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

        김영진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peed skaters in individual and group training.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7 speed skaters aged 19 and above, registered with the Korea Skating Union in 2023.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four athletes who were either current national representatives or had national representative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expert meetings and previous studies and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peed skaters categoriz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individual training into 2 general areas and 13 sub-areas. The general areas appeared in the order of ‘positive experiences’ and ‘negative experiences,’ Positive experiences included 8 factors: ‘free training,’ ‘increased concentration,’ ‘reinforcement training,’ ‘increased sense of achievement,’ ‘peace of mind,’ ‘goal setting,’ ‘rest,’ and ‘relief of tension,’ Negative experiences included 5 factors: ‘training restrictions,’ ‘lack of feedback,’ ‘loneliness,’ ‘worries,’ and ‘limits of training.’ Second, speed skaters categoriz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group training into 2 general areas and 14 sub-areas. Similar to individual training, general areas appeared in the order of ‘positive experiences’ and ‘negative experiences,’ Positive experiences included 8 factors: ‘stimulating cooperation,’ ‘stimulating competition,’ ‘learning opportunities,’ ‘diversity of training,’ ‘physical improvement,’ ‘sense of responsibility,’ ‘common goals,’ and ‘increased confidence.’ Negative experiences included 6 factors: ‘conflicting opinions on training methods,’ ‘boring repetitive training,’ ‘long training hours,’ ‘coach focusing on elite athletes,’ ‘atmosphere,’ and ‘difficulty in adjusting conditions.’ This study showed different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speed skaters in individual and group trainings. Through this study results, it is believed to be beneficial not only to speed skaters but also to coaches and athletes in all sports, serving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use.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 김 영 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 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3년 대한빙상연맹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총 5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개방형 설문 참여자 중 현 국가대 표이거나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선수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 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전문가 회의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해석하였으며 귀납적 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개인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은 2개의 일반영역과 13개의 세부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일반영역은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경험은 ‘자유로운 훈련’, ‘집중력 증가’, ‘보강 훈련’, ‘성취감 증가’, ‘편안한 마음’, ‘목표설정’, ‘휴식’, ‘긴장감 해소’ 순으로 8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경험은 ‘훈련 제한’, ‘피드 백 부재’, ‘외로움’, ‘걱정’, ‘훈련의 한계’ 순으로 5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은 2개의 일반영역과 14개의 세부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일반영역은 ‘긍정적 경 험’, ‘부정적 경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경험은 ‘협동심 유발’, ‘경쟁 심 유발’, ‘학습기회’, ‘훈련의 다양성’, ‘체력 향상’, ‘책임감’, ‘공동 목표’, ‘자신감 상승’, 순으로 8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경험은 ‘훈련방법 의견 대립’, ‘지루한 반복훈련’, ‘긴 훈련시간’, ‘우수선수 위주의 지도방법’, ‘분위기’, ‘컨디션 조절 어려움’ 순으로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스피드 스케이팅뿐만 아 니라 모든 스포츠에 종사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스피드 스케이팅뿐만 모든 스포츠에 종사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 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개인훈련, 단체훈련, 심리적 경험

      • 단체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은미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체동작관찰훈련을 시행하여 균형과 보행의 변화를 분석하고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안하고자 시행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두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단체훈련군과 개별훈련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시행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은 4주간 주 5일, 1회에 30분으로 15분 동안 동작관찰을 한 뒤 15분 동안 신체훈련을 하였다. 균형 능력의 측정을 위해 Balance Training 4(BT4)를 이용하여 선 자세에서의 신체 동요와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였고 버그균형척도와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를 검사하였다. 보행 기능의 검사를 위해 10m 걷기, 8자 모양 걷기 검사와 동적보행지표 검사를 하였다. 모든 측정 및 검사는 훈련 전후에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집단 내의 비교는 대응표본 t 검정을 하였고 집단 간의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정을 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훈련 후 균형 능력의 변화를 BT4로 측정한 결과, 단체훈련군의 후방 안정성 제한 거리가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BT4로 측정한 균형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집단 간의 훈련 전후에 따른 변화량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버그균형척도는 두 집단 모두 훈련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지만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에서 훈련 전후의 비교결과, 점수의 향상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2. 훈련 전후 보행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0m 걷기와 8자 모양 걷기, 동적보행지표를 검사하였다. 훈련 후 10m 걷기의 시간과 8자 모양 걷기의 평가 항목 중 시간과 발걸음 수, 동적보행지표 점수에서 집단 내의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집단 간의 변화량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 4주 동안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에게 단체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다 많은 환자들에게 일반적인 물리치료에 더하여 효과적인 치료를 접할 기회를 늘리고자 하므로 앞으로 동작관찰훈련 방법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suggest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o improve balance and gait abilities. For this, the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observed with group action observation training(Group Action Observation Training: GAOT) and the changes in balance and gait abilities was analyzed. The randomly selected 16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grouped into two types: group training group and individual training group for 4 weeks. The training was 5 days per week and 30 minutes: 15 minutes action observation and 15 minutes physical training. To measure a balance ability, this research measured body sway and limits of stability in a standing posture by BT4 and surveyed the patients about Berg Balance Scale(BBS)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ABC). For measurement of the functional gait, 10m Walking Test(10MWT), Figure 8 Walking Test(F8WT) and Dynamic Gait Index(DGI) were applied to the patients. All measurements and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raining.