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 강화 연구 : 기초자치단체 관리 역량의 영향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강보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local government,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final government agency that executes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olicy, and is the daily sit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the primary response agency. In a state where the level of capacity required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has increased, the cultural heritage of unprepared municipalities is at risk of being lost, and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can also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olicy goal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local governments have suffici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his study synthesized the background of the above research and discussed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l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8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including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panel data were established from 2016 to 2022 to examine the scale and management capacit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of all, based on the scale and capacit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local governments were categorized and a strategy for capacity building was derived. Group A with large cultural heritage and high management capacity has 70, Group B with small cultural heritage and high management capacity has 41, and Group C with large cultural heritage and low management capacity has 40, Group D with small scale and low capacity consists of 77 local governments. Groups A and B are regions where the basic capacity building necessary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has been established and must develop their own capacity. Groups C and D are local governments that need capacity building.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spatial autocorrelation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it has spatial autocorrelation. Moran's I, which measures global autocorrelation, was significant at 0.303. In the cluster map of LISA, which measures local autocorrelation, the cluster with hig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High-High) and the cluster with low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Low-L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particular, the 'High-High' cluster is a cluster of local governments included in the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and the 'Gaya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and formed a cluster that i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by breaking dow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spill over effect occurred. Thirdly, as a result of spatial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SDM and SAC for 228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mong the administrative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manpower, resource factors, and the size of World Heritage among control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Fourthly,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FGLS (Feasible GLS) estimation model for each type of local government,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resource factors among the administrative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in common among the four group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or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of the control variabl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Summarizing the results of analys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order to strengthe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 specific approach is required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located in local governments ranges from a minimum of 3 to a maximum of 481, with large regional differences. In addition, due to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i', 'gun', and 'gu'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policy effect of the approach that requires all local governments to have the national average capacity is limited. In particular, 'gu' is not performing its functions properly as a local government, as it mainly handles office work or delivery affairs entrusted by regional governments. As a result, the scale and capacit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gu' are generally very low. Therefore,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derived only when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apabilities are conducted by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Secondly, the scale of cultural heritage managed is large, but local governments with low capacity to manag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given priority in supporting capacity building. The local governments corresponding to this are 'Si ‘(12), 'Gun’ (14), 'Gu’ (14), a total of 40 local governments. If the cause of the low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f these local governments is due to their ow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dministrative capacity limitations, active capacity building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governments at the upper level is necessary. Thirdly,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f local governments and spread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bilities through the formation of clusters that ar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With the level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ising, This is because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olicy goal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managing the local government alo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has spatial autocorrelation in a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Therefore, it i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lik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and it is necessary to seek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Fourthly, in order to efficiently build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it is effective to start with securing human resources specialized i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rofessionals was significant in all groups, and had a positive (+) effect o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bilities. As of December 2022, among 228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here are 138 local governments with administrative personnel specializing i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ccounting for 60.53% of all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bility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local governments without professional manpower. Therefore, local governments with cultural heritages of a certain size or higher must necessarily assign professional personnel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o the local governments. Ultimately, local governments should move in the direction of arranging professional manpower in proportion to the scale of the cultural heritage managed by them. Fifthl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differentiated policy projects for each local government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dget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significantly in all groups.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 generally require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sharing from local governments in the form of matching funds. When the central government or metropolitan governments expand policies in the form of government subsidies, local governments with low capabilities have low competitiveness in attracting the project to their region, and even if they attract it to their own region, it is difficult for the local government to operate its finances. It can act as a significant pressure factor. Sixthly,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risk of local extinction, which can be both a threat and an opportunity for loc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in all types.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rojects increase as the local community ages and population outflow increases, and it can be seen that local governments are turning cultural heritage into resources as a regional growth engine. As the risk of local extinction intensifies in the future, the impact on region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may increase, so now is the right time to discuss in detail the deepening risk of local extinction and strengthening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In this study, 228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management capacit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nagement capacity of cultural heritage were derived. Through this, the area in need of capacity building was identifi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pacity were identified to establish a policy basis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문화유산은 문화유산이 위치한 지역의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생성되었으며, 오랜 시간 누적된 지역공동체의 기억과 경험의 실체로서 대체불가하다. 문화유산의 범위와 개념은 지난 반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확장 되어왔으며, 보호해야하는 장소, 면적, 건수의 필연적 증가로 이어졌다. 