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 保護區域의 交通安全施設物 實態分析과 運營方案에 관한 硏究 : 외국의 운영사례 비교를 통한 연구

        유인근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14세 이하의 어린이(우리나라에서 정의된 '어린이'의 범위) 사망자는 '95년 788명, '97년 678명, '99년 490명으로 감소하다 2000년 518명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속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 가운데 어린이 부상자의 70% 이상이 보행중에 사고를 당하고, 통학 중 교통사고 사상자 비율도 30%에 이르는 등 학교주변의 교통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지난 '93년 행정쇄신위원회에서는 어린이 교통안전을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을 제정하여 주출입구를 중심으로 300m 이내의 지역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주변에 설치된 교통안전시설물인 안전표지, 노면표시 및 기타 부대시설물 등은 어린이 보호구역만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획일적인 설치로 효과가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실태를 분석하는 한편 교통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기준 및 어린이 보호구역 운영방법에 관해 검토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어린이 교통안전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어린이 보호구역에 관하여 문헌고찰과 어린이 보호구역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기준을 분석하고 현재의 어린이 보호구역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 운영실태 및 교통안전시설물 실태파악을 위하여 적정 조사지역을 선정한 후 그 지역에 위치한 학교주변 시설물현황 및 도로현황을 분석하고, 어린이 교통사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교통 안전시설물과 어린이 교통사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실태를 파악한 후 외국의 어린이 보호구역 운영방안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어린이 보호구역 운영방안 및 교통안전시설물 운영·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South Korea, death toll of 14 years old or younger children (in other words, 'children' age defined in the Korean society) had decreased from 1995 to 1999 and had increased again in 2000: 788 in 1995, 678 in 1997, 490 in 1999, and 518 in 2000. More than 70 percent of injured children has been in automobile accident in walking, and 30 percent of killed or injured children has been in automobile accident when they went to school: improvement of traffic environment around school is keenly demanded. In 1993, the Committee of Administrative Reform of Korea enacted "the Regulations of Designation and Controls of School zone" to guarantee children traffic safety actively and designated and controlled 300 meters or less areas from center of schools as School zone However, traffic control devices around schools, for instance, safety signs, street signs and other incidental facilities, etc, have been uniformly constructed regardless of features of School zone, so that they have lost their effects. The study has analyzed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control devices installations at School zone, and has reviewed traffic control devices installation standards within School zone as well as School zone operation ways in advanced countries, and has tried to find a good solution for traffic control devices installation being suitable to South Korea, and has presented operation ways for function improvements of the School zone to reinforce children traffic safety. At first, School zone have been surveyed based on literature and documents, and installation standards of the traffic control devices at the School zone have been analyzed, and operation conditions of current protection areas have been checked. To get exact information on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control devices, proper survey areas have been selected and then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and roads around schools at each area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features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have been analyzed to know relations between traffic control devices and children traffic accidents. The researcher has surveyed literature, documents and on-site areas to know actual conditions of children traffic safety in South Korea and compare and analyze traffic control devices installation standards of South Korea with those of foreign countries, and has drawn up improvement ways of School zone operation ways in South Korea.

