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대학생의 욕구와 의복선택요인과의 관계 연구

        김산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 硏究는 衣服 購入시 選擇要因이 중요한 欲求充足의 수단이 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男子大學生의 欲求水準과 衣服選擇要因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欲求水準은 屆從의 欲求, 自律의 欲求, 誇示의 欲求, 性의 欲求, 成就의 欲求, 情動의 欲求으로 구분하였고 衣服選擇要因은 審美性, 身分象徵性, 貞淑性, 經濟性, 流行性으로 구분하였다. 본 硏究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남대학교 7개 단과대학의 男子大學生을 對象으로 47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386부를 資料分析에 사용하였다. 資料分析은 百分率, 平均(M), 標準偏差(S.D), F檢證, Pearson相關, 部分相關(Partial correlation)을 利用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男子大學生은 대체로 成就의 欲求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냈고 誇示의 欲求와 性의 欲求도 대체적으로 강한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衣服選擇시 經濟性, 貞淑性, 審美性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2. 學科內 女學生 比率과 專攻에 따른 衣服選擇要因의 有意차는 없었다. 그러나 家庭의 總 月所得에 따라서 貞淑性과 流行性은 p<0.001水準에서 意味있는 差異를 나타냈고 經濟性은 p<0.05水準에서, 審美性과 身分象徵性은 p<0.01水準에서 集團間 有意차를 나타냈다. 즉 대체로 총 월소득이 적은 가정의 男子大學生은 貞淑性, 經濟性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총 월소득이 높은 가정의 男子大學生은 대체로 審美性, 流行性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소득이 가장 높은 가정의 대학생은 오히려 衣服을 통한 身分象徵性을 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3. 欲求변인은 衣服選擇要因과 有意한 關係를 나타냈다. 즉 屆從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일수록 남의 눈에 띄이지 않는 경제적이면서 정숙한 衣服을 選擇하였고, 誇示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은 衣服에서 미적인 감각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지위를 표현하려는 경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性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은 流行性과 身分象徵性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최신유행형의 눈에 띄는 옷차림을 하거나 자신의 지위를 나타내려 한다고 할 수 있다. 成就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은 誇示的 외모보다는 衣服과 자신과의 어울림을 더 중요시하였다. 4. 審美性, 身分象徵性, 流行性과 欲求와의 관계와 部分相關 結果를 비교해보면 誇示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은 자신을 誇示하는 수단으로 衣服의 조화나 미적인 면을 더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고, 유행에 대한 관심은 높았으나 실제로 유행하는 衣服을 選擇·購入하는 경향은 적다고 할 수 있다. 性의 欲求가 강한 男子大學生은 衣服을 조화있게 입으려하기 보다는 자신의 지위를 誇示할 수 있는 衣服을 통해 이성에게 매력을 얻고자 하는 欲求가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s (need for abasement, autonomy, exhibitionism, sex, achievement, emotion) and factors of clothing selection(aesthics, status symbolism, modsty, economy, fashion) of college male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clothing selec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college, proportion of female in department, income.) For this study, the que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386 college ma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F - test, Partial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eed for achivement was strongest and need for exhibitionism, need for sex was generally strong among college males. 2.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of clothing selection according to propotion of female in department, and college too.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ors of clothing selection according to the income. 3.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among the three factors of clothing selection: aesthics, status symbolism, fashion. And modest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conomy at the.001 level,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ed for absement and modesty(p<0.00l), economy(p<0.00l). Bu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ed for abasement and fashion. Need for exhibitionism, need for sex positively correlated with aesthics, status symbolism, fashion. While need for sex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desty. And need for achievem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aesthics. 5. When status symbolism and fashion were controlled, need for exhibitionism and need for achievem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aesthics at the 0.001 level. While need for sex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esthics when fashion was controlled. When aesthics was controlled, need for exhibitionism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ed fashion at the 0.001 level. When aesthics and fashion were controlled, need for sex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tatus symbolismat at the 0.01 level. After status symbolism and aesthics were controlled, need for sex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fashion at the 0.01 level and need for abaseme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shion at the 0.001 level. When fashion and status symbolism were controlled, need for exhibitionism and need for achievemen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esthics at the 0.001 level.

