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양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이민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OPs are endocrine disrupters and persistent in the environment, having long half-lives in air, soil, sediments or biota. Because of their lipophilic nature, they tend to accumulate in higher trophic animals through food chain. Nowdays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levels and profile of POPs in soil in Korea.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evels of POPs in soil by land use and identify congener profiles of PCBs, PCDD/Fs in soil in Korea. So compared congener patterns of soil samples with those of possible sources. 50 samples of soil were collected that divides scale of city of Korea and choose metropolitan Seoul and small town Jeon-ju and industrial area, oil-immersed transformer company neighborhood, agriculture area to sampling c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s and emission source, POPs (12 compounds) were analyzed selectivel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centrations of DDTs, HCB, PCBs, PCDD/Fs in soil in this study were in range of ND~38.19㎍/㎏(avg. : 1.683㎍/㎏) , ND~1.324㎍/㎏(avg. : 0.181㎍/㎏), ND~172.116㎍/㎏(avg. : 8.753㎍/㎏), ND~15.619pg-TEQ/g(avg. : 0.857pg-TEQ/g), respectively. The industry area was found to be highly contaminated. In case of DDTs, the presence of a high proportion of p,p'-DDE and p,p'-DDT in the environment is indicative of recent use or continuing inputs of the technical DDTs. Based on this,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relatively recent input of DDTs in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HCB concentration in soil indicated that its emission source was from combustion rather than agricultural impurities. In case of PCBs, total 209 isomers of PCBs were analysed. Major sources of PCBs are thought to be PCBs in PCB products(Aroclor). The ∑PCDFs concentration in the industry area soil was higher than ∑PCD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 source of dioxin in the soil is from incinerator exhausting gas.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대체문항 결과타당도 연구

        이민진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alternate test items on the 2010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total of 135 students without visual impairments at a middle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ixty-nine students from one boys' class and girls' clas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ile sixty-six students from another boys' class and another girls'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conditio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Alternate Group) were asked to solve 28 social studies questions, including 17 alternate ones, and 23 math questions, including 13 alternate ones. Students in the control condition (Original Group) were asked to solve 28 social studies questions and 23 math questions without any alternate ones in either subjec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otal score of either subject and subtotal scores of alternate items and nonalternate items in either subject.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rious types of alternate items, respectively, in either subject; an exception was that the Alternate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modified social studies question than did the Original Group. Chi-square analyses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orrection rate for only three of 17 test items in social studies and 5 test items in math. These results imply the high consequential validity of alternate test items on the 2010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프랑스 언론의 알제리 이주민 인식에 관한 역사적 고찰 : 르몽드지 기사(1954년-1976년)를 중심으로

        이민진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France Algerian Immigrants is the large target of anti-immigrant attitude as an ‘Etranger’, ‘Arab’, and ‘Muslim’ for a long time. The media coverage provides a framework of the perception of them, but on the other hand, also influenced by the common perception in a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French society’s perception of the Algerian Immigrants by analyzing articles about them in 《Le monde》, which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ewspapers in France. In particular, I focused on newspaper articles reported from the Algerian War, which is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f negative perception of them, to April 1976, when their migration to France was illegalized. The number of Algerian immigrant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Algerian War, which broke out at the 1st of November in 1954. With the mass migrations in mid 1970s, the Algerians have become an important foreigner group in France. After the war, however, they became a target of social discrimination based on deepened antipathy, as well as racial, religious and cultural heterogeneity. Institutional migration restrictions in the early and mid 1970s showed that the Algerian immigrants in France were viewed as an unacceptable group. Among the articles reported on 《Le monde》, social perception of the Algerian immigrants in France have changed since the Algerian War. During the wartime, those