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중고 학생들의 다문화인식과 사회복지실천

        서아름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다문화 가정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배경에서 자녀들에게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일반 가정 자녀들이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대한 영향들을 알아보고자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인식의 영향을 알아보고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에 청소년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구성원으로 당당할 수 있도록 다문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양육태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형식적 다문화 경험으로 분류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우선 일반 가정 청소년들이 부모의 양육태도, 비형식적, 형식적 경험에 의해 다문화 인식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다문화적 인식과 타문화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쳤고 경험을 많이 한 집단의 인식이 높았다. 넷째, 형식적 다문화를 경험인 다문화 교육은 문화적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로 볼 때 그들을 위한 인식개선 및 편견해소가 필요하며 글들에게 주변인이 아닌 한국 주류 집단의 일원으로 인식해야할 것이다. 한국사회 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말고 잠재력을 개발시켜줘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 기관 네트워크 형성으로 문화적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이 반복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 다문화인과의 접촉 경험을 통해 나타난 한국인의 인식변화와 그 조건요인에 관한 연구

        장지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recognition change that occurred after Koreans working in an occupation group that multicultural persons have frequent contacts with by comparing it with their previous recognition that was formed before they had contacts with multicultural persons, identify concrete conditioning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recognition change, and to reexamin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rough it. In this research, in an effort to examine the change of recognition that Koreans had before they had contacts with multicultural person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y formed after they had contacts and to identify conditioning factors that helped bring about the recognition change, two research topics have been setup. First, 'What kind of change is there between the recognition that Koreans had before they had contacts with multicultural persons and the recognition that they formed after they had contacts?'. Second, ‘What are the conditioning factors of the recognition change that appeared after Koreans had contacts with multicultural persons?' As a research method to concentrate on conditioning factors of change which is the core of this researc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hosen, and as research technique interview was used. As for research participants, of Korean nationality adults who have Korean parents, 5 persons who had contacts with multicultural persons have been selected as targ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s recognition of the word 'multiculture' and its change were identified. Second, Korean's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persons and its change were identified. Conditioning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recognition change that appeared after this kind of contac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is equal status. Second is common goal. Third is support for authority, law, and custom. Intervention of a leader (mediator) in this kind of necessary conditions constitutes sufficient conditions. Combining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is contact programs that are implemented in equal status. The point is to make opposite party recognize that Koreans and multicultural persons are in horizontal relationship. If we have drawn hitherto a picture of respect through a senior person to me, from now on it would be necessary to draw a picture of respect through our peers and friends. Second is contact programs that are implemented with a common goal. Koreans and multicultural persons can run a certain distance in pairs, make joint efforts to accomplish a dream or pass a test, setup a common aim by sharing lacking portions and help each other to accomplish it together. This can be connected to programs that require cooperation between groups. Third is contact program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groups. Time for cooperation can be made through sports. Make teams by mixing Koreans and multicultural persons together, so that each person can enjoy the sports he or she is interested in. Fourth is contact programs through support for authority, law, or custom. This is appropriate for adult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contact programs to families that are planning an international marriage. Gather parents of the family that is planning an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prospective couple together and make them have time to learn the culture of the marriage immigrant's country. Education of teachers is also necessary. Have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 in a program together. Conducting a program in equal status would be difficult, but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Koreans and multicultural persons make something together or play a sports game with a common goal. Keyword: Recognition of multicultures, contact, recognition change 이 연구는 다문화인이 자주 접하게 되는 직업군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다문화인과 접촉하기 전에 가지고 있던 인식과 접촉 후 생긴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인식 변화에 영향을 준 구체적 조건요인을 밝힘으로써 그 요인을 통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이 다문화인과의 접촉 전에 가지고 있던 인식과 접촉 후 가지게 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인식 변화에 영향을 준 조건요인을 살펴보고자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인이 다문화인과의 접촉 전에 가지고 있던 인식과 접촉 후 가지게 된 인식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둘째, ‘한국인의 다문화인과 접촉 후 나타난 인식 변화의 조건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핵심인 변화 조건요인에 집중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고 연구 기법으로 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한국인 부모를 둔 한국 국적의 성인들 가운데 다문화인과의 접촉을 한 다섯 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문화’라는 단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인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접촉 후 나타난 인식 변화에 영향을 준 조건요인은 세 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평등한 지위이다. 둘째, 공통의 목표들이다. 셋째, 권위․법․관습의 지원이다. 이러한 필요조건에 지도자(중개자)가 개입함으로써 충분조건을 이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평등한 지위 안에서 이루어지는 접촉 프로그램이다. 수평적 관계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동안 나보다 연상의 인물을 통해 존경의 그림을 그려왔다면 또래나 친구를 통해 존경의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접촉 프로그램이다. 한국인과 다문화인이 짝을 이루어 일정한 거리를 완주하거나 시험이나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들을 함께 하고 서로 부족한 부분들을 공유해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집단 간의 협동을 요하는 프로그램과도 연결되겠다. 셋째, 집단 간 협동을 통한 접촉 프로그램이다. 운동을 통한 협동의 시간을 만든다. 한국인과 다문화인을 적절히 섞어 팀을 이루어 각자가 흥미를 가지고 있는 운동을 하도록 한다. 넷째, 권위․법․관습의 지원을 통한 접촉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성인교육에 적합하다. 우선, 국제결혼을 하는 가정에게 접촉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국제결혼을 앞둔 가정의 부모님과 당사자가 모여 결혼이민자의 출신국가 문화를 배우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또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교사와 학생이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좋겠다. 평등한 지위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는 없지만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만들기를 하거나 운동을 하면서 교감할 수 있다. 핵심되는 말 : 다문화인식, 접촉, 인식변화