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paired t-test for comparison within group and independent t-test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were applied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balance ability after training by BT4, limits of stability in backward l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than before(p<0.05). The results of other measurements by BT4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ignificant changes on group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not determined(p<0.05). In BB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two groups(p<0.05). In ABC survey, there was a score improvement after training but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ait function before and after training, this research estimated 10MWT, F8WT and DGI. After the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10MWT time, the F8WT time and steps and the DGI scores within the groups.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nd variation,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pplied to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s effective in balance and gait abilities. GAOT may be used as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the function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because it has positive effects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on action observation training method should be carried out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an effective cure for more patients wit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신규채용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장승호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447

        공무원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공직사회로 하여금 고도의 전문성, 변화대응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도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인적자원개발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중앙과 차별화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무원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다. 최근 고학력 소지자의 공직 선호로 인한 우수한 인적자원의 공직 지원 현상은 사회의 관심과 기대를 증폭시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무원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재직중인 공무원들이 연구대상으로 신규 채용된 공무원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찾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규 채용된 공무원의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시에 신규채용된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수료 직후 1차 설문 및 3개월 후 교육훈련 전이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2차 설문을 실시, 최종적으로 230부를 유효응답 자료로 선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훈련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기대,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이 있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인 학습기대보다 교육훈련내용, 강사의 자질 등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효과 향상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 교육훈련내용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전이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생들의 교육훈련 전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목표에 적합성을 갖는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있어 직무역량 부문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목표 중 하나인 공직자로서의 기본마인드 함양은 전이효과가 높았으나 직무역량 향상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직무역량 향상에 관련되는 교육과목은 직렬별·대상별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시행하거나,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후 조기에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대한 적극적인 사전안내 및 홍보가 요구된다. 학습기대는 교육훈련 전이효과는 물론,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신규채용자들의 학습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하여 상세하고 적극적인 홍보 및 안내로 교육생들이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이끌 필요가 있다. 넷째, 강의기술을 고려한 강사선정이 필요하다. 아무리 뛰어난 지식을 보유한 강사라도 표현능력이 부족하다면 그 교육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단순주입식 교육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추세에서는 더더욱 강의스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다섯째, 공무원 교육기관의 만족도 위주의 교육훈련 평가를 개선하여야 한다. 그동안의 공무원 교육훈련 평가는 교육훈련 직후 개인의 주관적 느낌이나 즐거움을 측정하는 만족도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객관적인 효과성 검증으로 볼 수 없는 바, 교육 수료 후 전이효과 평가 등 교육훈련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고 철저한 사후평가 체제를 확립하는 등 교육훈련 평가 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개인적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만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고, 연구에 활용된 설문 표본수가 많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전이 요인의 도출과 더불어 표본추출 방법을 보다 정교히 하여 통계적 정확성을 높이고, 타 기관과의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의 일반화를 도출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공무원교육, 교육훈련전이, 신규채용자, 지방자치단체 교육훈련 The radical vicissitude of external environment around civil servants came to require personnel development furnished with high professionalism, capacity to cope with change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Further,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became aware that the development of personal development is indispensible, and the significance of civil servants training such as establishing an education plan distinctive from central authority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recent phenomena of preference on civil position by advanced human resources such as well-educated professionals has started to attract interests from the every tier of our society.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 researches on existing civil servants training are mostly about the workers in office rather than the practical research on newly recruited workers. Thus,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at local governments substantially, and suggest an optimal polic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raining. Under all the circumstances, I conducted the 1st survey for the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of Seoul in 2009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training, and the 2nd survey for transfer effect of training after 3 months, and finally selected 230 copies as the valid response data. For the data analysis, I hav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program called SPSS 12.0. In terms of factors that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there are learning expectations, training contents, and instructor's qua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presented that the factors of traits of training program such as training contents, instructor's quality are