      •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에 따른 차량속도 영향권 분석

        최영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도로교통법개정(2020년 3월 25일 시행, 일명: 민식이법)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과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의무화 등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법안이 시행되었다.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의무화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 치사상의 가중처벌을 담고 있어 운전자에게 경각심과 보호구역에서의 교통안전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또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단속장비와 교통안전시설물의 확대 설치로 시설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고원식횡단보도, 과속방지턱 등 시설물 특성에 맞는 설치는 부족하여 짧은 구간 내 중복된 시설물 설치 역시 늘어나고 있다. 교통단속장비는 속도위반, 신호위반 등 주행차량의 법규위반을 단속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억제시키고 과속방지턱은 도로노면을 돌출시켜 턱이 지게 만든 부분을 통해 차량의 과속주행을 방지하며 고원식교차로는 고원식횡단보도와 동일한 제원으로 설치하되 차량의 주행속도 감속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 고원식교차로 등은 모두 차량의 속도를 강제적으로 낮춤으로서 안전사고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나 어린이보호구역내 설치된 시설물을 보면 짧은 구간 내 같은 시설물이 중복으로 설치되어 차량 감속 효과를 떨어뜨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전 범위를 포함하지 못하고 설치된 시설물에서만 감속이 나오는 주행이 계속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있는 교통안전시설물의 차량속도 영향권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영향권이란 어린이보호구역 내 주행하는 차량이 교통안전시설물을 통과하기까지 전 구간을 분석하여 차량 주행속도 40km/h 이하의 구간을 분석하여 설정하고자 한다. 분석에 설정된 교통안전시설물은 차량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원식교차로, 과속방지턱 및 교통단속장비를 설정하였으며 고원식횡단보도는 과속방지턱과 그 제원 및 목적이 같아 제외하였다. 차량 속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은 미끄럼방지시설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 선정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편도 2차로 및 통행속도 30km/h로 노면표시, 안전표지, 미끄럼방지시설이 설치되어있으며 교통단속장비 또는 교통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있고 조사 진행 중 교통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지역으로 한정하되 조사구간 내 다른 교통안전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은 지점을 선정하였다. 차량 통행속도조사는 시험차량주행법을 채택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8회 주행을 통해 주행속도 최고, 최저 값을 제외한 6회 측정값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점은 교통안전시설물을 기준으로 전후 150m씩 총 300m구간을 선정하여 지점 당 50m 간격을 지면에 표시하여 주행차량의 영상녹화와 각 구간별 통과하는 시간을 기록하여 속도를 산출하였다. 영향권의 기준이 되는 차량속도 40km/h는 선행 연구 자료를 참조하여 중상가능성 30% 이하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교통안전시설물별 차량속도 영향권 자료로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는 교통단속장비와 교통안전시설물의 효율적인 설치 위치를 결정하고 어린이보호구역을 통행하는 차량의 통행속도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 기대되며 추가적인 교통안전시설물의 영향권을 분석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Under the revision of the Road Traffic Act (Enforcement on March 25, 2020), a bill was implemented to install traffic lights and speed cameras in child protection zones. The Act on the Weigh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has made it important for drivers to be alert and traffic safety in protected areas as it includes mandatory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protected areas and aggravated punishment of children's deaths in protected areas. In addition, the number of faciliti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due to the expansion of traffic enforcement system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child protection zones, but the installation of redundant facilities in short sections is also increasing due to lack of facilities such as plateau-type crosswalks and speed bumps. Traffic enforcement system is designed to curb the driving speed of vehicles by cracking down on violations of laws such as speeding and signal violations, and speed bumps protrude on the road surface to prevent speeding of vehicles, and plateau intersections are installed with the same specifications as plateau crosswalks. Speed bumps, plateau crosswalks, and plateau intersections all forcefully reduce the speed of vehicles to ensure pedestrian safety from safety accidents, but the same facilities in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are installed in duplicate.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 vehicle speed influence zone f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child protection zones. In this study, the sphere of influence is to analyze all sections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until the vehicle pass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to analyze and set sections with a driving speed of 40km/h or less. Traffic safety facilities established in the analysis were plateau-type intersections, speed bumps and traffic enforcement system, which directly affected vehicle speed, and plateau-type crosswalks were excluded because they had the same specifications and purposes as speed bump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for facilities that indirectly affect vehicle speed as non-slip facilities.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was selected as a one-way secondary lane and 30km/h traffic speed, with road markings, safety signs and anti-slip facilities installed, traffic enforcement system 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and no other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installed during the survey. The vehicle speed survey was conducted by adopting the test vehicle driving metho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measurements ex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driving speed through a total of eight trips. Based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the station selected a total of 300m sections, 150m before and after, and displayed 50m intervals per point on the ground, recording the video recording of the driving vehicle and the time passing by each section to calculate the speed. The vehicle speed of 40km/h, which is the standard of influence, was selected as less than 30% chance of serious injury by referring to prior research dat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location of traffic enforcement system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and to efficiently maintain the traffic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children's protection zones.

