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사의 회전에 나타난 선(善)과 악(惡)의 애매성

        인정욱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39

        The Turn of the Screw has received an amoun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for its uncanny story and the fierce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ale. James's skill of ambiguity makes the reading process not only more confusing but also more dynamic and richly suggestive. So far, in spite of the rich previous literary work on the ambiguity related with the actual and imaginary, much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ubject of the ambiguity between good and evil in this novel. The Freudian critics have argued that this story can be read as a psychoanalytic novel of sexual repression of the governess. From this point of view, two children, Miles and Flora are victims of the governess's insanity, and are totally innocent. On the other hand, anti-Freudian critics have thought that the governess tries to save the children from the evil of the ghost, and is innocent. However, the controversial issue is not that simple and clear and becomes more confusing, once a careful look is taken. Good and evil are eventually blured out by the end of the book; the growing ambiguity of all of the characters’ nature makes it impossible to continue to define either good or evil. Much thought has been involved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Does innocence just mean freedom from guilt, or does it imply something a little broader, such as free from knowledge, perhaps? All these questions arise from the ambiguity James provides for the readers to ponder. Depending on how one reads the story, different characters can get assigned to the sides of good and evil ; one might decide the black and white standards of good and evil do not even apply. Finally, we a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good and evil are represented by all of the characters in this tale, and it might be James's purposed setting with his skill of ambiguity.

      • 미국 고딕소설에 재현된 여성과 집: 제임스, 잭슨, 벡델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36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and ‘women’ represented in gothic novel. Based on it, the relations and structures of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world around women can be identified. In gothic novel, for women ‘house’ appears as ambivalent meaning of imprisonment and escape. In the space of imprisonment women are under the paradoxical circumstances from where they want escape but have to conform the condition of oppression in order to gain protection and stability. The lives and experience of women in gothic novel are not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but appear to be as distressing and strange state. Women feel a sense of separation and ‘uncanniness’ in where the ‘house’ should be protective and stable place.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how the meaning of female experience and reality which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by considering Henry James’ The Turn of the Screw,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Alison Bechdel’s Fun Home. In the first chapter, I argue women’s plac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in patriarchal society represented in The Turn of the Screw. Women can be considered as the drifting existence which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ess and the ghosts. Moreover, I examine the novel’s ‘narrative of frame’ in relation with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trapped in domestic spac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read the social pressure and repression on wom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nor Vance, the main female character, and Hill House in The Haunting of Hill House. At the end of the novel, Eleanor's choice represents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society's power to confine and oppress women. Though Eleanor’s ending is self-destructive, she pursues her desires by her own will and rejects social coercion.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Fun Home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space in gothic novel. In Fun Home, Bechdel escapes from her father who oppresses and manipulates her, and his home. Furthermore, she dissembles the house and recreates the house of her own by constructing archive about father and inscribing her personal story on canonical modernism literature. With her own perspective as a female / lesbian / graphic narrative artist, she creates whole new literary space. Bechdel's attempt is significant, for it acts as an subversive force on the power structure of male / heterosexual world / canonical writer.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shows th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space. While the space in James' The Turn of Screw reflects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British female Gothic novels, the spaces in Jackson and Bechdel’s novel s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American society,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ategory of gothic novels’ content and for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men presented in gothic novels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reality reflected in literature. However, the sense of ‘uncanny' in gothic spaces is also important, for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research into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seen but considered as not-be-seen.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여성을 둘러싼 세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본다. 고딕소설에서 여성에게 ‘집’은 감금과 탈출의 양가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이러한 억압과 감금의 공간에서 여성은 탈출하기를 원하면서도 보호와 안정을 얻기 위해서 억압과 감금의 조건에 순응해야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한다.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삶과 경험은 우회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고 기이한 상태 그대로 드러난다. 여성은 보호와 안정의 공간이어야 할 집에서 오히려 불안하고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괴리감과 낯설음을 느낀다.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과 현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부장 사회에서 적법한 자리를 갖지 못하고 가정교사와 유령처럼 부유하는 여성의 모습과 존재 의미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여성의 대상화와 가부장 사회에서 가정공간에 갇힌 여성의 존재 의미와 연결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잭슨의『힐 하우스의 유령』의 엘리너와 힐 하우스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과 억압에 대해서 고찰해본다. 엘리너를 압박하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힐 하우스의 구조와 초자연적인 힘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보수적인 미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작용한 가부장 사회의 억압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힐 하우스에서 고통 받는 엘리너는 이상적 여성상으로 제시된 가정에 제한되는 삶을 강요당하는 당대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다. 엘리너의 자기파괴적인 결말은 엘리너가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고 사회의 강요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살펴볼『펀 홈』은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의 대안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아버지의 집에서 탈출한 벡델은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이를 그래픽 내러티브 형식을 통해 시각화하여 『펀 홈』이라는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또한 벡델은 아버지와 자신을 연결해주는 요소인 문학을 차용하여 정전으로 불리는 문학작품에 사적인 경험과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넣고 여성/레즈비언/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시각을 중심으로『펀 홈』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벡델의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남성/주류작가/이성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공간에의 권력 구조에 전복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여성과 고딕적 공간의 관계의 의미와 그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는 또한 고딕소설에서 구현되는 공간의 변화도 함께 나타난다.『나사의 회전』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영국 여성 고딕소설에서 비롯되는 전형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면 『힐 하우스의 유령』과 『펀 홈』에서는 이를 미국 현대 사회의 환경에 적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내용적으로도 형식적으로도 고딕소설의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딕소설에 재현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여성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여성의 현실을 고찰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딕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익숙함 속의 낯설음’의 감각은 여성뿐만 아니라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로 치부되는 존재들에 대한 문학적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 : 헨리 제임스의 유령이야기와 리얼리티