reported to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workers more than learning expectations, the personal trait. Upon the basis of the result derived from this study, I could figure out the following issues for the improving the effect of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Firstly, it is imperative to organize an education training program reflective of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training content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us, we can see that the desirable constitution of training program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purpose is indispensible for training transfer of the traine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ield of job capacity in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le the building the basic mind as civil servants, one of the training goals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showed somewhat high transfer effect,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showed relatively lower transfer effect. To cover this up, it would be required to categorize the training subject, which i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in job series and objects, or to exercise additional professional education shortly after the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ird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training evaluation orient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the training of civil servants. The existing evaluation of civil servants training was mostly about the survey on satisfaction evaluating the degree of personal subjective feeling or pleasure shortly after the training. It, however, cannot be seen as substantial·objectiv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consequently, the improvement of training evaluation including implementing effectiveness analysis on training such as evaluation of transfer effect after training, and establishing an thorough post-evaluation system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imitation for obtaining comprehensive result as this study was targeted at personal traits and factors of training program out of the elements affecting training transfer, and as there were only a few number of samples for survey. For the next study, it shall be highly required to heighten the statistical precision by deriving various elements of training transfer and sophisticating the method for obtaining samples, and to procure objectiveness of the study by deriving generalization of result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institutions. Keyword : Civil Servants Training, Training Transfe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Local Government's Training

      • 未來戰에 대비한 豫備軍 발전 방향 : 교육훈련과 지자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성택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85

        As it was already revealed in many cases including the Iraq War the United States has carried out recently, the new concept of executing a war in the 21th century tends to go on with the warfare of aerospace, missile-robot, intelligence-electronics, as well as light war. In that sense, many advanced nations in the world, in an attempt to obtain such sufficient combat capacity, have kept improving their strength throughout military renovations. The ROKA, fulfilling the global trend, has continued its physical and moral reform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systematization of military strength for modern warfare, the increase of civil-military cooperation for defense, and the trust and adoration of Korean people. In completing the national defense reformation, the role of Reserve Force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lthough the modernization of standing forces based on high-technology is significant; since the modern warfare is defined as a total war between countrie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sustain the sparing strength with Reserve Forces will definitely influence on the outcome of the war in terms of supplementing the personnel and keeping up the war. The training process of Reserve Forces in peacetime, as the crucial part of ROKA,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ombating strength of a country. Accordingly, every single effort for leading the drill process efficient should be done throughout a multitude of methods including reorganizing the regulations and conditions, supplementing its training system by units, functions, and types, constructing the consolidated facilities for prospective combats, and the developing MILES equipment and other simulators for substantial exercise. In addition to material renovations, as a half-century has already passed since the Korean War, the domestic awareness on national security wa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which highly requires the new, efficient, and strengthened education for national securit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rate of joining the army for mobilization orders. Most of all, in order to raise strong Reserve Forces for prospective combats, the ROKA keenly feels the necessity of training and supporting system of local Reserve Forces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However, the present system of maintaining Reserve Forces by local government head leaves much to be desired since there is no clear provision in terms of managing Reserve Forces in the local community with dissatisfying cooperations. Therefore, restructur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elping the local government to train and support Reserve Forces legally and sufficiently, reinforcing the function of National Defense Committee, strengthening the range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nfluence on the locally integrated defense, and preserving the national defense budget to the optimum level, which is somewhat deficient compared to other conflicting nations, will be first accomplished. The role of Reserve Forces will be significant and play a crucial role for national defense as both Koreas create a peaceful mood with the national defense budget decreased. Therefore, strengthening the Reserve Forces is in these day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for ROKA who claimed to stand for actively coping with situations based on its intelligent and high-tech resources. In an attempt to have Reserve Forces to function as the essential fighting power for national defense, wiping out the notorious images on Reserve Forces training, systematized management and betterment, as well as the growth of the organization are most necessitated.