      •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Multicultural population including children through multicultural population influx has increased. Together with this, new cultures come and interact with the original culture, thus causing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 became important. Following this, th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t school,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using of creativity experiment activity time, teaching learning method, teacher’s burden, etc. These cases bring the author of this research comes to an idea to perform multicultural education during the general academic class time so the process can be more effectively carried, and do the study about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 on 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what form doe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can be implemented?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ware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solve the problem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were introduced in 14 sess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extbooks focusing in language teaching were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The changing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awareness results, showed to b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 averag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in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an be seen. From this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is prove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enhancement. Second, critical thinking skill analysis tes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increased average scores in experimental group’s pre and post-test’s results. Moreover, after the program being introduced, the critical thinking skill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the sub elements, all showed increasing trend in the average improvement. From thes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textbook is seen to have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the students. Thir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students’ activity paper and class impression showed results that students have interest and concern toward various cultures and have commitment to respect them. It can be seen that the students want to learn others’ opinion and have initiative to tell their own opinions through active, subjective, and vigorou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language textbook has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result is suggest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ing applied in regular academic class and can be utilize together with the academic goal. In the future, more researches involving various grade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using various subjects to appl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re suggested. *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critical thinking 다문화인구유입으로 다문화아동을 포함한 다문화 인구가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고 기존의 문화도 변화를 겪게 되어 자연스럽게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시되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한 다문화 교육은 시간 운영,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교수 부담 등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면 더 실천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어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가?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다문화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력은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14회의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중심의 국어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과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정규 교과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의 다문화 인식 비교 결과, 실험집단의 다문화 인식의 평균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도 다문화 인식의 모든 항목에 있어 평균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서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기능 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분석 결과도 비판적 사고기능의 항목에 있어 평균의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 분석 결과 프로그램 투입 후 모든 항목의 평균이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각 항목에 있어 일부 하위 요소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평균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생들의 활동지와 수업소감문을 통한 질적분석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고 존중해야겠다는 다짐을 보였으며, 친구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과정 속에 건전한 회의성, 객관성, 철저성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과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교과 목표 달성과 함께 다문화 교육 목표 달성도 이룰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이 연구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다문화교육의 아이디어를 제공한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초등학교의 다양한 학년과 중·고등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다양한 과목에 적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경찰공무원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고은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은 1990년대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등의 유입과 함께 본격적으로 다문화시대를 맞이하였다. 이후 국제적 지위 향상과 취업·교육 등의 다양한 이유로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가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다문화현상이 빠르게 확대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관련 부처에서 다문화 관련 정책과 제도를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다문화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각은 부정적인 의미로 왜곡된 경향이 있으며, 다문화가정을 비롯한 외국이주민들은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서 다양한 문제점에 노출되어있는 실정이다. 경찰공무원은 치안서비스의 핵심주체로서, 이와 같은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치안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사회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른 인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경찰공무원의 다문화인식의 수준이 치안정책을 계획하고 집행하는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의 경찰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경찰공무원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사회에서 경찰조직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에 대한 개념과 실태 및 경찰과 다문화의 현황과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경찰공무원으로서, 총 4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결측치가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 총 32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모형을 설계하기 위하여 기존의 다문화사회 관련 인식연구들을 검토한 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변수들 중 본 연구의 취지와 부합한 변수들을 채택하였고, 가급적 독립변수를 단순화하여 간단명료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거주지역, 결혼여부), 직무적 특성(임용과정, 경찰계급, 근무기간, 근무환경, 업무특성), 경험적 특성(해외여행·연수, 교육이수, 활동참여 등 직접경험, 간접경험) 3가지를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각 하위요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변수로는 연령, 학력, 계급, 임용과정, 근무기간, 개인의 관심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활동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첫째, 계급이나 부서 등 대상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방법을 집단별로 차별화하여야 한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정형성이 미미한 만큼 대상을 세분화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경찰공무원의 연령, 학력, 임용과정, 근무기간 등에 따라 대상을 세분화하고, 각각 특성을 파악한 뒤 해당 집단에 특화된 다문화 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보다 효과적으로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문화사회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이나, 다문화 경험 및 교류활동 등 기회를 마련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국제회의나 포럼 등의 행사 참석이나 해외연수, 공무여행 등을 통해 다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연구를 통해 경찰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경찰의 다문화정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사상 초유의 감염증 사태를 맞아 대면접촉이 최소화되어 설문조사에 제약이 많았고, 심층면접의 부재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기 때문에 본 연구가 경찰조직 전체 의견을 일반화하지 못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경찰의 특성을 세분화하여 다문화사회에서의 경찰활동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길 바라며, 궁극적으로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로의 안정적인 정착에 기여할 수 있는 경찰조직으로 발전하기를 바란다.