      •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와 패션상품통일체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배혜진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패션상품은 자기를 표현하면서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즉 의복을 비롯한 다양한 소품들을 포함하는 패션상품은 가시적 성격이 강하며, 소비 상황에서는 유사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개개의 제품들이 집합적으로 사용되므로, 패션상품의 집합적 소비와 통일체로서의 소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남성 패션시장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패션상품을 통해 자기를 연출하려는 감성 소비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 소비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고 이미지 연출을 위해 어떠한 패션상품들을 구매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를 규명하고 의복 추구이미지 구현을 위해 구성된 패션상품통일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5년 6월 21일부터 6월 28일 사이에 대구와 경북 지역의 6개 대학에서 349명의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응답지 검토를 거쳐 총 3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10.1.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과 던컨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는 세련된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클래식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의 5개 요인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와 심플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별 의복 추구이미지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 갈 때는 심플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순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 친구 만날 때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은 심플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순이었으며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는 심플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세련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클래식한 이미지 순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포티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할 때는 스포티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 순이었고 세련된 이미지와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복 추구이미지 차이에 의한 남자대학생 집단 분류 결과 모두 3개 집단을 얻었다. 집단 1은 일부 이미지는 추구하나 일부는 추구하지 않고 각 상황별로 다른 이미지를 추구하는 '선택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다. 집단 2는 의복 추구이미지 요인들에 대해 대체로 낮은 추구성향을 보인 '소극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며, 집단 3은 다양한 이미지를 추구하며 추구 성향도 강한 '적극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었다. 셋째, 의복 추구이미지를 표현하는 용어 중 일반적으로 동의어로 여겨지는 '한국어-영어'로 구성된 4개 용어쌍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쌍을 이루는 두 용어의 지각경향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 용어의 지각 강도 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현대적이다-모던하다'에서는 현대적이다, '고급스럽다-럭셔리하다'에서는 고급스럽다, '심플하다-단순하다'에서는 심플하다, '클래식하다-고전적이다'에서는 클래식하다를 추구하는 성향이 더욱 강했다. 넷째, 의복 추구이미지에 따른 자기감시 정도의 파이를 살펴본 결과, 4가지 각 상황 모두에서 세련된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 갈 때, 이성 친구 만날 때,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 상황에서는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가운데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의 세련된 이미지 추구성향이 더 강했다. 운동할 때의 상황에서는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이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반면, 자기감시가 낮은 집단은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복 착용상황별 패션상품통일체를 구성해본 결과, 학교 갈 때에는 [라운드 티셔츠-청바지-운동화-가방-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다. 이성 친구 만날 때는 [남방셔츠/니트 티셔츠/V-넥 티셔츠-면바지/청바지/세미정장바지 구두/운동화-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으며,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에는 [와이셔츠-정장-구두-넥타이-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다. 운동할 때에는 [면 티셔츠-트레이닝복-운동화/조깅화/농구화-아대-모자]의 통일체가 구성되었으며, 다른 상황의 패션상품통일체보다 신발을 비롯한 소품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남자대학생들은 독특한 이미지를 지양하고 자연스럽고 심플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의복 추구이미지들은 의복 착용상황에 따라 좌우되었는데, 사교적인 상황에서 세련된 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이 높았다. 패션상품통일체는 대체로 평범하고 기본적인 품목들로 구성되었고, 통일체를 구성하는 각 상품들은 믹스앤매치 할 수 있는 상품 제안 및 세트상품 기획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케터들은 베이직하고 세련된 상품 컨셉과 품목을 유지하고 적절한 변화를 서서히 가미시킬 수 있을 것이다. Fashion marketing research has been focusing on female consumer because fash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belong to the woman's domain. But as man's fashion market has expanded, the research interest on male consumer has also increased. So far, a lot of image-related fashion marketing studies have been published, but few of them encompass male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desired self-images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classify male college students by their desired self-image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and (2) to construct fashion product unities bought by male college students in 4 different situations. A measuring instrument was developed, which required subjects to respond to 32 desired image words in 4 different situations respectively: school, meeting girlfriends, ceremonies, and exercise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349 respondents at 6 colleges in Daegu and Gyeongbuk during June 2005, and 346 were analyzed, eliminating incomplete on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desired self-image words, 5 factors were determined: refined image, sporty image, classic image, natural image and simple image. In the setting of school, the most desired self-image of male students was simple, followed by natural, sporty and refined. In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they desired natural, simple, refined and sporty images in the order. In the setting of ceremonies, simple image was the most desired, followed by refined, natural and classic images. In the setting of exercises, sporty, natural and simple images were desired in the order, and others were not desired. According to the desired self-image factors, mal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selective image management group, passive image management group, and active image management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to the level of self monitoring by desired self-images, `refined image' re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every 4 setting. In the setting of exercises, low self-monitors did not desire refined image, while high self-monitors desired refined image. In the setting of school, meeting girlfriends and ceremonies, both low self-monitors and high self monitors desired refined image, but high self-monitors desired more refined image than low self-monitors. Third, male college students selected round shirt, jean, cotton shirt, cargo pants, knitted shirt, V-neck shirt etc. as the first item which they want to purchase for the school setting.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they selected aloha shirt, knitted shirt, jean, V-neck shirt, semi-formal pants etc. And they selected formal dress, Y-shirt, semi-formal pants, shoes etc.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and training wear, cotton shirt, sports shoes etc.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ashion product unities for 4 situations were constructed respectively as follows. As results of constructing fashion product unity of male college students, it was consisted of round shirts, jeans, running shoes, bags and watches for the school setting.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it was consisted of aloha shirts/knitted shirts/V-neck shirts, cotton pants/jeans/semi-formal pants, formal shoes/running shoes and watches.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it was consisted of Y-shirts, formal dress, formal shoes, neckties and watches.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it was consisted of cotton shirts, training suits, running shoes/jogging shoes/basketball shoes, an guards and caps.