      • 職業訓鍊生의 團體給食에 관한 硏究

        김효민 淑明女子大學校 1983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산업사회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24개 공공 직업 훈련원생의 단체급식의 발전과 상황 조사를 위해 시도되었고, 본 조사를 위하여 지역별 분포를 고려하여 5개 훈련원에 100명씩, 50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40명을 대상으로 단체급식과 관련된 건강 실태를 분석하였고, 실제 급식되고 있는 주식과 부식의 영양가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를 위하여 3일분의 식품 분석을 하였다. 설문 조사결과 훈련원의 현 급식 식단표상의 영양 섭취량은 전체적으로 평균 권장량을 상회하고 있으나 동물성 식품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 질적 영양수준의 높은 식품이 요구되었다. 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주식의 양은 적당하고 부식의 양은 적으며, 주식의 질은 약간, 부식의 질은 많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 결과의 평가를 위해 식품 분석을 한 결과 식단과는 10∼20%의 차이가 있었다. 피급식자의 가정 식사와 급식을 비교해 보면 같은 비율로 좋다, 나쁘다가 나타났고, 급식을 받은 후 29.2%는 편식이 없어졌다. 급식의 기호도는 동물성 식품이 높았고, 식단 평가표에서 보면 사용 빈도가 낮은 음식의 기호도가 높았다. 건강 조사 결과는 혈압은 최고혈압 123 mmHg (± 9. 48) 최저혈압 80 mmHg (±10),혈색소 13.5 mg/dl (±0.95), 총 단백 7.5g/dl (±0. 29) 로 모두 정상이었다. 현재 직업 훈련생들은 1년동안 직업훈련원에서 기능 습득 및 단체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각 전문 공과별로 기능 습득에 필요한 과학적인 영양소요량을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직업훈련생을 위한 영양 권장량의 설정이 요구되었다. 특히 이들은 성장기인 청소년기에 일반 고등학생보다 과중한 양의 육체 노동까지 하고 있기에 더욱 영양의 급식이 요구된다. 그러나 급식비가 낮아서 영양 섭취의 대부분을 주식에서 취하고 있고, 영양 권장량을 주식으로 대부분 충당하고 있다. 내일의 한국 기능 인력의 건강이 곧 공업 한국의 초석임을 깨달아 국고의 지원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또한, 각 훈련원의 영양사들도 답보적인 식단에만 의존하지 말고, 훈련원 급식에 대한 계속적인 노력이 요청되며, 영양사에 대한 공동 세미나의 실시, 실무 교육의 강화 등 자질 향상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urvey is to analyze the food service efficiency for the craftsmen and to improve the food service system. The questionnaire survey & actual experiment were acted. 5 public V.T.I, of 24 V.T.I.s under Korean Vocational Training Management Agency and 500 craftsmen, 100 men per each Institute, are selected for this surve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majority craftsmen: 18.02 years (±2.87) Average height: 166.4 ㎝ (±4.93) Average weight: 58.3 ㎏ (±5.18) Calorie intakes and nutrients intakes on menu were found in animality articles of foo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food is also requested. 2. Satisfaction for food service system. About 8.2% of the craftsmen have an unbalanced diet. Monthly payment of the food, 24,000-25,000 won, are adequate. The amount of the main dish, rice & barley are adequate, but the amount of quality of the side dish must be improved. Actual food analysis by experiment for this result showed the shortage of 10-20% of the menu amounts, but the standard amounts of calorie intakes of the craftsmen are close to the requirement in the food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n menu & food analysis are as follows; Calories: 300-400 kcal/day Protein: 25-30 g/day Fat: 8-10 g/day The sanitation of the food and the dining room's environment must be also improv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5.6% of the respondents are not satisfied. The state of drinking water are considered as satisfied. Compared with own family, half of the answered are not satisfied by V.T.I, food but the others are satisfied. 29.2% of them are improved in unbalanced diet. Also 26.6% of the answered took more food than home, but 35.6% are no special changes. Saltiness of side dishes is adequate or too weak. 3. A favorited food A favorite food showed generally on animality and unfavorite tendency on plant food, but the variety on menu also requested. 4. Snack A snack after dinner are usually taken. The monthly snack spending amount of the monthly personal expenses are as follows; under 25%: 60.6% 25-50%: 22.2% The reason to take a snack is feeling a hungry or just a habit. Bread & soft drinks are favored. 5. Health condition Physical condition of the craftsmen is not serious, but some answered, they feel a little tired. 