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토양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이민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OPs are endocrine disrupters and persistent in the environment, having long half-lives in air, soil, sediments or biota. Because of their lipophilic nature, they tend to accumulate in higher trophic animals through food chain. Nowdays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levels and profile of POPs in soil in Korea.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evels of POPs in soil by land use and identify congener profiles of PCBs, PCDD/Fs in soil in Korea. So compared congener patterns of soil samples with those of possible sources. 50 samples of soil were collected that divides scale of city of Korea and choose metropolitan Seoul and small town Jeon-ju and industrial area, oil-immersed transformer company neighborhood, agriculture area to sampling c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s and emission source, POPs (12 compounds) were analyzed selectivel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centrations of DDTs, HCB, PCBs, PCDD/Fs in soil in this study were in range of ND~38.19㎍/㎏(avg. : 1.683㎍/㎏) , ND~1.324㎍/㎏(avg. : 0.181㎍/㎏), ND~172.116㎍/㎏(avg. : 8.753㎍/㎏), ND~15.619pg-TEQ/g(avg. : 0.857pg-TEQ/g), respectively. The industry area was found to be highly contaminated. In case of DDTs, the presence of a high proportion of p,p'-DDE and p,p'-DDT in the environment is indicative of recent use or continuing inputs of the technical DDTs. Based on this,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relatively recent input of DDTs in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HCB concentration in soil indicated that its emission source was from combustion rather than agricultural impurities. In case of PCBs, total 209 isomers of PCBs were analysed. Major sources of PCBs are thought to be PCBs in PCB products(Aroclor). The ∑PCDFs concentration in the industry area soil was higher than ∑PCD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 source of dioxin in the soil is from incinerator exhausting gas.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대체문항 결과타당도 연구

        이민진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alternate test items on the 2010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total of 135 students without visual impairments at a middle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ixty-nine students from one boys' class and girls' clas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ile sixty-six students from another boys' class and another girls'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conditio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Alternate Group) were asked to solve 28 social studies questions, including 17 alternate ones, and 23 math questions, including 13 alternate ones. Students in the control condition (Original Group) were asked to solve 28 social studies questions and 23 math questions without any alternate ones in either subjec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otal score of either subject and subtotal scores of alternate items and nonalternate items in either subject.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rious types of alternate items, respectively, in either subject; an exception was that the Alternate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modified social studies question than did the Original Group. Chi-square analyses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orrection rate for only three of 17 test items in social studies and 5 test items in math. These results imply the high consequential validity of alternate test items on the 2010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자기-가치 확인과 능동적 정서조절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효과 :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을 중심으로

        이민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examined effects of 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ffirmation on the uncertainty intolerance people`s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participants was selec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N=42) and 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N=42).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imagined they were in the situation that they selected the uncertainty scenario task. And then they reported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VAS(Visual Analogue Scale). Participants should write one task (active emotional regulation task or self-affirmation) for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reported psychological well-being again about the uncertainty scenario task. The result were follow: (1) in the uncertainty situ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report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2) in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is more effective at the active emotional regulation, tolerance of uncertainty group is indifference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 affirmation. Fin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정서조절과 자기-가치 확인이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74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참가자 선발 질문지(IUS-12)를 실시하여 불확실성 비내성 집단 42명, 불확실성 내성 집단 42명을 선발하였다. 