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지도교수 : 송지은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과 공유리더십이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자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G광역시 N대학교 생명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3년 7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22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환자중심간호역량은 Hwang (2013)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로 측 정하였고, 공유리더십은 Pearce & Sims (2002)이 개발하고 석상원과 이미애(2021) 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Melnyk 등 (2008)이 개발한 EBPI 한국어판 도구를 박현영과 장금성(2016)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이 216명(95.6%)으로 많았고, 연령은 평균 33.54±7.92세로, 30대가 94명(41.6%)으로 많았다. 학력은 학사가 168명(74.4%), 총 임상경력은 7∼15년 미만이 72명(31.8%), 현 부서 근무경력은 1∼3년 미만이 93명(41.2%)으로 많았다. 현재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99명(88.1%)이었고, 현재 근무 부서는 병동이 154명(68.1%)으로 가장 많았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경험 여부는 139명(61.5%),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는 143명(63.3%), 논문 읽기 여부는 94명 (41.6%)이 모두 ‘예’ 라고 응답하였다. 연구 근거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는 ‘신규/ 후배 교육 시’ 126명(55.8%)으로 많았으며 연구 근거의 필요시 대처는 ‘자료를 찾아본다’ 159명(70.3%)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2.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역량은 5점 만점 중 평균 3.70±0.44점, 공유리더십은 5점 만점 중 평균 3.74±0.57점이었다.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4점 만점 중 0.91±0.72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지난 8주간 근거기반실무 실행의 빈도가 0회인 항목 중 백분율이 30% 미만의 항목은 ‘나는 임상실무를 변화시키기 위해 근거를 활용하였다’, ‘나는 환자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나는 환자 결과 자료를 수집하여 간호 계획을 평가하였다’, ‘나는 수집한 환자 결과 자료를 동료들과 공유하였다’, ‘나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동료와 공유하였다’ 로 나타났으며, 70% 이상인 항목은 ‘나는 체계적 고찰에 대한 자료를 보기 위해 Cochrane에 접속하였다’, ‘나는 National Guideline Clearing house에 접속하였다’ 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실무 실행의 차이는 연령(F = 3.06, p = .049), 현재 직위(t = -2.11, p = .043),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t = 2.88, p = .004), 논문 읽기 여부(t = 4.77, p < .001)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역량, 공유리더십 및 근거기반실무 실행 간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근거기반실무 실행은 환자중심간호역량(r = .28, p < .001), 공유리더십(r = .14, p = .03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중심간호역량(β = .19, p = .008), 논문 읽기 여부(β = .24, p < .001),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β = .14, p = .025)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15.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중심간호역량, 논문 읽기 여부, 근거기반간호 인식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실행 향상을 위하여 개방적이고 자율성이 보장되며 변혁적 리더십이 강화되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저널 클럽과 같은 정기적인 학술모임과 근거기반실무 멘토의 양성이 요구되며, 근거 검색역량의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근거검색을 위한 전산시스템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가 진료과정에 참여 하는 것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중심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 유차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미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s with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and it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s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ow is the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2. How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differed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s (support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size of class)? 3. How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differed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03 teachers in total working in 38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152 responses that are appropriately answered in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 in each kindergarten and compare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The date on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each kindergarten was collected from each institution and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he author investigated how institutional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were differed depending upon institutiona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and class size in case where the library was newly established. The data was process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the author explored how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were differed depending upon whether they had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b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results on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by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 institutions had their own libraries that were greater than 26.4m² in size, but more than half of such institutions answered 'average' when asked whether the space was sufficient for young children to do reading activities, which meant that they wanted a larger space for library. Second, institutional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especially in terms of budget relevance for collection of various books. The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books in collection and the period of purchasing books according to class size. Thir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budget relevance for purchasing books and non-book media utilization space depending upon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Regarding professional staffs in library facility within kindergarten, the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cessity of librarian and the major roles of librarian. And regarding the programs in library facility within kindergarten, the satisfaction on library program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Upon the needs of library programs within kindergarten, the respondents mentioned about the reasons and difficulties for being unable to promote a follow-up program in library in overall. In particular, they answered that teacher's work burden, human resource shortage, lack of time, limited space in library room, insufficient budget for book purchasing, and lack of interest were causes that led to the difficulties in order of weightines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depending upo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surveyed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s with kindergartens by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compar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both institutions and teachers on library operations by adopting such variables as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class siz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that were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rein. Among the three critical variables mentioned above,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impact on library operations, whereas the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is needed for a number of kindergartens to create a more outstanding library environment, which contributes for preschoolers to cultivate a good habit for book read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Besides the support for library facilities, the efforts for developing and distributing a high quality of library program are needed to operate the libraries more effectively,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for librarian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ought to be expanded.