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기식품 품질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광하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유기식품(이하에서는 유기농산물과 이를 가공한 가공식품을 통합하여 유기식품으로 정의한다)으로 표시되어 판매되는 제품에 대하여 공정한 거래질서의 확립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함께 보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유기식품 관리제도와 외국의 유기식품 관리 제도를 비교검토하고, 우리나라 유기식품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유기농산물은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유기농산물을 원료로 이를 가공한 유기식품에 대하여는 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의 특산물인증제도에 의한 인증제도와 식품위생법의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의한 자율적인 표시 제도를 함께 여러 기관에서 나누어 시행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유기식품 생산자 및 유통업자, 소비자들은 서로 다른 제도에 따라 상당한 혼란을 가져오고 있으며, 국제기준인 Codex Guideline과 다른 나라의 규정을 보면 대개 농산물과 가공식품을 하나의 법률적인 규정으로 통일되게 관리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을 통한 우리농산물의 경쟁력제고 방안으로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한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으로 인하여 유기,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농가 및 재배면적, 생산량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0년의 경우 친환경농산물 중에서 전환기유기 농가를 포함하여 유기농산물 생산 농가수는 2000년 353호에서 ''01년에는 442호, ''02년은 1,505농가, ''03년은 2,756호, ''04년 6월말에는 2,825호로 크게 증가하였다. 친환경·유기농산물 시장은 해마다 약 40%의 신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추정매출액은 2000년도 1,500억원, 2002년도 2,800억원, 2003년 3,900억원, 2004년도 5,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2년 7월 1일부터 시작된 특산물 품질인증제도는 우리 농산물에 대한 품질관리를 국제적인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함으로써 우리 농산물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며, 공정한 거래를 실현함으로써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소비자 보호를 동시에 이루고자 도입하였다. 1993. 6. 농수산물가공산업육성및품질관리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품질인증제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1993년 12월 1일에는 유기재배농산물과 무농약재배 농산물에 대하여도 품질인증제를 도입하였고, 1996년 3월에는 저농약재배 농산물 인증제도의 도입 등으로 발전되었다. 1997년 3월 7일 동법을 개정하여 유기농산물에 대한 표시제도를 도입하여 누구나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농산물에 유기표시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리하여 동일한 법에서 인증제도와 표시제도가 동시에 시행되게 되었다. 친환경농산물은 1997. 12. 14 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되고, 1998. 12. 14 하위법령이 정비되어 시행되었는데 동법에서는 유기농산물, 전환기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등 친환경농산물에 대하여 표시신고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로서 농산물품질관리법의 규정에 의한 유기농산물의 품질인증제도와 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유기농사물의 표시제도로 구분되어 시행되게 되었다. 이러한 이원화과정을 거쳐 2001.7.1 개정 시행한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로 일원화되었으며, 동 법에서는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하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유기농산물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식품의 관리제도는 인증제도와 표시제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인증제도는 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 제13조의 규정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농관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농산물 품질인증제도가 처음 시행될 때에는 농수산물가공산업육성및품질관리에관한법률의 규정에 근거를 두었기 때문에 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에 종전의 규정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도 농산물의 인증제도만 규정하고 있어서 유기농산물과 유기가공품에 대한 관리제도가 서로 다른 법률의 규정을 받게 된 것이다. 유기농산물가공품에 대한 표시기준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의 식품등의표시기준 고시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한편, 국제기준인 Codex가이드라인 및 다른 나라의 유기식품 관리제도는 하나의 법률과 규정을 가지고 농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JAS, 미국의 NOP, EU의 EEC No.209291규정 등에서도 같다. 인증기관 의 운영제도 또한 ISO Guide65 등의 기준을 준용하여 제3자 인증기관이 인증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국제적으로 유기식품의 관리제도 및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기관인 국제유기농업연맹(IFOAM)의 유기생산 및 가공에 관한 기준을 보면 작물, 축산, 어류 등으로 대상이 광범위하며, 민간기관 인증기준의 기초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odex 유기식품가이드라인 제정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IFOAM은 검사체계 및 인증제도의 시스템을 통일하여 유기농산물 및 유기식품의 국제간 무역을 원활하게 하고자 국제보증시스템인 IOAS (International Organic Accreditation Service)를 운영하기로 하고 ’97년 2월에 독립기구를 설립하였다. 미국 델라웨어에 본부를 둔 비영리 기관이며, 미국, 영국, 스페인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인증기관에 대한 인가기준은 ISO Guide65에 의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 유기식품 관리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유기식품 생산에 대한 기본 이념의 정립되지 아니한 점, 제도의 법률적인 면에서는 유기가공식품 표시·인증제도 도입 필요하며, 민간인증기관 지정의 어려운 점, 인증기관 지정 기준의 미흡, 유통업자 및 취급자에 대한 인증제도의 미비한 점, 유기농업에서의 자재 사용에 관한 규정이 미흡한 점, 특히 인증농가들이 인증기준을 위반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는 점 등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정부가 올바른 유기농업을 선도하기 위해 취해야 할 정책으로는 첫째 유기농업에 대한 정의를 다시 정하여야 한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는 유기농산물, 전환기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등으로 구분하여 이들 전체를 친환경농산물로 분류하고 있어, 흔히 친환경농산물과 유기농산물을 같은 개념으로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아직도 유기농산물에 대하여 국제적인 기준인 Codex가이드라인의 순환농업적인 개념을 도입하거나, 허용자재의 사용기준 등에서 미흡한 부분을 정리하지 않고 있으며, 식약청 고시에 의한 유기식품의 표시기준에서도 “유기농업” 및 유기농산물에 대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선 유기식품이란 정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우리의 현실에 알맞은 개념화를 먼저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는 유기농산물과 유기가공식품으로 구분하여 관리되고 있는 제도의 통합이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하면 유기농산물은 국내산 및 외국산 구분없이 인증을 받아야 유기표시를 할 수 있는 강행규정으로 인증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농산물 인증제도 및 유기가공식품 표시제도 등으로 흩어져 있는 관리 체계를 통합하는 일이다. 