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 제작과정 기록화 방안

        송윤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 기록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한 편의 영화는 다수의 창작인력이 의도를 가지고 행한 활동의 결합체이다. 영화가 제작되는 동안 창작인력이 수행한 활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행위임과 동시에 창작인력의 개인적인 성취를 증명한다.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을 기록화 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하고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기록을 확인한 뒤 제작과정의 효과적인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필요하다. 첫 번째는 창작인력의 활동 증거 기록 측면으로 경력인증과 연관된다. 두 번째는 영화 아카이브 이용자의 정보 활용 측면으로 이용자는 제작과정 기록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영화를 심도 있게 이해한다. 세 번째는 영화교육의 자료 측면으로 영화 제작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은 미래 창작인력의 교육에 활용 가능하다. 기록화 대상의 선정을 위한 영화 제작과정 분석 범위는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기간 동안 연출, 미술, 제작, 촬영․조명 네 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이다. 업무분석은 각 부서에 소속된 창작인력의 직무를 정리하고 각 직무가 수행하는 활동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활동의 분석을 통해 각 부서가 단계마다 수행하는 행위를 확인하고 생산하는 기록을 파악하여 기록화 대상을 선택한다. 기록화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관으로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영상자료원을 선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검토한다. 그리고 기록화 전략으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영화 창작인력이 주체적으로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에 참여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의미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의 설립과 운영에는 창작인력과 기관의 두 참여주체가 모두 필요하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기록을 디지털 형태로 수집하고 이용자에게 디지털콘텐츠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을 제공하고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기록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부여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의 생산주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제도의 개선과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영화 제작과정 기록이 가진 가치에 대한 인식과 기록화에 대한 공감대의 확산을 통해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가 설립되어 창작인력 자신과 아카이브 이용자를 위한 공공의 영화유산 아카이브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rchiving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rchiving cinema production process. One movie i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a film crew has done intentionally.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film crew demonstrates their personal accomplishment as well as their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to find a effective archiving method, firstly, the reason that why cinema production process should be archived is emphasized. Secondly, to select the archival objects which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analyzed. Thirdly, as a new archival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three aspects. Archiving of the process can be the evidence of activity of film crews and associated with their career certification. Also the records from the process provide extended information to archive users which helps understand a movie in depth. In addition, the records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an be used to educate future film crew. In order to select the objects for archiving, the tasks performed by the four departments of cinema production during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period is reviewed first. The task analysis is based 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each job belonging to respective depart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the archival objects produced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is determined. The Korean Film Council(KOFIC) and the Korean Film Archive(KOFA) are selected as the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ving strategy. "Promotion of the Motion Pictures and Video Products Act" is reviewed for institutional support. Lastly,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as an archiving strategy. In this study, a participatory movie archive means an archive in which a film crew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requires both the role of the film crew and the institutions. The Archiving method of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should collect the records in digital form and provide them to users in the form of digital contents. The right to provide and access records in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must be as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cord. In order to induce film crews, who are the producers of the records, in the participatory cinema archives, it is necessary to proce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build a system that the records provided by staffs can be utilized as a portfolio.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and the spread of consensus on the archiving,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can be established and become a public cinema heritage archive for the film crew and archive users.