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현황 뿐 아니라,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의 인식과 요구는 배경변인(교육청 지원 여부와 학급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3.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는 배경변인(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 38곳과 해당 기관의 교사 총 203명이다. 이 중에서 성실하게 응답한 152부의 설문지 내용을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각 유치원별 도서실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기관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비교하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 현황에 대한 내용은 각 기관별로 내용을 수집하여서 빈도분석 처리하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의 인식 및 요구는 기관의 배경 변인인 도서실 신설 시 교육청의 지원 여부와 학급 규모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교차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빈도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는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교차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현황을 빈도 분석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반 이상의 기관이 26.4m²이상 규모의 도서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도서실의 규모가 유아들이 도서 활동을 하기에 충분한 공간인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보통이다’ 이하의 답변이 과반수를 넘어서 더 넓은 공간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 내 도서실 시설에 대한 유아교육 기관의 인식 및 요구는 교육청 지원여부에 따라 현재 기관에서 책정하고 있는 도서 구입을 위한 예산의 적정성, 다양한 종류의 도서 구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급 규모에 따라서는 보유하고 있는 도서의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 내 도서실 시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따라 사서의 필요성 부분과 사서에게 요구되어지는 역할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유치원 내 도서실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의 필요성 부분과 지역연계 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도서실의 후속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못하는 이유 및 어려움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그 내용으로는 교사의 과다한 업무, 인력 부족, 시간부족, 도서실의 공간 협소, 도서 구입비 부족, 관심 부족 순이었다. 유치원 내 도서실 지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따라서는 정부지원의 필요성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현황을 빈도분석을 통해 조사하고,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교육청 지원 여부, 학급 규모,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을 변인으로 설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교육청의 지원 여부, 학급 규모, 도서실의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 이 변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교육청의 지원 여부였으며,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이었다. 특히, 교육청의 지원 여부에 따라서 도서실의 시설 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지원을 받은 기관일수록 자료 면에서 더 다양한 도서를 구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또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청의 계속적인 지원으로 많은 유치원에서 우수한 환경의 도서실을 구비하여서 유아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에서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설면의 지원 뿐 아니라, 도서실이 질적으로 우수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도서실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일에 힘써야 하겠으며 도서실 담당 교사, 유치원 교사들을 위한 관련 연수 기회도 확대해 가야 할 필요가 있다.

      • 성숙마우스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해마 신경신생 변화의 면역조직화학적 평가

        양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유류 해마의 줄기세포는 다른 일반적인 신경세포와 달리 성체에서도 지속적으로 증식하며, 특히 세포증식이 일어나는 치상핵 부분은 방사선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자선의 상대생물학적효과(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는 세포 및 조직 유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중성자선 및 감마선을 조사한 ICR 마우스의 해마조직절편에서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TdT)-mediated UTP nick end-labeling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신경줄기세포의 사멸을 확인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신경신생의 대표적인 마커인 Ki-67 (proliferating cell marker)과 doublecortin (DCX; immature progenitor cell marker) 양성세포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체 해마의 치상핵 부분에서 중성자선의 RBE를 평가하기 위해 해마신경줄기세포의 사멸 유도 및 해마 신경신생 감소를 감마선의 효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마우스에 중성자선(0-0.8 Gy) 및 감마선(0-4 Gy)을 조사 후 apoptosis의 발생 빈도를 관찰한 결과, TUNEL 양성 apoptotic nuclei는 치상핵의 supra- 및 infra-pyramidal blades를 따라 subgranualr zone의 신경줄기세포에서 관찰되었다. 해마 치상핵에서 apoptotic cell death는 방사선 조사 후 6-12시간에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해마 치상핵에서의 Ki-67과 DCX 양성세포는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에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해마에서 치상핵당 2개에서 8개 범위의 apoptosis 발생수를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중성자선 및 감마선의 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중성자선의 RBE를 산출하면, 순수중성자선의 경우 1.91 ± 0.38이었다. 뿐만 아니라 해마에서 치상핵당 Ki-67 및 DCX 양성세포수가 각각 4-8개, 8-32개의 범위로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중성자선 및 감마선의 용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순수중성자선의 RBE를 산출하면 Ki-67의 경우 3.15±0.26이었으며, DCX의 경우 2.48±0.02이었다. 본 실험 결과 중성자선 및 감마선 조사 후 해마 치상핵에서 신경줄기세포의 사멸 증가 및 해마 신경신생 감소는 용량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 종류에 따른 해마 신경신생의 변화 차이는 신경줄기세포의 사멸 증가와 더불어 중성자선의 RBE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onizing irradiation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neurogenesis in hippocampal dentate gyrus (DGs). The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 of neutrons differs for various biological endpoints, and for various cell and tissue types.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effects of high linear energy transfer (LET) fast neutrons 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reduction of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of adult ICR mice with those of low LET 60Co γ-rays, to evaluate the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 of fast neutrons in the adult hippocampal dentate gyrus (DG). The mice were exposed to 35 MeV fast neutrons or 60Co γ-rays. I evaluated acutely the incidence of apoptosis and expression of Ki-67 (a protein marker for cell proliferation originally defined by the monoclonal antibody Kiel-67) and doublecortin (DCX: an immature progenitor neuron marker) in the hippocampus after a single whole-body irradiation. The number of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TdT)-mediated dUTP nick end-labeling (TUNEL)-positive apoptotic nuclei in the DGs increased and both Ki-67- and DCX-positive cells declined in a dose-dependent pattern, with fast neutrons or γ rays. In the hippocampus, which showed an apoptosis frequency between 2 and 8 per DG, the RBE of fast neutrons was approximately 1.9. Additionally, the inhibitory effects of fast neutrons on the expression frequencies of Ki-67 (4-8) and DCX (8-32) were approximately 3.2 and 2.5 times, respectively, the effect of γ rays at the same dose.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and decrease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al DG were seen in a dose-dependent pattern after exposure to fast neutrons and of γ rays. In addition, the different rate of hippocampal neurogenesis between different radiation qualities may be an index of RBE.