유기농산물(식품)의 표시제도는 국제적인 기준인 Codex가이드라인 및 다른 외국의 유기식품 검사·인증제도에 관한 규정과 같이 유기농산물과 유기가공식품을 포괄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식품위생법, 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 등으로 분산하여 규정하고 있는 현행제도를 알기 쉽게 하나로 통일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는 소비자 지향적이고 국제기준에 적합하게 우리의 유기농 및 유기가공품기준을 검토하는 한편 우리의 여건을 국제기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우리의 유기농업 및 유기가공식품 제조와 관련한 현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우리의 현실을 반영한 국제기준을 제정하는데도 더욱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는 유기농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세계 유기농산물 시장에서 가장 큰 수입국인 EU, 일본 등에서는 자국의 농업인 보호를 위하여 생산지의 안전성 관리를 위한 장비·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자금 지원과 세제혜택, 유기농가 직접지불제 지원금액 확대 등의 농가지원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유기농산물에 대한 표시·인증제도의 도입에 따른 부담이 생산농민에게만 일방적으로 전가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보완장치 마련이 이루어져야한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직접지불제 지원금액을 대폭 인상하여 유기농업 실천 농업인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유기농 인증품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하여야 한다. 인증농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인증을 담당하는 농관원과 민간인증기관에서 인증을 심사하는 심사원과 업무담당자는 모자라는 실정이다. 유기인증자의 영농관련 기록을 의무화하고, 투명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영농관련 기록의 투명성을 통해 심사 및 사후관리의 일차자료가 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고, 단위 생산량, 생산계획량, 출하량, 등의 명확한 기록과 적정성을 판단하여 거래처에 대한 추적조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는 인증 심사원의 규정을 보완하고 인증심사를 철저히 하도록 하여야 한다. ISO Guide65 등의 규정을 준용하거나, 산업표준화법 등에서 규정한 인증심사원의 자격기준, 교육방법, 자격증의 등록 등을 원용하여 유기식품 산업 현장에서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유기농산물 및 유기 가공식품의 관리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유기농업 및 유기 가공식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dex 유기식품 가이드라인은 유기식품에 대한 국제기준으로 유기식품의 국제교역 증진과 우리나라의 유기식품 기준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유기농산물의 생산기반이 아직도 취약한 우리의 현실에서 자칫 외국의 유기농산물이 우리 시장을 장악하는데 오히려 도움을 주는 기준으로 작용할 우려도 없지 않다. 유기식품 관리체계에 대한 보다 많은 현장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 The average farm is 1.4 hectares per family. During the past 40 years we have had the highest pesticidechemical fertilizers use worldwide. Increasing demand for food production has resulted in the application of more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 in agricultural practices. But actually pesticide and chemical fertilizers improve yields. Like this, intensive agriculture practices have caused environment problems such as excess residual nitrogen in cultivate farmland and pesticide residue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certification system is used to verify the labeling of, and claims for, organically produced foods. In this regard, the Korean government has set up many institutional mechanisms in forms of laws and regulations to administer and enforce certification system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established both supporting and regulatory systems to encourage farmers to participate in and to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In 1992, the Korean government first introduced a government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conventional agricultural products. Thereafter, with the increase of concerns about consumer food safety, the government introduced a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1993), and low-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s (1996) under the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In 1997,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EAPA) and adopted Labeling registration system for Organic. In the late of 1998,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Regulation of the EAPA was enacted to set an institutional basis for fostering organic agriculture in Korea. Organic must be certified by the CBs, CBs are Government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and Private CBs. And to quit labeling registration system for Organic. Labeling registration is valid until June 30, 2003. Under this Act, those who produce or import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indicate the figure or character of thes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must get certification from the certification body. In particular, certification regulation for unprocessed organic products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CODEX. 2. Marketing of Organic Products Thanks to a wide array of government organic policy programs, the number of farms and cultivating areas based on organic farming has been increasing very rapidly since the late-1990s. In 2003, the number of farms that produced organic products, including transitional organics, stood at 2,700, while the land area was 3,300 hectares, or about 0.2 percent of the total farmland area. It is estimated that the annual rate of increas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en more than 30% since 1998. In addition, farmers have been developing new types of sustainable farming practices. In addition to general organic farming, rice cultivation practices which use ducks or freshwater snails, and clean farming practices for water- land vegetables have been widely adopted by farmers who are producing differentiated agricultural products. More than 2,700 farms adopted such farming practices in 2003.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organic products in market place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due to the high concern for food safety and the environment. 