      •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신호등 및 신호제어기 중심으로

        서자영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6

        국민의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도시환경이나 공공시설분야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공개념의 공간과 시설 그리고 공용사용물은 개인의 차원을 떠나 국가정체성 확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은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 다시말해 공공영역이라 하는 두 가지 영역으로 존재한다. 사적 영역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소비가 진행되어 그 타깃을 기점으로 시장이 형성되는 반면, 공공영역의 디자인은 주변의 환경, 즉 도시환경 농촌 환경 혹은 지역색 등 각 환경의 공공성과 공공정보시스템 등 공통된 삶의 영역과 불특정 다수에 의해 관계를 맺기 때문에 공공디자인의 연구는 체계적이고 사회적 이여야 한다. 최근 들어 서울시를 필두로 각 지자체별로 공공 디자인의 특화전략으로 많은 부분 공공시설물 및 디자인의 공공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통신호제어기나 신호등 등 교통시설물은 그동안 안전성과 기능성에 치중되어 발전하는 공공디자인에 대비하여 많은 부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국내 발전하는 공공시설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에 맞춰 그동안 발전이 부족했던 교통시설물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점과 발전 방향을 살펴보며 또한, 앞으로의 시행 및 도시 및 발전하는 공공디자인에 발맞추어 함께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통안전시설물에 대한 사용자 측면과 이용자 측면에서 어떤 부분에서 얼마나 불편을 느끼는지를 발견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여 추후 공공디자인의 계획 및 디자인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과 과정으로 공공시설과 공공디자인의 개념, 미국․일본․우리나라의 공공시설 현황과 함께 공공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공공디자인의 대한 우리나라의 현 상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방법이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공공시설의 디자인을 개선하는데 활용된다면, 많은 관리자와 보행자 및 운전자가 편리하고 심미적인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의 실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교통사고 영향요인 분석 연구

        김윤태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어린이 보호구역이란, 어린이들을 차량통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교, 그리고 어린이집의 주 출입문을 중심으로 반경 300m 이내를 지정하고 안전시설과 통행규칙을 설정하여 따르게 한 공간적 범위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의무화를 담은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과 어린이 교통사고와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지점인 화성시 내 어린이보호구역 초등학교 99개소에 대하여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현황 및 통학특성 자료를 조사하고, 어린이보호구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과속단속카메라, 신호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통사고와 교통안전시설물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신호등, 규제표지, 노면표시가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강한 음의 상관성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시행 시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지역 특성 및 현장 여건에 따라 우선순위 도출에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과속단속 장비와 노란신호등 설치 등에 대한 추가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우선순위를 산출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 school zone means a spatial range in which a radius of 300m is designated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and safety facilities and traffic rules are established and followed in order to safely protect children from vehicle traffic. Recently, with the revision of the Road Traffic Act, which includes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the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has become compuls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zone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children's traffic accidents. In this study, data on the installation statu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commut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99 school zones in Hwaseong-si,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use the school zone.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answered that speed enforcement cameras and traffic lights were needed first. Based o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n the past 3 years, 5 accident-prone points and 5 comparison groups were set as groups to compare the installation statu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group with many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has a relatively low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mong children in the school zone. It was found that traffic lights, regulatory signs, and road markings between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In the future, when implementing th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it will be an index that can determine the priority of installing traffic safety facilities. However, there were not many data o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school zones, which made it difficult to analyze them, and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them to children's protection zones nationwide because there were only 10 samples applied to the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t results of ranking derivation may appear.

      • 어린이보호구역내 교통안전시설물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윤상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우리나라는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전국의 모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차량의 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시설물과 보차도 분리시설 등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그 결과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다른 교통사고 유형과 마찬가지로 교통사고 감소추세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사실임에 따라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학로 확보와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안전시설물 적절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소재 초등학교 7개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내 시설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발생한 교통사고와 시설물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미끄럼방지시설, 과속방지턱, 고원식교차로, 신호기, 방호울타리, 안전표지, 시선유도봉 등 총 7개 시설물이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호기와 다른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합표지, 안전표지, 횡단보도, 볼라드, 방호울타리, 미끄럼방지시설, 시선유도봉, 방범CCTV가 상관성 0.5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본 연구의 어린이보호구역 대상학교의 현장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주변으로 위와 같은 시설물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어린이보호구역내 사고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으로 차량과 보행자의 상충이 많이 발생하는 교차로 주변으로 시인성 향상시설인 통합표지, 안전표지, 미끄럼방지시설, 시선유도봉과 같은 시설물과 보차도 분리시설인 방호울타리가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어린이보호구역내 사고감소를 위해서는 어린이행동특성분석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고 특히, 사고원인이 복합적이거나 운전자과실 사고 등 모든 사고유형에 대하여 감소효과를 판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므로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필요한 교통안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활용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시설물 사고감소 효과분석