      • 닥섬유를 활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장신구 제작을 중심으로

        양미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는 상품을 넘어 산업으로서만이 아니라 일종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특 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태도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보다 진일보해 경제적인 차원의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잠재적인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 라의 현 상황을 고려해볼 때, 경제적인 면이나 문화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를 홍보하며 세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장신구는 오랜 옛날부터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인류사의 발전과 더불어 변천해온 패션 산업의 한 분야로서 시대와 문화를 반영한다. 또한 장신구는 국 가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산업 의 하나로서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의 장신구는 인간의 미적욕 구와 부와 권력을 상징하는 주얼리의 기능에서 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고 감정을 공유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으로 변화했다. 따 라서 여러 방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고 다양한 소재와 접목시 켜서 실용적이고 질 좋은 공예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전통과 문화 가 잘 이어지고 전파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본 연구자는 전통소재인 닥섬유를 활용하여 재료, 제작방식, 규격 등의 형식을 자유롭게 다루었다. 인체를 장식한다는 기능이나 재료를 다루는 기술보다 정신 세계의 표현에 치중하며 재료적, 형태적 실험을 과감하게 시도하였다. 또한 현 대인들은 친환경과 치유, 힐링과 여유로운 삶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장신구의 예술적 표현가능성을 무한히 확장시킴으로써 ‘장식’이라는 보조와 부 가적 역할을 상쇄시키려는 노력과 공예문화상품이라는 새로운 모색을 연구하였 다. 특히, 각 나라마다 지니고 있는 전통과 문화를 표출하고 대표할 수 있는 디자 인 개발과 문화 상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우리의 전 통소재인 닥섬유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통한 공예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통 해 우리나라의 훌륭한 전통과 문화를 알리고 세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Culture can be a kind of life, beyond the goods, not only as an industry. Entering the 21st century, attitude to culture is changing from a general sense to more economic concept. With this, as a momentum, revival of new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industries can create high value-added economy, in particular, considering poor potential resources in my country, it can be seen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globalization and promoting our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increasing the economic aspect and cultural effects. Accessories, closely related to humans, reflects the times and culture as a branch of the fashion industry which has been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since old times. Also accesso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s one of the major industries that creat added value. as well as express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country. As the individual's personality is important, accessories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its concepts and features ,beyond the traditional symbolic value, it has the various form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dustry. Contemporary accessaries has changed from the function that symbolizes man's aesthetic needs, wealth and power to the function as a means that expresses the different personalities of the individuals,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e emotional ties. Therefore, we expect that our country's traditions and culture can spread out through developing practical and of good quality Cultural crafted products by developing a design and incorporating a variety of materials, to make better use of the many ways. In the 21st Century,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issues, has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ir values of life of modern people, especially toward eco-friendly , healing and relaxing life. At this point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 craft cultural products utilizing our traditional materials to make it compatible with the values of the modern life of the 21st century. Particularly in this current situation which is in the active progress develop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represented the traditions and culture of each country, and at this point in paying attention to the Korean wave in the country all over the world, this aims to globalize and promote the great traditions and culture of our country through developing craft cultural products with utilizing mulberry fiber.