3. Certification Procedures In order to get certification, three procedural steps are necessary: first, every farmer must summit his farming plan to the local NAQS office or authorized private organizations before starting organic farming. Then, the local NAQS office or authorized private organization should review the plan; second, the local NAQS analyze the farms soil and irrigation water, etc. third, the local NAQS analyzes the final products to make sure that there are no pesticide residues and that no chemical fertilizers have been applied in the process of farming. Farmers who pass these three required procedures can use the certified organic label. In connection with marketing organic products, there was a need for certification that acts as a guarantee for consumers. Subsequently, an institutional label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organic and othe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s together with public controls on production and marketing. Only certified farms are permitted to market these products. Product control is enforced in the form of on-farm checks and product checks by the inspection agencies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4. Certification System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he Organic Certification is a system in which reliable certification institutions examine the farms, farm units and their products under strict standards in order to select better and safer agricultural products for consumers. The Organic agricultural certification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crop and livestock products. The crop products include organic products, pesticide-free products, and low-pesticide products. The livestock products category includes organic products and transitional organic products. Within agricultural product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es for certification and labeling systems are varied. For instanc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based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but their processed foods are based on the Food Sanitation Act. As a result, certification and labeling regulations on organic foods are different. As of 2002, NAQS allows private organizations to certify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t present, there are eight private certification bodies accredited by NAQS. The proportion of private certification bodies is around 8% of the total. NAQS is ready to accredit more private certification authorities, but there are an insufficient number of qualified institutions. Furthermore, because consumers prefer the government-issued certification to the other private certifications, the government has had the difficulty encouraging private certification. 5. Problems & improvement strategies The basic problem on regarding management of organic is that the main idea does not have been made a proposition on organic production. In the legal respect on the organic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rganic processed food certification system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esignate the private certification body. Also, it is not quite satisfactory in designating the private certification bodies. The retailer and handler of the organic products can not apply the organic certification. The regulation regarding the materials use in organic farming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especially the certified organic farmers frequently violate the organic regula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and enhance the organic farming, the first thing, which the government takes out, is to make the definition for organic farming.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it divides into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ransitional to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pesticide free agricultural products and low 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s so that these who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word 'organic.' It is used frequently the same concept in the actual condition that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the same. It is very confused for farmers and consumers. Yet, there is insufficient things on organic regulation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that introduce the circulating agricultural concept of the Codex guideline and it does not arrange the use standard of the permission materials on organic.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not the definit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t the regulations of the organic food in the KFDA. So, It is needed to collect the various opinion, and at first to make the proper concept in our actuality Second, it is necessary an integr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divided into th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organic processed foo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th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hat have been first certified are possible to indicate organic, it adopts an enforcement regulation that is the domestic products and imported product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management system that has been scattering with an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organic processed food labeling system. Th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as if the international the Codex guideline and the different foreign nation adopted a standard with the regulation regarding a system togethe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food. The current system which disperses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and the food sanitary act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industrial promotion act must be unified, which everyone knows easily. Third, the national organic standard and regulation must be focused