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문선영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M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2세 영아 12명(실험집단)과 Y군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2세반 영아 12명(통제집단)으로 총 24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23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7일까지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예비조사, 실험집단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이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를 6주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놀이성과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를 6주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창의성과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 호기심, 몰입, 탈규범성, 독립성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 전체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독립성을 제외한 하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실험집단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놀이성과 창의성에 대한 질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영아관찰기록 및 비디오 촬영, 교사들의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에 참여한 영아들은 매 회기마다 적극적인 놀이 과정과 다양하고 새로운 창의적 활동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보육 현장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주제의 푸드아트 오감놀이 세부 교육 활동들을 개발·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보육현장과 가정이 연계된 푸드아트 프로그램 역시 활용된다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art sensory play utilizing picture books 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in infants. The study targeted 24 infants: 12 from a daycare center in M city (experimental group) and 12 from a daycare center in Y county (control group), all aged 2.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food art sensory play using picture 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experimental treatment took place over six weeks, from November 1, 2023, to December 7, 2023, comprising 12 sessions. The treatment included preliminary investigation, teacher train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ing,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ing. Based on this, the study looked at how infants’ playfulness and creativity differ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a food art sensory play utilizing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llowing six weeks of conducting food art sensory play with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o assess variations in a level of playfulness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The avera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urpassed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fter six weeks of food art sensory play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valuated for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immersion, nonconformity, and independence. Individual subfactors, except independence,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the same as in the overall average for creativity. Third, qualitative changes in playfulness and creativity among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ed through child observation records, video recordings, and teacher interviews.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fants engaged in food art sensory play through picture books demonstrated active play processes and various creative activities in each sess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food art sensory play utilizing picture books contributes positively to enhancing infants’ playfulness and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viders ne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of food art sensory play using picture book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use diverse themed activities in this regard. Furthermore, integrating food art programs across childcare facilities and households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even more favorable results.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역할과 감정표현 연구

        홍지민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그림책은 사회적 가치와 태도를 반영하고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행동 기준이 드러난 역할을 묘사한다. 이러한 그림책을 통해 아동은 주변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타인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된다. 현재 우리 사회는 고령화라는 중요한 변화 이슈를 겪고 있고, 그 안에서 조부모는 손자녀 양육에 관한 역할을 수행해내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의 흐름 속에서 아동이 조부모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일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역할과 감정표현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창작 그림책이 그려내고 있는 조부모에 관한 역할 내용과 감정표현 종류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아동의 생활환경 안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만나고 있는 조부모라는 노인을 통해 아동이 노년의 삶에 대한 가치와 새로운 역할을 배워나갈 수 있도록, 창작 그림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역할은 어떠한가? 1-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의 역할은 어떠한가? 1-2.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모의 역할은 어떠한가? 1-3.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와 조모의 역할에 차이가 있는가? 2.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감정표현은 어떠한가? 2-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의 감정표현은 어떠한가? 2-2.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모의 감정표현은 어떠한가? 2-3.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와 조모의 감정표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1995년부터 2017년까지 출판된 창작 그림책 116종으로,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역할과 감정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는 관련 선행 연구들의 분석 기준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보완․수정하여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Micro soft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그림책에서 조부모는 주로 ‘정서적 교감자’, ‘손자녀 양육자’, ‘놀이자’ 순으로 그 역할이 많이 그려지고 있었다. 조부와 조모의 역할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각각 ‘가족 이야기 및 문화 전달자’와 ‘가사 담당자’의 역할이었다. 