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악 관악기 이해를 위한 감상 지도 방안 연구 : 2009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빛나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society became highly knowledge-based, intellects with creativity, good character, and firm national identity are needed more than ever. For that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ims to promote both national identity and creativity by changing the previous Western music oriented music appreciation class to be more Korean traditional music oriented and by promoting new approaches that help students foster creative attitude and harmonious character. Despite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initial objective of providing students novel and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revised music appreciation class more 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cur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es are prone to lack in depth. This research thesis is going to focus on the learning guidanc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which are comparatively less studied and less familiar to students, in order to enhance depth and expertis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e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Piri, Daegeum, Sogeum, and Taepyeongso are chosen considering the relevance and importance to the appreciation music pieces. The research thesis will set the subjects of learning 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prior to the research,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es and teaching models were reviewed.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this research thesis will addres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iri, Daegeum, Sogeum, and Taepyeungso and also will address the essence of appreciation of music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thesis will analyze studies on the phases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teaching model for the musical responses, and based on the analysis, will create a music appreciation teaching model and apply to the learning guidance. After the teaching model is established,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will be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three music pieces are selected, each for introduction to music appreciation, Korean court music, and crossover music: 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for Teenagers by Sungchun Lee(1936-2003), Sujecheon, and Frontier by Bang-un Yang(1960~). The learning guidance is designed for the total of three classes, one music piece for a class. Based on the analysis on each piece, the appreciation teaching model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i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Each class will go through the introduction-development-conclusion process based on the teaching model and will utilize various activities and approaches to promote creativity and a better understanding.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atic appreciation educ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will foster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vity, and musical potentiality and thus will help them have aesthetic experiences in their music class. Furthermor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change of students’ view on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help them develop cultural and national identity and help them grow as well-rounded individuals.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한 정보화와 문화 산업화 시대는 국가 정체성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때문에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감상영역에서 전통 음악을 중심으로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창의적 태도 및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나 음악 감상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심미적 체험의 기회를 주고자 하는 감상활동의 목적과는 다르게, 국악 음악 감상 수업은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악감상수업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상대적으로 지식이 부족하고 생소한 국악 관악기 분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 · 학습 지도 방안을 연구한다. 관악기 중 제재곡과의 관련성과 중요도를 고려해 피리, 대금, 소금, 태평소로 내용을 제한한다. 연구에 앞서 중학교 학생들로 학습 대상을 정하고, 국악 감상수업과 모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본다. 국악 관악기 이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피리, 대금, 소금, 태평소의 개념과 음악 감상의 본질 및 국악 감상학습의 필요성을 다룬다. 또한 지도 방안 연구를 위해 음악 감상 단계 및 음악적 반응을 위한 국악 감상 수업모형을 분석한 뒤, 이를 참고로 국악 관악기 이해를 위한 감상 수업 모형을 만들고 지도안에 적용한다. 수업 모형 선정 이후 2009 개정 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한 국악 감상곡 수록 현황을 알아본다. 지도 방안을 위한 제재곡으로 기초 개념을 위한 감상곡, 궁중음악, 크로스오버 음악으로 나누어 각각 이성천(1936-2003)의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 《수제천》, 양방언(1960~)의 《프론티어》를 선정한다. 수업 지도안은 각 악곡당 1차시씩 총 3차시로 계획한다. 각 차시의 악곡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국악 관악기 이해를 위한 감상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한다. 모든 수업과정에는 모형에 기반을 둔 도입-전개-정리의 과정을 거쳤으며, 각 단계별 다양한 활동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 관악기 이해를 위한 체계적인 감상 교육이 적용됨으로써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고, 개개인의 음악적 잠재능력과 창의성을 개발하여 음악 수업에서 심미적 경험을 이루길 바란다. 나아가 국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학생들이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여 주체적이고 전인적인 인격으로의 성장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 국악 중심 학급경영이 학생들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송지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우리 학생들이 국악을 활용하고, 국악을 즐기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 적합한 학급경영의 의미를 바탕으로 국악 중심 학급경영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하여 학생들의 국악 생활화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양평군 소재 K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2명(통합 학급 학생 1명 포함)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경영의 의미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국악 중심 학급경영의 전반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한다. 둘째, 수업 시간에 국악을 중심으로 학급경영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 활동을 제시한다. 셋째, 수업 이외 시간에 국악을 중심으로 학급경영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 활동을 제시한다. 넷째,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악 중심 학급경영의 운영 방안을 적용하여 학급을 운영하고, 운영 전·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 현장에 적합한 학급경영의 의미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는 활동 시간을 기준으로, 수업 시간과 수업 이외의 시간으로 구분하여 두 가지 형태의 국악 중심 학급경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수업 시간에 국악 중심 학급경영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급 국악 동아리 활동, 국악 중심의 음악 교과 수업, 타 교과 활동 시간 중 국악곡 감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수업 이외 시간에 국악 중심 학급경영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 이외 시간에 국악곡 노출시키기, 우리반 국악 수업종 사용하기, 우리반의 국악풍 반가 만들기’를 제시하였다. 넷째, 국악 중심 학급경영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도, 국악 수업에 대한 인식, 국악 생활화에 대한 인식, 전래동요와 민요에 대한 경험 및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국악 중심 학급경영을 적용하여 국악 생활화의 방안을 연구하고 적용해봄으로써 국악 중심 학급경영에 대한 방법 제시와 국악 생활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국악을 활용하고 국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고, 다문화적 사회에서 우리 음악의 정체성을 잘 보존하며, 더불어 국악 생활화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making music a part of life in the music curriculum from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to the current one, but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whether students make use of Gukak and have an attitude of enjoying it in rea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meanings of class management fit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examine whether it is useful for making Gukak a part of students' lives by applying it to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cluded 22 fifth graders (including one from an inclusive class) at K Elementary School in Yangpyeong-gu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content covered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meanings of class management and explored overall management plans for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Second, the study proposed specific activities to apply a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plans to lesson hours. Third, the study also proposed specific activities to apply a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plan to extracurricular hours. Finally, the researcher applied a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plan in the course of running a class, conducted a survey before and after class management, and analyzed survey outcomes to test the effects.