articles show a tendency that France recognizes the war as a internal affair, and consider the Alge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as destroyers of social order. Articles about crimes at the Metropolitan France described the Algerian immigrants as a threat of French society’s security. After the war, from the early 1960s to the mid 1970s, articles on algerian immigrants crime in 《Le mond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reproduce negative images of them. The collective action of them to resist against discrimination in 1970s, and public supporting for them were not covered by newspapers in France. However, the increment of articles concerning social an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them, and arguing for an active discussion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since the 1970s shows that there has been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the issues on them. Algerian immigrants, who were perceived as a threat to social security during the war, were changed into a target of discriminations and resistors to the discriminations. In addition, there was perception among French society that such discriminations in which prejudice, misunderstanding, an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re tangled were a fundamental problem of the society. 프랑스의 알제리 이주민은 오랫동안 ‘외국인’, ‘아랍인’, ‘무슬림’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 반이주민정서의 주요 대상이었다. 언론의 보도는 그들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이는 사회에 통용되는 인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중앙지인 『르몽드』에 보도된 알제리인 관련 기사들의 제목 및 내용, 보도 주제 등을 분석함으로써 알제리 이주민에 대한 프랑스 사회의 인식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알제리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알제리 전쟁 시기부터 그들의 프랑스 이주가 제도적으로 중지된 1976년 4월까지의 기사에 집중하였다. 알제리인의 프랑스 이주는 1954년 11월 1일 발발한 알제리 전쟁을 기점으로 본격화되었다. 1970년대 중반까지 이어진 대규모 이주를 통해 알제리 이주민은 프랑스 내 주요한 이방인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쟁 이후 심화된 반감과 인종적·종교적·문화적 이질성 등의 이유로 인해 사회적 차별의 대상이 되었다. 1970년대 초중반에 행해진 제도적 이주 제한은 프랑스로 유입되는 알제리인들이 기피의 대상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르몽드지에 보도된 기사들을 중심으로 프랑스 내 알제리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알제리 전쟁을 기점으로 그 성격에 차이를 보인다. 알제리 전쟁 기간 동안 르몽드지에 보도된 기사들은 전쟁을 프랑스 내부의 문제로 바라보는 경향을 띠며, 이에 가담한 알제리인 역시 사회 질서를 파괴하는 존재로 인식하였다. 프랑스 본토에서 발생한 알제리 이주민 관련 범죄에 대한 기사는 그들을 프랑스 사회의 치안을 위협하는 존재로 묘사하였다. 전후 1960년대 초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르몽드지가 보도한 알제리 이주민 가해 범죄 보도들은 그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였다. 1970년대 본격화된 차별에 저항하는 알제리인들의 집단행동과 그들을 지지하는 사회적 여론은 지속적인 보도의 대상이 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알제리 이주민에게 가해지는 사회적·제도적 차별과 폭력,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프랑스 사회의 적극적인 논의를 주장하는 기사들이 1970년대 이후 증가한 것은 알제리 이주민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전쟁 기간 동안 사회적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던 알제리 이주민은 차별의 대상이자 이에 저항하는 존재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프랑스 사회 내에서는 이러한 차별이 편견과 오해, 그리고 제도적 차별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사회의 근원적인 문제라는 인식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 특발성 막성사구체신병증의 신사구체 alpha-smooth muscle actin 및 vimentin 발현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이민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막성사구체신병증은 성인에서 신증후군을 일으키는 흔한 질환의 하나로. 자연적인 관해부터 밭기 신부전증으로의 진행까지 다양한 임상 경과를 나타낸다.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α-smooth muscle actin(α-SMA)에 양성 반응을 보이는 간질의 근섬유모세포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α-SMA이 사구체 내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근섬유모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는 또 다른 세포 골격 단백인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함께 시행하여 이들의 발현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예후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스물 네 명의 특발성 막성사구체신병증(IMN: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환자를 선택하여 이들의 조직 학적 소견을 재검토하고 사구체 내에서 α-SMA 과 vimentin에 양성을 보인 세포들이 전체 사구체에서 차지하는 양을 형태계측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여 5명의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진단 당시 및 추적 관찰 후의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다섯 명의 환자들은 치료 후에도 지속되는 신증후군을 보였고(P: progressive), 다른 19명의 환자들은 치료 후 정상적인 신 기능을 회복하였다(NP: non-progressive) 모든 IMN 환자에서, 사구체 α-SMA(평균:13.6 ±10.3%)과 vimentin(평균:31.7 ± 10.2%)은 정상 대조군(α-SMA평균: 0.13±0.1%), vimentin 평균 9.47±3.9%)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발현률을 보였다. 사구체 α-SMA은 대부분 사구계의 혈관사이세포(mesangial cell) 세포질 및 혈관사이기질(mesangium)에 분절성 혹은 미만성 발현을 보인 반면, 사구체 vimentin은 혈관사이 세포 및 혈관사이 조직보다는 족 세포, 모세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되어 두꺼워진 기저막을 따라 미만성으로 강한 양성을 보였다. 사구체 α-SMA은 진행성인 환자의 경우(평균: 26.5±7.0%) 비진행성 환자 (평균: 10.2±8.1%)에서보다 의미 있게 높은 발현률을 나타내었다. 사구체 α-SMA과 진단 당시 및 마지막 추적 관찰시의 BUN 및 creatinine 수치와의 상관성을 관찰해 본 결과 마지막 추적 관찰시의 BUN 및 creatinine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반면, 사구체 vimentin은 진행성과 비진행성 환자의 경우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UN 및 creatinine 수치와의 상관성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저자는 특발성 막성사구체신염에서 사구체 α-SMA이 진행성과 비진행성 환자를 판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Membranous neph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est forms of nephrotic syndrome in adults. The natural history of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IMN) is heterogeneous with some patients showing spontaneous remission while others having a progressive course leading to end-stage renal failure. Histologically, interstitial myofibroblasts has been linked with the progression of the various glomerular disease.