각 집단은 성별과 IUS-12 점수를 고려하여 능동적 정서조절과 자기-가치 확인 처치 집단에 배정되었으며, 불확실성 시나리오 과제를 통해 불확실함을 유발하고, 그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안녕감을 글쓰기 전, 후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불확실성 비내성자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보고하는 심리적 안녕감은 불확실성 내성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처치 후 심리적 안녕감은 불확실성 비내성 및 내성 집단이나, 글쓰기 처치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불확실성 비내성 집단의 경우 능동적 정서조절이 자기-가치 확인에 비해 더 높은 심리적 안녕감 변화를 나타냈고, 불확실성 내성 집단의 경우 글쓰기 처치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 대학 수학에서의 수준별 수업에 관한 고찰 : 기초수학 수준별 분반 수업을 중심으로

        이민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과학의 기초로서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공학적 학문을 배우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위계성이 높은 수학이기 때문에 기초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수학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진다. 더욱이 자연계열 학생들은 인문계열 학생들보다 심화적인 내용을 더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인문계열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공계 기피현상이 일어났으며 수학교과에 대한 심각한 학력저하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대학 입시전형이 정시전형 뿐만 아니라 수시전형, 농어촌 학생 전형, 입학사정관 전형, 전문계 특별전형 등의 특별전형이 생겨났고, 교차지원으로 인해 학생들 간의 학력차이가 심해져 대학 수학의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그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에서는 기초수학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력저하와 수준차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여, 학생들이 수학의 기초학력이 부족하게 된 시기와 원인을 알아보았고, 이런 기초학력 저하를 막기 위해 실시된 기초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만족을 주며 어떤 효과를 주고 있는지를 최근 자료와 설문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그에 따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기초수학 수업에서 과제 또한 수준별 수업의 일환인 Webwork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게 일반과제와 비교하여 Webwork 시스템 활용과제가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아쉬운 점들 또한 조사하여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 LED미디어파사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조명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민진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도시의 야경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면서, 건물경관조명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현대인들은 밤낮 구별없이 야간의 활동영역이 확대되면서 경관조명과 정보전달 요소가 결합된 미디어파사드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한정적이고 유사한 콘텐츠만으로는 대중과의 감성적 정보전달 요소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대중들과 소통하는 미디어 기능의 한 요소로 자리잡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와 이를 구현하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미디어파사드의 경우 예술작품이나 대중의 참여를 통해 연출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정부의 공공디자인 정책으로 인한 제한적인 연출이 대다수를 이루어 아직 국외에 비해 도입 사례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미디어파사드는 현재 변화되어 가는 패러다임에 따라 기존 미디어파사드 항목인 형태, 패턴, 색상, 장식, 재료 항목과 인터랙티브, 예술성 항목을 결합하여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였고, LED미디어파사드에 해당하는 조명디자인 기준을 세워 각 유형별 조명디자인 요소를 새롭게 분석해 보았다. 위의 분류된 유형과 그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으로 미디어파사드를 잘 표현했는지 만족도 조사를 통해 연구하여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연구진행 방법으로는 LED미디어파사드를 기존 미디어파사드의 기능적 분류와 새롭게 추가된 2가지의 항목(인터랙티브, 예술성)이 추가되어 주성분분석을 통해 주요 항목(형태, 예술성, 색상, 패턴, 인터랙티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83개를 대상으로 상관분석법을 통해 상관성이 높은 샘플을 분류하였고, 이를 도출된 5가지 주요 항목에 해당하는 샘플로 최종 분류하였다. 이는 건축형태를 부각시키는 미디어파사드, 예술작품 표현방식의 미디어파사드, 색상연출로 구성된 미디어파사드, 패턴 표현방식의 미디어파사드, 인터랙티브 방식의 미디어파사드이다. 이러한 유형별 조명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경관조명 디자인 요소, 조명디자인 전문가, LED미디어파사드 홈페이지에 따라 조명방식, 조명기법, 변화방식, 색상, 표현방식 기준을 세워 미디어파사드의 조명디자인을 분석해 보았다. 위의 새롭게 분류된 5가지 유형과 그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분석결과를 결합하여 서울시 미디어파사드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첫 번째, 각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유형에 따라 조명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적용하는것이 가장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 조명디자인 기준에서 어떠한 미디어파사드의 유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외 미디어파사드 각 유형별로 조명디자인 기술을 파악하고 향후 LED미디어파사드 디자인설계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향후 미디어파사드와 다양한 IT기술의 결합으로 단순히 프로그래밍된 연출을 넘어 쌍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는 디자인을 지향하며, 나아가 대중이 창출하고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자 한다.