      • 케이터링 서비스 실행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saw customers who had experience of using catering service of the eating out enterprise and grasped the factors regarding catering service execution which these customers think important, and also its goal i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activation of catering service hereafter by analyzing how much different service execution shows depending on customers’ general quality. In order to attain this kind of goal about catering service, a literature investigation has been done first. The problems which were discovered from preceding researches show that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communal feeding or the food service industry such like customers’ satisfaction or quality-of-service, analysis of expectation of service quality or the perception gap of the customers, etc. But preceding researches relating to catering service were not so sufficient that there were few preceding researches which analyze the effect on loyalty of catering users.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 this research focused on finding out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on customers’ loyalty as well as analyzed the difference of service exec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quality and use quality of the customers to make the reference data for customer market segmentation. Referring to the investigation of preceding research, this research applied the variables which currently are used in the catering industry. There have been chosen three major variables such like general factors, service execution and customer loyalty of customers. And as detailed variables, demographic quality and use quality for general factors, food quality, quickness / persistence, accuracy/convenience, professionalism, business accuracy for service execution factor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customer loyalty factors. The data which were applied in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f using catering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in the research object. The question investigation executes for one month from September1st, 2008 to September 0th, 2008, the sampling was made from biased sample extraction process, and it was distributed to 200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f using catering enterprises and 177 issues were collected but 172 effective samples had been executed except 5 which are in sincere. With the data which are available for analysis , variables analysis, reliability an analysis, t-test, a member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hrough the SPSS13.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s. When analytical result synthesizes the main subjects which appear, they are as follow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analysis of demographic quality and service execution of the catering visitors.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and service accuracy/convenience from sex factors,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and business accuracy from marital status factors, food quality, service accuracy/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educational background factors,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household income factors are considered as meaningful differences.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ed between the analysis of use quality and service execution of the catering visitors as follows. Quickness/persistence and service accuracy/convenience, professionalism, business accuracy from the factors by type of meeting,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place factors by where is opened,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factors of food price per person,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factors of people invited,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factors of event style,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information sources, food quality, quickness/persistence, service accuracy/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nd business accuracy from the importance of selective time. The factors which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quality and loyalty of catering visitors are as follows.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from sex factors,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from marital status factors, recommendation intention from age group,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educational background factors, recommendation intentions,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occupation factors, recommendation intentions,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household income. The factors which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use quality and loyalty of catering visitors are as follows.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intention, re-purchase intention from the factors by the type of meeting,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intention from the type of enterprise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the place factors by where is opened,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the factors of food price per pers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from the factors of people invited,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from the factors of event style, recommendation intention, information intention by word of mouth a

      • 뮤지컬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본질에 관한 연구 : 창작뮤지컬 <직지, 묘덕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양미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뮤지컬은 극본과 연기, 무용(춤), 음악(노래)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구성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완성되는 대중예술의 한 장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전문성이 결여되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루지 않고서는 대중적이지만 예술적으로도 질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작품이 탄생하기란 힘들다. 연극은 대사와 더불어 보여지고 들려지는 다양한 언어가 모여 창조되어지지만, 대부분 연극에서는 대사가 제1언어의 기능을 수행하며 내용 전달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뮤지컬은 대사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그 비워진 부분에 음악과 춤을 함께 채워 넣는다. 즉 대사와 균등한 비중을 지닌 다른 요소들이 뮤지컬에 존재하는 것이다. 어느 한 요소의 중요성만으로 치우쳐서는 안 되는 복합 예술의 형태로 정의되는 뮤지컬에서 음악이 차지 하는 비중은 상당히 광범위하다. 비슷한 형식과 짜임새를 지닌 오페라의 경우도 연극성보다는 노래 위주의 공연으로 아리아, 중창, 합창 등 음악적인 요소가 작품을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오페라가 독특한 그 만의 창법과 고전적인 스토리, 음악에 바탕을 두고 있는 성격이라면 뮤지컬은 근현대적인 역사만큼이나 음악적인 구성 역시 고전적인 음악뿐만 아니라 팝, 발라드, 재즈 등 다양한 장르가 적용되어 표현의 자유 영역이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다. 