      •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여성혐오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의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이 여성혐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의향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청년기 남자대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성혐오는 유계숙과 동료들(2017)의 여성혐오 개념화 연구를 토대로 ‘여성에 대한 적대감’, ‘적대적 성차별’ 그리고 ‘폭력 허용도’를 합산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 결혼의향 그리고 여성혐오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여성혐오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여성혐오에 속하는 하위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성에 대한 적대감과 폭력 허용도는 대체로 낮게 나타난 반면, 적대적 성차별은 보통을 약간 밑도는 수준이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88.3%는 결혼의향이 있었다. 둘째,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 결혼의향 및 여성혐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삶의 만족이 낮을수록 여성을 혐오하는 태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삶의 만족이 여성혐오 하위요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은 변인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여성에 대한 적대감과 폭력 허용도와 다르게 적대적 성차별에서는 삶의 만족의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과 여성혐오는 결혼의향을 설명하지 않았다. 셋째,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과 여성혐오 간의 관계에서 결혼의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삶의 만족이 낮은 대학생일수록 여성을 혐오하는 현상은 결혼의향이 없을 경우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한국사회의 여성혐오를 이해하기 위해 거시적 맥락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조망해야할 필요를 제시하였으며, 취업과 결혼 등 성인기로의 이행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청년정책을 강조하는 데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유행선도력과 신체이미지 만족도가 의복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 한·중 남자 대학생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리충 동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0

        In recent years, with the active of the world cultural exchange, the popularity of male clothing has gradually become a popular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 male clothing market, the trends and attitudes of male consumers living environment and personal are changing, male consumer demand for fashion is also increasing.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China's garment industry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ield of Chinese cloth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China Fashion Market Outlook 2015, it shows that the Chinese men clothing market expanded rapidly from 2011 to 2015,and the market value was almost increased ¥302.1 billion yuan which had made a record 4 years for the first time exceeded ¥200 billion yuan. The rapid growth of per capita income of Chinese resi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the rapid growth of male market. The more attention Chinese men pay to the image and fashion, the more preferred the appearance are invested. China's male garment market is expected to maintain a steady annual growth rate of 13.1 % between 2016 and 2020. It is expected that the retail sales of male clothing market will reach¥673.3 billion yuan in 2017, and the retail profit of male clothing market will reach ¥979.3 million yuan in 2020. Korean men clothing industry also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uth Korea, male consumers have also increased the popularity of fashion, with the trend of the leading force, self-image, self body satisfaction,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re changing.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leadership, the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the standard of clothing evaluation that were surveyed in 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fashion leadership is based on two important factors of fashion innovation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the body image satisfaction is face, upper body, lower body, Body composition,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re practical standards, symbolic standards, aesthetic standards constitute which are three basic standard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leadership and body imag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upper body, lower body and body are studied. Secondl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factors, such as the leading force, body image satisfaction and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practical standard, symbolic standard and aesthetic standard of mal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are also discus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From April 20, 2017, on April 25, 2017,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SPSS statistics 21.0. was conducted for mal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First, the fashion leadership among the leading force, the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body satisfaction in south Korea male college students have influence on the face, upper body, lower body and body satisfaction; while which h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face and body in Chinese male college students. The fashion opinion leadership on Korean boys only has the influence of physical fitness, while which has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upper body and lower par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among popular driving force, physical image satisfaction and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in Korean and Chinese male college students ,fashion innovation, fashion opinion leadership, upper body impact factors of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will be affected in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popular opinion and the upper body only have an effect on the standard evaluation of the aesthetic factors in China's male college students. Chinese male college students' face to the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of the practical standard, the symbolic standard has influence, the Chinese male college students'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of the aesthetic standards have an impact. In this study, mal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Which indicate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as follows. The first study was carried out by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limit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and other age groups. In the future research, a variety of age and professional groups will be studied to study, male and female gender differences, and a variety of clothing and purchase quantitative efforts. Second, the team believes that due to the lack of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leading force image analysis is lack of sufficient verification and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we should be based on more detailed and advanced research with a the keyword added development and further detailed research. 