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신종호흡기감염병 기초역학조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표준화환자 적용

        박지연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study’s aim was to develop and apply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of emerging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dditionally, it was to identify its effects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elf-efficacy, anxie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imulation-based program was develop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The developed simulation-based program comprised pre-briefing after lecture, simulation education, and debriefing.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imulation scenario was developed with putting on and remov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LEVEL D PPE) and isolation included. Furthermore, the developed scenario was subjected to Content Validity Index(CVI) verification by experts. The simulation-based program’s effectiveness was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nursing students.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was conducted on 33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use of PPE(LEVEL D PPE) demonstration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rm writing practice education was conducted on 31 students who formed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May 20, 2022,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Wilcoxon singled-rank test, Mann-Whitney U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the post-test scores of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r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in both groups. The post-test scores of anxi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scores in both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pre-post difference scores for clinical performance and anxiety. However, for self-efficacy of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corded a higher pre-post difference than the control group but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scor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includ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which is an initial response to block infectious diseases and prevent the spread of emerging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Furthermore, since it considered a scenario that included standardized patient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onduct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develop various level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r nurses, epidemiologists, and nursing students. Moreover, it will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in the initial prevention an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위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신종호흡기감염병 기초역학조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기초역학조사 임상수행도, 기초역학조사 자기효능감, 불안,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ADDIE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단계로 체계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이론강의와 함께 사전브리핑, 표준화환자를 활용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순서로 구성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상황에는 기초역학조사 외에 개인보호구(LEVEL D)착·탈의, 격리 수행을 포함하여 개발되었다. 시나리오 개발 후에는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하여 최종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으로 시뮬레이션 교육 33명, 대조군으로 시범 및 조사지 단순실습 교육 3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시뮬레이션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5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적 통계, Chi-square test, Wilcoxon singled-rank test, Mann Whitney U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기초역학조사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 군과 시범 및 단순술기 실습을 적용한 군 모두 기초역학조사 임상수행도, 기초역학조사 자기효능감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 간에는 기초역학조사 임상수행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전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기초역학조사 자기효능감에서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전후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불안은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전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신종호흡기감염병 교육프로그램에서 감염병 차단과 확산방지를 위한 초기대응인 기초역학조사를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운영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기초역학조사 임상수행과 불안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간호대학생 외에도 간호사, 역학조사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수준의 기초역학조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감염병 초기방역 및 확산방지에 효과가 있었는지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탄소중립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도시·군 기본계획수립지침의 기초조사내용을 중심으로

        방혜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계획수립지침의 개정과 함께 ‘탄소공간지 도기반 계획지원 기술개발’을 국가 R&D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 계획수립을 위해 현행 기초조사항목이 충족되 는지 분석하여 법제도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토계획법 상에서 지침과의 기초조사 관계를 파악하고, 탄소중립 조사항목을 도출하여, 기초조사항목과 탄소공간지도의 기초데이터 활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현행 기초조사항목과 기초데이터는 탄소중립 조사항목 의 약 20%만 활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현 행 기초조사항목에서 ‘탄소중립’을 대항목으로 추가하고, 이를 법 제도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정(안)을 제시 하였다. 끝으로 기초조사정보체계와 탄소공간지도시스템의 연계 및 활용을 통한 기초조사 수집 체계를 제안하였다. Along with the revision of Planning Guideline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Development of Planning Support Technology based on Carbon Spatial Map” is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R&D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basic survey items were met to establish carbon neutral urban plans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legal system. By basic surveys in the legal system, we derived carbon neutrality survey items, and analyzed the usability of the basic survey items and carbon spatial map data for them. Thus the analysis confirmed the usability of only 20%. Accordingly, we added ‘carbon neutrality’ as a new category to the existing basic survey items list, and proposed the revision draft of the legal system that can link between information systems.

