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중지능 유형별 퍼포먼스 미술활동 연구

        김효경 한세대학교 친환경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동들의 미술교육은 과거에 비해 질 높은 교육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아직도 기교위주의 교육이 중심이고 결과중심의 교육 방식이 아동들의 상상력 개발과 창의성 개발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이 계속 된다면 아동들은 미술활동에 흥미를 잃게 되고 즐거워서 하는 미술활동이 아니라 의무감에 어쩔 수 없이 하는 교육으로 전락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다중지능 이론과 퍼포먼스 미술활동에 근거를 두고 논하고자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하워드 가드너 박사가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전제하에 8가지의 다중지능 유형을 주장 했는데 각 다중지능 유형별로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분석 적용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지능을 고루 증진시키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미술교육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미술시간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가진 자기만의 강점지능을 발전시키고 모자란 능력을 보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아동 미술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통해 FGI를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생각이 연구자의 기대효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아동들이 미술활동을 할 때 꼭 잘 그린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활동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교육적으로 한 차원 발전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Art education for children has developed into quality education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its method focusing on techniques and results has a bad effect on developing their imaginations and creativities. Continuing such education makes them lose interest in art activities. Thus, they show the activities not with pleasure but with a sense of duty.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erformance art activity. For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Dr. Howard Gardner asserted eight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anyone had infinite ability. He analyzed and applied performance art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posed a new program for the art education aiming to evenly promote children's various intelligences and heighten their creativities. The purpose of the new program is to have children throw away the idea that they should perfect their resultants in art time, develop their own strong intelligenc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processes and complement their lacking abilitie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I made FGI(Focus Group Interview) to the sample group consisting of child art education experts. Analyzing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general idea of the group corresponded to the researcher's expectation effect. I see that art education has one-dimensionally developed significance if it enables all the children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not to have the oppressive feeling that they should produce masterpieces in art activities but to take pleasure in the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own abilities.

      • 영재와 일반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특성비교

        김주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비교하여 그 차이와 특성을 밝혀 다중지능이론의 영재 및 일반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에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활용가능성은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통해 검증되었다. 첫째, 언어영재, 수학·과학 영재, 일반 초등학생 각 집단에 따라 영역별 지능의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과 지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각 영역별 지능이 성별요인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영역별 지능과 성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지필식 다중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여 초등 언어영재 학생 및 수학·과학 영재 학생, 일반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 초등학생 각 집단별로 다중지능에서 자기이해지능을 제외한 7개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수학·과학 영재 학생 집단과 언어영재 집단이 자기이해지능을 제외한 다중지능 하위 영역에서 일반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각 영재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재집단이 일반학생에 비해 8가지 지능 모두에서 유의한 정도로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수학·과학 영재집단은 언어영재와 일반학생들에 비해 지능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재능한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두 영재집단의 대인관계지능이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 영재들이 지니고 있던 지적으로만 우수한 전형적인 영재가 아니라 리더로서 갖추어야할 높은 대인관계지능을 두루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의 특성(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과 성별에 따라 다중지능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 영역별 영재의 판별 및 교육과 일반학생의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학생의 잠재력과 특성에 맞도록 강점을 살리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ultiple intelligence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each oth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to utilize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education of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possibility to utilize was verified through largely two study issues. First, it was examine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lligence by area among the group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and intelligence.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intelligence by area varies with the factor of gend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by area and genders. For the purpose of the above study,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273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using written multiple intelligence examination test paper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sub-areas except for self-understanding intelligence between each of the group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is, the group of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the group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7 sub-areas except for self-understanding intellig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alented children and the groups of talent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the 8 kinds of intelligence. Especially, it was indicated that the group of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had higher intelligence quotients than languag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talents. Also, it was indicated that the human relations intelligences of the two groups of talented children were commonly high thus having high human relations intelligence that must be equipped as leaders unlike the talented children in the past who had been excellent only intellectually. This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o encourage strengths and supplement weaknesses in line with students' potentials and characteristics in planning the finding and education of talent children by area and education of general students since the distribu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are indicated to vary with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enders.