최근 몇 년간 세계적으로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남성 의류의 유행 또한 글로벌 트렌드로 떠올랐다. 전 세계 남성복 시장의 발전에 따라 남성 소비자들의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개인의 패션스타일, 가치관 등 다양한 성향과 태도가 변화하고 있고 남성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관심도와 유행민감도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중국의 남성복은 중국 패션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015∼2020년 중국 남성 의류 업계 시장전망과 투자자문보고서>에 따르면 2011∼2015년 중국 남성 의류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3,021억 원이 증가해 4년 만에 2,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중국 주민의 1인당 소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은 남성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중국 남성은 이전보다 스타일과 패션을 중시하며 외모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고 있다. 2016∼2020년 예상 기간 동안 중국 남성 의류 시장은 연간 성장률 13.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17년 남성 의류 시장의 소매 판매액은 6,733 억 위안, 2020년에는 남성 의류 시장의 소매 수익이 9793 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남성 패션 산업도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남성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유행민감도가 강해지는 동시에 유행선도력에 따라 자기 이미지의 태도, 자기신체만족도, 의복의 평가기준 등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행선도력에 대한 신체이미지 만족도 및 의복평가기준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유행선도력, 신체이미지 만족도와 의복평가기준에 대해 많은 조사한 결과 유행선도력은 유행혁신성, 유행선도력 2요인으로 나타났다. 신체이미지 만족도는 얼굴, 상반신, 하반신, 몸매로 구성하였으며 의복평가기준은 심리적 기준, 실용적 기준, 상징적 기준의 3가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신체이미지 만족도의 요인인 얼굴, 상반신, 하반신 몸매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 신체이미지 만족도와 의복평가기준의 요인인 심미적 기준, 실용적 기준, 상징적 기준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7년 4월 20일부터 2017년 4월 25일 기간 동안 한국과 중국의 남대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구 남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와 신체이미지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유행혁신성이 한국 남자대학생들의 얼굴, 상반신, 하반신, 몸매만족도 다 영향을 미치고,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얼굴, 몸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유행선도력이 한국 남자대학생들의 몸매만족도만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상반신, 하반신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 신체이미지 만족도과 의복평가기준 간의 관계에서 유행혁신성, 유행선도력, 상반신이 한국 남자 대학생들의 의복평가기준요인들 다 영향을 미치고, 유행선도력, 상반신이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의복평가기준 요인들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그리고 유행혁신성이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의복평가기준 요인들 중에 심미적 기준에 영향을 주었다. 얼굴이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의복평가기준요인들중에 실용적 기준, 상징적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하반신이 중국 남자대학생들의 의복평가기준요인들 중에 심미적 기준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행선도력에 대한 신체이미지 만족도 및 의복평가기준 간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으나 연구 진행상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여자대학생 및 타 연령층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 및 직업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남성과 여성의 성별간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여 다양한 계층의 의복태도 및 제품구매 일반화하는 노력을 할 예정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유행선도력의 이미지분석 부분에서 충분한 검증 및 분석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보다 충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키워드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 및 좀 더 세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 성역할 정체감을 중심으로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신체왜곡도, 외모관리행동의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최근 패션과 외모관련산업의 새로운 소비자로 떠오르고 있는 남성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신체만족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신체왜곡도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43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1.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 x^(2)-test, multiple response test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의 비율이 43.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남성성 20.6%, 미분화 18.0%, 여성성 17.6%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는 학년과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모관리비와 월수입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성 집단과 미분화 집단에서는 1학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성과 양성성 집단에서는 4학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열이 자연과학계열에 비해 남성성, 여성성, 양성성 집단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분화 집단만 자연과학계열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 집단에 따른 신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만족도는 양성성 집단이 신체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 집단, 미분화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성 집단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 집단에 따른 신체왜곡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왜곡도는 여성성 집단이 신체에 대한 왜곡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분화, 양성성, 남성성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역할 정체감 집단에 따른 외모관리경험 중 체격관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나머지 외모관리방법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외모관리경험은 남성성, 여성성, 양성성, 미분화 집단에서 모두 의복·장신구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체격관리, 헤어관리, 화장품사용, 피부관리, 성형수술의 순으로 나타났다. 양성성 집단에서 외모관리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집단은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address the needs of college man, one of the largest consumer groups, by researching man's attitudes towards their bodies and their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male students's sex role identity. Second, it is to examine male students's sex role identity as related to body cathexis. Third, it is to examine male students's sex role identity as related to body images distortion. Forth, it is to examine male students's sex role identity as related to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3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who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male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in used, and using SPSS WIN 11.0, method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χ^(2)- test, multiple response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re applied. Sex-role identity is measured by Bem's sex role inventory(1974)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students's sex-role according to grade, major.