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 역량의 관계

        박정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와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는 2017년 9월 4일부터 2017년 9월 20일까지 B시와 D시, S시의 4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편입생을 제외한 간호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최종 249부는 IBM SPSS Statistics 20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85점, 3.51점으로 나타났으며,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7점 만점에 평균 4.57점으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은 학년, 전공만족도, 통계수업 이수여부와 연구논문 작성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학년, 전공만족도, 통계수업 이수여부와 연구논문 작성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학년, 성별, 전공만족도, 통계수업 이수여부와 연구논문 작성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정보활용능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관련된 요인은 간호과정 수행능력, 정보활용능력, 통계수업 이수여부와 연구논문 작성경험이었으며, 이들 요인은 51.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간호과정 수행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정보활용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논문작성경험이 있으며 통계수업을 이수하였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실무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정보활용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0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September 4th to 20th, 2017 by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 : As a result of this study,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information literacy(r=.580 p<.001)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r=.664, p<.001).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ere nursing process competency(β=.38), information literacy(β=.22), completed statistical course(β=.18) and research experience(β=.10). Those factors explained 51.0%. Conclusion :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as related to information literac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Therefore, to increase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 체계화 및 지도 방안 연구

        이선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ze content factors for developing the basis, creating ability and to find the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factors' level of difficulty. Most of the students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writing and speaking based on the basis, and they can not study and present in various ways when they have to present the basis. Teachers are teaching students in the fields about the basis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rmal educational process of teaching for all graders, but most of the books, including textbooks, only suggest finding and thinking the suitable basis for the argument. Many students have trouble creating basis, and there is even no one who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of creating basis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So, we have needs of 'What are we going to teach? How are we going to teach?' related to creating basis, not just carelessly finding the basis related to the argument. In other words, we need to give lessons with specific and systematic idea and methods when we teach, but the reality about teaching creating basis is different. In this study, I organize the meaning of basis as 'the reason, detailed in various content facto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an argument' through a study of a factor-related concept which is being used in chaos nowadays. And for the creation of basis, I made it clear that we need to show the direction of an argument through the restatement of the opinion, not the suggestion of the argument. For the various basis creations, I made content factors to 'related factor', 'related object', 'applied range', and subdivide these to 'direct-indirect-related factor',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 and 'internal-external-related range in each and group'. The 'direct-related factor' which is subordinate to 'related factor' is the subject of an act, and 'indirect-related factor' means the object. A careful look at the 'related factor' in various ways affects the creation of basis. About 'related object', I studied 'intern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meaning, purpose, kind and function of the restatement argument, and also 'external characteristic' which is looking for the relation of the outside facts of the arguments based on inclusion, synonym, and antonym. Lastly, 'applied range' means the effectible area for each individual and group. This is divided into 'individual' and 'group' depending on the sizes, and these can be subdivided into 'internal related range' and 'external related range'. The subdivis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ange is not fixed, but commonly, cognitive, affective and emotional area are in 'internal related rage' and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rea are in 'external related range'. The content factors of creating basis can be ordered by internal level of difficulty in each factor and the level of difficulty through combination of some factors. Though there are many ways of combination, I prepared the order 'related factor', 'applied range' and 'related object' based on the process of thinking and effectiveness of study. This order will a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creating various bases'.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students' creating basis ability by creating a systematized basis and utilizing it as a teaching method. The lesson through context factors in basis creation will be a solution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to create the basis and this will also increase efficiency of study not as a disposable but as a continues method. 