뮤지컬에서의 핵심은 음악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의 역할과 효과는 단순히 극을 보조하는 수단을 넘어서 뮤지컬의 감동과 파급효과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음악 예술에서 뮤지컬 음악을 특정 장르로 단정 짓기는 어려우며 그 특이성과 다양성만큼이나 뮤지컬 음악의 이해와 분석, 기능과 역할에 맞춘 적합성 있는 적용은 체계적이고 정형화된 이론적 바탕이 확립되지 않는 한 매우 접근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작곡가 최현석의 창작뮤지컬 ‘직지, 묘덕을 만나다’를 음악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뮤지컬을 형성하는 하나의 큰 축인 음악에 대하여 집중적인 분석을 하고 음악이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음악적 표현을 통해 극의 틀을 형성하고 극 내용에 개입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뮤지컬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요소들을 추출하고 음악을 분석하기 전에, 뮤지컬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고찰로 뮤지컬 음악의 정의와 기원, 구조와 기능을 알아보고 뮤지컬 음악의 특징, 각 구성요소들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 분석에서는 전반적인 작품 해설과 음악대본, 형식, 조성, 화성, 리듬, 선율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뮤지컬에서의 음악은 극 중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사용 된다. 극 중 시공간을 상징하기도 하고 극의 주제적 성격을 표현할 때 내면 작용을 맡기도 한다. 둘째, 음악은 언어, 즉 극의 대사를 강조하는 기능을 한다. 문장이나 해설 보다 더욱 직접적이다. 셋째, 음악은 극 중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를 음악적 모티브를 이용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인물의 성격, 특색, 분위기 등 각각의 형식과 장르 의 선택으로 표현되어 진다. 이와 같이, 음악은 극 전체의 분위기를 구성, 관리 할 수 있으며 극의 전개를 미리 예상하기도 하고 역설적인 대조를 부여 할 수도 있다. 이렇듯 극 중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주체적인 요소로서의 음악이 뮤지컬에서 그 기능을 충실히 다하기 위해서는 모든 제작진들의 음악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올바른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 뮤지컬 음악의 창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에 우리나라 창작 뮤지컬의 수준도 그에 발맞추어 발전되리라고 믿는다.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국어교과서 내용 분석 : 10학년 16종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양미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7차 교육과정과 개정 7차 교육과정의 총론을 비교․분석한다. 둘째,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개정 7차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성격과 목표, 내용측면에서 분석한다. 내용은 다시 영역별(듣기․말하기․읽기․쓰기․문법․문학)로 세분화하여 다문화교육 요소와의 연관성을 규명한다.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교과서에 실린 제재들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영역별로 나누어 제재들 속의 다문화교육요소들을 추출하고 제재내용을 분석한다.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단원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 안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을 해결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과 개정 7차 교육과정 총론, 국어과 고등학교 개정 7차 교육과정 및 10학년 대상의 국어 교과서 16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 Banks(2006)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지침’과 설규주(2009)의 ‘다문화교육 내용 범주 및 하위요소’를 기준을 인용 및 재구성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고, 교과서 분석을 위해서는 최숙기(2007)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국어교과서의 다문화 제재 선정 기준’을 분석 도구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을 분석한 결과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내용이 증가되었다. 즉, 시․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편성 ․운영 지침과 학교 운영 지침 부분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내용이 추가 되었으며 범교과의 주제로 다문화교육이 명시되어 학교 교육과정에 걸쳐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국어과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문화교육의 목표인 ‘평등과 문화의 다양성 존중’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그 방향과 지향점이 분명치 않다. 교육과정 각 영역의 성취기준과 내용요소를 다문화교육요소와 관련지어 규명한 결과 그 연관성에 따라 직접 관련 요소, 중간 관련 요소, 간접 관련 요소로 분류되었다. 총 29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직접 관련 요소는 3개, 중간 관련 요소는 5개, 간접 관련 요소는 6개로 나타났다. 셋째, 16종 전체 지문 분석결과 740개 중 다문화교육 관련 제재는 20개로 2.7%를 차지했다. 듣기․ 말하기는 4.1%, 4.8%로 유사한 비율을 보였고, 읽기와 쓰기는 8.4%, 4.3%로 읽기의 제재선정 비율이 높았으며, 문법의 경우에는 영역의 특성 상 다문화교육관련 제재가 없었고 문학의 경우 다문화교육영역에서 중요도가 제일 높은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1.2%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교육 요소별 제재 선정 비율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문식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제재들이 많았고 학습자가 타문화에 대한 흥미를 갖거나, 타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해 문화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는 제재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에 다문화적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제재들은 각 영역에 걸쳐 고르게 선정되었다.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관련 요소들의 연계성에 있어서는 직접관련요소가 30%, 중간관련요소는 20%, 간접관련요소는 45%로 실제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과 관련성이 크지 않았다. 넷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제재를 활용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학영역 중 소설 「완득이」를 선정하여 교수-학습 과정 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최대한 학습자간의 경쟁을 최소화하고 학습자간의 언어적 차이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며 상호 배려할 수 있는 JigsawⅡ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관련 내용이 증가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기술된 교과서에도 다문화교육요소가 포함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의 개념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현행 개정 7차 교육과정은 7차에 비해 다문화교육을 수용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지만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은 채 다문화교육의 개념만 부과하는 형태여서 향후 다문화교육관점의 교육과정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교육을 35개의 범교과주제의 하나로만 인식하지 말고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필수주제로 지정하여 기존의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교과교육에서도 다문화교육이 실시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다문화적 상황을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교육과정의 내용측면에서 다문화적 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취기준과 다문화적 요소를 갖춘 내용요소를 추가해야 한다. 그러나 현 교육과정에서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거나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힘들므로 현 목표와 교육과정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교수-학습 시, 내용요소에서 다문화적인 상황 맥락을 추가하거나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언어사용능력과 다문화적인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제재선정 시, 듣기․말하기의 경우 의사소통과정에서 다문화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는 제재가 추가적으로 선정되어야 하고, 쓰기와 읽기는 다문화 문식성을 통해 다문화사회 인식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제재가 선정되어야 한다. 문법은 이중언어와 비교 언어학적으로 접근한 제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문학은 다문화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영역이므로 다문화관련 제재 선정 비율이 더 높아져야한다. 내용면에서도 국내의 다양한 다문화적 상황과 타문화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는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특히 해외문학작품 선정 시 국내의 상황을 고려하여 동양권의 문화가 소개된 내용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관련 요소들의 연계성에 있어서 실제 교과서와는 관련성이 크지 않으므로 다문화관점에서 교과서의 제재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육과정에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아 무엇보다도 교수-학습 시 학습자 개인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언어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방안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multicultural elements within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extbooks. The following contents have been set for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7th secondary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ontents, the area was again segmented by secti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to clarify association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Third, in order to reveal associations between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within subject matter were extracted for analysis after dividing into achievement targets of education curriculum.