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students's sex-role according to body cathexis. That is, when Androgynous inclination of male students's sex-role identity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ir body. That is, when Feminine inclination of male students's sex-role identity were the most unsatisfied with their body. 3.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students's sex-role according to body images distortion. That is, when Feminine inclination of male students's sex-role identity were the most highest about their images distortion.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students's sex-role according to physique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That is, when Masculine, Feminine, Androgynous, Undifferentiated inclination of male students's sex-role identity were the most experienced in the clothing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주관성

        정연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적 유형과 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의 특성에 기초하여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의 정확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미의식과 신체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Q 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방법론적 연구이다. Q-방법론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Q-모집단은 미용성형 수술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와 문헌고찰 및 기사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심층면담으로 Q-모집단을 추출하여 112개의 Q-진술문을 표집하였다. 둘째, 표집된 112개의 진술문 중 내용의 중복과 표현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한 후 Q-모집단을 의미와 주제별로 5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이거나 변별력이 높은 의미의 Q-표본 34항목을 선정하였다. 셋째, P표본은 N시 소재 남자대학생 40명을 편의추출하였다. 넷째, 34개의 진술문을 8.5 x 8.5cm 카드에 인쇄하여 연구 대상자들로 하여금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Q 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대상자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Q-분류된 결과를 PC-QUANL program에 맞는 data-file을 작성한 후 Q 요인분석(Q-factor Analysis) 하였다. 연구결과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주관성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유형은 ‘심사숙고형’으로 미용성형 수술로 인한 부작용을 비롯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꼼꼼하게 확인해 본 후 수술을 결정해야 하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수술과정 및 수술에 따르는 위험성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비판적 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2유형은 ‘고전적 사고형’으로 미용성형 수술을 자신의 외모관리 행동의 일환으로 경험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으로 미용성형 수술을 통한 외적인 변화는 내면의 아름다움까지 변화시킬 수 없으며, 내면의 아름다움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미용성형 탐닉형’으로 미용성형 수술은 단순히 외모를 변화시켜주는 것뿐만 아니라 삶을 개선해주는 치료로 내면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미용성형 수술을 긍정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도출하여 설명함으로써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포괄적이고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는 각 유형에 따른 맞춤형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간호실무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자대학생의 미용성형 수술의 태도 유형 사정을 위한 도구를 만드는 데 기초가 되며, 구체적인 간호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s a Q-methodology-based exploratory methodological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types and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of male college students' subjectivity on cosmetic surgery and offering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o raise a right sense of aesthetics and positive awareness of physical image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mal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for cosmetic surgery based on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Q-methodology-based study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Q-population was drawn by exploring preceding studies, literatures, and articles at home and abroad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cosmetic surgery. Second, 112 sampling statements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their duplication and accuracy in expression and Q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based on meaning and subjects, then Q-sample 34 items were selected from each category, which are representative or discriminative. Third, P sample of 40 male college students in N City was drawn through a convenient sampling. Fourth, 34 statements were printed on 8.5 x 8.5cm cards to have subjects do a Q-sorting on a nine-point scale depending on their opinion's significance to be put in a forced-normal distributio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ose who sorted their opinions at both ends of the scale. Fifth, a data file that fits a PC-QUANL program was developed and Q-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Q-sorted outcome. As a result, subjectivity on cosmetic surgery of male college students came in three type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ype 1 is a 'reflection' type that takes a cautious attitude in deciding on surgery by checking potential problems such as adverse effects of cosmetic surgery and believes that right judgment and critical thinking of risks associated with surgical process and surgery are needed. Type 2 is a 'classical thinking type' that has a negative view of cosmetic surgery which sees it as part of behavior to have better appearance. This type believes that external beauty obtained through cosmetic surgery does not deliver internal beauty and values inner beauty. Type 3 is an 'indulgence in cosmetic surgery type' that believes cosmetic surgery a positive solution to treatment both in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by improving life as well as appear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male college students' comprehensive and deep understanding of cosmetic surgery by drawing and explaining male college students' subjectivity types of cosmetic surgery. This will offer basic data to develop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to each type, contributing to the quality improvement in nursing practice. It is also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to make tools for assessing the types of mal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and developing detailed nursing strategies.