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wo types of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plans between lesson hours and extracurricular hours according to the activity hours of students in school based on the meanings of class management fit for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Second, the study proposed the activities of a Gukak class club, Gukak-centered music subject lessons, and appreciation of Gukak pieces during activity hours of other subjects as measures to apply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to lesson hours. Third, the study proposed exposing Gukak pieces during extracurricular hours, using Gukak lesson bell melodies for the class, and making a Gukak-style class song for the class as measures to apply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to extracurricular hours. Finally,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increased the students' interest in Gukak, perceptions of Gukak lessons, perceptions of making Gukak a part of life, and experiences and interest i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songs.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couple of methods for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and tested their effects on making Gukak a part of life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measures to make Gukak a part of life based on Gukak-centered class management,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encourage students to naturally utilize Gukak in their lives, have an attitude of enjoying it, and preserve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offer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 in making Gukak a part of their life.

      • 유아 국악교육 지도법 연구 : 민요를 중심으로

        강미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 교육과정에서 우리의 민요와 전래동요뿐만 아니라 창작 국악동요를 불러보고 여러 장르의 국악음악을 감상하여 우리 고유의 장단과 가락을 몸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은 참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재정상의 문제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국악교육은 장단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전래동요와 전래놀이 등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교육되고 있다. 이렇듯 장단 즉 리듬교육과 노래, 율동 등의 교육을 종합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국악장르를 민요로 꼽았는데 유아 국악교육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민요를 중심으로 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재미있는 민요수업이 되기 위해 민요 수업 지도법 모형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민요 선호도 조사에서 좋아하는 곡을 근거로 선정한 민요 여섯 곡을 도입, 전개, 정리의 내용으로 나누어 수업(지도)단계는 노래, 신체리듬, 신체표현(동작) 그리고 놀이의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서양음악교육 이론의 오르프 음악교육방법과 현장교육에 의거하여 교수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노래 부르기에 큰 비중을 두었으며 노래를 이용해 동작표현을 하였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요의 수업 지도법 모형을 토대로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요를 가지고 수업을 할 때 6세, 7세 유아들에 비해 5세 유아들은 느린 장단인 중모리 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의 민요 보다는 이보다 빠른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의 민요수업을 진행 했을 때가 유아들이 더 재미있어 했고 가르치기가 더 용이했다. 둘째, 7세 유아들은 장구보다는 음률이 들어가는 가야금으로 반주했을 때 수업에 흥미 있어 하고 좋아했다. 셋째, 오르프 음악교육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율동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표현 욕구를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보았는데 한삼이나 다른 소품을 이용하여 가사에 적합한 몸동작을 하거나 민요의 분위기에 맞추어 신체를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전개해줌으로써 표현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도입(설명), 전개(노래, 신체표현), 정리(율동) 의 수업단계를 토대로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5세 유아는 집중 가능시간이 20분의 수업시간이 적당했는데 6세,7세의 유아들에게는 20분의 수업시간이 부족했다. 곡의 난이도를 고려해서 시간배정을 보완해야 될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국악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도와 성취도는 어린이들의 반응이 때때로 재미있어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고정관념적인 어렵고, 재미없는 음악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부모님들 관심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든 유아들이 재미있어하고 흥미 있어 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장기간 연구로 국악 활동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는 실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를 통해 유아국악 교육현장에서 우리 음악을 좀 더 쉽고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to have a experience which realize and feel the traditional korean rhythm and emotion by singing or listening our korean folk song, transmitted children song by oneself. so mos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lready knows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it. but until recent, they have not succeed to give children such a chance because of their financial problem or missing any supporting system for it.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eaching a rhythm is major element and there are two additional elements for teaching for example, transmitted children nursery and the traditional korean play for children. so I select korean folk song for teaching children because as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we can teach traditional korean rhythm, song and rhythmic movement totally until now, there is no solutio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so in this paper, I propose and explai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efficiently and with having a fun . I first divided the six song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about which is the most favorite korean folk song into introduction part, development part and arrangement part. the lesson were made of singing the songs, body rhythm, body action or dancing and last playing. to apply the theory of western musical education, especially "orff" education methodology, and the experience of author's, I tried to teach singing a song as a important point and then made children dance with singing the songs. as the lesson continue, I found my methodology could be useful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he result of my lesson is summarized like below. first, when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to the children, five year old children relatively comparing to six or seven year old children liked better fast "saemachi" beat contained korean folk song than that of slow "chunmori"

