±1.5세에 발병하였고 유병기간은 5.5±3.9년이었으며, 6개월 간격으로 3회 측정한 평균 당화혈색소는 1형과 2형에서 각각 9.4±2.4, 10.3±2.3%였다. 2. 임상적 알부민뇨를 포함한 미세알부민뇨는 1형의 14.2%에서, 2형의 22.7%에서 동반되었으며, 미세알부민뇨가 동반된 환자들의 평균 유병기간은 1형, 2형에서 각각 9.8±4.9 (3.3-18.9)년, 7.4±3.9 (2.3-11.2)년이었고, 유병기간이 5년 이상이더라도 검사시 11세 미만에서는 미세알부민뇨가 동반되지 않았다. 1형 당뇨병에서 미세알부민뇨 및 알부민뇨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p<0.01), 발병연령이 높을수록 (p<0.01), 당화혈색소가 높을수록(p<0.05) 많이 동반되였다. 3. 당뇨병성 망막증은 1형의 7.8% (8/102)에서 있었고, 2형의 33.3% (5/15)에서 동반되어 있었으며 1형에서 유병기간 7년 미만, 2형에서 9년 미만에서는 동반되지 않았고, 검사당시 연령 14세 미만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1형 당뇨병에서 망막증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p<0.01), 발병연령이 높을수록(p<0.01) 자주 관찰되었다. 4. 1형 당뇨병에서 당화혈색소는 신경전달속도 지연의 의미있는 예측인자였고 (n=126, p<0.05), 1형과 2형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자율신경기능 이상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많이 나타났으나 (n=93, p<0.05), 당화혈색소와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좌측 및 우측 경동맥의 IMT는 2형 당뇨병 환아에서 정상 및 1형 당뇨군 (우측 평균값 제외)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1형 환아에서는 우측 최대값만 정상 대조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당뇨군 및 대조군에서 IMT는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6. 1형 과 2형 당뇨병에서 혈당 조절상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지질 검사상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은 2형에서 더 높았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2형에서 1형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Lp(a)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소아연령에서 발병한 당뇨병환자에서 청소년 및 성인초기에 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및 그 위험인자들이 관찰되었으며,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수록, 혈당조절상태가 불량한 경우에 발생 가능성이 증가되었다. 1형 당뇨병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의 위험은 발병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유병기간에 관계없이 사춘기 이전 연령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사춘기가 합병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향후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2형 당뇨병에서는 보다 조기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기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hronic complication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risk factors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childhood-onset diabetes mellitus (DM). One hundred sixty three patients (59 males and 104 females), ranging from 8 to 28 years of age, were evaluated for urinary albumin excretion, retinal pathology, nerve conduction velocities (NCV), and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test. Their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 measurement of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lipoprotein(a) levels.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were measured in 54 diabetics, and were compared with values from 24 healthy adolescents. 1. Among the 163 patients, 141 had type 1 DM and 22 had type 2 DM. The mean age of onset was 8.7±4.1 in type 1 and 12.8±1.5 years in type 2, and mean duration of DM was 8.1±3.4 years and 5.5±3.9 years, respectively. Mean HbA1c levels of recent 3 measurements at 6 month-intervals were 9.4±2.4, and 10.3±2.3%, respectively. 2. Microalbuminuria including clinical albuminuria were observed in 14.2% of type 1, and 22.7% of type 2 diabetics, and none were microalbuminuric before the age of 11. In type 1 DM,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uration of diabetes, age of onset, and HbA1c leve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icroalbuminuria. 3. Diabetic retinopathy were observed in 7.8%(8/102) of type 1 and 33.3%(5/15)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it was not observed before 7 years of diabetes. In type 1 DM, duration of diabetes and age of onse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iabetic retinopathy. 4. HbA1c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prolonged NCV in type 1 DM(n=126, p<0.05). Autonomic dysfunction increased with longer duration of diabetes(n=93, p<0.05), but it did not correlate with levels of HbA1c. 5. In type 2 DM, the mean and maximal IMT of both carotid arte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ype 1 (except for right mean IMT) or healthy subjects, but in type 1, only the maximal IMT of right carotid artery was higher than those of healthy subjects. IM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ody mass index. 6. In type 2 D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than in type 1 DM, whereas HbA1c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se two groups. In conclusion, our observation suggests that chronic complications of DM can be developed even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nd duration of diabetes and glycemic control are their predictors. In type 1 DM, the risk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creased with older age of onset and they were not observed during prepubertal period, suggesting that puberty precipitates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hronic complications tend to develop with shorter duration of diabetes in type 2 DM,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reveal their metabolic interactions.

