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태도 차이 연구

        이신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가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다문화가정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71명과 동작구 신대방동과 강남구 청담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74명이며, 다문화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345부를 배포하여 모두 회수되었으나 설문지 중 답변하지 않은 문항의 경우는 통계자료 처리 시 제외하였다. 다문화 태도 측정도구로는 Munroe et al.(2006)가 개발한 MASQUE(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를 번역한 정문성 외(2017)의 설문지와 김미진 외(2010)에서 개발한 아동 다문화 수용성 척도, 백미순 외(2014)의 연구에서 번역한 Ang et al(2007)의 문화지능 측정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와 개인 특성인 성별,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 유무,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다문화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태도 전체는 다문화가정 비밀집지역에 거주하고, 다문화교육(2) 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와 개인 특성인 성별,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 유무, 다문화교육 경험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다문화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중 다문화가정 여부가 다문화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일반가정 초등학생보다 다문화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다문화 태도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고(p < 0.05), 행동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성별, 다문화교육 경험,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의 유무와 다문화가정 여부가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다문화교육(2) 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 태도의 정의적 영역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 < 0.05). 본 연구의 설문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내용과 유의미한 방식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와 다문화 학생이 많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을 더욱 조사하여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생을 연구 대상에 포함할 경우, 연구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연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핵심가치와 영역을 고려한 세분화된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densely-populated area of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multicultur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rim-dong, Yeongdeungpo-gu, Seoul, and 1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ndaebang-dong, Dongjak-gu, and Cheongdam-dong, Gangnam-gu. All 34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eved, but those that were not answered were automatically excluded from the processing of statistical data.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multicultural attitudes were combined with several preceding research, which are Chung Moon-sung(2017), which translated MASQUE (M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developed by Munroe and Pearson (2006), and Kim Mi-jin (2010)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cale, Baek Mi-soon and Jang In-sil (2014).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support is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a meaningful way and content suitable for students.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ar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and teachers working at schools with many multicultural students, so i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ubsequent stud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environment variables of the subject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so that they can be generalized. Second, wh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hird,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considering the core values and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 of students.

      •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 연구 : 아시아 민요를 중심으로

        강수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Korea,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a multicultural society is now living in which people and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re combined. As a result of this, various educational problems are emerging, an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music education. However, in the current school music class,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are still dominant, and the music of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is still insufficient, and teachers' efforts are urgently required.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eaching instruction used in actual education field for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included.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amine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nature, goal, content system, and multiculturalism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and examine the world folklore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the two songs most recorded in the Asian folk songs were selected as the forbidden so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lai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folk song "Morihwa"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joy the culture and music of various countries in a wider and more enjoyable way. In the Philippine folk song "Flowers are getting bigger",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xplained, and the original vocabulary was presented. I hope that the teaching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 music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help students to have the right values and world view to recognize, respect and embrace multiculturalism through music. 우리나라는 최근 외국인 근로자들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과 문화가 결합된 다문화 사회를 살고 있다. 이에 따른 여러 가지 교육적 문제가 생겨나고 있어 음악교육에서도 다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의 음악수업에서는 여전히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세계 다양한 나라의 음악의 비중이 아직 부족하여 교사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목적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수업지도안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와 필요성,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내용체계, 다문화주의 요소를 살펴보고 다문화 음악교육 수업을 위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대륙별, 나라별로 악곡명을 정리하여 아시아 민요 중 3곡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나라의 문화와 음악을 보다 넓고 즐겁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중국민요, 필리핀 민요, 네팔 민요 3곡 모두 문화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그를 바탕으로 원어로 가창하기를 공통적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민요 “모리화”에서는 중국음계를 바탕으로 창작활동, 필리핀 민요 “꽃은 지고”에서는 전통 악기에 대한 이해와 연주활동, 네팔 민요 “레썸삐리리”에서는 음표의 리듬을 이해하며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수업지도안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에 보탬이 되어 학생들이 음악을 통해 다문화를 바르게 인식, 존중, 포용할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세계관을 갖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김상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1990년대 국제화, 세계화를 거쳐 2000년대에는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한국인들이 단일민족이라는 신화에 사로잡힌 국민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다문화적 글로벌 시민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노력을 통해 국민들의 의식을 바꿔 성숙한 글로벌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한 교육적 대응이 필요한 시기이다. 