      • 국악강사 풀(POOL)제 사업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경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전통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일반화 된 사실이며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따라서 학교에서도 전통음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전통음악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통음악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음악이 서양음악 중심이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초·중·고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전통음악의 내용이 크게 보강되어 많은 양이 음악교과서에 실려 있다. 그러나 이를 전달 할 교사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학교에서의 음악수업은 서양음악의 이론과 노래 중심이며 전통음악교육은 여전히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현장에 있는 음악교사가 전통음악에 대해 모르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서양음악과 전통음악의 지도방법은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음악교사들은 전통음악을 서양음악 식으로 지도하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교사들은 전통음악을 국악인들에게 연수를 받고, 보다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전통음악에 관한 많은 자료들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국악전공자들은 전문가들에게 배운 방식으로 음악교사들을 연수하기 때문에 수업현장에서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전통음악에 관한 자료 또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관광부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학교음악교과서 국악비율 상향조정에 따른 국악교육 내실화와 국악인구 저변확대, 초·중·고등학교 국악교육의 정상화를 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악강사 풀(POOL)제 사업을 실시 중이다. 국악강사 풀(POOL)제 사업은 전국 16개 시·도에서 10,225개교를 목표로 전문국악강사를 초·중·고등학교에 파견하여 국악교육을 하는 것으로, 매년 4월 에서 12월까지 방학기간을 제외하고 연 16회 이상 실시를 기준으로 하며 교육 내용은 국악의 전반적인 모든 내용을 다룬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실시 중인 국악강사 풀(POOL)제 사업은 제대로 된 국악 교육을 받아 본 적이 없는 전국의 초·중·고등학생들에게는 국악의 진정한 의미와 국악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역할을 해주었고, 지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음악교사들에게는 국악을 더욱 효과적으로 쉽게 지도하는 방법 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반면에, 국악강사 풀(POOL)제 사업을 실시하면서 원취지에 어긋나는 문제점들, 실시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 정책상의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예를들어, 전문국악강사들이 파견되지 않은 학교들에 대한 차후 계획은 무엇인지, 전문국악강사가 정규 음악시간을 활용하면 그 시간에 음악교사들은 무엇을 하는지, 전문국악강사가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전문국악강사들은 기능인인데 교사로서 자격이 충분한지, 현 실시되는 학교 중 고등학교는 없는데 이런 현상의 원인과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는 수업이 원칙인데 실기위주로만 수업하는데 따른 원인과 문제점은 무엇인지 등등 이런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금까지 국악이 가진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국악교육을 위하여 국악에 대한 사회가 가진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육의 행정적인 측면으로 음악교사들에게 국악의 연수기회 확대와 국악기의 많은 보급, 그리고 국악감상 자료를 개발해 학교교육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겠고, 국악강사 풀(POOL)제와 같은 사업을 많이 개발해서 실시하도록 해야겠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는 국악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자료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며, 음악교사들이 국악교육에 대해 소홀하지 않고 국악교육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It is common and preferable that traditional music is more emphasized than before at the moment. Therefore, it is absolutely true that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is also emphasized at school. However, in terms of the current education at school,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not performed well, now. The reason why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not done well is that the music education at school puts an emphasis on the Western music. Recently, the music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ives a supplementary lecture on traditional music and a variety of educ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are included in music textbook. However,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re is no teacher who has ability to teach this kind of education. The music education at school is focused on the theory and song of the Western music.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not still performed well. This situation happens because of the fact that most music teachers have no idea of traditional music. Fundamentall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eaching method between the Western music and the traditional music is different, most music teachers think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for music teachers to take a lesson and training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from professional people who study on korean classical music. Fortunately, many data and educations in connection with traditional music are spreading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music education at school. However, people, who major in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e music teachers at school with the teaching method of professional people and this kind of teaching method is not actually efficient. In addition, it is quite hard for music teachers at school to make good use of data and theory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According to the upward adjustment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music textbook,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s in the middle of performing new project based on the Pool system of korean classical music teachers in order to expand the popularity and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Also, new project aims to provide more proper education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for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New project based on the Pool system of korean classical music teachers is aimed at nationwide 16 cities and nationwide provinces. Also,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are sent to 10,225 schools a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hat is more, this new project is performed more than 16 times with the exception of vacation from April to December. The content of education is about the whole korean classical music. New project based on Pool system of korean classical music teachers, which started in 2000,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ho had no experience of well-organize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before. It also makes them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music. Moreover. it provides music teachers at school with new teaching method and indirect experience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problems related to new project based on Pool system of korean classical music teachers. New project is partly performed against original purpose in process of operation. For example, firstly, there is no specific future plan for the schools where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are not provided. Secondly, what should music teachers at school do when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use their regular music class? Thirdly, what is the problem that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feel from the current music class? Fourthly, do professional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who provide usually technical skills, have enough qualification as a school teacher? Fifthly, new project isn't performed at high school, at the moment. what is the main cause of this situation and problem? Finally, music class should be done with both theory and practical skill. However, music class based on new project is only focused on practical skill. What could be problem with this music class based on new project. As an alternative pla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truly necessary that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 of korean classical music as well as social recognition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needs to be changed more properly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addition, in terms of administrative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for students, to expand study and training related to korean classical music for music teachers, and to develop the practical data of korean classical music, so as to improve schooling and to enhance a kind of program in connection with Pool system of korean classical music teachers. Finally, it is obviously necessary that music teachers at school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classical music and should take part in creative program for the data of korean classical music. Furtherm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music teachers are required to put an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offer students more practical and enhanced music education.