      • 젊은 연령(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김경수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 adults and adolescents has increased in the last decad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bese population. Despite this rapidly changing demographic trend, little is known about this age-grou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onset patients in whom diabetes was diagnosed before 40 years old compared with the usual onset patients in whom diabetes was diagnosed at older ages. This was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on 350 diabetic 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by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criteria at the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7.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via medical records and compared with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 40 years old) and usual onset diabetic patients (≥ 40 years old). We also examined the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BMI) (BMI < 25kg/m2 vs. BMI ≥ 25kg/m2). The prevalence of the early onset diabetes and the usual onset diabetes were 31.1% (n=109) and 68.9% (n=241), respectively. In the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the prevalence of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and unclassified group was 6.4%, 85.3% and 8.3%, respectively. The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amily history, HbA1c, fasting and postprandial glucose levels and had more typical symptoms and microalbuminuria and required insulin therapy as initial treatment. Conversely, hyperten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sual onset diabetic patients. BMI, fasting and postprandial C-peptide levels, lipid profile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t diagnosis. Among the early onset diabetes, non-obes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HbA1c, fasting and postprandial glucose levels and had more typical symptoms but lower fasting and postprandial C-peptide levels. Because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represented more severe hyperglycemia and had more microalbuminuria, we should control early onset diabetes more strictly to prevent its complication. Furtherm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onset diabetic patients for proper management of diabetes because they were not homogenous group. 최근 비만인구의 증가로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면서 젊은 성인 및 청소년에서의 당뇨병 발병 또한 증가하고 있다. 서구의 경우 이전까지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당뇨병은 대부분 제1형 당뇨병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젊은 성인이나 소아에서도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비교하여 40세 미만의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내분비내과 외래 초진 환자 중 처음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발병 연령과 성별, 신장, 당뇨병 발생 이전의 최고 체중과 발병당시의 체중 및 체중의 변동, 체질량지수(BMI), 당뇨병 가족력, 내원당시 전형적 증상의 유무,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당화혈색소(HbA1c),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고밀도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청 C-peptide, 인슐린, 미세단백뇨 유무 및 초기 3개월 내 치료 방법을 조사하여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과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을 비교하였고, 40세 미만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 중 비만한 환자(BMI ≥ 25kg/m2)와 비만하지 않은 환자(BMI < 25kg/m2)들을 비교하였다. 총 350명의 환자가 처음 당뇨병으로 진단 받았고, 이 중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는 109명,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는 241명이었다.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 중 제1형 당뇨병은 6.4%, 제2형 당뇨병은 85.3%, 병형 결정이 어려운 경우는 8.3%였다.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과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의 평균 나이는 각각 31.8세, 54.6세였고,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에 비해 40세 미만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은 가족력이 더 많았으며, 공복 혈당 및 식후 2시간 혈당, 당화혈색소 모두 더 높았다. 또한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았고, 초기 치료 방법으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미세단백뇨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러나 각 그룹간의 체질량지수,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청 C-peptide 및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고밀도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차이가 없었고, 고혈압은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40세 미만에서 당뇨병이 발생한 환자들 중에도 비만하지 않은 환자들은 비만한 환자들에 비해 공복 혈당 및 식후 2시간 혈당, 당화혈색소 모두 높고,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청 C-peptide는 낮게 나타났으며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았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젊은 연령의 당뇨병 환자에서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많았고, 특히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은 가족력이 더 많고 진단 당시 혈당이 더 높으며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과 함께 미세단백뇨를 보여 향후 합병증의 발생 예방을 위해 더 엄격한 혈당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40세 미만에서 당뇨병이 발생한 환자들도 비만유무에 따라 그 임상적 특징에 차이를 보여 이들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체계적인 당뇨병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 제 2형 당뇨병 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의 관련성