      • F. J. Haydn의「Piano Sonata Hob. ⅩⅥ : 50」에 관한 연구

        이민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은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과 함께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교향곡과 현악4중주, 바리톤 트리오, 미사곡, 오페라, 건반 음악에 다수의 작품을 작곡하였으며 특히 건반 소나타 형식을 확립한 오스트리아 작곡가이다. 또한 하이든은 “교향곡의 아버지” 라 불릴 만큼 교향곡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는데 이에 비해 그의 건반 소나타는 덜 중요시 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든이 모차르트나 베토벤과 같은 뛰어난 건반 연주자가 아니었음에도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작곡된 건반 소나타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재평가 되고 있다. 하이든의 52개 건반 소나타는 1750-1795년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 그의 나이 10대 후반부터 60대 초반까지 약45년 동안 쓰여졌다. 작품 초, 중기에는 하프시코드와 클라비코드를 위한 작품이 대부분이며 후기에는 포르테피아노를 위해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든의 생애와 건반 음악을 건반 소나타와 소나타 이외의 건반 솔로 작품으로 구분하였고 52개의 건반 소나타를 세 시기로 나뉘어 각 시기의 특징과 소나타 이외의 건반 솔로 작품의 시기와 특징도 소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주제인「Piano Sonata Hob. ⅩⅥ : 50」은 52개의 건반 소나타 중 후기에 속하는 곡으로 하이든의 완숙함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 대한 배경과 곡의 구조, 조성을 살펴보고 화성, 짜임새, 동기의 활용, 반주음형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여 하이든만의 독특한 작곡 어법을 연구하였다. Franz Joseph Haydn(1732-1809)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ustrian composers of the classical period along with Mozart and Beethoven. He composed a large number of works of symphonies, string quartets, baryton trios, masses, operas and keyboard compositions. In particular, he established and developed sonata form, in instrumental genres. Haydn is often called "the father of the symphony" because of his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symphonies. Comparing to his symphonies his keyboard sonata work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Nowadays the study of his keyboard sonatas is being reevaluated. Although he was not a prominent keyboard performer such as Mozart and Beethoven, he wrote more then 50 sonatas and other works for piano. Haydn's more then 50 piano sonatas are composed between 1750 and 1795, form his age of late teens to early sixty, for forty-five years. Pieces composed in the early and the middle periods are mostly for a harpsichord or a clavichord, and the later works are for a fortepiano. This paper briefly deals with his life and his keyboard works. Furthermore, his keyboard works are categorized into keyboard sonatas and other piano solo compositions in three periods. Each period's timespan and characteristic traits are also provided. The 「Piano Sonata Hob. ⅩⅥ : 50」,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one of his later works among the fifty-two piano sonatas that show matur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 composer. The background, structure, harmony, thematic organization, and the accompaniment figures are discussed. The paper concludes with the list of the selected bibliography.