다문화 정책이 국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과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학교는 다문화 정책의 파급 효과가 그다지 크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못하고,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의 수준도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데 기인한다. 다문화교육이 교육 현장에 제대로 착근되기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과정이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 사회나 교육 현장에서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하기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는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안을 설계하였다. 잠정적으로 설계된 목표 체계는 최종목표 1개, 종합적 행동 목표 3개 영역 4개 항목, 인지적 목표 5개 영역 12개 항목, 정의적 목표 5개 영역 13개 항목, 심동적 목표 4개 영역 11개 항목이 제시되었다. 내용 체계는 다문화 사회 3개 영역 31개 항목, 지구적 과제 3개 영역 22개 항목이 제시되었다.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된 안을 계속적으로 수정·보완하였고,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제2차 델파이 조사(N=20) 결과를 기초로 내용타당도 비율(CVR)을 산출하여 CVR 유효값이 .42 이상인 항목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내용 영역의 분류는 상징적, 처방적, 기술적, 공학적 정보와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시민성>, <전지구적 과제>로 분류되었다. 중간목표는 A. Dean Hauenstein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의 목표 분류 체계에 따라 개인적 측면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최종목표는 여러 다문화교육 및 사회과교육 관련 문헌 등을 참고하여 종합적 행동 목표 내 사회적 측면의 <지식 및 이해>, <기능(사고, 판단, 표현)의 습득>, <태도(관심, 참여)의 형성>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목표 영역의 내용타당도 비율(CVR)은 0.00 ~ 1.00에 위치하는데, 일반적으로 20명이 참여한 제2차 델파이 조사에서 내용타당도 비율(CVR)이 .42 이상일 때 유효한 값으로 인정된다. 이에 따라 목표 체계는 최종목표 1개 항목, 종합적 행동 목표 3개 영역 6개 항목, 인지적 목표 5개 영역 9개 항목, 정의적 목표 5개 영역 12개 항목, 심동적 목표 4개 영역 10개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셋째, 내용 영역의 내용타당도 조사결과 그 비율(CVR)은 0.30 ~ 1.00 범위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을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지구적 과제> 영역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 전문가 의견의 타당도 평균이 3.50(5점 척도 기준)로 나타났다. <다문화적 시민성> 영역을 <정체성>, <다양성>, <평등, 정의>, <시민성>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서는 타당도 평균이 3.75로 나타났다. <전지구적 과제> 영역을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서는 타당도 평균이 3.90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내용 체계는 <다문화적 시민성> 4개 영역 27개 항목, <전지구적 과제> 3개 영역 16개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민족 정체성 교육, 국제이해교육, 세계교육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지구촌 다문화교육(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의 성격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적 가치> 내용 영역은 물론, <전지구적 과제>의 내용 영역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대부분 ‘타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이는 전문가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도 중시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최종목표는 ‘문화적 다양성, 국가와 민족 정체성과 세계 시민 의식을 함양한 다문화적 시민 양성’에 있다. 다문화교육의 목표 영역은 최종목표와 중간목표로 구성될 수 있다. 최종목표는 사회(집단성원)의 목표이고, 중간목표는 개인(학습자)의 목표이다. 개인(학습자)의 목표는 과정목표로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성되고, 사회(집단성원)의 목표는 산출목표로서 <지식 및 이해>, <기능(사고, 판단, 표현)>, <태도(관심, 참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내용 영역은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지구적 과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문화적 시민성>은 <정체성>, <다양성>, <평등, 정의>, <시민성>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지구적 과제>는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안에 대해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전문가들은 이 목표와 내용 체계를 타당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선정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다문화교육의 정립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매우 실제적인 것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끊임없이 발전되고 변화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일시적인 유행으로 그치거나 단순한 현실 극복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따라 학교급별과 학년별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국한되어 주로 ‘왜’ 교육해야 하고 ‘무엇을’ 교육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 하는 교육방법과 제대로 교육하고 있는가 하는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료 및 평가 자료의 개발, 평가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고, 다문화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음 세대인 학생들이 다문화교육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세계 시민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자질을 익히는 필수적인 교육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하고 다문화적 의식 함양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임을 깨닫게 해야 하는 것이다. 다문화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 내에 첨가하거나 기존 교육내용을 수정하는 소극적인 기여적(contributive), 부가적(additive) 접근법보다는 적극적인 변혁적(transformative), 사회적 행동(social actoin) 접근법으로 교육과정의 변혁을 이루어 개인, 학교, 사회의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주제어: 다문화,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다문화 교육과정, 교육목표, 교육내용, 타당도, 델파이, CVR Korea has had a rapid change of entering multicultural society in 2000s after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the 1990s. The era has come that Koreans should get away from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myth of single nationality to reborn as multicultural and global citizen. This times requires educational response that changes public awareness to become mature global citizen through continuous and long-term effort. As the multicultural policy takes an integral part of national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for those students from the famili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However, ripple effect of multicultural policy is rarely seen at schools because there have not been prepared for enough curriculum and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ecaus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the public in terms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take root at schools, multicultural curriculum needs to be develop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at schools but in Korean societies. To achieve this purpose, a research question of "What is the system of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set up. An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reference literature and experts review, a draft proposal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The system of objective comprises of 1 final objective, 3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s and 4 area categories, cognitive objective with 5 sub areas and 12 categories, affective