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assessed glomerular α-smooth muscle actin(α-SMA) and vimentin expression as a marker to predict the outcome of membranous nephropathy. We have reviewed 24 patients with biopsy proven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and obtained clinical and follow up data. There were 5 patients with progressive IMN(P) and 19 patients with non-progressive IMN(NP) after steroid treatment. We analysed morphometrically to measure the volume of positive area for α-SMA and vimentin within the glomeruli in IMN patient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5 normal control group. In all patients, glomerular α-SMA(mean: 13.6±10.3%) and vimentin(mean:31.7=10.2%) in IMN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mean of α-SMA: 0.13±0.1%, and of vimentin: 9.47±3.9%). The patients with higher glomerular α-SMA also showed increased interstitial α-SMA positive cells but the expression of vimentin was shown mainly in the glomeruli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glomerular and interstital vimentin expressions.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eween the glomerular α-SMA and glomerular vimentin expressions. Glomerular α-S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mean: 26.5±7.0%) than in NP(mean: 10.2±8.1%). We compared glomerular α-SMA with BUN and serum creatinine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last follow up. The correlations of glomerular α-SMA with last follow up BUN and serum creatin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those with initial BUN and serum creatinine were not significant. The glomerular vimentin was not different between P(mean: 33.1±15.2%) and NP(31.4±9.0%). There were no correlations of glomerular vimentin with BUN and creatinin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glomerular α-SMA may be a useful prognostic indicator and can b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patients with membranous nephropathy who respond to treatment and those who continue to progress.

      • 간호사를 위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및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 개발

        이민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심정맥관 삽입환자의 간호를 위하여 기존의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수용·개작하는 과정으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로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통하여 중심정맥관관리의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기존의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여 검색한 가이드라인의 질 평가를 수행하고 질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 가이드라인을 선택하였다. 3단계로 도출된 핵심요인에 따라 권고안을 선택하여 프로토콜의 초안을 구성한 후 4단계로 개발된 프로토콜 초안의 전문가 집단 타당도 검증을 설문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5단계로 전문가 집단 타당도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한 뒤, 6단계로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을 제작하고 전문가 집단에서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은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이다. 1.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통해 도출된 중심정맥관관리의 핵심요인은 중심정맥관의 삽입, 유지, 제거, 기타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2. 국내외의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 및 가이드라인 포털 사이트에서 중심정맥관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였고 검색된 8개의 가이드라인 중 7개를 1차 선택하였다. 1차 선택한 가이드라인은 K-AGREE II를 사용하여 질 평가를 시행한 뒤 7개의 가이드라인을 최종 선택하였다. 최종 선택된 가이드라인의 중심정맥관관리 핵심요인과 면담에서 도출된 핵심요인을 비교하여 부족한 요인을 보완하였다. 3. 보완된 핵심요인과 최종 선택된 가이드라인을 종합 및 분석하여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초안은 중심정맥관의 삽입영역 8문항, 유지영역 25문항, 제거영역 7문항, 기타영역 2문항으로 총 4개 영역, 20개 핵심요인,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4.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초안의 전문가 집단 내용 타당도는 평균 0.97로 나타났으며 각 항목별 CVI 값은 삽입영역 1.0, 유지영역 0.95, 제거영역 1.0, 기타영역 1.0으로 나타났다. 5.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를 반영하여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총 4개 영역, 20개 핵심요인,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6. 최종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반영한 동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였다.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은 약 25분으로 제작되었다. 7. 제작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간호사 대상의 전문가 집단에서 검증하였다. 간호사들은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이 접근성이 편리하며, 프로토콜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었고 임상에서 중심정맥관관리에 대한 학습에 유익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지식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간호사를 위하여 최신 근거에 기반한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했을 뿐 아니라 임상 간호사의 교육에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반영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을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및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아진다면 중심정맥관관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지식과 수행도를 향상하여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 및 환자안전사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근거기반 중심정맥관관리 프로토콜 교육 동영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vidence-based central venous catheter(CVC) management protocol by accepting and modifying existing CVC guidelines, and produce a training video based on the developed protocol for nurses.