문화유산과 문화유산을 둘러싼 주변 환경 변화를통제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며,“어떻게 변화를 관리할 것인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문화유산과 더 넒은 환경 사이의 조직적 프레임워크와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문화유산 관리 역량구축”으로 패러다임을 전환케 하였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지역의 환경으로부터 문화유산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연구 대상이 되는 기초자치단체는 문화유산 관리 정책을 집행하는 최종 정부 기관이며, 문화유산 보존‧관리의 일상적 현장이자 1차적 대응 기관이다. 국가의 문화유산 관리 정책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가 문화유산 관리 역량을 충분히 갖추었는지 점검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문화유산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하고 효율적 관리를 위해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 228개(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포함) 기초자치단체이며,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화유산 관리 규모와 관리 역량을 점검하고 유형화하였으며, 어떠한 요인들이 문화유산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유산ㄱ관리 규모와 관리 역량을 기준으로 기초자치단체를 유형화하고 역량강화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문화유산 규모가 크고 관리 역량이 높은 그룹 A는 70 개, 문화유산 규모가 작고 관리 역량이 높은 그룹 B는 41 개, 문화유산 규모가 크고 관리 역량이 낮은 그룹 C는 40 개, 문화유산 규모가 작고 역량이 낮은 그룹 D는 77 개 기초자치단체가 해당된다. A와 B 유형은 문화유산 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역량구축이 이루어져 자치적인 역량개발이 필요한 지역이며, C 유형과 D 유형은 역량구축이 필요한 지역이다. 둘째, 문화유산 관리 역량 지표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검증한 결과, 공간자기상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역적 자기상관성을 측정하는 Moran’s I는 0.303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국지적 자기상관성을 측정하는 LISA의 클러스터 지도(cluster map)에서는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높은 클러스터(High-High)와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낮은 클러스터가(Low-Low)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특히 High-High 클러스터는 백제역사문화권과 가야역사문화권에 포함되는 기초자치단체 군집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구역 경계를 허물고 역사․문화적으로 동질한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스필오버 효과(spill over)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간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요인 중 전문 인력 유무, 재정 요인 그리고 통제변수 중 세계유산 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기초자치단체 유형별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요인 중 전문 인력 유무, 재정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통제변수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목적에 따라 수행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구역 단위별로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기초자치단체에 소재한 문화유산은 최소 3 건에서 최대 481 건으로 지역적 편차가 크며, 시, 군, 구 행정 구역 단위의 공간적 이질성으로 인해 전국의 평균적인 역량을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요구하는 접근 방식은 정책 효과에 한계가 있다. 둘째, 기초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문화유산 관리 규모는 큰데,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낮은 기초자치단체는 우선적으로 역량구축을 지원해야 한다. 해당 유형인 그룹 C에 해당하는 기초자치단체는 시(12개), 군(14개), 구(14개) 총 40개 기초자치단체로,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낮은 원인이 문화유산 관리 행정 역량의 한계에서 기인한 것이라면, 상위 층위 정부인 문화재청과 광역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역량구축 지원과 협조가 필요하다. 셋째,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구역 경계를 허물고 역사․문화적으로 동질한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역량의 확산이 필요하다. 문화유산 관리에 요구되는 역량의 수준이 높아진 상태에서, 단일 기초자치단체의 인적, 재정적 자원의 한계로 문화유산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의 간자기상관성 클러스터 분석과 공간패널회귀 분석 결과, 인접한 기초자치단체 간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학습을 통해 강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과 같이 역사‧문화적으로 동질한 이웃 기초자치단체와 협력을 모색할 수 있는 광역적 접근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 관리 전문 인력 확보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향요인 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리 전문 인력의 유무는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22년 12월 기준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중 학예연구직(임기제, 계약직 포함)이 있는 기초자치단체는 138 곳으로 전체 기초자치단체의 60.53%에 해당하며, 학예연구직이 없는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문화유산 관리 역량 지표의 평균값이 2 배 이상 높다.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문화유산이 소재한 기초자치단체는 문화유산 관리 전문 인력인 학예연구직을 필수적으로 배치하도록 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기초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문화유산의 규모에 비례하여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초자치단체 문화유산 관리 역량 유형에 따른 차등적인 정책 사업이 필요하다. 영향요인 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리 예산은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유산이 많은 기초자치단체는 지속적으로 재정이 투입되고 문화유산 관련 세부사업이 활발히 집행되며, 문화유산 관리 역량이 자연스럽게 구축된다. 반면, 그렇지 못한 지역들은 지역 문화유산 발굴에 대한 역량구축의 필요성도 느끼지 못 할뿐 더러 역량을 구축할 기회도 부재하다. 여섯째, 지역 문화유산 관리에 위협이자 기회가 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영향요인 분석 결과, 기초자치단체가 지방소멸위험으로부터 안전할수록 문화유산 관리 역량도 증가하며, 기초자치단체의 지방소멸위험이 심화될수록 문화유산 관리 역량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지역 사회가 고령화되고 인구 유출이 급증하는 지역일수록 문화유산 관리 세부사업 규모가 축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기초자치단체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지방소멸위험지수는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역 사회가 고령화되고 인구 유출이 급증하는 지역일수록 문화유산 관리 사업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성장 동력으로 문화유산을 자원화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23년은 「국가유산기본법」이 제정되어 60 여 년 동안 유지되어 오던 중점보호주의에서 지역의 다양한 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포괄적 보호체계’로 전환된 의미 깊은 해이다. 향후 변화하는 지역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평균적인 역량을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요구하는 접근 방식에서 문화유산 관리 역량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초자치단체의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기적인 패널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향후 요구된다.

      • 基礎地方自治團體 社會福祉豫算 決定要因에 關한 硏究 : 財政自主度를 中心으로

        김근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정자주도를 중심으로 -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 근 호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예산을 결정함에 있어 중앙정부의 통제 없이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사용가능한 자주재원이 사회복지예산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 활용한 예산자료는 기초지방자치단체별 2013년도 세입세출에 대한 당초예산서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시 지역 74개, 군 지역 84개, 구 지역 69개 총 227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초지장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먼저 사회복지예산에 대한 개념과 사회복지예산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재정적?정치 행정적?복지적 결정론 등 지방재정지출을 설명하는 이론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구성하는 재원의 구조와 범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는 인구수, 인구밀도, 경제활동인구비율을, 재정적 요인으로는 1인당지방세부담액,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를, 정치 행정적 요인으로는 기초자치단체장의 소속 정당, 기초의회의원의 여당의원 비율, 사회복지관련 조례수를, 복지적 요인으로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 유아인구비율, 청소년인구비율, 노인인구비율, 등록장애인비율 등 총 4개요인 14개 독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인 시?군?구를 통제변수로 선정하였다. 다음은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독립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도를 정확히 하였다. 특히 재정적 요인인 재정자주도에 관하여 쟁점이 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주재원을 지방세, 세외수입, 보통교부세, 부동산교부세, 조정교부금 및 재정보전금으로 범위를 정하고 재정자주도를 산출하였다.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기본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공선성 문제가 있는 변수는 제외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나타난 사회복지예산비율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유형에서 시지역과 구지역이 군 지역에 비해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구수와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예산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즉, 산업화와 도시화가 심화되어 인구수와 인구밀도가 높은 구지역과 시지역이 군지역보다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재정적 요인에서는 1인당지방세부담액과 재정자립도는 사회복지예산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정자주도는 높을수록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주재원이 늘어나서 재정자주도가 높아지는 비율만큼 그 늘어난 자주재원을 사회복지분야에 배분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정치 행정적 요인인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정당소속, 기초의회여당의원비율, 사회복지관련조례수는 사회복지예산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적 요인에서는 사회보장적 성격을 지닌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과 등록장애인비율은 사회복지예산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소년인구비율은 사회복지예산비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보장적 수혜대상자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과 등록장애인비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규모면에서의 사회복지예산액은 증가하지만, 보장적 수혜대상자가 증가할 때마다 발생하는 자주재원보다는 상급정부로부터의 보조금 및 분권교부세 수입이 더 크고, 또한 자체세입도 늘어남에 따라 전체예산규모의 증가비율도 높아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면 청소년인구비율은 사회보장적 대상과는 크게 관련이 없음으로,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예산은 상급정부의 보조금 지원액 보다는 자주재원의 부담비율이 더 높음으로, 사회복지예산비율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두고 종합하여 보면, 지역유형을 제외하고는 재정자주도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비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청소년인구비율, 인구밀도, 총인구수 순이다. 이 중에서 재정자주도는 사회복지예산비율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는 비록 비율 면에서는 재정자주도가 높지만 규모면에서는 열악하므로, 자주재원이 늘어난다고 해도 늘어난 재원의 비율만큼 사회복지분야에 배분하지 아니하고, 중앙정부의 정책에 따라 의무적으로 자주재원을 부담하는 정도에 머무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예산비율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끝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비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재정자주도가 사회복지예산비율 결정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근본적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 열악한 실정이므로, 재원이 늘어나는 비율만큼 사회복지분야에 배분할 여력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원 확충을 위해서 지방소비세율 인상 및 국세와 지방세간 세제개편을 할 경우 도시와 농촌간의 복지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므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급정부의 간섭 없이 자율적으로 사용가능한 자주재원이 늘어날수록 즉,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낮게 나타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에게, 용도가 제한된 분권교부세를 자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보통교부세로 전환할 경우, 현재와 같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보호 수준도 무너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국가적 차원의 사회보장적 재원은 어디까지나 국가의 재원으로 충당하고, 현행 사회복지분야 분권교부세는 용도와 범위를 확대하되, 사회복지분야를 결코 벗어나서는 안 될 것으로 본다. 