      • 은유와 자서전적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인식 연구

        이정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인식은 교육 대상자인 유아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토대로 수집된 자료를 은유와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은 그들의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생긴 다양한 경험이 누적되어 인지적으로 구조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통해 구조화된 유아교사들의 은유분석은, 그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자신만의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해 일관성 없던 경험에 대해 일관성을 구축하여 은유에서 드러나는 신념을 상호간에 연결시키고 연관된 시스템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Pinar의 자서전적 방법을 통해 유아교사들이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그것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만의 실천적인 지식으로 구성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 분석을 통해 알아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서전적 분석을 통해 알아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은유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총 276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은 ∼이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을 완성한 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를 파악하였다. 조사된 은유 표현과 근거는 은유분석절차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범주화 하였으며, 각 각의 범주별로 자서전적 분석 대상자를 선정해 은유범주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문제와 연구 배경을 기반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총 276개로 선행연구와 예비연구를 참고하여 6개의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사회적 당위성’, ‘조화와 통합’, ‘이해와 배려’, ‘사회적 과제’, ‘다양성의 공준’, 교사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중 논의 대상자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근원영역을 고찰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에서 부각되고 은폐된 것을 분석하여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은유분석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인식이라는 주제에 대해 유아교사들의 삶의 경험을 은유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로 유아교사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현장에서 갖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생각과 감정, 요구를 알리는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그동안 다문화교육에서 다루지 않았던 다문화교육에서 다루지 않았던 은유와 자서전적 분석의 상관관계를 다뤘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연구 결과 나타난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제적 실행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중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재외동포 '고려인'을 소재로 활용-

        조민성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프로그램의 개발의 목적은 고려인을 소재로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프로그램을 개발 하기에 앞서 다문화교육과 고려인 재외동포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자료를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목표와 내용체계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설계 이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G중학교 3학년 2학급, W중학교 2학년 6학급으로 총 177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4∼18일까지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다문화인식 검사지, 활동지, 교사일지, 프로그램 이해도 및 만족도, 학생 면담을 시행하였으며 효과성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을 시행 후 학생들의 활동지와 교사일지, 프로그램 이해도 및 만족도,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재외동포 고려인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게 되었고, 이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이주배경 주민들에 대한 지식이 확장되었다. 더불어 이주배경 주민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그들의 관점에서 다문화 사회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있었다. 더불어 이주배경 주민들의 문제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실천 의지를 보였다. 다문화인식 검사지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수업 전·후 다문화인식 함양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다문화인식 검사를 실시한 후 다문화인식 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다문화인식 3가지 하위 요소별 점수가 p<0.0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향후 중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효과적인 방안들을 제시하는 의미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수준과 난이도에 맞추어 수업자료를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중학생에게 맞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방향성을 정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려인을 소재로 활용하여 중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는 점과 직접 전체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이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다문화수업을 하는 것에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더 많은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design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aking Goryeo people as a them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First,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verseas Goryeo people to construct goals and content system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after the program was designed, the researcher implemented this program from July 4th to 18th, 2022, for a total of 177 students in two classes in the third grade of G Middle School and six classes in the second grade of W Middle School in Daegu. The verific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conducted through pre- and post-multicultural awareness tests, activity journals, teacher journals, examinations for program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nd student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activity sheets, teacher journals, program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results, and interview data analysis results after this program also showed that this program effectively fostered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overseas Koreans and expanded their knowledge of various types of migrant backgrounds. In addition to improving awareness about migrant residen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empathy for multicultural social problems from their perspective also increased. In addition, students showed a willingness to practice that they would pay attention to the issues of migrant residents. The resul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ests showed that th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significantly changed from the pre-test to the post-te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hange in multicultural recogni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an paired sample t-test using the SPSS program.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ub-elemen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creased at the p<0.001 level. To develop an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reflecting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 class materials must be reconstructed to meet students' cognitive levels. Second, data that may be of interest to students should be used.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set clear and tangible goals and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ised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Goryeo people as a theme, conducte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 program's effectiveness. It is hoped that teachers will use this program meaningfully for multicultural classes at school and that this program will help develop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 방안에 대한 통합연구

