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적 놀이로서의 예술 : 랑시에르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황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9

        Under his notion of “aesthetic regime of art,” Jacques Rancière reinterprets the aesthetics of Kant and Schiller. In this light, “aesthetics” designates the discourse that identifies art from a specific standpoint. In the aesthetic regime originating with Kant, art is identified by its unique “mode of being,” accompanied by an aesthetic experience. Rancière’s aesthetic theory explains how politics and art which belongs to the aesthetic regime are interrelated. According to Rancière, art is political, for it deviates from the normative and hierarchical order of the existing world and opens up another sensible world that embodies freedom and equality. In Rancière’s discussion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aesthetic play explored in Schiller’s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kind appears as the main concept of aesthetics in two respects. The concept of the aesthetic play not only condenses the key formula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but also implies art’s mode of being, which realizes such politics in the aesthetic regime. This thesis aims to propose an aesthetic theory of art that defines art as the aesthetic play, based on the concept that Rancière discusses, which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Although Rancière provides only a fragmentary discussion of the aesthetic play that implies the “mode of being of art,” I define art as the aesthetic play, and elucidate its mode of being by exploring Kant’s and Schiller’s aesthetics underlying the aesthetic regime in the light of theories of play. Subsequently, I interpret Rancière’s theory of art as the theory of art as aesthetic play,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its specific suggestions. According to Kant, art brings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when it expresses an “aesthetic idea,” namely the sensible image that provokes much thought that cannot be grasped by any determinate concepts, and thus it can be regarded as “art” (schöne Kunst). I interpret the mode of being of art, which Kant defines as the expression of the aesthetic idea, as the aesthetic play that combines two kinds of play. Art is inseparably intertwined with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Schiller,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play of aesthetic contemplation. Moreover, art is the expression of the aesthetic idea that cannot simply be equated with natural beauty, and Gadamer suggests that it is the play of “expression for the spectat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 theory interrelating their thoughts, art exists as the play of the spectator who creates a unique world by actively interpreting the work, as well as by being absorbed in it passively, and thereby experiences aesthetic pleasure. Rancière translates Kant’s concept of the aesthetic idea into the concept of “pensive image.” I explain how art’s mode of being, when it is called the aesthetic play, appears in Rancière’s aesthetic theory by focusing on the pensive image that characterizes the art of the aesthetic regime. Rancière discusses two seemingly conflicting conditions of art images that realize the politics of art. On the one hand, it is the image created from active interpretation by the “emancipated spectator,” which cannot be anticipated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art is the product of the work of “fiction” that the artist intends. The concept of the pensive image explains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conditions. The