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unit was developed as a measure for ut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to propose an actual education-training curriculum for utilization within classrooms. In order to resolve such research contents,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10th Korea textbook 16 typ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analysis of curriculum, the study used Banks (2006) 'Standards for educational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used as a standard. To analyze the contentual aspect of the curriculum, the 2009 study by Seol, Gyu Ju 'The scope and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was used as a basis. For textbook analysis, the 2007 study by Choi, Suk Gi 'A study on the standard of subject selection for multiculturalism within Korean textbooks' was used as a ba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Overview shows that the conte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creased within the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For exampl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dded within the City․Province Office of Education,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 operating guidelines. In ad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esignated as a transdisciplinary subject and was being integrated within overall educational curriculums. Second, the purposes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s did not include contents on 'equality and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making its directions and orientations unclear. he results of associative analysis between the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ual elements of each domai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showed a classification of directly related elements, semi-related elements, indirectly related elements. Among the total 29 achievement goals, there were three (3) directly related elements, five (5) semi-related elements, and four (4) indirectly related elements. Third, results of analysis on all 16 types showed 20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subject matters out of 740 total, or 2.7%. For listening and speaking, a similar proportion was shown at 4.1% and 4.8%, respectively while the proportion for reading and writing was 8.4% and 4.3%, respectively, showing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for reading. In the case of grammar, there were no subject matter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for literature, subject matter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as only 1.2% even though it is arguably the section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most importa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roportion of subject matter selection by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 showed that while there were many elements that could realize multicultural literacy, there were relatively fewer elements where students could recogni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through various information on other cultures or aspects of interest about other cultures. On the other hand, subject matters that allowed a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situations were evenly distributed. Fourth, in order to propose measures to utilize subject matter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novel 「완득이」 was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domain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A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Jigsaw II was utilized as it allows for minimized competition between max number of students while allowing for mutual consideration which overcomes cultural and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Based on such results, multiculturalism related contents increased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while there are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elements within the textbooks written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within public education provided for numerous peopl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reflected within the education at a national level. While the fact that the revised 7th curriculum reflects more eleme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is encouraging, such is limited for ad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rather than being actual structural change to the curriculum. As such, reform of the curriculum structure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rather than recognizing multicultural education as being one subject matter among the 35 total subject matters, it must be designated as a required subject that must be completed while being conducted within curriculum education rather than being a form of discretionary or special activity.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redirected into a way where multicultural situations can be recognized and accepted. In addition, from a contentual perspective, achievement criteria and elements that can improve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skills and elements must be added. However, as it is difficult to set new targets or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current objectives and directions of the curriculums may be maintained, but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contexts within be added to contentual elements upon teaching and learning or textbooks could be reorganized to expand multicultural thinking and language use. Third, upon selecting textbook subject matter, materials based on multicultural situations must be added to the communication course within listening and speaking. In addition, for writing and reading, materials that can improve recogni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must be selected through multicultural literacy. For grammar, subject matter based on approaches stemming from bilingualism or comparative linguistics must be developed while for literary,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ism related subject matter must increase as it is an area where higher efficien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achieved. Even from a contentual perspective, contents that introduces information on different cultures or the various multicultural situations within Korea must be added. Particularly, upon selecting overseas literary works, Asian literature that considers for local situations must be selected. Fourth,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of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re were no specific mentions within the curriculum. As such,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evelop measures that allows for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by all student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all students while considering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capabilities.

