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지영 아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노화관련 연구들이 주로 노년층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결정요소들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던 것에 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차별화된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중장년으로 확대하고 노화의 의미도 ‘나이듦’이란 한글 개념으로 확대·사용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중장년들의 나이듦의 중요한 철학적 특징이 타자와의 유의미한 관계맺음에 있다는 인식하에 한국 중장년의 나이듦을 ‘더불어 나이듦’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활동을 통해 중장년들이 어떻게 더불어 나이듦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적 상황에 맞는 ‘더불어 나이듦’의 정의를 내려 보고자 하였다. 둘째, ‘더불어 나이듦’의 본질을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중장년들 자신이 더불어 나이듦의 적극적 주체라는 사실을 인식하여 나이듦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촉진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중장년은 시간과 공간, 관계에 따라, 각자의 문화적 풍토와 그 속에서 작용하는 의지, 욕망에 따라 실존적 의미가 다르다. 따라서 평생학습활동을 통한 더불어 나이듦의 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조건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을 하였고, ‘더불어 나이듦’을 형성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장년 평생학습자들에게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의 중장년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평생학습활동 상황을 알아본다. 둘째, 기존의 노화이론들을 고찰하고 노화를 무엇으로 정의하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중장년들이 생각하는 평생학습을 통한 ‘더불어 나이듦’의 조건을 알아본다. 넷째, 평생학습활동을 하는 중장년의 더불어 나이듦의 발생과 과정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활동을 하는 중장년들이 인식하는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를 알아본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의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의 형성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는 무엇인가? 전술한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장에서 포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첫째 중장년학습자의 평생학습적 맥락을 사회문화적 및 평생학습활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둘째 노화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 의식적 노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그리고 연구절차와 분석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4장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 해석을 통해 평생학습활동을 하는 한국의 중장년들이 더불어 나이듦을 위한 삶의 조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더불어 나이듦의 발생과 과정은 어떠한지, 그리고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4장에서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중장년의 평생학습활동을 통한 더불어 나이듦의 현상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중장년의 더불어 나이듦을 위한 평생학습의 역할에 대한 결론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종합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평생학습활동을 하는 중장년들의 더불어 나이듦의 조건은 무엇보다 삶의 중심(重心) 찾기, 함께 배우고 나누며 만들기, 건강한 몸과 마음의 온전한 하나 되기, 완만한 내리막길에서 삶의 의미 찾기이다. 이러한 조건은 평생학습활동을 통해 성취할 수 있다. 둘째, 중장년들이 평생학습활동을 통해 더불어 나이듦으로 나아가는 과정은 네 가지 단계의 변증법적 평생학습과정으로 구분된다. 나이듦의 인식에 따른 정체성에 대한 의문, 정체성의 부재에 대한 인식, 주체적 삶을 위한 평생학습활동에의 도전, 그리고 평생학습활동의 실행의 순서이다. 이러한 중장년들의 정체성 인식과 평생학습활동의 필요성 인식이 순차적으로 도전과 실행으로 이어지면서 결과적으로 더불어 나이듦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셋째, 평생학습활동을 통한 중장년 참여자들의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는 우발적 마주침을 통한 각자적 삶의 동행, 나눔을 통해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조적 삶의 의의 발견, 나만의 울타리를 넘어 세상과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는데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장년 평생학습자들의 더불어 나이듦의 의미와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중장년 평생학습자들의 더불어 나이듦을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로는 첫째, 더불어 나이듦을 위한 평생학습의 철학의 정립이 필요하다. 중장년들은 서로를 필요로 하면서 상생, 생성하는 가운데 각자가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시켜 나가는 공속관계에 있다는 철학이 필요하다. 둘째, 중장년들의 삶의 중심을 찾는 평생학습활동 창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어떠한 평생학습활동이든 중장년들의 더불어 나이듦의 조건인 육체적 및 정신적 삶의 중심을 찾으려는 욕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장년들의 상호작용을 더욱 촉진시키는 평생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중장년층은 관계망의 형성 및 이를 통한 사회적 지지에 관심이 많으며 이러한 관심이 평생학습활동 참여의 동인이 될 수 있다. 넷째, 더불어 나이듦을 형성하는 변증법적 학습과정에 대한 평생교육이 필요하다. 몸과 마음의 조화를 통한 더불어 나이듦은 변증법적 평생학습과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평생인문학습의 장을 적극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 욕구는 그 자체로 인간의 본성이기에 학습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중장년의 실존의 의미를 드러내는 평생인문교육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평생학습의 내용이 아닌 학습 자체에 관심을 두는 중장년 평생학습자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장년층의 확대에 따라 급증하게 될 평생학습활동에의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중장년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이해가 필요하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더불어 나이듦을 위한 간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 중장년의 더불어 나이듦 혹은 조화로운 노화의 조건은 그 자체로 간학문적 성격을 내포한다. 둘째, 중장년 평생학습자의 학력과 더불어 나이듦의 형성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력에 제한 없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 중장년 평생학습자에 초점을 맞춘 더불어 나이듦의 연구가 필요하다. 거울자아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상실감은 여성 중장년들에게 빈번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넷째, 노화란 개념에 대한 재해석 혹은 노화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서구에서 비롯된 노년의 사회적 이해 방식인 연령주의는 노화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 관념들이 노년에 대한 억압과 차별로 이어져서 구조적 관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중장년의 노화연구를 더불어 나이듦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 - 가족기능의 매개효과와 나이듦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 -

