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래하기와 MIT의 혼합적 음악 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수행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정선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래하기와 MIT의 혼합적 음악 중재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브로카 실어증으로 진단된 환자로 경기도 소재의 재활전문병원에 입원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남자 1인을 선정하여 단일대상연구로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10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약 5주간으로 주 4~5회씩, 총 21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 설계는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된 노래하기와 MIT의 음악적 혼합 중재가 노래하기와 MIT의 각각의 단독 중재들과 비교해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중재간의 비교가 용이한 중다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 효과는 한국판 보스턴 이름 대기 검사(K- BNT)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노래하기와 MIT의 혼합적 음악 중재가 노래하기나 MIT가 각각 단독 중재로 사용될 때보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수행 능력에 더 큰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ombined musical intervention of singing and melodic intonation therapy(MIT) on a Broca's Aphasia patient' nam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one adult man who was admitted to a specialized rehabilitation hospital in Gyeonggi-do to get rehabilitation therapy after being diagnosed with Broca's Aphasia in the wake of the strok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about five weeks from October 2nd to November 5th, 2007. A total 21 sessions were held, four or five sessions per week. Multi-treatment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combined musical intervention of singing and MIT on Broca's Aphasia patient' naming with those of singing intervention and MIT intervention. The subject in the study went though baseline stage, interven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were measured using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K-B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mbined musical intervention of singing and MIT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roca's Aphasia patient' naming compared than singing intervention and MIT intervention which were delivered separately.

      •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역할놀이 영어교수법 연구 : 말하기, 듣기를 중심으로

        김준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영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역할놀이 교수법’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이 역할놀이 교수법이 학생의 말하기, 듣기 능력에 향상을 가져오고 자신감,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북 성주군의 C초등학교 5학년 중 26명 씩 2개의 집단으로 분리하고 매주 2시간씩 14주에 걸쳐 수업이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영어 노래 및 챈트를 활용한 역할놀이를 주 학습 방법으로 지도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역할놀이를 제외한 노래와 챈트를 지도하였다. 실험을 위해 두 집단의 동질성을 증명하고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기 위해 사전 설문 조사 및 말하기, 듣기 평가가 실시되었다. 또한 실험 수업 후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역시 사후 설문조사 및 평가가 실시되었고 그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역할놀이는 영어 말하기, 듣기 능력에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래와 챈트를 활용하는 역할놀이는 자신감, 태도 및 동기, 흥미도, 참여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화, 스토리텔링, 노래와 챈트, 역할놀이가 서로 연관되어 적용되면 상승효과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노래와 챈트, 동화, 스토리텔링, 역할놀이 등을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 보다, 서로 관련지어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role-playing using songs and chants. In order to introduce the method, the Englis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fifth-grader is reconstructed.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role-play could affect not only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speaking and listening but also their affective domain such as confidence and attitude positively. 52 fifth graders, attending the same elementary school in Seong-Ju, Gyeongsangbookd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of which had 26 students. Role-play with songs and chants was introduced to one group and songs and chants without role play were used in the other as teaching methods. The class continued through a semester consisting of 14 weeks, 2 hours per week. The students took a test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respectively, to check whether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performance was improved and to see whether their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was changed in a positive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d ability in each area, speaking and listening b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group taught role-play combined with songs and chants. Second, the role-play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nfidence,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ird, the proper combination of a story, storytelling, singing and chanting along with role-playing created a synergy effect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role-play, songs, chants, and story-telling are much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included in the class activity together than when they are used alone without connection to any two or more methods. We also found it desirable that many different ways of combining one method with various others have to be developed.