      • 아동의 다중지능 프로파일에 따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택성향 및 만족도 분석

        한소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에서 지적 능력만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적인 요구와 맞물려 볼 때,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 Theory)은 개인의 흥미, 적성, 능력을 중시한다는 측면에서 학습자의 잠재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학교 교육과정에도 나타나고 있다. 시간과 공간적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학교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없는 부분은 정규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방과후학교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사교육비 경감, 수요자 중심의 교육확대,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학교의 재구조화라는 정책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참여율은 2009년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경우 40%로 나타났다.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학교에 대한 참여율이 저조한 데에는, 수요자가 요구하는 것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가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학습자의 숨겨진 재능을 발견하여 그 재능을 더욱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아동이 가지고 있는 강점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아동의 강점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택의 일치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관내 A초등학교에서 현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4, 5, 6학년 총 111명의 아동들이다. 아동이 가지고 있는 강점지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습자용 MI 발달평가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구하기 위하여 방과후학교 운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선택 성향에 있어서 4학년에서 6학년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다중지능과 선택한 프로그램 영역의 일치 정도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주체가 본인이 되느냐 타인이 되느냐에 따라서 다중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영역의 일치 정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스스로 프로그램을 선택할 경우에 다중지능과 일치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학생의 다중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택의 일치여부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수업에 대한 흥미, 능력 계발에 대한 기대, 출석률과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동일한 학생이 다중지능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영역이 일치하는 수업과 불일치하는 수업을 모두 수강하고 있는 경우에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한 흥미 및 만족도에 있어서는 일치하는 수업을 들을 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다중지능과 일치하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영역을 선택했을 경우, 교육적인 효과 인식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중지능과 일치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선택에 앞서 학생들이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본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강정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이론의 타당성 을 검증하고 다중지능이론을 교육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의 타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스텐버그의 삼위일체이론을 비교하여 다중지능이론이 이론적으로 타당한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능이론의 중심인 지능에 관한 논쟁, 다중지능이론의 이론화에 대한 논쟁, 지능구조 등의 논쟁을 통하여 다중지능이론의 이론적 토양을 확장하고 결속시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다중지능이론은 그 틀이 완전히 규정되지 않은 이론적 한계점이 있었으나 실천적 측면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타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에 따 라 유아들을 중심으로 삼았던 프로젝트 접근법과 다중지능이론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가드너가 인식한 교육의 의미와 프로젝트 접근법, 그리고 프로젝트 접근법의 철학에 따른 다중지능이론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네 가지로 나누어서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에서 그 이론적 타당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이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에 타당하다는 것은 일률적인 학문영역에만 치중한 교육방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프로젝트 접근법이 요구하는 교육 방식과 다중지능이론이 요구하는 교육적 시사점이 같기 때문이다. 셋째, 프로젝트 접근법의 철학이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넷째, 프로젝트 접근법의 표상 및 표현활동을 통해서 다중지능이론의 지능 이론이 확대 재생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중지능이론은 언어 및 논리 · 수학적 지능 중심에서 벗어나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교육현장, 특히 유아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민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recognizing diversity and uniqueness of human ability claims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methods in the intelligence areas are effective because developed level of intelligence is different per each person. A man has an outstanding talent at least in a certain area and learning can be successful with a method using such talen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ffers a lot of education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learners' potentialities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hat effects the science classes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give to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can science classes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be developed and how can they be applied? Second, how do the science classes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influence the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aries distributed to 55 students of 4th grade in 2 classes of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 County, Seosan City, Choongchung Namdo Province. The science clas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was adopted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surveys on the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stude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ose science classes. 