본 연구는 근거 생성 능력 향상을 위하여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를 체계화하고 요소의 난도에 따라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근거에 대한 인식 부족, 제시한 근거 표현 방식의 편향, 근거 수의 부족으로 학습자들은 근거를 제시하는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근거와 관련된 내용을 여러 학년에 걸쳐 지도하고 있지만, 목표와 지도 내용 사이의 위계가 없고 교재 내용에 근거 생성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근거 생성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부재는 결국 주장하는 글쓰기를 어렵게 하고 글의 평가에 대한 적절성을 의심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현상적으로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근거와 관련된 개념들의 검토를 통해 기존 근거 개념의 포괄적 진술에 보충하여 ‘근거란 주장이 놓인 상황·맥락과 관련하여 화제를 내용 요소로 세분하여 나타낸 것’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글쓰기 과정과 근거 생성 과정의 비교를 통해 근거 생성의 위치를 확인하고 근거 생성을 위해서는 주장이 지닌 방향성을 제거한 주장의 재진술이 필요함을 밝혔다. 근거를 다양하게 생성하기 위한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를 ‘관련자’와 ‘관련 대상’, ‘적용 범위’로 추출하였고, 이것의 하위 요소로 ‘직·간접 관련자’와 ‘내·외적 특성’ 그리고 ‘개인과 집단의 내·외적 관련 영역’으로 세분하였다. ‘관련자’의 하위 요소인 ‘직접 관련자’는 행위의 주체이고, ‘간접 관련자’는 행위의 객체를 뜻하는 것으로 재진술한 주장과 연관하여 ‘관련자’를 다양하게 살펴보는 것은 근거 생성에 효과를 높인다. ‘관련 대상’은 재진술한 주장의 대상을 ‘내적 특성’인 의미, 목적, 종류, 기능 등으로 살펴보고, 포함, 유의, 반의 관계에 기초한 외부와의 관련성인 ‘외적 특성’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적용 범위’는 개인과 집단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인데, 이는 집단의 크기에 따라 ‘개인’과 ‘집단’으로 나뉘고, 다시 ‘내적 관련 영역’과 ‘외적 관련 영역’으로 세분된다. 이때 ‘내·외적 관련 영역’의 하위 요소는 고정적이지는 않지만 ‘내적 관련 영역’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외적 관련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등과 같은 범주로 나누어진다.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는 각 요소의 내적 난도와 요소들의 결합을 통한 난도에 따라 위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조합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내용 요소 조합의 교육적 난도는 ‘관계’와 ‘요소 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관련자’와 ‘적용 범위’를 먼저 가르치고 ‘관련 대상의 내적 특성’과 ‘관련 대상의 외적 특성’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지도한다고 밝혔다. 본고는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를 체계화하여 학습자의 근거 생성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근거 생성의 내용 요소를 통한 지도는 근거 생성의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고민을 해소해 줄 것이며, 이는 하나의 주장과의 일회적 연결이 아닌 사고의 도구로 작용하여 학습의 효율성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근거 생성에 초점화한 연구로 생성된 근거의 선택과 배열 및 적절성은 논의하지 않는다. 근거 생성 결과의 활용은 또 다른 판단 기준이 필요하므로 추후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간호사를 위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및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 개발

        이민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중심정맥관 삽입환자의 간호를 위하여 기존의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수용·개작하는 과정으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로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통하여 중심정맥관관리의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기존의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여 검색한 가이드라인의 질 평가를 수행하고 질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가이드라인을 선택하였다. 3단계로 도출된 핵심요인에 따라 권고안을 선택하여 프로토콜의 초안을 구성한 후 4단계로 개발된 프로토콜 초안의 전문가 집단 타당도 검증을 설문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5단계로 전문가 집단 타당도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한 뒤, 6단계로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을 제작하고 전문가 집단에서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은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이다. 1.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통해 도출된 중심정맥관관리의 핵심요인은 중심정맥관의 삽입, 유지, 제거, 기타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2. 국내외의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 및 가이드라인 포털 사이트에서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였고 검색된 8개의 가이드라인 중 7개를 1차 선택하였다. 1차 선택한 가이드라인은 K-AGREE II를 사용하여 질 평가를 시행한 뒤 7개의 가이드라인을 최종 선택하였다. 최종 선택된 가이드라인의 중심정맥관관리 핵심요인과 면담에서 도출된 핵심요인을 비교하여 부족한 요인을 보완하였다. 3. 보완된 핵심요인과 최종 선택된 가이드라인을 종합 및 분석하여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초안은 중심정맥관의 삽입영역 8문항, 유지영역 25문항, 제거영역 7문항, 기타영역 2문항으로 총 4개 영역, 20개 핵심요인,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4.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초안의 전문가 집단 내용 타당도는 평균 0.97로 나타났으며 각 항목별 CVI 값은 삽입영역 1.0, 유지영역 0.95, 제거영역 1.0, 기타영역 1.0으로 나타났다. 5.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를 반영하여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총 4개 영역, 20개 핵심요인,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6.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반영한 동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였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은 약 25분으로 제작되었다. 7. 제작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간호사 대상의 전문가 집단에서 검증하였다. 간호사들은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이 접근성이 편리하며, 프로토콜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었고 임상에서 중심정맥관관리에 대한 학습에 유익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지식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간호사를 위하여 최신 근거에 기반한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했을 뿐 아니라 임상 간호사의 교육에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을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및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아진다면 중심정맥관관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지식과 수행도를 향상하여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 및 환자안전사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vidence-based central venous catheter(CVC) management protocol by accepting and modifying existing CVC guidelines, and produce a training video based on the developed protocol for nurses.