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경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몰입을 높이고 나아가 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체육수업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2년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여자학교 및 남녀공학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이며, 직접 방문 및Naver form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총 585부를 표집 하였고, 이 중 512부의 설문지를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일반적 특성(학교유형, 학교급, 학년, 건강수준, 체육관심도, 희망 수업시수, 신체활동여부), 재미요인(유능성, 교사지도성, 자율성, 성취성), 수업몰입(수업과정에의 통합, 자기 목적적 경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 그리고 수업만족도(수업운영, 수업효과, 수업환경)로 구성하였다. 첫째,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에서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 수업몰입의 모든 하위요인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수업효과, 수업환경 요인은 여자학교 여학생들보다 남녀공학 여학생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과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급에 따른 차이에서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 성취성, 수업몰입의 자기 목적적 경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은 중학교 여학생들이 고등학교 여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과 수업몰입의 수업과정에의 통합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교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 요인에서는 3학년이 2학년 보다, 수업만족도의 수업효과와 수업환경 요인에서는 1학년이 3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 수업몰입의 모든 하위요인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요인에서는 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등학교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 요인에서는 2, 3학년 보다 1학년이, 자율성 요인에서는 3학년 보다 1, 2 학년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업몰입의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 요인에서는 2학년이 3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요인에서는 2학년 보다 1, 3학년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재미요인의 유능성, 성취성, 수업몰입의 수업과정에의 통합, 자기 목적적 경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수업효과, 수업환경 요인에서는 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건강수준에 따른 차이는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관심도에 따른 차이는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희망 수업시수에 따른 차이는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신체활동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 수업몰입의 모든 하위요인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수업효과, 수업환경 요인은 참여하고있다가 참여하고있지않다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과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은 수업몰입의 하위요인인 수업과정에의 통합, 자기목적적 경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 요인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지도성은 수업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목적적 경험 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 자율성, 성취성은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수업운영, 수업효과, 수업환경 요인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수업몰입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는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수업효과, 수업환경 요인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은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수업효과 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몰입의 수업과정에의 통합은 수업만족도의 수업운영 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재미요인의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은 수업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재미요인의 교사지도성, 자율성, 성취성은 수업만족도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체육교사는 특히 재미요인의 유능성과 교사지도성 그리고 수업몰입의 수업내용에 대한 몰두 요인을 활용한 학습지도 및 학습지도안을 설계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한다면 여학생의 체육수업의 몰입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며, 체육수업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교사의 역량은 교과지식, 운동능력 뿐만 아니라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는 수업지도방법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여학생에게 적합한 체육수업을 설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감성적인 측면에 민감하고 감성이 뛰어난 여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지도를 위해 첫째, 기본기능 중심의 지도에서 벗어나 놀이 및 경기중심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한다. 둘째, 수업 시 필요에 따라 음악을 활용하여 여학생의 주의 집중을 이끌어 지루함을 줄여줄 수 있는 감성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특히 영상매체에 친숙해져있는 여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명인 혹은 인기 있는 운동선수가 주인공인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건강과 체력 향상을 위해 운동의 효과를 인지시킨다. 넷째, 사춘기 시기의 여학생들은 친구와의 관계를 무엇보다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협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모둠활동과 역할부여의 수업방안을 중점으로 구성하여 학생 중심의 자율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는 체육수업에서의 소속감 및 책임감과 참여의욕을 높여줄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다섯째, 여학생에게 칭찬과 격려를 자주해줌으로써 교사와의 유대관계 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이끌고, 이름 기억하기, 이름 자주 호명하기, 공감하기, 긍정적인 용어 사용하기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여섯째, 운동기능을 지도할 때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스포츠 참여에 대한 두려움과 창피함을 없애주기 위해 다양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성취감과 성공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감과 동시에 수업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앞서 제시한 여섯 가지 체육수업지도 뿐만 아니라 그 외 다양한 수업지도방안들을 고려함으로써 여학생의 수업몰입을 높이고 나아가 수업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로써 여학생의 체육수업 활성화와 궁극적으로 신체활동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창업가의 성격특성이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경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71

        Are Korean entrepreneurs actually happy? This question is the key background and subject of this study. Most of them hope to become a successful entrepreneur; but the reality of start-up establishment is not satisfying their initial expectations sufficiently. The survival rate of new Korean start-ups and the entrepreneurs' satisfaction are absurdly low,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Nevertheless, there are motivation factors that cause Koreans to make an annual attempt to establish a start-up. The study aims to explore what other factor exists, along with a financial expedient as a factor in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and to look at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The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outcome but also by the personal tra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 and the establishment motive. The study deals with one of start-up establishment satisfaction determinants well-being, defined as a measure of objective well-being of an individual. Well-being i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nsidered as a measure that is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set as variable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s the key hypothesis an