on consumers'' intention, and it adjusts the international standard. We should try to have influence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We accurately recognize the present condition which relates with our organic farming and an organic food processing manufacture. Also we should endeavor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tandard which reflects our actuality. Fourth, there must be the strengthened support for the organic farmer. The EU and Japan, which are the biggest importing countries from worldwide organic market, strengthen the policy-supporting countermeasure of the funds, which can establish a facility and increase the organic farm direct payment. There must be an accomplished complement system. The charge that follows in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should not be unilaterally imputed in the organic farmer. It increases the direct payment amount of money for the environment agriculture. It becomes the substantial support for the organic farmer. Fifth, there must be a strengthened management for organic certification products. The organic farm is increasing rapidly, but the officials who take charge of organic inspection in NAQS and ACBs are not sufficient. Some of the certified farmers don''t occasionally keep the regulations. we should inspect the organic farm thoroughly and to supervise the certified farmers to follow the regulations for the quality of the certified products. We should make it farmer’s duty to record the farming practices, production volume per each farm unit, production plan, shipping quantity, etc. It should be possible to take the traceability. Transparent characteristic of engaging in agriculture relation recording leads the natural features which are the possibilities becoming the primary data of mind. There should be to strengthen the support for the EFAP farmers, and increase the direct payment amount of money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nd organic farmers. and to reduce the expense for certification Sixth, we must complement the regulation of the inspector and inspect thoroughly the organic farm for certification. We adapt the regulation of the ISO Guide65, or the qualification criteria, qualification standard, and instructional method of the judge in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The Codex organic guideline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expected with the fact that promotes international trade of organic, gives us the opportunity to adjust the organic food standard for our country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Yet, the production bas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is at the slightest place, it will rather give a help to th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foreign countries that seize our market. There must be a more accomplished research to the organic foo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presented an improvement program and a policy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system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organic processed food. But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necessarily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and organic food processing.

      • 친환경농업 참여 실태 및 생산 효율성 분석 연구

        김하연 전남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86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현황을 알아보고, 친환경인증농가와 일반관행농가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인증제도 만족도, 친환경농업 실천의 어려운점, 친환경농업의 전망, 친환경농업의 해결과제 등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수는 2017년 59,423농가에 이르렀으나, 2022년도에는 50,722농가로 점차 감소하였다. 유기농산물 인증건수와 농가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농약 농산물의 인증건수와 농가수는 크게 감소하였는 바, 무농약 농산물 생산 농가의 일부는 유기농산물로 전환하고 상당수는 인증을 포기하고 관행농으로 복귀하였음을 나타낸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의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농가의 평균연령은 63.8세로서 평균 농업 종사기간은 28.1년이었다. 평균 경작 면적은 1.6 ha로서 연평균 생산량은 20t이었으며 생산금액은 5,135만원이였다. 수익성 전망을 조사한 결과 66.3%가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친환경농업을 위하여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생산물의 대한 적정한 가격 보장(73.5%)이 가장 큰 요인이였다. 친환경농업 참여농가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참여 의향을 조사한 결과, 경쟁력있는 인증종류로는 유기가 무농약의 3배에 달하였고, 재배품목은 과실류가 55.6%로서 가장 많았다. 친환경농업에 참여한 동기로는 친환경농업의 차별성(25.6%)과 지자체 요구(25.6%)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자부심을 갖는 요인으로는 인증품의 부가가치 증가(53%)와 환경보전(31.3%)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친환경농업 참여농가와 비참여농가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친환경농업에 참여하는 농가가 비참여농가보다 연령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생산품목은 친환경 농가는 과실류가 가장 많았고(51%), 비참여 농가는 곡류(45%)가 가장 많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친환경농업 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중장년 농업인의 친환경농업 참여도가 높아서 이를 유지 제고하기 위해 영농활동이 왕성한 중장년 농업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정례화하여야 한다. 