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nsidering the groups as fixed factor, the result of pre-test for science studies ability as covariate, the result of post-test for the same as dependent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was developed in a form of ‘Separate Approach,’ in which the learners carried out the activities related with one specific intelligence or with one intelligence, or with more than two intelligence for two chapters selected from the science study in the second semester for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s an individual or as groups. The approach is expected to be adequately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cience studies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er's intelligence. Second, the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gave significant effect to the improvement of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F=9.347, p<.05). The result presents that the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in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because the students in the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could understand the details of what they were learning through their excellent intelligence area like poem, painting, song, role play, mind-map, graphs, cooperative projects, browsing patterns and etc., and they carried out the science studies activities utiliz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as comparing and interpreting various data. Third, the result from researching each element of the science studies ability shows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basic studies ability(F=6.426, p<.05), especially, in the areas of classification(F=7.346, p<.05) and reasoning(F=17.400, p<.05). This was because the two chapter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mainly consisted of learning contents as observation, communication, reasoning, classification and etc.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science classes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on students' integrated studies a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tudies ability (F=7.346, p>.05). This is because the selected chapters for the science classes contained rather less activities related to the integrated studies elements than the basic studies elements, and because the types of science learning activities that students selected might not have much related to the integrated studies elements. Fifth, the result from researching each element of the integrated studies ability shows tha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data conversion(F=4.185, p<.05). This is because there might be a lot of data conversion activities stating about things or phenomena in a way taking specific activity or observation. Sixth, researc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students who hold spatial intelligence(F=6.496, p<.05). Spatial intelligence is an intelligence which appears in a good blend of spatial memory, spatial creativity, a keen visual skills, visual memory, visual imagination. And we assume that the science class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r related activities properly stimulating spatial intelligence resulted in such positive effect on science studies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the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in a form of ‘Separate Approach,’ in which the learners carried out the activities related with one specific intelligence or with one intelligence, or with more than two intelligence as an individual or as group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science clas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in science studie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s an effec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asic studies ability. In addition,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specially who hold spatial intelligence among multiple intelligence. 인간 능력의 다양성과 독특성을 인정하는 다중지능이론은 사람마다 발달한 지능이 다르므로 다양한 지능영역의 방법으로 학습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모든 사람은 최소한 하나의 특정 분야에 남다른 재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재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가르치면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다중지능이론은 학습자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의 개발과 적용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둘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시 I면 소재 I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5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과학수업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집단을 모수요인으로 하고 사전과학탐구능력 결과를 공변량으로, 사후과학탐구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 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과 2개 단원 11차시를 선정하여, 특정 지능이나 한 가지 지능, 두 가지 이상의 지능이 관련된 활동을 시작하고, 수업 종료 시까지 개인이나 모둠별로 특정 지능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게 하는 ‘분리형 접근(Separate Approach)’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학습자의 지능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의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F=9.347, p<.05). 이 결과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학생들이 다중지능 과학수업을 하면서 학습내용을 시, 그림, 노래, 역할극, 마인드맵, 그래프, 협동 프로젝트, 패턴 탐색 등 학습자 자신이 선호하는 우수 지능 영역을 통해 학습 내용을 자세히 이해하였고, 여러 가지 자료를 비교하고 해석하는 등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탐구활동 수행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과학탐구능력의 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기초탐구능력의 신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F=6.426, p<.05), 기초탐구능력 요소 중 분류(F=7.346, p<.05)와 추리(F=17.400, p<.05)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2개 단원이 관찰, 의사소통, 추리, 분류등 기초탐구과정과 관련된 학습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넷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통합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합탐구능력의 신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7.346, p>.05). 이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의 선정 단원이 기초탐구요소의 활동보다 통합탐구요소의 활동이 다소 적었고, 학생들이 선택한 다중지능 과학학습 활동 유형에 통합탐구요소와 관련된 활동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통합탐구능력 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자료변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185, p<.05). 이 결과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 중에 사물·사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활동 할 수 있거나 관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술하는 자료변환의 활동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여섯째, 다중지능별로 살펴본 결과 공간적 지능이 우수한 학생들에서 과학탐구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6.496, p<.05). 