        맹기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11

        교통사고는 환경요인, 인적요인, 차량(기술)요인의 복합적인 관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사고발생 요인들을 제거 및 보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그 중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이 있다.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일정 기준으로 사고 잦은 곳을 선별하여 원인 분석 후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등 개선을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선사업의 효과척도를 교통사고건수와 비용을 활용하여 단순 비교를 통해 사고감소 효과를 분석하고 있지만, 이러한 분석 방법은 평균으로 회귀하는 성향을 고려하지 못해 과대·과소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한 분석 방법론인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통해 시설물 사고감소 효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효과척도를 교통사고건수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와 다르게 사고위험도 지표 중 교통사고건수를 활용한 백만 대당 교통사고율과 도로속성을 활용한 사고위험도인 SRS(Star Rating Scores)와 별점평가(Star Rating)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설물 설치지역을 지역유형, 토지이용계획별로 구분하여 사고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분석지점과 유사한 조건을 갖춘 참조그룹을 수집하였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통해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여 개선을 하지 않을 때 발생할 것이라 기대되는 교통사고건수를 사고 심각도와 유형별로 추정하였다. 또한, 시설물을 개선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안전시설물 개선유형의 발광형 지시표지 교체(72.35%), 도로부대시설 개선유형의 노면색깔유도선(30.72%), 교차로 복합개선 유형의 정지선 위치 조정 및 전방신호기, 횡단보도 설치(32.86%)가 개선 유형별 사고감소 효과가 가장 좋은 시설물로 분석되었으며 지방부와 기타지역에 설치할 경우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속적으로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 지점에 따른 사고감소 효과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사고 심각도 및 유형별로 사고감소가 필요한 지점에 적절한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정적인 예산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iven that traffic accidents arise from a complex interplay of environmental, human, and vehicular (technological) factor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se accidents by eliminating and enhancing the contributing factors. One of the primary Projects in this regard is the Improvement projects at Black Spot. This improvement project aims to identify areas with high accident rates based on specific criteria, analyze the causes, and subsequently enhance traffic safety by installing appropriate safety facilities. Although the effectiveness of these improvement projects is typically analyzed by comparing accident rates and associated costs, such analytical methods may inadvertently lead to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due to an inherent regression-to-the-mean tendency. To address this limitation, this study employed an alternative analytical methodology known as the Empirical Bayes Method to assess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safety facilities. Instead of relying solely on accident counts, this study introduced new risk indicators such as the Accident rates per million entering vehicles, known as Star Rating Scores (SRS), and Star Ratings based on roa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study segmented the installation areas of these facilities based on regional types and land-use plans to evaluate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s. For analysis purposes, reference groups with conditions similar to the treated segments were collected. Using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were constructed to estimate the expected number of accidents by severity and type if no treatment. Furthermore, the study categorized the facilities based on the type of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placement of light-emitting indicator signs (72.35%) of the improvement type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the road color guidance line (30.72%) of the improvement type of road facilities, and the adjustment of the location of the stop line and the installation of front signal and crosswalk (32.86%) of the intersection complex improvement type were analyzed as the facilities with the best accident reduction effect by improvement type and were analyzed to be the most efficient when installed in rural and other regions. Future studies should continue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ffic safety facility installations based on specific locations, allowing for the strategic placement of appropriat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type of accidents.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limited budgets and space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through these findings.

