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이미지 브로슈어 디자인 연구

        이준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현대 사회는 이미지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기업, 정부, 단체, 기업체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이미지 관리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 볼 때 상품의 라이프사이클 단축은 물론,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동종업종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기업 이미지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기업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즉 기업 광고와 함께 이루어지는 기업의 홍보활동, 경영자의 대외활동, 각종 캠페인 협찬, 언론의 취급 태도, 사보 또는 각종 PR 간행물, 각종 행사와 이벤트, 공익사업이나 문화산업에 대한 후원활동 등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많다. 기업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홍보수단은 기업광고와 홍보물이다. 특히 1997년의 IMF 외환위기는 기업 경영뿐만 아니라 홍보면에서 있어서도 하나의 분수령이 되었다. 기업이미지 광고와 홍보물은 외환위기 직후 한동안 우리 곁에서 사라졌고, 다시 등장했을 때에는 또 다른 변신을 시도하며 다가왔다. 기업이미지 광고는 고객들에게 인간미가 넘치고 친근하게 다가서고 있으며, 기업 브로슈어는 전개방식에 있어 정보 전달 중심의 전개 방식에서 이미지 중심의 전개 방식으로 변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변화 추세에 따라 최근 기업이미지 광고와 기업 브로슈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업 홍보물 특히 기업이미지 브로슈어의 새로운 창작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여기서 제시한 이미지 브로슈어는 실험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의 이미지광고로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이나 임팩트는 작다. 그러나 하나의 주제로 묶인 다큐멘터리 브로슈어는 이를 받아보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줄 수 있다. 현대의 고객들 욕구는 아주 다양하며, 그들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사회의 현안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영상 이미지형 브로슈어는 기업 홍보의 또다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Nowadays, it is said that Modem society is image age. Specially, when seeing from corporation's standpoint, life cycle of goods shortening as well as kinds of goods becomes various, and according as competition between same work in service species is controlled a fever, the importance of corporate image is emphasized than the past. The causes that influence in corporate image is various and complex. And corporate advertising and PR prints are most important means that corporations are utilizing vigorously. The IMF economic crisis of 1997 became the turning point in PR Activities of corporations. The corporate advertising and PR prints disappeared for a time in our side shortly after IMF economic crisis and when appeared again, they showed another attempts. The advertising including humanity was overflowing, and unfolding way of corporate brochure changes from information to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new corporate brochure of documentary style. It emphasize the image and social issue. The corporate brochure of documentary style that is fastened together to one subject can give new emotion to people that accept this. Modern customer's desire is very various, and it is very difficult that satisfy them. The corporate brochure of documentary style offer an opportunity that can be together afflicted about social pending issue. And so it can become other starting point of corporate PR.

      • 일본인 관광객이 인식하는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신뢰 그리고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정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effects of Japanese tourists' perceptions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on creating company's image, reliance and customer loyal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 it attempts to know whether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such as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that are perceived by Japanese touris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ompany's image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Second,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perceived company's image attributes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ompany's reliance. Third,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direct effect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reating company's reliance. Fourth,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percieved company's relia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Fifth,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direct effect of company's image attribu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Lastly, it attempts to know whether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To design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relevant items relating to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and firms' image, reliance, and customer loyalty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respondents who had visited to Lotte Hotel & Resort from August, 15 to September, 14 in 2008. A total of 52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es. Among them, 3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had visited to Lotte Duty Free for the purpose of purchasing some products and the rest of them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had visited to hotels and restaurants in Lotte Hotel & Resort.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interaction as well as the casual relationship of constructs within the research model. Using the metho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it concluded that two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reliability' and 'experti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the entire firms' image including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However, 'attractiveness', the other Hallyu celebrities' attribute, did not influenc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on creating firms' image. Second, it reveale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one of firms' image attributes had significan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while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did not show any influences. Third,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reli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It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while 'social responsibility' work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m. Fourth, it revealed that the firms' reli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rating customer loyalty. Fifth, it reveale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one of firm's image attributes had a great influence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hile company's reliance work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m. Moreover, investor confidence had statistically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ith inclusion of mediating variable as company's reliance. Lastly, the 'reliability' and the 'expertise' defined as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showed the direc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they had statistically indirec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ith the inclusion of mediating variable as company's image. 