entrepreneur'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ditional hypotheses were se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other hypothesis was se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n entrepreneur's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ypothesis verification,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220 copies were collected as a sample from Korean entrepreneu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n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mple was perform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the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psychologic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as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an entrepreneur's personality traits have positive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hypothesis was also adopted an entrepreneu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found that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 (+)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extraversion and openness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extraversion, openness, and neuroticism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it was analyzed that openness has significant (+) influence in all the hypothes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influence of openness was inadequate or was not shown; but its influence is increasing recently. It is required to discuss if the personality trait essential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penness. The study's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it is Korea's first exploratory study presenting that another potential benefit exists as factor in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in addition to income. Its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it has presen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suitable for an individual's start-up environment and of promoting self-efficacy. Also, it has provided a piece of information saying that the big 5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self-efficacy can be considered when those engaged in start-up policy look for prospective start-up entrepreneurs with success potential. I hope that there will be further studies of motivation for start-up establishment and satisfaction from start-up establishment, based on the study. 우리나라 창업가들은 과연 행복할까? 라는 질문은 본 연구의 핵심배경이며 논제이다. 대다수 창업가는 성공한 기업가가 되기를 희망하지만, 작금의 창업 현실은 충분한 초기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창업 생존율과 만족도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저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새로운 창업을 시도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만족요인으로 재정적인 방편만이 아니라 또 다른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창업만족은 성과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개인적 특성, 기업특성, 창업동기 등의 영향을 받는다. 창업만족결정요인 중에 개인의 객관적인 행복척도로 정의되는 웰빙(Well-being)에 관한 연구이다. 웰빙은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으로 구분 되는데 더 포괄적이며 객관적인 척도로 간주되는 심리적 웰빙에 대한 실증분석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성격특성 Big 5요인,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을 심리적 웰빙 관련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핵심가설은 창업가의 성격특성 Big 5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추가가설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웰빙에,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정하였다. 또한 창업가의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한국의 창업가들로부터 220부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표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위한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가의 성격특성은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도 채택되었다. 또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격특성 Big 5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결과,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과 개방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외향성, 개방성, 신경증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다르게 개방성은 모든 가설에서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전연구에서는 개방성의 영향력이 미비하거나 나타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4차 산업시대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성격특성이 개방성인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창업만족요인으로 소득만이 아니라 또 다른 잠재적 혜택이 있음을 제기한 국내 최초의 탐색적 연구라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개인의 창업환경에 맞는 성격특성을 개발하고 자기효능감 고양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창업정책 종사자들에게 성공잠재력을 갖춘 창업지망자 탐색에서 성격특성 Big 5요인과 자기효능감이 고려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창업 동기부여 및 만족에 관한 향후연구가 지속되기를 소망한다.

      • 한국과 일본의 혁신클러스터 육성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정경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71

        本論文は、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を育成するための□家間の比較?究を通じて、政府の望ましい政策と役割モデルを導き出そうとするものである。典型的に?家が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育成を主導する韓國と日本の政策を比較することによって、政府主導型の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育成における政府の役目を見いだそうとした。本?究の?象は、韓?は産業?地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であり、日本は地域クラスタ□(産業クラスタ?計?と知的クラスタ?創成事業を指す)を選?して比較分析した。 本?究における日ㆍ韓??の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育成政策の比較分析要因は、環境的要因、政策ㆍ管理的要因、制度的要因、そして技術ㆍ社?的要因に?分した。 第一に、環境的要因では、??が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政策を導入した社???的環境と政治的環境を比較分析した。?究の結果、韓?は政治??的要素が?く、日本は??的要素が?いと言える。すなわち、韓?は、IMF金融危機以後の??低迷と盧武鉉政?が公約した?家均衡?展と公約の??から始まった。 日本は、1970~80年代の高度??成長期を?た後、‘失われた10年’と言われた1990年代の金融不況と企業の海外移?による地域産業の空洞化解消及び地域??の活性化から始まった。 第二に、政策ㆍ管理的要因の比較分析では、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の選定基準、技術及びR&D支援、人材育成、プロジェクト推進組職及び支援事項、そして事業評?に?して比較分析した。?究の結果、日ㆍ韓??が共に政策?施に?って一定の基準を設け、?回の評?を?って?象地域を選定したという点と地域別配慮をしたという共通点がある。しかし、日本は、?在能力を把握するために?現可能性調査(FS調査)を?施したという点で具?的な選定方式と基準には多くの差がある。技術及びR&D支援の面では、日ㆍ韓??が?存の政策と連携するという点では共通する。しかし韓?は、?究のためのインフラを補完ㆍ整備するハ?ドウェアの面を中心に、日本は、?質的に?究費を助成するソフトウェアの面を支援している。また、日本は、他の府省の?究開?支援政策を同時に活用する?域化ネットワ?ク方式を採っている。人材育成部門では、韓?は、現在保有している人材の活用を中心にしているが、日本は、科?技術?係人材育成プランに基づき多?な分野の人材育成を政府政策として?合的に推進している。そして支援事項の面では、韓?は、まだインフラの構築などハ?ドウェアの側面の政策が多く、日本はハ?ドウェアとソフトウェアの?面で支援しているが、ソフトウェアの方が充?しているとと言える。事業評?は、日ㆍ韓??が?門家による評?を?施し、その結果を翌年度の補助金交付へ反映するという共通点がある。しかし、評?方式には多くの部分に差があり、また、日本は政策評?管理システムを導入している。 第三に、制度的要因では、クラスタ?の?連法の整備、知的財産?及び特許制度、そして資金調達支援について比較分析した。?究の結果、日ㆍ韓??が共に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事業の基となる根?法を取り?えている。しかし、知的財産及び特許と?連しては、韓?は、まだ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活動から生まれた知識財産の保護及び活用、?連計?が?っていない?況であるが、日本は、地域クラスタ?事業の開始と同時に知的財産?に?する法案とガイドラインを設け、また、政府レベルでの?門機?を設置し、?係計?を樹立して推進したという点で、知識の大切さに?して?家間に認識の差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資金調達支援の面でも、韓?は、これといった政府レベルでの支援制度がないが、日本は、金融?と連携した産業クラスタ?計?への支援策を持っている。 第四に、技術ㆍ社?的な要因の比較分析は、?究主?、ネットワ?ク形成要因、起業ㆍ創業支援、販路開拓支援について比較分析した。?