      •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정신과 낮병원 현장실습 체험연구

        양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재활을 목표로 낮 시간에만 병원치료를 받는 특수한 치료형태인 정신과 낮병원에서 미술치료를 수행한 현장실습생의 경험이 어떠한지 질적으로 다루어진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낮병원 미술치료 실습생의 생생한 목소리에 집중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낮병원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수행한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의 체험이 어떠하며,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고, 이를 토대로 낮병원에서 미술치료 실습을 준비하는 석사학위과정생들에게 실습현장을 이해하고 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정신과 낮병원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 심층적인 면담을 제공한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으로서 정신과 낮병원에서 1개 학기 이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8명으로, 2017년 8월부터 11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30개의 하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되지 않은 채 실습을 나가게 됨>, <처음 맞닥뜨린 혼란과 역경을 홀로 헤쳐가려 하지만 한계에 부딪힘>, <낮병원 환자의 끝없는 공허와 무기력에 압도됨>,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는 미술치료의 현실에 좌절함>, <수퍼바이저와 동료의 도움에 힘을 얻고 다시 일어섬>, <반성과 위안의 시간 속에서 압박감을 떨치고 새로운 눈으로 환자를 바라봄>, <낮병원 환자들에게 필요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고민하며 새롭게 다가감>, <낮병원 환자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치료의 힘을 알게 됨>, <일종의 작은 사회인 낮병원에서 환자들을 만나며 한층 넓어진 시야를 발견함>, <실습이 힘들었던 만큼 환자의 변화에 보람차고 한 뼘 더 성장한 나를 발견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을 통합하여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의 정신과 낮병원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정신과 낮병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계획하지 않았던 낮병원 현장실습을 나가며 혼란을 겪고, 스스로 판단하고 해결해야하는 실습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를 느낀다. 둘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정신과 낮병원 현장실습 과정에서 치료진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부족과 기대 없음을 알게 되며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에 직면한다. 셋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수퍼바이저와 동료에게 도움을 구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과정을 거치며, 정신과 낮병원 현장실습에서의 난관을 극복하고 환자들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높인다. 넷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낮병원 환자들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적용하면서 환자들의 변화 과정을 목격하고, 폐쇄병동에서의 실습과 차별된 경험을 통해 실습생으로서 성장을 이루어 나간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이루어지는 정신과의 다양한 병동 중에서도 낮병원을 조명하여 현장실습생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다룬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임상현장 실제에서 향후 정신과 낮병원에 미술치료 실습을 나가기 위해 준비하는 학위과정생들이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습생들이 정신과 낮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정신질환자들을 위해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하게 접근하고 시도한 체험을 탐구하여 미술심리치료의 정신과 관련 이론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실습 대상자의 연령을 확대하여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낮병원 현장실습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낮병원 미술치료에서의 실습생 역할을 구분하여 반영된다면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낮병원의 현장 수퍼바이저의 유무에 중점을 두어 현장실습생의 경험에 대해 탐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qualitative data are needed concerning the experience of on-job trainees who performed art therapy at a day hospital of psychiatry, a special form of treatment of receiving hospital treatment during daytime only, aiming at the mental rehabilit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this study would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focusing on the vivid opinions of the on-job trainees of the practice in the day hospitals of art therapy.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who performed the practice of art therapy at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who prepare for the practice of art therapy at day hospitals, to understand the field of practice and to improve readiness,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at is the practice of the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at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like?”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i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were eight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who had an experience of performing the practice of art therapy at a day hospital of psychiatry for more than one semester. The in-depth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7, and data were collected till the data were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wn as ten essential topics and 30 subtopics. The detail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ing to go to the practice without preparations”, “Trying to go through the confusion and adversity I encountered first, but bumped into a limit”, “Overwhelmed by endless emptiness and helplessness of the patients of day hospitals”, “Frustrated with the reality of art therapy that was not treated properly”, “Getting the power by the help of the supervisor and colleagues and stood up again”, “Getting over the pressure at the time of reflection and consolation and looking at the patients with a new eye”, “Approaching in a new way, ruminating on the art therapy program that the patients at the day hospitals would need”, “Realizing the power of art therapy that could help the patients’ lives at the day hospitals”, “Finding a wider field of vision, meeting patients at the day hospital, which is a kind of a small community” and “Feeling rewarded to see the patients’ change in the tough practice, and finding myself as a person who grew up a little mor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of the practice in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by the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were drawn by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writings and various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s follows: First,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go to the unplanned practice in day hospitals with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feel confused and feel their limitations in the practice that they have to judge and solve problems themselves. Second, the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realize that the medical staff lack awareness about art therapy and do not have expectations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 in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and face a difficulty in forming an identity. Third, the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go through the process of seeking help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and reflecting on themselves, overcome many difficulties in their practice of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and develop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patients. Fourth, students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f art therapy feel the necessity of an art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of day hospitals, observ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patients, applying this and grow up as on-job trainees through the differentiated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e at the closed ward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dealt with on-job trainees’ experience in depth, focusing on the day hospitals of the various wards of psychiatry where art therapy is conducted. In addition,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o reduce trial and error for master’s students who prepare to practice art therapy at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in the future in the real clinical scene, and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help on-job trainees conduct art therapy for psychiatric patients who are treated at the day hospitals of psychiatry for psychiatry-related theoretical studies of art psychotherapy, explore the experience of various approaches and attempts and conduct psychiatry related theoretical study of art psychotherap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studies should expand the age of subjects and conduct a study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practice in day hospitals. Second, it is judged that follow-up studies would have a significance as the basic data if the roles of on-job trainees in day hospitals art therapy are differentiated for reflection. Third, it is judged that follow-up studies should explore on-job trainees’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esence of a on-site supervisor at day hospitals.