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In step 1, we drove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thorough out the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who were medical doctors or nurses. In step 2, we searched for existing CVC guidelines on major database web sites and guideline portal sites. Next, we evaluated the quality of existing CVC guidelines and selected the most suitable guidelines following K-AGREEⅡ for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protocol. Finally, seven guidelines were selected. In step 3, according to the driven key factors in step 1, we composed draft protocol. Then, a validation of the draft protocol were performed in step 4. A group of experts validated the draft by a survey. In step 5, the final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ere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from step 4. In step 6, the last, we produced a training video based on the developed protocol for nurses and performed user validation through a group of exper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ollowed. 1.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driven through group interviews of experts was consisted of four domains: insertion, maintenance, removal, and others. 2. CVC guidelines were searched on major database web sites and guideline portal sites. We found 8 guielines, and used K-AGREE II to evaluate the quality. As a result, we selected 7 guidelines that were suitable. We modified the selected guidelines by comparing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that were driven from the group interview. 3. The draft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consisted of 4 domains, 20 key factors, and 42 items. 4.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by the experts of the draft protocol showed an average of 0.97. The average of each items were followed: CVI values insertion 1.0, maintenance 0.95, removal 1.0, and other 1.0. 5. The final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The final protocol consisted of 4 domains, 20 key factors, and 41 items. 6. We produced a training video reflecting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for nurses. The video’s running time was approximately 25 minutes. 7. The validity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training video was verified by a group of experts of nurses. Overall,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training video was beneficial, there was no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protocol, and it was convenient to learn the protocol.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in developing a CVC management protocol based on evidence for nurses who are difficult in acquiring proper CVC protocol, but also in developing a training video program that is convenient and efficient to use. We expect that if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and the developed training video are increased, nurses’s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CVC management will be increased as well, as such, it will contribute to reducing central line-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CLABSI) and patient safety incident. We propose a follow-up study to continuously apply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video program and check its effectiveness.

      • 임상간호사의 근거중심간호의 접근성과 활용성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박효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cessability, usefullness and factor of barriers of clinical nurses toward accessible evidence including evidence generated from on research. This is descriptive study to present baseline data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establishing Evidence Based Nursing(EBN) in the clinical nursing practice. Nurses working at 3 teaching hospitals in Daegu and a teaching hospital in Busan in Korea were sampled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275 nurses from September 1, 2005 to October 12, 2005.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the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 nursing faculty about clinical nurses' accessability and usefullness of EBN and the barner tool was revised using the scale of barrier developed by Thompson at al.(200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Window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average of nurses' accessibility to EBN was 2.69 point(±0.56) out of 5 point. To see the accessibility by each sub category, the accessibility to human resources was 2.94 point(±0.55), to paper document resources was 2.69 point(±0.55), and to electronic document resources was the lowest 2.42 point(±0.83). Second, the average of nurses' usefullness of EBN was 2.56 point(±0.56) out of 5 point. Usability of human resources was the highest 3.00 point(±0.65). Paper document resources and electronic document resourses were 2.77 point(±0.66) and the lowest 2.59 point(±0.77) respectivery Third, The average of barriers to EBN was 3.76 point(±0.63) out of 6 point. Nurses felt medium level of barriers to EBN. As for the barrier Scores by each sub category, the organization factor was the highest 3.94 point(±0.64), the communication factor was 3.80 point(±0.71), the research factor was 3.64 point(±0.67) and the nurse factor was 3.23 point(±0.75). Highly recognized barrier were the shortage of time, too much complicated and sophiscated research evidence, and difficulty of statistics. Lastly, as for the accessibility, usefullness to EBN according to nurses, nurses with higher position and older age longer experiences acctive involvement in and charactristics. EBN activity, showed a high accessibility and usefullness to EBN and low recognition of the barrier.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nurses felt medium level of accessibility, usefullness and barrier to EBN. Therefore, to promote accessibility and usefullness to EBN and to decrease the barrier it sh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atmosphere of organization that encourage nurses to involve in academic activity and evidence based nurs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method to introduce and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for facilitating EBN in the actural clinical settings. 