      • 고체산화물전지의 고내구성 연료극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Supply of renewable energy sources from the solar and the wind is essential to replace limited fossil fuels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global warm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demand and supply do not match due to intermittent production.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Solid Oxide Cell (SOC) system, which uses hydrogen as a storage/carrier of electricity and produces electricity utilizing hydrogen as a fuel for fuel cells, is drawing attention. Solid Oxide Fuel Cell(SOFC) has a mechanism to produce electricity and water vapor with hydrogen as fuel at high temperatures.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SOEC) is a technology using the SOFC reverse reaction, which produces hydrogen by electrolysis of water vapor. SOC can be used as a next generation electricit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 that produces electricity from hydrogen or produces hydrogen from electricity as needed in a single electrochemical device. In this study, it is a goal to improve the fuel electrode performance of the SOC and to develop the high durability fuel electrode according to the long term operation.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high performance, high durability oxide fuel electrode for SOFC and developed a highly durable fuel electrode for long-term operation on cell capable of bi-directional operation of SOFC/SOEC. The Ni/YSZ cermet, which is used as a representative fuel electrode materials of SOFC, has high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it has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coarsening of Ni particles, change of microstructure in oxidation-reduction atmosphere and carbon deposition when used hydrocarbon fuel for a long term.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a La-doped SrTiO3(LST) oxide material having excellent stability in an oxide/reduce atmosphere and high conductivity in a reduce atmosphere is chosen as a fuel electrode. However, since LST material has a low catalytic properties, Ni and GDC which carry excellent catalytic properties are composed by infiltration. As a result, Ni and GDC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LST particles by the infiltration process, and the polarization resistance(Rp) is remarkably reduced by the application process of Ni, GDC an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e of Ni:GDC. Furthermore, we wanted to develop an oxide fuel electrode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highly performance in a dynamic operating environment such as oxidation-reduction. LSTN fuel electrode materials is synthesized by substituted Ni, which has excellent catalytic activity, on the titanium lattice of LST. The LSTN material has a microstructure in which nano-sized Ni particles are being ex-solution on the LST surface due to the reduction atmosphere exposure. A high performance cell was fabricated by optimizing the composition of LST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durability have been identified by 20 cycles of redox evaluation witn the change of hydrogen-air supply gas. In order to develop a high durability fuel electrode in bi-directional operation for SOFC/SOEC, a bi-directional cell is fabricated an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gradation behavior of the Ni/YSZ fuel electrode are analyzed. The cell performance and degradation behavior of the fuel electrode at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water vapor partial pressure are determined to be more influenced in the SOEC mode than the SOFC mode. The 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fuel electrode is the change of the microstructure due to the oxidation of Ni and the decrease of the electrochemical activ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reaction point.