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In step 1, we drove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thorough out the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who were medical doctors or nurses. In step 2, we searched for existing CVC guidelines on major database web sites and guideline portal sites. Next, we evaluated the quality of existing CVC guidelines and selected the most suitable guidelines following K-AGREEⅡ for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protocol. Finally, seven guidelines were selected. In step 3, according to the driven key factors in step 1, we composed draft protocol. Then, a validation of the draft protocol were performed in step 4. A group of experts validated the draft by a survey. In step 5, the final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ere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from step 4. In step 6, the last, we produced a training video based on the developed protocol for nurses and performed user validation through a group of exper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ollowed. 1.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driven through group interviews of experts was consisted of four domains: insertion, maintenance, removal, and others. 2. CVC guidelines were searched on major database web sites and guideline portal sites. We found 8 guielines, and used K-AGREE II to evaluate the quality. As a result, we selected 7 guidelines that were suitable. We modified the selected guidelines by comparing the key factors of CVC management that were driven from the group interview. 3. The draft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consisted of 4 domains, 20 key factors, and 42 items. 4.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by the experts of the draft protocol showed an average of 0.97. The average of each items were followed: CVI values insertion 1.0, maintenance 0.95, removal 1.0, and other 1.0. 5. The final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The final protocol consisted of 4 domains, 20 key factors, and 41 items. 6. We produced a training video reflecting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for nurses. The video’s running time was approximately 25 minutes. 7. The validity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training video was verified by a group of experts of nurses. Overall,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training video was beneficial, there was no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protocol, and it was convenient to learn the protocol.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in developing a CVC management protocol based on evidence for nurses who are difficult in acquiring proper CVC protocol, but also in developing a training video program that is convenient and efficient to use. We expect that if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protocol and the developed training video are increased, nurses’s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CVC management will be increased as well, as such, it will contribute to reducing central line-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CLABSI) and patient safety incident. We propose a follow-up study to continuously apply the evidence-based CVC management video program and check its effectiveness.

      •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의 영어 대응 양상 연구 : 한·영 병렬 말뭉치를 중심으로

        이민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to analyze the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to help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To this end, the discussions ar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goals; first,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its features; second, to analyze the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and third, to study the differences in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ing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presents a review of related previous studies. The Korean learners learn the connective ending ‘-eumyeon’ in the beginner level, and it is very widely used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But most of the contrastive studies were focused only on the Chinese and argued for the need for contrastive studies in the English language. It also introduced the procedures, methods, and data of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including contrastive analysis and parallel corpus. Contrastive analysis relates to the study method of this study, and a parallel corpus is a theory about the analysis data, which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ior to this study. Chapter 3 describes the meanings of connective ending ‘-eumyeon’ based on the dictionaries and previous studies. In the conditional clause, the “condition” itself decides whether the whole sentences are true or false. therefore a studies on the “condition” were analyzed. Compound conjunctive forms and restructured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related