40 craftsmen, 10% of the total students of the V.T.I., are selected for health exam. The results are generally satisfied. Blood pressure Max. 123 ㎜Hg (±9.48) Min. 80 ㎜Hg (±10) Hemoglobin average: 13.5 ㎎/㎗ (±0.95) Total Protein: 7.5 g/㎗ (±0.29) Medicines are usually not taken, only some kinds of vitamins are taken. The training period of the craftsman of the V.T.I.s is 12 months and spend all day in the class, workshop & dormitary. And three meals of each day are taken in Institute. So the quality of the food must be carefully analyzed. The nutritional requirement of craftsmen by separate major course must be carefully studied and furnished. The average age of the craftmen run from 16 to 19 aged, and they spend more hard time than average high school students. The monthly payment by the craftsmen students, 24,000-25,000 won per month, are not sufficient to get the required nutrients intakes. And the additional government support for the better food is also recommend. The health condition must be carefully checked and quality of the side dish have to be improved.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untry the healthful craftsmen are required. The improvement of the knowledge and skill of the dietitian are requested, and the work-shop training opportunity especially for the dietitian must be provided. The good knowledge for the health & nutrition are also requested to the craftsmen. The snack between meals are required and carefully studied. To provide maximum nutrition by limited money, the study & the analysis of the menu are required. Finally the qualification improvement of the dietitian and additional government support for better food to craftsmen are recommended.

      • 선교훈련 프로그램의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커리큘럼 적용에 관한 연구 : 6개 선교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승수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935

        최근 들어 선교사들을 위한 선교사 케어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효과적이고 전략전인 선교를 이루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선교사 자신과 선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가족, 동료선교사, 타문화권과 같은 환경들에 관심을 두고 선교사 삶의 애로사항이 무엇인지,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이 무엇인지, 선교사들의 중도탈락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어 선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케어를 위한 정책과 대책을 촉구하는 움직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배경을 업고, 인간관계 갈등에서 오는 선교사 스트레스와 탈진,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커리큘럼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커리큘럼 실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조사하였고, 3가지 독립변수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선교 단체들의 선교사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둘째는 팀 사역에 대한 이해, 세 번째는 선교 훈련 담당자의 상담 관련 교육정도와 상담이해이다. 본 연구는 6개의 선교단체의 선교 훈련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하였으며, 1차적인 문헌 연구와 함께 면접 설문지를 통하여 각 선교단체 훈련 담당자와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선교단체들의 인간관계 훈련은 대체적으로 공식 훈련을 통해서 보다는 비공식적, 비형식적 훈련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국제 선교단체가 교단 선교단체보다 인간관계 훈련커리큘럼이 좀 더 정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은 6개 선교 단체 중 1개 국제 선교단체만이 유일하게 의사소통 공식 훈련이 있었으며, 1개 교단 선교단체와 1개 국제 선교단체에는 비형식 의사소통 훈련이 있었다. 셋째, 선교 단체가 지적하는 훈련 커리큘럼의 문제점은, 선교 훈련들이 주로 지적 훈련에 많이 치우쳐 있으며, 이론적 강의는 많지만, 타문화권 적응에 관한 실질적인 훈련들이 부족하다. 특히 선교 훈련의 문제점 중의 하나로서 실질적 선교 훈련을 위한 훈련 전문가와 상담훈련들이 부족하다고 조사되었다. 넷째, 선교단체에서 인식하고 있는 선교사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인간관계, 언어문제, 재정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다섯째, 선교사 스트레스에 관련하여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6개 선교단체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인간관계 갈등이라고 결론내리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스트레스 예방을 위하여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선교단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선교단체의 팀 사역의 애로사항은 인간관계 및 문화적, 언어적 차이 등을 이야기 하고 있고, 팀 사역을 위한 훈련으로는 팀웤, 리더십, 공동체 생활 등이 공통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일곱째, 팀 사역의 애로사항은 팀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 갈등이라고 하지만, 인간관계 갈등 및 팀웤 향상을 위해서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은 존재하지만,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은 이루어지고 있는 훈련단체들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6개 선교단체 모두 팀 사역을 위해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여덟번째, 선교 단체 훈련 담당자의 상담이해에서는 6개 선교단체 훈련 담당자 모두 상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선교단체 응답자들은 선교훈련에 있어 상담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팀 사역을 위해서, 인간관계 향상을 위해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것은 선교 훈련 담당자들의 상담 교육으로 인한 상담관련 교육의 필요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보여 진다. 