objective with 5 sub areas and 13 categories, psychomotor objective with 4 sub areas and 11 categories. The system of contents were presented which includes multicultural society area with 3 sub areas and 31 categories and global challenges area with 3 sub areas with 22 categori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udy,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this process, continuous modification and supplement for the developed plan were made, reflecting the opinion of exper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2nd Delphi survey (N = 20) after gathering opinion, CVR was calculated to select category of which effective value is higher than 0.4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based on symbolic, prescriptive, descriptive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contents. Formative objective was classified 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 of individual aspects, according to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 by A. Dean Hauenstein. Final objective was classified as area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btain of skill(thought/decision/expression> and <formation of attitude(interest/participation)> in social aspect of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 referring to related literatu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Second, the objective area of CVR had been located in 0.00~1.00. In the 2nd Delphi survey with 20 people participated, CVR over 0.42 was generally acknowledged as valid data. Therefore, the following system of objectives was presented. 1 Final objective,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s with 3 sub areas and 6 categories, cognitive objectives with 5 sub areas and 9 categories, affective objectives with 5 sub areas and 12 categories, and psychomotor objectives with 4 sub areas and 10 categories. Third, CVR of contents area ranged from 0.30 to 1.00. The average of CVR of experts view was shown 3.50 for the contents area classified a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The average of CVR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classified as the area of <identity>, <diversity>, <equality/justice> and <citizenship> was shown 3.75. The average of CVR for Global Challenges area classified as the area of <interdependence>, <pea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onsequence, Multicultural Citizenship area with sub 4 sub areas and 27 categories and Global Challenges area with 3 sub areas and 16 categories were selected in the system of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relat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he personality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straddles national identity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global education comprehensively because the response ratio of experts saying 'valid' is very high in the contents area of Multicultural value and Global challenges. This indicates that experts think high of literacy that one should have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e final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lies in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 with multicultural diversity, national identity and global citizenship. The area of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mprised of final objective and formative objective. The final objective is the objective of society(member of society) and the formative objective is the one of individual learner. The objective of individual is formative that h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while the objective of society is outcome objectives which are composed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 (thinking, decision, expression)> <attitude(interest, participation)>. Third, the contents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mprised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has <identity>, <diversity>, <equality/justice>, and <citizenship> areas, while the global challenges has <interdependence>,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a draft proposal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is study were verified as valid through twice Delphi survey, and it shows that experts consider the objective and system of contents to be valid.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f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al study after experts'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establishment of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electing contents. This study is very practical and requires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so the followings can be proposed. Firs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keep being developed and change ceaselessly.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just for transient trend or not mere way to get things over. Instead,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research is essential.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various of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levels of schools and grades, and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Second, this study is confin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to why and what to educate. Therefore, research on teaching method (how to teac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whether it is properly educated) are needed. Consequ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on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program, and to research on developing teaching metho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y/evaluation material. Third, it is essential that next generation students realiz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demand of the times and indispensable to be multiculturally educated as national citizen and global citizen. In ord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highly effective in not only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but also in understand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rea, research on approach of transformative and social action is required.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brings changes to individual, school and society if multicultural curriculum is developed from the way of approach of contribution and addition to the way of approach of transformation and social action. Key Words: Delphi, CVR, multiculture, multiculturalism, multicultrual education, multicultural curriculum, objective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 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주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과목 개발 연구