      • 노래운동의 음악적 인식기능과 의례적 상징기능의 변화 : 노래패 소리타래를 중심으로

        정은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Song movement in Korea was formed in the course of social movements. By being sung over and over again, popular songs and oral songs had shaped into Norae-Undong,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test songs. According to the advent of the professional and well-structured organizations which treat those forms of songs,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Song movement that attributes to the social movement was able to be produced. Although those activities of the movement with songs were preceded in a very carefully organized form, the public easily shows its tendency of understanding Norae-Undong as a tool to achieve political goals. This study aims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function of songs in relation n to the movements by looking at the cases Sori-Tarae, which is the name of music group that performed in Daegu city area. For that, it would be definitely necessary to look into the members that consisting the music group, Sori-Tarae. Secondly,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fact that the function of Sori-Tarae’s song has been transformed from providing solutions for the social problems to suggesting alternatives for that based on the “knowledge function” that Adorno claims. Lastly, with the “interaction ritual theory” that Collins asserts, the symbol that is produced by ritual of activities with songs that Sori-tarae performed, have been changed from group symbol to individual symbol. In conclusion, Sori-Tarae’s current performance that could be considered as being built by experimental inheritances of music performance through the time in the past,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transition of “knowledge function” and “ritual symbol function” in Song movement. In other words, I suggest that the artistic inheritance that had left from the sphere of social movement has inspired Sori-Tarae’s music performance that is presented in everyday life now.

      •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 이길승의 음반을 통한 노래 분석

        전현정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대중적인 양식의 교회노래 선율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 시도하는 것이 이 논문의 중심과제였다. 대중적인 노래는 악보를 통해서 곡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음반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악보에는 노래선율, 가사, 코드정도만 표시되어 있어 실제로 어떻게 연주되는지 악보만으로는 알 수 없다. 같은 선율의 노래여도 어떻게 편곡되느냐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대중적인 노래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음반을 통해 실제 연주된 모습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보통의 경우 음반이 만들어질 때 노래선율 작곡자, 작사자, 편곡자, 가창자, 연주자, 기획 등 각 부분을 담당하는 사람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이럴 경우 노래선율을 분석할 때 작곡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노래가 완성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작곡, 작사, 편곡, 노래, 연주, 음반의 전반적인 감독을 혼자서 맡아 음반을 만드는 이길승의 노래를 통해 노래선율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은 홍정수가 『음악학』186쪽에서 제시한 분석악보를 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길승의 음반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음반에 있는 노래 중 노래선율 악보를 구할 수 있는 노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이길승이 어떤 성격을 가진 음악가인지 설명하였다. 이길승은 작사와 작곡을 직접하고 노래하는 사람이다. 이런 음악가를 싱어송라이터(Singer-song writer)라 한다. 그리고 음반을 만들 때 편곡과 전체적인 감독을 맡는다. 그는 어쿠스틱 기타를 중심 악기로 사용하며 직접 연주한다. 그의 어쿠스틱 기타는 포크(Folk)의 영향을 받았다. 어쿠스틱 기타와 함께 드럼, 일렉트릭기타, 베이스 기타가 같이 연주하여 기존의 포크 음악과는 다른 소리를 들려준다. 어쿠스틱 기타로만 반주하는 포크 음악보다 리듬 부분이 강화된다. 이길승은 음반의 형태로 음악을 들려주기 때문에 음향 부분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보통밴드 음악을 담은 음반에서는 (그가 참여한 ‘좋은친구들’의 『구애유감』같이)드럼과 베이스 기타가 음향적으로 크게 들리게 배치하는 데 이길승의 개인 음반은 기본적으로는 노래와 어쿠스틱 기타가 중심에 오고, 편곡할 때 독주 악기가 있으면 독주악기가 중심에 오도록 배치한다. 이런 음향적인 배치 때문에 노래와 함께 독주 악기가 어우러져 반주에만 머물지 않고 대선율의 역할을 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이길승의 1집 음반 『The Answer』의 14곡 중 7곡을 분석하였다. 편곡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살피고 선율이 어떻게 나누어지는지 분석하여 분석악보로 나타내었다. Ⅳ장에서는 이길승의 2집 음반 『아버지』의 13곡 중 7곡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이길승은 선율을 만들 때 가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가사의 내용 때문의 선율의 성격이 바뀌는 경우다. 노래의 전반부에 설명하는 내용이 나오고 후반부에 강조하고 싶은 가사가 나오면 전반부는 맴도는 듯이 반복하고 후반부에는 분위기를 전환하여 음높이가 높아지거나 긴 음가를 사용한다(예: 2집의 2번 곡 ‘사랑의 여기 있으니’). 두 번째는 가사의 음절수가 기본선율에 영향을 주어 그 기본선율을 바탕으로 선율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기본선율을 통해 노래 전체를 만든 경우는 1집의 6번 곡 ‘철수엄마’가 대표적이다. ‘철수엄마’뿐만 아니라 이길승의 노래는 보통 2가지에서 3가지의 기본선율을 가지고 노래가 만들어진다. 세 번째는 가사에서 강조하고 싶은 음절에 노래 선율에도 강박을 배치하는 것이다(예: 1집의 13번 곡 ‘하나님 한 분만’).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배우는 기초 음악교육을 통해 4분의 2박자는 ‘강 약’, 4분의 4박자는 ‘강 약 중강 약’ 하는 식으로 정해진 셈여림을 배우는데 대중음악에서는 이런 셈여림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중음악은 당김음, 부점, 쉼표 등으로 선율의 강세가 자유롭게 바뀔 수 있다. 이길승은 노래가사에서 강조하고 싶은 음절에 자연스럽게 강세를 주는 선율을 만든다.