      •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시내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School zone was introduced in 1993 and kept expanding until now continuously. In the meantim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evalua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raffic accident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mprovement project was overly costly per unit school zone in terms of the number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reduced. Furthermore, despite the continuing improvement project, the number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in the school zones nationwide for the past three years has increased from 427 cases to 541 cases. Faced with this situa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review and re-evaluate th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up until now.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 among traffic safety features that are newly installed or improved when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is implemented,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involved, and children accidents. Target for the analysis was children accident black spots within the school zones that were selected by KoRoad TAAS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of KoRoad) for the past 5 years. The range of accident data was limited to the past 6 years. As for target unit of analysis, each school zone was not selected as a target unit. Instead, each school zone was divide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the resulting units were selected as target of analysis. To analyze impact relations among children accidents,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involved, and traffic safety features, an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of children accidents was constructed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Instead of taking entire roads of a school zone divided as target, two separate models were constructed for block inside and arterial road group. As a result of model construction, in the case of block inside, minimum sidewalk width, speed bump, and elevated crosswalk turned out to be impact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children accidents. But in the case of arterial roads, speed limit, roadside barriers, and red pavement of road surfaces turned out to be impact factors. In addition, regarding impact factors derived by group, priority order was graded for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arrying out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and school zone repair projects based on Wald statistics and odds ratio valu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whereas existing studies placed an emphasis on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road traffic safety features, and speed reduction effect in the main, it examined their impact relations with children accidents. It is hoped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can be of some help to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and school zone repair projects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data. 어린이보호구역은 1993년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그동안 국내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사고감소실적에 비해 단위 개소당 사업비가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또한 전국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사고가 지난 3년간 427건에서 541건으로 증가하는 등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사고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황에 따라 지금까지의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시 설치 또는 개선되는 교통안전시설물과 해당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교통환경과 어린이사고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선정한 보호구역내 어린이사고 다발지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사고자료 범위는 최근 6년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점의 어린이보호구역을 한 단위로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지 않고, 각 지점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각 도로들의 특성에 따라 분할하였으며 이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어린이사고와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교통환경과 안전시설물들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어린이사고발생확률모형을 구축하였다. 분할된 어린이보호구역 도로들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블록내부와 간선도로 그룹으로 각각 나누어 두 개의 모형을 각각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블록내부의 경우 어린이사고 발생에 있어서 최소 보도폭 확보 유무, 과속방지턱 유무, 고원식횡단보도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간선도로의 경우 제한속도, 방호울타리 유무, 노면 적색포장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각 그룹별로 도출된 영향요인에 대하여 Wald 통계량과 Odds ratio값을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또는 보수 사업시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순위를 만들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어린이보호구역 내 도로교통환경 및 안전시설물에 대한 속도저감효과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어린이사고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가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나 보수사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信號交叉路 橫斷步道 步行量 推定에 關한 硏究