        유상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33

        헨리 제임스는 실제를 재현하는 문제에 관해 19세기 리얼리즘과 20세기 모더니즘 관점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제임스의 노력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은 유령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제임스의 첫 유령이야기부터 1890년대 유령이야기에 이르는 8편의 유령이야기를 분석하여, 현실 재현에 관한 제임스의 입장을 밝히고 『나사의 회전』 에 대한 새로운 읽기를 시도한다. 1장에서는 1864년도부터 1890년대 초반에 쓰인 세 편의 유령이야기 「어떤 오래된 옷의 로맨스」(1868), 「유령에 홀린 임대집」(1876), 「에드먼드 옴 경」(1891)을 분석한다. 초기유령이야기에서 제임스는 유령의 실재성에 관한 기존의 근거들이 잘못 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여 리얼리티의 본질과 그 인식 근거에 대해 다루려고 시도하지만 결국 유령의 존재가 초자연적인 현상임을 가정한 뒤, 유령을 대면하였을 때 드러나는 인물의 무의식에 집중한다. 그 결과 유령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던 심리적 영역이 실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1890년대 유령이야기인 「사적인 삶」(1892), 「오웬 윈그레이브」(1892), 「죽은 자의 제단」(1895), 「친구들의 친구들」(1896)을 분석한다. 이 네 편의 작품은 유령의 존재를 주장하는 인물을 등장시키며 유령이 실재하는지 만약 실재한다면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관해 문제를 제기하는데, 초기유령이야기와 달리 유령을 초자연적 현상으로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령을 목격한 인물 외에는 실재성을 알 수 없는 것으로 끝맺음한다. 제임스의 유령이야기는 이와 같이 유령의 실재성을 논의의 대상으로 남겨두기 때문에 기존 비평에서 제임스 유령이야기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한 프로이트의 이론은 유령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임스 유령이야기에 들어맞지 않게 된다. 이 작품들은 오히려 유령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하고 그 인식 근거에 대해 탐구한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각 인식 주체가 각자의 리얼리티를 구성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더라도 유령은 실재할 수 있으며, 자아가 분열될 때 초자연적 세계의 유령이 현실 세계로 들어올 수 있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으로 제임스 작품을 분석하게 되면, 제임스 역시 의도적으로 각 인물이 서로 다른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령을 목격한 인물만이 유령의 실재성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임스는 이를 통해 각 인물들이 자신만의 리얼리티를 구성해나가는 심리적 과정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이전 유령이야기에서 발견되는 리얼리티에 대한 제임스의 입장과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을 통해 『나사의 회전』(1898)을 분석한다. 이 작품 속 가정교사의 심리는 윌리엄 제임스가 분석한 다중인격 히스테리 환자들의 전형적 증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가정교사가 이와 같은 다중인격 환자라면 그녀의 분열된 자아를 통해 유령이 실재할 가능성이 생긴다. 특히 이 작품은 가정교사의 심리 속에서 그녀의 상상 속 세계가 의식을 분열시키고, 의식 분열이 그녀의 시각에 유령을 나타나게 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상상의 세계와 현실 세계가 명확히 구분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윌리엄 제임스는 존재와 비존재 사이에 “가능성의 세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제임스는 가정교사의 심리 속에서 상상 속 세계와 현실 세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묘사함으로써 이 “가능성의 세계”가 의식 속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문학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제임스가 서문에서 왜 가장 이상적인 유령이야기를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라고 표현했는지 알게 해 준다. 그의 유령이야기는 초자연적 세계와 상상/로맨스의 세계를 다루고 있는 “요정이야기”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얼리티에 대한 제임스의 독특한 생각을 바탕으로 그의 유령이야기를 첫 작품부터 분석하게 된다면, 그의 유령이야기가 리얼리즘과 무관한 초자연적 이야기가 아니며 오히려 리얼리티의 본질과 그 근거에 주목한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임스의 유령이야기는 19세기적 리얼리즘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여 20세기 모더니즘에서 엿볼 수 있는 리얼리즘에 대한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정상 성인에서 계단보행의 운동형상학