究の結果、?究主?面で韓?は小規模の中小企業が大部分を占めているため?究主?が多?ではない。一方、日本は大?、民間企業及び公共?究機?、そして民間推進組職など多?な?究主?が連携しながら活動している。ネットワ?ク形成要因として韓?と日本が類似した?略を推進している。その中でも、韓?は産?官の開放型ネットワ?ク活動が活?であり、日本は、文部科?省と??産業省が連携して?点機?構築及び産業支援??を通してのネットワ?ク形成支援が活?である。起業ㆍ創業支援の面では、韓?は、インキュベ?ション整備施策が充分でないのに比べて、日本の場合は、産業支援??及び大?と連携し、インキュベ?ション施設を整備することで大??ベンチャ?の起業が活?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本論文は、政府主導型の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形成における日ㆍ韓??の政府の支援政策を?合的に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フレ?ムを提示することができ、今後、韓?政府がイノベ?ションクラスタ?政策を進めるに?り、?心を持って推進しなければならない政策課題に?して具?的な??方向を提示したという点で意義が大きい。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 정부의 바람직한 정책과 역할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형적으로 국가가 혁신클러스터육성을 주도하는 한국과 일본의 정책을 비교함으로써 정부주도형 혁신클러스터육성에 있어서의 정부의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이고, 일본은 지역클러스터(산업클러스터사업과 지식클러스터사업을 지칭)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ㆍ일 양국의 혁신클러스터 육성정책의 비교 분석요인은 환경적 요인, 정책ㆍ관리적 요인, 제도적 요인, 그리고 기술ㆍ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환경적 요인에서는 혁신클러스터정책을 도입한 사회ㆍ경제적 환경과 정치적 환경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은 정치경제적 요소가 강하고 일본은 경제적 요소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의 경제적 침체와 참여정부가 공약한 국가균형발전 차원과 공약실천에서 시작되었고, 일본은 1970~80년대의 고도경제 성장기를 거친 후 ‘잃어버린 10년’이라고 지칭한 1990년대의 금융 불황과 기업의 해외이전으로 인한 지역산업 공동화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둘째, 정책ㆍ관리적 요인의 비교분석은 혁신클러스터의 선정기준, 기술 및 R&D지원, 인적자원공급, 추진조직 및 지원사업, 사업평가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ㆍ일 양국이 모두 정책 도입에 있어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여러 차례의 평가를 거쳐 대상지역을 선정했다는 점과 지역별 안배를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일본은 잠재력 파악을 위한 실현가능성조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선정방식과 기준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기술 및 R&D지원 측면에서는 한ㆍ일 양국이 기존의 정책사업과 연계를 추진한다는 점에서는 공통한다. 그러나 한국은 연구 인프라를 보완ㆍ정비하는 하드웨어적인 면을 중심으로, 일본은 실질적인 연구비 지원을 통한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일본은 타부처의 연구개발 지원정책을 동시에 활용하는 광역화 네트워크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적자원 공급부문에서는 한국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재의 활용을 중심으로 하는 반면, 일본은 과학기술관계인재육성플랜에 입각하여 다양한 분야의 인재육성을 정부정책으로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지원사업면에서는 한국은 아직은 인프라 구축 등 하드웨어 측면의 정책이 많고, 일본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면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면이 좀 더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사업평가는 한ㆍ일 양국이 전문가를 구성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익년도 사업비지원에 반영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평가방식에는 많은 부분에 차이가 있고 또 일본은 정책평가ㆍ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셋째, 제도적 요인은 관련법의 정비와 지적재산권 및 특허제도, 그리고 금융지원제도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ㆍ일 양국이 모두 혁신클러스터사업 추진과 관련한 근거 법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지적재산 및 특허와 관련해서 한국은 아직 혁신클러스터 활동으로 생겨난 지식재산의 보호 및 활용, 관련 계획이 갖추어져 있지 못한 상황이고, 일본은 지역클러스터사업 개시와 동시에 지적재산권에 관한 체계적인 법안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고, 정부차원에서 전문 추진기관을 설치하고 관련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했다는 점에서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국가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금융지원제도 면에서도 한국은 정부차원의 지원제도가 뚜렷하게 없는 실정이나 일본은 금융청과 연계한 산업클러스터사업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넷째, 기술ㆍ사회적인 요인의 비교 분석은 연구주체 요인, 혁신매개 거점요인, 기술창업 활동요인, 판로개척지원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주체 면에서 한국은 영세한 중소기업이 대부분으로 연구주체가 다양하지 못하다. 반면, 일본은 대학, 민간기업 및 공공연구기관, 그리고 민간추진조직 등 다양한 연구주체가 연계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혁신매개 거점요인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모두 비슷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은 산학관 개방형 네트워크 활동이 활발하고, 일본은 문부과학성과 경제산업성이 연계하여 거점기관구축 및 산업지원단체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지원이 활발하다. 기술창업 활동요인 면에서는 한국은 인큐베이션 정비시책이 미흡한데 비해 일본의 경우는 산업지원단체 및 대학과 연계하여 인큐베이션 시설을 정비함으로써 대학발 벤처 창업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정부주도형 혁신클러스터형성에서 한ㆍ일 양국 정부의 지원정책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할 수 있었고, 나아가 앞으로 한국정부가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혁신클러스터 정책과제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스마트 웹 기반 학습콘텐츠의 학습 성과를 위한 메타인지 수준별 UI디자인 속성 연구

        정경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Preceding studies have shown that user interface (UI) designs of learning contents provided via web platforms have a positive impact on one’s learning performance (LP) and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metacognition. However, since the level of learners’ metacognition varies among individual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ffect of UI designs on LP. Hence, here, I conducted a multiple group analysis where the metacognition factor is controlled?i.e. peopl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metacognition levels?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I design factors’ satisfaction level on LP. The impact of UI designs on LP is determin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y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LP of groups with different metacognition levels. Here, four different metacognitive skill levels?(1) planning, (2) monitoring, (3) evaluating, and (4) overall levels?are considered. LP is broken down into four categories: (1) understanding of concepts (LP-UC); (2) problem recognition and solving (LP-PRS); (3) thinking and creativity (LP-TC); and (4) sense of accomplishment and level of achievement (LP-SALA). Additionally, UI designs are discussed from the aspects of (1) step-by-step layout user interface (LUI); (2) section-by-section LUI; (3) multimedia graphic user interface (GUI); (4) text GUI; (5) graphic GUI; (6) contents-update interaction user interface (IUI); (7) navigation IUI; and (8) search IUI. The main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discussed below. First, a review of metacognitive planning level shows that the step-by-step LUI and the section-by-section LUI` had a positive impact on LP-UC, PRS, and SALA, and LP-PRS, TC, and SALA, respectively when a group had a lower planning level. Additionally, both the multimedia GUI and contents-update IUI were more effective on LP-UC for the group. However, the text GUI and navigation IUI had more influence on the LP-SALA of the group with higher-level planning. Second, a review of monitoring levels indicates that the step-by-step LUI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ntire LP when a group had a higher monitoring level. Moreover, the graphic GUI and the contents-update and search IUI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P-SALA and PRS for th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multimedia GUI and contents-update IUI were more effective for the