        임관행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4

        횡단보도는 신호 · 비신호교차로 또는 mid-block에 설치하여 접근하는 차량이 정지하여 있는 동안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통안전시설물이다. 그러나 매년 수많은 횡단보도 보행자사고가 발생하고 타 교통사고 보다 치사율이 높아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횡단보도의 안전성과 교통소통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횡단보도 보행자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사고 예측모형이 꾸준히 연구되어왔으나, 각 예측모형에는 횡단보도 보행자사고의 당사자인 보행량이라는 변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보행량과 관련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보행량 추정방법 역시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 횡단보도의 안전성 및 소통을 평가하기 위한 첫 단계인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 지점 횡단보도 보행량과 보행영역권내 토지이용특성을 조사한 후, 횡단보도를 경유하여 역으로 유입되는 횡단보도 보행유입량과 구역에서 횡단보도를 통하여 유출되는 횡단보도 보행유출량을 각각 토지이용특성과 관련한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둘째, 추정된 보행유출입량을 횡단보도별로 분포시키기 위해 4단계추정법의 통행분포 기법인 중력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각 지점별로 조사된 횡단보도 보행량으로 대각횡단 보행비율을 계산하고 각 구역간 O-D표(실측치)를 작성한 후, 횡단보도를 건너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정하여 마찰계수와 구역간 조정 계수을 계산하였다. 셋째, ① 실측에 의한 O-D표와 계산에 의한 O-D표간 그리고 ② 실측 O-D표와 추정 O-D표간 보행량을 대응시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한 결과가 도출됨으로써 중력모형 적용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넷째, 모형구축에 포함되지 않은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자료를 조사하여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 추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임의의 신호교차로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사고가 발생한 시점(과거)의 횡단보도 보행량을 추정하거나, 장래 계획년도에 신설 될 횡단보도 보행량을 예측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A crosswalk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an unsignalized intersection and a mid-block location is a traffic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s to cross a road in a safe way while approaching vehicles are stopping. However, many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occurr every year and have higher fatal rate than any other typed accidents have. Forecasting models for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have been established so as to reduce total number of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by considering safety of crosswalk and good traffic operations, but the existing models did not include pedestrian volume because there have not been no pedestrian volume related data and no methods of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This paper developes estimation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which is the first step of evaluating safety and operation of crosswalks. First of all, estimation models for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re needed. In the procedure, the first thing to do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land-use in walking boundary lines and crosswalk pedestrian volume. The estimation models which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otal number of trips produced in zone i and total number of trips attracted to zone j as dependent variables are established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condly, friction factors and adjustment factors for trip interchange between zone i and zone j need to be calculated. In the procedur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by each crosswalk needs to be distributed by using Gravity Model, a method of trip distribution in Four-Step model, and then diagonal intersection trip ratio was calculated by using crosswalk pedestrian volume investigated at each site. By that, travelling time was estimated from O-D tables observed and then friction factors and adjustment factors could be calculated. Thirdly,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by correponding two cases, that is, O-D tables observed and O-D tables calculated, and O-D tables observed and O-D tables estimated, and then validation used the gravity model was performed. Fouthly, goodness-of-fit test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was performed by investigating crosswalk data at signalized intersections, which were not used shen establishing the models. Finally, the crosswalk pedestrian volume can be estimated when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occurred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Moreover, a procedure of forecasting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crosswalks in the future is shown.

      •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성 증진을 위한 교통안전 시설물 평가에 관한 연구

        오수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우리나라의 보행자 안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매우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특히 성인보다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차대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대 보행자 사고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증진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선행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의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을 인지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증진을 위해 운전자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인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에 교통안전 시설물이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어린이 보호구역이 더욱 안전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물의 요인을 도출하고, 설문조사 및 주행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운전자의 관점에서 가장 적합한 교통안전 시설물을 파악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시설물의 평가 요인은 시인성, 디자인, 정보 전달성, 효과성 총 4가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로 교통안전 시설물을 평가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시설물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요인에서 교통안전 시설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인성과 디자인, 효과성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시설물은 과속 경보 시스템이었다. 정보 전달성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시설물은 교통안전 표지였다. 4가지 요인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시설물은 옐로 카펫이었다. 과속 경보 시스템 설치 유무에 따른 주행속도 측정 결과, 평균 주행속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차로 수가 많을 수록 평균 주행속도가 높았다. 과속 경보 시스템 설치 유무에 따른 평균 속도의 차이도 존재하였는데, 과속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보다 과속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평균 주행속도가 더 낮았다. 따라서, 과속 경보 시스템의 설치는 실제 차량의 주행속도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와 주행속도 측정의 결과에 근거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과속 경보 시스템의 설치를 적극 활용하고, 교통안전 표지를 정비하여 운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키워드: 어린이 보호구역, 교통안전 시설물 평가, 운전자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 인지, 주행속도 측정 실험 Korea's pedestrian safety ranks very low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ut the school zone is designated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among children who lack judgment skills, especially adults. However, research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chool zone is steadily underway because pedestrian accidents in the domestic school zone are still high. Among them,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Howeve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rivers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safety of school zones.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facilities that could affect drivers' awareness of school zones were derived, and the most suitable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eed measurement experiments. The evaluation factors of facilitie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four factors: visibility, desig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survey,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evaluated for each factor and the best facilities for drivers were selected. The surve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all factors. The facility that was most appreciated for its visibility, design and effectiveness was the speeding warning system. Traffic safety signs were the most highly regarded facilities for communicative factors. The facility that received the lowest rating for four factors was the yellow carpe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driving spe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eding warning system, the average driving spe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the number of lanes, the higher the average spee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average spe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installed, but the average driving speed where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installed was lower than where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not install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peeding warning system had an effec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actual vehic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speed measurement conducted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chool zon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installation of a speeding warning system, improve traffic safety signs, and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to drivers.