공간적 지능은 공간적 기억력, 공간적 창의성, 예민한 시각능력, 시각적 기억력, 시각적 상상력등이 잘 조화되어 나타나는 지능이므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 내용이나 활동에서 공간적 지능을 자극하는 활동이 적절히 이루어져 과학탐구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고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특정 지능이나 한 가지 지능이나 두 가지 이상의 관련된 활동을 시작하고, 수업 종료시까지 개인이나 모둠별로 특정 지능과 관련된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분리형 접근(Separate Approach)’ 형태로 개발·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의 신장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고, 과학탐구능력 요소 기초탐구능력의 신장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다중지능요소 중 공간적 지능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북 아트 활용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전승희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21st century when societal aspects becomes diversified and complicated, fragmented knowledge is no longer effective in coping with the society in change. Therefore, institutional education should also be geared toward fostering comprehensive knowledge. School education by today has uniformly emphasized on the cultivation of linguistic and mathematical abilities, while discounting the learners' various demands. In this respect, Howard Gar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comes out significant to official education in Korea. The method of project approach appears as the best way to apply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 project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serves to develop a child's various intelligences and reinforce his/her learning desire by linking diverse learning activities to each other. This study proposes book art design in which comprehensive expressive activities in art class are linked to other courses of study as a practical way of comprehensive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probe the way of comprehensive art education in the expression of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project approach derived from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Despite the imperative that in art education the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processes should be taught as an organic whole, actual art classes tend to focus on artistic expression that has little to do artistic creativity. This study maintains that book art can be utilized as a wa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what is learned through the project activities, and that the exhibition of the students' works offers the chance for appreciation and self-reflection. It is to show that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hould not be divided but combined to realize comprehensive art education. The theoretical review includes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method of project approach; regarding book art design,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usage of book art are to be examined. In addition, the review section examines the need of comprehensive education in art, particularly in book art. It also discusses the need and educational effects of comprehensive book-art education by reviewing the foreign examples of book art education. Moreover,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n which a syllabus for book art activity based on the project approach of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r 11 times. In the classe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were made to form several learning groups, which promp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Rainbow Fish, a fairy tale popular among children, was assigned as the subject for book art to the students who, in turn, conducted group activities with the given subject. Book art was used as a learning method by which to review what was learned through the group activitie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After each of the eleven classes, the students' works were exhibited for the viewing of others. The analyses of the students' works and the questionnaire asked to the class participants have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roup project activities helped the children to relax and enact their imaginative faculty to the fullest extent. As a result,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book art class. Second, the art class that utilized book art provided the chance for the students who were lack of expressive faculty to feel excited about creating something on his/her own and to have self-confidence an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fter the class. Third, the scope of expressive activities was enlarged though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ve methods. It was also confirmed that drawing, handcrafting, and writing serve to improve the students' expressive faculty when they are mobilized together. The students were overall excited and participative about the new type of class. It is desir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augment and transform diverse educational methods while designing new ones to realize the cultivation of whole personality, the ultimate goal of our institutional education. In this sense,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is to be followed by succeeding researches to deepen the original educational intent and develop other practical methods. 사회현상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해가는 21세기에 단편적인 지식 습득으로는 사회에 적응 할 수가 없다. 따라서 교육도 통합을 촉진해주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학교교육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는 무시한 채 획일화된 교육과정으로 언어적 능력과 수리적 능력에만 치중해 왔다. 이에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우리나라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학습방법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들 수 있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다중지능의 여러 가지 학습활동과 자유롭게 연결시킴으로서 아동의 다양한 지능의 계발이 가능하고 학습욕구를 강화시킨다. 본 연구자는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미술을 중점으로 통합적 표현활동과 다른 교과와 통합시키려는 교육방법에 접근하고자 한 방법으로 북 아트 제작을 활용하여 수업의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방법적인 면으로 하고 학습표현에 있어서 북 아트를 활용하여 통합적인 미술교육의 지도가 가능하다고 보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술교육에서 이해와 표현, 감상은 통합적으로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으면서 지도되어야 하는데 교육현장에서 미술과는 대부분 창의력과는 무관한 표현위주의 수업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활동으로 배운 학습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으로 북 아트를 활용하였으며 전시를 통한 감상으로 자기반성을 할 수 있다. 