LP-UC, TC, and SALA for the group with lower monitoring level. In addition, the graphic GUI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P-UC for the group with a lower monitoring level. Third, a study of level evaluations shows that the entire LP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step-by-step LUI and section-by-section LUI when a group has a lower evaluation level. Additionally, the search IUI was more effective for the LP-SALA of a group with a lower evaluation level. A group with a higher evaluation level, however, showed some positive effects between the multimedia GUI and the LP-TC, the text GUI and the LP-PRS, the graphic GUI and the LP-TC, the contents-update IUI and the LP-PRS and SALA, the navigation IUI and the LP-UC, and the search IUI and the LP-PRS and TC, respectively. Finally, a study of the overall metacognition level showed that the step-by-step LUI and section-by-section LUI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ntire LP when a group has a lower level in overall metacognition. The multimedia GUI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P-UC and PRS for the same group, while the contents-update and search IUI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P-UC and PRS, respectively. When a group has a higher level of overall metacognition, only the text GUI and the contents-update IUI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P-PRS and SALA,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only when metacognition skill levels are controlled that LUI, GUI, and IUI, which are properties of UI design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LP. To improve the LP-UC for learners with lower metacognitive planning levels, it is a good strategy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step-by-step LUI, multimedia GUI, and contents-update IUI among all UI design properties. In addition,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section-by-section LUI can lead to the enhancement of the LP-PRS, TC, and SALA for learners. Improved step-by-step LUI can also enhance the LP-PRS and SALA for the group. To improve the LP-UC and TC for learners with lower metacognitive monitoring level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graphic and multimedia GUI and the contents-update IUI while also improving the LP-SALA for learners, and the multimedia GUI and contents-update IUI need to be strengthened. For learners with lower metacognitive evaluation level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ep-by-step LUI and section-by-section LUI to improve the LP-UC, PRS, and TC. Also, to improve the LP-SALA, the step-by-step LUI, section-by-section LUI, and search IUI need to be strengthened. A strategy for the UI to enhance the LP-UC for learners with lower overall metacognitive levels is to strengthen the step-by-step LUI, section-by-section LUI, multimedia GUI, and contents-update IUI. To improve the LP-PRS, step-by-step LUI, and section-by-section LUI, multimedia GUI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the LP-TC, the step-by-step LUI and section-by-section LUI should be strengthened, improved step-by-step LUI, section-by-section LUI, and search IUI can lead to a better LP-SALA. Finally, for leaners with higher metacognitive levels, several strategies for UI designs may be established to improve LP. First, for learners with higher metacognitive planning levels, the text GUI and search IUI should b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LP-SALA. Second, for learners with higher metacognitive monitoring levels, the step-by-step LUI, search IUI, and contents-update IUI should b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LP-UC and TC. Third, for learners with higher metacognitive evaluation levels, the navigation IUI for the LP-UC, the text GUI, search IUI, and contents-update IUI 스마트 웹 플랫폼 기반에서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UI디자인은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 개인의 메타인지 역시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UI디자인과 메타인지는 서로 긍정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는 선행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해, 학습자의 메타인지의 수준에 개인차가 있으므로, 학습 성과에 대한 진정한 UI디자인의 효과를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어, 메타인지를 통제한 후 학습 성과에 대한 UI디자인 속성 만족도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의 메타인지 고-저 집단 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UI디자인 속성 만족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의해 도출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의 계획 수준별 UI디자인 속성 만족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LUI가 개념이해와 문제인식과 해결,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메타인지의 계획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고, 섹션별LUI가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의 계획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GUI의 multi-media가 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의 계획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IUI의 contents up-date가 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의 계획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GUI의 text가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IUI의 navigation이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의 계획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메타인지의 점검 수준별 UI디자인 속성 만족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GUI의 graphic이 개념이해와 사고와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고, multi-media가 개념이해와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IUI의 contents up-date가 개념이해,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단계별LUI가 개념이해,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고, GUI의 graphic이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IUI의 search, contents up-date가 문제인식과 해결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 점검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메타인지의 조절 수준별 UI디자인 속성 만족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LUI, 섹션별LUI가 개념이해,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의 조절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고, IUI의 search가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의 조절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GUI의 text가 문제인식과 해결에 미치는 영향, graphic, multi-media가 사고와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IUI의 navigation이 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 search가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contents up-date가 문제인식과 해결,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의 조절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메타인지의 전체 수준별 UI디자인 속성 만족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LUI와 섹션별LUI가 개념이해,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 전체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GUI의 