둘째, 창작 그림책에서 조부모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정표현보다 긍정적인 감정표현을 더 많이 하고 있었으며, 긍정적인 감정표현 중에서도 특히 ‘웃기/미소 짓기’의 감정표현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조부와 조모의 감정표현에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각각 ‘불만스러움’과 ‘화내기/소리 지르기’였다. Picture books reflect social value and attitude and describe role contained within social standard. Through picture books, children learn about the society widely and understand other people more deeply. Aging is the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So it is necessary to think that children have a positive mind of their grand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grandparents’ role and emotional expression in present and to suggest grandparents’ desirable role and value of later life portrayed in picture books.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ole of grandparents in picture books? 1-1. What is the role of grandfather in picture books? 1-2. What is the role of grandmother in picture books? 1-3. Is there any distinction between grandfather’s role and grandmother’s role? 2. What is the emotional expression of grandparents in picture books? 2-1. What is the emotional expression of grandfather in picture books? 2-2. What is the emotional expression of grandmother in picture books? 2-3. Is there any distinction between grandfa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grandmother’s emotional expression? Totally 116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published from 1995 to 2017. And grandparents’ role and emotional expression were analyzed in the picture books. Research tools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were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calculated using Micro soft Excel.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ly grandparents had role of emotional sharer in picture books. Above this, grandparents fulfilled the role as fosterers or players for their grandchildren. There were distinctions in roles of story messenger and houseworker. Second, generally grand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more frequently expressed compare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picture books. Especially, ‘laugh/smile’ is frequently appeared. ‘Dissatisfaction’ and ‘anger/yell’ were distinctive.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조윤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ffects children's empathy and peer competence, and based on the result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ffect Young children's empathy? 2. how does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ffect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0 children aged 5 years(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20) in kindergarten A located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ole-play using a total of 14 picture books twice a week for 7 weeks, and the comparative group read picture books during the same period and proceeded to share general stories. To examine the children’s empathy, this study used a Affective Situation Test(AST) tool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Mi-sook(2010) and For peer competence test tools of Park Joo-hee and Lee Eun-hae(2001) were used to examine the peer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data, a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that performed story-telling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of empathy. In the sub-area of empathy, kinds of the 'joy', 'sorrow', 'horror', and 'ang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the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improving empathy of Young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that performed story-telling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of peer competence. In the sub-area of peer competence, kinds of the 'socialism', 'sociality', and 'lead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o sum up the above results,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the empath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ole-play using picture books are worthy of being used in the field of ealry childhood education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young children’s empathy and peer competence.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주 2회씩 7주 동안 총 14회의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그림책을 읽고 일반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미숙(2010)이 수정·보완한 Affective Situation Test(AST)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의 또래유능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를 실시한 비교집단 간의 사후 검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공감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기쁨’, ‘슬픔’, ‘공포’, ‘분노’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를 실시한 비교집단의 사후 검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유능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또래유능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또래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유아교육현상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찬영 중부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바람직한 인성 형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연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인성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여, 전문가 협의와 예비 연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이에 개발된 본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의 일상생활 속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소양과 바른 인성적 태도를 기르고 실천한다. 이에 따른 교육목표는 ‘일상생활 속에서 창의적·인성적 문제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탐색하며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 과정을 기르고 활용한다.’,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고 바른 인성을 기르고 실천한다.’ ‘타인의 생각을 수용하고 협동과 협력을 바탕으로 함께 하는 공동체 의식을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로 설정하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 창의 교육내용은 창의 사고유형의 인지적 요인으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며 정의적 요인의 호기심, 복잡성, 위험감수, 상상력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유아 인성 교육내용은 존중, 배려, 질서, 협력, 나눔, 효로 구성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단계는 1차시는 그림책 읽어주기, 이야기 나누기, 토의하기, 평가하기이며, 2차시는 그림책의 글과 그림을 반복해서 읽어주기, 통합 영역으로 활동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전략 단계는 도입단계로 관심 가지고 문제 발견하기, 전개 단계로 아이디어 생성하고 표현하기, 적용하기이며 마무리 단계는 공유하고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평가 단계는 유아 평가, 교사 평가, 프로그램 평가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김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두 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6명(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3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28일부터 9월 15일까지 12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24회 연구를 시행하였다. 