        박순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3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가족기능이 중년여성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며,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이들 매개적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독립변수로, 심리적 복지를 종속변수로, 가족기능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적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 통제변수로 중년여성의 연령, 학력,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 등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으로서 결혼 경험이 있고 자녀가 있는 여성으로 한정하였으며, 45세-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대면 조사 300부, 온라인 조사 270부를 수거하여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546부(대면 조사 280부, 온라인 조사 2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과 Hayes(2020)가 제안한 SPSS Macro Process v3.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심리적 복지, 나이듦에 대한 태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중년여성의 위기감은 선행연구보다 비교적 낮고,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 심리적 복지는 높거나 낮게 나타났다. 또,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하위요인 중 일이나 성취에 대한 위기와 개별화의 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을 제외한 학력,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는 낮아지고 가족기능과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통제변수로 연령, 학력,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을 사용하였는데 학력과 노후계획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는 높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았다. 다섯째,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하거나 중재한다는 것으로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줄이고 심리적 복지 향상을 위해 가족기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으로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면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족기능을 매개하여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년여성의 나이듦에 대한 태도 변인이 가족기능의 영향력을 조절한다는 것은 그만큼 가족 안에서 중년여성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하위요인 중 일이나 성취에 대한 위기와 개별화의 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는 중년기가 외부세계로 향했던 에너지를 자기 내면으로 돌리면서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고 지금까지 실현하지 못했던 성취에 대한 아쉬움 등이 다른 위기감보다 크게 표출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여성은 인생의 목표달성 및 성취에 관심이 많으며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원하는 만큼 발달단계의 조정과 생애주기 발달과업의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며, 자기 계발과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중장년기의 사회적응으로 이어져 개인의 삶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감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며, 가족기능과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 중년여성이 위기감을 극복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과 여가활동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통제변수 중 학력과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지적욕구 향상을 위해 사회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노부모 및 자녀부양의 부담을 국가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정책 및 제도를 체계화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노후생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중년여성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년기는 가족기능이 새롭게 부각되는 시기여서 가족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면 중년기 문제점이나 부작용들이 감소하게 되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가족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가족친화적 제도를 확대하는 등 통합적인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달라진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하게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나이듦을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취급하는 것이 아닌 개인과 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대처하여 이후 노년기에 발생할 사회적 부담과 노인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 중년여성의 나이듦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개인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년기에 특화된 전문가 시스템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족기능을 매개하여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 안에서 중년여성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기능이 나이듦에 대한 태도와 불가분의 관계임을 인식하고, 가족기능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에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접목하는 융합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중년여성의 심리적 복지 증진을 위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은 ‘낀 세대’ 로서 자칫 관심과 지원의 대상에서 소외되기 쉬우므로,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국가와 사회적 차원에서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다양한 영역 즉, 건강 및 정서지원, 경제관리, 가족지원 등에 