        이민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국인근로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고용한 사업주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2010년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나 국회에 제안되었던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개정안에서도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들에게 ‘다문화 이해교육’을 실시할 것을 강조한 바 있고, 학계에서도 다문화인권교육을 방향성으로 제시하면서 사업주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왔다. 그러나 사업주를 위한 교육은 산업인력공단이나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다문화인권교육으로서 만족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이 보다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발하고 교수요목을 구체화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고용허가제와 외국인근로자, 사업주의 권리와 의무를 살펴보고, 외국인근로자 고용주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사업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유사한 취지의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사업주 대상 교육의 교과목과 구체적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교과목은 외국인근로자와 인권, 외국인근로자 정책과 사례, 다문화사회의 이해, 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주 책임과 윤리로 제안하였다. 교육 시간은 연간 21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사업주 대상 다문화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 이수의 의무화, 사업주의 다문화감수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구체화, 교육에 사업주와 외국인근로자의 공동참여,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찾아가는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업주에 대한 다문화교육이 활성화될 경우,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차별이나 인권 침해 사례의 감소, 산업재해 예방, 외국인근로자의 사회적응 제고 등이 기대된다. A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ncreased, the need for educating their employers has been raised in various ways. The recommendation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in 2010 and the revised law on Treatment of Foreigners, which wa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also emphasize the need to provide instructions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o employers who hire foreign workers. The academic community has also valued the education of business owners as an important procedure. However, an inconsiderable amount of education for employers has taken place only by the Industrial Human Resources Corporation or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and it does not seem to be a sufficient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well organized curriculum subjects and specified teaching materials so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more effective.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foreign workers and employers, and raise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foreign workers' employers. In addition, many other conventional education programs aimed at employers have been analyzed and the specific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The suggested subjects include 'foreign workers and human rights', 'foreign workers' policies and example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foreign workers' responsibility and ethics'. The education time has been set as 21 hours per year. In addi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propose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business owners, we have concluded that making education programs mandatory, specification of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business own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joint participation of education among business owners and foreign workers, and the visiting education by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are necessary. Onc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business owners is activated, less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rker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enhanced social adaptation of foreign workers are highly expected.

      • 민요를 활용한 국어교과의 다문화 교육 방안 연구

        김한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현장에서 민요를 활용하여 문화의 특수성과 지역성을 확인하고 각각의 차별성에 의한 상대적 인식을 재고하고자 하는 다문화 교육 방안 연구이다. 우리는 오래전부터 노래를 이해와 소통의 도구로 사용했던 민족이다. 특히 민요는 각 지역의 이질성과 특색을 드러내는 독특한 장르이며 민중의 삶과 정서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제재이다. 이러한 점은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에 기본을 두는 다문화 교육에 적절한 제재라 생각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한국의 민요를 활용하여 국어과 수업을 설계하고,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의 다양성에 기초한 다문화 주의를 이해한 새로운 문화 창출의 능력을 기르고자한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그 한계점은 명확했다. 첫째, 작품 선정의 대상을 소설이나 민담으로 한정시키고 있다. 둘째, 기존의 교과서에서 수록한 제재를 그대로 선정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학습 제재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다문화 가정을 접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소설이나 민담을 제재로 다문화 교육을 하는 것이 아닌 민요를 선정하여 다문화 교육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다른 국어과 다문화 교육을 살펴보았을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의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어교과에서의 민요 수록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요는 국어과 5개 영역 중 4개의 영역에서 사용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소단원의 중요 제재로 사용 된 것이 아닌 학습활동의 일부로 사용되거나 그보다 중요성이 떨어지는 선택학습에 제재로 수록되었다. 국어교과에서 민요 제재를 다문화 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의 목적과 민요의 특성이 부합하는지를 확인해야 했다. 이를 위해 민요의 특성을 정리하고 한국 현실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의 목적을 정리하여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민요의 특성은 다문화 교육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한국 교육에 적합한 다문화 제재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고 기존 국어교과서에서 선정된 민요를 이용하여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면서 사용한 학습 모델은 자원기반학습모형이다. 해당 모형은 교사중심의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닌 학생이 스스로 교사가 제시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료를 모으고 그 내용을 목록화한 후 해석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모형이다. 다문화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에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갖고 있는 편견에 대해 접근하는 것으로부터 문제 인식을 시작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열정을 갖고 사실성을 분석하여 외국의 문화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활동 과제는 학생들이 이전 차시에 수업을 했던 민요를 다시 떠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전에 수업했던 민요를 다문화 관련 문제에 대해 접목시키면서 학생들은 문화적인 다양성과 동질성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가활동지를 작성하면서 스스로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자신이 향후 행동해야 할 방향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성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어과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는 계속 되고 있으나 교과서에 쓰이고 있는 학습 제재는 굉장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민요 학습의 경우 교과서가 개정이 될수록 그 비중은 줄어만 가고 있으며 교육 분야도 운율교육이나 해학적 표현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민요의 특성은 다문화 교육 목적에 부합할 뿐 아니라 다양한 국어과 교육 영역에서 적용이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민요를 적용한 국어교과에서 다문화 교육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민요에 관한 새로운 연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민요 교육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 생각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 다문화 제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존 연구에서 연구하지 않은 민요의 특성을 이용한 다문화 교육 제재 선정기준을 제시한 것은 다문화 교육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하지만 본 연구가 실제 학습현장에서 시연되지 않았다는 점, 교과서의 기준을 그대로 따르지 않았다는 점, 새로운 민요 제재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한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국어과에서의 다문화교육 방안이 제시된 것이다. 