둘째,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사회복지예산수준을 공시할 경우에 반드시 사업주체별로 즉, 자체사업과 보조 사업으로 분류한 예산을 부가하여 공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은 기능별?사업별로만 편성되어 있어 그 사업이 자치단체의 사업인지 아니면 국책사업인지를 구분하기가 어렵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지역실정에 따른 주민들의 복지욕구를 어느 정도 수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사회복지예산을 사업주체별로 공시하면,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낮아지는 현상은 효율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사회복지예산이 증가한 이유가 사회보장성 국고 보조금으로 예산이 늘어난 것이지, 결코 자치단체의 의지에 의하여 주민복지를 향상시킨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들어나기 때문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가 재량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주재원을 사회복지분야에 어느 정도 배분했으며, 여기에 어떤 요인이 작용했는가를 파악해야만 사회복지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과 의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주도가 사회복지예산비율의 결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였으나, 전체 자주재원 중에서 사회복지분야에 어느 정도 배분했는가를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규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주재원을 사회복지재정에 어느 수준으로 배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결정은 어떤 영향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해 보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게 사회복지비 명목으로 교부하는 분권교부세 조정 자료로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주제어 : 기초지방자치단체, 지방교부세, 자주재원, 재정자주도, 사회복지예산비율의 영향요인 Abstract Summary / English Summary of the Korean paper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Budget by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 Focused On Financial Independence Kim, Geunh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Ph. D.), Inje Universit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Budget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PLG) in Korea, and reveal the primary factors for determining the budget.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effects of independent revenue which can be freely used by the PLG without regula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when deciding the budget.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lated budget data utilized in this study were quoted from the original budget of revenue and budget during the fiscal year of 2013, provided by each of the PLG. 74 "Si" or cities, 84 “Gun”or counties and 69 “Gu” or districts, a total of 227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s of December 31st, 2012,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tudy. To carry out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the concepts of social welfare budget and theories explaining local government budget such as socio-economic, financial,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welfare determinism which effect social welfare budge ratio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four primary factors and fourteen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Socio-economic factors were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Financial factors were local tax per capita,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financial autonomy rate. Political administrative factors were party affiliation of head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ratio of member of ruling party in local district councilors and number of social welfare regulations. Welfare factors were ratios of national basic life security recipients, infant population, youth population, elderly population and registered disabled. The types of primary local government categorized by Si (city), Gun (county), and Gu (district)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Next,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easurements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early defined. Especially, issues with the financial autonomy rate in financial factors were summarized. In this study, local tax, non-tax revenue, normal allocation tax, real estate allocation tax, adjustment grant and financial grant were as the range of independent revenue resources and the financial autonomy rate was calculated. As for analytical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first used to observ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LG.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imary variable. After excluding variables which had problems of collinear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actors effecting the decision of social welfare budget ratio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analysis are as shown below. First, from a regional prospective, Si (city) and Gu (county) have a higher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than Gun (district). In the socio-economic factor, the higher the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the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was higher. In other words,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was higher in Si (city) and Gu (county) than the area type of Gun (district) which have a higher population and higher population densit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gression. In fiscal factors, local tax per capita a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did not have effec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However, the higher the financial autonomy,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was found to be lower. The results showed as the ratio of financial autonomy rate increased due to increase in independent revenue, the increased independent revenue was not allocated to the social welfare field. Political administrative factors, party affiliation of head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ratio of member of ruling party in local district councilors and number of social welfare regulations did not statisticall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Welfare factors, ratio of national basic life security recipients and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which have a characteristic of social security did not statisticall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However, the ratio of youth population did have a positively meaningful effect 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The higher the social security beneficiary which are the ratios of national basic life security recipients and registered disabled, the size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sum increases. However, as the social security beneficiary increase, income of subsidies and decentralization allocation tax from upper government increases rather than the independent revenue. Also the self tax revenue increases. As a result, this phenomenon ari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total budget size increase ratio.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youth population was found to be not related with social security beneficiary. Youth welfare related budget has a higher ratio of independent revenue than upper government subsidy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Putting together the analysis results until now, excluding the area types, the financial autonomy rate had a large effect on the primary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ratio. Followed by ratio of youth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and the number of total population. Among these, the financial autonomy rate show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The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a high financial autonomy rate from a percentage perspective, but is poor from a size perspective. Even if the independent revenue increases, the increased ratio of the revenue is not allocated likewis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is followed with obligatory burden of independent revenue. Therefore, as the financial autonomy rate is higher,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is shown to be lower. Finally, a propos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on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budget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as listed below. First, the financial autonomy rat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termin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Fundamentally, this is due to the poor budget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and we are able to see that an increase in the ratio of revenue can not be allocated to the social welfare field due to lack of capacity. Using these results as a basis, if the local consumption tax ratio is increased and a reform of tax system between national tax and local tax takes place in order to expand the revenue of primary local government, the welfare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can possibly become bigger. Therefore, close attention is required. Also, if the usable independent revenue increases with out the interference from the upper government, the primary local governments which show a low social welfare budget ratio when the financial autonomy rate is high, may be able to change from decentralization allocation tax which has restricted use to general subsidy which can be used freely. T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breakdown of the minimum basic public charge standard similar to the current standard. Therefore, social security revenue from a national dimension should be allocated from the nation’s revenue. The current purpose and range of social welfare field decentralization allocation tax should be expanded not exceeding the social welfare field. Second, if a primary local government publically announces the social welfare budget level, business by category should be mentioned. This means own businesses and subsidy businesses should be categorized and the budget should allocated and announced. Currently, primary