따른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to search a medi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 and psychological welfare, and to find out whether attitudes toward aging control the mediated relationshi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ense of crisi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le psychological welfar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in middle-aged women. Family functions were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o identify a mediating effect while attitudes toward aging were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to examine a moderating role. In addition, age,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in middle-aged women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women aged 45 to 64 years who lived in Korea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a child. 300 face-to-face surveys and 270 online survey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546 questionnaires(280 face-to-face surveys and 266 online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s that included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PSS Macro Process v3.5 program proposed by Hayes(2020)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psychological welfare, and attitudes toward aging was examined in middle-aged women. As a result, the sense of crisis was relatively lower than previous research and family functions, attitudes toward aging, and psychological welfare were higher or lower. In addition, the crisis of work or achievement and the crisis of individualiz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the sense of cri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except age. Third, the rel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on psychological welfare was analyzed in middle-aged women. As a result, the sense of crisis had the greatest effect. While the higher the sense of crisis, the lower psychological welfare, the higher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the higher psychological welfare. Fourth, this study used age,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as control variables.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retirement plan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lower depression. Fifth, family function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means that family functions may reduce or mediate a neg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It suggests the need to enhance family functions to reduce the sense of crisis and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Sixth, attitudes toward aging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means that attitudes toward aging may moderate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n other words, if attitudes toward aging are positive, the neg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can be decreased. Seventh, in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family functions,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ttitudes toward aging moderate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s means that the middle-aged women’s attitudes have a great effect in famil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sis of work or achievement and the crisis of individualiz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women. It suggests that the middle age is the period when energy toward the outside world to the inside, life is reevaluated, and a regret for achievement that has not been realized is expressed more greatly than other senses of crisis. Therefore, since middle-aged women are interested in attaining goals and achievement in life and want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development stages should be adjusted and the development tasks of life cycle should be understood from a new angl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to design the second life. Second, the rel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 towards aging on psychological welfare was analyzed in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fare, leading to social adjustment in the middle and old age, which can influence individual life in gener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up a system to reduce or prevent the sense of crisis and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s to positively improve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Moreover, various social education programs and leisur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hat middle-aged women can overcome their crisis and enjoy an active life. Third, academic backgroun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were important variables among control variables in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access to so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intellectual desires of middle-aged women. Policy and system should be systematized retir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in various areas to share the burden of elderly parents and child support with a state. Policy for the systematical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s health should be also developed.