본 연구는 연구를 바탕으로 생성된 근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근거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접근성, 활용성 및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근거중심간호의 정착을 위한 전략수집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광역시의 대학부속병원 3곳과 부산광역시의 대학부속병원 1곳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75명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1일부터 2005년 10월 12일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와 간호학 교수 1인이 개발한 임상간호현장에서 근거중심간호에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대한 도구와 Thompson 등(2004)이 개발한 장애척도를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SPSS Window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근거중심간호의 접근성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69점(±0.56)이며 각 하부요인별 접근성을 보면 인적자원의 접근성이 2.94점(±0.55), 종이문서자원의 2.69점(±0.55), 전자문서자원 2.42점(±0.83)의 순으로 전자문서자원에서 접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근거중심간호의 활용성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56점(±0.56)이며 인적자원의 활용성이 3.00점(±0.65)으로 가장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이문서자원의 2.77점(±0.66), 전자문서자원 2.59점(±0.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거중심간호의 접근과 활용에 대한 장애의 총 평균은 6점 만점에 3.76점(±0.63)으로, 전반적으로 중정도 이상의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부요인별 장애요인은 조직체요인이 3.94점(±0.64)으로 가장 높았으며 의사소통요인은 3.80점(±0.71), 연구요인 3.64점(±0.67), 간호사요인 3.23점(±0.75)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근거의 접근성과 활용성은 연령과 직위가 높고, 경력이 많으며 학술활동 관련 활동과 근거중심간호 관련 활동을 하는 간호사들이 근거중심간호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았으며 근거중심간호의 접근과 활용의 장애를 낮게 지각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간호사들의 근거중심간호의 접근도와 활용도는 중정도였으며 근거중심간호의 접근 및 활용의 장애는 중정도이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거중심간호의 접근과 활용을 촉진시키고 장애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학술 관련 활동을 장려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연구를 분석하는 방법과 근거에 대한 비판능력이 향상시키고 연구근거 접근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근거중심간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근거중심간호의 실무 도입 및 정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개발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칸트의 「형이상학적 인식의 제일원리들에 관한 새로운 해명」에서 근거와 자유 문제

        오창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논문은 칸트(I. Kant)의 전비판기 저술 &#65378;형이상학적 인식의 제일원리들에 관한 새로운 해명&#65379;(Principiorum primorum cognitionis metaphysicae nova dilucidatio) (1755)에서 다루어지는 근거와 자유의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칸트의 첫 번째 순수 철학적 저술인 &#65378;새로운 해명&#65379;은 오늘날의 교수자격논문(Habilitationsschrift)에 해당하는 칸트의 두 번째 라틴어 저술로 여기서 그는 다섯 원리―동일률, 모순율, 규정근거율, 연속의 원리, 공존의 원리―를 형이상학의 제일원리로 제시하고 그것의 보편성을 논증한다. Ⅰ. 이 글에서는 이 다섯 원리들 가운데 규정근거율만이 다루어진다. 우리는 그 중에서도 이 저술의 2장의 <정리 9>에서의 근거율과 의지자유의 조화 문제를 분석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할 것이다. 하지만 &#65378;새로운 해명&#65379;이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18세기 독일 강단철학을 배경으로 작성된 저술인 만큼, 먼저 볼프(Chr. Wolff)와 크루지우스(Chr. Aug. Crusius)의 대립으로 특징지어지는 당대의 철학적 상황을 살펴볼 것이다. Ⅱ. 18세기 독일 강단철학에서 모순율과 충분근거율은 라이프니츠-볼프학파 철학자들에 의해 형이상학의 제일원리로 천명되었다. 그런데 모순율이 당대의 거의 모든 철학자들에게 인정받았던 것과는 달리 “어떤 것도 충분한 근거 없이 존재하지 않는다”로 정식화되는 충분근거율에는 제일원리 자격에 관한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Ⅲ. 당대 대표적인 의지주의 철학자 크루지우스는 근거로부터 독립적인 의지의 ‘무차별성의 자유’를 옹호하며, 근거가 의지의 자유와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그는 근거율의 옹호가 결국 인간 존재에 대한 결정론적 입장을 지지하는 것이라며 근거율의 절대-보편적인 토대를 뒤흔든다. Ⅳ. 칸트는 당대 독일에서 형이상학적 세계관의 충돌로 나타났던 볼프의 근거율과 크루지우스의 자유의지론 사이의 역사적인 의견 대립으로부터 &#65378;새로운 해명&#65379;의 문제의식을 길어 올렸는데, 이 철학적 논쟁을 배경으로 그는 크루지우스의 비판에 의해 부각된 근거율의 난점, 즉 근거와 자유의 대립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여기서 근거와 자유의 첨예한 대립은 ‘무차별성의 자유’(libertas indifferentiae)와 ‘자발성의 자유’(libertas spontaneitatis)의 이율배반으로 변주된다. 크루지우스는 모든 종류의 근거로부터 독립적인 의지의 상태, 즉 의지의 무차별성을 자유로 이해하는 반면, 칸트는 내적 근거로부터의 자기규정을 자유로 파악한다. 우리는 청년 칸트의 논의를 뒤따라 근거와 자유의 관계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유한한 인간의 자유가 봉착하게 되는 형이상학적 난관의 심연과 마주하게 될 것이다. In dieser Abhandlung handelt es sich um das Problem von Grund und Freiheit in der Principiorum primorum cognitionis metaphysicae nova dilucidatio(Neue Erhellung der ersten Grunds&auml;tze metaphysischer Erkenntnis)(1755) Kants. Die Nova Dilucidatio, die zweite lateinische Schrift und zugleich die Habilitationsschrift Kants, ist seine erstere rein philosophische Schrift. In dieser Schrift hat er die f&uuml;nf Grunds&auml;tze(den Satz des Identit&auml;t, den des Widerspruchs, den des bestimmenden Grundes, den der Aufeinanderfolge und den Satz des Zugleichseins) als die ersten Grunds&auml;tze der Metaphysik vorgezeigt und ihre Allgemeing&uuml;ltigkeit beweist. Ⅰ. Hier wird aber nur der Satz des bestimmenden Grundes unter den f&uuml;nf Grunds&auml;tzen behandelt. Die Nova Dilucidatio wurde aus dem Horizont der deutschen Schulphilosophie im 18. Jahrhundert geschrieben. Diese Epoche ist besonders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zwischen wolffischen Metaphysik und die Kritik gegen diesen von Chr. Aug. Crusius zu charakterisieren. Ⅱ. Es ist bekannt daß die zwei Grunds&auml;tze, der Satz des Widerspruchs und der Satz des bestimmenden Grundes, von leibniz-wolffische Schule zu den ersten Prinzipien der Metaphysik erhoben wurden. W&auml;hrend der Satz des Widerspruchs aber von den zeitgen&ouml;ssischen Philosophen allgemein anerkannt wurde, erregte der Satz des bestimmenden Grundes heiße Debatte unter den Philosophen. Ⅲ. Die wichtigste Gegenargumentation &uuml;ber den Satz des Grundes, die Crusius, ein bekannter Voluntarist und zugleich ein Verteidiger der Willensfreiheit, machte, lautet, daß der Satz des Grundes nur zum strengen Determinismus f&uuml;hren muss und auch keine absolute-universale Geltung behaupten kann. Ⅳ. In Nova Dilucidatio versucht Kant, das Problem zu l&ouml;sen, das durch die crusianische Kritik am Satz des Grundes Wolffs gestellt wurde. In seiner Schrift transformierte Kant die radikale Auseinandersetzung zwischen Grund und Freiheit zur zwischen &raquo;Freiheit der Gleichg&uuml;ltigkeit&laquo;(libertas indifferentiae) und &raquo;Freiheit der Spontaneit&auml;t&laquo;(libertas spontaneitatis). W&auml;hrend Crusius die grundlose Gleichg&uuml;ltigkeit des Willens als Freiheit verstand, begreifte Kant die Selbstbestimmung aus einem inneren Grund als Freiheit.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das metaphysische Problematik der Freiheit bei Kant zu verdeutlichen.