multi-media가 개념이해, 문제인식과 해결에 미치는 영향, IUI의 search가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contents up-date가 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메타인지 전체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GUI의 text가 문제인식과 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IUI의 contents up-date가 성취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메타인지 전체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가설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수준을 분리했을 경우에 한하여, UI디자인 속성인 LUI, GUI, IUI는 모두 학습 성과인 개념이해, 문제인식과 해결,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메타인지의 계획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개념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UI디자인 전략으로 단계별LUI와 multi-media GUI, contents up-date IUI 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제인식과 해결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단계별LUI, 섹션별LUI 기능을 강화해야 하고, 사고와 창의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섹션별LUI를 강화하여야 하며, 성취감과 성취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단계별LUI, 섹션별LUI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메타인지의 점검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개념이해, 사고와 창의력을 제고하기 위한 UI디자인 전략으로 graphic과 multi-media GUI, contents up-date IUI를 강화해야 하고, 성취감과 성취도를 제고하

      •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관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경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most consumed meat in Korean households is pork, which accounts for 71.9%. Annual consumption of pork per capita increased from 18.1kg in 2007 to 25.2kg in 2017. These statistics mean that pork consumption will continue to increase throughout society in the future. In addition, pork is an inexpensive and high-quality animal protein source,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domestic meat consumption, an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income for farmers.  Recently, when consumers buy pork, they check the information such as product characteristics, price, and brand carefully. In addition to well-being trends in health, consumers pay a lot of attention to taking care of their family and their own health, which is also seen by consumers trying to buy certified pork brands at higher prices  According to the 2018 Food Consumption Survey Basic Analysis Report publish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4.2% of the survey respondents are willing to pay higher prices to eat safe foods. Also, among food-related consumer policies, 'food safety' was most importantly responded as a factor at 34%.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cept of consumption value related to consumer's purchasing characteristics and examined th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ealth interests, which is specific consumption value, and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o certified pork suppliers and policy makers. It was do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consumers over 20 years of age who had purchased certified pork in Seoul, Gyeonggi Metropolitan area, and 6 metropolitan c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interests was empirically analyzed betwee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ertified pork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ertified p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ercep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Both mediator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hich is dependent variable, along with independent variabl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selection attribute of certified pork directly a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through health interests.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health interests on purchase intention have been limited to research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verified that the selection attribute of certified pork has an in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health interests, based on the study that the selection attribute of food affects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research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various foods previously conducted to the area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ertified pork.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ercep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two factors of health interest, between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certified purchase intention of certified pork, increasing the interest on health of eating out consumer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change in purchasing, and through this, it grasp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Lastly, consumers' health interests are increasing, but since certification reliability is not yet recognized high, the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the certification reliability of certified pork by promotion and management of the label indicating objective quality certification such as trademark, hygiene and slaughter process of certified pork. 우리나라 가구 안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는 육류는 돼지고기가 약 71.9%를 차지하고 있으며 돼지고기의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도 2007년 18.1kg에서 2017년에는 25.2kg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통계치를 토대로 하여 향후 사회 전반적인 돈육소비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이는 돼지고기가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국내 주요 육류 소비량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농가의 소득원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소비자들은 돈육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제품특성, 가격, 브랜드 등 상품에 대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한다. 