      •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지침」 제정 이후 명승 종합정비계획 양상

        신은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4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is a research project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that aims to comprehensively plan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designated values of scenic sites and their enjoyment by the public." A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a scenic sites ensures the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s authenticity and value during the planning stage, based on the value assigned to the scenic sites designation as assessed by experts. The plan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a specific action plan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cenic sites. The number of scenic sit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moted the policy of revitalizing scenic sites in the early 2000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nsistent scenic sites maintenance plan to preserve and manage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cenic sites. Challenges within current scenic sites maintenance plans encompass ambiguous connections arising from disparities between survey items and plan components, an emphasis on tourism utilization rather than preservation-focused maintenance, and inadequate landscape analysis(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7b). In 2018, the enactment of 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s for the scenic sites"(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uidelines') consider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cenic sitess, encompassing diverse human and natural values. This study initiated by address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 'Guidelines' are being applied as intended. Upon scrutinizing the current status of formulating a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it was discerned that this assessment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deriving future guideline improvem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first,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uidelines’ in addressing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plans. Second, an analysis of the scenic sites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is conducted in terms of feasibility and connectivit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enic sites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inally,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for futur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scenic sites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report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enacted in 2018, and there are a total of eight sites that have completed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s. The analysis targets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and historical-cultural landscape typologies.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study involv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Drawing upon the designated values of scenic sites extracted from the National Heritage Designation Report(2004-2019) issu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tudy assessed the feasibility of the foundational research underpinning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2018-2022) and its interconnectedness with various planning domains. The ensuing section presents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First, the ‘Guidelines’ are effective guidelin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scenic maintenance plan. Specifically, it has become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based on the detailed items of the investigation field and planning items, and there were no problems of biasing towards certain investigation or planning field. In particular, although scenic sites must consider 'Scenic Value', the previous scenic sites plan was deficient because it did not include landscap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 'Guidelines' delineate specific parameters for execution in landscape investigation and prescribe detailed content requirements, landscap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Second, while the validity of investigation items based on 'Scenic Value' exhibits a relatively high level, the correlation between investigation items and planning items fluctuates contingent upon the scenic designation value. The investigation results for natural elements' designation values are indirectly linked to maintenance plans, involving the establishment of protective facilities and rerouting of tourist trails. Conversely, historical-cultural factors' findings are more likely to directly influence maintenance plans. This discrepancy arises from the 'Guidelines' where investigation fields and planning items share names but present distinct contents. Finally, improvement in the scenic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stems from external factors, including the expertise of the implementing organiz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s role as a management overseer.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 'guidelines', establishing an efficient plan requires flexible guideline application and heightened awareness among planning entities. TDivergent quality in scenic master plans persists due to a lack of consensus on designated value preservation. The low perception that local governments use scenic master plans as a means to resolve local complaints by focusing on tourism or development project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dentified the aspects of eight scenic sites'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s that reflected the 'Guidelin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s'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for futur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명승 종합정비계획은 "명승의 지정가치를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고 국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화재 보존관리 연구사업으로 수행된다. 명승 종합정비계획은 문화재 지정 시 문화재위원 등 검증된 전문가의 평가로 고시되는 ‘명승 지정가치'를 토대로 계획 단계에서 "문화재의 진정성 및 가치가 유지되도록"하고, "지속가능한 명승 보존 및 활용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000년대 초 문화재청의 명승 활성화 정책 추진 이후, 명승 지정이 늘어나면서 급증한 명승을 보존·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수립이 요구되었다. 기존 명승 관련 정비계획의 문제점으로는 조사항목과 계획항목의 불일치로 인한 불명확한 연계, 보존을 위한 정비보다는 관광활용 계획에 치중되는 현상, 경관조사의 미흡함이 지적된 바 있다(문화재청, 2017b). 이에 다양한 인문·자연적 가치를 지닌 명승의 특성을 고려하여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지침」(이하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이 2018년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이 기존의 명승 종합정비계획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적절한 가이드라인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전반적인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 실태를 점검하여 향후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의 개선 방향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이 기존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둘째, 명승 지정가치에 준거한 명승별 종합정비계획을 타당성, 연계성 측면에서 분석하여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특성을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향후 종합정비계획 수립 시 개선 방향을 도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명승은 대상지별 지정가치와 유형이 다양한 문화재로, 명승의 특성을 모두 아우르는 완벽한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은 실현가능성이 낮기에 실제 수립된 종합정비계획 보고서를 분석하는 실무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제정된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을 준용하여 작성된 명승 종합정비계획 보고서이며, 종합정비계획 수립이 완료된 연구 대상은 총 8개소이다. 