      •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댄스축제 참여경험 의미와 과정의 이해 : 근거이론을 기초하여

        임항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ourism behavior and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in the future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on the true meaning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festival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aiwan's M.I.T. which is one of the world's line dance festivals and the local festival Line Dance Queen Korea Summer Party for participants as a serious leisure. First, what extent does the festival motivation and festival process reflect the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from the festival and what do they mean to the persons who are on serious leisure? Some important poin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clearly identified to reflect the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the M.I.T. Line Dance Festival and Line Dance Queen Korea Festival. First, monetary and physical patience and dedic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and second, form and strengthe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belonging to self-care of career owner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Third, it was a continuous effort for knowledge and dance skills fo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s and fourth, a search for the cost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festivals on serious leisure extension. Through this, he transforms himself into a different person who transcends everyday life as a bold self-expression of self-realization and inherent shame, and strives to maintain relationships for interaction and lasting partnership with the consensus-building group. Fifth,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belief and value-sharing of the festival participants only makes them proud and sixth, it strengthens their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through selective partnership.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or further study related to the promo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festival. First, financial and physical patience and ded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re the preparatory work of tourism for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M.I.T. and Line Dance Queen Korea festivals, a personal investment that can be rewarded only by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for serious leisure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nd an activity that can be expected to maintain the festival's continued participation. The festival can also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ir continuous serious leisure activities which they have been doing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s well as the creative idea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The infinite development potential and direction of intangible resources suitable for our country's tourism industry which lacks tangible tourism resources can be proposed. Second, the festival participants will be the final consumers and serve as promotional marketers in the space of the festival. Also, it will be promoted interactions among repeated visitors of similar goals and interests as a social space and eventually create a culture that will make them devote themselves to the festival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festival itself to be self-sustaining and revitalized. It is clear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which is tourism behavior as a serious leisure in future research, an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First, according to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e observation of continuous tourism behavior is limited by the results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method only. A qualitative approach to research should be used as a useful alternative to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ongoing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estivals in greater detail, given the detailed circumstances of participants. Second, it seems that mor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ourism behavior and various leisure-related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which is a key factor of participation of festival visitors who participated as serious leisure. Third, the Line Dance Festival which was dealt with in this study, was a good theme for analyzing tourism behavior as a serious leisure, but it is true that the genre of dance itself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public. If various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subject of successful tourist attraction among serious leisure activities of a genre easily understood and accessible to the public, it will bring about real changes i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festival tour programs in the future.