또한, 소규모 농가의 친환경농업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향후 친환경농업의 경영비 절감을 위해서라도 친환경농업의 규모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농업 참여농가의 농업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친환경농업 인증경력이 매출액으로 연계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었고, 친환경농업의 규모화가 친환경농업 매출액을 높이는 요인으로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농가의 생산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중장년층 경영주, 영농규모화 요인이 생산효율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친환경농산물 프리미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향상 및 판매전략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 difficulties in practic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spects and problems to be solved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mong environment-friendly certified farms and general practice farms. The number of farms certified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reached 59,423 farms in 2017, but gradually decreased to 50,722 farms in 2022. As the number of organic product certifications and the number of farms increased, the number of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s and the number of farms decrease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farms producing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gave up certification and returned to conventional farm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on the production status and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average age of farmers was 63.8 years and the average period of farming was 28.1 years. The average cultivation area was 1.6 ha, the average annual production was 20 tons, and the production amount was 51.35 million won. As a result of a survey on profitability outlook, 66.3% responded that it would be similar to the current one. Among the tasks that needed to be resolved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e biggest factor was ensuring an appropriate price for products (73.5%). As a result of a survey of farmers participating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on the production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most competitive certification type was organic, which was three times more than pesticide-free, and the most common cultivated item was frui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was the differentiation of environment-friendly farming (25.6%) and the demands of local governments (25.6%), while the reasons for pride were increasing the added value of certified products (53%)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31.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farms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t was found that farms participating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were younger than non-participating farms. The most produced products for environment-friendly farms were fruits (51%), and grains were the most common (45%) for non-participating farms,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using survey data, it was determined that middle-aged farmer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was high, so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for middle-aged farmers with active farming activities was needed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small-scale farms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was relatively high, showing that it is necessary to scale u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order to reduce management cos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gricultural sales of farms participating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certification experience is linked to sales, and the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significantly acted as a factor in incre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sa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farms,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middle-aged managers and farming scale positively affect production efficiency, an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consumer awareness of the premium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sales strategies.

      • 친환경농산물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양시윤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근대 산업발달로 도시 근로자들의 식량부족과 농촌 노동인구 부족으로 인해 식량의 상품화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자연 순환을 어기고 투입만으로 대량생산을 이루기 위해 각종 화학비료가 투입되고,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농업이 집단화를 이루면서 단작을 하였다. 농약사용은 OECD 국가중 가장 많은 양을 사용하고, 각종 호르몬제를 이용해 과일의 맛과 향까지도 조절해가며 생산량을 늘려왔다. 이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환경오염과 일반농산물의 안전을 보장 받지 못하면서 겨 우리의 식탁까지 위협을 받고 있다. 일반농산물의 안전성과 반 환경적인 문제의식이 웰빙바람과 맞물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적으로도 국제식품안전규정에 맞는 농산물을 생산 해야하는 것과, 도농간 소득격차 등을 해결하고자 친환경농산물 육성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정부가 추진하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제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문헌도 또한도 구매 의사결정 전 과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고,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이용 주부들의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 기초하여 욕구발상은 욕구인식 요인으로, 정보탐색은 정보원천 요인에, 대안평가는 속성의 중요도에, 구매결정은 구매의도 및 구매결정, 구매후 평가는 만족도, 재구매, 추천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도시 주부들의 인지적 과정에 기초한 기술적 연구로서, 성공가능성 모델을 구축하는 근본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 및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된 응답 수는 376명이며, 연구목적에 따라 SPSSWIN 17.0 및 AMOS 7.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4Ps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제품 전략은 건강보다 환경을 강조한 제품임을 강조하고, 인증마크가 들어간 제품을 유통시키고, 안전성과 신선함을 강조한 친환경농산물을 차별화 한다. 가격 전략은 정기적인 할인 장터(몰)을 운영하고, 1회 구입 한도에 맞는 소포장 제품을 유통하며, 일반농산물과 적정 가격을 유지해야 한다. 경로 전략은 대형마트내에서 친환경농산물 코너를 확실하게 분리하고, 구전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이 시스템으로 구비되어 있는 점포에 납품한다. 촉진 전략은 친환경농산물 TV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인터넷은 인증제도, 인증마크 등의 확실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집중하며,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노력을 통해 신뢰도 제고를 이룰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추출의 한계, 많은 설문항, 주부 응답자들의 불성실, 보통수준이 많음 등의 한계가 있으나, 단편적인 과거 연구와는 달리 구매 의사결정 전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 유기농산물 참여인증시스템(PGS) 도입 방안 연구

