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사대학 학생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및 지식 정도

        박하영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이 연구는 해사대학 학생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및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 구한 후 2022년 8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제대로 작성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27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일반적 특성, 구강보건관리실태,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와 관심도 및 요구도, 구강보건인식 및 행태,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대상자의 구강보건관리실태에서 최근 치과방문 시기는 ‘6개월 이하’이 35.9%로 가장 많았고, 치과에서 받았던 진료내용은 ‘정기적인 검진’이 35.9%, 구강 내 불편한 증상 시 치과방문에 ‘그렇다’가 66.3%, 치과방문을 미루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다’가 56.4%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와 관심도 및 요구도에서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는 ‘없다’가 189명(69.2%)로 가장 많았고, 구강보건교육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37.3%, 구강보건교육 요구도는 ‘필요하다’가 83.9%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전문 인력의 필요 유무는 ‘필요하다’가 80.2%로 가장 많았고, 원하는 구강보건교육 형태는 ‘비디오 및 영상물’ 49.1%, 원하는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올바른 잇솔질’이 49.8%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인식 및 행태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보통이다’ 44.0%, 주관적 구강건강걱정은 ‘가끔 걱정한다’ 72.2%로 가장 많았고, 구강건강 정보 습득 경로에 대해 ‘의료기관(병원, 보건소)’이 가장 많았다. 치석제거(스켈링) 경험 유무는 ‘있다’가 67.4%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관심도 및 요구도는 구강보건교육 관심도,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구강보건교육 전문 인력 필요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및 행태는 주관적 구강건강걱정, 칫솔질 횟수, 칫솔질 방법, 사용하는 구강위생용품, 치석제거(스켈링)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결론 : 이 연구에서 해사대학 학생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은 낮았고, 구강보건교육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구강보건교육 관심 및 요구도, 구강보건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해사대학 학생의 구강건강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구강건강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하여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해 구강건강관리를 습관화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of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maritime college students. Method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obtaining the consent of 300 students from Mokpo Maritime University, a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in August 2022. Of these, 27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filled out properly. The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management status,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terest and demand,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nd oral health knowledge. Results: Regarding the oral health management status of the subjects, the most recent dental visit period was '6 months or less' 35.9%, and 'regular check-up' 35.9% of the treatment received at the dentist. 66.3% answered ‘yes’ to visiting the dentist for uncomfortable symptoms in the mouth, and ‘lack of time’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delaying dental visits at 56.4%.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terest and demand showed that 189 people (69.2%) had n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37.3% had 'normal' oral health education, and 'needed' oral health education. necessary'. 'Yes' was the most common at 83.9%. As for the need for an oral health specialist, 'need' was the most common at 80.2%, and the type of oral health education desired was 'video and video' at 49.1%. The most desir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 was 'correct tooth brushing' (49.8%). Regard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on oral health, 'normal' was the highest at 44.0% fo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ometimes I worry' was the highest at 72.2% for subjective oral health problems. As for tartar removal (scaling) experience, 'yes' was the most common at 67.4%. Interest and demand for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est in oral health education, degree of demand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experts. Oral health consciousness and behavior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interest, number of teeth brushing, brushing method,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and tartar removal (scaling) experience(p<0.05).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of marine college students was low and the demand for oral health education was high.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and demand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tinuous and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so that marine college students can acquire oral health knowledg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rough this, so that oral health management can become a habit.

      • 유아교육기관의 구강보건교육실시 관련 요인

        추미영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배경 및 목적 : 유아교육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구강보건교육실시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유아교육종사자 및 유아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 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년 2012 7월부터 8월까지 김해지역 유치원․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육종사자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SAS(ver9.2)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구강보건교육 실시율은 54.2%로 조사 되었다. 유아교육관련 학력에 따른 교육기관의 유아 구강보건교육실시 여부는 보육교사 양성과정 수료 대상자에 비해 대졸이상 대상자가 3.07(95%신뢰구간:1.04-9.03)배 높게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교육기관의 유아 구강보건교육실시 여부는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에 비해 구강 보건교육 경험자가 3.14(95%신뢰구간:1.55-6.36)배 높았다. 6개월 간 치과방문 여부에 따른 교육기관의 유아 구강보건교육실시 여부는 치과방문 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치과를 방문한 대상자가 2.07(95%신뢰구간:1.02-4.1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유아교육기관의 구강보건교육 실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육종사자의 유아교육관련 학력과 구강보건실천을 향상 시키고, 정규대학 및 보육교사 양성과정 중 구강보건교육 과목 개설 등을 통한 실질적인 구강보건교육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육종사자, 구강보건교육