to ‘-eumyeon’ are also covered in this study. A sample corpus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cribe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Chapter 4 discovers the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of ‘-eumyeon’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arallel corpus, Using the result of the sample corpus analysis in chapter 3, it reveals that ‘-eumyeon’ corresponds to if-clause>prepositional phrase>to-infinitive phrase>noun phrase>when-clause> participial phrase>conjunctive clause>incomplete subjunctive mood>inversion. If-Clause was dominant in the spoken language, and the prepositions, participial phrase, and conjunctive clause were superior in the written language. After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shows actual contrastive analysis of ‘-eumyeon’. If-cluase is able to address the most various types of condi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onditional and consequential clause could also be changed. Prepositional phrases often represent time conditions and infinitive phrases were often corresponds to ‘-ryomyeon’. When-clause was not used in imaginary condition, nor in the time con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words that imply negative meaning in the word itself need to be dealt with separately because in this case the Korean language appears to be a combination of ‘-eumyeon’ and the other word.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refers to ways to apply the results of the study to English-speaking learners when teaching or learning.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using a parallel corpus to examine complex aspects of English correspondence patterns and to prepare contrastive analysis data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to study th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eumyeon’. The study could be used to produce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lessons for the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의 의미기능을 알아보고, 영어 대응 양상을 분석하여 영어권 학습자가 ‘-(으)면’을 학습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의 세 가지 세부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의 의미기능을 분류한 후 그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한․영 병렬 말뭉치에서 ‘-(으)면’의 영어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분석결과에서 문어와 구어에서의 영어 대응 양상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폈다. 1장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의 영어 대응 양상에 관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으)면’이 초급에서 학습되는 연결어미이고 고빈도 연결어미이나 기존의 ‘-(으)면’의 대조 연구가 중국어권에만 집중된 점을 지적하고, 영어권 대조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 분석 자료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159,040어절, 영어 229,213어절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구어와 문어 자료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의 영어 대응 양상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인 대조분석과 병렬 말뭉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조분석 이론은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관련이 있으며, 병렬 말뭉치는 분석 자료에 대한 이론으로 본 연구에 앞서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사전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결어미 ‘-(으)면’의 의미 영역을 살펴보았다. 조건문은 ‘조건’이 문장 전체의 참과 거짓을 나누기 때문에 ‘조건’의 성격에 대한 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으)면’과 함께 분석하는 ‘-(으)면’의 통합 연결어미와 복합 연결구성을 정리하였다. 영어 실현 양상을 기준으로 서술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표본 말뭉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한영․영한 병렬 말뭉치의 계량적 분석을 통하여 연결어미 ‘-(으)면’의 영어 대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 실시한 표본 말뭉치 분석에서 나온 10가지 영어 실현 양상을 기준으로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적 분석의 결과 연결어미 ‘-(으)면’은 If절>전치사구>부정사구>명사구>when절>무표지>분사구>접속사절>불완전 가정문>도치 순으로 영어 분포 결과가 도출되었다. if절은 구어에서 우세를 보였으며 전치사구, 분사구, 접속사절은 문어에서 우세를 보였다. 계량적 분석 이후에는 영어 실현 양상을 기준으로 말뭉치에서 연결어미 ‘-(으)면’이 영어 대응문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폈다. if절은 가장 넓은 조건 유형을 다룰 수 있었으며, 조건절과 결과절의 위치도 변경이 가능하였다. 전치사구는 시간적 조건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고, 부정사구는 의도를 나타내는 ‘-려면’으로 실현되는 비중이 높았다. when절은 상상적 조건에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시간적 조건으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았다. unless나 without과 같이 부정의 뜻을 단어 자체에 내포하고 있는 단어들은 한국어는 ‘-(으)면’과 부정을 나타내는 단어의 조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별도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으)면’을 교수․학습 할 때 연구 결과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조건 연결어미 ‘-(으)면’을 한영․영한 말뭉치를 이용하여 귀납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영어 대응 양상을 복합적으로 살피고 영어권 학습자가 ‘-(으)면’을 학습하는 데에 대조 분석 자료를 마련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제작이나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 수학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관한 고찰 : 기초수학 수준별 분반 수업을 중심으로