자연명승 유형으로는 부안 채석강 적벽강 일원,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봉화 청량산,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이며, 역사문화명승 유형은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강진 백운동 원림,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이다. 연구 대상의 명승 유형은 자연명승과 역사문화명승으로 대별되나 각 명승별로 자연요소와 인문요소가 복합된 지정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부 유형도 각각 다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보고서(2004∼2019)에서 추출한 명승 지정가치를 기준으로 명승 종합정비계획 보고서(2018∼2022)의 기초조사 타당성, 부문별 계획과의 연계성 등의 수립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은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에 있어 효과적인 지침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초조사와 부문별 계획의 세부 항목을 기준으로 보다 체계적인 구성을 갖추게 되었고, 특정 조사 또는 계획 항목에 편중되는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기존 명승 종합정비계획은 명승이 ‘경관적 가치’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경관조사가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조사가 미흡했으나,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에서 경관조사에서 수행해야할 세부 항목과 작성 내용을 명시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경관분석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명승 지정가치에 따른 기초조사의 타당성은 비교적 높은 반면, 기초조사와 부문별 계획의 연계성은 명승 지정가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해안지형’, ‘산지지형’ 등 자연요소 지정가치 조사결과는 조사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정비계획으로 연계되기보다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 조성, 탐방로 우회 등의 간접적인 정비계획으로 연계된다. 그에 비해 ‘유적’, ‘경작지’, ‘원림’ 등 인문요소 조사결과는 직접적인 정비계획으로 연계되는 특성을 보인다. 조사결과가 부문별 계획의 동일한 계획 항목으로 연계되지 않는 점은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의 기초조사와 부문별 계획이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각각의 작성 내용은 상이한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 시 개선 방향은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 자체의 개선보다는 수행기관의 전문성과 관리감독기관인 지방자치단체의 인식 등 외부적 요인에서 도출하였다. 명승의 지정가치에 중점을 둔 효율적인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수립을 위해서는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의 유연한 적용과 수립 주체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여전히 명승 종합정비계획별로 질적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명승 지정가치의 보존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명승 종합정비계획의 수립 주체가 되는 현행 관리체계상 기반시설, 건축물 신축, 편의시설 등 단편적인 사업 계획에 치중하거나 관광자원화 또는 개발 사업에 비중을 두고 지역의 현안과 민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명승 종합정비계획을 이용하는 낮은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을 반영한 8개소의 명승별 종합정비계획의 양상을 파악하여, 명승 종합정비계획 지침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향후 종합정비계획 수립 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체계적인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 공원녹지기본계획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여정호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조사의 실효성 및 타당성을 파악하는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은 도시지역 내 도시가 지향하는 도시계획 지표를 준용하여 도시의 기능성을 제고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의 구현과 도시가 지향하는 공원녹지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계획이라 할 수 있다. 기초조사항목은 대분류 7개 항목, 소분류 2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의 기상․미기후, 지질, 지형지세, 수문/수질, 지하수, 재해, 토양, 식생, 야생동물, 광역생태계 및 생태기반 등 11개 항목과 인문환경의 도시연혁, 인구, 토지이용, 도시시설, 시가지개발사업, 공해발생상황, 토지소유, 문화․역사자원 및 레크레이션시설 등 9개 항목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성남시, 수원시, 화성시, 광주시 및 포천군 등의 도시에 대하여 조사분석의 결과 및 기본계획에의 반영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자연환경은 지형지세, 수문/수질 등은 비교적 조사자료가 충실하게 분석되고 일부 기본계획에의 반영도가 다소 높았으나 그 외 항목에 대해서는 해당 시에서 조사를 수행한 자료나 국가 조사자료를 재구성하여 자료의 첨부 또는 간단한 설명에 그치고 있었으며, 기상․미기후, 지질, 지하수, 토양 등은 극히 낮은 반영도를 보였다. 둘째, 인문환경은 토지이용, 도시시설, 시가지개발사업 등은 정책방향에 따라 도시에 크고 작은 변화를 초래하는 바, 공원녹지기본계획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게 된다. 공원녹지의 접근성, 공원녹지의 훼손 및 복원이나 도시변화에 의한 환경에의 영향이 매우 큰 만큼 기본현황이나 자료제시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분석이 병행될 필요가 있으며, 공원녹지체계 구상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문화․역사자원 및 레크레이션시설 등은 기존의 도시공원과 연계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시 이용체계에 충분히 반영되고 나아가 공원녹지별 차별화 되고 특성화된 계획 수립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자료의 분석이 보다 철저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조사항목의 적정성 및 조사분석의 내용과 범위 및 기본계획에의 반영정도 등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기준 마련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적용성이 낮은 조사항목이나 분석에 대해서는 항목의 삭제 또는 축소하는 신축성 있는 운영방안이 요구된다. 특 히 도시기본계획에서도 조사되는 자료나 간접조사만으로도 자료활용 가능 항목이나 지역 특성을 고려한 항목조정 등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한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의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기초조사의 실효성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조사항목을 대상으로 기 계획수립된 성남시, 수원시, 화성시, 광주시 및 포천군 등의 5개 도시에 대하여 기초조사의 결과 및 기본계획에의 반영여부를 고찰하여 기초적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대상 도시에 대해서는 도시별 특성에 따라 보다 많은 도시에 대하여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법제도 개선과 관련된 종합적인 검토 및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 : 공원녹지기본계획, 기초조사항목, 실효성, 개선방안 This study conducted as a basic plan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basic research to present the improvement for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ims to enhance the urban functionality that apply urban planning indicators within urban areas, implement a comfortable urban environment, and suggest the city-desired future of urban green area in city. The basic research topic consists of 7 categories and 26 sub-categori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11 items in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climate, microclimate, geology, feature three, hydrology, water quality, groundwater, disasters, soil, vegetation, wildlife, ecosystems, and ecological-based wide area, and 9 items, in human environment, including history of the city, population, land use, urban facilities and urban development, pollution situation occurs, the ownership of land, culture, history resources and recreation facilities are reflected i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d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the city of Seongnam, Suwon, Hwaseong, Gwangju, and Pocheon-city. This study conducted for the improvement of planning for green and park to identify the problem in the effectiveness of the basic investigation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 problem targeted at the previously established plan about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in the city of Seongnam, Suwon, Hwaseong, Gwangju, and Pocheon-city, including the findings that determine whether or not these cities reflected the results of basic investigation. Future case study would need systematic analysis about more cit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comprehensive review and empirical study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in legal systems. key word :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Basic investigation item,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s