        황재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현재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와 종교차원의 다양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개신교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종교 교육의 개념을 결합한 다문화 종교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때 다문화 교육의 주체인 목회자의 올바른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교육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 의하면 목회자의 경우, 부정적인 다문화인식을 갖고 있는 목회자가 다수 존재하였고,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정의 역시 동화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목회자가 다수 존재하였다. 따라서 목회자로 하여금 올바른 다문화인식 형성을 도울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의 대안이 목회자 양성단계에서의 다문화 교육이다. 즉, 예비목회자들이 올바른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교육 역량을 가진 목회자가 될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통합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다문화 교육 역량이라 할 수 있는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현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 효능감 증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논문을 6장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으며, 연구 내용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연구자의 연구 동기와 용어의 정의를 기술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노력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한국사회 구성원의 다양성’,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인의 성경적 이해’와 같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사회 구성원의 다양성’에서는 최근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이주민의 통계 현황을 통해 기술하였으며,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정의와 이론을 기술하고 추가적으로 다문화인식에 대한 내용도 기술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예비목회자의 다문화적 교육역량이라 할 수 있는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내용도 함께 기술하였다. ‘다문화인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서는 신약과 구약에서 나타난 다문화적 배경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성경적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이를 제 3장에 제시하였다. 현재 다양한 통합적 연구 모형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Morse의 연구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양적 연구에서 질적 연구로 순차적 설계가 이루어지는 모형이다. 이에 전국 700명의 신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후 다문화 교육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예비목회자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실태를 제시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예비목회자의 다문화인식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과정 존재 여부’, ‘다문화 프로그램 진행 여부’, ‘성별’, ‘최종 학위’, ‘연령’과 같은 변인에 따라 다문화인식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프로그램 진행 여부’, ‘다문화 교육 이수 여부’, ‘학부 출신’, ‘외국어 능력’, ‘나이’, ‘외국 체류기간’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4장에서는 양적 연구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과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목회자의 다문화인식 수준이 보통 이상인 점에 대해 전문가들은 ‘신앙은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연민으로부터 출발한다.’, ‘목회자는 사람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신앙인은 기본적으로 약자를 배려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와 같은 원인 등을 들었으며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이 낮은 원인으로는 ‘현재 신학대학원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예비목회자들이 다문화와 관련된 경험이 많지 않다.’, ‘현재 신학대학원 내에는 집단주의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등을 들었다. 둘째,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으로 전문가들은 ‘교육과정 개편’,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경험’, ‘긍정적 네트워킹을 통한 소명의식 함양’, ‘외적인 환경변화’를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위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파급력은 실제 목회를 수행하는 목회자의 역량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향후에는 본 연구를 토대로 목회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문가와의 면담 결과,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될 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현장 경험이 다문화 효능감에 실제로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에는 다문화와 관련된 종교적 연구 예컨대 ‘개신교 영역의 다문화 연구 실태 조사’ 혹은 ‘교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 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등과 같은 종합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키워드 : 다문화인식, 다문화 효능감, 예비목회자, 다문화, 다문화교육, 통합연구 An Integrated Study on the Improvement in Multicultural Efficacy of Protestant Prospective Pastors Hwang, Jae Dong Ph. D. Dissertation Directed by Prof. Kim, Young Soon Dept. of Multicultural Inha University August, 2018 Although Korean society is rapidly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is a negativ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 variety of government and religious initiatives are being carried out. Protestantism is actively practicing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which combines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At this time, proper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and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pastors who are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re are many pastors who have improper multicultural awareness in their ministry, and there are many pastors who interpre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assimi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pastor to help in the formation of proper multicultural awareness. One alternative for this is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tage of cultivating a pastor. In other words, to ensu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carried out in order for a pastor to have the prope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spective pastor's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using integrated research method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First, chapter 1 describ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presents the theoretical basis through study of the contents. In addition, there is information to help the reader understand the research motivation and terminology used by the researcher. In Chapter 2, we discuss topics such as 'diversity of Korean society member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nd 'biblic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present the rationale of this study. In the "diversity of Korean society members," the present status of the immigrants has been suggested by the recent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wareness' presented various definitions and theor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capac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preacher, the topic of multicultural efficacy, which is a sub - domain of multicultural awareness, is also presented. Lastly, In 