즉 이해, 표현, 감상이 서로 분리되어 교육이 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되어 교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연구로는 먼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해 이해하고 북 아트 제작과 관련하여 북 아트의 개념, 특징, 활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육과 북 아트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 어린이 북 아트 교육 해외사례를 통해 미술교육에서 북 아트의 통합지도 당위성과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중지능을 기초한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북 아트 활동 수업지도안을 계획, 작성하여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총 11차시에 걸쳐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초등학교1, 2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는 모둠별 협동학습 형태로 상호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였고, 아동들에게 친숙하고 쉬운 주제로 접근하고자 인기 동화책인 ‘무지개 물고기’를 주제로 선정하고 주제망을 짰으며 아동들이 흥미 있어 하는 소주제 나눠 프로젝트 활동을 하였다. 이를 통해 배운 학습과 자료를 정리하고자 하는 학습방법으로 북 아트 제작을 활용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에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전시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결과 작품과 설문지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모둠별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긴장을 해소하고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둘째, 북 아트를 통한 미술수업은 표현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자신이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든다는 기대감을 갖게 하고 수업 후에도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다양한 재료와 표현방법으로 표현활동이 향상되었다. 그리기, 만들기, 쓰기 활동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새로 접하는 수업에 있어서 흥미로워 하였고 관심도가 높았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수업지도방안 연구를 계속적으로 보완, 수정하여 우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전인적 인간으로써 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본 연구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심층적이며 발전적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 다중지능 이론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물다양성 소양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생물 다양성의 위협을 이겨내기 위해, 다중지능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을 통해 생물 다양성 소양을 개선하는 것으로써 연구 목적으로는 첫째, 초등학교 6학년 수준에서 관련단원의 생물 다양성 소양에 관한 요소를 추출 하고, 둘째, 초등학생들의 수준에서 다중지능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개발 하고, 셋째, 다중지능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는 것이다 연구의 실행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중 지능이론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은 생물 다양성의 소양을 지식, 인식, 태도로 구분할 때에, 지식보다는 인식과, 태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체험 활동 위주로 구안 하는 것 보다는 지식, 인식, 태도가 고르게 개선 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구조화 하여 제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는 생물 다양성 소양을 환경 교육의 종속 변인으로 제시한 의미가 있으며, 다중 지능 이론을 이용한 환경프로그램이 실제로 생물 다양성 소양에 종합적으로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언으로는 다중지능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이 좀 더 단계적으로 세분화 되고, 초등 과정 전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지도 될 수 있다면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necessity of this study lies in improving the elementary knowledge of bio diversity through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o get over the threats of bio-diversity with a view to the following: First, to extract elements relevant to a grounding in bio diversity in lessons related to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o plan and develop the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suitable for elementary students; Third, to apply the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o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 the results to deriv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s. When the grounding in bio diversity is divided into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the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could have influence more on awareness and attitude rather than knowledge. Also, it is more efficient to present the programs by structuring them step by step to improve the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evenly rather than by planning them based on experience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a grounding in bio diversity as a dependent variab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demonstrates that the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re practically effective on a grounding in bio diversity comprehensively.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prove more effective if they are divided more specifically and constantly taught throughout the entire elementary course.

      • 다중지능 기반 이야기 활용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은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7년, 초등영어교과가 정규교과로 자리 잡은 이후,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의 증대로 인한 영어 학습격차 확대, 영어 수업 결손의 누적 및 학습 내용의 어려움 등으로 많은 수의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이 발생하고 있다. 영어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고려해 지도하는 방법으로 다중지능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 활용 수업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다중지능 기반 이야기 활용 수업은 학생 개개인의 지능 프로파일을 최대한 이해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학생들의 강점 지능에 알맞은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 학습에 흥미를 잃은 매우 낮은 학업성취도의 학생들을 영어 학습부진학생으로 보고, 그들을 위한 지도방법으로 다중지능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 활용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들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중지능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 활용 수업이 영어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다중지능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 활용 수업이 영어 학습부진학생의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서울 J초등학교 5학년 영어 학습부진학생 7명(남 5명, 여 2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를 통해 개별 학생들의 다중지능 성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수업 실시 초반에는 연구 대상 학생들의 강점 지능 위주의 이야기 활용 수업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후반부에는 학생들의 약점 지능 위주의 이야기 활용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수업 사전·사후 읽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실시하여 양적으로 비교·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수업소감문과 학생 및 담임교사, 영어 교과전담교사, 부진아교실 강사를 대상으로 한 사후 면담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관찰 일지를 수집·활용하여 자료 분석 내용을 보완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기반 이야기 활용 수업은 영어 학습부진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처음에는 알파벳을 인식하고 단어를 읽는 것조차 어려워하던 학습부진학생들도 실험수업 후 소리 내어 읽기 능력 검사 및 의미파악능력 검사에서 유의미한 발전을 보였다. 또한 단어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예전에는 몰라보던 단어를 알아보게 되었고, 학습과정에서 접하는 단어를 실생활과 연관 짓는 모습도 목격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발전했다. 