        김우영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which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single third party eco-friendly certification focusing on post-management, measures for securing competitiveness such as local fruition, And to introduce the way of introduction in Korea.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is an integrity-based system that starts from a trust-based system. It is an area-based quality assurance system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haring of vision, participation base, transparency, trust based on integrity, This system has the important features of 'learning process' and 'horizontal system',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norm', 'label', 'producer conformance mechanism', 'documented management system and procedure', 'Support mechanism'. In the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groups such as farm families and regional groups, regional committees, and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s perform their respective roles, powers, and responsibilities.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has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cause it has a basic structure for accessing group authentication or third party authentication systems. The number of PGS related producers worldwide is 311,257 in 61 countries in 2017, with 76,166 certified producers in 43 countries. The initiative operates in 123 of 41 countries and 115 of 39 countries. Countries in emerging economies such as Brazil, Mexico, India, and Vietnam have a cooperative system to legislate and support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in peasant organizations, NGOs, and local governments. Groups of advanced market countries such as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Korea have strict production standards and operate their own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even when they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national support.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builds a common culture through participation, fosters collective improvement of customary production methods, promotes regional and territorial dynamics, provides information for consumers to purchase organic produ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on of women in particular, an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is an external problem related to resistance to entry into a market built around existing third party authentication, There is an internal problem associated with the limitations of human, material, and temporal resources needed to inspect and evaluate the production process on its own. Domestic organic agriculture has regional challenges such as restoring the credibility of certification system and preventing national accidents such as safety related accidents and establishing stable supply system for stable production base of local organic foods. In addition, there are requirements of producers such as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ing domestic organic farming environment and stable supply chain, and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trustworthy safe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problem is to expand from the state-led single certification system to a variety of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local and private led, to establish local certification system for stabl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establish an environment where consum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site and certification process directly or indirectly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nd trust. Finally, producers should be able to organize through community organizing activities Improve farming methods,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provide transparent and diverse production information to consumers.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will be effective in introducing the local(local government) centering on the consumer(organization). The likelihood of success of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can be highly dependent on the consumer particip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pecific(fixed) consumer groups such as co-ops and schools that have a specific consumer group in which local(local government) can participate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stable distribution network by participating local producers(organizations) who have their own production and shipping principles and who have experience in circulation and exchanges with consumer organizations such as co-ops and schools. It is necessary to induce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to play a role of facilitator to establish mutual trust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by playing role such as technical support, education support and organization support based on region.