      • 野營場 開發計劃에 關한 基礎調査로서 利用者意識調査 및 政策課題에 關한 硏究 : 俗離山 國立公園內 華陽洞地區를 中心으로

        조태동 淸州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669

        In this modern society, the mechanization and the automation makes us get lost a touch of humanity, Therefore, longing for nature results in extensive and increasing outdoor activities. With the Progress of the living standard, outdoor life begins to show a new trend according to variety of enjoying leisure. That means, a camp out which has been for sleeping overnight at the places with out sleeping accommodations became a purpose itself for camping. Camping makes us meet with nature closely, freeing us from routine city life, experiencing a new type of life dealing with our leisure, Furthermore a group camp out meets the educational purpose. However, since most national campsites are located at the places of scenic beauty such as in mountains or valleys, and seasonal concentration and/or aggravated unbalance of demand and supply due to concentrated summer vacation cause an inconvenience in using transport and public facilities, and also the campsites lag behind in facilities due to lack of backup forces, a rational development scheme of the campsites and their qualitative improvement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s written of the basis of the user's mind and fundamental direction as basic research for the National Park Campsites Development Plan by an example of Whayangdong District Nat'l Park in Mt. Sokri. First, for analyzing the user's mind, a questionnaire method and photographing method at the actual places is used and the campsites are graded on the basis of a sorting standard. Thereafter all issues to be discussed are found out and th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are presented. The points at issue 1. There is no proper department in the authority concerned which is campletely in charge of leisure or recreation and the inconvenient surrounding traffic. The plan for future facilities are not yet under consideration. 2. In view of the location, campsites involve a lot of risk. Therefore, actions against accidents in advance of post-measures are required to be systematized. 3. The characteristics of campsites is group activity, but there is no program related. Programmes for national health and recreation are needed and a budget for that is not guaranted at present. 4. Waste and sewage is thrown and left as it is, so enlightenment to people on reckless damage to natural resources is desired accordingly. 5. Considering the size of campsites,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m is poor and legal control is not in force. Improvement measures 1. New department for recreation and leisure in the authority concerned or in the department of athletics is required, so that they could establish a managing system for campsite administration. 2. In the case of developing a new campsite, the location should be selected by a list of marks in consideration of risks involved. 3. Since the campsite activities mean group activity, good programs for national health and recreation and a budget for them must be guaranteed. 4. To preserve natural resources, TV, newspapers, magazines etc. should help with making propaganda for conservation of nature. As a method, because the main group of current of campsite users is youth, a circle for nature conservation can be organized to dispose of the wastes scattered in the campsite, that is, disposal of wastes should be developed as a social activity. 5. According to size of the campsites, management and control must be re-established corresponding to their facilities.