      • 놀이노래를 통한 다문화 아동의 음악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진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21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cultural diversity. Science,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rough the world are changing rapidly. Korea is aiming for open society by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to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nounced that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reside in Korea is over 1200 thousand as of August 2009 and Korea is faced with the age of multiracial society. In this situation, music education needs to contribute to promoting harmony and coexistence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proposed teaching method of music for the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centering on play songs of Japan, Chinese ( including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Philippines and Korea.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for the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is designed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in combination with other subjects. Play songs were selected and introduced by making a reference to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lay songs of Japan were designed so that not only pitch movement can be grasped by using Kodaly's musical note but also the timber of Japan's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an be appreciated by providing a method that enables students to learn about plays easily. In play songs of China, the play of drop-the-handkerchief and China's culture were introduced. Here, Korea' musical scale and China's musical scale were compared. In play songs of Philippines, play of hide-and-seek the culture of Philippines were introduced. The play songs of Philippines were designed so that students can exercise rhythm by making good use of rhythm instruments such as triangle, tambourine and castanets. In play songs of Korea, the play of pulling out leg that can help form a close bond between participants was introduced. In addition, a teaching method music that aims to help students play janggu (a double-headed drum pinched in at the middle) with Jajinmori rhythm that is one of Korea's traditional rhythms was introduced. "2009 survey of status of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conduc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vealed that entrance rate of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to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was low which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any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dropped out of school because they had a great difficulty in adapting themselves to school life due to cultural and language barriers and alienation. If this problem is not solved properly, serious youth problems such as delinquency and violence can arise. In this situation, proving music education aim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can help members of multi cultural family to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and form a close tie between them.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of music that enables the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y to learn about diverse cultures and music by making good use of play songs. 21세기는 문화다양성의 시대라고 한다. 지구촌의 모든 나라들의 과학과 정치, 경제, 문화가 하루가 다르게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조를 반영하여 우리는 국가 간 문호를 개방하고 상호이해와 의존성을 점차 확대해 감으로써 상호작용의 증대와 지구촌의 문제를 공동으로 대응하는 열린사회를 지향하고 있다. 문화다양성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도 2009년 8월 행정 안전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거주중인 외국인의 수가 120만 명을 넘어 감에 따라 새로운 다문화 가정 2세들이 정착하면서 사회적으로 여러 문제들이 생겨나는 다민족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음악교과는 서로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이해하며 소수집단의 화합과 공존을 돕는 데 타 교과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 중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하였고 다문화 부모국적비율 통계를 기준으로 하여 다문화 아동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일본, 중국(조선족포함), 필리핀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네 나라의 놀이노래를 중심으로 다문화 아동을 위한 음악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구성은 통합적인 음악적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신체나 글, 그림 등으로 표현하여 타 교과와 연계시켜 작성하였다.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참고 곡을 통해 놀이노래를 선정하여 그 노래와 놀이방법을 소개하고 누구나 쉽게 익히고 즐길 수 있도록 알려주어 서로가 편견과 소외감 없이 친밀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본의 놀이노래는 손 놀이로 도구 없이 쉽게 놀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코다이 손기호로 음높이를 파악하고 일본의 문화와 전통악기 음색을 비교하도록 구성하였다. 중국의 놀이노래는 수건돌리기로 여럿이 모여서 할 수 있는 놀이이며 중국의 문화를 소개하고 중국의 음계와 우리나라 음계를 비교하였다. 필리핀의 놀이노래는 술래잡기 놀이방법을 소개하고 필리핀의 문화를 소개하고 트라이앵글, 탬버린, 캐스터네츠 리듬악기를 활용하여 리듬을 연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한국의 놀이노래는 다리빼기놀이로 서로가 유대감과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진모리장단을 이해하고 장구로 칠 수 있게 작성하였다. 2010년 3월 8일에 등록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조사한 ‘2009년 다문화가정 자녀 학생현황 조사’를 보면 해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재학 율이 높지만 중, 고등학교로 진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한 학습의 부진과 일반 가정 자녀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따돌림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학업을 중단하고 중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들이 중, 고등학교로 진학할 때 계속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학교생활을 한다면 한국사회에 불만을 갖게 되어 가출, 폭력 등 청소년 문제로 확산될 수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하여 다문화아동들이 다른 국적을 가진 부모의 다양한 문화를 알고 이해하여 자녀들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여 평등과 유대감을 형성시켜주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학교에서 교육 받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에게 놀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화의 음악을 쉽게 효과적으로 가르치자는 것이 핵심내용이며, 이를 체계적인 수업지도안으로 작성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노래자서전이 노인의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요양병원의 노인들에 대한 사례