창의성 검사도구는 이경화(2014)의 유아 통합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고 인성 검사도구는 홍성호(2018)에 의해 재구성한 유아 인성 검사도구- 교사용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그림책은 전문가 집단에 의해 선정한 그림책 24권이며, 실험집단은 1차시,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나누기와 토론하기를 2차시에는 다양한 영역의 통합활동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누리과정 속 창의·인성 활동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정 도구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창의성과 인성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점수에 대하여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이 확인되지 않은 하위요인에 대해서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 전체와 창의적 성격에서 비교집단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독립심, 모험심, 과제집착력과 성격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긍정적 인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긍정적 인성 형성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덕목의 하위요인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바른 인성 형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과 바람직한 인성 형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을 일과 속에서 통합적으로 실시할 때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그림책 큐레이션 분석을 통한 그림책 특성 연구

        윤솔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그림책은 일반적으로 읽고 쓰는 것에 미숙한 어린이 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의 그림책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그 주체가 어린이가 아니더라도 그림책 읽기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독서활동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물리성과 시각성, 이야기, 주제와 같은 그림책 내부 요소와 독자, 작가라는 외부 요소가 상호작용을 통해 재의미를 가지는 융ㆍ복합적인 매체로 본다. 여기에 최근 그림책방이 작가와 독자 사이에서 새로운 상호작용 주체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 및 큐레이션 개념을 검토하여 그림책 큐레이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근거로 그림책 큐레이션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림책의 가치와 그림책 큐레이션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현장은 국내 그림책방 5곳으로, 그림책 협회에서 발간한 2018년 그림책 책방지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책 큐레이션의 가치와 의미를 논의하고자, 그림책방의 운영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인터뷰를 수행했다. 큐레이터들은 모두 책과 밀접한 생활을 하면서 그림책을 접하게 되었으며, 이후 자녀 양육, 사서, 책방 운영 등의 경험을 통해 그림책을 새롭게 인지하게 되면서 그림책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가졌다. 각 큐레이터의 활동과 공간 구성은 그림책이란 공통분모에 의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림책 활동은 그림책을 함께 읽고,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고, 공간 구성은 그림책을 읽기 적합한 공간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큐레이터에게 그림책은 다른 서적과 같은 범주에 속하며, 그림책이기 때문에 특별하게 인식된다는 점에서 주체성을 지닌다. 내용적인 면에서 그림책은 모든 주제를 다룰 수 있지만 형태와 표현방식이 글책 보다 다양하다는 특성이 있다. 그림책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기 위해 기존의 것을 끌어온다는 점에서 창의적인 특성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은 주제와 그림이라는 구성요소를 통해 다른 매체보다 문화적 평등성을 가진다. 이러한 그림책의 특성은 독자가 더 쉽게 그림책에 다가갈 수 있는 이유이며, 그림책을 통해 스스로와 삶에 대해 유익한 번민을 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 Picture books have largely been perceived as books for children who do not have fully-fledg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However, recent social discourse on picture books signifies a deviation from this prejudice, i.e., picture books can provide a meaningful reading experience to older audiences. This study regards picture books as an all-encompassing medium that acquires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nal factors inherent in these books (the physical and visual nature of the books, their stories, and their themes) and the external factors (authors and readers). Picture book salons are also an emerging trend in Korea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authors and readers.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in this study, I review the concept of picture books and book curation, define the notion of “picture book curation,” and conduct a case study on picture book curation. I then explore the value of picture books and discuss the meaning of picture book curation. My research addresses five picture book salons in Korea, identified through the 2018 Map of Picture Book Salons published by the Picture book Association. I interviewed owners of five picture book salons to discuss the value and meaning of picture book curation. The curators all noted that their lives largely revolved around books and that their attention was drawn to picture books sometime later during their life. They said that their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working as librarians, and running a bookstore gave them a new insight into picture books, which, in turn, led to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picture books. The curators, all inspired by picture books, share similar activities and have similar spatial arrangements at their salons. Their activities bring participants together to read books and talk about them, while their shops are spatially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it creates a suitable environment for reading and appreciating picture books. My this study suggests that although curators treat picture books simply as one of many books, there is a subjectivity toward picture books, which arises from the special feeling that these books induce. In terms of content, picture books cover almost any theme, but with more diverse forms and expression methods compared to conventional print books. Picture books are also creative in that they build upon existing methods to produce something new. Last, but not the least, picture books are culturally more egalitarian than other media due to the nature of their components, i.e., themes and pictures. These attributes make picture books a more approachable and beneficial option for readers—they challenge readers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their life.