      • 간호학과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사업 인지도 :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A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process that attain several objectives such as a conveyance of the right oral health knowledge to the school population involving students and the teaching staff, a change of their oral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and an encouragement of their rational, concerted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Currently, school nurses are the only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work in school all the time, and they are responsible for school oral health. Under the circumstances, school nurses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habits of students, and they are major performer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jects. Nursing students who took every teaching course and ha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serve as school nurses after graduation, and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mselves even after they become school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preservice school nurses, and their awar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especially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chool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three-year-course nursing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respectively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cheong Province an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120 dental hygiene students, 150 nursing students and 60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addition, 11 courses related to oral health were selected from among 52 nursing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one college among the three where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selected cour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ut of 52 courses of the nursing department, the textbooks of 11 courses were concerned with oral health. Oral healt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0.01 percent of the 11 courses, and the courses mainly dealt with basic dentistry knowledge on the structure of the teeth, the order of baby teeth, names,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oral nursing and oral diseases. The courses gave few explanations about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which was the co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there were few explanations about topical application of fluoride, pit & fissure sealing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like oral prophylaxis, either. According to the survey, 90.8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24.0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3.3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nd 88.3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15.3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1.7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issure sealant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s well. The nursing students were a little ahea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awareness of whether to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wareness of barriers to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the program. And the former had a slightly mo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the latter,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ose regards. As for the fissure sealant program, the nursing students quite fell behind as well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issure sealant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it. Concerning knowledg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12.61, the highest score, out of possible 18 points. The nursing students got 5.52,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got 3.4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were preservice school nurses received quite a little education about oral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s a consequence, the nursing students were slightly better aware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ould serve as oral health professionals in terms of it. Moreover, they just had a fragmentary and incorrect knowledge about the programs.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to grow into responsible school oral health educators who take good care of the oral health of students. In fact, school nurses are originally nurses, and they don't receive any systematic,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in college before they become school nurses. That's why they are bound to have poor knowledge about oral health, not to be well awa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not to have a sense of mission. In our country, some nurses serve as school nurses, and there is no established system to nurture school nurses responsible for oral health. The establishment of an oral-health-related school nurse system is suggested to make every school equipped with an oral health expert responsible for children's oral health, such as a dental hygienist, in order to step up the promotion of children's or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oral health. 학교구강보건사업이란 학교 인구 즉 학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고 그들의 구강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공동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합리적인 추구방법을 전개해 나가는 목적달성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에 상근하는 유일한 보건전문인력은 보건교사로써 학교구강보건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들 보건교사는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관리습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효율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수행을 위한 중요한 역할자라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 학생 중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졸업 후 소정의 자격을 가진 사람이 보건교사가 되는바 간호학과 재학시절의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지식은 보건교사가 되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들이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그로 인해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불소용액양치사업,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고 나아가 현 학교구강보건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년제 간호학과, 치위생과 학생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여 치위생과 120명, 간호학과 150명, 유아교육과 60명으로 총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조사는 설문 조사를 실시한 간호학과 중 1개의 학교의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 52과목의 간호학과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 내용이 있는 11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와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와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52과목 중에서 구강보건관련 내용은 총11과목의 교과서에 다뤄지고 있었고 그 분량은 구강보건관련 11과목 내에서 약 0.01%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내용은 치아의 구조, 유치 나는 순서, 명칭, 구강의 구조, 구강 간호, 구강질환 등의 치의학 분야의 기초적인 지식들이 많았으며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중심인 불소용액양치사업, 전문가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치면세마 등의 구강병을 예방하는 지식과 처치에 대한 내용들의 제시가 미미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교과 과정’을 통하여 치위생과 90.8%, 간호학과 24.0%, 유아교육과 3.3%의 학생이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정보는 치위생과 88.3%, 간호학과 15.3%, 유아교육과 1.7%의 학생이 ‘교과 과정‘을 통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불소함유치약 사용 여부 인지율, 사업의 건강 장애 발생 여부 인지율, 사업의 유용성 여부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조금 높았으나 치위생과 학생과 비교 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의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 역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의 지식도를 합한 학교구강보건사업 지식도는 치위생과 학생은 18점 만점에서 12.6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학과 학생은 5.52점, 유아교육과 학생 3.45점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의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양은 너무나 작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구강보건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치위생과 학생들보다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낮은 수준이고 사업에 대한 단편적이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간호학과 학생들은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구강보건전문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학교구강보건교육자로써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보건교사는 간호사이며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건교사로 근무할 때까지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강보건지식과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인식과 사명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는 간호사 직종의 학교보건교사는 있지만 아직도 학교구강보건교사는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에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과 학교구강보건의 발전을 위해서 치과위생사 등의 구강보건전문인력이 상주하여 아동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사 제도를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경찰공무원의 구강보건교육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학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구강보건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찰공무원의 구강보건교육요구도에 대한 연구는 2016년 8월 한달간 광주지방경찰청 내 직장교육을 받는 경찰공무원 350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제대로 작성되지 않은 설문지와 무응답 설문지를 제외하고 32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상자의 개인적특성, 구강보건관리실태, 구강건강과 관련된 보건의식행태, 구강보건 의식행태, 구강보건교육 경험 및 인식, 구강보건지식에 대해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통계프로그램으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구강보건관리 실태를 알아본 결과 치과에서 받은 진료내용은 ‘정기적 스켈링’이 32.4%로 가장 많았고, 구강문제시 치과방문 여부는 ‘미루지 않는다’가 51.5%, 치과방문을 미루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다’가 47.8%로 가장 많았다. 구강건강과 관련된 보건의식행태 중 흡연여부에서는 ‘금연’이 79.3%로 흡연자보다 많았고, 흡연자 중 하루 흡연량은 ‘반갑(1~10개비)’이 50.7%로 가장 많았다. 음주여부에서는 ‘가끔 마신다’가 50.9%로 가장 많았고, 음주하는 대상자 중 1회음주량은 ’소주1~2잔(맥주1병 이하)‘가 38.3%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 의식행태 중 주관적 구강건강걱정에서는 ‘가끔 걱정한다’ 74.1%로 가장 많았고, 구강환경용품 사용여부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41.0%, 잇솔질 교육경험에서 ‘있다’ 55.2%, 치석제거(스켈링)경험에서 ‘있다’가 92.0%, 치석제거(스켈링) 받는 주기에서 ‘정기적으로 받지 않음’이 43.5%로 가장 많이 나왔다. 구강보건교육에 대해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대상자보다 없는 대상자가 84.3%로 더 많았고, 구강건강관리교육 시행 참석의사에서 ‘시간이 되면 참석하겠다’가 73.5%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 전문인력 필요성여부에서 ‘필요하다’가 65.7%로 가장 많았고, 구강보건의 필요이유에서 ‘충치, 잇몸질환 예방을 위해’ 71.6%, 원하는 구강보건교육 형태에서 ‘직접 구두로 설명’ 48.1%, 원하는 구강보건 교육 내용으로 ‘올바른 잇솔질 방법’ 46.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에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계급, 근무기간, 음주여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상자의 구강보건교육요구도에 관련 있는 요인으로 연령, 음주량, 구강상태, 간식섭취횟수, 구강보건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경찰공무원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교육요구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구강보건교육요구도는 높으나 구강보건교육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지식을 높이기 위해 경찰공무원이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제공하여 구강보건교육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한다.