본 연구는 일본인 관광객이 인식하는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의 신뢰도 그리고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 등이 광고모델로 활용한 기업의 이미지 속성인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기업의 이미지 속성인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과 매개변수인 기업의 신뢰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는 앞에서 제시한 광고모델의 속성과 기업의 신뢰도에 대한 직접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네 번째는 기업의 신뢰도는 종속변수인 고객 충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섯 번째는 기업이미지의 속성들과 고객 충성도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광고모델의 속성들과 고객의 충성도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사 설계로서 설문지는 본 연구의 내용에 맞게 대중스타의 모델속성, 기업의 이미지, 기업의 신뢰도, 마지막으로 고객 충성도에 대한 이론을 근거로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Lotte Hotel & Resort를 대상으로 했으며, 해당호텔의 이용을 마쳤거나 이용 중에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15일부터 9월 14일 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실시하였다. 한편, 설문지의 배분에는 설문의 대상이 일본인 관광객인 점과 장소가 호텔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설문의 71%인 370부는 면세점 이용객을 대상으로 했으며 나머지 150부는 호텔 레스토랑과 객실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다수의 변수들 간에 존재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구성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구성개념들 간의 상호관계를 검증하고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속성의 신뢰성과 전문성은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력성은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과 마케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이미지와 기업의 신뢰도간의 영향관계에서는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이 기업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이미지의 투자의 확실성과 마케팅은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속성과 기업의 신뢰도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세 번째 분석에서는 모델속성의 신뢰성은 기업의 신뢰도에 직접,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신뢰도는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 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은 기업의 신뢰도와 같은 매개변수를 거쳐 고객 충성도에 높은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이미지인 투자의 확실성도 기업의 신뢰도를 매개로 고객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 속성인 신뢰성과 전문성은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으며 또한 ‘Lotte hotel & Resort’의 기업이미지와 기업 신뢰도를 매개로 고객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청소년 대상 사회적 책임 활동(CSR)이 기업이미지, 기업 평판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상희수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시행하는 국내 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참여가 기업이미지, 기업 평판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책임활동 참여가 기업 평판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이미지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A호텔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경련에서 발표한 사회공헌백서를 살펴보면 최근 기업들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해관계자의 인식 변화로 호텔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략적으로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국내의 A호텔기업을 사례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참여한 학생이 비참여 학생보다 A호텔기업에 대해 기업이미지, 기업 평판 및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참여가 기업이미지, 기업 평판 및 구매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이미지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참여가 참여자의 기업 평판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CSR 이미지와 경쟁력 이미지는 매개변수로 작용하지만 신뢰성 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할 때 단순한 사회봉사 또는 기부보다는 소비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직접적인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업들이 잠재적 고객으로 청소년을 인식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참여를 이끌어 냄으로써 기업이미지, 기업 평판 및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CSR활동을 활발히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SR activities of hotel corporation on the corporate image,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It also aims to find out if the corporate image mediates the effects of CSR activities o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intention to purchase. For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 hotel’s CSR project. For comparison, data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students of same schools who did not participated the CSR project. According to “Social Contribution White Paper” issued by the Federation of the Korean Industries,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are engaged in CSR projects involving teenagers. Also, changes in perception of stakeholders urges hotel corporations to step up strategic CSR activities. Thus, this study chose a hotel corporation and its CSR activities to investigate if the CSR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f corporate image, reputation and intention to purchas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os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SR project of A hotel have more intention to use the hotel service with positive reputation.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the company’s CSR project improves company image, reputation and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In addition, of the three types of im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the CSR project and corporate reputation or intention to purchase is mediated by the two types of images, that is, CSR image and competitiveness image. However, reliability image turned out to be non-significant. The result indicates that when a company conducts CSR campaign, it should more focus on the activities that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the project rather than simple donations. Moreover, it implies that a company should recognize teenagers as a strong potential consumer and persuade them to take part in company's campaign to improve corporate image, reputation and purchase to intention.