        차용한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1979

        목적: 과거부터 계단 보행과 평지 보행의 차이점에 대한 보고는 다수 있어 왔고, 주로 시상면의 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두 가지 보행 간의 차이를 보고 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계단 보행을 하는 동안 관상면과 횡단면의 관절 움직임은 변화량도 작고 측정도 어렵기 때문에 보고가 드물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지 보행, 계단 상행, 계단 하행에 대해3차원 보행 분석 검사를 시행하고 정상 성인에서 계단 보행 시 어떠한 운동형상학적 (sagittal, coronal, transverse plane)특징이 있는 지와 슬관절이 굴곡에서 신전으로 이행 시 발생하는 나사 회전 운동이 계단 보행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관찰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의 과거 병력이 없고, 정상 보행을 하며, 방사선 검사와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고, 정상 성인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27(26-35)세 였다. 실험 계단은 목재로 제작하였으며, 폭 100㎝, 디딤면 길이 30㎝, 계단의 높이 15㎝, 기울기가 30˚인 3층 계단을 만들었다. 피검자가 평지와 계단을 자연스러운 속도로 걷는 동안 3차원 보행 분석 장비(Eagle system, MotionAnalysis, USA)를 이용하여 운동형상학 자료를 얻었다. SKB(skeleton build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 표식자(α:대퇴골 과간절흔 중간점, β: 경골극)와 가상 평면(면ABC(가상 대퇴골 관상면), 면LMN(가상 경골 관상면))를 생성하여, 계단 보행 도중 두 가상 표식자간의 병진 운동과, 가상 평면 간의 회전 운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보장은 평지 보행(평균 61.70cm) 에 비해 계단 상행(42.91cm) 이나 계단 하행(44.14cm)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활보장 또한 보장과 유사하게 평지 보행(평균 123.97cm)에 비해 계단 상행(83.89cm)과 계단 하행(85.88cm)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평지 보행과 비교하여 계단 보행은 입각기와 유각기의 비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입각기 동안 시상면 상의 운동형상학은 계단상행 시에는 고관절 굴곡, 슬관절 굴곡, 족배 굴곡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신전되는 방향으로 운동이 일어났으며, 계단 하행은 이와는 반대로 슬관절 신전, 족관절 족저굴곡 상태에서 슬관절 굴곡과 족배굴곡의 방향으로 운동이 일어났다. 계단 상행 시에 관상면상 운동에서 골반 경사와 슬관절 내반의 정도는 평지 보행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계단 하행 시에는 골반과 고관절은 평지 보행과 비교하여 경사/내전의 정도가 감소되었고 슬관절은 내반이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 또한 계단 보행을 하는 동안, 상행이든 하행이든 간에, 경골은 대퇴골에 대하여 지속적인 외회전 상태(잠김 상태, Locking)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관절에서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병진 운동은 그 정도가 전체적으로 슬관절 시상면 운동형상학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보였고, peak knee flexion이 일어나는 초기 유각기 말에 최대로 벌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운동형상학 자료에서 계단보행을 위해서는 고관절, 슬관절과 족관절에서 평지보행 보다 더 큰 관절 운동 범위가 필요하였다. 또한 운동형상학 결과에서 평지 보행과 비교하여 계단상행 및 계단 하행에서 슬관절의 굴곡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퇴사두고근의 내적 모멘트 증가가 예상된다. 같은 이유로 계단상행 시에 고관절 신전근의 내적 모멘트도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SKB를 이용한 슬관절에서의 회전 운동은 계단보행 동안 경골에 대해 대퇴골이 내회전된 잠김 상태로 유지되어 슬관절을 구조적으로 안정화 시켜, 하지의 부하를 견디고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계단 보행은 평지 보행과는 다른 운동형상학과 운동역학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슬관절 screw-home movement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병적 상태(예, 십자인대 파열)가 발생하면, 슬관절에서의 병진운동과 회전 운동에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는 슬관절 십자인대 손상의 진단, 수술의 적절성, 재활의 적절성 평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내측 연결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내부길이가 나사 풀림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15871