art of the aesthetic regime exists in the manner of presenting a new sensible world, and giving aesthetic pleasure, by virtue of the image the spectator creates in the state between the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artist’s work and the passive experience of being captivated by the work, making the spectator feel and think many unintended things. The art of the aesthetic regime exists as the play of the spectator who views it pensively. To determine the whole picture of art’s mode of being that belongs to the aesthetic regime, namely, the aesthetic pla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Rancière’s discussions of the politics of art, the image of art, and the emancipated spectator by interrelating them. From this standpoint, I interpret his theory of art, including the discussions on these three themes, as the theory of art as aesthetic play. It is the theory that attaches political significance to the art that exists as the aesthetic play of the spectator. In conclusion, I argue that Rancière’s theory of art and the aesthetic regime on which he sheds new light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dvocate the “play” of the spectator emancipated from the normative discourses of art. 랑시에르는 칸트와 실러의 미학을 ‘미적 예술 체제’라는 개념하에서 조명한다. 이때 ‘미학’은 예술을 하나의 특수한 관점에서 식별하는 담론을 가리킨다. 칸트와 함께 시작된 미적 체제에서, 예술은 미적 경험을 수반하는 독특한 ‘존재 방식’에 의해 식별된다. 랑시에르는 미학과 정치의 연관성, 미적 체제에 속하는 예술과 정치의 연관성을 밝히는 이론을 제시한다. 그에 의하면, 예술은 주어진 현실 세계의 규범성과 위계질서를 벗어나 다른 자유롭고 평등한 세계의 가능성을 열기 때문에 정치적이다. 미학의 정치에 대한 랑시에르의 이런 논의에서, 실러가 『미학 편지』에서 논하는 ‘미적 놀이’는 두 가지 의미에서 미학의 주요 개념으로 등장한다. 미적 놀이는 미학의 정치의 핵심을 요약할 뿐 아니라, 미적 체제에서 그런 정치를 실현하는 예술의 존재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 논문은 미적 놀이에 대한 랑시에르의 논의를 단서로, 예술을 미적 놀이로 규정하는 미학적 예술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록 랑시에르는 ‘예술의 존재 방식’을 의미하는 미적 놀이에 대한 단편적 논의에 머무르지만, 이 논문은 미적 체제의 근간을 이루는 칸트와 실러의 미학을 놀이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방법으로, 예술을 미적 놀이로 규정하고 그것의 존재 방식을 상세히 밝힌다. 그다음 이 논문은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랑시에르의 예술론을 ‘미적 놀이로서의 예술’에 대한 이론으로 해석하고, 그것이 지금 우리에게 무엇을 제안하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본다. 칸트에 의하면, 예술은 ‘미적 이념’을 표현할 때, 즉 특정한 개념으로 규정할 수 없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이미지를 표현할 때 미적 경험을 가져오며, 그래서 ‘예술’(schöne Kunst)로 식별될 수 있다. 칸트가 미적 이념의 표현으로 규정하는 예술의 존재 방식을, 이 논문은 두 가지 놀이가 결합되는 ‘미적 놀이’로 해석한다. 실러에 의하면, 우리는 미적 경험과 불가분적 관계를 맺는 예술을 미적 관조의 놀이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예술은 자연미와 단순히 동일시할 수 없는 미적 이념의 표현이며, 가다머에 의하면 그것은 ‘관객을 위한 표현’의 놀이다. 칸트와 실러, 가다머의 이론을 연결하는 미학적 관점에서 보면, 예술은 그것에 대한 능동적 해석과 수동적 몰입 사이에서 하나의 독특한 세계를 창조하고, 그 속에서 미적 만족을 경험하는 관객의 놀이로서 존재한다. 랑시에르는 미적 이념을 ‘생각에 잠긴 이미지’라는 개념으로 재해석한다. 미적 체제의 예술을 특징짓는 생각에 잠긴 이미지에 주목하며, 이 논문은 그의 미학 이론에서 미적 놀이라고 부를 수 있는 예술의 존재 방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힌다. 랑시에르는 예술의 정치를 실현하는 이미지의 두 가지 역설적 조건을 논한다. 한편으로, 그것은 ‘해방된 관객’의 능동적 해석이 빚어내는, 예술가의 의도에 따라 예견할 수 없는 이미지다. 다른 한편, 예술의 이미지는 예술가가 의도를 담는 ‘허구’의 작업의 산물이다. 생각에 잠긴 이미지는 두 조건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설명해 주는 개념이다. 미적 체제의 예술은 예술가의 작업에 대한 능동적 해석과, 그것에 사로잡혀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하는 수동적 경험 사이에서 관객이 그리는 이미지를 통해 새로운 감각적 세계를 제시하며, 그 속에서 미적 즐거움을 주는 방식으로 존재한다. 미적 체제의 예술은 그것을 보며 생각에 잠기는 관객의 놀이로서 존재한다. 미적 체제에 속하는 예술의 존재 방식은 미학의 정치, 예술의 이미지, 해방된 관객에 대한 랑시에르의 논의를 연결할 때, 비로소 미적 놀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전모를 드러낸다. 이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세 가지 논의를 아우르는 그의 예술론을 ‘미적 놀이로서의 예술’에 대한 이론으로 해석한다. 그것은 관객의 미적 놀이로서 존재하는 예술에 정치적 의의를 부여하는 이론이다. 결론에서 이 논문은 랑시에르의 예술론, 그리고 그가 재조명하는 미적 체제가 규범적 예술 담론에서 해방된 관객의 ‘놀이’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갖는 의의를 살펴본다.