        곽봉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당뇨병 합병증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연구는 혈당조절과 합병증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나아가 인구학적 특성, 건강상태 특성에 대하여도 밝혀지고 있으나 단면연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에 이환된 대상자가 이환된 후 치료를 시작하는 시기(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자격이 있는 대상자를 추적한 공단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만 30∼64세 성인 중 2004년부터 2007년 말까지 당뇨병에 이환된 대상자를 당뇨병 치료시작시기와 당뇨병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보정한 혼란변수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가족력이 있으며 사회 경제적 특성은 소득, 가입자구분, 건강상태 특성은 수축기 혈압, 공복혈당, BMI, 총콜레스테롤, 흡연여부, 음주여부, 주당 운동 횟수이다. 당뇨병에 이환된 사람 2,588명 중 829명(32.03%)이 2013년까지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당뇨병 치료시작군과 당뇨병 미치료군을 비교하였을 때, 여성, 연령이 높고 가족력이 있으며 직장피부양자일수록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수축기혈압과 공복혈당, 신체질량지수(BMI),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흡연을 하지 않고, 음주는 마시지 않을수록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뇨병의 치료 시작 시기는 당뇨병 합병증이 있는 경우,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경우, 대혈관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치료를 빠르게 시작하였다. 당뇨병 진단 시점부터 합병증이 발견된 사람이 47.29%였다. 혼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당뇨병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에는 1년 미만인 경우보다 당뇨병 합병증 Hazad Ratio가 0.48배(95% CI, 0.30-0.76)였다. 합병증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경우 치료 시작 시기에서의 공복혈당 수치가 정상인 군에 비하여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인 경우에는 합병증에 이환될 위험이 각각 1.59배(95% CI, 1.13-2.23), 1.72배(95% CI, 1.20-2.47)였다.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요인은 합병증 전체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일수록 높았으며, 음주를 매일 하는 경우는 위험도가 낮았다. 미세혈관합병증의 경우 연령이 50∼54세일 경우, 수축기혈압이 고혈압 1단계일 경우,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일 경우에 위험도가 높았으며, 대혈관 합병증인 경우 남성,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에 의하여 당뇨병 관리는 공복혈당 조절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당뇨병에 이환되었으나 합병증이 없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당뇨병 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 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대규모의 코호트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or diabetic complications, erstwhile studies have so far been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glycemic control with complications. Some studies have dealt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but stood at the level of cross-sectional studies. At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with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ults aged between 30 and 64 who developed diabetes between 2004 and 2007 and were listed in the cohort sample databas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with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and diabetic complications. The corrected confounding factors were gender, age and family history; socioeconomic factors were income and insurance type. Health-related factors were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body mass index (BMI), total cholesterol, smoking, drinking and the weekly frequency of exercise. Out of 2,588,829 (32.03%) began to get treatment at least in 2013. Women, the elderly, people with family history and the dependents of employees with employer-provided health insurances accounted for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who began to get treatment, compared to people who did not begin. Moreover, people with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or high BMI or a higher level of total cholesterol, nonsmokers and (virtual) nondrinkers made up a higher percentage of receivers. People with diabetic complications or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r macrovascular complications tended to get treatment earlier. In 47.29 percent, complications were detected soon after diabetes was diagnosed. The corrected confounding factors showed that the hazard ratio of complications was 48 percent (95% CI, 0.30 ? 0.76) higher in people who had not gotten treatment for at least 5 years than in ones who got treatment within one year. As regards diabetic complications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cidence rates were 1.59 times (95% CI, 1.13 ? 2.23) and 1.72 times (95% CI, 1.20 ? 2.47) higher respectively in people whose fasting blood sugar levels were measured at over 126mg/dL at the first treatment. Old age and a high fasting blood sugar level (over 126mg/dL) could be included in risk factors for diabetic complications. People who had drunk every day showed a low incidence rate. The incidence rate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was higher in people aged between 50 and 54 or ones whos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in stage I hypertension or whose fasting blood sugar levels were over 126mg/dL. The incidence rate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was higher in men and in elder people. The results show that controlling the fasting blood sugar level is important in diabetic control, and imply a need for a large-scale cohort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people who developed diabetes but did not get complications.