아홉번째,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실시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종속변수를 살펴보면, 스트레스의 원인으로서 인간관계 갈등으로 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단체는 4 개 단체였다. 그리고 팀 사역의 애로사항을 예방하기 위해 위 프로그램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단체도 4개 단체나 되었다. 선교 훈련담당자의 상담이해가 프로그램 실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개 선교단체만 해당되었다. 따라서 한국 선교단체가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교사 훈련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커리큘럼을 실시하여 선교현장에서 일어나는 인간관계 갈등에 대한 예방책을 찾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선교사가 파송받기 전 선교훈련과정에서 개인의 신앙 성숙과 사역적 성숙을 위한 훈련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내적인 건강 및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상담 관련 교육이 많이 이루어져야하며, 특히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훈련 커리큘럼이 하루 속히 마련되어 시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 학교 주5일제 도입에 대비한 한국스카우트연맹 지도자훈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조남억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15932

        사회 안에서 청소년들이 올바른 성인으로 이행해 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을 통한 도덕적 능력함양이 요구되는데, 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로 청소년단체이다. 청소년단체활동은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활동프로그램, 활동터전, 활동지도자의 3가지 요소를 기본으로 이루어지는 체험 위주의 집단활동이다. 특히 청소년단체활동을 지도하는 지도자의 역량과 관심 정도에 따라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활동의 내용과 질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단체활동을 지도하는 지도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5일 근무(수업)제의 도입에 대비한 청소년단체활동지도자의 양적 확보와 질적 제고를 위한 지도자훈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첫째, 학교 주5일제 도입에 따른 청소년단체활동의 변화를 예상해 보고, 단체활동지도자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둘째, 청소년단체의 지도자양성 체계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현재의 청소년단체 지도자훈련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지도자 훈련을 중심으로 학교 주5일제 도입에 따른 청소년단체지도자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를 위한 지도자훈련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회원위주의 청소년단체들의 지도자 훈련체계에 대한 실태 분석을 실시하여 현행 훈련의 문제점을 도출해 보고, 한국스카우트연맹 지도자를 대상으로 훈련 개선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개선 방안으로는 현행과 같은 경직되고 기능위주의 훈련에서 수요자 중심의 훈련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특히 주5일제 시행과 함께 주말을 활용한 자기개발을 함께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자 훈련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In the society youth performed in upright adult needs to build moral characteristic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at's all carried out by youth organization activities. Youth organization activity is the group activity with experience which is based on the activity program, the activity facility and youth leader spontaneously in participation.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roup activity is the youth leader of all this activities because the youth leader's ability and the extent of concerning is decided to activity's contents and quality offering you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repared to know problems and research korea scout leaders-oriented to improve the plan about the leader training system of youth organization forming members in school. It is for improving the plan of youth leader's training which is quantitative secure and qualitative raise of youth organization activity's youth leader preparing introduction of five-day school system and to be certain to improve self-development in use in weekend with five-day school system.