      •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

        유훼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고민과 그 고민들을 해결해 가는 과정을 알아보고, 더불어 그 과정에서 겪는 경험들의 교육적 의미를 세밀하게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어머니와 자녀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즐겁게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문해적 환경을 이해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의 고민은 무엇인가? 2. 어머니들이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3.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P시의 H작은도서관에서 2017년 7월 중순부터 2017년 9월 말까지 10회기의‘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진행하며 연구참여자 여덟 명을 참여관찰 하였고, 이후 그룹면담 3회와 개인면담 16회로 총 19회의 심층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목적은 지식습득을 통한 인지발달과 언어(말, 문자) 발달 및 다양한 발달을 위해서였다. 그리고 그림책으로 폭넓은 경험을 대신해 주고 생활의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랬다. 또 아이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책이 평생의 친구가 되고, 재미를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 이와 같이 어머니들은 복합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기 위한 방법론적인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자녀발달의 이해 측면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발달시기에 맞는 책 선정의 어려움, 좋은 책 선정 기준에서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는데 아이들의 집중력 부족과 좋아하는 책만 반복적으로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읽어주는 기술 측면에서의 어려움은 어머니가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는데 있어 기술의 부족과 젊은 세대 어머니들이 공감하기 어려운 전래동화를 읽어주는 것, 그리고 바쁜 일과 속에서 의무감으로 읽어주는 습관적 행위를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복합적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림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그 어떤 목적 수행이 아닌 자녀의 즐거움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의 변화와 그림책을 단순한 읽기 매체가 아닌 놀이감으로 보는 시각의 변화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의 행동을 허용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어머니들이 책을 읽어주는 방식의 기술적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평소 글자에 집중하던 어머니들이 그림을 보게 되었고, 간단한 각색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하였으며, 노래와 동작을 곁들여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또 그림책 선정 기준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어른 입장이 아닌 아이 입장을 고려한 책 선정과 구입방법이 양 중심에서 아이의 흥미를 고려한 질 중심으로 낱권을 구입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은 아이들이 보는 책이라고 생각하던 어머니들이 스스로 그림책의 재미에 빠져들었다.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를 반성하게 만드는 그림책을 통해서 등장인물을 동일시하며 공감하였고, 재미를 느꼈으며, 책놀이를 통해 양육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조절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사회로서의 작은도서관은 어머니들에게 공간의 의미, 사람의 이해, 관계의 의미가 있었다. 공간의 의미로 작은도서관은 다양한 체험과 배움의 장이었다. 즉, 자녀에게는 비형식적 교육기관이자 어머니들에게는 자기 개발의 장소였다. 그리고 접근이 용이한 작은도서관은 자유롭게 아이와 함께하면서 편안하게 놀 수 있는 놀이 공간이었다. 사람의 이해에서 어머니들은 또래 엄마와 동등한 입장으로 자녀 양육방법과 교육방법을 나누었고, 선배 엄마는 자녀 양육의 선 경험자로 육아 방법에 서툰 어머니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또한 어머니들은 도서관에서 만난 타인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반성하였고 자녀를 이해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관계의 의미에서는 새로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을 통해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나타났고, 그림책을 매개로 대화를 많이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머니들 간의 관계를 보면 나와 다른 타인을 통해 잠재된 나를 발견하였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면서 어머니 자신이 가진 능력을 자원 활동가로 발휘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치를 느끼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일상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통해 그림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읽어주는 전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삶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림책을 읽어주는 어머니들의 변화가 자녀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로 확장됨에 따라 책을 읽어주는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ries of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in reading picture books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and to analyze in detail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 involved in the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worries of mothers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2. What is the strategy for mothers to read picture books in an interesting way? 3.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in a small library?