      • 당뇨병 유병자 중 혈당 미조절군의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요인 : 제4~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7-2015)를 중심으로

        이수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 세계적으로 만성질환의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당뇨병은 주요사망원인을 차지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2014년 기준 전 세계 성인 인구의 8.5%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30세 이상의 성인 당뇨병 유병률이 13.7%에 달하는 실정이다. 당뇨병은 완치가 어려우며, 조기 인지와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혈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개인의 질병부담은 물론이고, 사회경제적인 부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당뇨병환자가 혈당 조절 등 질환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과 더불어 식사 및 운동요법 등 건강행위를 병행할 때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건강행위는 자신의 건강상태의 좋고 나쁨에 대한 스스로의(self-reported) 평가인 ‘주관적 건강인식’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스스로 판단하는 주관적 건강인식과 객관적 건강상태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왜곡된 건강관념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런 의미에서 어떠한 인자들이 왜곡된 건강관념을 통하여 주관적 건강인식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인식과 관련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국가 당뇨병 관리 사업 대상선정 및 효율적인 보건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4-6기(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체 대상자 73,353명 중 당화혈색소 7% 이상인 혈당 미조절군 2,303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주관적 건강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변수로 선정하였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으며, 기술 분석 및 Survey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검정,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2.303명의 대상자 중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총 416명(18.1%)이었다.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인구사회적 요인에서 60대, 70세 이상인 경우 교차비가 3.34(95% CI=1.98-5.64), 4.01(95% CI=2.17-7.42), 초등학교 졸업 이하 대비 전문대 졸업 이상인 경우 교차비가 1.70(95% CI=1.01-2.84), 주거지역 서울 대비 충남의 교차비가 2.72(95% CI=1.37-5.40)로 모두 주관적 건강인식이‘좋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그 외에 건강상태요인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을 동반한 경우 교차비가 1.42(95% CI=1.03-1.95)로 주관적 건강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았다. 그 외에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인 경우, 최근 2년간 건강검진을 수행한 경우, 당뇨병 치료변수에서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 고혈압을 동반한 경우, 동반질환 1개 이상인 경우,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 주관적 건강인식이‘좋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자 중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요인을 분석한 첫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적 차원의 당뇨병 관리 사업 시행 시 혈당이 미조절 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건강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60대 및 70대 고령층, 전문대졸 이상인자, 주거지역 충남, 고중성지방혈증 유병자를 사업대상(target population)자로 우선 선정하여 지역사회 보건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주관적 건강인식이 미비한 경우에 대한 혈당 조절 개선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최종적으로는 이러한 정책방안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건강수준과 삶의 질이 더욱 향상되기를 바란다.

      •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Cyclo (His-Pro)의 혈당저하 효과 및 당뇨병 관련 마커 발굴에 관한 연구

        구광본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Cyclo (His-Pro) (CHP)는 구조적으로 갑상선 자극 방출 호르몬 (TRH)와 관련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환식 디펩티드이다. 현재 연구의 주요 목적은 CHP가 당뇨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체외 (RINm5F) 및 생체 내 (1형 및 2형 당뇨 동물모델)에서 당 대사에 대한 CHP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CHP의 항 당뇨 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콩 가수분해에 의해 CHP는 생산 되었다. 콩으로부터 생산된 최적의 CHP 함량은 Flavourzyme과 Alcalase (3:1) 두 효소의 혼합 사용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 방법으로 건조 중량의 약 11 mg/g를 함유하는 콩 가수분해물을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렙토조토신 (STZ)으로 유도된 베타세포의 기능 장애와 세포자살 (apoptosis)에서 CHP 효과를 인슐린 분비 세포 RINm5F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2 mM STZ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 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는 정상 세포의 54%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CHP 처리에 의하여 RINm5F 세포의 인슐린 분비는 정상 세포의 71%로 복구했다. 또한, CHP는 산화질소 (NO)의 생산과 지질의 과산화화를 억제 하므로 서 STZ으로 유도된 세포파괴로부터 보호하였다. 