      • 기업 PR이벤트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진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업은 과당경쟁으로 인해 여러 요인에 대응하여야 하는 시대에 직면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의 기업은 다양한 이벤트를 수단으로 활용하여 여러 영역에서 기업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기업의 이미지를 우호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벤트는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현장성을 고려하여 소비자와의 만남으로 기업과 상호이해 및 관계강화 등을 위한 수단이자 PR매체이다. 이벤트를 보다 치밀하게 계획하면 소비자를 파악함과 동시에 기업과 브랜드 PR을 전개하고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의 PR이벤트 영향력에 비하여 아직까지 학문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기업 PR이벤트의 마케팅 측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 PR이벤트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업 PR이벤트 개최를 성공적으로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기업 PR이벤트 참여동기의 개념과 구성요인, 참여만족의 개념과 구성요인, 기업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인, 참여동기와 참여만족의 영향관계, 참여만족과 기업이미지의 영향관계, 참여동기와 기업이미지와의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여 그에 따른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기업 PR이벤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설문을 작성하는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실시 한 후,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PR이벤트를 지속가능하게 개최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업 PR이벤트 참여 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개발, 사회적 관계형성, 즐거움 요인은 심리적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관계형성, 외적 과시 요인은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기술개발 요인은 사회적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참여자의 요인에 따른 동기가 보다 강화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만족 요인 중 심리적 만족이 PR이벤트를 개최한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기업은 이벤트 참여자들이 인지한 심리적 만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업이미지를 우호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기업 PR이벤트의 참여동기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기술개발, 즐거움요인이 기업경쟁력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술개발, 사회적 관계형성이 사회적 책임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기업은 참여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동기에 따른 유인강화를 위한 차별화 된 전략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기업은 PR이벤트를 통한 소비자와의 관계강화 및 기업이미지 제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하며 이를 통한 지속적인 이벤트 전략으로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약회사 기업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상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특수성과 구매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제약회사를 대상으로 기업이미지의 구성요인에 대한 규명과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있다. 먼저 제약회사의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12개 기업이미지 항목을 조사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제품관련요인, 사회공헌요인, 기업 우수성요인의 3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과 제품 비관련 기업이미지요인이 전체 기업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다. <가설 2> 제품 비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보다 제품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제품관여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제품관여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보다 비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클 것이다. <가설 4> 약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신뢰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보다 제품 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클 것이다. 조사를 위해 4개의 제약회사와 두통약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의 4가지 가설은 모두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대기업과 내구재 중심의 기존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것으로 제품과 구매프로세스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제약회사들이 어떤 상황에서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할 때 기업이미지의 어떤 요소를 중점적으로 알려야 하며 어떤 사람들을 목표고객으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building corporate image and their influencing power affecting purchasing intention. Pharmaceutical compani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expected of which the corporate image influence much on purchasing intention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product and of the purchasing process. First, In order to explicate actual factors and their influential power on corporate imag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12 factor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groups: 1) Product-related factors 2) Social contribution factors 3) Corporate superiority factors. I have proposed a number of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es 1> Product-related factors and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preference of overall corporate image. <hypotheses 2>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than product-related factors. <hypotheses 3>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under high involvement group than low involvement group <hypotheses 4> Product-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under low trust in pharmacists group than high trust in pharmacists group Four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specific migraine medicin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st, all of 4 hypotheses were verified by experiment. These findings are against the result of existing studies that dealt with conglomerate or durable goods. We can define that is caused by peculiarity of the product and of the purchasing process. This study implies what factor should be promoted and who should be targeted when a pharmaceutical company implements marketing programs to enhance its image

      • 기업 공유가치창출(CSV)활동이 기업이미지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비교를 중심으로

        Chang, HongWei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Concepts ‘Capitalism 4.0’,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lated concepts have been emphasized while the limitation of market was reveal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In order to ensure that people are safely protected from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s and are happy,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market and government to cooperate and solve social problems by achieving social innovation. Socially, firms only pursued their financial profits but ignored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roblems, they have a risk of losing their image. Social needs and social expectations for companies increases day by day. But the diminishing trust in business leads political leaders to set policies that undermine competitiveness and sap economic growth. Business is caught in a vicious circle. Thus,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circumstances and needs, firms have implemented CSR activities, for instance, donation, social contribu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However, the more CSR activities enterprises do , the more desire they face. According to Kotler, if enterprises get highly interested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t h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mage or reliability of enterprises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u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how CSV activities effects on the image and reliability of enterpri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llected from the enterprises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result shows CSV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age of enterprises in China and South Korea. While CSV activities are less associated with reliability of enterprises in China compared with those enterprises in South Korea. It may be because of the existence of differe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reditability of Chinese enterprises. And it also reflect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s and government in China,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stomers.