        단일 임플란트 수복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지대주 나사의 풀림과 파절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 풀림이나 파절이 발생될 경우 다른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 제조사들은 다양한 회전 저항 형태의 임플란트를 개발하였고 그 중 long internal tube-in tube connection 형태의 임플란트는 보철물의 장착을 정확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고 지대주의 회전 중심을 낮추는 장점을 가진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ong internal connection 형태의 임플란트 지대주를 내부 연결 길이에 변화를 주어 임플란트-지대주 결합부의 안정성을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한다. 실험 재료와 방법으로는 내부 지대주 길이가 4mm이며 3-lobe를 가지고 있는 long internal connection의 임플란트 (Replus system 4.7x11.5mm)를 각각 지대주의 길이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고 총 20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시편을 레진에 매몰하여 고정시키고 106번의 cyclic loading을 가한 후 하중 전 후의 풀림회전력의 차이를 계산하여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지대주의 길이에 대한 나사 풀림의 정도는 유의성이 없었다. 2.내부길이에 따른 풀림회전력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완전한 나사 풀림과 파절을 보이는 시편은 없었고 임플란트 복합체의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 부식과 관련한 임플란트 지대나사의 풀림 회전력에 관한 연구

        문선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1583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butment screws with corrosion behavior. The abutment screws of 31 implant system (Implant Innovation. USA) which wee widely used in dental clinics were selected as the abutment screws of this study, and they were titanium screw and gold plate-palladium alloy. The loosening of abutment screws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corrosion by use of the above-mentioned abutment screws were observ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fore corrosion, the loosening force of gold plate-palladium alloy screws was 7.2 Ncm and that of titanium screws was 9.9 Ncm. Thus the latter was bigger than the former. 2. After corrosion, the loosening force of gold plate-palladium alloy screws was 9 Ncm and that of titanium screws was 10.6 Ncm. Thus the latter was bigger than the former. 3.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loosening force of abutment screws before and after corrosion, the loosening force of gold plate-palladium alloy screws and titanium screw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4.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f crevice corrosion behavior, titanium screws had bigger corrosion resistence than gold plate-palladium alloy screws. 5. As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crevice corrosion behavior, gold plate-palladium alloy screws had more active corrosion behavior than titanium screws.