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y function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Since the middle age is a period when family functions are newly highlighted, the problems or side effects of the middle age will be decreased if family functions are maintained smoothly. Therefore, integrated policies such as establishing family-friendly environment and expanding family-friendl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improve marital and child relationships that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changed marital and child relationships to create a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Fifth,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o share and deal with aging together rather than treat it as a problem to be solved by individuals to prevent the elderly’s social burdens and problems in the old ag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change negative thoughts about aging into positive ones and to pick out special expert systems for the middle age. Sixth,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family functions. It suggests the great effect of middle-aged women’s attitudes in the family. Therefor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family functions are inseparable from attitudes toward aging. Providing combined services and programs that incorporate attitudes toward aging into programs that improve family functions can be effective to promote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 findings, as middle-aged women are likely to be alienated from the object of interest and support as “the sandwich generation”, more active interest and support for them should be given at the state and social level. Moreover, integrated service support is needed according to the various areas of middle-aged women’s life such as health and emotional supports, economic management, and family support.

      • 한국 기혼남성의 50대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수도권 중산층 50대 유자녀 기혼 남성을 중심으로

        양윤정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75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actical ways of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married men in their 50s’ living in Korean society by revealing the essential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 as well as analyzing the world in which they lead their life. To achieve such purpose, a pilot study was first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bility of the research and the validity of methodology involved. The main study us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Larry K. Graham’s psycho-systemic approach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ir 50’s. The participants are 6 married Korean males between age 50 to 59 (those who were born in the 1960’s) who still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have children, and reside in the Greater Metropolitan Seoul Area. The study proceeded in the following order: data collection through interviews, constructing texts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on the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outcome. This study yielded 6 phenomenological topics and 16 sub-topics, and the meanings of each of these topic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6 topics are ‘the father in me’, ‘perception of aging’, ‘forbidden stories’, ‘powerful wealth’, ‘actions of generativity’, and ‘absence of a self’ ‘The father in me’ refers to the ‘embedded masculinity’ the participants internalized and the ‘perception of aging’ is a se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phenomena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as loss and anxiety. ‘Forbidden stories’ are the stories that the participants withheld from their friends or wives and such lack of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emotions led them to feel isolated, left out, and disconnected from others even when they were engag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topic ‘powerful wealth’ is about the powerful influence of money; the participants view money as an indispensible means of sustaining their life while also seeing that there is a ‘regal’ value to it. ‘Actions of generativity’ are the actions that Erickson considered to demonstrate generativity. These are actions of taking on the role of a permanent guardian by supporting their children and dedicating themselves to society while also yearning to be recognized for such actions. ‘Absence of a self’ is an experience in which the participants lose their sense of self as they focus on fulfilling