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technique to prevent the oxidation of Ni by trying composition of the Ni/YSZ fuel electrode with a metal which tend tocy to ionize more than Ni. The Ni/YSZ fuel electrode complexed iron showed that durability of the cell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Ni/YSZ fuel electrode, and the microstructure of fuel electrode did not change. In addition, we have developed a process to apply iron composite Ni/YSZ material to fuel electrode supported cell. And, the high durability characteristic of the fuel electrode is checked in the long-term operation test of 580hours on the application of 0.1A current in the 50%_H2O/50%_H2 fuel atmosphere at 700℃. 제한된 화석 연료를 대체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태양 및 풍력 같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의 공급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간헐적인 생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수소를 전기의 저장/운반체로서 사용하고, 연료전지에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형태의 고체산화물전지(Solid Oxide Cell, SOC)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고온에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와 수증기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을 갖는 반면, 고체산화물전해전지(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SOEC)는 SOFC 역반응을 이용한 기술로서, 수증기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한다. SOC는 한 개의 전기화학적 디바이스에서 필요에 따라 수소로부터 전기를 생산하기도 하고 전력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차세대 전력 생산 및 저장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OC의 연료극 성능 향상과 장시간 운전에 따른 고내구성의 연료극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에 따라 SOFC 용 고성능, 고내구성 산화물 연료극 개발과 SOFC/SOEC 양방향 운전이 가능한 전지에서 장시간 운전에 따른 고내구성 연료극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SOFC의 대표적 연료극 재료로 사용되는 Ni/YSZ cermet은 고온에서 높은 전기화학적 성능을 갖는다. 하지만 장시간 운전에 따라 Ni 입자의 조대화, 산화-환원 분위기에서의 미세구조변화, 탄화수소 연료 사용 시 탄소침적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산화/환원 분위기에서 우수한 안정성과 환원 분위기에서 높은 전도도의 특성을 갖는 La이 치환된 SrTiO3(LST) 산화물 소재를 연료극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LST 소재는 촉매활성이 낮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침윤공정(infiltration)을 이용하여 촉매활성이 우수한 Ni과 GDC를 나노 복합화 하였다. 그 결과, 침윤공정에 의해서 Ni과 GDC는 LST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였고, Ni과 GDC의 적용 공정 및 Ni:GDC 조성에 따른 효과에 의해서 분극저항(Rp)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화-환원과 같은 동적인 작동환경에 안정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산화물 연료극을 개발하고자 LST의 titanium 격자에 촉매활성이 뛰어난 Ni을 치환하여 LSTN 연료극 소재를 합성하였다. LSTN 소재는 환원분위기 노출에 의해 LST 표면에 나노 크기의 Ni입자가 석출(ex-solution)되는 미세구조를 확인했다. 연료극으로 사용되는 LSTN의 조성을 최적화 하여 고성능의 전지를 제조하였고, 수소-공기 공급가스 전환에 따른 20cycle의 redox 평가를 통해 고내구성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OFC/SOEC 양방향 운전용 고내구성 연료극 개발을 위해서 양방향 운전이 가능한 전지를 제작하고, 양방향 모드에서 Ni/YSZ 연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열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고온과 고수증기분압의 조건에서 연료극의 전지 성능 및 내구성 열화거동은 SOFC모드 보다 SOEC모드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연료극 열화의 원인은 Ni 산화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와 반응지점 감소에 따른 전기화학적 활성 감소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Ni/YSZ 연료극에 Ni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복합화 하여 Ni의 산화가 억제되는 연료극 산화억제 기술을 개발하였다. Fe가 복합화 된 Ni/YSZ 연료극은 SOFC/SOEC 양방향 운전에 따른 내구성 평가에서 Ni/YSZ 연료극 보다 전지의 내구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미세구조도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Fe 복합화 Ni/YSZ 소재를 연료극 지지체 전지에 적용하는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700℃의 50%_H2O/ 50%_H2 연료분위기에서 0.1A 전류인가에 따른 580시간의 장기 운전 평가에서 연료극의 고내구성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마늘의 품종과 함량이 김치의 발효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진 慶熙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마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남도종과 단양종의 마늘을 0%, 2%, 3.5%, 5%(w/w)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환원당 함량, 미생물수 및 관능적 특성 변화 등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김치의 숙성중 마늘을 5%(w/w)첨가한 김치가 다른 김치보다 pH는 다소 높게 나타났고 산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단양종 마늘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 숙성 72시간 이후 명백히 나타났다. 그러나, 마늘을 2%와 3.5%(w/w)첨가한 경우는 pH와 산도의 변화가 유사한 것으로 보아 김치제조시 마늘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숙성시기가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김치에 5%(w/w)의 마늘을 첨가시 환원당의 소비와 미생물 증식도 완만하여 숙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김치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마늘의 영향은 마늘을 2%(w/w)첨가한 김치의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품종에 따라서는 단양종의 마늘을 첨가한 김치가 약간 높게 평가되었다.