      • 정간보를 활용한 국악 창작 지도 방안 연구

        김성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간보의 이해를 기초로 창의적이고 협동적인 창작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이를 토대로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국악 창작 수업을 들은 부산 P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음악 교과서 및 지도서를 분석하여 국악, 정간보, 창작 관련 내용을 파악한다. 둘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국악의 기본 개념과 정간보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수립하여 국악 창작 교육에 활용한다. 셋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간보를 활용한 8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평가 및 검증을 위해 학습 활동 중 관찰·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수업 진행 전·후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한다. 8차시의 학습 지도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는 국악 가락 창작 교육의 구체적 지도법을 제시하였고, 특히 국악 창작 지도의 과정을 3단계로 구안하였다. 둘째, 정간보를 친숙하게 여길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하여 국악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를 증가시켰다. 셋째, 육자배기조의 기본 구성음인 ‘mi-la-do'를 사용하여 'mi'를 활용한 1음 작곡 → 'mi-la'를 활용한 2음 작곡 → ’mi-la-do'를 활용한 3음 작곡의 단계적 형태로 진행하였다. 넷째, 음이름 카드를 정간보 위에 배치하는 형태로 창작 활동을 하는 것은 악보를 직접 그릴 필요가 없어 수정이 빠르고 부담감이 적어 효율적이었다. 다섯째, 교사가 직접 국악기로 학생의 완성 작품을 연주하여 학생들은 자신감과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으며, 국악에 한층 더 친숙하게 다가서게 되었다. 여섯째, 창작 학습과 협동 학습을 실시함으로써 창의성과 음악성, 협동심을 함께 기르는 인성 중심 수업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초등학교 6학년뿐만 아니라 전 학년에 걸쳐 국악 수업에 적용시켜 보길 바라며, 보다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연구되어 국악 수업이 즐겁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method was carried out in a creative and collaborative style so that my participants could convey the understanding of the Jungganbo. After applying the method into a classroom with participants, I analyzed the outcomes of the survey to identify what was effective.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rty-eight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in Busan, The students were taught my Korean music creation class from March to May of 2015.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class and at the end of class.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content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into the music textbook as well as the teacher manual textbook within the school’s current curriculum, which focus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cluding the Jungganbo. Second, the study analyzed previous studies that were established by effective teaching methods within the basic concep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s well as the Jungganbo. Third, the study used a teaching-learning method to convey the Jungganbo and, it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nalyzed contents which was applied to actual lessons. Forth, the study was evaluated by the learning activities that were observed during the evaluation performance assessment. After 8 times lesson, thes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is study presents concrete teaching methods within traditional Korean music melody creation with steps that were created. Second, the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feel a familiar connection to Jungganbo and promote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Third, the study was conducted in step-by-step formate with using the Yougjabeggy tones ‘mi-la-do’. First step is 1 sound compositions utilizing ‘mi’. Second step is 2 sound compositions utilizing ‘mi-la’. Finally the last step is 3 sound compositions utilizing ‘mi-la-do’. Fourth, this study promoted creative learning in forming pitch name cards to put onto the Jungganbo. This activity was effective by no having to be modified to draw the scores directly, which was less of a burden for the students. Fifth, the teacher played an entire song to the students with traditional instruments, so that the students could feel more of a connection and confidence due to the familiarity of Korea traditional music. Sixth, by implementing creative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t was a lesson focused on characteristics that fostered creativity, musicality, cooperatio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not only 6th graders but also to all elementary school grades as well. The teaching-learning method can promote more interest traditional Korean music classes and also promote constant development through level varied materials.