thei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Such absence is the form of existence the participants take in this world, which leads them to self-isolation and solitude. The participants are “existences in this world” whose experience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world. The world in which the participants live consists of five extistentials which were experienced in certain ways. Corporeality is experienced as “an aging body”, and temporality as “time experienced in the form of the present.” Spatiality is experienced as “the space in between”, relationality as “paradoxical relationship”, and materiality as “two faces of Janus.” These five existentials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but inseparable and interrelated as they create meanings out of one another to form a multifaceted world. The five existentials were integrated with, and became part of th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through such process. The essence of the life-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s Korean male in their 50’s was mainly created by the process of “aging” and “embedded masculinity” interacting together, with the “embedded masculinity” based on patriarchal values. As such, the distinct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s Korean male in the 50’s is a sense of void and nihilism, which could only be appreciated when we pay close enough attention to the unique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peculiar experience created by the process of “aging” and “embedded masculinity” of patriarchal nature. Thus, the tru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 in their 50’s are uncovered only after one focus on uniqu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formed by the context of ‘embedded masculinity’ and event of ‘aging phenomenon’. The experiences of married Korean men in their 50's take place within psycho-systemic constructs called the individual, the family, the society, the culture, and the nature. Such constructs are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and yet interact with a certain tendency as a result of dynamics created by five different psycho-systemic connectors which are contextual organization, contextual creativity, bi-polar power, contending values, and reciprocal transaction. The contextual organization is the very basis of the participants' psycho-systemic construct which is the 'embedded masculinity' on the individual level, the role of a breadwinner on the family level, patriarchy and capitalism on the sociocultural level. As the participants enter the 50's, they start to experience unexpected changes in their life such ad perceiving that they are aging, increased life expectancy, and their children living with them longer than the participants lived with their parents. Situations like these require the participants to become creative, which also forces their psycho-systemic constructs to adjust to new changes. Such demand to adapt posed by new situations lead to imbalance between two opposing forces - femininity versus masculinity, and the true self versus personas of an individual. Femininity that goes against the 'embedded masculinity' in an individual is suppressed and this, in turn, reinforces the personas representing that which is considered manlike, distancing the individual from his true self even further away. Such internal imbalance of power that takes place within the minds of the group of men represented b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s what puts these men in a dilemma. Dilemmas of similar nature, however, are also found to be created by competing values within the psycho-construct of these men, which is 'what is expected of them' versus 'what they desire' as individuals. It is the friction between 'the desire to be acknowledged by others' and 'the desire to assert oneself' which can be seen as the same kind of tension that Benjamin (2018) said would occur between acknowledgement by others and self-assertion. Most participants chose to give up on their desires rather than bearing such tension, thereby opting for avoiding the tension as opposed to embracing it. By choosing to avoid the tension, the participants had to go through an experience in which they repeatedly felt humiliation and frustration instead of mutual respect. Reciprocal transaction depicts internal connection within cyclical process in psycho-system(Graham, 1992), which was interpreted to be operated by dominative masculinity of Korean society, under their strong responsibility. Dominative masculinity was first, embedded in men in socio-cultural background of patriarchy and capitalism as a contextual organization. This kind of masculinity made aging as an uncomfortable phenomenon that includes dependence and loss, and tasks that should be overcome for adaptation, which in fact emerges as contextual creativity. Also, among the conflicting and competing values, that is responsibility