      • 중앙행정기관 소속 기록관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이지현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기록관의 평가제도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평가의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평가정책 관련 규정 및 평가 실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법령정보센터 및 정보공개청구를 통하여 42개 기관의 기록물 평가정책과 관련된 규정을 수집하고, 10개 기관의 평가계획 문서와 15개 기관의 평가심의 결과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앙행정기관의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회수율은 57.7%(26명)이었다. 설문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처리과와 기록물평가심의회 위원을 대상으로 추가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평가정책 관련 규정 및 평가 실시 현황은 첫째로 기록관에서 평가 업무와 관련된 내용이 문서를 통해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둘째로 기록관의 평가계획문서에는 공통적으로 평가 대상이 되는 기록물의 유형 ‧ 양, 평가 시기, 평가심의 절차 안내, 각 평가 단계별 처리 기간, 평가 업무의 법적 근거 등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짧은 기간 동안 평가의 전반적인 절차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심의 결과는 첫째, 평가심의회 심의 결과와 기록연구사의 심사 결과가 같은 경우가 6개 기관, 둘째, 각 절차의 기록물 평가 결과가 모두 다른 경우가 6개 기관, 셋째, 각 절차별 기록 평가 결과가 모두 같은 경우가 4개 기관이었다. 중앙행정기관의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평가정책, 평가 실시, 평가절차, 평가제도에 대한 의견으로 나누어 평가제도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체적으로 별도의 평가정책이나 평가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평가계획대로 실시를 하는데 있어 처리과와의 업무협조를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기관 자체의 평가기준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 많았지만, 기록물을 평가할 때는 모든 절차에서 기록관리기준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록연구사들이 평가 시 처리과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었고 기록물은 내용을 보고 평가하고 있었고, 심사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많은 양의 기록물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심의회 운영에 가장 어려운 점은 위원을 섭외하고 회의를 소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응답자는 현재의 평가심의 기록물 평가제도가 단위과제 기반의 기능평가를 보완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앙행정기관의 기록연구사는 첫째, 처리과의 의견조회 담당자가 기록 보존기간에 대하여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둘째, 처리과 의견조회 담당자가 모호하다는 점, 셋째, 모호한 기관의 자체적인 평가기준이 모호하다는 점, 넷째, 평가해야 할 기록의 양이 많다는 점, 다섯째, 평가심의회 위원을 섭외하기 어렵다는 점이 평가심의제로 운영의 문제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평가주체인 처리과‧기록연구사‧기록물평가심의회가 업무적 관점과 기록관리 관점을 종합하여 처리과의 의견조회, 기록연구사의 심의, 평가심의회에서의 심의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관의 평가세부기준을 수립해야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관마다 독립적인 평가정책 문서를 수립할 것과, 평가정책문서에 평가목적, 평가원칙, 평가기준, 평가절차, 각 절차의 업무담당자별 역할과 책임, 기록물평가심의회 운영, 평가결과반영, 평가업무 시 생사된 기록관리 요소가 명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문화재청 근대건축물 기록화와 비교를 중심으로

        최선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s a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our history's trail up to now and documentation is considered as an irreplaceable way to preserve our cultural heritages, since a documentation may be the last resort of preservation. Materials such as photos, measured drawings and reports collected for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can provide informations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to the public and research datas to researchers. Furthermore, in case of fire or other disasters, they may contribute to heritage preservation as repair and restoration references. The study analyzed the Historic American Buildings Survey on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On the basis of analysis, through comparison and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mplemen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ly,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legal system regarding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 Unlike USA where documentation is being implemented aggressively as a legal obligation, the documentation project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a conceptual project, largely, by necessity. Therefore, specifically detailed regulations of the legal system are supposed to carry out the implementation of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Secondly, it is suggested a general plan for a continuous documentation. It intends to maintain the document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 not as a disposable action and then to support it in connection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Local authorities, regional architectural offices, and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related departments of architecture and history in university. And giving attentions to other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 unregistered as cultural heritages, yet, a flexible documentation will be applied to, that is, documentation is supposed to be varied, depending on relative significance of buildings as a heritage. And in conclusion, by setting up collection, an information service needs to be provided for the public. it is required to provide a specific information about changes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uninterrupted and progressive documen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 for search tool development and photos & measured drawings-related information. 