local government budget’s are organized by function and busines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parate the busines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business and national business. Therefore, it is hard to know how much the primary local government has accommodated the welfare needs of the people depending on the regional circumstances. If the social welfare budget is announced by categorizing per business type, the phenomenon of low social welfare budget ratio when the financial autonomy rate is high will be efficiently resolved. This will show the reason for increase in social welfare budget is due to national subsidies and the fact that improvement of resident welfare is not the will of the local government. Thirdly, by looking at allocation of independent revenue which can be discretely managed by the primary local government to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understand what factors led to this will help clearly identify primary local government’s capability and will towards social welfare. However, this research allow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inancial autonomy rate of primary local government on deciding the ratio of social welfare budget. There was a limitation of finding out the percentage of allocation of total independent revenue towards the social welfare field. In the future, the amount of independent revenue, which can be freely used by primary local governments without regulations by the central government, allocated to social welfare budget need to be investigat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nalyze what factors lead to certain decision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ful to adjusting decentralization allocation tax issued to local governments by the central government for social welfare budget purposes. Key words: Primary local governments, local grant tax, independent revenue, financial autonomy rate, key factors of social welfare budget ratio

      • 기초자치단체의 정치적 요인이 아동 보육의 공공성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지역 중심으로

        임춘민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olitical factors, such as the party affiliation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or the majority party of local councils, affect the increase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which represented the publicness of child care. The publicness of child care here wa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would be the basic data for inferring the direction of child care policy of the related parties, as well as inferring whether the local governments were playing an autonomous role in securing the publicness of child care. To this end, the study included 66 local governments in the capital region to compare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between the end of the 4th and 5th civil election periods, and analyzed the cause of the difference. For this analysis, political factors were mostly used, including the party affiliation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he majority parties of local councils, the conformity between the party affiliation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majority parties of local councils, and the presence of those who used to be the principals of child care facilities in local councils. In addition to political factors, an analysis was made as to whether such external factors as financi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cted as a cause, through which the validity of research result was attempted to enhanc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no external factors, including political factors, financi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of local governments in the end of the 4th civil election period. That is, the child care policy in that period seemed to be passively implemented by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variables in the end of the 5th civil election period were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is, a variety of external factors affected the number of the facilities. This indicates that local governments themselves played autonomous and subjective roles. Of the variables used for a relational analysis with political factors,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In contrast, local councils were shown to have an effect on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of which the local councils belonging to the Saenuri Party were foun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the number of child care fac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most of the local councils who used to be the principals of child care facilities were the members of the Saenuri Party. Although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greatly affect the number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affect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in the future as the number is gradually on the rise. The results revealed that political factors acted as the biggest determinant of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s financi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facilit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e direction of publicness of child care pursu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at of local governments are not necessarily consistent. This indicates that the competence and willingness of local government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political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determined the direction of publicness of child care, the study finding that the local councils belonging to the Saenuri Party were associated with the publicness of child care will be an important stimula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the local councils belonging to the Saenuri Party, as well as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local councils of 'other parties' should strive to secure the options of child care facilities with interest and willingness in expanding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단체장의 소속정당과 기초의회 다수정당과 같은 정치적 요인이 보육의 공공성을 대표하고 있는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여기서 보육의 공공성은 국공립어린이집 시설수로 판단하고 있다. 분석의 결과는 해당 정당의 보육정책 방향을 추론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초자치단체 스스로가 자율성을 가지고 아동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하여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추정해 보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66개 기초자치단체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민선 4기말과 민선 5기말에 해당하는 국공립어린이집 시설수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초단체장의 소속정당, 기초의회의 다수정당, 기초단체장의 소속정당과 기초의회 다수정당간의 일치도, 그리고 보육시설 원장출신 기초의원 유무 등 주로 정치적 요인과 관련된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정치적 요인 뿐 아니라 재정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과도 관련한 자료를 활용하여 정치적 요인이외에 다른 외부적 요인이 더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조사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를 보면, 민선 4기말의 경우 정치적 요인, 재정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어떠한 외부적 요인도 기초자치단체의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보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기초자치단체의 자율적인 의지보다는 중앙정부가 추구하는 방향대로 수동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민선 5기말에는 대부분의 변수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외부적인 요인이 시설 수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기초자치단체 스스로가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치적 요인과의 관계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변수 중 기초단체장은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고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반면 기초의원은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새누리당’ 기초의원이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시설 원장출신 기초의원의 대부분은 ‘새누리당’인 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분석에서는 이들이 아직까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에는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재정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역시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수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어 정치적 요인이 가장 큰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함의는 중앙정부에서 추구하는 아동 보육의 공공성 방향과 기초자치단체에서 추구하는 아동 보육의 공공성 방향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즉 기초자치단체의 역량과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의 정치적 요인이 아동 보육의 공공성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는 사실과 아울러 특히나 ‘새누리당’ 기초의원이 아동 보육의 공공성과 관계가 있다는 이번 연구결과는 기초단체장의 역할 정립에 중요한 자극제가 될 것이다. 향후에는 ‘새누리당’ 기초의원 뿐 아니라 기초단체장 그리고 ‘그 외당’ 기초의원까지 모두가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관심과 의지를 가지고 아동 보육시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기초지방자치단체 보건분야 예산액의 결정요인