건강을 생각하는 웰빙 바람과 함께 소비자들은 가족의 건강과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데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러한 소비자들의 돈육에 대한 관심의 표현은 인증된 돼지고기 브랜드를 조금 더 비싼 값을 주고도 구매하려고 하는 것에서부터 나타난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64.2%가 안전한 식품을 먹기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중 ‘식품 안전 보장’이 34%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가치라는 소비자의 구매특성과 관련된 개념적인 인식에서 구체적인 소비가치라 할 수 있는 건강관심도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여 인증돈육 공급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소비자들의 구매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수도권 및 6대 광역시에서 인증돈육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내용을 토대로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건강관심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은 매개변수인 건강인식과 영양지식에 대하여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 매개변수 2가지 모두 독립변수와 함께 종속변수 구매의도에 대하여 유의함을 보여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건강관심도를 매개로 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가치인 건강관심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건강관심도가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등으로 한정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먹거리에 대한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기반으로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이 건강관심도를 매개로 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과 선행하여 진행된 다양한 먹거리에 대한 선택속성 연구를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에 대한 영역까지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인증돈육의 선택속성 특성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건강관심도의 2개 요인인 건강인식과 영양지식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서, 외식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구매에 대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특성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증돈육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건강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인증신뢰도는 아직까지 높게 인식되고 있지 않으므로 정부 차원에서 인증돈육의 상표, 위생 및 도축과정 등 객관적인 품질인증을 나타내는 표시사항의 홍보 및 관리를 통해 소비자의 인증돈육에 대한 인증신뢰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 HACCP 적용 급식학교 조리종사자의 지식 및 실천수준 평가 : 안산·시흥 지역을 중심으로

        정경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HACCP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급식학교 조리종사자의 HACCP에 관한 지식과 실천수준을 비교 평가하여 HACCP 시스템을 올바로 이해하고 제대로 실천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CCP 교육 내용에 따른 실시 결과 식중독과 미생물의 영역에서 가장 낮은 교육 실시율을 나타냈고, 영양사의 인적사항(근무경력, 연령, 학력)과 교육실시 횟수에 따른 교육내용 실시여부에서는 항목에 따라 각각 다른 유의성을 나타냈다. 2. 조리종사자의 HACCP 실천수준에서는 시설 및 기구 보유율이 ‘15개 이상’인 집단의 HACCP 실천수준이 시설 및 기구 보유율 ‘15개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3.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 평가 결과 평균 74.5/100점으로 나타났고, 영양사의 교육내용중 가장 낮은 교육실시율을 나타낸 ‘식중독과 미생물’ 영역에서 가장 낮은 지식도를 보였다. 4. 조리종사자의 HACCP 실천수준 평가 결과 평균 4.4/5점의 높은 실천수준이 나타났고, 조리종사자의 인적 특성에 따른 HACCP 실천수준에서는 근무경력에 따른 조리단계의 위생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5. 영양사의 HACCP 교육내용과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 실천수준에서는 각기 다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영양사의 인적 특성이 HACCP 교육내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각 영역에 대한 교육내용이 한 영역으로 치중되지 않고 고르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HACCP 교육에 대한 쳬계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2. HACCP 교육 횟수에 따른 교육내용에서 HACCP 교육횟수가 적은 집단이 교육 내용에 따른 실시율을 높게 나타내, 각 학교에서는 교육횟수 위주의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교육 내용에 내실을 기해야 하겠다. 3. HACCP 적용 시설 및 기구의 보유율이 높을수록 조리종사자의 HACCP 실천수준이 높게 나타나, 학교급식에서 HACCP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와 시설들에 대한 예산배정 및 지원이 필요하다. 4.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 평가 결과 ‘식중독과 미생물’영역에서 가장 낮은 지식 점수를 나타냈다. 이 영역은 식중독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HACCP 교육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겠다. 5. 조리종사자의 HACCP 실천 수준 평가에서는 ‘작업중 대화금지’, ‘조리전 식재료의 냉장보관’, ‘작업중 위생상태 점검’ 항목에서 낮은 실천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 영역은 지식 평가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나, 지식은 있으나 실천이 이루어 지지 않는 항목에 대한 원인을 재분석하여 실천이 이루어지기 위한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겠다. 6. 영양사의 HACCP 교육내용이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과 실천수준에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이 부족한 영역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조리종사자의 실천수준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HACCP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져야겠다. This study took aim at checking how well cooking staffs understand and execute the HACCP system by making a comparative estimation of school-meal cooking staffs' knowledge and executive degree of the HACCP system. The study drew a conclusion as follow; 1. In the instruction operation rate research concerned with contents of the HACCP system,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rate of instruction of food poisoning and microbiology were less than any other instruction. And nutritionists' personal information their career, ages, and education back- grounds and operation frequency of instruction have particular relevance to the instruction content. 2. In the executive degree research of HACCP system, a group holding 'over 15' appliances and facilities recorded higher executive rate than 'under 15' groups. (p<0.05) 3. The result of cooking staffs' HACCP knowledge estimation showed the proportion of 74.5 to a hundred on an average. The parts 'Food poisoning and microbiology', which were instructed with the lowest instruction frequecy by nutritionists, showed the lowest knowledge degree. 4. Estimation of cooking staffs' HACCP executive degree ranked high in average points of 4.7 out of total 5. And in the executive degree of HACCP system according to cooking staffs' personal information, the sanitation part of a cooking phase related to career record only made meaningful distinction. (p<0.05) 5. Each aspects -the nutrition techinician's HACCP instruction contents, cooking staffs' HACCP knowledge and executive degreeincluded par- ticular interrelationship individually. Above results led following suggestions; 1. The result showed the nutritionst's personal information influenced on HACCP instruction content. Therefore HACCP system needs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plan to deal with all parts of contents not to treat a partial knowledge. 2. The research of HACCP instruction frequency showed that a few instruction opportunity rather made executive degree higher. It represents the lesson 'quality is more important than quantity.' Each school should concentrate on richness of instruction contents for practical instruction, not just on the form or frequency 3. More HACCP facilities and appliance led higher executive degree of HACCP. It is essential to supply funds and facilities/appliance for executive HACCP properly. 4. In the research of cooking staffs' HACCP knowledge estimation, 'food poisoning and microbiology parts' indicated the lowest knowledge degree. HACCP instructors should make sure of emphasizing these parts preparing against food poisoning. 5. Some items, that is, 'No chatting while working'.'Keeping ingredi- ents in cold storage before cooking'.'Attending to sanitation while cooking' marked very low executive degree in estimation of cooking staffs' HACCP executive degree. However these items got a good marks on the aspects of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ppropriate managing program with reanalytic process why those items were not carried out. 6. The nutritionists' HACCP instruction contents affected cooking staffs' HACCP knowledge and executive degree, and knowldege could improve executive degree. It means that HACCP system should develop its materials and maintain its instruction schedules continuously.