        강경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한국사회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속에서 저 출산 및 평균 수명의 연장에 기인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 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선진국에 비해 빠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2040년에 이르면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이 전체 인구의 약 1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노인은 신체적 건강, 우울, 삶의 질, 치매, 기능상의 능력 등의 영역에서 취약한 특성을 갖고 있는 노인의 비중도 더불어 높아졌고, 이것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노인요양병원에 있는 노인들은 사회적 단절로 인해서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치유책이 논의되는 가운데 음악은 특히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노래자서전이 노인의 우울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노래자서전은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노래의 가사나 음악적 특징들을 이용하여 내면의 변화를 일으키며, 내적 갈등에 대해 자연스럽게 문제들을 확인하고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삶을 시대별로 나누어 중요한 사건, 사람에 대한 감정을 떠올리게 함으로써 지나온 삶의 내용들을 반추하고 통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며 노년기에 있어서 자아통합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 노인요양병원의 노인들의 경우 이미 음악치료 연구들이 나와 있으나, 이것들은 주로 집단음악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에 장기적으로 입원한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는 점이다. 또한 노래자서전을 시작하기 전에 음악치료사와 연구자가 음악선호도를 조사하여 10․20대에 즐겨 들었던 노래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K노인요양병원에 입원중인 65세 이상 노인 중 음악치료를 받기로 동의한 17명을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는 한국판노인우울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노래자서전은 1회기에 4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과거를 회상하여 자신의 삶에 대해 되돌아보고 인생의 보람을 깨달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노래자서전을 통하여 실제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심리적 안녕감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과거를 회상하고 되돌아보며 자신이 살아온 인생에 대해서 보람을 느낄 수 있어 우울증의 감소와 심리적 안녕감의 향상이 가능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노래자서전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노래 중심의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학현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랜 시간 동안 검증되어온 노래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노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노래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목을 개발함에 있어, 노래 중심의 수업을 다양하게 활성화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제 2장에서는 노래가 갖는 그 교육적인 가치와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제기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 보았다. 3장에서는 국내 대학들의 외국인을 위한 교양한국어 과목들과 대학별 교양 과목들을 조사 분석하였는데, 최근 10년간 다수의 다양한 문화 관련 강좌들이 개설되었으나 노래 관련 과목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더욱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노래를 중심으로 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해 노래의 난이도 산정 방법과 주제별 선정 기준을 제시 하였는데, 특히 한국의 정신 문화를 어떻게 주제별로 선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교수요목을 개설하기 위하여, 학문을 목적으로 국내 대학에서 학습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주제들을 선정하고 이를 한 학기 교수 요목에 맞추어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노래가 갖는 교육적 가치의 극대화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 되었다 하겠는데 이는 단순히 학습자들의 흥미유발을 위한 제한적 활용을 넘어, 주어진 학습 주제들을 더욱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중심 교수법으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하겠다. 덧붙여, 늘어나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보다 다양한 교양 과목들이 개발되어야 하겠는데 특히 문화 예술과 관련된 한국어 교양 과목들의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활동들이 풍성해지기를 바란다.