        고은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전국 227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보건분야 예산액의 결정 요인 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안전행정부 재정고 홈페이지 자료, 통계청 자료, 보건 복지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자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자료를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의 대상 기간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 4개년도로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수급권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보건분 야의 예산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보건분야 예 산이 다를 것이다. 셋째, 건강도시를 실시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보건분야 예산이 많을 것이다. 재정지출 결정요인 이론을 따라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지방자치 단체 유형, 노인인구비율,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주민 1인당 지방세부담액), 정치적 요인(기초지방의회의 정치적 성향,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정당), 보건분야 특성 요인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수, 건강도시 실시여부, 음주율, 흡연율,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을 독립변수로 하였다. 각 지역의 주민 1인당 보건분야 예산액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과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수급권자의 비율과 보건분야 예산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회귀분 석과 패널분석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보건소 사업이 소외된 계층의 건강증진 을 위해 실시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초생활수급권자의 비율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에서는 지방의회의 성향이 여당인 경우보다 중립인 경우에 보건분야 예산액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산 결정은 의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회의 정치 성향이 많이 반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패널분석에서는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성향이 여당성향에서 야당성향으로 바뀔 때 보건분야 예산액이 더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성향이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 하기 때문에 예산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정치적 성향이 여당성향일 경우 경제성장과 소득재분배 중 경제성장을 더 중요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건강도시를 실시유무와 보건분야 예산액 사이에는 관련이 없었다. 건강도 시를 실시하는 주체는 대부분 보건소이며 건강도시 실시의 목적이 주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 이루어지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예산이 지원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소외계층 및 정치적 요인, 보건분야 요인 등을 고려 하여 보건분야 예산액을 배정해야 한다. 현재 보건분야 예산액은 많은 요인들을 충분 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지역의 보건소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 영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보건분야 예산 배분이 이루어져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및 보건수준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지방자치단체 순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230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정남숙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의 구조와 지방이양이후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을 밝히고자 한다. 지방자치제와 지방이양을 통하여 기초자치단체는 자율적인 사회복지정책 수립을 요구받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학계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사회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기초자치단체를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가 배분하는 보조금을 모두 포함하는 사회복지예산 총액을 종속변수로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예산 총액을 종속변수로 할 경우, 보조금이 총액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므로 기초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사회복지예산편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예산 중 자체세입이 차지하는 비율을 종속변수로 하였다. 비록 상당한 자체예산이 국고보조사업의 보조금에 대한 매칭예산으로 사용되지만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사회복지예산총액보다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수립의지를 좀 더 타당하게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가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기초자치단체의 지역 구분에 따른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 비율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발생하는 기초자치단체의 자발적인 복지의지의 수준차이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 기초자치단체가 자체재원으로 사회복지정책수립을 위하여 배분하는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혔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본 분석틀은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복지수요 요인', '점증적 요인', '체계론적 요인'이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측정변수로 조작화 하였다.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은 소득수준을 나타내는 1인당 자동차 대수와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도시화와 산업화 수준을 대리하는 재정자립도로 조작화 하였다. 둘째, 정치적 요인은 기초자치단체장의 정치성향을 여당과 야당으로 나누어서 더미 변수화 하였다. 셋째, 복지수요 요인은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회복지시설수와 해당 지역의 노인비율로 조작화 하였다. 넷째, 점증적 요인은 종속변수인 총 예산 대비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비율의 전년도 값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체계론적 요인은 기초자치단체의 예산 편성에 대한 자율성 정도를 나타내는 재정자주도, 총 예산 대비 국비 사회복지예산비율, 총예산 대비 시?도비 사회복지예산비율로 하였다. 각 변수는 통계청, 행정안전부의 2009년도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고, 통계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군?구를 지역으로 구분하여 총 예산 대비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비율을 비교해본 결과, 농?어촌지역인 군의 평균값이 도시지역 또는 대도시지역인 시와 자치구 지역의 약 70%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재원 비율을 나타내는 재정자립도 수준이 농?어촌지역인 군이 도시지역인 시나 자치구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의 자발적 사회복지정책 수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위에서 제시한 각 요인과 종속변수 간 다중회귀분석은 다음과 같은 주요한 결과를 보여준다. 첫째, 기초자치단체의 소득수준 및 산업화 수준이 높을 경우, 해당지역 주민들이 더 높은 양질의 사회복지정책 산출물을 요구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수락되지 않았다. 둘째, 기초자치단체장이 소속된 정당이 중앙정부 집권여당 여부 역시,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 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복지수요가 많은 기초자치단체일수록 기초자치단체의 자발적 사회복지정책을 위한 예산이 많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역시 기각되었다. 넷째, 점증적 요인인 과년도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비율의 회귀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독립변수들 중에서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계적 요인분석 결과 재정자주도와 국비 사회복지예산 비율이 높을수록 종속변수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먼저 재정자립도가 낮은 농?어촌 지역인 군이 자율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군 지역은 자체재원 수준이 낮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정책을 위한 포괄보조금 제도가 지역적 특성에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기초자치단체는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각종 사회복지정책 요구에 민감해져야 한다. 자발적인 사회복지정책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각종 복지욕구에 적합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연구결과 복지수요 요인이 자발적인 사회복지정책 수립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기초자치단체는 대표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계층인 취약계층의 사회적 어려움을 밝히는 조사?분석 역할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기초자치단체의 자율적인 사회복지정책수립을 위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현재 시?군?구비 사회복지예산비율은 중앙정부 보조금의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공공전달체계의 효과성을 높이고 자율적인 복지정책수립을 위한 인센티브가 요구된다.

      • 지방자치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1989년부터 2002년의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을 중심으로

        이은영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1991년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을 기점으로 단계적으로 성숙되어진 지방자치제도가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지방자치제도가 분권화 될수록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지방자치제도는 지역의 환경과 주민의 욕구에 맞는, 그리고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복지 내지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중앙정부차원의 사회복지서비스와 비교해 볼 때,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사회복지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주민의 복지수요에 알맞게 전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기 이전에도 대부분의 사회복지서비스(특히 사회복지 재원)의 전달체계로써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됨으로써 지방자치단체는 보다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복지사업의 주체로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지방자치제도의 재시행 이후 14년이 지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방자치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참여정부에서 추진중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분권화 정책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재정의 특징 중 하나인 국고보조금제도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한 실증적 검토가 더욱더 요구 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을 통해 지방자치제도의 실시 이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론적으로 지방자치제도와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과의 관계 및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결정요인에 대해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의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1989년부터 2002년(총 14개년)까지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전체 및 각 지방자치단체 유형별로 지방자치제도가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에 미치는 영향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때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종속변수)은 1인당 사회복지비와 사회복지비율로 나누어 사회복지예산의 절대적인 수준과 총예산규모에 따른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지방자치제도의 도입에 따른 영향은 제도가 실시되기 이전시기(미실시기)를 분석기간(1989~1991)에 산입하여 그 시기를 기준으로 제도의 각 시기별(지방의회구성기, 민선구성기, 민선2기)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제도의 분권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에 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는 모든 지방자치단체 유형에서 제도의 미실시기에 비해 민선구성기와 민선2기에 1인당 사회복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복지비율은 각 지방자치단체유형별로, 제도의 시기별로 각기 상이한 영향이 나타났으나, 대체로 지방의회구성기와 민선구성기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지방의회구성기 보다는 민선구성기의 부정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민선2기에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자치제도는 농·어촌 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대도시 지역의 사회복지비율을 증가시켜 제도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유형에 따른 구분으로, 먼저 지방자치제도에 따른 영향을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를 비교해 볼 때, 기초자치단체에서 지방자치제도의 시기별 사회복지비율의 부정적 영향력은 낮고, 긍정적 영향력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광역과 기초간의 사회복지예산의 차이는 총 분석시기를 통합하였을 경우, 1인당 사회복지비는 기초자치단체가 높고, 사회복지비율은 광역자치단체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방자치제도의 시기별로 구분했을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가운데 사회복지정책이 차지하는 우선순위는 민선구성기 이후 기초자치단체에서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발전 정도와 산업화의 정도로 대별되는 기초자치단체의 시·군·구간에는 지방자치제도에 따른 영향과 사회복지정책의 우선순위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즉, 도시지역에 해당하는 구의 경우 지방자치제도는 1인당 사회복지비와 사회복지비율을 증가시켰고, 구의 사회복지비율은 시와 군의 그것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지역이 농·어촌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정책에 보다 관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들 간의 격차는 분권화가 진행될수록 커지고 있어 지역의 특성이 상이한 지방자치단체 유형간에 사회복지 불평등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은 지방재정능력이 높은 지방자치단체일수록 사회복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높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사회복지비율을 늘렸다기 보다는 지방자치단체 유형간의 인구편차가 심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의 대부분은 국고보조금을 통한 의존인구에 대한 예산지출로 지역내 의존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에 의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속변수에 따라, 그리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체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점증주의 요인에 의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비율의 경우에는 국고보조비율과 의존인구비율에 의한 긍정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개발비율은 부정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은 전년도의 사회복지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의 상당부분은 국고보조금에 의한, 공공부조사업을 위한 예산지출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일정범위내의 예산을 가지고 사회복지정책보다는 경제발전을 위한 정책에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방자치제도 시기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정치적 요인에 해당하는 정치적 경쟁율에 의한 긍정적 효과는 민성구성기의 1인당 사회복지비와 사회복지비율을 증가시켰으나, 이후 시기에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완전한 지방자치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된 민선구성기에 나타난 일시적인 효과에 불과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지방자치제도의 모든 시기에서 국고보조비율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율을 증가시키고, 경제개발비율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고보조비율에 의한 긍정적 효과와 경제개발비율에 의한 부정적 효과는 민선구성기에 감소하는듯 하지만, 이후 민선2기에는 오히려 지방자치제도의 미실시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분권화 될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 of local autonomy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as local autonomy is decentralized.