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와 패션상품통일체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The) Desire Self-Image and the Fashion Product Unity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ituation : Focusing o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82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패션상품은 자기를 표현하면서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즉 의복을 비롯한 다양한 소품들을 포함하는 패션상품은 가시적 성격이 강하며, 소비 상황에서는 유사...

      패션상품은 자기를 표현하면서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즉 의복을 비롯한 다양한 소품들을 포함하는 패션상품은 가시적 성격이 강하며, 소비 상황에서는 유사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개개의 제품들이 집합적으로 사용되므로, 패션상품의 집합적 소비와 통일체로서의 소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남성 패션시장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패션상품을 통해 자기를 연출하려는 감성 소비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 소비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고 이미지 연출을 위해 어떠한 패션상품들을 구매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를 규명하고 의복 추구이미지 구현을 위해 구성된 패션상품통일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5년 6월 21일부터 6월 28일 사이에 대구와 경북 지역의 6개 대학에서 349명의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응답지 검토를 거쳐 총 3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10.1.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과 던컨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는 세련된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클래식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의 5개 요인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와 심플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별 의복 추구이미지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 갈 때는 심플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순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 친구 만날 때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은 심플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스포티한 이미지 순이었으며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는 심플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세련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클래식한 이미지 순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포티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할 때는 스포티한 이미지를 가장 추구했으며, 다음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 순이었고 세련된 이미지와 클래식한 이미지는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복 추구이미지 차이에 의한 남자대학생 집단 분류 결과 모두 3개 집단을 얻었다. 집단 1은 일부 이미지는 추구하나 일부는 추구하지 않고 각 상황별로 다른 이미지를 추구하는 '선택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다. 집단 2는 의복 추구이미지 요인들에 대해 대체로 낮은 추구성향을 보인 '소극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며, 집단 3은 다양한 이미지를 추구하며 추구 성향도 강한 '적극적 이미지 관리' 집단이었다.
      셋째, 의복 추구이미지를 표현하는 용어 중 일반적으로 동의어로 여겨지는 '한국어-영어'로 구성된 4개 용어쌍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쌍을 이루는 두 용어의 지각경향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 용어의 지각 강도 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현대적이다-모던하다'에서는 현대적이다, '고급스럽다-럭셔리하다'에서는 고급스럽다, '심플하다-단순하다'에서는 심플하다, '클래식하다-고전적이다'에서는 클래식하다를 추구하는 성향이 더욱 강했다.
      넷째, 의복 추구이미지에 따른 자기감시 정도의 파이를 살펴본 결과, 4가지 각 상황 모두에서 세련된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 갈 때, 이성 친구 만날 때,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 상황에서는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가운데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의 세련된 이미지 추구성향이 더 강했다. 운동할 때의 상황에서는 자기감시가 높은 집단이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반면, 자기감시가 낮은 집단은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복 착용상황별 패션상품통일체를 구성해본 결과, 학교 갈 때에는 [라운드 티셔츠-청바지-운동화-가방-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다. 이성 친구 만날 때는 [남방셔츠/니트 티셔츠/V-넥 티셔츠-면바지/청바지/세미정장바지 구두/운동화-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으며,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에는 [와이셔츠-정장-구두-넥타이-시계]의 통일체가 구성되었다. 운동할 때에는 [면 티셔츠-트레이닝복-운동화/조깅화/농구화-아대-모자]의 통일체가 구성되었으며, 다른 상황의 패션상품통일체보다 신발을 비롯한 소품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남자대학생들은 독특한 이미지를 지양하고 자연스럽고 심플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의복 추구이미지들은 의복 착용상황에 따라 좌우되었는데, 사교적인 상황에서 세련된 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이 높았다. 패션상품통일체는 대체로 평범하고 기본적인 품목들로 구성되었고, 통일체를 구성하는 각 상품들은 믹스앤매치 할 수 있는 상품 제안 및 세트상품 기획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케터들은 베이직하고 세련된 상품 컨셉과 품목을 유지하고 적절한 변화를 서서히 가미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shion marketing research has been focusing on female consumer because fash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belong to the woman's domain. But as man's fashion market has expanded, the research interest on male consumer has also increased. So ...

      Fashion marketing research has been focusing on female consumer because fash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belong to the woman's domain. But as man's fashion market has expanded, the research interest on male consumer has also increased. So far, a lot of image-related fashion marketing studies have been published, but few of them encompass male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desired self-images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classify male college students by their desired self-image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and (2) to construct fashion product unities bought by male college students in 4 different situations. A measuring instrument was developed, which required subjects to respond to 32 desired image words in 4 different situations respectively: school, meeting girlfriends, ceremonies, and exercise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349 respondents at 6 colleges in Daegu and Gyeongbuk during June 2005, and 346 were analyzed, eliminating incomplete on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desired self-image words, 5 factors were determined: refined image, sporty image, classic image, natural image and simple image. In the setting of school, the most desired self-image of male students was simple, followed by natural, sporty and refined. In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they desired natural, simple, refined and sporty images in the order. In the setting of ceremonies, simple image was the most desired, followed by refined, natural and classic images. In the setting of exercises, sporty, natural and simple images were desired in the order, and others were not desired. According to the desired self-image factors, mal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selective image management group, passive image management group, and active image management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to the level of self monitoring by desired self-images, `refined image' re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every 4 setting. In the setting of exercises, low self-monitors did not desire refined image, while high self-monitors desired refined image. In the setting of school, meeting girlfriends and ceremonies, both low self-monitors and high self monitors desired refined image, but high self-monitors desired more refined image than low self-monitors.