      •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에 의한 대학생의

        이아영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단초점과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활용하여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과 원용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젊은 성인에게 처방한 후 근거리 작업 시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0명의 젊은 성인(23.53±2.37세)에게 어떤 방법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지 알 수 없도록 masking method를 적용하여 구면 및 토릭 단초점 콘택트렌즈, 중심부 근용 디자인의 비구면 다초점 콘택트렌즈(낮은 가입도)를 활용한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및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양안에 처방하고, 일주일의 적응기간이 경과한 후 시기능을 평가하였다. 시기능 평가 시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1시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여 조절 부담을 유도한 후 양안 원근거리 대비시력은 100%와 10%의 ETDR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Precision Vision, USA)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조절반응은 개방형 자동굴절계(NVision–K 5001,Shin Nippon,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근거리 조절 용이성은 ±2.00D 플리퍼와 ETDRS 시표, 근거리 입체시력은 Stereo Fly Test와 편광안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령상의 측정은 자체 개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가독성은 핸드폰(Galaxy Note, Samsung, Korea) 문서에서 지정된 글자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과 찾는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양성·음성 상대조절력은 40cm 거리에서 자각적 굴절검사기기(CV-5000,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330lux에서 3번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각 항목에 해당하는 검사를 마친 후에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각적 만족도를 평가 하였다. 양안 원거리 10% 대비시력은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가장 좋았고, 모노비전에서 가장 낮았으며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모노비전, 모노비전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5),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안 근거리 100%와 10% 대비시력은 모든 그룹 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절반응값은 조절 자극값에 해당하는 검사거리 40cm(2.50D) 및 1m(1.00D)에서 변형된 모노비전의 경우 가장 크게 나타났고, 모노비전의 경우에는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교정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40cm; F=4.083, p=0.009, 1m; F=3.962, p=0.010). 4m(0.25D)와 2m(0.50D)에서는 변형된 모노비전의 경우 가장 컸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경우 가장 작았으나 교정법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 입체시력은 멀티포컬의 경우에 가장 좋았고, 모노비전의 경우에 가장 낮았으며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8). 양안 조절 용이성, 음성·양성 상대조절력, 유령상의 평가에서는 모든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독성의 평가에서는 멀티포컬을 착용했을 때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노비전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가장 느리고 부정확 했으며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설문에 의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변형된 모노비전의 만족도가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적응도의 평가에서는 변형된 모노비전이 가장 적응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젊은 성인의 경우 근거리 작업 시 조절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처방된 방법 중 모노비전은 입체 시력과 가독력을 저하시키고, 변형된 모노비전은 조절반응에 영향을 주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시력과 양안시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가독력을 높이고 적응하기 쉬운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19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지도교수 : 송지은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과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자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G광역시 N대학교 생명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3년 7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22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환자중심간호역량은 Hwang (2013)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로 측 정하였고, 공유리더십은 Pearce & Sims (2002)이 개발하고 석상원과 이미애(2021) 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Melnyk 등 (2008)이 개발한 EBPI 한국어판 도구를 박현영과 장금성(2016)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이 216명(95.6%)으로 많았고, 연령은 평균 33.54±7.92세로, 30대가 94명(41.6%)으로 많았다. 학력은 학사가 168명(74.4%), 총 임상경력은 7∼15년 미만이 72명(31.8%), 현 부서 근무경력은 1∼3년 미만이 93명(41.2%)으로 많았다. 현재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99명(88.1%)이었고, 현재 근무 부서는 병동이 154명(68.1%)으로 가장 많았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경험 여부는 139명(61.5%),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는 143명(63.3%), 논문 읽기 여부는 94명 (41.6%)이 모두 ‘예’ 라고 응답하였다. 연구 근거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는 ‘신규/ 후배 교육 시’ 126명(55.8%)으로 많았으며 연구 근거의 필요시 대처는 ‘자료를 찾아본다’ 159명(70.3%)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2.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역량은 5점 만점 중 평균 3.70±0.44점, 공유리더십은 5점 만점 중 평균 3.74±0.57점이었다.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4점 만점 중 0.91±0.72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지난 8주간 근거기반실무 실행의 빈도가 0회인 항목 중 백분율이 30% 미만의 항목은 ‘나는 임상실무를 변화시키기 위해 근거를 활용하였다’, ‘나는 환자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나는 환자 결과 자료를 수집하여 간호 계획을 평가하였다’, ‘나는 수집한 환자 결과 자료를 동료들과 공유하였다’, ‘나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동료와 공유하였다’ 로 나타났으며, 70% 이상인 항목은 ‘나는 체계적 고찰에 대한 자료를 보기 위해 Cochrane에 접속하였다’, ‘나는 National Guideline Clearing house에 접속하였다’ 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실무 실행의 차이는 연령(F = 3.06, p = .049), 현재 직위(t = -2.11, p = .043),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t = 2.88, p = .004), 논문 읽기 여부(t = 4.77, p < .001)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 및 근거기반실무 실행 간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환자중심간호역량(r = .28, p < .001), 공유리더십(r = .14, p = .03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중심간호역량(β = .19, p = .008), 논문 읽기 여부(β = .24, p < .001),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β = .14, p = .025)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15.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중심간호역량, 논문 읽기 여부,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실행 향상을 위하여 개방적이고 자율성이 보장되며 변혁적 리더십이 강화되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저널 클럽과 같은 정기적인 학술모임과 근거기반실무 멘토의 양성이 요구되며, 근거 검색역량의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근거검색을 위한 전산시스템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가 진료과정에 참여 하는 것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중심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 근거리 시각매체에 따른 조절반응 및 조절래그의 비교