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is study intended to integrate all data of all local governments from 1989 to 2002(14 years in total) by type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clarify the effect of local autonomy on the welfare expenditure by including factors that can ha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pooled time-series cross-sectional analysis model and controlling its effect. In conducting this study,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in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social welfare expenditure per capita and the rate of welfare expenditure and the relative priority order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absolute level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a budget limit of total expenditure.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local autonomy, a period before the autonomy was implemented(the period when local autonomy was not implemented) was added in the analyzed period(1989-1991). Then, on the basis of the period, effects were analyzed by each period of local autonomy(the period when a local assembly was organized,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and the second period of popular election) a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ce existed in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 depending on decentralizati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summed up as the following: First, in all types of local governments, it was identified that our local aut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per capita of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and the second period of popular election compared to the period when local autonomy was not implemented. On the other hand, in respect to the rate of social welfare, different effects were indicated depending on type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period of local autonomy. In general, negative effects were seen in the period when a local assembly was organized and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and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showed a larger negative influence than the period when a local assembly was organized. However, in the second period of popular election, the local aut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most local governments. Besides, local autonomy increased the rate of social welfare more in relatively large cities than in the regions of farm or fishing village and positive effects were seen depending on local autonomy. Second, depending on types of local governments, positive effects of local autonomy was shown more largely on the rate of social welfare of basic unit of local governments than that of wide unit of local governments. Negative influences by each period of local autonomy was low, while positive influences was high. Moreover, regarding difference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 between wide unit and basic unit of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expenditure per capita was high in basic uni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rate of social welfare was high in wide unit of local government. With regard to difference between -Si, -Gun, -Gu, in -Gu applicable to an urban region, positive effects of local autonomy was high and the rate of social welfar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i and-Gun. These results mean that urban regions are more lenient to social welfare policies relatively than the regions of farm and fishing vill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getting larger as decentralization was progressed, so unfairness of social welfare between types of local governments with different local characteristics was being begun. Regarding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the higher self-reliance local governments had, the higher rate of social welfare wa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is result was caused by deviation of population between types of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by high financial funds of local governments. Third, as for factors that mainly had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explanation based on incrementalism was high. In addition, in respect of the rate of social welfare, proportion of gran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ate of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had positive effects, while the rate of local economy-related expenditure had negative effects. This result means that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does not depart from social welfare policies of the previous year and suggests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was for public assistance gran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esides, it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have expenditure within a fixed range and assigned it first to policies for economical development rather than social welfare policies. Fourth, when factors which affect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were divided by the period of local autonomy, positive effects of political competition were nothing but effects which appeared temporarily in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In addition, in all periods of local autonomy, proportion of gran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creased the rate of social welfare of local governments, while the rate of economical development decreased the rate of social welfare. These effects of the proportion of gra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ate of local economy-related expenditure seemed to decrease in the period when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but in the second period of popular election, the effects in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period when the local autonomy was not implemented. Thus, the result showed that as decentralization was progressed, the effects was getting larger.

      • 기초자치단체 감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주시 감사제도 운영을 중심으로

        김랑섭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기초자치단체 감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시 감사제도 운영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김랑섭 이 연구는 공주시감사제도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방자치시대에 알맞은 감사제도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현행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 운용의 내용과 주요외국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제도의 국내문헌자료를 기초로 고찰하였으며, 둘째, 감사실태 분석을 위하여 감사계획, 감사결과보고, 감사관련 정기간행물, 자체감사 지적사항, 감사결과 통계분석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감사실무자들과 개별적 면접을 통하여 비공식적인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부분인 기초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의 개선방안에 있어 기존의 선행자료와 본인이 자체감사 부서에서 2년 간 근무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현행 감사제도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감사제도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이론적 배경으로 감사의 의의, 감사의 기능과 종류, 자체감사의 개념과 법적근거를 살펴보았다.