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by conduc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 class at a small library H in P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ading picture books, the aim of mothers is to acquire knowledge, have a wide range of experience, and give pleasure to their infants and toddlers. The mothers were having a methodological problem of effectively read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complex task. Next, in reading activities of the picture books, difficulties appear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children's behavior, and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skills, and the mothers were worried about this. Second, while implemen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program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 worries that the mothers experience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 change occurred in values and in technical aspects of reading picture books. In addition, in choosing a picture book, the mothers learned to think of the children’s position first, and the mothers became immersed in the fun of the picture books themselves. Third, small library as a local community was a space where various experiences and learning occurred to both children and mothers. It was also a comfortable play space with easy access and to be with children. In the understanding of people, peer mothers served as a social equal, whereas senior mothers served as a supportive force in parenting as experienced hands in child rearing. Also, communication with others you met at the library helped to understand your own children. Furthermore,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the new way of read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 그림책 활용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의 효과

        박민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그림책 활용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측면과 영어 교육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초등영어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정규 교과 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서울 소재 C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24명을 대상으로 총 9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선 지속가능발전 교육 함양 초등영어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 영역을 문화적 지속가능발전, 경제적 지속가능발전 및 생태적 지속가능발전의 세 가지 내용 영역과 하위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그림책 선정 기준에 따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그림책의 주제와 관련된 초등영어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활동 내용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측면과 영어 교육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 평가지, 정의적 영역 설문지, 지속가능발전 인식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 결과물, 학생 소감문, 면담 자료, 교수 일지 등을 질적 분석 자료로 수집하여 연구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림책 활용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경제적, 생태적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인식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과 인터뷰 내용, 교수 일지 등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삶과 연계하여 인간의 보편적인 가치의 중요성과 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빈곤, 미래의 성장,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일면을 접해봄으로써 우리에게 당면한 문제들을 친구들과 협력적 학습으로 해결하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가지게 되었다. 생명과 보존의 문제, 환경의 내용 요소에서도 연구 결과를 통해 발전에서 보존으로, 자연의 이용에서 자연과의 조화로 학생들의 인식이 바뀌는데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그림책 활용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영어 듣기, 읽기의 영어 이해 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낸 것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그림책 읽기를 통해 이해 가능한 입력원이 충분히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화적, 경제적, 생태적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다양한 그림책을 읽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최대화하고자 차시별 협력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 소감문 및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불안감을 낮추는 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학생들 대부분이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선행지식이나 경험이 거의 없어서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환경 보호나 지구촌 문제, 인권 문제와 같이 가치 판단을 담고 있는 주제면서 부와 빈곤, 지속가능한 성장의 문제는 초등 학습자에게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수업에서는 학습 안내 단계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 영역을 표면적으로 드러내어 설명하기보다 그림책이나 삽화, 사진 자료 등 시각적인 자료 등을 활용하고 학습자의 경험을 토대로 흥미나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할 때에는 언어적 도움을 충분히 제공하여 학습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 영역을 영어교과 전반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발전 영역은 교육과정에서 외국 문화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교과서에 문화 요소가 고루 배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문화 다양성을 인식하는 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생태적 지속가능발전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타 교과나 범교과 학습을 통해 이와 관련된 선행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하여 보다 더 심도 있고 다양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반면, 경제적 지속가능발전 영역은 개념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이면서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초등영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내용으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적용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림책 활용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의 시도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가치와 신념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초등영어 학습자들에게 삶과 밀접히 연계된 맥락 안에서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 더욱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환경이나 일부 교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교과 전반으로 확장되고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어 이 같은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후속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미래로의 변화에 대응하고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학습자를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모형 개발 및 효과