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유지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business environment is changing quickly and continuously. Companies should promptly adapt themselves to such environmental changes so that business strength is sustained, and they should strive to grow together with the society. As an element of such requirements related to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vitality of companies, businesses' social responsibilities are voiced more loudly. Responding to such a social atmosphere, corporate philanthropy is increasing, and the participation of CEOs and employees of companies are becoming more visible. Naturally they are easily spotted in the latest news related to corporate philanthropy. However, if such visibility in charitable corporate philanthropy is perceived as a propaganda campaign aimed at the public, it could backfire despite of vigorous efforts of compani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anti-business sentiment and negative images of business people in Korea.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out how the corporate philanthropy is perceived by the public in two categories. The first is when news is released only in text from, versus when it is released along with visual images of CEO and the employees beside a text. Second, since large companies are viewed more negatively than medium- and small-size companies in general in Korea, attention was paid on any differentiated effect related to company size. One aim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 more efficient and strategic approach to enhance companies' positive image through news of their corporate philanthropy. Another objective is to determine which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e visual images or the substance, in companies' public relation communications. In this research, theoretical studies were conducted on prior research work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Korean society, corporate philanthropy, and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tudies, and with the purpose of learning the effects of news types on corporate images related to corporate philanthropy, news types were classified into text type and text - visual combination type (text - CEO visual combination type, text - employees visual combination type). Made up news was constructed on corporate philanthropy, and six experimental objects were generated regarding the absence or existence of visual scenes, the main characters of the visual scenes, and company size. The subject of corporate philanthropy chosen for this study was '19-hole briquette delivery'.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research of Cha, Hee-Won (2005) and Lee, Jae-Jin (2003), and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ANCOVA, and two-way ANCOVA were performed. Conclusions and discussions obtained from the posi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mages became more favorable after reading news on corporate philanthropy, indicating that news on corporate philanthropy is positively influencing the corporate image. Secondly, the favorable images of corporate philanthropy is more evident in the case of medium- and small-size companies, indicating that news on corporate philanthropy is working more effectively on improving the images of medium- and small-size companies compared to the images of large companies. Thirdly, in terms of types of news, namely, text type versus text - visual combination type, text-type produced more favorable images compared to the text - visual combination type.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news content is about charitable 'corporate philanthropy'. Visual scenes seem to stimulate psychological effects of viewing such charitable activities as false ones made in the name of pursuing profits, and as a result, text-type news seem to generate more favorable responses. As the second reason, in the social context of Korea, viewers are suspicious of hidden motivation behind these corporate philanthropy, rather than passively accepting companies' social service activities as shown in visual scenes as is. The third reason is related to the measurement parameter.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between the news types was measured with the corporate image as the parameter. Corporate images emotional by nature, and visual scenes of corporate philanthropy do not affect the emotional side of viewers. Fourthly, In the case of visual combination news type, scenes showing employees were more favorably accepted than those showing CEOs.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negative image of business people in general, and the viewers, being ordinary people, seem to feel closer and an affinity toward employees like themselves. Fifth, as for the type of news on corporate philanthropy, studies were conducted on variations of the effect of text type versus that of the text - visual combination type with respect to the company sizes; the result shows that company sizes and news types did not reveal any meaningful correlation statistically, bu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 terms of the main effect of each. Sixth, a study was conducted on variation of the effects of tex - CEO visual combination type versus text - employees visual combination type on the corporate image, and the result shows that company sizes and visual combination types did not reveal any meaningful correlation statistically, bu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 terms of each's main effect. Seventh,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xes, males showed more favorable responses toward corporate philanthropy, and males were influenced more by emotional and visual presentations, as compared to females, This study indicat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research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conducted a study on news reports on corporate philanthropy in terms of the news layout. Studies revolving around the news layout have not been conducted before, and such a study is meaningful in view of that visual scenes are being shown quite often in the real news dealing with corporate philanthropy. Seco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finding out that text type is received more favorably than the text - visual combination type, it has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substances rather than visual images in companies' public relation communication. Thir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ompany sizes-dependance, namely, large size companies versus medium- and small- size companies, was analyzed in the effects of corporate philanthropy. Specially, the study indicates that corporate philanthropy is more favorably perceived in the case of medium- and small- size companies compared to large size companies, in an effort to form favorable images through philanthropy. 