'Biblic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eople', I presented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ism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biblical justification. In this study,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d that presented in Chapter 3. various integrated research models are employed throughout this study. Morse's research model, which is a model in which sequential design is made from quantitative research to qualitative research, is used. First, in a survey of 700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was identified. After that, we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6 exper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measur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ospective pastors and to improve multicultural efficacy. In chapter 4, the present status of prospective pastors' multicultural awareness is presented based on result of the analysis. In detail,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ospective pastors is higher than the avera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s a variable such as the existence of a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progress of multicultural programs, gender, education level, and age. Also, the prospective pastor 's multicultural efficacy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multicultural efficacy varied according to 'whether multicultural program progress',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graduate', 'foreign language ability', 'age', 'period of stay abroad'. Also chapter 4, expert opinion on the results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 prospective pastors are presente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suggested reasons for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prospective pastors to be higher than average, such as 'religion is related to compassion', 'high interest in people', and 'faith is basically considering the weak'. Second, the experts suggested 'absence of education', 'lack of experience', 'group culture' as reasons for the prospective pastor's multicultural efficacy to be lower than average. Third, proposal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ism awareness of a pastor were suggested such as 'opening curriculum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t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changing into a practical curriculum’, and ‘stimulating the need for multiculturalism’. Fourth, the provision of systematic curriculum, the provision of various experiences, the promotion of the vocation, and the quality management control of lecturers were suggested as measures for enhancing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the prospective pastors.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giv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Based on the presented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First, the impa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likely to depend on the capacity of pastors to perform actual ministry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on pastors based on this study. Second, the prevailing theme following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was that actual field experience would help improv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the pastor and promote multicultural efficacy.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experience, specifically in the multicultural field, in pre-pastors affec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mprehensive research such as religious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ism, for exampl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studies in the Protestant sphere' or 'Meta analysis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hurch'. Key words :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fficacy, Prospective Pastor,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Mixed Method

      • 중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연구

        김대철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서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수용적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다양한 문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민감한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다양성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방적 태도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북부지역 소재 중학생 2학년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배경으로 성별, 외국인과의 대화 경험, 해외여행 경험 여부를 포함하고 있다. 중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영역에는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다양한 문화에 대한 민감성, 다양성에 대한 개방성의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져있다. 설문지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각 영역별 신뢰도(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중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각 설문 영역의 집단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다. 중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과 민감성, 개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전체적인 인식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인식 설문의 하위 요인에 대한 집단변인별 차이를 보면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민감성, 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인식 설문 문항에 대한 집단변인별 차이를 보면, 거의 모든 문항에서 나와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외국인 등)과 이야기를 나누어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대화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긍정적인 다문화 인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인식 하위 요인인 수용성, 민감성/비차별, 다양성 모두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e.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are students' recept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e like? Second, how sensitive are middle school students to multiple cultures? Third, how open are middle school students to d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on 46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s, located in northern Gyeonggi-do. Backgrounds of research include gender, the experiences of talking to foreigners, and overseas travel experiences. Sub-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e are receptivity to multiculture, sensitivity to multiple cultures, and openness to diversity.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were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liability, Cronbach's ɑ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variables in each questionnaire area,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receptivity and sensitivity to multiculture, and openness to i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overall perception of multiculture was average. Seco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e showed that gender did not play a part in receptivity and sensitivity to multiculture, and openness to diversity. Third,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s to each question, the responses to almost all questions showed that those who had talked to people having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to multiculture, compared to those who had not. Firth,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of multiculture perception, which were receptivity, sensitivity, and openness.