현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만큼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높아져간다. 그러므로 한국 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는 국어과에서의 다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연구의 가장 큰 한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현 교과서에 선정된 민요가 아닌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새로운 민요를 활용하여 자국학생과 다문화 학생이 동시에 다문화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는 추후의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confirms the specificity and locality of culture by using folk so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for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plan to reconsider relative perception by each different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 have long used song as a tool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specially, folk songs are a unique genre that reveals the heterogeneity and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and it is the subject matter which best fits the life and emotion of the people. This is thought to be appropriate subject mat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lessons using Korean folksongs and apply them to the middle school field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create a new culture that understands multiculturalism based on cultural diversity. As a result of examining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were clear. First, it limits the selection of works to novels and folk tales. Second, the subject matter included in existing textbooks are selected as they are. Third, it has not been able to select various learning subject matter. Fourth, it does not consider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be encountered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selects folk songs rather than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for novels or scenarios is highly suggested when examining othe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ubject. I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achieving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folk songs were used in 4 of 5 Korean language subject areas. However, it was used as a part of learning activities that were not used as important material for the sub-departments, or as a subject matter for selective learning that is less important. In order to apply the folksong subject matter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t wa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purpos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song match.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are summarized and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itable for Korean reality is summarized and their suitability is compared.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mee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facts,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ulticultural materials suitable for Korean education were set up and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suggested using the folk song selected from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The learning model used in constructing the teaching - learning plan was the resource - based learning model. The model is not a teacher - centered class, but a model in which a student collects data using various media about the problems presented by the teacher himself, catalogs the contents, and analyzes the problems by solving the problem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and establish identity. Therefore, by starting to recognize problems from approaching students' prejudices, students were able to analyze their facts with passion and learn foreign cultures. The learning activity task wa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ould recall the folks whom they had taught at the previous class.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about cultural diversity and homogeneity while incorporating folk songs that have been previously taught in multicultural issues. In addition, I created a self - identity to build a self - identity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themselves and thinking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students should ac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ongoing, but the learning materials used in textbooks are very poor. Especially, in the case of folk song learning, the proportion of textbooks is decreasing as the textbooks are revised, and the education field is limited to rhyme education and humorous expression.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are not only compatible with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also applied in various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 fel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needed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sing folksong. I think that this research is rather meaningful in that new research on folk songs has been decreasing and new directions for folk song education have been suggest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previou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valuable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lection criteri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that have not been studi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is not demonstrated in the actual learning field, does not follow the standard of the textbook, and does not consider the new folksong learning material. This study suggests a multicultural education plan for Korean student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ent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lack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can provide both Korean students and multicultural students at the same time is the greatest limitation of the study. In addition, research on learning method that multicultural students can receive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by utilizing new folksongs that can bring education effect rather than selected folk songs in current textbooks remains as a future task.