      • Cogmed 작업기억훈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작업기억력 향상 및 미성취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김태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15918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의 작업기억력 향상과 미성취 중재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작업기억훈련인 CWMT(Cogmed Working Memory Training; 이하 Cogmed 훈련)의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영재학생들의 미성취 문제 중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 내용을 선정하고 진행하였다. 첫째, Cogmed 훈련이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작업기억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Cogmed 훈련의 코칭방법에 따른 작업기억력 향상 정도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셋째, Cogmed 훈련이 미성취 영재의 미성취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초등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 대하여 Cogmed 훈련의 미성취 중재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내 A초등학교 5학년 84명 중 지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IQ 120 이상(Gagné, 1998)인 영재학생들 중 지원자 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성취영재를 정의할 때 ‘지능검사 결과 8-9stanine의 수준이면서, 학교 성적은 지능검사 결과보다 3stanine이상 낮은 학습자’로 정의하는 Supplee(1990)의 정의를 기준으로 판별하였다.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작업기억력 향상을 위하여 한국판 Cogmed 훈련을 사용하였고, 훈련 대상자에게 주 5회, 총 25회기에 걸쳐 각 가정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훈련 참여 전·후 작업기억력 검사,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 변화와 학생, 학부모 면담을 통해 훈련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Cogmed 훈련이 작업기억력이 낮은 ADHD 및 학습장애 아동들 뿐 아니라 작업기억력이 우수한 초등영재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미성취영재의 작업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ogmed 훈련을 사용할 경우에는 개별코칭방법과 단체코칭방법이 모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단체코칭방법이 개별코칭방법보다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하고 훈련을 성실히 마치도록 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성취영재가 성취영재보다 작업기억력이 낮게 나타나 작업기억력과 관련한 문제가 미성취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Cogmed 훈련을 통해 미성취영재들의 작업기억력과 학업성적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Cogmed 훈련이 미성취 영재의 미성취 문제를 중재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하지만, 작업기억력이 향상되었음에도 학업성취능력이 하락한 사례도 관찰됨으로써, Cogmed 훈련의 미성취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하고, 훈련과정 속에서 작업기억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긍정적인 외적 요인에는 영향을 받고, 부정적인 외적 요인에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효과적인 코칭전략과 상담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개별코칭과 단체코칭 두 코칭방법에 의한 미성취 중재 효과에는 크게 차이가 없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나 단체성취를 통해 성취경험을 얻고 또래집단 친구들을 통해 의미있는 격려와 응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개별보상 외에도 단체보상을 통해 추가적인 훈련동기를 얻을 수 있는 등 단체코칭방법의 장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working memory and to intervene with underachievement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by applying Cogmed Working Memory Training(CWMT), a computer-based working memory training. The following set of contents were selected for research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suggest a plan to intervene with underachievement. First, the effects of CWMT on the improvement of working memory of underachieving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working memory between the two different coaching methods of CWMT were investigated. Third, the effects of CWMT on solving underachievement of the gifted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11 applicants who were gifted students with an IQ score of 120 or higher (Gagné, 1998) out of 84 fifth graders of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intervention effect of CWMT on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the underachieving gifted’ was defined and identified as 'learners who showed a level of 8-9 stanine in the IQ result, and whose school performances were 3 stanine or more lower than the IQ result' based on the definition of Supplee(1990). To improve working memory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CWMT was used and CWMT was conducted to trainees using a desktop computer at their home for 25 sessions (5 times a week) in total.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was explored by conducting working memory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articipation. Through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WM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working memory not only of students with ADHD or learning disabilities whose working memory were low, but also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both the individual coaching method and the group coaching method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working memory of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using CWMT, and especially the latter was more effective in encouraging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raining with joy and work hard until the end of the training. Third, it was found that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had lower working memory than achieving gifted students, suggesting that one of the causes of underachievement was related to working memory. Therefore, CWMT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program to intervene with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since working memor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improved through the training. However, long-term observation is required to observe the effect of CWMT as there were some cases where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of the students declined even though their working memory had been improved. In addition, it was also suggested that effective coaching and counseling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working memory during the training proces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only affected by positive external factors, not by negative external factors. Moreover,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 of underachievement of the two coaching methods, individual coaching and group coaching, but advantages of the group coaching method were found such as meaningful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peers, and group compensation as motivation through providing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