        송영숙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모형 개발 및 효과 송영숙 가천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차 숙) 본 연구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1에 의해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목표 및 교수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유아의 적극적 사고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교수 내용으로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즉 그림 훑어보고 이야기 나누기, 그림책의 글 읽기, 그림책의 글과 그림 연결 짓기 단계를 각각 구성하였다. 넷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실제 교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12권의 그림책에 대하여 각각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조직하였다. 연구문제 2에 의해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이 유아의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조직하여 실제 교실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교수 모형을 적용한 교육계획안을 기반으로 하여 그림책 읽기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처치는 그림책 12권을 12주 동안 주 1회로 읽어주었으며, 그림책 12권을 읽어주는 순서는 두 집단이 동일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의 하위요인 중 서로 다른 관점을 인식하기, 판단하여 이유를 말하기, 결과를 예측하기, 타인에게 적용한 기준을 나에게 적용해보기의 점수에 있어,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창의적 사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창의적 사고의 하위요인 중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점수에 있어,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은 유아의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아의 그림책 읽기 교수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텃밭 프로그램의 개발

        이선미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 인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림책을 활용한 텃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현장 실태조사, 프로그램 시안 구성, 전문가 협의 및 프로그램 시안 수정 및 보완, 예비 적용, 전문가 협의 및 최종 프로그램 개발로 이뤄진 6단계의 개발 절차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선정,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선정, 평가 방법 선정에 활용하였으며, 현장 실태조사에서는 텃밭 활동 수업 경험이 있는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로 구성한 요구분석이 시행되었다. 프로그램 시안 구성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수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유아교육학 박사, 어린이집 원장으로 구성한 전문가 집단과 협의를 통해 시안을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다. 완성된 프로그램 시안을 현장에 실험 적용하는 예비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하였다. 이같이 6단계 절차를 통해 개발된 그림책을 활용한 텃밭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교육목적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생명존중 인식, 인성을 증진하는 것이며, 교육목표는 1. 자연과 생명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해한다. 2. 그림책을 즐기고 생태 감수성을 키운다. 3. 생명존중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교육내용은 ‘그림책 읽기’와 ‘텃밭 활동’ 두 가지로 이뤄진다. 그림책 읽기는 텃밭 작물에 흥미를 갖게 하는 ‘흥미 유발’, 작물의 성장특성을 살펴보는 ‘과학적 정보탐색’, 텃밭 가꾸기에 대한 기대감을 얻는 ‘텃밭 작물에 대한 희망’으로 구성하였다. 텃밭 활동은 텃밭 작물을 탐구하는 ‘텃밭 작물 만나기’, 텃밭을 가꾸고 수확물을 활용하는 ‘텃밭 활동 즐기기’, 텃밭 작물을 통한 생명 감수성을 높이는 ‘텃밭 작물에 감사하기’로 이뤄져 있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전략, 교사역할, 교수 자료로 구분하였다. 교수-학습원리는 친숙한 텃밭 작물을 선정하여 텃밭 활동 격려하기, 통합감각으로 텃밭 작물 탐색하기, 텃밭 활동과 작물에 점진적으로 친숙해지기, 텃밭 작물을 관찰하며 돌보기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그림책을 연계한 텃밭 활동으로 1차시와 2차시로 나눠 진행된다. 그림책 읽기 1차시는 동기유발, 그림책 읽기, 회상하기(기대) 3단계로 구성된다. 동기유발은 그림책과 인사를 나누며 기대하는 단계이다. 그림책 읽기 단계는 텃밭 작물의 정보를 이해하는 단계이고 회상하기는 그림책에 나온 정보를 이야기하고 텃밭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얻는 단계이다. 텃밭 활동 2차시는 텃밭 작물 탐색하기, 텃밭 활동 즐기기, 텃밭 작물에 감사하기, 평가하기로 진행된다. 텃밭 작물 탐색하기는 텃밭 작물을 오감각 으로 탐색하고 자기 생각과 느낌을 서로 표현하며 이야기해보는 단계이다. 텃밭 활동 즐기기는 텃밭 작물에 따라서 개인이나 소그룹으로 나누어 활동하며 친구들과 서로 이야기해보는 단계이다. 텃밭 작물에 감사하기 단계는 텃밭 활동 과정에서 궁금한 것에 대해 생각하면서 텃밭 활동에 몰입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이다. 마지막 평가하기 단계는 텃밭 활동을 하면서 선생님과 친구들의 활동을 공유하며 잘 자라게 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교수전략은 텃밭 작물에 대한 오감 경험 제공하기, 오감 탐색을 유도하며 상호작용 이해하기, 생명존중 어휘 사용하기, 환경친화적 태도 격려하기, 텃밭을 관리하는 시범 보이기, 다양한 표현 격려하기이다. 교사의 역할은 계획하기, 흥미 유발하기, 유아의 생명존중 상호작용 촉진하기, 격려하기, 평가하기이다. 교수 자료는 텃밭 활동과 연계되는 그림책과 텃밭 활동을 할 때 사용하는 텃밭 상자, 다양한 작물, 친환경 흙, 자연 비료, 자연 거름, 어린이농기구, 소품(장갑, 모자, 이름표)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 평가, 유아 평가, 프로그램 평가로 이뤄진다. 교사 평가는 교사일지 및 면담을 통해서 평가하고, 유아 평가는 관찰일지, 일화 기록, 사진 분석 등의 형성평가와 환경친화적 태도, 생명존중 인식, 인성 검사 도구에 의한 총괄평가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효과를 평가한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 인성 증진에 적합하고 유아 교육기관에서 지속 가능한 교육으로 구성할 수 있는 그림책을 활용한 텃밭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감정이입능력에 미치는 효과