      • 한국청소년 다문화수용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경남 김해시지역 중학생대상 중심으로

        김명자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2010년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를 활용해 한국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파악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지수를 산출하여 청소년 등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조사연구에서 개정한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KMCI)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종합적으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도록 정의, 인지, 행동적 측면 등을 반영한 총3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크게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등의 3가지 차원의 범주를 두었다. 그리고 그 아래 8가지의 하위영역인 다양성에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등의 3가지 하위영역 두고, 관계성에 일방적 동화 기대, 거부회피정서, 상호교류행동의지 등의 3가지 하위영역과 보편성에 이중적 평가, 세계시민 행동의지 등의 2가지 하위영역 구성요소를 두어 체계화하였다. 이 설문지를 활용하여 경남 김해시 지역 6개 중학교를 선택하여 중2학년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66.47점으로서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한국 성인다문화수용성 51.17점보다 다문화수용성 지수 15.30점이 더 높았다. 성별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았으나, 청소년의 ‘이중적 평가’와 ‘일방적 동화기대’의 지수는 성인과 같이 낮았다. 둘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활동 등의 경험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활동 등의 경험이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은 대중매체를 통하여 다문화를 접촉할 기회가 많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에 관련된 대중매체가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은 국제이주민을 만난 경험이 많거나 또는 외국인 교류 빈도가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남의 빈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청소년은 주변의 중요인물이 국제이주민에 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인식할 때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에게 주변인의 다문화수용성 정도가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ISSP의 국민정체성 11개 항목에 대하여, 한국의 청소년은 종족적인 요인보다 시민적인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다문화 국민정체성과 한계인식 등을 다른 유럽국가와 비교할 경우, 국제이주민을 한국인으로 받아들이는 기준이 매우 포용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및 정책 등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정기적으로 청소년의 다문화교육의 효과 분석 및 다문화수용성 변화추이 등의 정도를 가늠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개정 사회 교과서 중심으로

        나혜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 B S T R A C T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on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7th graders Na Hye-Mi Department of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An Ho-Yong With the globalization and openness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is is also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Unfortunately, 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still regarded as the alienated class in the Korean society. This is mainly attributable to Koreans' emphasis on the homogeneous nation. In the midst of the globalization, however, the closed notion of alienating others is nothing but an anachronism.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have been many requests for educational measure to respond to this situation. On top of that, to change the notion of the public, the curriculum should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systematic way, expan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ociety level.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textbooks and teachers at an institution called schools. For this reason, analysis on textbook would provide the fundamental basis to understand h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ducted in Korea. Reflecting opinions from various walks of life, the 2007 curriculum set the goal of nurturing civil qualities with which students would take the lead in social changes in the age of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and openness. In this respect, the revision emphasize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thesis is designed to analyze the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7th graders, which reflects the 2007 curriculum and has been applied since 2010.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how much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textbook and how to improve and appl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the textbook. To this end, I analyzed 15 kinds of textbooks, which passed the qualification screening, following the 2007 curriculum in terms of human rights, culture, class, ethnicity, religion, region, and globalization as factors for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textbooks focus on only partial of the subject or have lower frequency of them. Moreov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concentrates on global educ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reby lacking the right direction. Furthermore, this article drew up Banks' MTA learning model Ⅰwith which teachers could use at class concerning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most frequent subject at textbooks.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tended to overcome stereotypes on cultural phenomenon. However,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 displays many limitations. In this respect, we should consider more various cultural factors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is the only way the textbook could contribute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 variety of ethnicity, culture, and classes and learn the multucultural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content, it would be helpful if the textbook provides more detailed and clear examples and docum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have various cultural perspectives on the society. Therefore,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to remove stereotype, increase tolerance, and care for others. One thing to remember is that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nurturing students to be an active and matured member of multicultural society. 21세기 한국 사회는 세계화, 개방화가 진행되면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 노동자의 증가 등의 이유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소외받는 계층으로 자리잡고 있는게 사실이다. 