      • 대전시 미취학 아동 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교육 실태

        정경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아의 구강건강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을 조사하고 교사들의 유아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유아구강보건교육 매체 개발 등 유아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거하여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법이었다. 조사내용은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 구강보건행태, 유아구강보건교육 현황이었다. 조사결과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등 기술 통계학적 지표를 이용하여 요약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직업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교차분석과 t-검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강보건지식을 측정한 문항에서 정답률이 대부분 50%를 넘지 못해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들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구강보건교육 참여의사를 묻는 항목에서도 ‘꼭 받을 것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23.6%로 나타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관심 역시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유아구강보건교육 내용으로 가장 선호하는 내용은 ‘우식발생 원인과 진행 과정’, ‘식이지도(치아의 유해음식)’, ‘잇솔질과 우식의 관계’이었으며 인형극ㆍ구연동화를 ‘가장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동기유발 매체’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부분의 교사는 잇솔질 지도를 하고 있었으며, 잇솔질 지도 시 유아 잇솔질 교육방법으로는 ‘교사의 잇솔질 시범’이라는 응답이 77.5%로 가장 많았다. 4. 유치원 불소용액양치사업의 찬반 의견에서는 찬성이 83.9%로 반대율 보다 높았다. 5. 우식예방법의 효과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매우 효과적인 우식예방법은 불소 이용법보다 ‘정기적인 구강검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을 뿐만 아니라,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7.3% 이어서, 우식예방법의 효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적절한 유아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the oral health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Method : The questionnaire are distributed to 248 teachers of preschool located in Daejeon city. The selection of the teachers are based on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Result : In the questions about the oral health knowledge, the correct answer rates are no over 50%, which mean that the level of the oral health of the teachers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is supposed to be low. In the question that 'I am sure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s 23.6%, this also means that the concern about the oral health education turns out to be low. The sequences of the preference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oral health are 'the cause and process of caries', 'the diet guidance', 'the relation between tooth brushing and caries'. Puppet drama and story telling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motive provoking medias for the most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Most teachers are guiding tooth brushing. As a teaching method of tooth brushing, 'The teacher's sample tooth brushing' item gets 77.5%, this is the highest percentage 83.9% of the people are agreed with the us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As the most caries preventive measure, regular oral examination gets the most agreeable response. The people who think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is not effective is about 7.3%, this rate means that the exact knowledge is necessary for caries preventive measure. Conclusion : The oral health education to the teachers in preschool should be intensified for the suitable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children.