      • 한국무용전공 남자대학생의 대학생활 의미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양영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 남자 대학생들의 생활 전반을 살펴보고 현실인식과 문제해결 등의 관점에서 총체적이고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 소재의 S대학교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한국무용 전공 남학생 6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후 남자 수가 월등히 적은 상황에서 겪는 경험과 무용전공 특유의 개인 활동 제한에 대한 여러 고충을 표현하였다. 둘째, 대학생활 중 다양한 역할로 살아가는 모습을 이야기하였는데 무용수로서 훌륭한 기량을 가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간, 실기와 이론을 병행하는 가운데 피곤한 몸을 이끌고 여러 과목의 학점을 관리해야 하는 현실의 어려움을 표현하였다. 또 용돈을 벌기 위한 아르바이트 시간까지 다양한 역할로 살아가는 바쁜 일상과 고단함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남자무용수로서 갖추어야 할 에너지와 테크닉 등에 어렵지만 몰두하는 모습들을 나타내었고 남성성을 강요하는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넷째, 무용 활동 지속에 대한 불안 요소들을 나타냈는데 남자 무용수로서 더 다양한 테크닉을 위해 몸을 쓰다보면 부상에 대한 위험이 있고 정기적으로 오는 슬럼프를 극복하는 방법을 이야기했으며 군 입대 기간 동안의 무용 활동에 대한 고민 등을 나타냈다. 다섯째, 무용에 대한 주변의 시선에 대하여 이전과는 달리 가족의 지지가 높은 편이지만 그에 따른 부담도 있음을 나타냈다. 또 무용하는 자신을 부러워하고 응원해 주는 주변 친구들과의 만남을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진로와 직업에 관한 고민을 통해 앞으로 무용을 지속할 수 있는 현실과 여건, 그럼에도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과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고 있는 긍정적 모습들을 표현하였으며, 무용이 좀 더 대중화되는데 힘써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이야기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무용전공 남자 대학생의 활동 과정과 그들의 삶을 알아보는 것과 동시에 그들의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의미들을 해석해봄으로써 현실 속에서의 그들 내면 공감을 통해 그들만의 문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그들의 무용수로서 형성의 과정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무용전공생들의 삶의 의미와 그 속에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overall life of 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explore it in a holistic and multifaceted wa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ty perception and problem-solving. To this end, photovoice study was conducted on 6 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S University in Seou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hardships caused by the situation in which female students are predominant and by the restrictions, which are unique to the dance majors, of personal activities were expressed. Second, the difficulties of fulfilling various roles as a dancer and a student were expressed. They are expected to devote their time to mature as skilled dancers, but in reality, they should manage their GPA while taking multiple courses in theory and practice. Further, they expressed exhaustion and fatigue as they needed, in many cases, to take part-time jobs. Third, they showed their willingness to improve the energy and techniques expected of male dancers, although they also expressed grievance toward the social expectation of masculinity of male dancers. Fourth, they expressed their concerns about continuing to be male dancers. They have higher risks of injuries caused by the techniques they use as male dancers. They also need to overcome periodic slumps. Furthermore, they have concerns about dance activities during compulsory military service. Fifth, they seemed overwhelmed by how male dancers are perceived by others, although they have more robust family support than in the past. They also expressed their happiness to be around their friends who support them to be male dancers. Sixth, the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planning and preparing for their dream and a better future through carefully considering the reality and their career path. They also hope that all should try to contribute toward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dance.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male students majoring in dance mature to become dancers by understanding their daily-life experiences and empathizing with their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should be used to look more deeply into the meaning of the lives of male dancers by further understanding their culture.

      • 군인과 남자대학생의 섹슈얼리티 차이에 관한 연구

        유근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군인과 남자대학생의 섹슈얼리티(성지식·성태도·성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군인과 남자대학생의 성행동의 차이에 대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최전방지역의 부대의 군인과 서울 시내 소재의 대학교 남자대학생 각각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는 군인 130, 남자대학생 140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통계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t-검증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섹슈얼리티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의 직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군인의 연령에 따른 섹슈얼리티의 성태도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인과 남자대학생의 섹슈얼리티의 차이에 관해 분석한 결과, 성지식과 성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성행동에서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군인보다는 남자대학생이 성행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군인과 남자대학생의 성지식·성태도·성행동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성지식·성태도·성행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성지식이 많을수록 성태도·성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성지식이 많을수록 성태도·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focused its research subject on explor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exuality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between soldiers and male college students, and seeking for an alternative to the difference in the sexual behavior between soldiers and 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50 soldiers on the foremost front military division and 150 male students at the college located in Seoul respectively. 