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system to provide the production, quality, price, and safety information needed for the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system of organic food to each area, in order to support the region-led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ro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Regional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and to review and coordinate the role of the relevant agencies. Organic agriculture budgets need to be improved with the budget for organizing farmers and the budget for promoting consumer particip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ways to separate the subsidy system attached to the results of the pesticide testing so that it can be properly paid according to the process evaluation and the result evaluation. Converting consumer awareness and restoring trust is the biggest project to be expected when introducing the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PGS) as well as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in the local government by referring to cases of successful private governance. It is time for an alternative system aiming at improving organic farming reality in Korea, restoring philosophy and exercise dynamics, securing food safety, restoring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of agriculture, recovering trust of whole agricultural system, and changing consumer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approach the Participation Certification System (PGS) as a system that can meet both the organic philosophy and the activating aspect and the organic market activation aspect at the same time. 본 연구의 목표는 사후관리에 집중되고 있는 현행 단일적 제 3자 친환경 인증의 대안, 지역 과실류 등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 지역별 먹거리 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 등으로 제시되고 있는 참여인증시스템(PGS)의 특징과 효과, 과제, 전 세계 도입 사례를 탐구하고 국내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참여인증시스템(PGS)은 신뢰 기반에서 출발하는 무결성 기반의 시스템이며, 지역 중심의 품질 보증 시스템으로, ‘비전의 공유’, ‘참여 기반’, ‘투명성’, ‘무결성에 기반한 신뢰’, ‘지속적 학습 과정’, ‘수평적 시스템’이라는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규범’, ‘라벨’, ‘생산자 준수 확인 매커니즘’, ‘문서화된 관리 시스템과 절차’, ‘비준수에 대한 정의 및 결과’, ‘지원 매커니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여인증시스템(PGS)에서는 농장 가족과 지역 그룹, 지역 위원회, 국가 조정위원회 등의 그룹이 각각의 역할과 권한, 책임을 수행한다. 참여인증시스템(PGS)은 그룹 인증 또는 제 3자 인증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호간 보완적 관계에 있다. 전 세계 참여인증시스템(PGS) 관련 생산자 수는 2017년 61개 국가에서 311,257명, 인증 생산자 수는 43개 국가에서 76,166명이며, 이니셔티브는 41개 국가의 123곳에서 운영 중에 있으며 39개 국가의 115곳에서 개발 중에 있다. 브라질, 멕시코, 인도, 베트남 등 신흥개발국 그룹의 국가들은 농민단체와 NGO, 지방 정부에서 참여인증시스템(PGS)을 법제화하고 지원하는 협력체계를 보이고 있으며, 프랑스, 미국, 한국 등 시장선진국 그룹의 단체들은 국가보다 엄격한 수준의 생산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지원 범위에서 배제되는 상황에서도 자체적 참여인증시스템(PGS)을 운영해오고 있다. 참여인증시스템(PGS)은 참여를 통해 공동의 문화를 구축하고, 관행화된 생산 방법의 집단적 개선을 촉진하고, 지역 및 영토 역학을 촉진하고, 소비자의 유기농산물 구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농가에 권한을 부여하고, 특히 여성들의 지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발견되고 있으며, 기존 제 3자 인증을 중심으로 구축된 시장에 진입하는 것에 대한 저항과 관련된 외부적 과제와 제 3자 인증기관에 위탁하지 않고 스스로 생산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인적, 물적, 시간적 자원의 한계와 관련된 내부적 과제가 발견되고 있다. 국내 유기농업 부문에는 인증제도의 신뢰성을 회복과 안전성 관련 사고 예방 등 국가적 과제와 지역 유기농식품의 안정적 생산기반 지원 안정적 공급 시스템 구축 등 지역적 과제가 있으며, 국내 유기 농업 환경을 고려한 인증제도와 안정적 공급망 등 생산자의 요구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식품을 구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은, 국가 주도의 단일 인증 시스템에서 지역과 민간 주도의 다양한 인증 시스템으로 확장하고, 지역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 유통하기 위한 지역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양방향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소비자가 생산 현장과 인증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이해와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생산자는 공동체 조직화 활동을 통해 농법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높이며 소비자에게 투명하고 다양한 생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참여인증시스템(PGS)은 지역(지방정부)에서 소비자(조직)를 중심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참여인증시스템(PGS)의 성공 가능성은 소비자의 참여 여부에 크게 좌우될 수 있으므로, 지역(지방정부)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특정된 소비자층이 형성되어 있는 생협과 학교 등 특정(고정)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체적 생산 출하 원칙을 갖추고 생협과 학교 등 소비자 조직과의 유통 및 교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지역 생산자(조직)의 참여로 안정적 유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농업 관련 기관들이 지역을 기반으로 기술 지원, 교육 지원, 조직 지원 등의 역할을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상호간 신뢰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는 지역이 주도하는 참여인증시스템(PGS)을 지원하는 역할로 유기농식품의 생산-유통-소비 체계에 필요한 생산, 품질, 가격, 안전성 정보를 각 영역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의 참여인증시스템(PGS) 도입에 필요한 법적 제도적 지원 역할을 하고, 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점검하고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기농업 관련 예산은, 생산 부문에 집중되어 있던 것에서 벗어나 농민 조직화를 위한 예산과 소비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예산 등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농약 검사 결과에 귀속되어 있는 지원금 제도를,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에 따라 정당하게 지급될 수 있도록 분리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인식을 전환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 참여인증시스템(PGS) 도입 시 예상되는 가장 큰 과제이므로, 성공적 사례로 평가받는 민관거버넌스 사례들을 참고하여 지역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국의 유기농업 현실 개선, 철학과 운동의 역동성 회복, 먹거리 안전성 확보,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다양성 회복, 농업시스템 전체의 신뢰 회복, 소비자 인식 전환 등을 목표로 한 대안적 제도가 필요한 시기이며, 참여인증시스템(PGS)을 유기농 철학과 운동 활성화 측면과 유기농 시장 활성화 측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 친환경농산물 지식과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스마트모바일 정보역량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최경희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소비자들은 재화를 소비함에 있어 재화에 대한 완전한 지식과 개념을 가지고 소비를 할까?’라는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친환경’이나 ‘유기농’용어를 잘못 사용한 사례가 뉴스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소비자들과 생산자들은 일반 농산물보다 가격이 더 높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갖고 있으며, 그 용어가 법적 관리대상임을 알고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고 있는지, 어떤 부류의 소비자가 더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함으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첫째, 일반 소비자들은 유기농 농산물이 친환경농산물의 한 분류로서 인증품에 한해 용어사용이 가능함을 인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이 용어가 갖는 사회·경제적 의미에 대한 관심도 및 그에 따른 정당한 대가의 지불의사 유무 등에 대한 것이다. 