      Third, male college students selected round shirt, jean, cotton shirt, cargo pants, knitted shirt, V-neck shirt etc. as the first item which they want to purchase for the school setting.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they selected aloha shirt, knitted shirt, jean, V-neck shirt, semi-formal pants etc. And they selected formal dress, Y-shirt, semi-formal pants, shoes etc.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and training wear, cotton shirt, sports shoes etc.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ashion product unities for 4 situations were constructed respectively as follows.
      As results of constructing fashion product unity of male college students, it was consisted of round shirts, jeans, running shoes, bags and watches for the school setting.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it was consisted of aloha shirts/knitted shirts/V-neck shirts, cotton pants/jeans/semi-formal pants, formal shoes/running shoes and watches.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it was consisted of Y-shirts, formal dress, formal shoes, neckties and watches.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it was consisted of cotton shirts, training suits, running shoes/jogging shoes/basketball shoes, an guards and ca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의의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2
      • Abstract = ⅰ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의의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2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의복 추구이미지 = 4
      • 1. 의복 추구이미지 개념 = 4
      • 2. 의복 추구이미지 측정 차원 = 5
      • 3. 의복 추구이미지에 관한 선행 연구 = 6
      • 제2절 의복 착용상황과 자기감시 = 10
      • 1. 의복 착용상황 = 10
      • (1) 의복 착용상황의 개념 = 10
      • (2) 의복 착용상황에 관한 선행 연구 = 11
      • 2. 자기감시 = 12
      • (1) 자기감시 개념 = 12
      • (2) 자기감시에 관한 선행 연구 = 13
      • 제3절 패션상품의 집합적 소비와 통일체 = 16
      • 1. 패션상품의 상징성 = 16
      • (1) 의복의 상징성 = 16
      • (2) 패션상품의 상징적 상호작용 = 17
      • 2. 패션상품의 통일체 = 19
      • 제3장 연구방법 = 21
      • 제1절 연구문제 = 21
      • 제2절 연구방법 및 절차 = 22
      • 1. 기초조사와 예비조사 = 22
      • (1) 기초조사 = 22
      • (2) 예비조사 = 23
      • 2. 측정도구 = 27
      • (1) 남자대학생의 상황별 의복 추구이미지 = 28
      • (2) 상황별 패션상품 구매 품목 = 31
      • (3) 10개의 상황에 대한 의복 착용시의 관여도 = 32
      • (4) 자기감시 정도 = 32
      • (5) 인구통계적 특성 = 32
      • 3. 자료수집과 응답자 특성 = 32
      • (1) 자료수집 = 32
      • (2) 응답자 특성 = 34
      • 4. 분석방법 = 34
      • (1)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 및 자기감시 = 35
      • (2) 의복 착용상황별 패션상품통일체 구성 = 35
      • 제4장 결과 및 논의 = 36
      • 제1절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 = 36
      • 1.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 유형 = 36
      • 2.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 = 38
      • (1) 한국어-영어의 의복 추구이미지 용어에 대한 지각 비교 = 38
      • (2) 남자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 요인 = 43
      • (3) 남자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 유형 = 55
      • 제2절 의복 추구이미지와 자기감시 = 58
      • 1. 자기감시 정도에 따른 의복 추구이미지 차이 = 58
      • (1) 학교 갈 때 = 60
      • (2) 이성 친구 만날 때 = 61
      • (3)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 = 62
      • (4) 운동할 때 = 62
      • 2. 의복 추구이미지 유형과 자기감시 정도 = 64
      • 제3절 의복 착용상황별 패션상품통일체 구성 = 65
      • 1. 가장 구입하고 싶은 1가지 패션상품 = 65
      • (1) 학교 갈 때 = 66
      • (2) 이성 친구 만날 때 = 67
      • (3)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 = 68
      • (4) 운동할 때 = 69
      • 2. 상황별 패션상품통일체 구성 = 70
      • (1) 학교 갈 때 = 70
      • (2) 이성 친구 만날 때 = 75
      • (3) 졸업식·결혼식 등의 행사에 참석할 때 = 80
      • (4) 운동할 때 = 83
      • 제5장 결론 = 87
      • 제1절 요약 = 87
      • 제2절 결론 및 제언 = 89
      • 제3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91
      • 참고문헌 = 92
      • 부록 = 97
      • 요약 = 1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