더욱이, RINm5F에서 CHP 처리는 STZ으로 유도된 caspase-3의 활성화,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분절과 DNA 단편화와 같은 세포 자살관련 활성을 감소 시켰으며, apoptosis를 억제 하는 작용을 하는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을 증가 시킴 으로서, STZ으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의한 세포 자살로부터 세포를 보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P가 STZ에 의한 세포파괴와 세포자살에 대하여 보호하고 치료제를 위한 대체 물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HP의 저 혈당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당뇨 모델 동물로 STZ에 의해 유발된 당뇨 쥐와 유전적 비만 (ob/ob) 마우스는 무작위로 각각 그룹에 7마리씩 나뉘어졌다. CHP 식이 한 쥐 (4 mg/kg BW)는 와 마우스 (2 mg/kg BW)는 혈당 수치는 각각 투여 21일 및 24 일 후 당뇨유발 쥐와 비교시 56%와 57%에 수준으로 낮아졌다. 당 부하 검사 결과, 혈당 수치는 포도당 식이 후 약 30 분 뒤에 급격히 증가 하였지만, CHP 처리에 의해 약 120 분 뒤에 초기 정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장 인슐린 농도 또한 CHP를 투여한 쥐에서 29% 개선되었다. 대조적으로, 마우스의 경우 인슐린 수치는 CHP를 투여한 후 크게 개선 (약 2배) 되었다. 흥미롭게도, CHP 투여를 차단 후에도 향상된 인슐린 농도는 유지되었다. STZ으로 유도된 당뇨 유발 쥐의 높은 중성지방 농도는 CHP에 의해 정상 쥐 수준으로 복구 되었으며, 반면에 콜레스테롤 농도는 CHP 처리에 의한 어떤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당뇨병 마우스의 경우에는 CHP 처리에 의해 중성지방 (54%)과 콜레스테롤 (42%) 농도는 당뇨병 마우스의 절반 수준으로 확연하게 감소되었다. 흥미롭게도, 조직 병리학적 및 면역학적 분석은 CHP 처리에 의하여 손상된 당뇨병 쥐의 췌장을 거의 정상 수준으로 복구하였다. 또한 유전적 비만 (ob/ob) 마우스 췌장의 베타 세포 (24일간 CHP 투여 후, 130일 까지 CHP 투여 정지한 그룹, 2형 당뇨모델)는 각각 24, 72 및 130일 경과 후 췌장을 분석한 결과, 복구된 췌장과 CHP 식이를 중단 후에도 손상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는, CHP는 우수한 저 혈당 효과 및 평균 혈당 수준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며 당뇨병 쥐와 마우스의 손상된 췌장 세포를 복원 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HP가 STZ 유도 당뇨병 쥐와 유전학적으로 비만(ob/ob) 마우스에서 저 혈당 효과를 나타내며, CHP가 당뇨병의 관리를 위하여 유용한 물질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당뇨병에서 초기 진단을 향상시키며,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바이오 마커를 확인하기 위하여 STZ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와 유전적 비만 (ob/ob) 마우스의 혈장과 췌장 조직의 단백질 발현 경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 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과 질량 분광 방법으로 단백질을 분석 하였으며, 혈장과 췌장 단백질에서 현저하게 변화된 단백질을 발견 하였다. 그 결과, STZ으로 유도된 1형 당뇨 모델에서 당신 생 (Apo E), 콜레스테롤 (Apo A-I), 아밀로이드 축적 (SAP) 그리고 항산화 (PRDX4) 관련 단백질은 CHP에 의해 정상 쥐 수준으로 복구 되었으며, CHP가 1형 당뇨병의 증상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한편, 2형 당뇨 모델에서 지질 대사, 염증 조절 (A2M), 산화방지 (MDHC), 그리고 Alzheimer-관련된 (APEH) 단백질의 수치는 CHP에 처리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CHP가 2형 당뇨병의 증상을 향상시킬지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단백질 체 분석의 결과를 면역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이차원 전기영동 방법에 의한 단백질 체 분석 결과와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한 단백질은 유의한 발현 경향을 확인하였다. CHP 처리에 의한 결과, STZ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 (1형 당뇨)와 유전학적으로 당뇨병 (ob/ob) 마우스 (2형 당뇨)에 관련된 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것에 의하여 당뇨병과 CHP가 처리된 상태의 바이오마커 발견의 가능성으로 이어 질것이다 (1형 당뇨: SAP, CRP, PRDX4; 2형 당뇨: F12, MDHC, APEH). 또한 단백질체 분석의 결과는 당뇨병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췌장 조직의 유전자 칩을 이용하여 유전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당뇨병 연관 유전자를 발견하기 위해, STZ으로 유도된 당뇨 쥐와 유전학적 비만 (ob/ob) 마우스의 췌장에서 유전자의 발현 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1형 당뇨병에서, 1,175개 유전자는 STZ 처리에 의해 유전자 발현 량이 감소하였으며, CHP 처리에 의해 정상 쥐 수준으로 복구되었다. 그러나, 629개 유전자는 STZ 처리에 의해 증가 되었으며, CHP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복구 되었다. 흥미롭게도, 476개 유전자는 CHP 처리에 의해 큰 발현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전자 발현 량 차이를 기능적으로 분류 하였을 때, STZ와 CHP처리에 의하여 대조 군과 비교 시 4배 이상 차이를 보여주는 7,198개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1,534개 유전자는 CHP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복구되었다. 또한, 1형 당뇨병 기 작에서 CD86, IFNγ와 Caspase-3 유전자의 발현 량은 당뇨 유발 시 증가 하였으며, IL2 유전자는 감소 현상을 나 타 내었으며, CHP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복구 되었다. 2형 당뇨병에서, CHP 처리한 그룹과 당뇨그룹의 췌장 조직 비교 시 2배 이상 변화를 나타내는 4,384개 유전자를 확인 하였으며, 2,140개 유전자는 CHP 처리에 의해 발현 량이 증가하였으며, 2,244개 유전자는 감소하였다. 또한 2형 당뇨병 기 작 (CHP에 의해)에서 SLC2A4, SOCS2 그리고 PDX1 유전자의 발현 량은 증가 하였으며, 핵산분해효소 관련 (Caspase-3과 PARP) 유전자의 발현 량은 감소하였다. 