      • 조임 회전력에 따른 치과 임플랜트 지대나사의 응력에 관한 연구

        이원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99550

        치과 임플랜트 보철물의 보편적인 문제점은 임플랜트에 보철물을 연결하는 지대나사의 풀림현상이다. 조임 회전력에 따른 나사 신장과 풀림 회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금 지대나사의 경우 조임 회전력을 가하기 전, 5N-㎝ 가한 후, 그리고 10N-㎝에서 제조회사가 지시하는 32N-㎝까지 2N-㎝씩 증가하면서, 타이타늄 지대나사의 경우 조임 회전력을 가하기전, 4N-㎝가한후, 그리고 8N-㎝에서 제조회사가 지시하는 20N-㎝까지 2N-㎝씩 증가하면서 힘을 가한 후 각각 지대나사 길이를 측정하고, 최대 조임 회전력을 가한 후 풀림 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으로 UCLA-형 치과 임플랜트 지대나사의 웅력과 전하중을 평가하여 나사 풀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대 조임 회전력을 계산하여 추정하고 재료간 풀림 회전력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금 지대나사와 타이타늄 지대나사에서 나서 신장과 조임 회전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나사 신장 측정으로부터 산출하여 얻은 평균 전하중은 금 지대나사에서 501.11±26.385N 과 타이타늄 지대나사에서 399.43±7.61N이었다. 제조회사가 지시한 최대 조임 회전력으로 힘을 가한 후 지대나사에 발생한 웅력은 항복강도의 60% 이하로서 탄성한도 이내에 있었으며, 소성 변형이 없는 최대 조임 회전력을 상관 그래프로 추정한 값은 금지대나사에서 61N-㎝ 와 타이타늄 지대나사에서 39N-㎝ 이었다. 이 결과로 볼 때 나사 풀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조회사의 지시보다 다소 큰 보임 회전력을 가하여도 무방하다고 사료된다. 타이타늄 지대나사에서는 1회째와 2-5회째 간에 유의성 있는 풀림 회전력의 차이를 보였으나(P<0.05), 금 지대나사에서는 1회째와 2-5회째 간에 유의성 있는 풀림 회전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utment screw loosening of implant restorations is a common problem in th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stress and preload from the elongation measurements and to determine maximum tightening torque without plastic deformation of the screw, The lengtll of each gold alloy UCLA screw was measured after tighten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ed torque of 32 N-cm. Similarily, titanium UCLA screAVS were measul-ed after tighten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ed t+)rclue of 20 N-cm. Loosening torque was also measured after tightening to 32 N-cm torque for gold alloy abutment screws and 20 N-cm for titanium abutment scr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regressive relationship between screw elongation and tightening torque (gold alloy : □= 0.987, titanium : □ = 0.978), and the mean preload calculated from elongation measurements was 501.11±26.85 N (gold alloy) and 399.43±7.61 N (titanium). 2. Stress calculated for the gold alloy and titanium screws at maximum recom- mended tightening torque was less than 60% of their respective yield - 31 - strengths and within the elastic range. Maximum tightening torque without Io1astic deformation was 61 N-cm(gold alloy) and 39 N-cm(titanium). 3. For titanium scre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vreen loosening after trial 1 and loosening after trials 2 to 5 (p<o.o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mean loosening torques between the first and subsequent trials for gold alloy scr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