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현행 감사제도 아래서 시행되고 있는 감사원 감사, 행정자치부 및 중앙행정부처 감사,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 시·도감사, 자체감사, 주민감사청구제에 의한 감사의 감사기구 및 기능과 각 감사기관별 감사실태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와 함께 지방자치의 발전의 근원으로 영·미계 지방자치단체의 감사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영국과 미국, 대륙계의 프랑스와 독일, 혼합형의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제도를 고찰하고,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를 비교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기초자치단체인 공주시 감사제도에 대한 감사체계의 개요로 공주시에 대한 감사체계와 감사기관과 감사대상사무에 대한 법적근거를 살펴보고, 공주시자체감사자체감사규칙과 공주시 감사기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공주시에 대한 감사실태로 외부기관감사 실태로 감사원감사, 행정자치부 및 중앙행정부처 감사, 충청남도감사, 공주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의 실태와 지적사항 및 지적사상의 처리결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자체감사 운영 및 실태로는 종합감사, 부분감사, 일상감사, 기강감사의 실시현황과 감사실시결과 지적사항,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결과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주시 감사의 외부기관감사의 문제점으로는 감사의 중복, 빈번한감사, 직무감찰 위주의 감사, 중앙집권적 감사로 자율성 제약, 표준화된 감사지침, 의회의 과도한 자료요구가 지적되었고, 자체감사의 문제점으로는 자체감사기구의 독립성 결여, 자체감사요원의 독립성 및 전문성 부족, 자체감사결과 처리의 불균형, 감사기관간의 연계 미흡, 자체감사에 실·과 미적용, 자체감사계획 수립의 부적정 및 미실천, 자체감사 감사반 편성 부적정, 감사정보 수집의 미비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렇게 지적된 문제점을 다른 기초자치단체의 문제점과 비교한 결과 다른 기초자치단체와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고 자체감사계획 수립의 부적정 및 미실천, 자체감사 감사반 편성 부적정, 감사정보 수집의 미비가 공주시에서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의 기본방침으로 기초자치단체 자율권 보장의 제고, 자치적 감사능력 강화, 자체감사계획의 이행관리로 세우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의 무엇보다도 합법성감사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감사체계를 효과성, 능률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목표로 하여 제도적으로 개선할 사항이 무엇이 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는데, 외부기관 감사의 개선방안으로는 감사체계의 합리적 재정립, 직무감찰위주의 감사를 성과감사 체제로 전환, 감사기관의 정비 및 협력강화, 기초자치단체 의회의 행정감사제도의 개선을 개선방안으로 의원의 전문성 확보, 행정사무감사 기간의 조정, 정책감사의 실시를 제시하였고, 공주시의 자체감사제도 개선방안으로 자체감사 기구의 독립성 보장, 자체감사요원의 전문화에는 자치단체 감사요원에 대한교육·훈련의 강화, 유능한 감사 전문인력 확보, 자체감사계획 수립의 적정화에는 자체감사기능의 전환, 자체감사계획의 확실한 실천, 감사결과처리의 형평성 유지, 감사정보수집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복지예산지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승아 인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지출의 영향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정치적인 요인에 주목하여 선거와 정치이념 등이 사회복지비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 지출을 예산자료를 활용하였고, 시(市)지역 72개, 군(君)지역 84개, 자치구 69개 총 225개의 전체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2004년부터 2012년까지의 9개년도 범위의 2,020개 사례에 대한 사회복지예산지출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시간적으로 다른 사례와 공간적으로 다른 사례를 결합한 패널자료(panel data)를 활용하여 시간적 변동과 공간적 변동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를 시도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복지예산지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인 노력은 예산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패러다임의 변화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된 사회복지재정에 대해서도 이론 검토와 현황 등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예산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치적 요인, 재정능력 요인, 복지수요 요인에 대해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사회복지비 지출 비중을 종속변수로 하였고, 정치적, 재정능력, 복지수요 요인을 범주로 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모형에서의 독립변수로서 정치적 요인으로는 선거실시연도, 기초자치단체장의 소속 정당, 기초의회의원과반수 정당, 정치이념을 사용하였고,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요인으로 재정자주도를, 복지수요 요인으로 인구수, 순 인구이동비율, 노인인구비율 등을 사용하였다. 나아가 지역의 특성 변수를 더미변수로 사용하여 사회복지비 지출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패널자료의 모형 추정을 위한 적합한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일반현황 및 사회복지비지출에 대한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복지비지출의 영향요인에 대한 결합회귀분석을 시도하여 결과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복지예산지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결과, 정치적 요인으로서 선거실시년도, 선거실시전년도, 선거실시후년도가 복지예산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들이 주민들의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정치인으로서 정책결정을 할 때 득표와 재선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해 복지정책을 선호하고 그에 따라 복지예산도 커질 수 있음을 예측해볼 수 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장의 정치이념이 진보당일 경우, 기초의회의 다수당이 보수당일 경우, 기초의회의 다수당이 진보당일 경우에 사회복지예산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의 정치이념이 지역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흥미롭게도 기초자치단체장의 정치이념이 보수당일 경우에는 사회복지예산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자치단체장과 기초의회다수당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사회복지예산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요인들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지방이양으로 인한 재량권 확대와 더불어 사회복지비 지출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써 중요한 영향변수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 요인 변수로서 재정자주도는 복지예산지출과 부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정자주도는 높을수록 사회복지지출비중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근본적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 열악한 실정이므로, 재원이 늘어나는 비율만큼 사회복지분야에 배분할 여력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가 사회복지비 지출에 있어서 자체 재원의 확대보다는 상위정부의 재정적 지원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복지수요 요인으로서 인구수와 노인인구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을수록 사회복지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노인인구를 지역의 사회복지비 지출에 있어 중요한 영향변수로써 삼고 있고 앞으로 저출산 고령화의 흐름에 따라 노인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갈 것이며, 각 지방정부는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복지 부담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반면, 인구이동비율의 경우 복지예산지출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구이동이 많을수록 복지혜택을 받는 대상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회복지복지비가 줄어든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그리고 더미변수로 설정한 지역특성요인에서 구지역이 시지역과 군지역에 비해 복지예산지출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전체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특히 정치적인 요인이 정책결정과 사회복지지출에 미치는

      • 基礎自治團體 競爭力 測定指標 開發에 關한 硏究 : 서울特別市 25個 自治區를 中心으로

        박치성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의 문턱에 있는 현재 밖으로는 세계화, 안으로는 지방화(분권화)라는 명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분권화라는 측면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파악하는데 있어 기초자치단체의 경쟁력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한 국가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기초자치단체가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야 상위의 광역자치단체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이 총화되어 한 국가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의 경쟁력 분석연구가 중요하다. 경쟁력이라는 것은 1980년대 이후 국가(국제)경쟁력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국가간의 비교·분석이 있어왔으며, 1980년 후반부터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경쟁력 측정 및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초자치단체 수준에 있어서 본격적인 경쟁력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경쟁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첫째, 기초자치단체에 맞는 측정지표를 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경쟁력 측정 연구들은 경영학적 측면에서 경계·물리적 측면만을 강조한 경쟁력을 측정하여 왔었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주민의 삶의 질이라는 측면이 기초단체 수준에서의 경쟁력에 있어서는 경제적 측면에 못지 않게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삶의 질을 경쟁력 결정요소중 하나로 포함시켰으며, 또한 경쟁력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을 소홀히 다루었던 기존연구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치구청의 행정적 역량 측면과 자치구민의 역량 측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치구 기반이라는 경쟁력 결정 요소를 포함시켰다. 이러한 3개의 경쟁력 결정요소에 따라 각각 3개, 4개, 5개의 측정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측정지표에 따라 구체적인 경쟁력 측정을 위한 68개의 세부 측정변수를 선정한 후, 구체적인 기초자치단체 경쟁력 측정을 위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측정을 위한 계량적 모형중에서 다변량 통계기법인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경쟁력을 측정 그리고 비교·분석을 하였다. 위와 같이 기초자치단체의 경쟁력 측정을 위한 측정변수 개발이라는 첫 번째 연구 목적을 수행한 후, 두 번째 연구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경쟁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 · 평가하여, 이를 통한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기 위한 공간적 분석대상으로는 서울시의 25개 자치구를 설정하였으며, 시간상으로는 민선자치단체장 선거이후, 자료 구득이 가능한 가장 최근년도인 1996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경쟁력 측정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요인보다도 경제적 기반 요인이 자치구의 경쟁력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삶의 질 요소도 이보다는 못하지만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치구 기반 요인은 25개 자치구간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경쟁력을 결정하는데 있어 다른 요소에 비하여 큰 역할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력에 따른 25개 자치구의 지역적 분포는 강남, 서초, 송파구가 위치한 서울의 남동부와 종로, 중구가 위치한 중앙부가 경쟁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북서부와 남서부의 서울외곽의 자치구들이 모든 부문에 있어서 매우 낮은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와 자치구 수준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첫째, 각 자치구들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요소들에 대하여 지적함으로써 이에 대한 보완이 있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는 다른 요소보다도 경제적 기반에 대한 경쟁력 강화-이중에서도 특히 재정기반-가 가장 중요하며, 이것이 시급한 자치구가 가장 많기에 이러한 측면에 대한 대안으로 제도적 개편과 경영수익사업 운영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각 자치구의 기본적인 발전방향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제시하였다. One trend of most previous studies on competitiveness up to the late 1980s focused o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mong nations and another dominant one was urban competitiveness since the early 1990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about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government up to now.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measure and analyze the competitivenes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e geographical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data on time is the year 1996 which is the most recent available. The main thrus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ing indicator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empirically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factor analysis. First, this study chose measuring indicators as follows; because previous studies that measured competitiveness have measuring indicators that concentrate economic and physical structure, this study reconstructed measuring indicators by including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and quality of life and administrative role of government in order to make up the previous measurement. Beyond this indicators, building determinant which will classify measuring indicators is necessarily followed as; One. The administrative role of local government. Two. The economic structure. Three. QOL in the local government. This paper contends to develop measuring indicators each 3, 4, 5 by determinant. And sub-measuring indicators are consisted of 68 variables according to each measuring indicator. Second, this study adopt a quantitative model to evaluate competitiveness of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This model outcomes the competitiveness of 25 autonomous districts by using fact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ccording to quantitative evaluation includes; 1) The economic structure i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in competitiveness of 25 autonomous districts and though less influent than economic structure, QOL is the second best influential factor. But the administrative role of government doesn't have much value in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2) In the aspect of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ompetitiveness of 25 autonomous districts, the east-west sphere(Kangnam, Seocho, Songpa-Gu) and the center sphere(Jung, Chonglo-Gu) have stronger competitiveness than any other spheres in Seoul. And the outside spheres of Seoul(Kumchun, Eunpyung, Kangbuk-Gu) have the weakes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se consequences, this study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 as follows; first, each autonomous district must try to ameliorate their defective parts (indicators) regarding to consequences of this analysis. Second, among other indicators, the economic structure - especially financial base - is the most urgent indicators which weak autonomous districts must develop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 지방자치단체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적 요인을 중심으로