      •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박형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To developed a valuable test for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abilities of overall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three studies as follows were carried out. First,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reexamined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n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a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was designed to research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n was applied to 3 to 6-year-old children. Second, a Korean traditional music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based on the fundamental study. Its goodness was confirmed by statistical analysis as item analysis, reliability-test and validity-test. Thir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bility test confirm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t the previous step was applied to 4 to 6-year-old. Children's musical 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mpared and analysed depending on age, sex, home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earning experienc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ngdan and Garak possibly were assigned to be rhythm and melody in music, respectively. It was defined that subordinate elements of Changdan are Changdanhyung, Bak(拍), Bbareugi and Semyeorim, and those of Garak are Eumjeong and Sikimshae. The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howed features that children achieved two-tone scale of P4, three-tone scale of P4+m3, expanded three~five-tone scale, and Sikimsha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provided by adult from birth to childhood.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to take a presentation of Sikimshae using a song. Additionally, children expressed speedy, twinkling and vivid Bbareugi(≒110 or ≒120), Triple 4 parts or Duple 4 parts, in major while adult mainly experienced Triple 4 parts as(≒76)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earch o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indicated that 4 to 6-year-old children understood all subordinat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l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hildren represented those as musical activities except Sikimshae. The children could take physical presentations as much as they understood the Sikimshae but not represent singing activities well. The 4 to 6-year-old groups demonstrated their higher abilities on the presentation of Bak and on the recognition of Sikimshae compared to the 3-year-old group. Second, item analysis, reliability-test and validity-test for the developed test showed that all statistical values were significant. Third, the study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ed that a good home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 lots of learning experience and ageing enhanced children's musical ability. Home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to affect children's musical ability rather than age and learning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developed test was statistically reliable and valid and the items based o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valuated efficiently children's musical abil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can be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of children's musical ability. Furthermore, it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take a direction of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국악요소 전반에 대한 이해와 표현능력을 기초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크게 세부분으로 니뉘어 설계된 연구내용과 그에 따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1.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 국악요소는 어떠한가? 2. 국악요소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2.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1.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의 문항변별도 및 난이도는 어떠한가? 2.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3.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연구3. 유아의 국악능력과 제 변인과의 관계 1. 유아의 국악능력은 제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유아의 국악능력에 대한 제 변인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1에서는 국악문헌의 폭넓은 고찰을 통하여 서양음악과 대비되는 국악요소를 추출하고, 과거 유아들이 향유하였던 국악장르인 전래동요에 나타난 국악요소가 어떠한지 살펴본 후 추출된 국악요소를 토대로 국악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만 3~6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봄으로써 국악요소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2에서는 연구1을 통하여 추출된 국악요소를 검사도구의 구성요소로 선정하고, 음악능력 검사에 관한 선행연구의 비교․분석결과와 국악요소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검사도구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의거하여 수정 · 보완 한 후 만 4~6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장단의 하위요소 장단형, 박(拍), 빠르기, 셈여림의 이해영역 및 표현영역에 각 3문항, 총 24문항과 가락의 하위요소 중 음정의 이해영역 6문항, 표현영역 3문항과 시김새의 이해영역 6문항, 표현영역 4문항, 총 43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검사문항에 대한 본 검사와 재검사 및 추가검사를 만 4~6세 유아 3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문항분석, 신뢰도와 타당도검증을 포함한 검사도구의 양호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3에서는 연구2의 본 검사에 참여한 유아 중 329명을 대상으로 가정의 국악환경 및 국악학습 경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연령, 성별, 가정의 국악환경 및 국악학습 경험의 기간에 따라 유아의 국악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에 따라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국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1을 통하여 추출된 국악요소는 서양음악의 리듬 및 멜로디와 비교될 수 있는 장단과 가락이며 장단과 가락의 하위요소는 각각 장단형, 박(拍), 빠르기, 셈여림과 음정, 시김새로 정의될 수 있었다. 