      • 도로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감소효과 평가 및 사고감소계수 추정모형 구축

        박규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논문에서는 도로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감소효과(Accident Reduction Effect; ARE) 평가방법론을 개발하고 사고감소계수(Accident Reduction Factor; ARF)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도로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늘면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시설물 설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시설물 설치효과 평가방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시설물 설치 효과는 주로 설치전․후 사고건수를 단순비교하여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시설물 설치전․후 사고건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물 설치이외에도 여러 교란요인이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전국적으로 교통사고가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각종 교통안전정책의 결과이다. 이 시기에 사고가 감소했다는 것은 안전시설물 설치 이외의 다른 교통안전대책에 의해서도 사고감소효과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안전시설물의 순수효과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교통안전개선대책의 효과를 배제한 효과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안전시설물은 주로 위험지점에 설치되는데, 이 위험지점 선정시 발생하는 편의도 함께 보정하여 순수효과도를 도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사고감소효과 산정시 시설물 설치 이외의 다른 교란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순수 교통사고감소효과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교란요인은 평균으로의 회귀편의(Regression to the mean bias; RTM)와 사고추이를 고려하였다. 평균으로의 회귀편의는 경험적 베이즈(Empirical Bayes; EB)기법으로 보정되었고, 사고추이 보정은 우리나라 전체의 연간 사고건수변화율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개발된 교통사고감소효과 평가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도 17호선 전주~남원구간에 설치된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갈매기표지의 사고감소효과(ARE)를 분석하여 실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중앙분리대는 18.46%, 가드레일은 38.11%, 갈매기표지는 16.24% 사고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감소계수(ARF) 산정모형을 함께 구축하였다. 안전시설물 설치 타당성 검토시 선행연구의 사고감소효과(ARE)를 사고감소계수(ARF)로 적용하여 개선효과도를 예측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왜냐하면 선행 연구별로 제시된 효과도값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연구별 사고감소효과에 차이가 나는 것은 표본의 특성과 분석방법 등에 따라 사고감소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떤 연구의 사고감소효과를 활용하냐에 따라 기대효과도가 달라 진다는 점에서 사고감소계수(ARF) 적용과정에서 논란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본 논문에서는 분석결과에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병합효과도를 산정하고 이를 사고감소계수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사고감소계수 산정모형은 메타분석을 베이지안 추론하여 개발되었다. 메타분석(Meta Analysis)이란 분석의 분석(Analysis of Analysis)으로, 개별 연구를 통합할 목적으로 많은 수의 개별적인 연구결과들을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메타분석의 병합효과도 추정은 베이지안 추론(Bayesian inferenc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베이지안 추론은 고전적 추론과 달리 관측된 데이터와 추론하고자 하는 모수 모두에 확률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다. 선행 연구결과들을 하나의 값으로 병합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분포로 인식하는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병합효과도를 산정할 수 있다. 베이지안추론을 이용한 병합효과도 산정에서 사전분포는 선행연구결과의 분포, 우도함수는 표본의 확률분포가 되고 사후분포는 병합효과도의 확률분포가 된다. 구축된 모형을 적용하여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계수(ARF)를 산정하였다. 표본의 분포가 정규분포로 분포수렴되어, 사전분포는 공액사전분포인 정규분포로 하였다.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계수(ARF)는 24.89%로 산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교통사고감소효과(ARE) 평가방법론은 각종 도로부속시설물의 안전개선효과도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모형을 활용한다면 새롭게 개발된 시설물의 시범설치후 보다 신뢰성 있는 안전개선효과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시설물이 도로․교통환경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효과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을 비교한다거나, 향후 시설물의 확대여부를 결정하는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사고감소계수(ARF) 추정모형도 향후 안전개선사업 효과도 예측시 보다 신뢰성 높은 사전평가를 가능하도록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