        하나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919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 on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by the types and font sizes of near visual media in the case looking at the various near visual media often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by luminance and blue light rate between the types of near visual media. Methods: In ExperimentⅠ, Forty adult men and women (40 eyes) with ages averaging to 22.57±2.07 years, who had –2.87±2.19 D as their average equivalent spheric power were examin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pupil size between the types of near visual media (print paper, newspaper, magazine, smartphoneⅠ, monitorⅠ) and font sizes (6 pt, 8 pt, 10 pt, 12 pt) by using both eyes open view auto refractometer. Twenty adult men and women (40 eyes) with ages averaging to 22.25±2.36 years, who had -1.73±1.35 D as their average equivalent spheric power were examin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pupil size in ExperimentⅡ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ve response between the types of near visual media (print paper, smartphoneⅡ, monitorⅡ) and lens experimental group (neutral density filter, blue light blocking lens BL1 and BL2) by luminance and blue light rate of near visual media. Results: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between types of near visual media ware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accommodative response and higher accommodative lag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comparing the cases looking at the non-luminance near visual media, whe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in the smartphoneⅡ was 1.55±0.21 D, 0.78±0.21 D ( =0.000) and in the monitorⅠ was 1.33±0.26 D, 0.95±0.24 D (=0.000).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between the font sizes of near visual medi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0.050). The pupil sizes between types of near visual media ware showed a significantly smaller pupil siz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comparing the cases looking at the non-luminance near visual media, where the pupil size in the smartphoneⅠ was 4.29±0.58 mm (=0.000) and in the smartphoneⅡ was 3.59±0.69 mm (=0.000) and in the monitorⅠ was 3.80±0.56 mm (=0.000) and in the monitorⅡ was 3.42±0.67 mm ( =0.000). The pupil sizes between lens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0.050). In the case looking at the smartphoneⅡ,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between blue light blocking war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ccommodative response and lower accommodative lag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comparing in the control, whe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in the blue light blocking lens BL1 were 1.70±0.24 D, 0.63±0.26 D and in the blue light blocking lens BL2 were 1.68±0.25 D, 0.65±0.25 D ( =0.034). Conclusions: During near working,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ware more affected by types than font sizes of near visual media, especially the luminous visual media (smartphone, monitor) uses which includes high luminance and high blue light rate is considered to be more burdensome on eyes than non-luminous visual media (print paper, newspaper, magazine) uses, in terms of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목적: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리 시각매체를 주시할 경우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와 글자크기가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에 따른 휘도와 청색광비율이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첫 번째 실험에서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이 -2.87±2.19 D이며 평균 나이 22.57±2.07세인 성인남녀 40명(40안)의 대상자들은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 스마트폰Ⅰ, 모니터Ⅰ)와 글자크기(6 pt, 8 pt, 10 pt, 12 pt)에 따른 조절반응과 동공크기를 양안 개방형 자동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프린트용지, 스마트폰Ⅱ, 모니터Ⅱ)와 실험군 렌즈(중성 필터, 청색광차단렌즈 BL1과 BL2)에 따른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와 청색광비율이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두 번째 실험에서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이 -1.73±1.35 D이며 평균 나이 22.25±2.36세인 성인남녀 20명(40안)의 대상자들은 조절반응과 동공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결과: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는 스마트폰Ⅱ의 경우 각각 1.55±0.21 D, 0.78±0.21 D(=0.000)이였으며, 모니터Ⅰ의 경우 각각 1.33±0.26 D, 0.95±0.24 D( =0.000)로서 비발광체 시각매체를 주시한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조절반응과 높은 조절래그를 보였다. 근거리시각매체의 글자크기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0.050).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에 따른 동공크기는 스마트폰Ⅰ의 경우 4.29±0.58 mm(=0.000), 스마트폰Ⅱ의 경우 3.59±0.69 mm(=0.000)이고 모니터Ⅰ의 경우 3.80±0.56 mm(=0.000), 모니터Ⅱ의 경우 3.42±0.67 mm(=0.000)로서 비발광체 시각매체를 주시한 경우의 동공크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동공크기를 보였다. 실험군 렌즈에 따른 동공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0.050). 스마트폰Ⅱ를 주시한 경우에서 청색광차단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는 청색광차단렌즈 BL1을 장입한 경우 1.70±0.24 D 및 0.63±0.26 D, 청색광차단렌즈 BL2를 장입한 경우 1.68±0.25 D 및 0.65±0.25 D로서 대조군을 장입한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조절반응과 낮은 조절래그를 보였다(=0.034). 결론: 근거리 작업 시 조절반응과 조절래그는 근거리 시각매체의 글자크기보다 근거리 시각매체의 종류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높은 휘도와 높은 청색광을 포함하고 있는 발광체 시각매체(스마트폰, 모니터)의 사용은 비발광체 시각매체(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의 사용보다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의 관점에서 눈에 부담을 더 야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최재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19