또한, 전래동요에 나타나는 국악요소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아는 생의 초기부터 유아기에 이르기까지 성인에 의해 전달되는 국악경험을 통하여 e음계를 토대로한 완전4도의 2음 음계 및 이를 기초로 확장된 완전4도+단3도 등의 3~5음 음계와 시김새를 습득하고 내면화 하는 반면, 가창곡으로는 시김새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에 의한 국악경험이 ≒76의 속도감을 갖는 3소박4박자계의 국악곡이 대부분인 반면, 유아들의 표현은 빠르고 경쾌하며 생동감 있는 속도감(≒110 또는 ≒120)의 3소박4박자계 또는 2소박4박자계의 국악곡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국악요소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만 4~6세의 유아는 장단과 가락의 모든 하위요소를 이해할 수 있으며 시김새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를 음악적 행위로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락의 하위요소인 시김새에 대해서는 자신이 이해한 바를 신체적으로는 표현할 수 있었으나 가창으로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만 3세 유아에 비해 만 4세 이상의 유아가 박(拍)을 표현하는데 더욱 유능하였고 악곡에 포함된 시김새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2의 문항분석에서 각 구성요소 및 세부문항은 유아의 국악능력을 잘 변별할 수 있었으며, 문항통과율을 통하여 살펴본 난이도분석에서는 이해영역에 비해 표현영역의 문항통과율이 다소 낮은 분포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도구의 내적합치도에서는 전체문항 및 구성요소 장단과 가락의 신뢰도가 .85~.93으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양 검사간의 안정성계수가 .80~.94의 분포를 나타냈으므로 본 검사도구가 신뢰성이 확보된 검사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검사도구의 요인모형이 적합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하위요소의 상관계수가 판별타당성 판정기준인 .85를 넘지 않았고 판별타당도계수 역시 1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순례(2003)의 ‘국악음악성 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국악음악성 검사’와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검사도구가 구인, 판별, 공인타당성이 검증된 검사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의 국악능력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의 국악환경이 양호해짐에 따라, 국악학습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가정의 국악환경 및 국악학습 경험의 기간 중 유아의 국악능력에 대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가정의 국악환경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안정적인 검사도구이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하여 국악능력을 잘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는 유아의 국악요소에 대한 국악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국악능력을 파악하고 발달적 진전을 확인하는 것은 유아의 국악능력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발달을 도모하는데 있어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현재까지 구체화되지 못한 유아국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初等學校 國樂特別活動 運營實態 調査硏究 : 클럽활동을 중심으로

        고현선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이란 인간의 행동을 가치있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의도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활동으로서 전인교육이며 자아실현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조화로운 인간 교육으로서의 전인교육과 함께 아동들의 다양한 잠재력을 발견, 계발하여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 활동이 특별활동이라 볼 수 있다. 새로운 교육 개혁 방향이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특별활동 중 클럽활동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고, 다양한 교육욕구를 충족시키며 아동 소질·적성계발은 물론 열린교육 사회를 지향하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와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특별활동 중에 국악 특별활동 상황은 어떠한지 본 연구를 통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운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529개 초등학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국악특별활동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클럽활동 조직·운영의 일반적 실태 클럽활동 조직은 각 학교별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직되고 있는데, 4∼6학년까지 학년 구분없이 조직하여 실시하고 있는 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부서조직에 있어서는 아동들의 희망과 교사, 학부모의 희망을 받아 절충하여 부서를 조직·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서별 인원조직은 아동들의 희망을 많이 고려하여 교사가 적절히 조절하여 조직하고 있어, 아동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클럽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럽활동 운영방법을 조사한 결과 많은 학교가 주1회·1시간 정일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격주제나 전일제 등과 같은 효율적인 시간 운영방안이 요구되며, 클럽활동의 영역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취미활동 영역에 가장 많은 부서가 조직되어 있어, 각 영역에 골고루 부서가 조직되어야 하겠다. 2. 국악부 클럽활동 조직 ·운영실태 전체적으로 국악부가 조직되어 있는 학교는 48.7%로 나타났고, 국악부가 조직되어 있지 않은 학교는 51.3%로 나타나 적극적인 국악부 조직 권장으로 클럽활동 중 국악부가 많이 조직되어야 하겠다. 하지만 앞으로 국악부를 조직하여 운영하려는 학교가 15.3%로 나타나 바람직한 일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악부 클럽활동 부서를 보면, 대부분 장구나 단소 등 기악분야에 많이 치중되어 있어 한국무용, 전래동요, 민요창, 시조창, 판소리 등 다양한 부서를 조직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악부가 조직되어 있지 않은 까닭을 조사한 결과 '지도를 희망하는 교사가 없어서'가 61.0%, 아동들의 흥미가 낮아서'가 24.7%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국악연수 기회의 부족으로 교사들이 국악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아동들도 국악에 대한 기초지식과 다양한 국악체험의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연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자질을 높이고, 많은 국악프로그램을 아동들에게 체험시켜줌으로써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국악부가 조직될 경우 어떤 분야를 선호하는지 조사한 결과 단소부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은 사물놀이, 가야금, 민요부르기, 시조창, 국악감상, 기타로 탈춤과 고전무용 순으로 나타나 단소나 가야금 등 악기를 다루는 부서 외에도 시조창, 민요부르기, 국악감상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부 클럽활동은 주 1회 1시간씩 배정된 시간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클럽활동 외에 추가로 지도하는 시간은 많지 않았다. 발표기회는 연중 1회 이상 발표의 기회를 가져 아동들의 의욕을 고취시켜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국악부 클럽활동을 위한 시설 ·설비 현황은 '부족하다'가 57.5%, '보통이다'가 30.8%로 나타나 충분한 시설 및 기자재 확보를 위한 뒷받침이 필요하다. 국악부를 담당한 교사들은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고, 국악부를 맡게된 동기를 조사한 결과, 본인이 희망해서 담당한 교사들이 많아 적극적으로 지도하고 있으며, 국악부를 지도한 경력을 보면, '1~2년'이거나 '1년 미만'이 많아 최근 1~2년 사이에 많은 교사들이 국악에 관심을 갖고 국악부를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연수 횟수를 조사한 결과 '5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 많은 교사들이 관심을 갖고 국악연수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연수기관을 조사한 결과 국립국악원, 동호인 단체, 사설 강습소 및 학원, 교육대학, 교육청 순으로 나타났는데, 교육청이 주관하는 연수기회를 교사들에게 많이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국악부 클럽활동 전반에 대한 저해요인으로는 교사의 기능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악기 및 시설부족, 교사의 국악 지식부족, 행정가의 무관심, 아동들의 클럽활동에 대한 이해부족, 아동수 과다, 그 외 아동들의 준비물 미비와 연습부족 순으로 나타나, 국악연수의 기회를 많이 주어 교사의 연수를 강화하고, 국악 시설 ·설비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아동들이 국악에 관심을 갖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국악체험과 국악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특기 ·적성교육활동 중 국악부 조직 ·운영실태 최근들어 대부분의 학교가 아동의 소질 ·적성 계발 및 취미 ·특기 신장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부모의 사교육비 절감, 열린교육사회 지향을 위해 특기 ·적성교육활동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 그 중 국악과 관련한 특기 ·적성교육활동을 조사한 결과, 국악부가 조직되어 있는 학교는 27.6%, 조직되어 있지 않는 학교는 72.4%로 나타나 특기 ·적성교육활동에서도 다른 부서(영어, 컴퓨터, 바이올린, 플륫 등)는 많이 조직되어 있으나 국악과 관련된 부서는 많이 조직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국악부서를 보면, 단소부가 가장 많고, 사물놀이, 가야금, 민요창, 한국무용, 해금, 태평소 등 클럽활동보다 다양하게 국악부가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고, 주당 2회 2시간씩 외부 강사를 초빙하거나 교사들의 지도하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부가 조직된 지 얼마나 되었는지 알아본 결과 최근 1~2년이 가장 많고, 금년에 조직된 학교도 많게 나타났다. 