      • 디지털 우연놀이의 미학체계 연구 : MD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임해량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논문은 우연놀이을 도박이라는 문제적 행위로 인식하는 부정적 담론으로부터 탈피해 객관적 시각에서 미학적 가치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연놀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종교적 시각에서 우연놀이는 신의 뜻을 넘보는 불경한 행위였고, 근대 윤리관에서는 노동의 가치를 모욕하는 일탈적 행위로 읽혔으며, 현대에서는 병리학적 관점에서 중독 문제와 사행성을 문제 삼는다. 이러한 부정적 담론들은 우연놀이를 편협한 시각으로 재단하고 부정적 특성만을 강조하며 우연놀이 고유의 창조적 가치와 순기능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가로막는다. 우연놀이를 통해 현실의 운명을 통제한다는 환상을 향유하고 이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는 능동적 성질들이 묵인되는 것이다. 특히 고정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1:1적 결과만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게임에서 우연놀이의 메커니즘이 플레이어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들을 제시하는 등 경험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핵심축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이는 문제적이다. 우연놀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만이 범람하는 게임학계에서 우연놀이 미학체계에 대한 객관적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MDA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아날로그 우연놀이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연놀이가 디지털 재매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우연놀이의 메커닉과 다이나믹, 에스테틱 세 층위의 유기적 관계를 조망함으로써 디지털이라는 물리적 성질에 기인한 미학체계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경쟁놀이적 관점에 편향된 게임 미학체계 연구에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우연놀이의 무작위 메커니즘은 수동성과 능동성이 혼재된 복합적 미학체계를 구축하였으나 디지털 미디어의 한계로 무작위 메커니즘이 실질적으로 무작위적이지 않고 예측가능한 결과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음을 지적한다. 디지털 우연놀이가 단지 인식론적 차원에서 무작위적이게 변화함으로써 플레이어들은 무작위 메커니즘의 불합리함에 대한 불신을 가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아날로그의 복합적 미학체계를 와해시키고 말았다. 그러나 이는 디지털 미디어에서 우연놀이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는다. 디지털 우연놀이는 불신의 다이나믹을 바탕으로 플레이어가 실제로 무작위 메커니즘과 투쟁해 승리를 쟁취하는 새로운 미학적 실천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즉 디지털 우연놀이 고유의 미학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on discovering aesthetic of the game of chance(Alea) objectively, escaping from the perspective problematic gambling. The problematic perspective on game of chance has been spread through out long history. Playing game of chance was considered as disrespect to god in ancient time, deviation that offends labor value in modern time and nowadays, as pathological subject which is related to addiction and speculation. These negative discourses make people judge game of chance with narrow-minded view and therefore obstruct academic researches which talks about the positive function of Alea. It overlooks the creative value of game of play, which helps people face unpredictable future and overcome its primitive anxiety. Moreover, negative discourses are not helpful understanding digital games, as randomness is generally used as core mechanic which purpose is to vary player’s experience within deterministic digital algorithm. It is the time where obj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game of chance is needed in the academic world of game study. Therefore this study work on analyzing analogue game of chance with MDA framework, and try to reveal the change that has been made through digital remediation. Through out studying the organic relation of game mechanics and dynamics, the aesthetical change of digital Alea can be defined clearly and a new perspective can be suggested in the field study of game aesthetic.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 the complex aesthetic generated by random mechanics from analogue condition, and how these aesthetic framework have failed to work in digital condition. The randomness generated from the mechanic of Alea has changed to be epsitemic rather than ontologic, which means that player can now possibly predict the result of digital randomness. This made player to untrust the random mechanics of digital games and spoiled its aesthetic in digital condition.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game of chance is not worth in digital condition. Using the untrust of digital randomness, Digital Alea let player have fun from conquering the unfair system of digital randomness, which is not usual in analogue condition. This can be defined as an original aesthetic of digital Alea.