versus pursuing own desire, others’ acknowledgements versus self-assertiveness, dominative masculinity supports fulfilling responsibility and receiving acknowledgements from others, and by suppressing femininity in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level, it leads to imbalance between the power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as a twofold influence. In this study, the life experience of married men in their 50’s is named as “Hollow Tree Phenomenon”, and the “life following the script of embedded masculinity” under the patriarchy is identified as the essential topic of life experience of those in 50’s. From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elf-isolation and emptiness that men experience are ‘crisis of their embedded patriarch masculinity’ rather than ‘crisis of transition into middle-age’. Based on this, a new form of masculinity is required, and for this to be done, every individual of men should get to notice the identity and structure of power that competently interacting within oneself. Men perceiving the structure of tension and conflict occurring between their reality and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is conscientization, can be a starting point of reconsidering and reconstructing one’s masculinity formed by patriarchy. This point should be where pastoral caring upon them should start. To apply this outcome to caring married Korean men in their 50’s, the directions of systemic caring are presented based on 5 principles of Graham(1992), which are organicity, simultaneity, conscientization, advocacy, and adventure. 국문요약 한국 기혼남성의 50대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50대’를 살아가는 기혼남성들의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드러내고, 그들의 생활세계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돌봄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연구의 실행 가능성과 타당한 방법론을 점검했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Larry K.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경험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면서 아직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50세와 59세 사이(60년대 생)의 유자녀 기혼남성 6명이다. 연구는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한 자료의 수집과, 수집한 자료에 근거한 텍스트의 구성, 해석학적 현상학적인 반성을 통한 분석, 그리고 해석학적인 현상학적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6개의 현상학적 주제들과 이들의 16개의 하위 주제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6개의 현상학적 주제들은 “내 안의 아버지”, “나이듦에 대한 자각”, “금지된 이야기”, “군림하는 재력” “성숙성의 행동”, “나의 부재” 이다. “내 안의 아버지”는 그들의 내면화되고 “체화된 남성성”을 의미하며, “나이듦에 대한 자각”은 50대에 들어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현상으로, 이는 상실과 불안으로 경험되었다. “금지된 이야기”는 연구 참여자들이 친구나 아내에게도 말하지 않는, 말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들의 비표현성은 감정의 억압으로, 인간관계에서 함께 있으나 연결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경험이다. “군림하는 재력”은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돈”의 영향력으로, 돈은 그들의 삶에서 필수불가결한 수단인 동시에 그 자체로 제왕적인 가치를 가진다. “성숙성의 행동”은 Erickson의 성숙성(Generativity)에 해당하는 모습들로서, 자식들에 대한 지원과 사회적 헌신을 통해 영원한 보호자로서 역할을 감당하고자 하고, 이에 대한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들이다. “나의 부재”는 연구 참여자들이 역할과 책임을 다하며 살아오는 동안, 자기가 없음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부재로 현존하는 것은 그들의 존재 방식이며, 이는 자기 소외와 고독으로 이어진다. 연구 참여자들은 “세계 내 존재”로서, 그들의 경험은 그들의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되었다. 그들의 생활세계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실존체들(existentials) 중 먼저 신체성(corporeality)은 “나이 들어가는 몸”으로, 시간성(Temporality)은 “현재로 경험되는 시간”으로, 공간성(Spatiality)은 “끼여 있는 공간”으로, 관계성(relationality)은 “모순적인 관계”로, 그리고 물성(Materiality)은 “야누스의 두 얼굴”로 경험되었다. 이 다섯 개의 실존체들은 구분될 수는 있어도 각각 분리될 수는 없는 상호 교섭적인 관계에 있으며, 서로가 서로의 근거가 되어 의미를 만들어 가는 입체적인 생활세계를 형성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에 통합되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삶의 경험의 본질은 “체화된 남성성(embedded masculinity)”과 “나이듦”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되고 있었고, 이 체화된 남성성은 가부장적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연구 참여자들의 50대 경험의 고유한 의미는 공허함과 허무함으로, “체화된 가부장적 남성성”이라는 맥락과 “나이듦의 현상”이라는 사태가 만들어내는 경험의 독특한 성격과 구조에 귀 기울일 때 비로소 드러나게 된다. 한국의 50대 기혼 남성들의 삶의 실제적인 경험은 개인, 가족, 사회, 문화, 자연이라는 심리내적 체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심리 체계 구조들은 각각 독립적인 위치를 지니면서도, 다섯 가지 심리체계 연결조직들(psychosystemic connectors), 즉 상황적 조직구성(contextual organization), 상황적 창의성(contextual creativity), 이중 구조적 영향력(bi-polar power), 경쟁적 가치들(contending values), 그리고 상호적 거래(reciprocal transaction)의 작용에 의해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 체계 구조의 배경적 기반으로서의 상황적 조직은 개인 체계 안에 있는 체화된 남성성, 가족체계에서의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 그리고 사회문화체계로서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겠다. 50대에 접어들면서, 나이듦의 자각, 자녀들의 독립시기의 지연, 기대수명의 연장 등의 상황적 창의성은 그들의 심리체계 시스템에 변화와 재조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양극적인 힘의 불균형과도 연결된다. 이는 여성성과 남성성, 참자기와 페르조나 사이의 불균형을 의미하며, 체화된 남성성에 위배되는 여성성은 억압되고, 이는 다시 남성다움의 페르조나를 더욱 더 강화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참 자기와는 멀어지게 된다. 