      • 외국인 입장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 인식

        벨렉새항 밤바수릉 강릉원주대학교 다문화과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통신수단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활발한 인구이동으로 인하여 세계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보편화 되고 있다. 한국도 예외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다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은 2010년 이후 한국 체류 외국인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사실이 입증하고 있다. 법무부(2020)의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 월보에 따르면, 해 마다 10∼20만 명씩 증가한 결과 10년 동안 체류 외국인 수는 2배에 이르렀다. 한국내 외국인 수의 급증과 연관이 되어 다문화가정의 자녀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학교에서 생활에 적응하는데 있어 어려운 점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구성원인 학생, 교원, 학부모 그리고 한국 국민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다문화인식은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정도의 인식을 갖지 못하고 있다. 시민, 교원, 학부모, 학생들까지 다문화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 된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 내에서 이뤄지고 있는 다문화 현상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와 다문화인식개선을 위한 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외국인 입장에서 비교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다문화인식의 개선이 한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와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자료와 같이 각종 정부부처에서 발표된 통계 자료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자료는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주의의 개념이 무엇이고, 한국 사회의 다문화현상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통계자료 분석은 외국인 입국자의 현황과 국제결혼 현재 상황 및 새터민의 유입 현황을 살펴 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다문화현상이 어떤 방식으로 가속화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본 논문의 구성은 서론, 본론(3개), 또는 결론으로 하여 총 5장으로 구성이 되었다.제 1장(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에 대해서 제시하였으며,제 2장에서는 다문화주의의 개념 및 한국사회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인식 개선 정책에 대한 연구문헌을 통해 이론적 고찰하여 정리하였다.제 3장에서는 제2장에서 파악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연구대상과 연구 절차를 설계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조작적 정의와 측정방법을 기술하였다.제 4장에서는 다문화교육 인식 및 정책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 및 해석을 종합 논의하여 정리하였다.제 5장 결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본문 부분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다문화 인식 개선’을 통해 이뤄질 수 있는 한국 사회의 좋은 방향과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바라고 있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거주 92명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 되었으며, 총 13국 국적을 갖은 참가자들이 참가했다. SPSS 기솔 통계를 돌렸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차이 연구

        최유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dded to historical background, registered foreigner population in Korea has rapidly increased and accordingly, Korea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line with this trend, studies on Korean citizen's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ctively conducted.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various ways to lead multicultural society to positive directions. Numerous preceding studies have verifi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has positive effect on the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at these recognition in childhood are most greatly affected by their parent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on multiple cultur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rents by researching on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o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multicultural recogn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43 parents with young childr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 test, multivariat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WIN program. This thesis was completed based on data analyzed to verify study hypotheses, and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recognition (acceptability, sensitivity, openness) and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tion on parents, recognition on children, acknowledgement as Korean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Thir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tudy researched on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recognition (acceptability, sensitivity, openness) and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tion on parents, recognition on children, acknowledgement as Korean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Parents with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and over had higher acceptability among sub-factor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than parents with high school education. In overall multicultural recognition, patents with two children had higher recognition than parents with three children. Patents with two children had higher overall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s sub-factors, recognition on parents and recognition on children. Parents with first child who goes to primary, middle, high school and over had higher sensitivity in multicultural recognition. Parents with production and simple labor occupation had higher degree of multicultural openness. Although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ho had the experience of visiting multicultural families had higher level of acceptability and sensitivity and had higher multicultural recognition overall, experience of visiting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have effect on their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type of contact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recognition, its sub-factors,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s