근대건축물은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유산이다. 이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화를 들 수 있다. 기록은 보존의 마지막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근대건축물 기록화로 생산 된 사진, 실측도면, 보고서 등은 일반 대중에게 근대건축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화재나 다른 재난에 대비해서 문화재 수리, 복원 자료 등으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의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 중 역사적 건축물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문화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대건축물 기록화와 비교를 통해 세 가지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근대건축물 기록화를 위한 법 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강력하게 시행되고 있는 미국과 달리 문화재청의 근대건축물 기록화 사업은 필요성에 의한 의미적 사업이라는 측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대건축물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시행 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지속적인 기록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화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근대건축물의 외·내부 변경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기록화를 위해서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 지역건축사무소, 대학에서 근대건축물과 관련 된 역사학과, 건축학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기록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재로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근대건축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중요도에 따라 생산 되는 기록이 달라질 수 있는 기록화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컬렉션 구축을 통해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검색도구의 개발, 사진·실측도면의 맥락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의 개발, 그리고 지속적인 기록화를 통해 문화재의 변경사항에 대한 올바른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 도시재생기반 도시기록화 사례 연구 : -목포 목원동을 대상으로-

        오진영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인 목포시 목원동의 과거와 현재의 도시의 공간, 행위, 기억들을 기반으로 뉴목원동의 가치창출을 위한 기록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역사적 고찰과 목원동의 도시재생 현장을 답사하여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원동 도시재생 현황이다. 목원동의 도시재생계획 목표는 “역사·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활성화로 목포의 원도심 목원동의 활력 증진”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전략으로 역사문화·관광 활성화, 상권 활성화,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이 중 상권활성화의 경우 목원 음식문화축제, 야시장 운영, 크리스마스트리축제 지원, 프리마켓 운영 지원사업이 운영 중이며 중앙식료시장 특화장터는 2017년 7월 조성 예정이다. 둘째, 도시재생 선도지역(2014년)으로 도시재생을 진행 중인 목포시 목원동을 사례로 기록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변화가 진행 중인 목원동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기타조사(도시재생전략 선호도 조사 등)를 실시하여 기록을 수집 및 생산하였다. 수집된 기록물은 문헌조사 결과 단행본(52), 학위논문 및 학술지(30), 신문기사(1801), 지역 소식지(65), 건축물대장 및 토지이용계획(21), 관보 및 시보(24), 영상기록(53), 사진기록(104) 등이다. 현장조사에서는 지역민의 심층 인터뷰,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연령대별(20/30·40/50/60/70대이상)로 각 2명씩 총 10명에 대해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크게 목원동 관련, 도시재생에 관한 견해(전략별 견해 포함)로 구성하였다. 응답자 대부분이 목원동 정착당시와 현재와의 비교에서 인구변화, 즉 인구감소를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그 원인을 신도심 조성이라고 증언하였다. 또한 응답자 대부분이 도시재생 추진에 대해 회의적으로 응답하여 도시재생이 지역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도시재생이 추진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사진 기록물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역(북교동 133, 137-5번지, 중앙식료시장 일원, 오거리 및 차없는거리, 만인계터 일원)에 대한 것으로 해당 장소(공간)가 갖는 가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도시재생전략과 사업에 대한 선호조사는 2016년 6월 2일부터 6월 3일까지 로데오광장, 목포역 등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민들은 상권활성화를 목원동 도시재생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전략으로 우선시하였다. 셋째, 수집 및 생산된 기록을 바탕으로 도시재생기반 목포시 목원동 기록의 활용 방안이다. 1)목포시 목원동 정책 수립이다. 즉 도시재생 계획과 도시관광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수집 및 생산된 기록은 도시재생 계획 측면에서 도시재생 전반에 대한 기록을 통해 도시재생을 모니터링하고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도시재생의 목표의 효율성을 높인다. 도시관광 정책면에서는 장소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생성함으로써 장소마케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관광정책으로 연계할 수 있다. 2)지역 정체성 강화이다. 이를 위해 목포시 목원동의 ‘도로명을 통해 배우는 지역사’를 제안하였다. 도시의 변화를 기록하는 도시재생기반 도시기록은 그 자체가 지역의 역사를 만드는 일부분으로써 스스로 정체성을 강화시켜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3)목포시 목원동 아카이브 구축이다. 기록화 대상지 선정, 기록화 구성요소 및 범위 선정, 기록의 수집 및 생산, 기록의 활용의 단계를 통해 목원동 아카이브를 구축한다.