      • 人的誤謬 低減을 위한 人間 信賴度 分析 모형 構築

        정경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55

        Almost all companie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ranging from maintenance to operation even at the stage of designing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but fatal accidents continue to increase throughout the world.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systematically prevent such fatal accidents as fire, explosion or leakage of toxic gas at factories in order to not only protect the workers and neighbors but also prevent economic los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ough it is well known that accident probability is very low in NPP(Nuclear Power Plants), the reason why many researches are still being performed about the accidents is the results may be so severe. Human Reliability Analysis(HRA) is the main process to make preparation for possibility of human error in designing of the NPP. But those techniques have some problems and limitation as follows ; the evaluation sensitivity of those techniques are out of date. And the evaluation of human error is not coupled with the design process. Additionally, the scope of the human error which has to be included in reliability assessment should be expand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ethod for human error analysis, which can be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change of MCR(Main Control Room) interface design in NPP and which can supplement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this thesis, a detailed human error classification scheme focused on the analysis of error possibility caused by equipment's features and its propagation and the practical process to use it were proposed. The appearance of advanced man-machine interface system(MMIS) based on the modern computer technology is recently general trend in the area of process control system design. In the nuclear power plant industry,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pre dominant means for providing operation in conventional main control rooms(MCRs) is via hard-vired, spacially dedicated devices that exhibit a single function-single control philosophy. On the contrary, in Korea Next Generation Reactor (KNGR) Advanced Power Reactor(APR)-1400 MCR, operators may interact with plant through advanced MMIS. While the advanced MMIS is broadly considered to enhance system and human performance, there is also the potential to negatively impact human performance and spawn new types of human errors. For the analysis of human error, internal error modes were classified into the 5 steps and 39 cognitive error modes, psychological error mechanisms were classified into the 4 steps and 36 cognitive error modes in each cognitive step were proposed. Furthermore,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possible cognitive error modes, design features of equipment which have effect on this cognitive process were derived. And also, behavioral features of human arisen from the cognitive error modes were derived. This is a state of the art report on the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that are potentially available for the application to the ARP-1400 design. We surveyed every technical aspects of existing HRA methods, and compared them in order to obtain the requirement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error potentials within ARP-1400 design. We categorized the more than 11 methods into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Dr. Hollnagel. THERP was revisited in detail. HEART proposed by UK for an advanced design and TRACEr proposed by Shorrock & Kirwan were reviewed and compared. In the persp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as a case study on KNGR APR-1400 MMIS, are as follows: to evaluate the impacts of advanced MMIS on operator's cognitive task load and load, to analyze the theoretical 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task load and operator performance measures, and to identify new and probable types of human errors in advanced MMIS. In this study, the task analysis method was proposed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error possibility was analyzed for LPD, FPD, ESCM display in APR-1400 using this concept. The design features of LPD, FPD, ESCM which are corresponding to the Error Segment of equipment were derived and human's behavioral features which are corresponding to the Error Segment of huma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m. And then, error possibility and the probability by Error Segments were analyzed.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possibility investigation of functioning failure of the Auxiliary Feed Water System and then, reviewed the technical validity 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through the task analysis of the proced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result, the error items derived from analysis result were interaction error with equipment which could not be handled in the conventional HRA. Conclusively, The proposed Human Error evaluation method in this thesis introduced and analyzed the new concept of the Error Segment based on system safety. And it successfully showed the possibility of dealing with the limitations that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on the error possibility, which may occur from 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equipments. Furthermore, more comprehensive error possibility such as device-induced errors that are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MMI in the new MCR design or EOCs can be comprised in the evaluation scope. Additionally, detailed evaluation results could be derived, which are directly usable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MMI equipments interface. 모든 기업에서는 사고예방을 위하여 설계과정에서부터 유지관리와 운영면에 이르기까지 경영적인 차원에서 안전관리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 중대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업체에서의 화재, 폭발, 유독 물질 누출 등의 중대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 대책 수립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직원 및 인근 주민에 대한 인명 존중을 위하여 필요할 뿐 아니라, 기업의 손해 방지 및 환경문제 등과 관련하여 점차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 되고 있다. 