        근거중심치료는 클라이언트를 치료하기 위해 영향력 있고 효과적이며 안전한 과학적인 연구들을 찾고 분석하여 중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 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 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태도, 실행능력, 조직문화, 방해요인을 조 사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3년 2월부터 7월까지이었으며, 뇌졸중을 치료하는 작 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태도, 실행능력, 방해요인, 조직문화 유형을 알 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태도, 실행능력, 조직 문화 유형, 방해요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 시하였다. 치료사들은 근거중심치료를 임상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고(78.5%), 작 업치료사의 정체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76.5%). 또한 근거중심치료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다(76.0%)고 하였다. 치료사의 54.5%가 근거중심치료를 이해하고 있고, 국내 문헌을 검색할 수 있으며 (64.0%), 수집·정리할 수 있다(57.5%)고 답하였다. 하지만 연구 문헌을 해석(44.0%)하고, 문헌의 질을 판단하며(35.0%), 임상실행을 위한 PICO (patient population, interested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질문 을 도출해내는(33.5%) 부분은 치료사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근 거중심치료 활용을 위한 기관의 조직문화 유형은 관계문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계문화, 진취문화, 과업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중심치료 의 방해요인으로는 문헌 검색을 위한 근무시간 외에 시간이 필요하다 (61.5%)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조직에서의 금전적 지원 부족(56.5%), 통 계분석의 어려움(52.0%), 임상 적용이 가능한 연구문헌의 부족(52.0%) 등의 의견이 있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태도와 실행능력(r=.485)은 양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도와 관계가 가장 높았던 조직문화는 관계문화 (r=.481)이었으며, 실행능력과 관계가 높았던 문화는 진취문화(r=.457)와 관계문화(r=.435)이었다. 실행능력과 방해요인(r=-.037)은 음의 상관관계 가 보였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뇌졸중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이 근거중심치료를 위 한 질문을 도출해내고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등의 실행능력을 높이기 위 해서는 그에 맞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치료의 질 향상 을 위해 임상 기관에서 근거중심치료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 주는 등 조직적인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성장 및 창의적인 활동을 존중해주는 조직문화가 형성된다면 근거중심치료를 실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Evidence based practice is a systematical process which allows therapists to search for methods that are effective, safe and scientific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helps them analyze the methods so that they may be used as a mediation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and implementation abili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treat stroke patients toward evidence-based practice, and investigated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barrier factors within the institu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n online questionnaire to 200 people from February to July 2023. It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the subjects, implementation ability, barrier factors, and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attitude, implementation ability,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barrier factors. Therapists believed that evidence-based practice needs to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78.5%) and should positively affects the ident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76.5%). They als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ceive education on evidence-based practice (76.0%). 54.5% of therapists understood evidence-based practice, were able to search domestic literature (64.0%), and collect and organize it (57.5%). However, therapists found interpreting research literature (44.0%), judging the quality of literature (35.0%), and deriving PICO (patient population, interested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questions for clinical implementation (33.5%) challenging. Among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related to evidence based practice, relationship culture showed the most relevance, followed by hierarchy culture, progression culture, and task culture. Opinions on barrier factors of evidence based practices included need for time outside of work hours for literature search (61.5%), followed by lack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56.5%), difficulty in statistical analysis (52.0%), and lack of research literature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52.0%).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implementation ability.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ttitude was relationship culture (r=.481). The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mplementation ability were progression culture (r=.457) and relationship culture (r=.435)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mplementation ability and barrier factors (r=-.037),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implementation abilities of therapists who treat stroke patients, including deducing questions for evidence based practice, or deciding the quality of research, relevant education is required. Furthermore, organizational support such as providing enough time for evidence based practice to proceed in clinical institutions seems necessary.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an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promotes social relationship, and respects growth and creativ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vidence based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