      • 생활화학제품 중 탈취제품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평가에 관한 연구

        이민진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Household chemical products are used widely and regularly by people, often on a daily basis. People use household chemical products for household cleaning and personal care because they improve their living and sanitary conditions.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pointed out that some chemicals found in household chemical products may be associated with a risk of allergies, endocrine disruption, neurotoxicity, birth defects, or cancer. The inhalation of a water aerosol from a humidifier including biocidal ingredients has led to serious lung injuries and deaths in Kore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eople could be exposed to harzadous chemicals through household chemical products. To promote the safe use of products, health risk assessment and strict management of consumer products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level of hazardous ingredients in deodorizing consumer products, 47 of deodorizing products were selected. Given the concern over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hazardous ingredients in deodorizing consumer products, 42 ingredients were analyzed and assessed according to their health risk on 3 groups by the application type in 47 deodorizing products. The risk assessment study conduted by collecting toxicological information, hazard identification/exposure assessment, and screening and detailed assessment for inhalation and dermal routes. The maximum concentration and worst-case scenario determined by the deodorized product purpose and application type were used as the screening assessment, the 95th exposure factor values were used to estimate the assumed reasonable exposure to ingredients. The exposed concentrations of 21 ingredients were calculated. Due to limitation of toxicological information, butylated hydroxyl toluene and isopropyl alcohol for a consumer’s exposure via the dermal and inhalation was conducted for a detailed assessmen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gredients evaluated have no health risk at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deodorizing products. This approach can be us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ingredients that may pose dermal or inhalation hazards. 전 세계적으로 화학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방대한 양의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생활 및 위생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정제, 소독제와 같은 청소 관련 용품이나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방향제, 탈취제 등의 생활화학제품은 일상생활 속에서 광범위하고 자주 사용된다. 제품의 특성상 시장 내 짧은 유통주기도 갖고 있다. 생활화학제품은 활성 성분, 용매, 방부제 및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다양한 화학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러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생활화학제품에 살생물물질이나 방부제와 같은 항균성 화학물질을 사용할 경우 잠재적 발암 위험이나 피부발진, 알레르기, 눈 자극 및 호흡기 자극 등 여러 유형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안전한 화학물질 사용을 위해서는 화학물질이 제품화되어 소비자가 사용했을 때 건강 위험이 어떠한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건강 위험 평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품이 사용상에 어떠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생활화학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물질에 대해 제품 내 함유 여부 및 함량 실태를 조사하고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화학물질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생활화학제품 중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살생물제가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탈취제품에 대해 3단계로 나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탈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탈취제의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에 대해 조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42종의 유해화학물질을 선정하여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각 물질별 분석방법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및 국내외 연구논문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각 물질별 특성에 맞게 적합한 분석기기를 선정한 다음 최대한 그룹화하여 동시분석이 가능한 물질들을 그룹으로 묶어 진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장비는 GC-MS, GC-FID, HS-GC-MS, HPLC, LC-MS/MS, ICP-MS이다. 총 12개 그룹으로 나눠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분석방법은 검정곡선의 직선성, 결정계수, 정밀도, 정확도, 정량한계 등을 통해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여 개발된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두 번째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석방법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탈취제품의 함유량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검증이 완료된 분석방법으로 본 연구의 대상제품인 47개의 탈취제품에 대해 총 42종 화학물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42종의 화학물질 중 21종의 화학물질이 검출되었으며 BHT와 D4에 대한 검출률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탈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성분의 농도는 ‘최악의 시나리오’와 단일 소비자 제품 사용과 관련된 피부 및 흡입 노출의 위험 특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세 번째로 본 연구를 통해 탈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에 대해서는 노출 평가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공통 원칙을 작성하는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노출량은 42종 중 검출된 21종에 대해 실내공기용, 섬유용, 에어컨용으로 구분하여 흡입 노출과 경피 노출에 대해 상세평가(Tier 2) 방정식을 사용하여 노출량을 산정하였다. 이 중 목표 노출한계(MOE)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검출률이 높은 BHT와 IPA에 대해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대상 제품에서 BHT와 IPA는 계산된 초기 노출한계가 목표 노출한계보다 높기 때문에 충분히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BHT와 IPA 이외의 물질의 경우 독성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탈취제품의 함유량 실태조사 결과 검출량이 낮아 노출평가를 수행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탈취 제품에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소비자 노출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에 대한 노출 평가 연구와 소비자 제품 평가에 대한 노출 평가 및 위험 평가에 대한 공통 원칙을 작성하는 접근법 제시되었다. 탈취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흡입과 경피 노출 두 경로를 통한 제품 노출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소비자가 탈취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노출된 성분에 대해 흡입 및 경피 노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노출 시나리오는 사용된 탈취 제품의 가장 대표적인 최악의 시나리오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위해성 평가 접근법은 소비자 제품 지정에 대한 개선된 지침을 설정하고 흡입 및 경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새로 개발된 원료에 대한 제한을 설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