그 결과, 1형 당뇨병에 관련된 면역 반응 (CD86), 세포자살 방지, 세포 분화 (IFNγ, IL-2) 그리고 caspase-3 (핵산분해효소 활성화) 유전자는 CHP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복구 되었으며, CHP가 1형 당뇨병의 증상을 개선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형 당뇨병과 관련된 당 수송 (SLC2A4), 인슐린 신호 전달 (SOCS2), 췌장 세포 분화 및 인슐린 분비 (PDX1), 그리고 핵산분해효소 활성화 (Caspase-3, PARP) 유전자는 CHP에 의해 당뇨 마우스와 비교 하였을 때 변화되었으며, CHP가 2형 당뇨병의 증상을 개선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단백질 (SAP, APEH, MDHC)과 유전자 (Cysltr2, Mtus1, Wdr68, Sass6, Acbd5, Fubp1, IL-33, Polr2i, Dedd)들은 당뇨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 또는 약품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CHP는 국민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yclo (His-Pro) (CHP) is a naturally occurring cyclic dipeptide structurally related to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The major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CHP plays any role in diabetes. This study, therefore,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P on glucose metabolism in vitro (RINm5F) and in vivo (Type I and II diabetes model). In other to examine anti-diabetic effects of soybean hydrolysate containing CHP, hydrolysate was prepared by hydrolysis. The CHP (approx. 11 mg/g of dry weight) was efficiently obtained from soybean meal by proteolytic hydrolysis with the mixture of Flavourzyme and Alcala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HP on streptozotocin (STZ)-induced β-cell dysfunction and apoptosis were investigated in rat insulinoma cells (RINm5F) secreting insulin. When the RINm5F cells were treated with 2 mM STZ, insulin secretion decreased to approximately 54%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cell. However, CHP treatment restored insulin secreting activity of RINm5F cells to approximately 71% of the untreated control cells. And also, CHP significantly protected the cells from STZ-mediated cytotoxicity by reductions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2.3-fold) and lipid-peroxidation (1.9-fold) induced by STZ. Moreover, CHP treatment also attenuated STZ-induced apoptotic events such as activation of caspase-3,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cleavage, and DNA fragmentation in RINm5F cells, indicating that CHP could prevent the cells from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of STZ through the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 Bcl-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P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material for the protective and therapeutic agent against STZ-mediated cytotoxicity and apoptosis. To study the hypoglycemic effect of the CHP,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with seven animals in each group. The plasma glucose level in the CHP-fed rats (4 mg/kg BW) and mice (2 mg/kg BW) was remarkably decreased by 56% and 57% as compared to the diabetes group, respectivel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glucose levels recovered its baseline after 120 min by CHP treatment, although the blood glucose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30 min. Also, plasma insulin levels were restored by 29% in CHP-treated rat. In contrast, insulin levels were considerably enhanced in CHP-treated and stopped group. Triglyceride levels were normalized by CHP in diabetic rats, whereas no effects of CHP treatment in cholesterol level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abetes mice, triglyceride (54%) and cholesterol (42%)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CHP treatment. Interestingly,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CHP administration restored the impaired diabetic pancreas to almost normal architecture. Furthermore, pancreatic β-cells (in CHP-treated and stopped group, mice) were strikingly restored at 24, 72, and 130 day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HP exhibited an excellent hypoglycemic effect, lowering the average plasma glucose level and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and restored viability of the pancreatic cells in diabetic rats and mice.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HP exhibited considerable hypoglycemic effec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genetically (ob/ob) mice, suggesting that these CHP may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To identify new biomarkers that improve the early diagnosis and lead to possible therapeutic targets in diabetes, we performed a proteomic approach to compare plasma and pancreatic protein expression patterns of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ob/ob mice.