둘째로는 스마트모바일 정보화 역량이 탁월한 사람들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 정도도 높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대중스타의 위치를 넘어 오피니언리더로 인정되는 사람들의 친환경농산물 지식과 신뢰 수준에 대한 의문이었다. 넷째로는 식생활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이 다르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실증 검증을 위해 일반인 7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 중에서 성의 있게 응답된 555개의 표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상황 중 혼인, 나이, 최종학력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의 스마트모바일정보화역량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에 영향이 없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는 건강추구형이, 오피니언리더십에서는 리더십이 높은 사람이 친환경농산물 지식 또한 더 높았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신뢰도도 높았으며, 신뢰도가 높은 부류가 향후 구매의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주목할 특이점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를 인지하게 된 경로로서 ‘제품에 표시된 것을 보고’가 가장 많았다. 미인지 사유로는 ‘생산자 및 판매처, 관련기관의 홍보 부족’과 ‘나의 관심 부족’이 응답자의 74%를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내용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친환경농산물에 관심이 있는 인구통계학적 부류는 자가 조리에 관심이 있는 부류이다. 둘째로는 친환경농산물 지식의 전파 경로로서 모바일과 인터넷은 유용한 수단이 아니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중심형이거나 오피니언리더십이 높은 사람들의 친환경농산물 지식이 높았는데, 이들의 지식습득은 사전 학습에 의한 것보다는 실제 구매과정에서 알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은 구매 및 판매가 이루어지는 현장 중심적이어야 하며, 오피니언리더들을 활용한 마케팅 방안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물은 향후 친환경농산물 홍보와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참고 사항으로서의 용도가 기대된다. 한계점으로는 친환경농산물 구매 관련 제한요소를 명확히 밝히지 못했고, 실제 구매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조사도 반영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RFID를 이용한 친환경농산물 판매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재호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4

        Advanced countries are demanding the opening of Korea's agricultural product market through the WTO regime and free trade agreements. and Korea is domestically seeing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in school catering services. At this point of time, the research aimed at efficiently structur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based tracing agricultural product of POS system(TAPPOS) centered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considered consistent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emphasize korean agricultural communities efforts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farming. Projected effects of the structuring and operation of the TAPPOS in the stages of cultiva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as follows. First, the TAPPOS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korean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ir production to consumption, thereby earning consumers' reliability and differentiating them from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which lack such information. Also, the TAPPOS enables reverse tracing of problematic foods, thereby allows one to determine the causes, recollect and abandon problematic foods, and structure a safe chain of foods. Second, the TAPPOS enables one to manage the roll-out of agricultural products in connection with their production and cultivation history and thereby manage risks. Also, the TAPPOS can ensure the brand effects of providing safe agricultural products and earn consumers' reliability.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by faithful efforts of producers should undergo various steps from stores to consum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APPOS which furnished the expiration date, the original home, tracing agricultural product using tracing agricultural product code(TAPC)

      • 농산물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박미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7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 농산물 인증제인 친환경농산물 인증제의 인증마크와 GAP인증제의 인증마크, 미국 농무부 주관 유기농산물과 유기농 가공식품에 인증을 부여하는 대표적 인증제인 USDA인증제의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세부 목적은 첫째, 농산물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 이미지, 신뢰도, 구매의도, 추가지불의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세 가지 농산물 인증마크(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 GAP 인증마크, USDA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신뢰도, 구매의도, 추가지불의사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2013년 11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 경기 지역 거주 만 19세 이상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9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의 인지도는 인증마크의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GAP 인증마크와 USDA 인증마크의 인지도는 인증마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 GAP 인증마크, USDA 인증마크 모두 인증마크의 이미지는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 GAP 인증마크, USDA 인증마크 모두 인증마크의 신뢰도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 GAP 인증마크, USDA 인증마크 모두 인증마크의 신뢰도는 추가지불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 인증마크 간에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마크 인지도가 다른 두 인증마크의 인지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인증마크 간에 이미지, 신뢰도, 구매의도, 추가지불의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농산물 인증제 인증마크의 시장성과 효율적인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 소비자에게는 농산물 인증제와 인증마크에 대한 범국민적 교육과 홍보가, 생산자에게는 우수 품질 생산에 대한 자부심과 농가 소득 증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식품 안전과 건강한 먹거리의 기본이 되는 농산물 인증마크에 대한 연구를 실증적으로 다루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농산물 인증제의 인증마크에 대한 신뢰성이 추가지불의사에 영향관계가 있음을 규명한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