      • 흡연과 VOCs 및 PAHs 노출 대사체간의 상관관계 조사 : 제3기 (2015-2017)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김동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67

        Smoke and second-hand smoke is the one of exposure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known as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VOCs/PAHs exposure in adult group(≥19) and adolescent group(≥12, <18), based on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perform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o preclude other exposure sources of VOCs and PAHs, we exclude individuals who has the possibility of occupational exposures. In addition, we divided groups by sex and survey about lifestyle that can affect VOCs and PAHs exposur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VOCs/PAHs is investigated by 3 steps. The first, we did the concentration of VOCs metabolites(tt-Muconic Acid, Benzylmercapturic Acid) and PAHs metabolite(1-Hydroxypyrene, 2-Naphthol, 2-Hydoxyflouorene, 1-Hydroxyphenanthrene) by smoking and second-hand smoke status(Mann-Whitney U test). As a result, in adult group, the smoker’s concentration of benzene metabolite(tt-Muconic Acid) and 4 kinds of PAHs metabolite is higher than non-smoker. In adolescent group, the male group that exposed second-hand smoke has higher concentration of 2-Hydoxyflouorene than the male group not exposed second-hand smoke. And the female group that exposed second-hand smoke has higher concentration of 1-Hydoxyphenanthrene than the female group not exposed second-hand smoke. The second, we performed spearman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VOCs/PAHs and indicators about smoking(or second-hand smoke). And we foun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and tt-Muconic Acid, 4 kinds of PAHs metabolite in male adult group. The third, we did a linear regression the urinary cotinine and VOCs/PAHs metabolites. And we could get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bout urinary cotinine and tt-Muconic Acid, 4 kinds of PAHs metabolites. 본 연구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한 제3기(2015∼2017)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성인 및 청소년의 흡연 및 간접흡연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대사체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유해물질의 흡연 외 노출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직업적 노출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를 배제하였다. 생활 습관을 통한 노출을 통제하기 위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경우 체내 반감기를 고려하여 3일 이내 구운 음식 섭취한 대상자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체내 반감기를 고려하여 6개월 이내 생활공간 개보수작업을 진행하였거나 새가구 구입한 경우 또는 2일 이내 향수/매니큐어/방향제 제품을 사용한 대상자를 제외하고 그룹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단 남녀간 생활 습관 등 편중된 항목이 있어, 통제 그룹내에서도 남녀를 별도로 분석하였다. 흡연과 유해물질 대사체와의 상관관계는 다음 세 단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우선 흡연유무에 따른 두 그룹간 체내 유해물질 대사체 농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흡연관련 지표와 체내 유해물질 대사체 농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체내 코티닌 농도와 유해물질 대사체 농도와의 단순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회귀모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명확한 상관관계를 얻을 수 없었으나, 그 결과 성인 남자에서는 흡연과 체내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벤젠의 대사체인 tt-뮤콘산,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대사체 중 2-나프톨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 어린이에서 간접흡연 노출과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농도 간의 연관성 : 제4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 분석