흥미도, 자신감과 같은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의 사전·사후검사 분석 결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자신감과 불안감 수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양하고 반복적인 다중지능 활동을 통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타 교과와의 상승작용으로 학습효과가 향상되었다. 영어 학습을 하며 느꼈던 학습의 즐거움이 다른 교과 학습에도 전이되어 전반적으로 학습에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국어 학습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자신의 강점 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영어 학습의 즐거움을 인지하게 되었다. The number of students have failed to learn English provided from their elementary schools every year, due to the increased numbers in private educational study. Based on the understandings from students who are struggling to learn English, the story based classes are developed from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s a wa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terests and needs of the students it is being applied to. Multiple intelligence based story-using classes are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tudents’ individual intelligence profile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study, students with very low academic achievement who has los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were regarded as poor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how does using stories in lesson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ffect English reading ability of poor English learners? Second, how does using stories in lesson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ffect the English learning attitude of these poor English learners? For this study, the multiple intelligence test were conducted on 7 students(5 males and 2 females) who struggled in learning English in the fifth grade of Seoul J Elementary School.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strength intelligence based on using story classes have been applied. 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study, weakness intelligence based on using story classes were applied. In addition, a quantitative comparis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classroom like post-reading ability, post-interview materials for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intelligence based using stories in clas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poor English language learning skills. In the beginning, the students who had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alphabet and reading the word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 Secondly, the English learning attitude developed positively. Attitudes such a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learning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in learning English was improved through various and repetitive multiple intelligence activities. The pleasure of learning English was transferred to other subjects such as the Korean language.

      • 다중지능을 활용한 특기·적성 교육의 효과 분석

        박성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기·적성교육은 1996년 2월 『방과 후 교육활동 활성화 방안』 이란 구체적인 사업으로 일선학교에서 시작하여 1999년 2월 4일부터 특기·적성교육이란 명칭으로 변경, 시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외형적인 발전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도 질적인 발전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체계적인 운영을 통하여 질적 항상 방법을 모색하고, 학생들의 특기·적성교육활동을 다중지능과 접목하여 보았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 활동이 다중지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둘째, 부서관련 다중지능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특기·적성교육 부서의 다중지능을 향상 시키는가? 셋째, 부서관련 다중지능 수업전략 후 다중지능이 학생들의 강점지능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다중지능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이를 위한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체계적인 운영 방법 모색하였다. 체계적인 운영 방법으로는 우수한 강사 선정, 협조 교사와의 상호작용, 매달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상황 점검을 통한 강사관리, 학생의 사후관리, 가정과의 연계적인 지도, 다양한 표현 기회 마련, 특기·적성교육 활동과 연계한 진로지도를 하였다. 둘째, 학생의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키고자 부서관련 다중지능 수업전략을 통한 수업방법을 구안 적용하였다. 다중지능 이해와 다중지능 수업전략을 위한 꾸준한 강사 연수, 학생의 다중지능 검사 및 자신의 프로파일 인식, 자신의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에 따른 부서 선택 안내, 부서관련 다중지능 수업 전략을 적응하였으며, 이 연구의 수행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동안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한 후 다중지능의 변화를 전 후 비교한 결과 대인관계지능과 개인이해지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둘째, 부서별 성격에 맞는 다중지능 교수 전략은 논리수학지능과 언어지능을 제외한 다른 지능을 향상 시켰다. 셋째, 학습자의 강점지능의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났다. 1) 논리수학지능 관련부서에서는 언어지능이 보다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음악지능 관련부서에서는 대인관계지능과 언어지능이 보다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간지능 관련 부서에서는 자연탐구지능, 대인관계지능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언어지능 관련 부서에서는 공간지능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기·적성교육 활동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기능만을 신장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그 기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부서지능과 관련된 수업전략을 활용한 수업, 학교에서의 특기·적성교육의 관심 등으로 특기·적성강사들의 지도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 부서가 없어서 연구에 포함하지 못했던 대인 관계지능 관련부서와 자연탐구지능 관련부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객관적인 사후평가를 통하여 다중지능의 유형에 따른 특기 신장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효과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에서도 필요하다. Talent-aptitude education first started in February, 1996 with the name of "Active After School Education," which changed to "Talent-aptitude education" on February 4, 1996 and has continued remained the same since then. Within 10 years, there was an external improvement,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researched the ways to improve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n systematic administration, and the advantages when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and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are connected.