      • 중국 도시건설 기록관리에 대한 연구

        유병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 건축물을 건설하면 중 수많은 기록물이 나온다. 이런 기록물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수량도 많다. 이런 기록물군은 장시간동안 수많은 영역에서 생산되었으며 무질서한 상태로 모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내용이 매우 전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선 이를 전문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할 기록관이 따로 필요하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부터 국가 기록물 수집과 관리에 매우 힘써왔다. 국민당 정권이 국공내전에서 패하고, 대륙에 남겨놓고 간 국민당 정권의 정부기록부터 시작하여 근대 이전의 왕조시대의 역사기록까지 모두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를 위한 법규나 조례를 제정하고, 체계적으로 그 관리 제도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이런 역사 기록물뿐만 아니라 일반 기록물과 전문 기록물의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하였는데, 전문 기록물은 일반 기록물(綜合檔案)과는 별개로 과학, 예술, 건축등 전문분야의 활동 중 생산되는 기록물을 ‘전문 기록물(專業檔案)’이라 구분하고, 종합 기록물과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도시건설기록은 전문 기록물의 한 분야이며, 전문 기록물 중 가장 잘 관리 되어 있고, 중국의 전문기록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기록 관리 분야이기도 하다. 도시건설은 도시의 지하철이나 교량, 고가도로, 각종 케이블 및 배수관 매설 등 도시의 전 구역과 관련된 사업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여러 기관과 단체와 기업에서 참여하여 진행되는 대형 도시 개발 사업을 지칭하는데, 이와 관련된 도시건설 기록 물은 기록 관리주체를 지정하기 힘들어 기록물이 흩어지기 쉽고, 규격이나 형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가 힘들다. 이런 부분을 인식한 중국의 지도부는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도시건설기록물관리에 힘 써왔다. 도시건설 기록은 중국의 도시 근대화 정책과 맞물려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대형 도시, 중형도시, 소형 도시 및 농촌 순으로 점진적으로 그 관리 제도를 체계화 시켰다. 특히 덩샤오핑이 개혁개방노선을 채택한 이후 중국의 도시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가고 있으며, 여러 회사와 기관들이 참여하는 대형 도시개발사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시건설기록물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중국의 도시 건설기록 관리의 큰 추세를 두 가지로 압축하여 말 할 수 있는데, 기록물의 전자화와 이용자 제공 서비스가 바로 그것이다. 기록의 전자화를 통해 여러 기관과 기업에서 생산되는 각종 서류나 도면, 시청각 기록물을 하나의 기록관리시스템에 등록하여 예전보다 훨씬 더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이 사용하기 쉽게 제공하며, 도시의 유명 건축물의 기록 컨텐츠를 개발하여 관광자원 개발에도 일조를 하는 등 공공기관과 기업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부분까지도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런 중국의 도시건설기록관리 체계는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많다. 도시건설기록관은 고사하고, 이제 서야 공공기관 기록관리 체계의 초석을 다지기 시작한 우리나라가 단번에 중국처럼 대규모 도시건설 기록관리 체계를 완성할 수 없다. 하지만 그들이 지금의 관리 체계를 완성하기 까지 어떤 과정과 역경이 있었으며 어떻게 이를 이겨내 지금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지금 당장이라도 우리들에게 적용 가능하고, 이행해야 하는 것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우리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연구해 봐야 할 것이다. When a building is constructed, tremendous archives are produced from it. Such kind of archives are formed in various formats, and the number of archives are enormous. They have been produced in many fields for a long time and most archives are collected in chaotic conditions. Besides, as such kind of archives deal with very professional themes, so the archive manager to professionally arrange and manage such archives is needed. Since its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many efforts in collecting and managing the national archives. Starting to collect the Chinese Nationalist regime's governmental records which left in the main continent after being defeated from the Chinese Civil War, the Chinese government collected and arranged the historic archives of past several dynasties before modern times, and set relevant laws, regulations and ordinances and systematically completed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many efforts in managing general, professional archives as well as such historic archives. The government separated the professional archives produced/being produced in professional fields like science, arts and architecture from general archives, and set the principal that such professional archives should be separated and managed from the comprehensive archives.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 as one of such professional archive fields is the most well managed among the all professional archives and is the archive management fiel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rofessional archives the most well. Urban construction is the term referring large urban development projects which embrace the all kinds of construction projects across a city's all district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subways, bridges, overpasses, various cables and drains which are developed by several participants like several governmental institutions, groups and companies. The relevant urban construction archives are hard to designate the archives management subject, so the archives are easy to be scattered and hard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ir standards and formats. Chinese government recognizing these problems, have continually taken efforts in managing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since 1950s. Interlocking with Chinese urban modernization policy, the importance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was substantially emerged, and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were gradually systematized from large cities, medium cities to small cities and finally rural regions in order. Especially, since Deng Xiaoping applied the reformation & open-door line, Chinese cities have been advanced day by day, and the number of large urban development products participating several companies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is being increased. In such situation, the importance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s gradually being increased. Recent trends of Chines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management