1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the soldiers and 140 copies from the students.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verificat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were appropriately utilized.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exuality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their occupations. But there was difference only in the sexual attitude according to the soldiers' age.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exuality according to the soldiers and the male college stud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exual behavior, and it was higher in the male college students than the soldiers.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xual knowledge, the sexual attitude and the sexual behavior of the soldiers and the male college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which affirmed that the more they have sexual knowledge, the more it has an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As consider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y have sexual knowledge, the more it has an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 한국인 상용식품의 식이섬유 함량분석과 한국 남자대학생의 식이섬유 섭취현황 평가

        황선희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866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dietary fiber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and to investigate dietary fiber status of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TDF) in 203 foods was analyzed by TDF method developed by Prosky et. al. and adopted by AOAC in 1988. TDF value was compared with crude fiber(CF) value of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Contents of insoluble(IDF) and soluble dietary fiber(SDF) of 30 foods selected by food intake frequency were determined. IDF and SDF were analyzed by the procedure developed by Prosky et. al. TDF intake of Korean population during 1969-1992 was investigated based on National Nutrition Survey. Food intakes of 80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were estimated with three-day weighed food records. Nutrients and crude fiber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TDF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tables of TDF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TDF contents of foods analyzed were 3.5% for cereals, 2.56% for potatoes and starches, 1.94% for sweets, 9.28% for seeds, 11.64% for pulses, 4.86% for vegetables, 14.27% for mushrooms, 11.39% for seaweeds, 2.97% for fruits, 15.38% for seasonings, and 4.98% for beverages. The contents of TDF were 1.1-20.2 times higher than CF except Chung Gak(49.3 times). 2. The average proportions of SDF to TDF contents were 39.90% for cereals, 18.70% for potatoes, 25.88% for vegetables, 47.74% for pulses, 59.17% for seaweeds 30.32% for seasonings, 20.80% for seeds, and 15.85% for teas. 3. Average daily intake of TDF of Koreans in 1992 was 21.53g and much lower than that of 1969. Average daily intake of dietary fiber of Koreans was within the range of the foreign RDA(20-30g). 4. Average daily intake of TDF among 80 Korean male students was 20.54g, which was within the range of tentative foreign RDA(20-30g) and just above the lower limit of the foreign RDA. Average daily intakes of crude fiber was 8.54g and was about 41% of TDF intakes The other nutrient intakes were similar or slightly higher than Korean RDA. 5. Correlations between daily fiber intake and intakes of several nutrients such as energy, Protein, carbohydrate, and crude fiber, except lipid were significant.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carbohydrate intake was observed(r=0.7232, P<0.001). 6.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intakes of major food groups were significant only for 3 food groups such as cereals, vegetables, and seaweeds.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intake of vegetables was observed(r=0.6548, P<0.001). 7. The range of dietary fiber intake in 80 Korean male students. was 8.65-42.00g. Median of dietary fiber intakes was 20.16g. 8. Major sources of dietary fiber among the subjects were rice and Kimchi. Rice and Kimchi supplied 11.98% and 7.64% of total dietary fiber intake, respectively.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proper guidelines for increasing dietary fiber intake among Koreans.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consumption of brown rice and minor cereals which contain high contents of TDF instead of rice and consumption of seaweeds which contain large amounts of SDF.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상용하는 식품 203종의 총 식이섬유 함량을 Prosky-AOAC법으로 측정하여 기존하는 식품성분표의 조섬유량과 비교하였다. 