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analyses and mass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protein spots were found significantly changed in plasma and pancreas. As a result, Type I diabetes, gluconeogenesis (Apo E), cholesterol level (Apo A-I), amyloid deposit (SAP), and antioxidative (PRDX4) proteins were normalized by the CHP, suggesting that the CHP might improve the symptom of Type I diabetes. Meanwhile, Type II diabetes, lipid metabolism, inflammation regulation (A2M), antioxidation (MDHC), and Alzheimer-related (APEH) at protein levels were normalized by the CHP. It is thought that the CHP might improve the symptom of Type II diabetes. To validate the results of proteomics analysis and to suggest a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for CHP role, functional studie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As a result, Western blot analysis confirmed protein expression trends to be similar to the proteomic results. The data presented here have been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 the level of proteins and genes associated with CHP treatmen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Type I) and genetically diabetic (ob/ob) mice (Type II), thereby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biomarkers discovery in diabetic and CHP-treated states (Type I: SAP, CRP, PRDX4; Type II: F12, MDHC, APEH).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proteomic analysis provide impetus for further studies to identify reliable biomarkers for diabetic therapy. In addition, pancreatic transcriptome were analyzed by microarray system.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in pancreas (rats and mice) of both, STZ-induced rats and genetically diabetic mice, to discover diabetes-associated genes. In Type I diabetes, 1,175 genes were down-regulated by STZ treatment and restored to the normal level upon CHP treatment. However, 629 genes were up-regulated by STZ treatment and restored to the normal level by the CHP treatment. Interestingly, totally 476 gen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CHP treatments. In functional classification, 7,198 genes showing more than four folds difference were count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pancreas of STZ and CHP treated rats compared with control, where 1,534 genes were restored to the normal level by the CHP treatment. Futhermore, Type I diabetes pathway, CD86, IFNγ and Caspase-3 genes were up-regulated and IL2 gene was down-regulated. In Type II diabetes, 4,384 genes showing more than two folds difference were count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pancreas of CHP treated mice compared with control, where 2,140 genes were up-regulate by the CHP treatment. In contrast, 2,244 genes were down-regulated. In Type II diabetes pathway (by CHP), SLC2A4, SOCS2, and PDX1 genes were up-regulated, and apoptosis-related (Caspase-3 and PARP) genes were down-regulated. Gene linked to Type 1 diabetes included immune response (CD86), apoptosis prevention, cell differentiation (IFNγ, IL-2), and caspase-3 (Nuclease activation) were normalized by the CHP, implying that the CHP might improve the symptom of Type I diabetes. Gene associated with Type II diabetes induced glucose transport (SLC2A4), signal transduction of insulin (SOCS2), differentiation of pancreatic cells, insulin secretion (PDX1), and nuclease activation (Caspase-3, PARP) were normalized by the CHP, providing a possibility that the CHP might improve the symptom of Type II diabetes. Based on this microarray results, we further confirm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four regeneration genes (e.g. Mte1, Mt1a, Miox, Mtus1, Cysltr2, Wdr68, INFγ, Casp3, Acbd5, Dedd, Fubp1, IL2, IL33, Polr2i, Slc2a4, Pdx, PARP, and Socs2) using the Real-Time PCR and compared with the microarray data. Our finding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changes in proteins (SAP, APEH, and MDHC) and genes (Cysltr2, Mtus1, Wdr68, Sass6, Acbd5, Fubp1, IL-33, Polr2i, Dedd) expression that may mediate aspects of diabetic pathophysiology an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ovel strategies for gene therapy and drug discovery. Finally, we suggested that the CHP would be an excellent candidate material to develop anti-diabetic and therapeutic agents for Type I and Type II diabetic patients. Furthermore, the CHP will be applied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to improve national health.