can be largely abbreviated into the both trends: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and the archives provision services to users. Through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Chinese government register various archives including all kinds of documents and audio-visual materials drawings produced in several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to one archive management system, so that it manages them more conveniently and systematically than before. Further, based on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Chinese government provides such information to general users as well as the professionals so that the users can easily use them, and the government develops some famous buildings' archive contents, leading to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tourism resources. Like that,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expands its influence scope into the cultural fields as well as i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Chinese government's such efforts for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system gives a lot of implications to us. Let alone delegating urban construction archives officers, Korea is starting to fortify its found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rchives management system at last, so we can't complete larg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management system like Chinese' system on the first try. However we will review and study what process and difficulties Chinese government had faced and overcome until it completed its current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what things we can apply and execute for managing our urban construction archives right now and finally what directions we should go toward in future.

      •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통한 대학의 설립자 기록물 수집 방안 : A대학을 중심으로

        한희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comprehend the specialty of university records and find a means to collect the records can be represent the university founder’s educational philosophy through documentation strategy. The documentation strategy is defined as a methodology for appraisal and selection of carefull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special region, topic, and case. Furthermore, the key of the strategy is identified as a multi-institutional approach for collaboration, which includes all the processes of developing the region of documentation, analyzing existential records, and executing a plan to adequate documentation. An idealistic plan of documentation with historical records in universities is to obtain archives and to hire an archivist. However, it is just ideal, not realistic because most of loc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as neither human resource nor material support for archives in the institutions. Thus, those universities can elaborate their strategy to archive several key records among their historical resources by selecting the volume and range of documentation after minimizing genre and target people. Then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resources for the documentation could be increased. At this point, the researcher suggests developing a documentation strategy on university founder’s historical records. The documentation strategy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exhibit the university records and then inspire the community members of the university to recognize its foundational belief and educational philosophy. Also, it would be able to resonate in broader social understanding about the university.

      • 행정사 편찬과 행정역사기록 수집 체계화 방안 연구 :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임기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our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each of government institutes has always succeeded administrative practices of the past when they need to go through consolidation or segregation. Over time, such change happened in a way that emphasizes administrative business rather than government institute. In the context, the need for record management rose to surface, causing the government to shift record management focus away from securing business support and evidential value to justifying their administrative activity. By establishing identity and transparency in administrative activity, the government intends to secure confidence from the society. Now that record management system, recently introduced,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large numbers of archives passed down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still pile up, which are hard to use unless they are kept under management. In case of public records already kept under record management, they are still considered hard to maintain record value due to insufficient evidential value. In this respect, the public records as well have some limitation in availability. That is why the study aims to make up for insufficiency of public records’ evidential value by developing ways to systematize compilation of administration history, assorting and managing important ones among public archives not in order and collecting other archives than the ones produced by government institutes. I hope that the study can raise awareness about importance of administration archive management by highlighting the need for compilation of administration history, resulting in establishing identity and creating new values added. 