이것은 최근에 정부에서 국악 관련 부서조직을 적극 권장한 이유라고 여겨진다. 국악교육과 관련한 경비부담은 아동들이 대부분 부담하고 있었으며, 아동들이 일부 부담하고 학교에서 일부 보조하거나 국고지원 대상자는 무료로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악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으로 많은 아동들이 특기 ·적성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방안이 요구된다. 발표기회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학교가 아동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연중 1회', '학기별 1회'의 발표기회를 갖고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국악교육 발전을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학부모의 국악에 대한 관심도 및 흥미도에 대한 연구가 빠져 있어 후속연구를 통해 이를 조사, 분석하여 국악교육 발전의 기본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클럽활동 운영방법에 있어 정일제, 격주제, 전일제 등과 같은 효율적인 시간 운영 방안이 필요하고, 국악부 조직부서에 있어서 단소, 장구 등과 같이 기악분야 외에 전래동요 부르기, 국악감상, 시조창 등과 같이 다양한 부서를 조직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연수를 더욱 강화하여 교사들이 자신있게 국악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교육부나 국립국악원 또는 국악전문연수원을 설립하여 장기간 연수로 국악자격증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아동들이 다양한 국악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국악환경을 조성해 주고 국악기나 국악실 등 국악교육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를 많이 갖춰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나 행정기관에서 특기 ·적성교육활동 중 국악부 활동을 적극 권장하여 지속적으로 국악 교육활동이 활발히 전개되도록 해야 하겠다. When it comes to education, it usually indicates all-round education for self-realization that is intended to change human behavior into more valuable and desirable one.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schooling is to find and improve a lot of various potentials within children, and as a result, give them a chance to enjoy a rich lif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ol activities that meet lots of different educational demands from all the people in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as club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1. The organization of clubs (1) Students from 4th grade through 6th grade are engaged in club activities in most elementary schools. (2) Clubs are organized through a survey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3) The number of the students in a club is usually adjusted by a teacher dependent on the number of those who hope to join the club. In most schools, children do their club activities for one hour once a week. 2. The organization of KTM (Korean traditional Music) clubs (1) The schools that have their own KTM clubs amount to 48.7% in Seoul. (2) Most of the KTM clubs are instrumental music ones such as Changgu (an hour-shaped drum), or Tanso (a short bamboo flute). (3) The reason why about half of the schools dont have KTM clubs: 61.0% of the schools dont have a teacher who can teach KCM, and 24.7% explains that children show little interest in KCM. (4) Teachers who lead KTM clubs according to their own wishes account for 82.3%, and even 15.0% are appointed regardless of their opinions. (5)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KTM are mostly less than a year or two. (6) The fact that lots of teachers took KTM study course more than 5times shows a great number of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KTM. (7) The National traditional institute is the favorite educational institute among teachers, and the College of education, private institutes, and associations of those who enjoy KTM are also useful institutions. (8) In most schools, children do KTM club activities once a week and give public performances more than once a year. (9) Schools, which dont have enough teaching aids or equipments amount to 30.7%, and those, properly equipped, are 52.9%. (10) Teachers inefficiency, insufficient instruments or equipments, students ignorance, overcrowded class, the indifference of the administrators to KTM, etc are stumbling blocks to the KTM club activities. 3. KTM club activities as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1) Schools, which have KTM clubs as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amount to 27.6%. (2) The activities are so various: one of the most favorite activities is playing the Tanso, and, in addition, Samulnori (an ensemble of the four farmers percussion instruments), Kayakum (a twelve-stringed Korean harp), Korean folk song, Korean traditional dance, Haekum (a Korean fiddle), Taepyungso, KTM orchestra activities are included. (3) Visiting instructors as well as teachers teach for two hours twice a week. (4) Most students pay total amount of tuition fees, and some schools support part of the tuition fees. In conclusion, it need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KTM education: First, the further study needs to go on to find out the interests of students and parents in KT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encouragement of KTM education. Second, efficient time allotment is needed such as a particular day activities, biweekly activities, or a whole-day activities. Moreover, it is required that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sing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listening to KTM, and reciting a sijo (a three-verse Korean ode) also be introduced as well as playing the Tanso or Changgu. Third,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are encouraged to teach KTM through intensified teacher training course, and government authorit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the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 give a certificate of KTM education those who complete long-term study course. Fourth, students should be given lots of chances to experience various KTM, and more instruments and classrooms for KTM should be provided as well. Finally, government authorities should also make every effort to encourage KTM education.