      •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 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지은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 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 활동과 연계한 자유선택활동에서 나타난 영아의 사회 정서적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P 어린이집 만 2세반 두 학급, 총 28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2세반 한 학급 14명의 영아를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 14명의 영아들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학급에서 연구자와 1명의 교사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실험집단의 영아들은 1회 동안 약 5분~10분, 주 5회 총 12주간 ‘노래 들려주기 - 노래와 연계하여 자기 감정이해 및 표현하기 - 타인 감정 인식하기’의 과정으로 감성교육활동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 자아개념, 자기조절(인지조절, 정서조절),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활동과 연계된 자유선택활동에서 영아들이 감성 활동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며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완화시키고 또래의 정서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감성교육활동이 영아의 사회관계 발달에 긍정적인 일상 경험으로 실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활동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활동이 영아가 자기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히 표현, 조절하며또래의 감정을 탐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감성교육 활동은 영아에게 자기정서 이해 및 타인정서 인식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노래 부르기에 기초한 감성교육 활동이 추후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이끌어 줄 수 있는 감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개발

        하주현 고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 3∼4세 인공와우 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과 적용 대상, 운영방법을 계획하고 프로그램 타당도를 거쳐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변형된 ADDIE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설계-개발-자문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개발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의 목표는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를 통한 장단음(음장) 개선과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를 통한 조음정확도 향상이며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6회기,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 4회기로 회기당 25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노랫말과 Duerksen & Chong(2013)의 리듬 수행 과제의 프로토콜을 바탕하였다. 청각적 피드백과 함께 신체와 악기로 리듬치기를 하여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는 말소리 산출하는데 관여하는 구강 근육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교대운동과 일련운동을 통한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의 곡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가청주파수 내의 음으로 구성하였으며 템포를 조절하여 음절의 조음정확도를 높이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이식 아동에게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기대하고 나아가 조음장애, 단순언어장애 등 말명료도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른 대상군에게도 유용성을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nging program to improv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ree- to four-year-ol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or th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inging program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targets, and operation methods were devised, and the program contents were designed by testing the validity.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consultation and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ADDIE model. The goal of the singing program is to improve the length of a musical note through rhythm-based singing and oral motor exercises and coordination ability through melody-oriented singing. It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including six sessions of rhythm-based singing and four melody-oriented singing, 25 minutes per session. The rhythm-based singing was based on lyrics describing daily life and the protocol of the rhythm performance task by Duerksen & Chong (2013). It was developed to help learn rhythm easily by beating rhythm with the body and musical instruments along with auditory feedback. The melody-oriented singing provided training through alternating motion and sequential motion to stimulate the movement of muscl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speech. The songs for the melody-oriented singing were composed of notes within the audio frequenc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tempo was adjusted to increase the articulation accuracy.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inging program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s well as other target groups such as those with articulation disorder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at need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