        최서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4

        Background Just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reported that over 1.2 million people die due to secondhand smoke, indirect smoking has a detrimental impact on public health.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societal concern about thirdhand smoke exposure, which involves being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obacco smoke. Consequently, research focusing on passive smoking has become a significant area of interest. Heavy metals, due to their tendency to accumulate in the body over extended periods and limited exposure routes, are suitable subjects for study. Adolescents and children are more sensitive to even small amounts of heavy metals through smoking compared to adults.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in Korea examining heavy metal exposure through passive smoke among these groups. Purpose of Research The objective wa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secondhand smoke exposure among Korean adolesc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chool kids) and establish an association between passive smoke exposure and the levels of heavy metals (lead, mercury, cadmium) in their bodies. Methodolog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OnDemand for Academics. The study sample comprised 73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7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563 preschool kids, totaling 2,004 participants. Complex sample data analysis, accounting for stratification, cluster variables, and weighting variables, was conducted to calculate representative values of harmful substance concentrations within the bo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moking exposure levels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and internal heavy metal concentrations,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t-tests, ANOV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included additional adjustment for variables related to seafood consumption, which could influence heavy metal exposure. Research Results Upon dividing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into quartiles and examining differences in heavy metal concentr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0.0001; quartiles Q1, Q2, Q3, Q4 with mean values 0.28, 0.39, 0.46, 0.42 μg/L) and urinary cadmium concentrations (p<0.0001; 0.16, 0.23, 0.27, 0.28 μg/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p<0.001; 0.41, 0.42, 0.51, 0.54 μg/L) and urinary cadmium concentrations (p<0.0001; 0.2, 0.23, 0.25, 0.29 μg/L). For preschool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p<0.001; 0.12, 0.19, 0.2, 0.23 μg/L). Furthermore, an increasing trend in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generally observed as quartiles increased. Upon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while adjusting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seafood consumption-related factor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using Q1 of cotinine as the refer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0.10, 0.19, 0.12 for urinary mercury and 0.07, 0.12, 0.13 for urinary cadmiu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urinary mercury were 0.01, 0.1, 0.14 (p>0.05 for Q2), and for urinary cadmium, they were 0.03, 0.05, 0.09. For preschooler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urinary mercury were 0.07, 0.08, and 0.11. Research Conclus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observed an association between passive smoke exposure and urinary mercury as well as urinary cadmium concentrations. Similarly, among preschoolers, there was an association with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assive smoke and urinary cadmium concentrations in preschoolers.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assive smoke and blood lead, blood mercury concentration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연구배경 WHO에서 120만 명 이상이 간접흡연으로 사망한다고 밝혔듯이, 간접흡연은 공중보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직접적인 담배 연기 노출 없이도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3차 간접흡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간접흡연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금속은 일반적인 유해물질과는 다르게 장기간 체내에 축적되며 비교적 노출 경로가 한정되어 있어 연구 주제로 적합하다. 청소년과 어린이는 성인보다 흡연을 통해 노출되는 적은 양의 중금속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나, 이들을 대상으로 간접흡연으로 인한 중금속 노출을 조사한 국내 연구는 제한적이다. 연구목적 우리나라 청소년(중, 고등학생), 어린이(초등학생, 영유아)의 간접흡연 노출 현황을 파악하고, 간접흡연 노출과 체내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농도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4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AS OnDemand for Academics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중‧고등학생 731명, 초등학생 710명, 영유아 563명으로 총 2,004명이며, 이를 바탕으로 체내 유해물질 농도의 대푯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층화, 집락변수와 가중치 변수를 반영하여 복합 표본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간접흡연 노출 수준(소변 중 코티닌 농도)과 체내 중금속 농도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 가설검정(t-test,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시 일반적 특성 외에 중금속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산물 섭취 관련 변수를 추가로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변 중 코티닌 농도를 사분위로 나누어 중금속 농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중‧고등학생에서 소변 중 수은 농도(p<0.0001; 사분위 Q1, Q2, Q3, Q4의 산술평균값 0.28, 0.39, 0.46, 0.42μg/L) 및 소변 중 카드뮴 농도(p<0.0001; 0.16, 0.23, 0.27, 0.28μg/L), 초등학생에서 소변 중 수은 농도(p<0.001; 0.41, 0.42, 0.51, 0.54μg/L) 및 소변 중 카드뮴 농도(p<0.0001; 0.2, 0.23, 0.25, 0.29μg/L), 영유아에서 소변 중 수은 농도(p<0.001; 0.12, 0.19, 0.2, 0.23μg/L)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사분위수가 증가할수록 대체로 중금속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해산물 섭취요인을 보정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소변 중 코티닌 Q1을 기준으로 할 때 Q2, Q3, Q4의 회귀계수는 중‧고등학생에서 소변 중 수은 기준 0.10, 0.19, 0.12, 소변 중 카드뮴 기준 0.07, 0.12, 0.13이었다. 초등학생에서 소변 중 수은 기준 회귀계수는 0.01, 0.1, 0.14(단, Q2에서 p>0.05), 소변 중 카드뮴 기준 회귀계수는 0.03, 0.05, 0.09이었다. 영유아에서 소변 중 수은 기준 회귀계수는 0.07, 0.08, 0.11이었다. 연구결론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간접흡연 노출이 소변 중 수은과 소변 중 카드뮴 농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영유아도 소변 중 수은 농도와 연관이 있었다. 그러나 영유아에서 소변 중 카드뮴 농도, 중‧고등학생에서 혈중 납 및 혈중 수은 농도는 간접흡연과 연관성이 없었다.