원자력분야에서 인적요소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매우 심각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과정에서 인적오류 가능성에 대비하는 인간 신뢰도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인간 신뢰도분석 방법들이 낙후되어 평가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고, 인적오류 평가결과가 설계과정과 잘 연결되지 않으며, 인간 신뢰도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오류의 범위가 넓지 않아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기존의 인적오류 분석 기법들에 대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인적오류에 의하여 발생가능한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실 MMI 설계변화에 따른 기기의 특성 및 파급에 의한 오류 가능성 분석에 초점을 두고 세부적인 인적오류 분류체계와 이러한 분류체계를 활용하는 실무절차를 제안하였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man-machine interface system : MMIS) 분야는 최근 디지털 관련 산업기술의 발달에 의한 첨단제어설비와 컴퓨터 기반으로 한 공정처리(process control) 계통에 의해 점차 제어설비와 자동화 구현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현재 설계중인 차세대 원자력발전소가 첨단 MMIS를 채택한 그 대표적인 예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첨단 MMIS 설계는 발전소의 효율과 계통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인적요소가 설계내용에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면 예상치 못한 인적 오류에 의한 대형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첨단 MMIS에서 인적 오류는 사용자와 작업간 부조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써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업수행에 요구되는 인간의 인지행위를 규명하고, 인지행위에 따른 오류의 전개과정을 종합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대한 설계개선 및 보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인적오류 분석을 위하여 인간의 내적오류모드를 5단계로 분류하고, 39개의 각 인지단계별 인지오류유형, 심리적오류메커니즘를 4단계로 분류하고, 36개의 각 인지단계별 인지오류유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기의 설계특성을 도출하여 어떠한 인지오류유형의 발생이 가능한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인지오류유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발견되는 행위특성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차세대 원자로 설계의 인적 오류를 평가하는데 적합한 인간 신뢰도 분석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법이 가진 장단점을 분석하고 차세대 원전 설계의 특징과 연관지어 새로이 요구되는 인간 신뢰도 분석의 요건을 제시하였다. 제 1 세대 기법과 제 2 세대 기법으로 구분하여 약 8여종의 기법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기법인 THERP의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고, 차세대를 위하여 UK에서 새로운 기법으로 제시된 HEART와 TRACEr을 집중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이상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자동화된 MMIS 작업환경에서 인간의 인적오류를 종합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분석모델을 수립하고, 첨단 주제어실 작업환경의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모델의 인간공학의 적합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직무분석을 통하여 운전원의 인지행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인지행위와 인적수행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이용하여 차세대 원전의 주제어실에서 사용하게 될 LPD, FPD, ESCM화면에 대한 오류가능성을 분석하였다. LPD, FPD, ESCM의 설계특성에 관련하여 가능한 LPD, FPD, ESCM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인간의 행위특성들을 분류한 후, 오류절편에 의한 오류가능 상태 및 그 확률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실제 절차서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직무를 세분하고, 각 직무단계에서 구해진 오류절편들을 이용하여, 최종 오류확률까지 구하였다. 적용결과에서 도출된 오류항목들은 이제까지의 인간 신뢰성 분석기법에서는 도출되지 않았던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인적오류 평가 기법의 적용에 의한 결과를 통하여 기기와 인간과의 상호작용(interface)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새로운 원전 주제어실 설계에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MMI 기기의 특성에 따른 인적오류 가능성의 고려 및 수행오류(EOC) 등, 보다 확대된 오류 가능성을 평가 범위에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기공감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경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변화하면서 학습자의 학습역량이 강조되고 있고, 자기주도학습과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에는 인지, 정서, 태도, 동기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인지, 정서, 태도의 요소를 모두 다루는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요소까지 포함하여 자기공감을 바탕으로 한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연구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공감 학습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공감, 사회정서역량, 학습전략의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후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7개의 학습역량과 요구조사 내용을 토대로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검토을 진행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2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부산에 거주하는 중학교 1~3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형성평가는 주1회 정해진 장소에서 진행되었으며, 대상자의 활동지 및 차시별 평가지와 연구자의 관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형성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개선하여 공감적 정서관리 전략, 공감적 메타인지 전략, 공감적 자원관리 전략의 3개의 요소로 구성된 8차시의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자기공감 학습역량 향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학습전략에서 간과한 부분인 정서적 측면을 강조하여 기존의 학습전략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형성평가 결과 본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이 긍정적 자기공감을 하고 학습에 자신감을 가지는 것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공감 학습역량의 향상은 자기주도적 학습에 유의미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경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유아교사를 위한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행복플로리시, 교직선택 동기,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교직선택 동기,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20명에게 배포하였으며, 그 중 무응답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기재한 19부를 제외하고 총 30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측정도구는 Seligman(2011)의 웰빙 이론에 기반해 제작된 Bulter, Kern(2014)의 PERMA-Profiler를 전정애(2015)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직선택 동기 측정도구는 Huberman(1993)의 교직선택 동기 분류와 최주연(2006)의 교직의식에 관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남궁미경(2011)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 효능감은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인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를 이분려(1998)가 유치원 교사 효능감 도구로 수정한 ‘교사 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 및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Pearson’s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 연령, 최종학력, 기관유형, 근무경력, 직위에 따라 행복플로리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행복플로리시는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2,3년제 대학 졸업보다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관유형 중 정부지원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가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교직선택 동기 중 능동적 동기는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기관유형 중 물질적 동기는 공립유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4-6년보다 10년 이상이 수동적 동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은 연령이 20-30세 보다 31세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이 길수록 높았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 교사 효능감 간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 효능감에 있어 행복플로리시 중 긍정적인 정서, 의미, 성취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선택 동기 중에서 능동적 동기가 높아지면 교사 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교직선택 동기보다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들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