      • 프뢰벨 '놀이' 개념에 대한 쉴러 미학교육론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환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70

        본 연구는 프뢰벨 놀이 개념의 교육영향사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영향사적 이해 방식을 활용하여 프뢰벨 사상이 쉴러의 미학교육론으로부터 받은 영향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통해 프뢰벨 사상에 내재된 쉴러 미학교육론의 흔적을 밝힘으로써 놀이 개념을 포함한 프뢰벨 교육 사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시도하였다. 프뢰벨 교육 사상은 지금까지 교육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교육 사상은 유아 교육에 직접적인 공헌을 하였으며, 그가 제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은물은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프뢰벨 교육 사상에 대한 교육사적 관점의 연구는 그가 차지하고 있는 교육사상사적 위치와 대조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교육사상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영향사적 관점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프뢰벨 사상의 영향사적 연구를 통해 기존의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더욱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프뢰벨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쉴러 미학교육론에 대한 조명을 통해 기존 교육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쉴러 사상에 대한 논의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씨름의 미학적 고찰

        정민혁 용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15854

        본 연구는 씨름에 의한 신체의 움직임과 신체와 환경의 관계성, 그리고 승리하고자 하는 경쟁심에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의미가 담겨져 있을 것이란 가설 하에 연구가 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고자 기존의 미학과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였으며, 현역 씨름선수들과 면담을 통하여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씨름의 본질, 미학의 의미, 경험에 따른 미적현상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씨름의 동작 미, 공간 미, 경쟁적인 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씨름의 미적 의미를 부여하여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작미는 씨름선수가 동작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현상을 체험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경기장에 들어서는 선수들의 몸 동작과 경기 전, 또는 승리 직전의 선수들 특유의 몸놀림, 그리고 경기 중에 나타나는 힘의 표출, 힘의 대칭(對稱)상태, 그리고 빠름과 느림은 씨름만의 미적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몸 동작과 발 동작, 힘의 표출 등을 나타내는 미적의미는 씨름의 기술동작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씨름의 기본기술인 손 기술, 다리 기술, 허리 기술 등의 외적인 표현은 씨름에 의한 동작에서 미적인 부분을 표출하고 있다. 둘째, 공간미는 원형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경기장을 중심으로 발생되며 경기장은 원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신체를 움직여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의 연속선상에 있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환경은 관중과 선수와의 공간성을 친밀히 하여, 선수자신이 관중과 자신과의 공간성 안에서 서로에게 관심을 나타내는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올바른 심판관의 모습을 통하여, 공간적 관계에서 내적인 아름다움이 표출되기도 한다. 셋째, 경쟁적인 미는 씨름의 스포츠적 성격을 나타낸 의미가 있다. 스포츠는 경기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씨름경기는 철저하게 경기규칙을 적용하여 경기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기진행은 승리해야 하는 경쟁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쟁적인 요소는 씨름선수의 경기수행에 있어서 완벽성(完璧性)을 유도(誘導)하고 있다. 이러한 완벽성은 씨름경기의 경쟁성을 통해서 미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start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intention of showing beaty comes from body motion of wrestling, the relation of body and circumstances and a spirit of competition. For this study Aesthestics itself and related documents have been analyzed with interviewing of wrestlers. This study has dealt with wrestling's nature, the meaning of aesthestics, Phenomena of aesthestics from experience and on the base of the results the beauty of wrestling motion, the beauty of space, and the beauty of competition have been analyzed and also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aesthestic factor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beauty of motion is showed while wrestler performs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 wrestlers' body motions in entering a stadium, unique gestures before playing a match and just before gaining a victory, exposure of power during the match, symmetry of power of two wrestlers, quick and slow motions. The beauty of body and feet gestures is colsely connected with technical actions of wrestling and also the techniques of hands, feet and waist express many aspects of beauty in wresting externally. Second, the beauty of space is from a stadium which has a round shape. The stadium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various body motion according to time and space.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ime and space makes wrestlers and spectators close. Wrestlers themselves reveal the beauty by having concern about the spectators. And impartial referees showing interior beauty from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d spectators. Third, The beauty of competition have the meaning of sporting nature in wrestling. Sports should have urles. Wrestling absolutely is played by maintaining rules and also such sports are competitive. This kind of competition makes the performance of wrestlers be perfect. The beauty comes from this perfection