우리나라는 정부 수립 후 각 기관이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각기 공통된 행정업무 이외 기관의 특수성을 지닌 행정업무를 계승, 유지해 왔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기관 중심이 아닌 행정업무 중심으로 기관이 재편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흐름속에 우리나라에서 기록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그동안 업무적 활용과 증거적 가치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물을 보존 관리하던 것이 정부나 다른 단체 또는 기관에서 자신들의 행정활동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기록을 활용하여 정체성 확립과 행정활동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여 사회적 신뢰성을 얻고자 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기록 관리 제도가 체계적으로 도입되고 정착이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록 관리 제도가 정착되기 이전에 기관이 생산한 많은 양의 기록물이 산재되어 있으며, 정리가 되지 않고서는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기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기록물에 대해서도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내용적 불충분성을 지니고 있어 이 또한 활용에 어느 정도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행정 사 편찬을 위한 행정역사기록의 수집 체계화 방안을 통해 기록 관리 제도의 도입 이전에 생산된 정리되지 않은 공공기록물 중 중요기록의 선별과 관리, 기관에서 생산한 공공기록물 이외 다른 기록물의 수집을 통해 기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기록물의 내용적 불충분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에서도 기관의 정체성 확립 등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행정 사 편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행정역사기록에 대한 관심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 종이기록물 상태평가에 대한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변현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this study are most of paper record that is possessing in each organ present buddhist priest by blazing fire and other cause as acidic paper knew that is in crisis that is damaged greatly in long-term side. Because state estimation of document utilizes actively conservation administration policy-making and enforcement after systematize bulky paper record that is been confronted with crisis constructing basis data on the scientific basis document middle could preserve and got following conclusion about the plan for long-term. First, conservation government official about records in recording administration professional institution has to be decision of basis policy and virtue of system establishment about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paper record. Second, blazing fire or laws of nature of damaged records diagnose chemical phenomenon as is minute and construct D/B data by this and environment change of library which is preserving documental must do periodic investigation and administration. Third, middle of state estimation must do records as well as long-term plan so that right recording culture can be threaded establishing systematic plan of conservation. Fourth, records administration professional institution's spur and state assessment of visual, judgment has to propel specialist bringing into the open for unify standard creation about necessary sample or feeler enemy.

      • 대학의 전자기록물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정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국․공립 대학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ERMS)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적합한 전자기록물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검색기반 환경을 조성함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의 전자기록물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을 자체 구현하여 그 성능을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평가 실험 환경으로 국립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설치․운영중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은 OntoStudio 1.4를 사용하여 자체 설계 및 구현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테스트 컬렉션으로는, 도큐먼트(Documents)는 해당대학의 2005년도 전자문서관리시스템(RDMS)에서 생산한 전자기록물 중 ‘인사발령통보’ 전자기록물철에 등록된 도큐먼트 5,099건이고, 질의집단(Topics)은 20개 문항의 단문과 장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적합성 평가(Relevant Assessments)는 전문가 집단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평가 실험은 해당 대학에 재직 중인 10명이 참가하여 ‘INEX 2006’에서 제공한 실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고,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평가 실험은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에서 피실험자가 사용했던 여러 개의 키워드 가운데 전문가 집단이 추천한 키워드로 연구자에 의하여 실험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설계 구현한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재현율(R)과 정확률(P)을 사용하였고, 기존의 키워드 기반의 검색시스템과 비교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평균 재현율(R)을 비교해 본 결과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은 0.54 이며,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은 0.99 로 나타나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평균 정확률(P)을 비교해 본 결과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은 0.21 이며,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은 0.83 으로 나타나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문 질의집단의 경우, 평균 재현율(R)을 비교해 본 결과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 평균 재현율(R) 1.0 이고,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의 평균 재현율(R) 0.66 으로 나타나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문 질의집단의 경우, 평균 정확률(P)을 비교해 본 결과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 평균 정확률(P) 0.30 이고,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 평균 정확률(P) 0.95 으로 나타나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경우, 단문 질의집단의 평균 재현율(R)은 1.00 이고, 장문 질의집단의 평균 재현율(R)은 1.00 으로 나타나 장문․단문 질의에서 모두 출력할 수 있었고, 온톨리지 기반 검색시스템에서 결락하는 도큐먼트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시스템의 경우, 단문 질의집단의 평균 정확률(P)은 0.96 이고, 장문 질의집단의 평균 정확률(P)은 0.95 으로 나타나 단문 질의에서 그 성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학의 전자기록물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도입에 대하여 적극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공공기관의 디지털 아카이브즈 콘텐츠 구축 시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 적용에 대한 정당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