      • 수면 및 식습관이 여성의 피부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미영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의 피부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 중 수면과 식습관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여성의 피부건강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임의 추출하여 308명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6문항, 피부상태 18문항, 지각된 피부건강 4문항, 수면습관 28문항, 식습관 10문항이 포함된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피부 상태는 요인분석 결과 지성, 건성, 민감성, 노화성 피부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t-검증, 변량분석(ANOVA), 그리고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SPSS 15.0 for Window Program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젊은 여성일수록 지성 피부와 민감성 피부가 많았다. 또한 직업을 가지지 않은 여성보다 직업을 가진 여성에게서 노화성 피부가 더 많이 나타났다. 기혼여성들보다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여성들에게서 지성 피부와 민감성 피부가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 중에 본인이 유색 피부라고 생각하는 여성에게서 흰색 피부라고 생각하는 여성에 비해 지성 피부와 노화성 피부가 더 많았고, 매일 화장을 하는 여성들에게서 노화성 피부가 더 많이 나타났다. 클렌징을 사용한다는 여성들이 민감성 피부와 노화성 피부가 많았다. 또한, 보습제를 사용하는 여성들이 건성 피부가 약간 많았고, 민감성 피부 역시 더 많이 나타났다. 한편, 흰색 피부를 가진 여성이 유색 피부의 여성보다 자신의 피부가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대상자 중에 수면 일주기성에 따라서는 아침형 여성보다 저녁형 여성에게서 지성 피부가 더 많았다. 아침형 여성이 저녁형 여성보다 자신의 피부가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수면이 부족하지 않다고 응답한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지성 피부와 민감성 피부가 더 많았으며, 자신의 피부가 더 건강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건강한 식습관을 하는 경우보다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을 하는 경우에서 지성 피부가 더 많았으며, 자신의 피부가 건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기름진 음식선호는 지성 피부, 민감성 피부와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지각된 피부건강과는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식습관 중에서도 기름진 음식선호가 피부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면습관과 식습관은 피부건강과 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음으로 여성의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수면습관과 식습관 요인이 고려된 피부미용보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port is to understand women's (grown-up) skin condition, examine its interrelations between sleep and eating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Research objects are 308 women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y were randomly sampl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re are totally 80 questions and the details are about general properties (6 questions), skin condition (18 questions), perceived skin condition (4 questions), sleeping habit (28 questions), eating habit (10 questions) and so on. Skin conditions are -as a research result- divided into oily, dry, sensitive, and aging type. And we used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variate analysis(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s statistical analysis. And we applied SPSS 15.0 for Window Program. Summary of this report is as belows: First, younger women have more oily and sensitive skin. And women who have vocation has more aging skin than those who do not have. Single women have more oily and sensitive skin. Second, women who think their skins are colored, have more oily and aging skins. And women who do make up everyday have more aging skins. women who do cleansing have more sensitive and aging skins and women who use moisturizer have more sensitive, aging and dry skins. Furthermore, women who have whitier skin think their skins are in good condition. Third, according to daily cycle, night persons have more oily skin than morning person. Morning persons think their skins are worse than those of night persons. Furthermore, women who do not have lack of sleep have more sensitive and oily skins. And they think their skins are in better condition. Fourth, women who have desirable eating habit have oily skin less than those of who don't. And women who have good eating habit consider their skins are in good condition more than that who don't. Last, eating fat food is in direct proportion to oily and sensitive skin. And it is in inverse proportion to perceived good skin condition. therefore, I was able to eating habit is related to skin condition.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I was able to know that sleeping and eating habits are related to skin. Therefore, eff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ir desirable sleeping/eating hab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