남자대학생 80명의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추 섭취 빈도별로 30식품을 선정하여 Prosky법에 의해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작성한 총 식이섬유 함량표를 이용하여 국민 영양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한국인의 총 식이섬유 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또한 남자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3일간 식이중량기록법으로 식이섭취를 조사한 추 본 연구의 총 식이섬유 함량표 및 기존의 식품성분표를 이용하여 1일 평균 총 식이섬유 섭취량 및 각 영양소와 조 섬유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분석한 13 식품군 중에서 조미료류와 버섯류의 평균 총 식이섬유함량이 습량기준으로 각각 15.38%와 14.27%로서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두류, 해조류, 종실류의 평균 총 식이섬유 함량도9.28-11.64%의 범위로 비교적 높았다. 각 식품의 총 식이섬유 함량과 조섬유 함량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었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조섬유 함량의 1.1-20.2배 정도되는 넓은 범위를 보였다. 조사한 남자대학생들의 섭취빈도가 가장 높은 식품인 쌀과 김치는 총 식이섬유 함량이 각기 0.96과, 3.07g/100g wet wt.이었으며 그 중 수용성 식이섭유의 양은 0.37와 0.88g/100g wet wt.으로서 이는 총 식이섬유량의 39 및 29%에 각각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가지 주요 섭취 식품 중에는 포함되었으나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난 미역과 김은 총 식이섬유 함량이 37.77과 31.36g/100g wet wt. 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수용성 식이섭유는 25.66과 15.81g/100g wet wt.으로서 이는 총 식이섬유량의 68 및 50%에 각각 해당하여 양질의 식이섬유 급원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국민 영양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1969년부터 24년간의 식품섭취량에 따른 총 식이섬유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의 평균 총 식이섬유 섭취추정량은 1969년에 36.51g이었던 것이 점차 감소하여 1992년에 21.53g이었으며 이 값은 외국의 잠정적 권장량의 범위(20-30g)에 포함되었다. 1992년 우리 국민의 3대 주요 총 식이섬유 급원은채소류, 곡류, 해조류였으며, 식이섬유 섭취량에 대한 이들 식품군의 기여율은 각각 45.54, 19.78, 그리고 9.26%이었다. 식이섭취 조사결과 남자대학생들의 평균 총 식이섬유 섭취량은 20.54g으로 외국의 잠정적 권장량의 범위(20-30g)에 들었으나 이 수치는 권장량의 하한치를 약간 상회하는데 그쳤다. 열량 및 다른 영양소의 섭취량은 영양권장량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으며 식이섬유 섭취량과 열량, 단백질 및 당질 섭취량 사이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 (P<0.001)를 보였으나 지질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조섬유의 평균 섭취량은 8.43g으로 이의 2-3배에 해당하는 평균 총 식이섭유 섭취량과는 비교적 낮은 상관계수(r=0.3589, P<0.01)를 보였다. 조사대학생들의 총 식이섬유 섭취량과 식품군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 것은 채소류 섭취와의 관계(r=0.6548, P<0.001)였으며 그 다음은 곡류(r=0.5913, P<0.001), 해조류(r=0.3300, P<0.01) 섭취와의 관계였다. 남자대학생들의 식이섭유 섭취량을 순위별로 나열해 본 결과 식이섬유 섭취량의 전체범위는 8.65-42.00g이었고 중앙값(=제 50 백분위수)은 20.16g이었다. 조사한 남자대학생들의 식이섬유 섭취량에 기여도가 가장 높았던 식품은 쌀과 김치였는데 각각 1일 2.46과 1.57g의 총 식이섬유를 제공해주었으며 각기 1일 총 식이섬유 섭취량인 20.54g의 11.98과 7.64%를 공급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 남자대학생들의 총 식이섬유 섭취량은 외국의 잠정적 권장량의 범위에는 들었으나 권장량의 하한선에 해당하므로 총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우리 식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백미를 전곡이나 잡곡과 혼용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두류와 채소류의 섭취를 늘리며 또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보여주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권장된다.

      •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유형변화 및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기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최근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유형과 진로유형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남자 간호대학생 123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6월 1일에서 8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χ2–test 및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입학당시 희망하던 진로유형은 병원간호사가 77.2%, 지역사회간호사가 22.8%이었고, 조사 당시에는 병원간호사가 52.8%, 지역사회간호사가 47.2%이었다. 대상자의 진로유형변화로는 병원간호사에서 지역사회간호사로의 변화가 36.8%, 지역사회간호사에서 병원간호사로의 변화가 17.9%이었고, 진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는 병원간호사가 63.2%, 지역사회간호사가 82.1%이었다. 2. 진로가 변화된 집단과 유지된 집단 간의 일반적 특성은 대인관계(χ2=6.88, p=.03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진로가 유지된 집단이 대인관계가 더 좋았다. 간호사 이미지는 진로유지집단(3.87±0.56)이 진로변화집단(3.61±0.5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χ2=2.51, p=.013), 하위영역으로 자질(χ2=2.41, p=.017), 대인관계(χ2=2.89, p=.005)가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실습 만족도도 진로유지집단(3.56±0.65)이 진로변화집단(3.29±0.55)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χ2=2.33, p=.022), 하위영역으로 지도(χ2=2.18, p=.031), 환경(χ2=2.31, p=.023), 평가(χ2=2.48, p=.014)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진로유형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는 병원간호사인 경우 평균 3.92±0.50점, 지역사회간호사인 경우 평균 3.64±0.58점으로 병원간호사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는 자질(t=2.90, p=.004), 사회참여(t=2.74, p=.007), 대인관계(t=2.88, p=.005)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간호사 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χ2 =8.27, p=.004), 간호사 이미지의 점수가 1단위 증가하면 병원간호사를 희망하는 진로유형이 2.69배(OR=2.69; 95% CI: 1.32-5.4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Nagelkerke’s R2 =.087 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남자 간호대학생은 희망하는 진로유형 중 병원간호사와 지역사회간호사에 대한 선호도가 비슷하며, 이들의 진로유형에 간호사 이미지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육기관에서는 병원간호사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간호사에 대한 진로교육과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추후 남자간호사의 지역사회간호사로서 자리매김과 역할확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자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간호사 이미지를 통한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해서 전문성을 가진 병원간호사의 역할모델 멘토링 프로그램과 간호협회차원의 사회적 이미지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