        최일진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지방자치가 부활된 후 기초자치단체의 지출양상은 자본지출에서 경상이전 등이 많이 포함된 사회복지지출로 그 비중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중반 이후 사회복지환경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정치적 환경의 변화는 사회복지지출 확대를 자극시키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초의회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제 확대 실시 등 지방선거가 기초자치단체의 주요 정치행위자를 선출하는 매커니즘으로 작동하면서 사회복지는 이념적 성격을 달리하는 각 정당의 중요한 선거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거에 비해 지방정치가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전제 하에 기초자치단체의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종속변수로서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사회복지비에 한정한 이유는 보조사업과 구별되는 성격에 기인하고 있다. 보조사업은 각 법률에 의해 규정되어 기초자치단체의 정치적 속성이 반영될 여지가 제한되어 있다. 반면 법정 의무적 경비와 행정운영경비 등을 제외한 잔여 일반재원으로 운영되는 자체 사회복지사업은 기초자치단체의 재량적 여지가 반영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체 사회복지비로 한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7~2012년, 분석대상은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평균차이검증, 패널데이터분석방법을 통해 검증을 시도하였다. 패널개체들의 고유한 고정적인 불변변수들의 변이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일치추정량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기초자치단체 종류별(시, 군, 자치구)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자치단체 종류별로 공통적인 결과로서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초생활수급자비율과 재정능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호작용변수가 제외된 모델, 포함된 모델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둘째,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능력요인, 정치적 요인 등 각 요인별 변수들의 결합에 의해 자체사회복지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의 인과구조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기초자치단체 종류별로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에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이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한 가지 특이한 내용은 상호작용에 있어서 기초자치단체의 종류별에 상관없이 주민참여를 대리하는 지표로 사용한 투표율변수가 재정능력요인변수와 결합할 경우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셋째, 각 요인별 변수들의 결합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치적 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치적 요인 중 상위정부와의 정당 일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경쟁률, 투표율, 지방자치단체장 득표율, 지방자치단체장 당선횟수, 진보성향의원비율 등이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능력요인 등과 결합하거나 정치적 요인 내 다른 변수들과 결합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지방정치의 주요 행위자로서 기초자치단체장, 지방의원 등의 정치성향이 진보인지, 보수인지의 여부는 자체복지사업지출비율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우리의 정당은 선거에서의 당선을 위해 진보와 보수 등의 정치적 성향에 구분없이 복지정책을 전략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단일변수 중심의 실증분석으로 밝혀내지 못한 각 요인별 변수들의 결합을 통한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자체 사회복지비 지출과 관련하여 단일변수 중심의 독립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요인별 변수들 간의 인과적 결합을 통한 상호작용효과의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사회복지지출의 수요요인이라 볼 수 있는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경제적 환경과 이를 수용하는 재정능력요인, 정치적 요인 등 공급요인 간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상호 연계되어 작동하는지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복지지출에 대응하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Elementary local authorities have increas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cluding current transfer since the revival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Especially, since the mid 2000s, the social-economical and political-environmental changes related to social welfare environment have work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stimulating th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s local elections are working as the mechanism of selecting political transactors of local governments such as expanded political party nomination system to local district councilors, the social welfare has now become a significant election strategy of each political parties with different ideolog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ecision factors influencing local self-governments’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on the premise that the local politics are in better environment for vitalization compared to the past.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s as dependent variable is based on the fact that it’s different from subsidy programs. Subsidy programs are regulated by legislation and limited for reflection of political features of local self-governments. Meanwhile, the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s can reflect discretion of the government because the self-financed social welfare programs are run by the general resources which exclude the expenditure for legally required mandatory and administrative operation.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the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s. The study analyzed data of elementary local authorities of the entire nation between 2007 and 2012 utilizing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panel data analysis methods. The panel data analysis is for obtaining efficient consistent estimators considering variations of original unchangeable variables of individual panels.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by classifying types of elementary local authorities(si, gun, autonomous g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n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all types of elementary local authorities were a proportion of beneficiary of national basic living and a financial ability factor. This was a common result from both models including and excluding interaction variabl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usal structure of decision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can differ by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such as social-economic, financial ability and political factor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fluences of determinants on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differ by types of authorities. However, one peculiar point i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voter turnout variable which was used as an index representing participation of resident and the financial ability factor variabl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ardless of types of elementary local authorities. This is a clue for an answer to prevent the connection of a phenomenon of strengthening the main causes of demand which stimulate welfare expenditure and an election mechanism from degenerating into political populism and ending up to reckless pledge competitions. Third, as for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nteraction effect by combination of variables, the political factor was quiet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en corresponding party with central government, competition rate of head of government election, voter turnout, polling rate of the election, number of winning election, proportion of progressive councilmen in the political factor were combined with social economic factor or financial ability factor, or combined with the other variables in the political factor, the combin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Fourth, the political inclination of the major transactors of local politics such as the head of elementary local authority and councilmen did not have specific influence on self-financ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t indicates that Korean political parties pledge welfare policies strategically to win the election regardless of political inclin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erifying the interaction effect through combination of variables of each factors which was not confirmed through positive analysis focusing on singular variable in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elf-financed welfare expenditure, there must be future studies for theoretical discussion and positiv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 through causal combination among variables and not just confirming the independent effect of singular variable. There is a need for in-depth analysis regarding th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demand factor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such as the social-economical environment including low birth rate and aging and the supply factors such as financial ability factor and political factor which accept the expenditure. Based on this, by understanding the much clearer caus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elementary local authorit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arching political countermeasure corresponding to welfare expendi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