      •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지식, 자기 낙인, 자가간호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성은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지식, 자기 낙인, 자가간호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당뇨병 지식이 높았으며, 여성의 자기 낙인과 삶의 질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1형 당뇨병과 인슐린을 투여하고 저혈당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당뇨병 지식은 높았으나 자기 낙인도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 교육경험이 있고 자가혈당측정을 잘할수록 자가간호행위가 높았지만, 삶의 질에는 영향이 없었고 자가혈당측정 증가는 자기 낙인을 높였다. 삶의 질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력, 직업, 월수입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질병 특성과는 당화혈색소, 당뇨병 합병증과 당뇨병 이외의 건강문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당뇨병 지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자기 낙인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가간호행위는 당뇨병 지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 결과 자기 낙인, 월수입, 자가간호행위 순으로 삶의 질을 설명하였으며 27.4%의 설명력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뇨병 환자의 자기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기 낙인 영향요인의 심도있는 분석과 함께 당뇨병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심리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자가간호행위를 높이기 위한 포괄적인 중재 및 평가와 함께 사회경제적 취약 계층의 당뇨병 환자에 대한 지원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 개발

        강세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서 정보에 대한 개별적 요구가 높고, 자가 관리에 치료의 방향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정보원으로서 인터넷의 웹 사이트 활용 시 정보의 적절성 여부는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검증된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과 문헌 고찰을 통해 평가항목에 대한 예비내용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항목과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예비내용의 평가항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와 임상적용가능성을 검증 한 후 최종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평가기준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평가기준을 위한 예비내용을 국내외 웹 사이트 평가 기준과 문헌 고찰을 통해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9영역, 37항목과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7영역, 43항목을 선정하였다. 2. 예비내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 결과 CVI(Index of content validity) 80%이상의 전문가 집단에서 합의를 이룬 항목과 전문가 집단에서 나온 의견들을 수렴하여 예비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 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8영역, 28항목,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7영역, 42항목으로 정리되었다. 3. 타당도 검증 후 수정된 평가기준의 임상적용가능성 검증을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15개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적용 가능성 검증 후,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 1항목,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 4항목을 수정 또는 삭제하였다. 또한,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는 항목별 ‘내용의 구성요소 평가’와 영역별 ‘정확성’, ‘유해성’, ‘이해가능성’에 대한 평가로 평가 기준이 수정되었으며, 평가내용의 구체적인 기준이 추가되었다. 4. 타당도와 임상적용가능성 검증을 통해 작성된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 평가기준은 웹 사이트 속성(attributes) 평가기준으로 ‘목적성’, ‘신뢰성’, ‘상호 작용성’, ‘최신성’, ‘사용의 용이성’, ‘기능성’, ‘디자인’, ‘비밀보장성’의 8영역, 28항목이 개발되었으며, 당뇨병 정보내용 평가기준으로는 ‘당뇨병의 기본지식’, ‘당뇨병의 치료’,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당뇨병의 자가 관리’, ‘특수상황의 당뇨병’, ‘기타 당뇨병 관련정보’의 7영역, 40항목을 ‘내용의 구성요소 평가’와 ‘영역별 내용 평가’를 할 수 있게 개발되었으며, ‘영역별 내용 평가’는 ‘정확성’ 4문항, ‘유해성’ 6문항, ‘이해가능성’ 3문항의 평가기준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제공에 있어 가이드 가인을 제시하여, 건강정보제공자 스스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써,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를 평가하여 검증된 양질의 건강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향후 당뇨병 관련 건강정보 웹 사이트의 개발방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in diabetes mellitus as a chronic disease, and the direction of treatment has focused on self care. The patients need individualized information, but the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on Internet Web site source, is an importan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in order to offer verified health inform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web sites. A preliminary tool was develop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 evaluation standar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tool was composed of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Through expert validity tests and a feasi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tool, the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was fina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preliminary tool was develop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 evaluation standar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tool was composed of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For the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9 categories with 37 items were developed, and for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7 categories with 43 items were developed. 2. After expert validity test, the preliminary tool was mod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items received expert validity of over 80% agreement and according to expert opinions. The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was reduced to 8 categories with 28 items, and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was kept at 7 categories but with only 42 items. 3. As a feasibility test, 15 current sites for diabetes mellitus information were evaluated. After the feasibility test, 1 item for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4 items for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were deleted or modified. To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evaluation items on ‘content component evaluation’, ‘accuracy’, ‘harmfulness’, and ‘readability’ including concrete standards were added. 4. After the expert validity test and feasibility test, the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tool for diabetes mellitus was finalized. This evaluation tool included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and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Evaluation for web site attributes included ‘purposefulness’, ‘trustworthiness’, ‘interactivity’, ‘currency’, ‘ease of use’, ‘functionality’, ‘design’, and ‘privacy’ in 8 categories with 28 items. The ‘evaluation for content information on diabetes mellitus’ included ‘basic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treatment’, ‘acute complications’, ‘chronic complications’, ‘self care’, ‘special circumstances in diabetes mellitus’, ‘others diabetes mellitus information’ in 7 categories with 40 items. ‘Evaluation component for content’ and ‘evaluation of category content’ included 4 items on ‘accuracy’, 6 on ‘harmfulness’ and 3 on ‘readability’. From this study guidelines are propose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for diabetes mellitus, so that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will be able to offer consumers verified good quality health information themselves. This tool will be effective for consumers to verify health information. It also provides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web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