        장옥남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감정이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감정이입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감정이입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 나주시에 위치하고 있고, 사회 경제적 배경이 유사한 유아 4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 N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아 20명을, 통제집단에 Y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아 20명의 유아를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연령 및 그리기 표상능력, 감정이입능력에 대한 사전검사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01)의 「그리기 표상능력 평가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감정이입 능력의 검사 도구로는 Jacquelyn Mize와 Garry Ladd(1988)가 개발하고 김정애(1999)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글 없는 그림책의 선정은 그림책 속의 등장인물에 유아들이 감정이입 할 수 있는 줄거리가 있으며, 극화활동으로 전개하기에 적절한 이야기가 담겨있고 움직임이 있는 동적인 내용의 그림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글 없는 그림책은 예비검사용 1권과 처치용 12권으로 총 13권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4주동안 매주 3회씩 글 없는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 구성한 후 극화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 꾸민 후 발표하기 활동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사전과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유아들이 그리기 표상 능력 중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정도, 다양한 색채의 사용,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도에 대한 점수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들이 감정이입능력 중 하위 변인인 고립상황, 놀이방해상황, 괴롭힘상황에 대한 점수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감정이입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은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감정이입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감정이입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at studying the effect of using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on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hildren's empathy and thereby seeking the directions by which to promote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their empathy and finding ou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m in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attendant up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using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on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ies? 2. What is the effect of using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on children's em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children in total: 20 children of age 5 in N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in Naju, Jeonnam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of age 5 in J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in Naju, Jeonnam participated in control group. Each group has similar socio-economic back ground.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test of average age,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hildren's empath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us both groups were assumed to be homogeneous. For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in this study,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Evaluation Scale" by 〔Chi,Sung-ae(2001)〕 was used with some modification and for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empathy, I used Kim Jeong-ae's scale(1999) who used the measurement developed by Jacquelyn Mize and Garry Ladd(1988) with some modification. The selection of the wordless picture books was made considering whether they had a plot where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 books could arouse children's empathy, whether they had a plot suitable for developing into a dramatic play, and whether they had movements in the story. The wordless picture books used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one book for pre-test and 12 books for treatmen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ramatic plays after making stories looking at the wordless pictures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oral presentation activities after making stories looking at the wordless pictu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ge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rough using SAS statistics program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pre-and 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cores for the degree of combination between basic pattern and lines, the use of various colors, detailed description, harmonious composition, diversified forms, subject-related representation, creativeness of representation, completeness of pictures, etc.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This can be taken as indicating that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econd, In children's empathy, the scores for isolation situation which is a sub-variable, play hindrance situation and bullying situ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This can be taken as indicating that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hildren's empathy. In conclusion,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has shown that it promotes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their empathy.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a positive use of dramatic pla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education field will effectively promote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their e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