그 이유는 한국인의 단일민족 의식을 꼽을 수 있는데 이러한 폐쇄주의적 사고는 이제 더 이상 세계화라는 변화 속에서 자랑으로 여길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 단일 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이방인을 배타적으로 대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생각일 뿐이다. 다행히 이 같은 흐름을 따라 한국사회는 이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적 변화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다문화교육이 사회적으로 확산되어 나가야 한다. 교육은 학교라는 기관에서 교사와 교과서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과서분석은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여러 사회와 국가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정보화&#8228;세계화&#8228;개방화 시대의 사회변화를 주도할 시민적 자질의 육성을 목표로 다문화사회에 대비하는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10년부터 새롭게 적용이 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개선방향과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교과서 검정 심사에 통과된 15종 교과서를 인권, 문화, 계층, 민족, 종교, 지역, 세계화 등 7가지의 다문화개념 요소가 얼마나 나와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개념들이 골고루 나타나기 보다는 일부 내용 요소에 집중적으로 나타나있거나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이 아직까지 세계교육, 국제이해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바람직한 방향도 제대로 설정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교과서 분석 결과 가장 많이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권’과 ‘문화’ 두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실제 교실에서 활용가능한 다문화 교수-학습 방안을 Banks의 MTA 학습 모형 Ⅰ이라는 수업 모형으로 지도안을 만들어 활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문화교육은 우리가 접하는 문화 현상에 대해 당연하게 여겨졌던 사실들에 내재되어 있는 편견을 새롭게 인식하고 고쳐나가려는 것이다. 하지만 현 교육과정의 사회 교과는 많은 부분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사회에 나타나는 여러 인종, 문화, 계층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적 시각을 가질 수 있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 문화적 요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한다. 내용 구성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의 현실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의 관점과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볼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관용적 태도와 배려, 편견의 제거를 위한 교육내용이 사회 교과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고 나와 다름에 대한 수용 능력을 길러주어 다문화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시민으로 자랄 수 있도록 교사의 지도도 필요하다.

      • 다문화교육 IDEA 모형을 활용한 초등 한국어(KSL)와 국어과 교육과정의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비교

        윤정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교과와 국어 교과의 다문화 교육적 내용 요소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교육 현장에서 언어 관련 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특히 한국어과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공교육에서 처음 접하는 교과며 집중적으로 교육된다는 데에 주목하여 다문화교육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틀은 교과 융합 다문화교육을 위해 개발한 다문화교육 ‘IDEA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인 2017 한국어 교육과정(KSL) 성취기준과 2015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을 정체성과 다양성, 인권과 평등, 공존과 협력의 네 가지 영역 내에서 각 세분화된 분석개념과 IDEA 성취기준을 참고로 하여 코딩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에는 다문화요소가 부족하며 기능별, 수준별로 요소의 편중이 나타난다. 특히 중도입국자녀들의 언어능력과 인지발달단계를 동일시한 다문화요소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경우 다문화요소는 많은 편이지만 기능별로 편중되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에 다문화요소를 더 많이 삽입해야 한다. 언어단계별 교육과정을 만들 때 저학년용과 고학년용 교육과정을 세분화해야 하며 한국어 교과 수업을 위한 IDEA 성취기준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다문화교육 요소를 모든 기능에 고르게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국어교과와 한국어 교과는 언어기능별, 교육단계별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through language-related subject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content included in Korean Language (KL) an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urriculu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DEA Model” developed for subject-associated multicultural education was used as the analytic framework. Specifically,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of KL and KSL were coded using four core areas (Identity, Diversity, Equity, Along with) and 16 sub-concepts of the IDEA model.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KL, KSL included less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curriculum. Furthermore,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s cognitive levels or ages were not considered for their KS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SL curriculum needs to emphasize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newly-arrived diverse children can develop both Korean language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문학과 음악의 통합적인 접근을 中心으로

        박선영 신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suggests applicabl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ffers basic materials for the systematic instruction at the childhood education as examining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attending P kindergarten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experimental group(composed of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composed of 20 children).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and children of control group just had talks. Research procedures of collected data were arranged by preliminary survey,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o test emotional intelligence,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checklist for kindergarten teachers」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person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in order to the differences using SPSS 12.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hildren of control group. 2.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fluenced more by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than children of control group on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others' awareness, children's control over others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3.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That i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had effects more o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c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Consequently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integrated literature and music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f it is systemically utilized at the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