sub-factors among groups and families with direct overseas experience had higher recognition on them. Second,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A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by dividing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into 3 groups of high, medium and low based on overall average, all 3 groups showed highest score in recognition on acknowledgement as Koreans followed by recognition on parents and recognition on children. In analysis on sub-factor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by dividing 3 groups of high, medium and low based on average of acceptability, sensitivity and openness, scores of recogni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cknowledgement as Koreans, recognition on parents and recognition on children in sub-factors of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study also investigated if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All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all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effect on each othe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the higher the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tion on parents had the greatest effect on overall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in sub-factors, recognition on children had the greatest effect on acceptability and recognition on parents had the greatest effect on sensitivity while acknowledgement as Koreans had the greatest effect on opennes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effect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on the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sensitivity among sub-factor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overall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acknowledgement as Koreans. Both recognition on parents and recognition on children were most greatly affected by acceptability among sub-factor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최근 우리 사회는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교통과 통신의 발달이 더해져 국내 외국인등록인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때문에 다문화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대한 연구와 그 구성원인 다문화 가족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등이 각각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의 인식을 알아보고 다가오는 다문화 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연구들이 다방면으로 진행되었다. 이 중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유아기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인식이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유아기 인식에는 부모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아기 자녀를 기르는 부모들이 다문화에 대해 그리고 다문화 가족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차이를 연구하여 학부모에게 적합한 다문화교육을 연구하는 밑바탕에 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은 일반유아 학부모 243명을 선정하여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F 검증, 다변량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논문을 완성하였고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다문화인식(수용성, 민감성, 개방성)수준과 다문화 가족(부모에 대한 인식요인, 자녀에 대한 인식요인,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셋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라 다문화인식(수용성, 민감성, 개방성)과 다문화가족(부모에 대한 인식요인, 자녀에 대한 인식요인,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각각 알아보았다. 교육수준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대학원 졸업이상이 다문화 인식 하위요인 중 수용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자녀 인원에 따른 다문화인식의 차이는 전체 다문화인식요인에서 자녀가 2명인 부모가 자녀가 3명인 부모보다 다문화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측면에서도 전체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요인과 하위 요인인 부모에 대한 인식, 자녀에 대한 인식에서 모두 자녀가 2명인 부모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자녀 연령에 따른 다문화인식은 민감성에서 첫째 자녀 연령이 초중고 이상인 부모의 민감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다문화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생산직 및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부모님들이 다문화 개방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다문화 가정 접촉 경험에 따른 다문화인식은 접촉 경험이 있는 일반 유아 학부모에게서 수용성과 민감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다문화 인식 또한 높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에는 다문화 가정 접촉 경험이 인식의 차이를 일으키지 않았다. 다문화 가정 접촉 방식에 따른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문화인식과 그 하위요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과 그 하위요인에서 각각 집단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가족이나 해외직접경험을 한 경우에 각각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냈다. 둘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다문화인식 수준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인식 수준 각각의 집단은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에 대한 인식, 자녀에 대한 인식 순으로 점수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인식 수준 하위 요인별 분석을 보면 수용성 수준, 개방성 수준, 민감성 수준에 따라 각각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대한 인식, 부모에 대한 인식, 자녀에 대한 인식 순으로 인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유아 학부모의 다문화인식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은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인식 전체와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전체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이며, 다문화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수준 전체에는 부모에 대한 인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수용성 수준에서는 자녀에 대한 인식, 민감성 수준에서는 부모에 대한 인식, 개방성 수준에서는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대한 인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나타났다. 반대로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에 다문화인식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족에 관한 인식 전체와 한국인으로 인정 요인에 대한 인식에는 다문화인식 수준 하위요인 중 민감성 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나타냈다. 부모에 대한 인식과 자녀에 대한 인식은 모두 다문화인식 수준 하위요인 중 수용성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