기업환경은 끊임없이,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야 지속가능한 경영이 이루어지며 기업은 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생존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기업환경, 생존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요건 중 하나로 사회적 책임이 더욱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점점 증가하고 다양화 되면서 CEO나 직원의 참여도 두드러진다. 자연스레 최근 사회공헌활동 관련 뉴스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는 CEO나 직원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반기업 정서와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과 같은 한국적 상황(context)에서 자선적 활동인 사회공헌활동이 뉴스를 통해 노출 될 때 CEO나 직원의 비주얼 등장이 공중에게 보여주기 식으로 내비친다면 오히려 기업의 활발한 사회공헌활동 전개에도 불구하고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뉴스유형 중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유형과 CEO, 직원사진과 같은 비주얼이 결합된 유형에 따라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중소기업보다도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상황에서 기업의 규모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를 통해 긍정적인 기업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좀 더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이라는 기업의 PR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비주얼 이미지(visual image)와 실체(substance)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찾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상황(context)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에 따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을 텍스트유형, 텍스트-비주얼결합유형(텍스트-CEO사진결합유형, 텍스트-직원사진결합유형)으로 나누었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가상의 기사를 제작하였고 비주얼의 유무, 비주얼의 중심 대상, 기업의 규모에 따라 크게 6개의 실험물로 구성하였다. 기사내용은 ‘연탄 나르기’를 하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차희원(2005), 이재진(2003)의 연구에 근거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 공변량분석(ANCOVA), 이원공변량분석(two-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를 읽기 전보다 읽은 후에 기업이미지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가 긍정적인 기업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다 중소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를 읽은 후의 기업이미지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나,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사회공헌활동 뉴스를 통해 긍정적인 기업이미지로 상승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을 크게 텍스트유형과 텍스트-비주얼결합유형으로 나누었을 때 텍스트-비주얼결합유형보다 텍스트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뉴스주제가 자선적인 활동인 ‘사회공헌활동’이라는 점이다. 비주얼이 자선적 활동을 이윤추구를 위한 인위적인 활동으로 비추어 오히려 텍스트로 이루어진 뉴스에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두 번째 이유로는 한국적 상황(context)에서 비주얼을 통해 보여지는 사회공헌활동을 그 자체로 생각하기보다 그러한 사회공헌활동을 왜 이 기업이 행하는지 이면적 동기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 이유는 측정 항목이다.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 간에 효과 차이를 기업이미지라는 변인으로 측정하였다. 기업이미지는 기업에 대해 가지는 감정적인 심상으로, 사회공헌활동뉴스에서 비주얼이 감정적인 심상에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비주얼이 결합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에서 텍스트에 CEO사진보다는 직원사진이 결합된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기업인의 비주얼이 결합된 뉴스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설문응답자가 일반인이라는 점에서 직원이 기업인 보다 거리감이 적고 친근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 중 텍스트유형과 텍스트-비주얼결합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기업의 규모와 뉴스유형 간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 중 텍스트-CEO사진결합유형과 텍스트-직원사진결합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기업의 규모와 텍스트-비주얼결합유형 간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일곱 번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남성보다 여성이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뉴스에 있어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감성적이고 시각적인 자료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에 있어, 레이아웃 중심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에 대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에 대한 레이아웃 중심의 연구는 기존에 없었던 것이며 최근 사회공헌활동 뉴스에서 그와 관련된 사진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의성이 높다. 둘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에서 비주얼이 결합된 유형보다는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유형이 기업이미지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의 PR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비주얼 이미지(visual image)보다는 실체(substance)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적극적인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호텔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이 기업이미지 및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유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호텔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이 기업이미지 및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서울 시내 특급 호텔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과 이로 인한 고객들의 호텔에 대한 친환경 이미지 및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호텔 영업활성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실질적인 제안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친환경 마케팅과 친환경 기업이미지,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관련 속성을 도출한 후,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첫째, 가설 1-1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은 사회적 행동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요인은, ‘친환경 촉진’, ‘친환경 유통’, ‘친환경 가격’ 등이 유의수준 0.01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제품’은 사회적 행동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설 1-2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은 사회 공헌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요인은, ‘친환경 제품’, ‘친환경 촉진’, ‘친환경 가격’ 등이 유의수준 0.01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유통’은 사회 공헌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가설 1-3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은 기업 행동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요인은, ‘친환경 제품’, ‘친환경 촉진’, ‘친환경 유통’ 등이 유의수준 0.01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가격’은 기업 행동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가설2 ‘호텔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는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텔 기업 이미지의 하위요인은, ‘사회 공헌 이미지’, ‘기업 행동 이미지’ 등이 유의수준 0.01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행동 이미지’는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 3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은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이에 대한 검증 결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요인은, ‘친환경 제품’, ‘친환경 촉진’, ‘친환경 가격’ 등이 유의수준 0.01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유통’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3은 부분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가지고 있다. 첫째, 공간적 제약이다. 둘째,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할 소지가 있다. 셋째, 다른 변인들이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산업에서의 친환경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 친환경마케팅, 그린마케팅, 재방문의도, 기업이미지, 친환경기업이미지