      • Suspect screening of environmental chemicals in urine of Korean adults

        이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4

        Many countries adopted nationwide biomonitoring programs (NBPs) to check status and trend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measure exposure biomarkers of the chemicals, which were pre-determined, for public health and chemical management. However, peoples are exposed to various chemicals, so that the conventional targeted chemical monitoring approach cannot reflect human exposure to a wide range of chemicals. Suspect screening analysis does not determine the specific compounds to be analyzed, but compose a list of suspect compounds to screen a number of chemicals. Thus, various chemicals and missed biomarkers can be explored through this approach.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suspect screening analysis to identify environmental chemicals in urine of Korean adult population. About 10% of urine samples were selected from adult participants (n = 3,787) to the KoNEHS III (2015-2017) and pooled by 9-10 individual samples by sex and age group. Finally, 40 pooled samples were extracted in three methods and analyzed with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MS). Total 474 compounds were composed of the suspect lists for the present study, which were more focused on exogenous environmental chemicals, specifically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EDCs) of various types. To detect chemicals in urine samples, spectra of analyte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uspect list. As a result of the study, total 81 candidates out of 474 suspect list were detected and 18 new environmental chemicals, which are not monitored by KoNEHS, were identified as standard. Then, we suggested potential candidate analytes of next KoNEHS program based on the levels of exposure, toxicity and exposure biomarker availability. Also, we sugges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ies of suspect screening in a support to policy context. Suspect screening could provide evidence of exposure biomarkers of environmental chemicals and support reasonable criteria of chemical selection for NBPs.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환경보건 수준 파악을 위해 진행되고 있는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이하, 기초조사)에서는 환경화학물질들을 표적하여 혈중, 요중에서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강영향 평가는 다양한 화학물질의 생산과 사용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며, 광범위한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을 반영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추정 스크리닝 분석방법은 시료에서 검출될 것이라고 의심되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이 기법은 검출되는 화학물질의 수가 많아서 새로운 관심물질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정 스크리닝 분석을 통해서 한국인 성인 인구집단의 요중에서 환경유해화학물질 및 대사체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성인 인구집단 중 398명으로, 성별과 연령별로 집단 분포를 고려하여 9-10명씩 소변 시료를 풀링하였다. 총 40개의 풀링된 소변 시료를 다양한 환경화학물질, 특히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이 추출될 수 있도록 3가지 전처리방법을 적용하여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MS)로 분석하였다. 소변 시료에서 화학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총 474개의 환경화학물질 목록을 구성한 후, 검출된 물질의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총 81개의 후보 물질이 소변 시료에서 잠정적으로 식별되었고 이 중 기초조사에서 측정하지 않는 18개의 새로운 환경 화학물질을 표준품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별된 환경화학물질 중 인체노출수준과 독성 그리고 노출 바이오마커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음 기초조사 측정 대상 물질로 제안했다. 또한 인체 시료에서 추정 스크리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환경화학물질을 탐색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토콜을 제안했다. 추정 스크리닝 분석방법은 환경화학물질의 인체노출수준을 제공할 수 있고, 향후 기초조사와 같은 화학물질 관리 정책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물질을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