      •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인식과 실태조사 연구

        고다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구강보건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성인 및 아동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교육의 개선을 통해 더 나은 구강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및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성인 및 아동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성인 및 아동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본다. 넷째, 치과위생사와 성인 및 아동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40명과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 250명,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2개교 고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은 60.4%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강보건교육장소는 치과병(의)원, 교육횟수는 주 1-2회, 1회 교육시간은 6-10분, 교육방법은 대화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 보다는 성인을 더 많이 교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이유는 시간부족(52.1%), 원하는 대상이 없어서(41.5%), 자신이 없어서(39.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된 교육내용은 성인의 경우 올바른 잇솔질 방법(73.8%)과 구강보조용품 사용법(68.8%)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경우는 모든 교육내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시를 위한 시간의 확보와 다양한 교육내용의 교육이 요구된다. 둘째, 성인(32.3%)에 비해 아동(43%)이 높은 교육 경험을 나타냈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이유는‘교육기회가 없었음’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을 받은 장소는 성인의 경우 치과(병)의원, 아동은 학교에서 교육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과 아동 모두 교육을 받은 후에 기억하는 내용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 기회의 증가와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대부분의 구강보건지식 내용에 대한 인식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나, 성인의 경우 영구치의 개수(55.3%), 영구치 첫 맹출시기(55.8%), 구강외상예방 및 대처방법(26.5%)에 대한 구강보건지식 문항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경우 영구치 첫 맹출시기(42%), 치아에 좋은 세치제 선택(57.0%)에 대해서 잘못 인식하고 있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잘못 인식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넷째,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성인은 88.9%, 아동은 88.0%로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성인과 아동 모두‘치아우식증(충치) 예방을 위해서’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장소로 성인은 직장을, 아동은 학교를 선호하는 응답이 많았으며, 교육횟수는 성인이 연 1회, 아동이 연 2회의 응답이 많았고, 교육시간은 41-60분, 교육방법은 실습식으로 성인·아동 모두가 선호하는 응답이 많았다. 치과위생사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항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대상자가 선호하는 사항을 고려한 교육이 요구된다. 구강보건교육 내용 항목별 필요 정도에 대한 요구도는 5점 만점 중 모든 항목이 3.60점 이상으로 모든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성인의 경우 올바른 잇솔질 방법(4.67점), 구강보조용품 사용법(4.38점), 치아우식증의 원인 및 예방법(4.57점), 치주질환의 원인 및 예방법·자가증상(4.58점), 구강 외상 예방 및 대처방법(4.23점)로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경우 잇솔질 시기(4.41점), 올바른 잇솔질 방법(4.53점), 치아우식증의 원인 및 예방법(4.43점)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교육 개선을 통해 좀 더 나은 구강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병(의)원에서의 구강보건교육 시간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구강보건교육자로서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직장별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구강보건교육의 지속적 시행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기구강검진과 함께 구강보건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치과위생사·성인·아동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실태와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다른 지역으로의 확대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성인의 경우 생애주기별로 연령층을 세분화하여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성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전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 교육 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주한미군과 카투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박금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수준 향상에도 불구하고 치아우식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치아우식증에 높은 이환율을 보이는 20대 연령대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이 시급하며, 특히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접근도는 낮으나 조직의 특성상 교육에 따른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군 조직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부족과 군 조직을 위한 정부의 정책부재로 인해 주한미군 내 카투사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군 조직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북부 소재의 한 부대 내 내과 및 치과에 내원한 주한미군과 카투사 38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 및 건강행위 실태, 구강관리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구강보건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군 조직의 효과적인 구강보건사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한미군과 카투사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은 주한미군이 2.35점, 카투사는 2.60점으로 카투사가 주한미군에 비해 구강관리 지식수준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구강보건관리 실태에서는 주한미군의 경우 하루 중 잇솔질 횟수가 ‘2회’(59.2%)인 경우가, 카투사는 ‘3회’(34.3%)인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치과 의료서비스를 최근 언제 이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주한미군에 비해 카투사(36.2%)에서 최근 치과 내원시기가 오래된 사람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행위 실태는 흡연여부와 음주량, 주관적 구강건강도, 구강건강 정보원에서 