      • 장자의 미학사상을 통해서 본 민중의 미의식 연구 : 밀양백중놀이 병신춤을 중심으로

        고민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3135

        밀양백중놀이의 병신춤은 다른 지방의 춤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병신을 개성 있게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병신춤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밀양지방의 地理的, 史的 特色과 맞물려 공동체성에 대한 연구, 춤사위에 대한 연구, 놀이 문화적 측면만 이루어졌을 뿐이다. 춤은 춤추는 사람의 사고와 그 깊이, 예술가의 체험이나 감정, 철학적인 사상성이 어떠한 형태로든 그 춤에 배어져 나오기 마련이다. 춤에 배어있는 사상이나 감정의 핵이 무엇인가를 따져 보는 작업에 있어 대다수의 민중과 문화, 예술간의 정체성을 가장 적절히 설명해 줄 수 있는 분야는 철학이다. 이 논문은 병신춤의 예술적인 면을 고찰하여 이것을 장자의 미적의식과 상통하는 바를 찾아 철학적·사상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병신춤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장단의 첫 박자에 액센트를 주고 넘어질 듯 걷는 걸음걸이와 둘째, 양반에 대한 반항적 익살이 무언의 몸짓으로 표현되어 그 표현이 강렬하고 직설적인 모습과 셋째, 엇박 장단에 맞추어 병신 흉내의 춤을 제각기 추면서도 전체적인 통일성을 보여주는 특성이 있다. 병신춤과 장자의 미의식의 상통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밀양백중놀이 병신춤의 미적 특성은 醜의 美이다. 莊子는 정신에 앞서있는 외형과 온전하지 못한 외형을 비웃는 사회, 그러나 훌륭한 덕은 외형의 畸醜를 의식하지 않게 한다는 평등의식으로 이야기 하면서 醜를 美의 대립개념으로 취급하지 않고 단지 상대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외형의 상대적 美醜의 개념과 평가에서 벗어나 오직 德으로 인해 더욱 빛나는 인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병신춤을 다시 한번 바라본다면 밀양백중놀이 병신춤에 등장하는 병신들은 내면의 덕성을 바탕으로 외형적 畸醜를 뛰어넘어, 더 이상 소외와 불평등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될 당시 사회의 대다수 민중의 자유를 대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정상인들에게 외형의 畸醜를 뛰어넘은 내면의 덕성을 요구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둘째, 自由의 美이다. 밀양백중놀이의 병신춤은 다양한 개성과 춤사위의 파격, 무정형 속의 통일성이라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색을 가진 병신춤을 추는 이유를 莊子의 逍遙遊를 바탕으로 논했다. 인간의 온전한 생을 위협하는 현실 생활의 모든 것에서 벗어나 자유와 해방을 맛보고자 하는 민중들은 도에 대한 체득을 통하여 유한에서 무한으로 향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의 정신은 자유와 해방을 얻게 되는 것이다. 셋째, 素朴의 美이다. 병신춤의 변화무상하거나 화려하지 않은 장단과 적당히 얼버무리는 식으로 비춰지는 춤사위, 단순한 일복 또는 평소 생활 그대로의 의상, 특색 있으나 소박한 생활모습의 연장선으로 보이는 사장고와 물장고, 목발장고 등에서도 저항으로서가 아닌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소박한 채로 있어도, 천하에는 그와 미를 다툴 상대가 없다."는 장자의 '무엇에도 대적할 수 없는 소박'을 향한 민중들의 미의식을 느낄 수 있다. 넷째, 生動의 美이다. 병신춤은 덧배기 장단에 의해 맺고 푸는 것을 개인의 의지와 역량에 따라 반복하는 즉흥적인 변화가 많은 춤이라 할 수 있다. 세상의 변화와 운명의 흐름을 변화에 그대로 맡겨둔 채 상관하지 않음으로 보존되는 우리 마음의 조화를 바탕으로 한 병신춤은 '천지 밖에서 노니는 생동미'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調和의 美이다. 병신춤은 각 배역들에 충실한 표정과 동작이 추함이 아닌 미의 범주 안에서 和를 이루고 있다. 장자는 인간의 정신적인 면의 완전한 조화란 도의 실현이며 본연의 회복이라 말한다. 이와 같이 밀양백중놀이 병신춤을 동양의 철학사상을 바탕으로 한 미학적 연구는 한국의 민속 문화의 세계화와 보편화 작업에 있어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장자의 철학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해방의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과거 피지배계층이자 국민의 대다수인 민중들의 문화와 예술을 재조명하는 작업은 우리문화의 연원을 파악하는 연구들에 있어 단초를 제공하리라 본다. 또한 다양한 전통예술과 문화속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민중과 그들의 삶 자체를 더욱 다양하고 가치 있게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Human being make their personal lives and feel the force of universe and the change of four seasons and whole world on the ground of philosophy. Because I think that only philosophy can approach culture and art which are made from the way of our lives, and only approach with the Orientalism and Oriental philosophy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of Korean people, culture, ar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so I made this thesis. Byungsinchum the disabled person's dance in Milyangbaekjoong-nori that danced for a long time in Milyang province is related to regional and historical trait of Milyang, and expresses so many disabled person more characteristically than that of any other province, so it has enough value to study. Already, in the view of community, action of dance, or recreational culture, there are so many study about it, but there is no study on the ground of the Orientalism and Oriental philosophy. In theoretical study of the main subject , I explain the origin of word of back-jung in Milyangbaekjoongnori which play at Backjungil, July 15th in terms of lunar calendar as people's heel which turned white when they worked so hard in agricultural affairs by fork etymology. Byungsinchum in Milyangbaekjoongnori has most remarkable respect in struggle of classes, making of unique agricultur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recreational culture on fertile land, Milyang province. I approached aesthetic consciousness of people, which put into this Byungsinchum with aesthetic of Chaung-Tze, the ancient China philosopher. First of all, established studies say that normal people express pain of life and resist of classes humorously by act like disabled person at festival day which is once in a year, but I saw it with "Ugliness" (醜), crudity, the appreciation