      • 효율적인 국악가창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장미화 추계예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의식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선에서 교육을 맡은 교사들 대부분이 전통음악을 학습할 기회를 가지질 못했고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에서도 전통음악 지도를 위한 교과과정이 체계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못하여 전통음악교육을 실시하여도 능력이 없어서 가르치지 못하는 교사가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1999년부터 1급 정교사자격연수, 교실수업개선연수, 그리고 각급학교별로 실시한 초등교사 대상 직무연수를 통하여 전통음악관련 연수의 경험을 갖게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국악에 대한 지식부족과 아울러 잘못된 편견을 갖고 있어 일선 현장에서 국악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때 효율적 국악가창지도를 위해 초등교사들로 하여금 국악교육에 관한 올바른 교육을 하여 국악가창지도 능력을 함양 시켜야겠다는 문제점을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 교과서 가운데서 민요 가창시에 필요한 국악학습요인 강박, 어단성장, 고저청탁, 호흡, 장단, 발성, 시김새 등의 학습 요소를 정리하여 일선 교사들로 하여금 국악 가창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지도방안을 구안하게 되었다. 본 연구가 전통음악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작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에 대한 보다 진보적이고 보완된 후속연구가 후학들에 의해 계속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Recently substantive attentions about our ethic’s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increased and in school education,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about more emphasised education on traditional music. However, most of teachers haven’t had a chance to experience traditional music and since eve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re are no systematically set curriculums for teaching traditional music, there are large numbers of teachers who can’t teach such topic although traditional music tuition takes place. I had a chance to have experience of traditional music related training via first class licensed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classroom teaching improvement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chools since 1999. Many teachers claimed that due to lack of knowledge on traditional music combined with misunderstanding led to improper traditional music tuition. At this point, for efficient traditional music vocalism training, there was a recognised necessity of cultivating ability of traditional music vocalism training by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correct education. Hence I,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have conceived a way of teaching that enables teachers to learn traditional music vocalism more effectively by gathering key elements of learning for folk singing including strong beat, short word long sound, high and low and clear and unclear, breathing, rhythm, vocalisation and grace note from 5thand6thgrademusictextbooks. I expect this study to be to be used as useful reference for those teachers teaching traditional music and wish more improved and developed studies on such topic to be follow- up.

      • 장단을 활용한 초등학교 국악기악합주 지도 방안

        공혜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장단을 활용한 국악기악합주 활동의 지도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전후 설문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국악기악합주 지도 실태와 장단 지도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국악교육 및 국악기악합주교육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장단의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였고 국악기악합주에 편성될 국악기의 특징, 연주 자세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2009년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악기악합주와 관련된 지도요소를 알아보았고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검정 교과서 6종을 분석하여 국악기악합주에 적합함 합주곡 7곡을 정하였다. 넷째, 국악기악합주 지도 단계로 악곡 탐색 단계, 구음 합주단계, 신체타악기 합주단계, 기악 합주단계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수업 후 실시한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와 수업을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기악합주 활동을 한 후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된 학생이 증가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은 국악 수업활동 중 가창 활동 보다는 기악활동에 흥미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악기악 합주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장단의 박, 한배, 장단꼴을 익힘으로써 장단에 대한 학습 효과가 컸다. 넷째, 국악기악합주는 학생의 국악기 연주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장단을 활용한 국악기악합주를 지도함에 있어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기악합주는 학생의 흥미와 기능 수준에 따라 국악기의 선택의 폭이 넓으므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국악에 대한 흥미도 높아진다. 둘째, 국악기악합주를 통해 국악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며 합주는 학생들에게 연주 기능 향상을 위한 노력의 동기가 된다. 셋째, 국악기악합주를 통해 장단의 체계적인 지도가 가능하다. 넷째, 여럿이 함께 연주하는 합주활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의식, 협동 등의 인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과서의 국악영역 분석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최유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main material, which is generally used for school music education, is music textbook, and new music textbook is compiled as the education curriculum is modified every time. The music textbook should be easy to teach for teachers and easy to learn for students. However, first and foremost, the textbook must be compiled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so, the well-compiled textbook not only achieves educational objective, which the education curriculum suggests, but also helps to conduct systematic music class. As th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focus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music textbooks also devote more to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pros and cons of textbooks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8 kinds of different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he second year course of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 (1)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2) the transi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3) the contents of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4)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are studied briefly. Also, th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included in textbooks, are analyzed in the main text of this research.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 activity, comprehension, and actualization – and then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arning activities and education curriculums of each textboo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though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 textbooks relatively well reflect the education curriculums. Also, each textbook shows predominant features and consists of various contents and activit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further complication of new music textbook and can be a great help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addition, from now on, apart from the research on textbook analysis, the researches on teaching material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to be conducted for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학교음악교육에서 쓰이는 주요 교재(material)는 음악교과서로,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음악교과서가 편찬된다. 음악교과서는 교사에게는 가르치기 쉽도록 구성되며 학생에게는 배우기 쉽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교육과정을 기초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렇게 잘 만들어진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교육의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게 하며 체계적인 음악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국악교육에 중점을 두어 개정됨에 따라 음악교과서 또한 국악영역의 내용이 더욱 충실해졌으리라 본다. 이에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의 8종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의 장· 단점을 파악하고 국악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악교육의 필요성 및 당위성,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국악교육의 변천,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국악교육의 내용을 간단히 고찰하였으며 본문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영역의 내용과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국악내용은 활동, 이해, 생활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국악학습활동은 각 교과서별 학습활동 및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는 군데군데 아쉬운 점들이 있었지만 비교적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교과서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국악내용과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가 차후 새로운 음악교과서의 편찬 시 국악 영역 집필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며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앞으로 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국악교육을 위해 교과서 분석 연구 외의 많은 교수-학습자료 연구, 국악교육에 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