이 같은 내면의 힘의 불균형은 남성들로 하여금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이러한 딜레마는 그들의 심리체계 구조에서 서로 경쟁하는 가치들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이는 이들에게 기대되는 책임과 그들 내면의 욕구, 타자인정과 자기주장의 경쟁이다. 이는 Benjamin(2018)이 말하는 자기주장과 타자 인정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으로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긴장을 견디기보다는 자신의 욕구를 포기함으로써 긴장의 수용이 아니라 긴장의 회피를 택하였다. 그들은 긴장을 회피함으로써 상호인정이 아니라 지배와 굴복의 자리를 왕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상호적 거래는 심리체계에서 순환과정과 내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으로(Graham, 1992), 그들의 강한 책임감의 기저에 있는 한국 사회의 지배적인 남성성에 의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지배적인 남성성은 먼저, 상황적 조직 구성으로서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라는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남성들에게 체화되었다. 이러한 남성성은 상황적 창의성으로 등장하는 나이듦을 의존과 상실이 내포되어 있는 불편한 현상으로, 적응을 위하여 극복해야 하는 과제로 만들었다. 또 상충하는 경쟁적 가치들로서의 책임 대 자아 욕구, 타자인정 대 자기주장 가운데 지배적인 남성성은 책임완수와 타자 인정을 지지하며, 의식적, 무의식적 차원에서 여성성을 억압함으로써 이중적 영향력으로서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힘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0대 기혼 남성들의 삶의 경험현상을 “할로우 트리 현상(Hollow Tree Phenomenon)”이라고 표현하고, 가부장적인 “체화된 남성성의 대본을 따라 사는 삶”이 50대 삶의 경험의 본질적인 주제임을 드러냈다. 이런 점에서 남성들이 경험하는 자기 소외와 공허함은 ‘중년의 전환기적 위기’라기보다는 그들의 ‘체화된 가부장적 남성성의 위기’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이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남성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남성들 개개인이 자기 내면에서 서로 경쟁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힘의 정체와 구조를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식화는 가부장제에 의해 형성된 자신들의 남성성을 재고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바로 여기가 그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시작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한국의 50대 기혼남성들을 위한 돌봄에 적용하기 위하여, Graham(1992)의 목회적 돌봄의 5가지 원리(유기체성(organicity), 동시성(simultaneity), 의식화(conscientization), 지지(advocacy), 모험(adventure))를 기반으로 체계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 고령 성매매여성들의 생애사 연구 : 가족, 일, 나이듦의 의미를 중심으로

        신그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59

        본 연구는 성매매 당사자들의 경험이 수없이 강조되는 상황 속에서도 실제로 성매매 경험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소수의 연구들조차 소위 ‘젊은’ 여성들의 경험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피해 vs 자발’이라는 논의 구도 속에서 성매매 경험이 전체 생애 맥락에서 다루어지기 보다는 분절적으로 사유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그 문제의식은 성매매여성들과 함께한 활동경험과 학문영역에서 성매매 연구들과 성매매 현장의 괴리를 실감하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집결지 인근에서 성매매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50~60대 성매매여성들의 생애사에 귀 기울여 보기로 했다. 구술생애사 방법론을 통해 고령 성매매여성들의 경험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그들이 경험한 과거의 객관적 사실을 발견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구술자가 발화하는 시점에서의 주관적인 사실들을 통해 그들의 현재를 이해해보겠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2009년부터 연구자와 알고 지낸 여성들로 현재 S집결지 인근 쪽방촌이나 휘파리 골목에서 독장사의 형태로 ‘일’하고 있다.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축은 성매매여성들의 경험을 연구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론을 고민하는 과정에서부터 연구참여자들과의 공동작업을 통해 생애사를 시간순으로 재구성하고 결론을 도출하기까지의 전체 연구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창작적 구성물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축은 연구참여자들과 공동작업으로 만들어낸 ‘생애사 재구성’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이 연구에 구술자료를 제공해주었을 뿐 아니라 구술된 자료를 편집하고 시간축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함께 했다. ‘생애사 재구성’은 연구참여자들이 이야기한 생애를 중심으로 그들의 개별 생애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축은 연구참여자들의 생애사를 가족, 일, 나이듦이라는 주제로 비교분석한 ‘생애사 분석’이다. ‘생애사 분석’은 연구참여자들간의 차이와 공통점을 기반으로 중심 주제를 도출하여 구성하였으며 ‘생애사 재구성’에서 드러나지 않은 이면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는 배경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가족 내에서의 생애사건들은 각자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해석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빈곤을 경험하며 성장했다. 가족의 생존전략에 따라 진학 대신 노동시장으로 방출된 연구참여자들은 대부분 비공식 부문의 노동에 종사하면서 자신의 욕망이나 권리와는 상관없는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고 성별화된 역할 분담에 익숙해져 갔다. 연구참여자들은 ‘빈곤의 탈출구’ 또는 ‘자율적 독립의 기회’로 결혼이라는 전략을 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결혼을 통해 계급적 경계선을 넘어보고자 했던 연구참여자들의 시도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연구참여자들 중 대부분이 이때 성매매로 유입/재유입되었다. 가족 유대가 약한 연구참여자들은 30년 가까이 S집결지를 중심으로 ‘일’하고 생활하면서 집결지 내에 삶의 지향을 두고 공동체적 삶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2) 연구참여자들은 과거 노동경험에 대한 해석의 연속선에서 성매매 ‘일’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들이 경험한 노동은 주로 저임금, 장시간의 고된 노동이었다는 점, 섹슈얼리티까지 자원으로 요구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을 성적 존재로 환원시켰다는 점,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식모, 버스안내양, 공장노동 종사자들은 국가, 성산업을 비롯한 전체 노동시장 구조 속에서 ‘요보호여성’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이 특징으로 발견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과거의 노동경험을 기준으로 현재의 ‘일’을 해석하고 있기 때문에 성매매가 가지는 착취성과 폭력성을 변별해 내지 못했다.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적 필요에 의해 성매매를 ‘일’로서 선택했다. 