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his research study focused on : First, what effect do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have on multiple intelligence? Second, do the different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mprove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Third, after doing the different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s there a different reaction on each student's strongest form of intelligence? Fourth, does the multiple intelligence lesson strategy help students' study attitudes? The following shows the steps of this study. First, strategies for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to have internal improvement on talent-aptitude education were found.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s strategies included : picking talented teachers ; each teacher 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checking on talent-aptitude education every month, students checking on themselves, having education connected to students' homes, making many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t their feelings out, and having a related lesson on talent-aptitude education with students' path. Second, different multiple intelligence in lessons were used to improve students' potential abilities. Understanding and having multiple intelligence lessons and continued teacher training, checking on-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and making sure they realize their ability and helped students eta choose lessons on their strong intelligence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 First, when comparing the change of multiple intelligence before and after doing talent-aptitude education for one year,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dividual-understanding intelligence had changed positively. Second, the different multiple intelligence methods improved intelligence except for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Third, there was different effect on different students' strong intelligence. 1)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ctivities had high relationships with linguistic intelligence. 2) Musical intelligence, activities had high relationships with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3) Spatial intelligence activities has high relationships with naturalist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4) Linguistic intelligence ; activities had high relationships with spatial intelligence. Fourth,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gave a positive change on students' study attitudes Not only it was an education that improved students' skills, but it also involved various activities to improve their intelligence, and it had interests on talent-aptitude education which led positive influence .to student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suggestion with later research. First, there needs to be more research on interpersonal intelligence activities and naturalist intelligence. Second, based on the conclusion. it's already there there to be more research that goes in deeper on the study Third, Effective study on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need not only on view of multiple intelligence but also on other perspective.

      • 고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윤인리 연세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chool achievements By analyzing these relationships, the study explores the ways to promote the environment for balanced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eir improvement of school achievements, and better career choice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For the survey, 155 students ( 77 males and 75 females) were questioned to reply all questionnaires. The test instruments are including Multiple Intelligence Scale, Creativity Test, and Trial Examination For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Multiple intelligence consists of 8 sub-scales: musical, bodily-kinesthetic, logical-mathematical, spatial, linguis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naturalist. Creativity includes 3 sub-scales such as flexibility, fluency, and originality. For th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re used.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chool achievement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found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chool achievements. La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chool achievement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ree factors (multiple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chool achievements) are positively correlating to one another, and school achievements are affected by the other tow factors. Therefore, in the light of educational goal, with an effort to develop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teachers in the school scenes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potentiality for study and other activities. Furthermore, this kind of assistance to students will pave the way for their good choice of future career. 본 연구는 새로운 지능의 개념인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다중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조화로운 발달과 학업성취 그리고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는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52명(남77명, 여75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로 다중지능검사와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전국연합모의수능고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다중지능에는 음악, 신체운동, 논리수학, 공간, 언어,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지능이 포함되고, 창의성에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는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둘째, 고등학생의 다중지능 수준에 따라 창의성에 유의할 것이다. 셋째, 고등학생의 다중지능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할 것이다. 넷째, 고등학생의 창의성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할 것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이용된 통계치는 Pearson 상관계수와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 MANOVA)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둘째, 다중지능 수준에 따라 창의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셋째, 다중지능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넷째, 창의성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다중지능과 창의성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현장에서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창의성을 발달시키면 학습자의 전반적인 학습능력이나 기능들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성과 재능에 알맞은 진로를 선택하게 도울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