of the beautiful of Chaung-Tze. Why they mimic the disabled person in Byungsinchum is the main idea of this thesis. This is because, on society which think external form more important than mind and deride external form that is not intact, he talked good virtue is equality that is not conscious of differency or ugly and thought ugly is not beauty's opposite concept, only relative concept. So he present model about human who depart in concept and estimation of relative beauty and ugly of external form and only is more brighter by virtue. If with these concept, we look Byungsinchum again, deformed persons who appear in Milyangbaekjoongnori Byungsin-chum jump over beauty and ugly of external form with moral character of inside, speak for freedom of most social people who must not become target of estrangement and inequality more at that time as well as preferably can be existence that require moral character of inside to jump over beauty and ugly of external form to normal persons. Secondly, the core of Chaung-Tze's aesthetic view is "Free and Easy Wandering" (逍遙遊). explain why people dance Byungsinchum, the disabled person's dance in Milyangbaekjoongnori, which has not only various character but also irregularity in action of dance and unity in the shapelessness with "Free and Easy Wandering" (逍遙遊), the free and easy wandering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aesthetic of Chaung-Tze. People want freedom and liberty. People want to get rid of anything can threat their life in normal life. People who know Tao can reach infinity from finiteness and their spirit can get freedom and liberty. Such as Chaung-Tze's "Play" (遊) is expressed by esthetic sense, that wish to point Do that is harmonizing with all things for Cheon-nak (天樂), of publics at that time. Talked "The beauty of simplicity" (素朴美) by third. From rhythm that is not kaleidoscopic or splendid of Byungsinchum, movement that shine by prevaricating fittingly way, simple working cloth or ordinary clothes in life, Sa-janggo, Mul-janggo, Mokbal-janggo seen in extension of life image that is special but simple, and so on, we can feel esthetic sense of publics which 'Even if nothing does, as it is naturally, there is no one to dispute beauty with him in world.', 'Simplicity that can not rival to what' of Chaung-Tze. Fourth is energy that is animated. Byungsinchum can be various improvized change dance, that repeat 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will and capacity by the rhythm of Detbaegi. That such dance is not also 'that is working ; in the other world to leave realistic world, but nature that is no purpose or intention, and it is motion that itself is renewed day by day by continuous change and loop based on 'idleness'. In this way, leaving change and current of fate of the world in nature, Dance based on harmony that is preserved not to pay no intention of our mind can see that is expressing acme of "The beauty of vividness"(生動美) strolling outside heaven and earth'. Last presented to subject that people who dances Byungsinchum should mind Chuang-Tze's opinion for "Harmony" (和) that become basis and ground of art. Subject of danced people is that make cultural sense of superiority of normal persons harmonious, that can accomplish the harmony of emotion like social superiority and prejudice of normal persons, and so on about differ and abnormality, and that must accomplish harmony in category of beauty and not that expression and action are ugly in each casts. And Chuang-Tze said such thing that spiritual page of human perfectly harmonize is materialization of truth, and natural recovery. As have examined Chuang-Tze's philosophy is intending harmonious life of human's freedom, equality and release. Work that review culture and art of publics past with this thought will see the large of people who is catching seat from art and culture to center mass and their life itself more variously and meritedly.

      • 양주별산대놀이 탈에 표현된 안면 분장의 미적가치

        황서영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119

        우리나라 전통 탈은 우리 민족의 표정과 얼굴을 담은 조형적인 예술작품이다. 특히, 전통 탈의 표정 안에 우리의 문화, 색채, 지역적 특색 등 많은 속성이 내포되어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예부터 인간의 존재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한 탈은 시기와 상황에 따라 생존, 주술, 예능 등의 기능을 담당해왔으므로 그 역사 또한 깊고 방대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양주 별산대놀이의 탈에는 우리고유의 색채인 오방색의 사용이 두드러질 뿐 아니라 오간색과의 조화를 통해 다양한 색감이 표현되었다. 이렇듯 우리 고유의 색채와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독특한 형태적인 요소가 전통의 우수성을 말해 주고 있다. 이러한 전통의 우수성이 한국 전통 가면극인 양주 별산대놀이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캐릭터에 따른 안면 분장의 표현 특성과 그 미적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