하지만 섹슈얼리티에 따라 등급이 형성되는 성매매 시장의 특성 때문에 ‘일’하면 ‘일’할수록 연구참여자들의 가치는 하락되었고 그에 따라 성구매자와의 협상에서 점점 더 불리한 조건에 처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고령의 연구참여자들이 성매매를 지속하면서도 빈곤에서 벗어나기 힘든 이유였다. 3) 나이듦에 따른 몸의 변화가 갖는 의미는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세대와 ‘일’하는 공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성매매 시장에서 여성의 ‘몸’은 외적 조건에 따라 가치를 인정받는 정도가 다르고 고된 육체노동을 수반한다는 점 때문에 자본과 직접 연관된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은 이미 외모로 경쟁력을 발휘하던 시기를 지나쳤기 때문에 외모의 변화보다는 직접적으로 생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의 변화에 더 민감한 편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성매매 ‘일’을 그만둬야 할 시기가 임박했음을 말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들이 복지제도나 여성단체의 지원에 의존하는 모습은 스스로 생산성이 결여되어 가고 있음을 인식하면서 이후의 삶을 모색하는 것처럼 보였다. 성매매 ‘일’을 오래 지속한 여성일수록 성매매 공간 내에서의 통제력은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성매매 공간에서의 통제력이 향상될수록 외부와의 접촉이 줄어든다는 것은 성매매 공간에서의 삶이 길어질수록 사회적 고립감이 더 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의 현재는 사회적 관계의 부재와 빈곤이라는 측면에서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은 그런 고통에만 천착해 있지 않는다. 자신과 사회를 재의미화하면서 자신의 생애를 긍정적인 방식으로 풀어가고자 하는 연구참여자들의 의지는 경험과 연륜이 만들어낸 생존전략이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측면이었다. 이 연구는 고령 성매매여성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히면서 성매매여성들의 경험과 선택을 구조화하는 젠더-경제 체제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매매여성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성매매여성’으로 불리게 되었는가, 즉 사회구조가 그들을 타자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성매매 구조 안팎의 인권침해에 대응하고자 하는 여성주의 연구와 실천에 함의를 가져다 줄 것이다. 왜 그들은 지금이 행복하다고 말하고 있는가. 행위와 개념이 놓여 있는 맥락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매매여성들의 선택 또는 자율성에 대해서도 제대로 논의할 수 없게 된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성매매여성들이 여성으로서 겪는 경험들에 사회가 제대로 반응해 왔는지, 그리고 반응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다시 한 번 묻게 되었다. 어떤 환경들이 연구참여자들의 ‘선택’을 구조화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다양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성매매여성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세대, 노동경험, 지역 등의 차이를 고려한 후속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 연구

        정보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23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 연구 본고는 ‘여성-작가’이자 문단의 ‘대가’라는 평가를 받았던 최정희의 후반기 삶과 그의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동안 최정희 소설에 대한 연구는 그의 전반기 소설에 두드러져 있어 불균형한 형국이었다. 본고는 최정희 문학 세계의 총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그의 후반기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최정희 연구에서 결락된 부분을 보충하고자 했다. 서론에서는 먼저 최정희의 소설 세계 전반에 대한 시기 구분을 재설정했다. 최정희의 후기 소설의 범위를 1960년대 초반 발표된 『인간사』부터 1980년에 발표된 마지막 작품인 「화투기」까지로 축소했다. 해당 시기에 최정희가 발표한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으며 최정희의 후반기 소설에 담긴 작가 의식을 찾고자 했다. 아울러 선행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소설을 살핌으로써 최정희의 소설 연구에서 후반기 소설이 갖는 의의를 재정립했다. 본론의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부터 영면에 이르기까지 최정희의 삶을 검토하고 그의 문단 활동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최정희는 ‘여성-작가’로서 문단의 중심권력을 욕망했다. 하지만 ‘여성’이라는 한계와 시대의 흐름 앞에서 문단의 권력이 이동하자 그의 욕망은 좌절된다. 하지만 그는 특유의 ‘살롱문화’를 형성함으로써 ‘살롱’의 명예로운 ‘여주인’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3기의 작품 『인간사』, 『강물은 또 몇천 리』를 다루었다. 『인간사』는 식민지기 지식인 문오를 중심인물로 내세워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회고했다. 최정희는 이전의 소설들에서 최정희 자신으로 의심될 만큼 작가와 비슷한 정체성을 지닌 여성 인물을 내세워 그가 겪고 있는 동시대의 당면과제를 논했던 것과는 달리 『인간사』에서 ‘지식인-남성’ 주체를 통해 과거를 재구성한다. 이때 식민지 조선은 ‘적막’하고 지식인들 역시 ‘적막’에 사로잡혀 있다. 최정희는 그들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적막’한 시대의 숙명 탓이라고 해명하면서 과거를 돌아보지 말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그는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지닐 것을 강조함으로써 ‘적막’이라는 장막 속에 과거의 잘못을 감추고 있다. 『인간사』에 이어 발표한 『강물은 또 몇천 리』에서도 그는 식민지기를 회고한다. 이때 최정희는 자전적 자아의 목소리를 빌려 지극히 개인적인 아픔을 말함으로써 있는 그대로의 과거를 ‘고백’하겠다는 의도를 밝히지만 그의 ‘고백’은 반쪽에 불과했다. 친일의 행적에 대한 고백이 철저하게 삭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친일행적에 대해 고백해야 할 지점에 이르면 소설의 국면을 전환해버린다. 그는 ‘고백’이라는 형식을 이용해 과거를 은폐하는 기만술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정희가 자신의 ‘친일’ 행적을 은폐, 축소하기 위해 식민지기를 다룬 두 편의 장편 소설을 발표했음을 설명하고자 했다. Ⅳ장에서는 4기에 발표된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최정희가 ‘나이든 여성’으로서 ‘주변부’의 위치에 적응하고 ‘소멸’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폈다. 4기는 최정희가 식민지기 회고를 중단하고 현실의 문제로 눈을 돌린 1960년대 중후반부터 마지막으로 발표된 소설 「화투기」(1980)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 최정희는 자신이 도약하고자 했던 중심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자신의 위치가 ‘주변성’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한다. ‘나이든 여성’으로서 에로스를 재배치하고 소멸의 의제를 수용하는 자세가 단편 소설로 형상화되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마지막 작품인 「화투기」에서 최정희는 죽음의 공포와 불안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후반기 최정희의 작가 의식이 명징하게 드러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혹독한 현실 앞에 불가피하게 내몰려왔지만 최정희의 과거는 참혹했다. 그의 소설은 한국의 근ㆍ현대사에서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생존기로 읽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