        이민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과학의 기초로서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공학적 학문을 배우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위계성이 높은 수학이기 때문에 기초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수학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진다. 더욱이 자연계열 학생들은 인문계열 학생들보다 심화적인 내용을 더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인문계열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공계 기피현상이 일어났으며 수학교과에 대한 심각한 학력저하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대학 입시전형이 정시전형 뿐만 아니라 수시전형, 농어촌 학생 전형, 입학사정관 전형, 전문계 특별전형 등의 특별전형이 생겨났고, 교차지원으로 인해 학생들 간의 학력차이가 심해져 대학 수학의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그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에서는 기초수학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력저하와 수준차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여, 학생들이 수학의 기초학력이 부족하게 된 시기와 원인을 알아보았고, 이런 기초학력 저하를 막기 위해 실시된 기초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만족을 주며 어떤 효과를 주고 있는지를 최근 자료와 설문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그에 따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기초수학 수업에서 과제 또한 수준별 수업의 일환인 Webwork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게 일반과제와 비교하여 Webwork 시스템 활용과제가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아쉬운 점들 또한 조사하여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 자기-가치 확인과 능동적 정서조절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효과 :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을 중심으로

        이민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examined effects of 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ffirmation on the uncertainty intolerance people`s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participants was selec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N=42) and 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N=42).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imagined they were in the situation that they selected the uncertainty scenario task. And then they reported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VAS(Visual Analogue Scale). Participants should write one task (active emotional regulation task or self-affirmation) for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reported psychological well-being again about the uncertainty scenario task. The result were follow: (1) in the uncertainty situ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report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2)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is more effective at the active emotional regulation, 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is indifference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 affirmation. Fin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정서조절과 자기-가치 확인이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74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참가자 선발 질문지(IUS-12)를 실시하여 불확실성 비내성 집단 42명, 불확실성 내성 집단 42명을 선발하였다. 각 집단은 성별과 IUS-12 점수를 고려하여 능동적 정서조절과 자기-가치 확인 처치 집단에 배정되었으며, 불확실성 시나리오 과제를 통해 불확실함을 유발하고, 그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안녕감을 글쓰기 전, 후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보고하는 심리적 안녕감은 불확실성 내성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처치 후 심리적 안녕감은 불확실성 비내성 및 내성 집단이나, 글쓰기 처치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불확실성 비내성 집단의 경우 능동적 정서조절이 자기-가치 확인에 비해 더 높은 심리적 안녕감 변화를 나타냈고, 불확실성 내성 집단의 경우 글쓰기 처치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 LED미디어파사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조명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민진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도시의 야경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면서, 건물경관조명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현대인들은 밤낮 구별없이 야간의 활동영역이 확대되면서 경관조명과 정보전달 요소가 결합된 미디어파사드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한정적이고 유사한 콘텐츠만으로는 대중과의 감성적 정보전달 요소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대중들과 소통하는 미디어 기능의 한 요소로 자리잡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와 이를 구현하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미디어파사드의 경우 예술작품이나 대중의 참여를 통해 연출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정부의 공공디자인 정책으로 인한 제한적인 연출이 대다수를 이루어 아직 국외에 비해 도입 사례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미디어파사드는 현재 변화되어 가는 패러다임에 따라 기존 미디어파사드 항목인 형태, 패턴, 색상, 장식, 재료 항목과 인터랙티브, 예술성 항목을 결합하여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였고, LED미디어파사드에 해당하는 조명디자인 기준을 세워 각 유형별 조명디자인 요소를 새롭게 분석해 보았다. 위의 분류된 유형과 그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으로 미디어파사드를 잘 표현했는지 만족도 조사를 통해 연구하여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연구진행 방법으로는 LED미디어파사드를 기존 미디어파사드의 기능적 분류와 새롭게 추가된 2가지의 항목(인터랙티브, 예술성)이 추가되어 주성분분석을 통해 주요 항목(형태, 예술성, 색상, 패턴, 인터랙티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83개를 대상으로 상관분석법을 통해 상관성이 높은 샘플을 분류하였고, 이를 도출된 5가지 주요 항목에 해당하는 샘플로 최종 분류하였다. 이는 건축형태를 부각시키는 미디어파사드, 예술작품 표현방식의 미디어파사드, 색상연출로 구성된 미디어파사드, 패턴 표현방식의 미디어파사드, 인터랙티브 방식의 미디어파사드이다. 이러한 유형별 조명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경관조명 디자인 요소, 조명디자인 전문가, LED미디어파사드 홈페이지에 따라 조명방식, 조명기법, 변화방식, 색상, 표현방식 기준을 세워 미디어파사드의 조명디자인을 분석해 보았다. 위의 새롭게 분류된 5가지 유형과 그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분석결과를 결합하여 서울시 미디어파사드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첫 번째, 각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유형에 따라 조명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적용하는것이 가장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 조명디자인 기준에서 어떠한 미디어파사드의 유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외 미디어파사드 각 유형별로 조명디자인 기술을 파악하고 향후 LED미디어파사드 디자인설계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향후 미디어파사드와 다양한 IT기술의 결합으로 단순히 프로그래밍된 연출을 넘어 쌍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는 디자인을 지향하며, 나아가 대중이 창출하고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