      • 기업이미지가 휴대폰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성진 명지대학교 무역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90년대 이후 통신 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기술의 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내 통신사업자의 기술력은 각 기업간 기술력의 차이를 크게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각 제품의 품질 평준화를 이루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장 형성의 초기단계에는 기술의 차이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나 현재 거의 비슷한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각 통신사업자들의 제품은 기술력이외의 서비스를 강조하게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를 강조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높이고, 기업의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포화상태에 있는 휴대폰 시장의 가입자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요소를 찾아 각각의 이미지요소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업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지요인을 선정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업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기업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수행을 위하여 가설을 제기하였고 이에 대한 검정은 전형적인 통계적 절차를 따랐다. 제기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Ⅰ은 기업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가설 Ⅱ는 기업이미지요인과 성별에 따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지역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미지요인을 ① 기업 활동 ② 고객 만족 활동 ③ 사회적 책임 활동 ④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선정하여 각 요인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가설 Ⅰ에 대한 검증결과 각 기업이미지요인 모두가 구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이미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커뮤니케이션활동, 서비스활동, 기업활동, 사회적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이미지가 성별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가설 Ⅱ에 대한 검증결과 성별에 따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남성보다 기업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요인별 영향력은 기업활동, 서비스활동, 사회적 책임활동,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남녀모두 고이미지 집단이 저이미지 집단에 비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제품구매 결정 시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남녀의 이미지에 대한 차이는 여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긴 하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기업의 커뮤니케이션활동은 기업의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쳐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이제 제품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던 사고에서 품질은 기본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품질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제품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단순히 자사의 제품에 대한 광고만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서는 것이 아닌 다차원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해야 할 것이 더욱 분명해졌다 할 것이며 기업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많은 요인들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rend of the communication market since 1990 is changing very rapidly. Especially, domestic communication seller's technology has grown to reach the equalization stage where there are only mere changes in between each corporations. In the very first phase of the market development, the technology was the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 consumer's buying pattern, but nowadays, each corporations' products, whose technology is hard to compare, emphasize more on the service rather than the technology. By emphasizing these services, they try to bring up the product image and to stress the corporate image which results in the security of the consumers in the over developed cellular phone market, where there is a strong competition. By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the research had objectives in trying to find the image factor that builds the corporate image and to see how these image factors affects the consumer's buying pattern concluding in guiding the corporations' marketing strategies theoretically. To meet these objectives of the research, pre-research was performed on the corporate image. From the result, image factors were chosen to be put into the actual research. Als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ffect of the corporate image on the buying pattern was examined closely. To perform a concrete research, hypothesis were proposed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by using the typical statistic pattern. Proposed hypothesis are the following. 1. Hypothesis1 is that the corporate image will affect positively in the consumer's buying pattern. 2. Hypothesis2 is that the different corporate image factor and sex will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buying pattern. To prove the hypothesis, a survey was performed amongst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data were managed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the statistic analysis softwares. The summary the research conclusio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corporate image factor were chosen as 1. corporate activity, 2. customer satisfaction activity,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4. communication activity and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1, to find out how each factors affect the buying patterns, each corporate image factors affected the buying patterns in a positive(+) ways. Also, each factors' relative importance came in the sequence of communication activity, service activity, corporate activity, social activ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2, which states that the corporate images will influence differently between different sex, the female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corporate images, leading to the buying patterns than males. Also, each factor's influence by the corporate activity, service activity,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communication activity had an equal influence to both males and females from the high image group than low image groups in buying patterns. From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 one could know that for the same images, when one has more awareness, it affects as a core factor in the product consuming and from the differentiation from different gender, females had a higher influence but it was mere to say that there were not a great difference. Especially, the corporate's communication activity affects the corporate image greatly resulting in the consumer selection. From this one could know that from the past, when the product's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t has changed to where the quality is the standard offer and other factors are needed to influence consumers to buy the corporate's product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not only the product's advertisement is needed to sell a product, but also, multi dimensional approach to the consumers is needed. When one company catches the exact factors affecting their corporate image, one could be successful in meeting their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