주한미군과 카투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의 경우 주한미군은 48.6%, 카투사는 29.8%로 주한미군에서 흡연하는 사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고, 음주량은 주한미군의 경우 ‘소주 1~2잔’(51.4%), 카투사는 ‘소주 3~4잔’(33.3%)이 가장 많아 카투사의 1회 평균 음주량이 주한미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주관적 구강 건강도는 카투사(78.5%)에 비해 주한미군(93.8%)에서 주관적 구강 건강도를 ‘건강하다’로 평가한 사람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한미군은 의료기관(47.1%)에서, 카투사는 주변사람들(35.2%)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구강보건교육 실태에서는 주한미군(40.9%)에 비해 카투사(71.3%)에서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사람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에서는 주한미군(93.7%)이 카투사(77.1%)보다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구강보건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사대상자의 연령(OR=0.127, 95% CI=0.015-1.068), 하루 잇솔질 횟수, 음주여부, 구강보건 지식수준(OR=1.983, 95% CI=1.309-3.004)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건강의 인식변화를 통한 구강증진을 위해서는 각 집단의 특성 및 요구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20대 연령의 구강질환의 증가 추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마련이 시행되어야 하며, 특히 주한미군에 비해 낮은 구강보건교육 요구도를 갖고 있는 카투사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구강보건 교육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In the nation, dental caries are on the increase in spite of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by rapid economic growth. It is urgent to implement an oral health programs to the people in their 20''s who are having a high morbidity rate against dental caries. Especially, there is an necessity of oral health programs raised for the army, which is low in accessibility to oral health education but the outcome subsequent to the education is expected to be high by its organization nature. In the nation, however, oral health programs in KATUSA and even in US force in Korea is very poor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on oral health and the absence of government policies. Thus, in the study, a total of 380 US force in Korea and KATUSA who have ever came to help to the internist and the dentist inside the force located in the north part of Kyonggi-do were surveyed about their oral health, status of health behaviors, and knowledge on oral health, and investigated their request for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to use in developing an effective oral health program for the arm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er in KATUSA with 2.60 than the US force in Korea with 2.35, but no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tatus of oral health c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requency of tooth brushing was ''twice a day'' in the US force(59.2%) and ''three times a day'' (34.3%) in KATUSA. As to when the recent use of dental care service was, KATUSA(36.2%)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stribution of whose most recent visit to dental clinic was long ago than the US force. As to the health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S force and KATUSA in smoking, alcohol intake, subjective level of oral health, and information source of oral health. Smoking was 48.6% in the US force and 29.8% in KATUSA, indicating that smokers were significantly more in number in the US force than in KATUSA. Most common alcohol intake was ''less than a bttle of beer '' (51.4%) in the US force and ''3 bottles of beer, 5 shots f liquor'' (33.3%) in KATUSA, indicating that average alcohol intake per tim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US force than in KATUSA. As to the subjective level of oral health, distribution of who answered ''healthy'' was higher in US force (93.8%) than in KATUS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US force took medical service in the medical institutes(47.1%), and KATUSA obtained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fellows(35.25%). In the status of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KATUS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stribution of who has never taken any oral health education than in the US force(40.9%), but in the request for such education, more US force(93.7%) answered that such education is ''necessary'' than KATUSA(77.1%). Factors influencing on the request for oral health education turned out the respondents'' age (OR=0.127, 95% CI=0.015-1.068), tooth brushing frequency (times a day), whether or not having alcohol, and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OR=1.983, 95% CI=1.309-3.004). Thus, in order for effective prevention of oral disease and for improvement of oral health through change in recognition on oral health,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 fit to the characteristics and request of each group. In addition, to reduce the increasing rate of oral disease in the population in their 20''s,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by government, especially to perform an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projects for the KATUSA who have lower request for oral health education than the US force.

      • 치과서비스 이용고객의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성 연구

        박진희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치과서비스이용 고객의 구강보건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춘천지역에 소재한 Y치과에서 치과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이며 표본의 선정은 편의 추출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 118명씩 추출하였으며, 실험군 조사는 구강보건교육 전과 후의 2회에 걸쳐 진행하였고 대조군 조사는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1회만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조사의 취지와 작성법을 설명하고 이에 응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성별. 연령. 인구사회학적 특성 5문항, 구강보건관련지식 15문항, 구강보건교육 행태 15문항, 구강보건교육 후 만족도 3문항,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1문항으로 총 39문항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직접 나누어준 다음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게 한 후 수거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지식, 행태 변화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하루 세 번 3분간 칫솔질 등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번거로워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항목들로써 이에 대한 교육방법 및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해 본 결과, 구강보건지식(B=0.576, p<.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9%였다(F=5.48). 이는 교육을 통한 구강보건지식의 향상이 구강보건행태의 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임을 말해 주는 것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 Y치과에 내원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만으로 얻어낸 정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적인 표본을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자료와 함께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라는 보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purport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dental clients, and find out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affect the healthy oral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l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located at Chuncheon city, Gangwon province, Korea,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who had an oral health education, and control group who had not. Each group consists of 118 cl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using t/F test, -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oral health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some knowledge items, such as 3 times toothbrushing a day, 3 minutes each brushing time, were found not to be connected to actual behavio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making it a habit. Second,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y oral behavior. This result supports the existing belief that oral health education is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clients.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ore sophisticated and client-oriented education method needs to be developed for making the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more effective.

      • 중학생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방법에 따른 효과검증

        장은희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방법에 따른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법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N구 소재한 S중학교에서 1학년 6개 학급 중 3개 학급 전체 86명을 실험군으로 나머지 3개 학급 전체 93명을 대조군으로 임의 표출하였다. 연구도구는 구강보건인식 13문항, 구강보건지식 20문항, 구강보건행동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중심 구강보건교육과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론 중심 구강보건교육과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제한된 지역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고,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이론 중심 구강보건교육과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한 구강보건교육으로 구분하였으나 교육시간은 모두 45분씩 2회로 제한하였으므로 다양한 지역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중학생,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동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method on oral health cogn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design w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ethod. The survey asked the participants to write in their own opin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1 classes in S middle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City from October to November, 2016.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79, allocated convenientl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86 of experimental group from 3 classes, and 93 of control group from 3 classes. The study tool consisted of 13 items of oral health cognition, 20 items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18 items of oral health behavi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wo-way ANOVA and t-test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ral health cognition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 combination with theory and practice of theory-based oral health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 combination with theory and practice of theory-based oral health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t be generalized because the subjects were from only one middle school.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divided into theory-based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combined with theory and practice. However, since the education time was limited to two every 45 minutes, it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in various areas and learners. KEYWORDS : Middle school student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ral health cognition,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